조사/감시보고

Split Viewer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13): 394-410

Published online April 6,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13.3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EIOS 시스템을 활용한 2022 카타르 월드컵 사건 기반 감시 결과분석

채충만 1, 오지영 1, 김용문 1, 이선영 1, 김지혁 1, 홍수진 2, 김수현 3, 이지아 1, 탁상우 1*

1질병관리청 위기대응분석관 위기분석담당관, 2질병관리청 감염병위기대응국 신종감염병대응과, 3질병관리청 경남권질병대응센터 감염병대응과

*Corresponding author: 탁상우, Tel: +82-43-719-7569, E-mail: taksw@korea.kr

Received: February 22, 2023; Revised: March 10, 2023; Accepted: March 13,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대규모 군중이 모이는 국제적인 행사는 감염병의 확산을 일으킬 수 있으며 짧은 기간에 대규모 인구 이동이 발생하고 참가국 입장에서 감염병 발생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건 기반 감시체계를 활용한 공중보건 위협요소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다. 질병관리청 위기분석담당관에서는 2022 카타르 월드컵 기간동안 카타르 및 카타르 인접 6개국에 체류하는 내국인에게 위협이 되거나 해당 국가에 방문하는 사람들과 함께 국내에 유입될 수 있는 공중보건 위협신호를 감지하고 대응하기 위해 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EIOS) 시스템을 활용한 감시체계를 운영했다. 2022년 10월 30일부터 2023년 1월 7일까지 2022 카타르 월드컵 감시를 위해 생성한 EIOS 시스템 내 상황판에는 18,431건의 기사가 표시되었다. 공중보건 위협신호로 분류된 기사 11건(0.06%) 중 국내 3번째 엠폭스(원숭이두창) 환자 관련 기사 1건(0.01%)을 제외한 10건(0.05%)은 공중보건 위협요소가 국내에 유입되거나 감시 대상 국가에 체류하는 내국인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됐다. EIOS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관련 기사를 수집하고 사용자가 기사를 확인할 수 있어 단기간에 신속한 감시가 필요한 대규모 군중 행사에 활용하기 적합했으며 언어적 장벽으로 인해 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국제 행사의 감시에도 활용도가 높다. 다만, 대응 활동의 근거로 활용하기에는 정보원에 따라 신뢰도가 부족할 수 있어 다른 사건 기반 감시체계와 함께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EIOS를 활용한 사건 기반 감시체계는 우려되는 공중보건 위협 사건의 발생 가능성 및 영향력, 감시의 대상인 대규모 군중 행사의 규모 및 언론매체의 관심도, 가용할 수 있는 자원, 감시체계의 민감도 등을 고려하여 운영해야 한다. EIOS 시스템 활용의 효율성과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앞으로 진행되는 국제적인 대규모 군중 행사에서도 지속적으로 EIOS 시스템을 활용한 사건 기반 감시경험을 축적하고 EIOS 시스템을 활용하는 국가 및 연구자, 국제기구 등과 지식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주요 검색어 사건 기반 감시; EIOS 시스템; 군중 활동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대규모 군중이 모이는 국제적인 행사는 감염병의 확산을 일으킬 수 있으며 사건 기반 감시체계를 활용한 공중보건위협요소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EIOS)를 활용한 사건 기반 감시체계는 우려되는 공중보건위협 사건의 발생 가능성 및 영향력, 감시 대상 대규모 군중 행사의 규모 및 언론매체의 관심도, 가용할 수 있는 자원, 감시체계의 민감도 등을 고려하여 운영해야 한다.

③ 시사점은?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EIOS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해 앞으로 진행되는 국제적인 대규모 군중 행사에서도 지속적으로 EIOS 시스템을 활용한 사건 기반 감시 경험을 축적하고 EIOS 시스템을 활용하는 국가 및 연구자, 국제기구 등과 지식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2022 카타르 월드컵이 2022년 11월 20일부터 12월 18일까지 개최됐다. 32개국에서 약 831명의 선수단과 전 세계에서 140만 명이 넘는 관광객들이 참석하여 누적 관중 수 340만 명을 기록했다[1,2]. 카타르 내 거주인구가 2,909,134만 명이고 상대적으로 인구밀도가 높은 점을 고려했을 때 카타르 외 지역에서 유입되는 감염병은 카타르 내 공중보건에 위협이 될 수 있다[3,4]. 카타르 언론에 따르면 주카타르 대한민국 대사관에서는 최소 5천 명의 한국 국민이 2022 카타르 월드컵 참석을 위해 카타르를 방문할 것으로 예상했다[5].

대규모 군중 행사는 방문자와 거주자 집단 내 감염병의 확산을 일으킬 수 있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대유행은 다양한 국제 군중 행사에 영향을 주었다[4]. 2021년 7월에 개최된 도쿄 하계올림픽과 2022년 2월에 개최된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대부분 무관중 경기로 치러진 점을 고려했을 때 2022 카타르 월드컵은 코로나19 대유행이 발생한 이후 대규모의 군중이 모이는 첫 국제 스포츠 행사이다[4]. 또한, 2022년 2분기부터 엠폭스(원숭이두창)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2022 카타르 월드컵을 통한 감염병 전파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졌다[4].

대규모 군중이 모이는 국제적인 행사의 경우 짧은 기간에 대규모 인구의 이동이 발생해 기존에 운영되던 지표 기반 감시체계1)를 활용한 공중보건위험요소(hazard)에 대한 감시가 어렵고 참가 국가의 경우 개최국에 비해 감염병 발생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져 대중매체 모니터링 및 국제보건규칙(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 등 국제사회의 소통 수단을 활용한 사건 기반 감시체계2)가 필요하다. 현재까지 많은 국제 스포츠 행사 개최국과 참가국이 사건 기반 감시를 수행해왔으며,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등에서도 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EIOS) 시스템을 활용해 대규모 군중 행사에 대한 사건 기반 감시를 진행 중이다[6-8].

EIOS 시스템은 사건 기반 감시를 진행하는 국제적인 공중보건감시활동(public health intelligence)을 강화 및 촉진하고자 WHO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공동연구센터(Joint Research Centre of the European Commission)가 협력하여 만든 시스템이다[9]. 인공지능에 기반한 EIOS 시스템은 다양한 언어로 된 대중매체, SNS, 웹사이트 등에서 공중보건위험요소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렇게 수집된 기사는 자동으로 EIOS 시스템 내 해당하는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EIOS 시스템 내에는 질병, 증상, 자연재해, 공중보건대응 등 다양한 카테고리가 존재하며 수집된 기사는 사용자가 생성한 상황판의 설정(대상 카테고리, 시간, 장소, 정보원 등)에 따라 상황판 화면에 나타난다.

질병관리청 위기대응분석관 위기분석담당관에서는 2022 카타르 월드컵 기간에 카타르와 주변 국가 6개국에 체류하는 내국인이 노출되거나 해당 국가에 방문한 인원을 통해 국내에 유입할 수 있는 공중보건위협신호(signal)를 감지 및 대응하기 위해 EIOS 시스템을 활용한 감시체계를 운영했다.

1. 감시 기간 및 대상 지역 설정

2022 카타르 월드컵은 2022년 11월 20일부터 12월 18일까지 29일간 개최됐다. 질병관리청 위기분석담당관에서는 인구이동 및 주요 감염병들의 잠복기를 고려하여 2022 카타르 월드컵 개막 3주 전인 2022년 10월 30일부터 종료 3주 후인 2023년 1월 7일까지 70일간 EIOS 시스템을 활용한 감시체계를 운영했다. 감시 대상 국가는 월드컵 개최국인 카타르를 포함하여 2022 카타르 월드컵 기간에 카타르 방문객들이 주로 숙박하는 주변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아랍에미리트 등 6개국이었다.

2. EIOS 시스템 상황판 카테고리 설정

2022년 10월 6일 기준 EIOS 시스템 내에는 571개의 카테고리가 있었으며, 이 중 감염병과 관련 없는 카테고리 182개를 감시 대상에서 제외했다. 감염병과 관련 있는 389개의 카테고리 중 국내 법정 감염병 및 카타르 내 우선순위 감염병 관련 카테고리와 발열 등 감시가 필요한 증상 관련 카테고리 232개를 감시 대상에 포함했으며, 신종감염병 및 여행 관련 감염병 등 감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카테고리 37개를 감시 대상에 포함했다. 감염병과 관련 있는 카테고리 중 언급된 기준에 따라 감시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카테고리 120개는 카테고리별로 위기분석담당관 내 검토 과정을 거쳐서 감시 대상 여부를 결정했다. 최종적으로 270개 카테고리가 2022 카타르 월드컵 상황판에 포함됐다(그림 1).

그림 1. EIOS 시스템 상황판 카테고리 설정 기준 및 과정
EIOS=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3. 감시체계 운영

10월 27일 2022 카타르 월드컵 상황판 설정이 완료됐으며, 역학조사관(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ficer)과 연구사, 연구원을 포함한 7명이 교대로 EIOS 시스템을 활용한 사건 기반 감시를 수행했다. 감시과정에서 한국어나 영어 이외의 언어로 작성된 기사는 크롬 등 웹 브라우저의 번역 기능을 활용하여 영어로 변환하여 내용을 확인했다. 감시 담당자가 공중보건 위협신호로 의심되는 기사를 확인하는 경우 EIOS 시스템 내 다른 기사와 비교하여 기사 내용의 신뢰도를 1차 검증했다. 해당 기사의 정보가 신뢰할만하다고 판단되면 기사의 보도 날짜, 포함된 위험 요소, 언급 국가명, 정보원, 기사가 포함된 카테고리, 요약내용을 위기분석담당관 내에 공유하고 EIOS 시스템에서 추출한 보고서를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했다. 위기분석담당관 내 공유된 기사의 내용이 국제보건규칙 등 기타 사건 기반 감시 수단을 활용한 2차 검증을 통해 신뢰할만하다고 판단되면 위기분석담당관 내 협의를 통해 공중보건위협신호 여부를 최종 결정했다.

4. 감지된 신호 평가

감지된 신호는 질병관리청 내 관련 부서에 잠재적인 공중보건 위험요소 대비를 위해 공유됐다. 감지된 신호는 아래 제시된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평가됐으며, 만약 평가 결과가 기준 1 이상에 해당하면 질병관리청 내외에 대응이 필요한 관계자에게 전파됐다.

  • 기준 1. 감지된 신호가 감시 대상 국가 내 체류 중인 한국 국적자가 감염병에 노출되거나 해당 감염병이 국내에 유입될 가능성을 포함하는가? (예/아니오)

  • 기준 2. (기준 1에 대한 답변이 “예”인 경우) 감지된 신호가 감시 대상 국가 내 체류 중인 한국 국적자 간 감염병이 전파되거나 국내에서 확산할 가능성을 포함하는가? (예/아니오)

  • 기준 3. (기준 2에 대한 답변이 “예”인 경우) 감지된 신호가 감시 대상 국가 내 체류 중인 한국 국적자 또는 국내 사회에 큰 영향을 줄 가능성을 포함하는가? (예/아니오)

2022년 10월 30일부터 2023년 1월 7일까지 EIOS 시스템 내 2022 카타르 월드컵 감시를 위해 생성한 상황판에 18,431건의 기사가 표시됐다. 이 중 736건(3.99%)의 기사는 감시 담당자가 세부 내용을 확인했으며 17,695건(96.01%)은 기사 제목 등이 감시 목적에 부합하지 않아 세부 내용을 확인하지 않았다. 확인된 736건의 기사 중 기존 신호와 중복되거나 검증과정에서 신호로 보고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는 기사 725건(3.93%)은 폐기했다. 공중보건 위협신호로 분류된 기사 11건(0.06%) 중 10건(0.05%)은 감시 대상 국가 내 체류 중인 한국 국적자의 감염병 노출 및 해당 감염병의 국내 유입 가능성을 포함하지 않아 기준 1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됐으며 국내 3번째 엠폭스 환자 관련 기사 1건(0.01%)만 기준 1에 해당하는 것으로 평가됐다(표 1).

표 1. EIOS 시스템 상황판에 표시된 기사 및 감지된 공중보건위협신호 숫자 및 비율
분류숫자비율(%)
EIOS 시스템 상황판에 표시된 전체 기사18,431100
감시과정에서 세부 내용이 확인되지 않은 기사17,69596.01
감시과정에서 세부 내용 확인 후 폐기된 기사a)7253.93
공중보건위협신호로 최종 확인된 기사110.06
- 기준 1에서 “아니오”로 분류된 기사100.05
- 기준 1에서 “예”로 분류된 기사10.01
- 기준 2에서 “예”로 분류된 기사00.00
- 기준 3에서 “예”로 분류된 기사00.00

EIOS=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a)내용이 중복되거나 검증과정에서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2022 카타르 월드컵 감시 기간에 공중보건 위협신호로 감지된 기사는 총 11건으로 주요 공중보건 위험요소로는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이 6회, 메르스 2회, 엠폭스 3회, 콜레라 1회가 포함됐다. 공중보건위협신호로 감지된 기사가 포함된 카테고리는 인플루엔자 관련 카테고리(4회), 코로나19(3회), 엠폭스(3회), FIFA2022 (2회), 발열 증상(2회), 메르스(2회), 폭스(2회), 조류인플루엔자(2회), 백신접종(2회), 청소년(1회), 콜레라(1회), FIFA-2022-장소(1회), 헬스맵(1회) 등이다. 공중보건위협신호로 분류된 기사의 언급 대상 국가는 카타르(6회), 아랍에미리트(3회), 모로코(3회), 프랑스(3회), 사우디아라비아(2회), 브라질(2회), 아르헨티나(2회), 스리랑카(2회), 스위스(2회), 한국(2회), 네덜란드(1회), 미국(1회), 세르비아(1회), 영국(1회), 이탈리아(1회), 인도네시아(1회), 중국(1회), 태국(1회), 호주(1회), 쿠웨이트(1회) 등이다(표 2).

표 2. EIOS 시스템을 활용한 감시체계에 감지된 공중보건위협신호 확인 일자 및 주요 위험요소, 포함된 카테고리, 대상 국가, 주요 내용
연번확인 일자주요 위험요소포함된 카테고리언급 대상 국가주요 내용
12022/11/04엠폭스엠폭스, 두창아랍에미리트, 스리랑카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스리랑카로 11월 1일 귀국한 20세 1명 엠폭스 발생
22022/11/15엠폭스청소년, 전염병, 엠폭스아랍에미리트,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태국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스리랑카로 11월 7일 귀국한 42세 1명 엠폭스 발생
32022/11/16엠폭스엠폭스, 두창아랍에미리트, 한국아랍에미리트에서 한국으로 11월 4일 귀국한 내국인 1명 엠폭스 발생
42022/11/20메르스메르스, 헬스맵사우디아라비아, 한국, 중국WHO 발표에 따르면 2021년 12월 29일부터 2022년 10월 31일의 기간 동안 사우디아라비아 내 4건의 메르스 환자 발생
52022/11/27콜레라콜레라, 백신접종쿠웨이트인접국(레바논, 시리아 또는 이라크 추정)에서 쿠웨이트로 귀국한 쿠웨이트 국적자 1명 콜레라 발생
62022/11/30미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조류인플루엔자, 코로나바이러스, FIFA-2022-장소, 미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카타르, 브라질, 이탈리아, 세르비아, 스위스브라질 국가대표팀 내 최소 3명의 선수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발생
72022/12/06미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조류 인플루엔자, 미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카타르, 네덜란드, 미국네덜란드 국가대표팀 내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발생(환자 수 미확인)
82022/12/09인플루엔자 유사 증상코로나바이러스, 발열카타르, 스위스스위스 국가대표팀 내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발생(환자 수 미확인)
92022/12/15미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미확인 인플루엔자카타르, 아르헨티나, 브라질, 프랑스, 모로코프랑스 국가대표팀 내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발생(누적 2명)
102022/12/17미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미확인 인플루엔자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호주, 프랑스, 모로코, 영국프랑스 국가대표팀 내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발생(누적 3명)
112022/12/17인플루엔자 유사 증상코로나바이러스, FIFA-2022-장소, 발열, 메르스, 백신접종카타르, 아르헨티나, 프랑스, 모로코프랑스 국가대표팀 내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발생(누적 5명), 일부 언론은 메르스 가능성 제기

EIOS=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EIOS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관련 기사를 수집하고 사용자가 기사를 확인할 수 있어 내부 논의나 문서작업 후에 정보가 공유되는 국제보건규칙 등의 다른 사건 기반 감시체계에 비해 신속하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은 단기간에 걸쳐 신속한 감시가 필요한 대규모 군중 행사에 활용하기 적합하다. 또한, EIOS 시스템은 다양한 언어로 된 기사를 수집하여 상황판에 표시해주기 때문에, 아랍어로 작성된 기사 등 포털 사이트에 해당 언어로 검색하지 않는 이상 확인하기 어려운 기사를 확인할 수 있어 다양한 국제 행사의 감시에도 활용도가 높다고 판단된다. 다만, 대응 활동의 근거로 활용하기에는 정보원에 따라 신뢰도가 부족할 수 있어 다른 사건 기반 감시체계와 함께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2022 카타르 월드컵 감시 기간에 EIOS를 통해 감지된 공중보건 위협신호는 11건이었으며, 이 중 평가 기준 13)에 해당하지 않은 신호 10건은 질병관리청 내 관련 부서에 잠재적인 공중보건 위험요소 대비를 위해 공유됐다. 11월 4일 아랍에미리트에서 귀국한 국내 3번째 엠폭스 환자 발생과 관련한 신호 평가의 경우 평가 기준상 국내 유입이 이루어져 평가 기준 1에 해당하는 공중보건위협신호이지만, 국내에서는 이미 관련 대응이 완료된 후 대중매체에 공개되었다. 따라서 대응이 필요한 이해당사자에게 이벤트로 전파하는 실효가 없다고 판단되어 질병관리청 내외 관계자에게 추가 전파하지 않았다.

이번 국내 3번째 엠폭스 환자 발생상황과 같이 공중보건감시체계가 갖춰진 국내에서 공중보건 위험요소가 발생하는 경우 공개 자료에 기반한 EIOS 시스템을 활용한 감시체계는 의료시설 기반 감시 등 다른 사건 기반 감시에 비해 신속성 및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10]. 2020 도쿄 올림픽 및 패럴림픽 감시 기간에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 또한 일본을 제외한 해외 69개 참가국에 대해서만 EIOS를 활용한 감시를 진행했다[7].

2022 카타르 월드컵 기간 공중보건 위험 감시를 위해 유럽 질병예방통제센터(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도 카타르 월드컵 개막 1주 전부터 종료 1주 후까지 카타르 및 인접국, 참여국 내 월드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공중보건 위험에 대한 사건 기반 감시를 진행했다[11]. 브라질, 네덜란드, 스위스, 프랑스 등 2022 카타르 월드컵에 참가한 국가대표팀 내 인플루엔자 유사증상자 발생과 쿠웨이트 내 콜레라 환자 발생 등의 신호는 유럽 질병예방통제센터에서 운영한 사건 기반 감시체계와 질병관리청에서 EIOS 시스템을 활용해 공중보건위협신호로 감지됐으나, 잉글랜드 국가대표팀 및 세네갈 국가대표팀 내 호흡기 증상자 발생 정보는 유럽 질병예방통제센터에서 운영한 사건 기반 감시체계에만 감지됐다[11]. 유럽 질병예방통제센터에서 운영한 감시체계 보고서는 미디어에 공개된 정보뿐만 아니라 협력관계에 있는 국가 및 기구들로부터 수집한 정보까지 포함하여 이러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EIOS 시스템은 대중에게 공개된 자료에 한정되어 정보를 수집하기 때문에 국제보건규칙과 같이 국제적인 공중보건감시활동을 하는 당사자 간의 적극적인 정보교류를 통해 아직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은 정보를 함께 수집할 필요가 있다.

2022 카타르 월드컵 감시 기간에 EIOS 시스템을 통해 감지된 공중보건위협신호의 비율은 상황판에 표시된 전체 기사 대비 0.06%로 도쿄 올림픽 및 패럴림픽 감시 기간에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에서 EIOS 시스템을 활용한 감시에 감지된 공중보건 위협신호의 비율(0.6%)보다 약 10배 작다[7]. 당시에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는 감시 대상에서 개최국인 일본을 제외했지만, 이번에 질병관리청 위기분석담당관에서 EIOS 시스템을 활용한 감시는 개최국인 카타르와 인접국을 포함한 6개국을 대상으로 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감시 대상 지역에 대한 미디어의 관심이 집중되어 공중보건위협신호와 연관성이 떨어지는 잡음(noise) 기사가 다수 생산됐고, EIOS 시스템 상황판에 표시된 기사 대비 공중보건위협신호의 비율이 낮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사건 기반 감시과정에서 EIOS 시스템을 통해 수집되는 정보의 카테고리, 언어, 지역 기준 등을 변경하여 감시대상을 확대하면 공중보건위협신호를 감지할 확률이 높아져 감시체계의 민감도는 증가하지만, 잡음 기사의 수집 빈도가 늘고 감시체계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인원 및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질병관리청 위기분석담당관에서 시행한 카타르 월드컵 감시 과정에서도 잡음 기사 비율을 줄이고 상황판에 표시되는 전체 기사 수 대비 감지된 공중보건위협신호의 비율을 높이기 위한 상황판 기준 설정 변경을 고려했다. 그러나, 카타르 2022 월드컵이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최초로 진행된 관중을 포함한 대규모 국제 스포츠 행사이며 엠폭스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던 시기여서 감시체계의 민감도를 유지해야 했고, 평균적으로 하루에 상황판에 표시되는 기사의 수가 약 260개로 7명의 감시 담당자가 교대하며 감시체계를 운영하는 것이 가능했기 때문에 상황판 설정을 유지했다.

이처럼 EIOS를 활용한 사건 기반 감시체계는 우려되는 공중보건위협 사건의 발생 가능성 및 영향력, 감시 대상 대규모 군중 행사의 규모 및 언론매체의 관심도, 가용할 수 있는 자원, 감시체계의 민감도 등을 고려하여 운영해야 한다. 예를 들어, 대규모 군중 행사를 통해 에볼라와 같이 치명률이 높은 감염병의 유행이 우려될 때는 민감도를 높이기 위해 투입 자원을 늘려야 한다. 또한, 월드컵 참가국이 늘어나거나 언론매체의 관심도가 높은 지역에서 월드컵이 개최되어 생성되는 기사가 많은 경우 감시체계의 민감도가 떨어지거나, 민감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자원이 늘어날 수 있다.

EIOS 시스템을 활용한 사건 기반 감시체계를 더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규모, 지리적 위치, 유행 감염병)과 다양한 입장(주최국, 참가국, 인접국 등)에서 사건 기반 감시체계를 운영한 경험과 지식을 쌓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앞으로 진행되는 국제적인 대규모 군중 행사에서도 지속적으로 EIOS 시스템을 활용한 사건 기반 감시체계를 운영하여 경험을 축적하고 EIOS 시스템을 활용하는 국가 및 연구자, 국제기구 등과 지식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Acknowledgments: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CC, JO, YK, SL, SH, SK, ST. Data curation: CC, JO, YK, SL, GK, SH, SK. Formal analysis: CC. Methodology: CC, JO, YK, SL, GK, SH, SK, ST. Project administration: JL, ST. Supervision: ST. Visualization: CC. Writing – original draft: CC. Writing – review & editing: JO, YK, SL, GK, SH, SK, JL, ST.

Supplementary data are available online.
  1. FIFA. Official: All squads for the FIFA World Cup Qatar 2022TM [Internet]. FIFA; 2022 [cited 2023 Jan 27].
    Available from: https://www.fifa.com/fifaplus/en/articles/world-cup-qatar-2022-official-squad-announcement-32-teams
  2. FIFA World Cup Qatar 2022. Qatar hosts more than 1.4 million visitors during FIFA World CupTM [Internet]. FIFA World Cup Qatar 2022; 2022 [cited 2023 Jan 27].
    Available from: https://www.qatar2022.qa/en/news/qatar-hosts-more-than-one-million-visitors-during-fifa-world-cup
  3. 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QA). Quarterly bulletin -Population Statistics -fourth Quarter- 2022 [Internet]. 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QA); 2022 [cited 2023 Mar 10].
    Available from: https://www.psa.gov.qa/en/statistics1/pages/topicslisting.aspx?parent=Population&child=Population
  4. Sah R, Alshahrani NZ, Shah P, et al. FIFA World Cup 2022 in Qatar: mitigating the risk of imported infections amid the COVID-19 pandemic, monkeypox outbreak and other emerging diseases. Travel Med Infect Dis 2022;50:102450.
    Pubmed KoreaMed CrossRef
  5. Baluyut J. 5,000 South Koreans coming to Qatar for World Cup: Envoy [Internet]. The Peninsula; 2022 [cited 2023 Jan 27].
    Available from: https://thepeninsulaqatar.com/article/21/10/2022/5000-south-koreans-coming-to-qatar-for-world-cup-envoy
  6. Jindai K, Yamagishi T, Fukusumi M, et al. Preparation for mass gathering events from the perspective of a non-host country: the experience of Japan during the 2018 PyeongChang Olympics and Paralympic Winter Games. Western Pac Surveill Response J 2019;10:39-42.
    Pubmed KoreaMed CrossRef
  7. Yanagawa M, Lorenzo JC, Fukusumi M, et al. Use of 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for global event-based surveillance of infectious diseases for the Tokyo 2020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Western Pac Surveill Response J 2022;13:18-24.
    Pubmed KoreaMed CrossRef
  8. Riccardo F, Manso MD, Caporali MG, et al. Event-based surveillance during EXPO Milan 2015: rationale, tools, procedures, and initial results. Health Secur 2016;14:161-72.
    Pubmed KoreaMed CrossRef
  9. World Health Organization. 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EIOS) [Interne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3 [cited 2023 Jan 28].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initiatives/eios
  10. Balajee SA, Salyer SJ, Greene-Cramer B, Sadek M, Mounts AW. The practice of event-based surveillance: concept and methods. Glob Secur Health Sci Policy 2021;6:1-9.
    CrossRef
  11.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Communicable Disease Threats Report Week 45-51 [Internet].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2022 [cited 2023 Mar 10].
    Available from: https://www.ecdc.europa.eu/en/publications-data

Article

조사/감시보고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13): 394-410

Published online April 6,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13.3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EIOS 시스템을 활용한 2022 카타르 월드컵 사건 기반 감시 결과분석

채충만 1, 오지영 1, 김용문 1, 이선영 1, 김지혁 1, 홍수진 2, 김수현 3, 이지아 1, 탁상우 1*

1질병관리청 위기대응분석관 위기분석담당관, 2질병관리청 감염병위기대응국 신종감염병대응과, 3질병관리청 경남권질병대응센터 감염병대응과

Received: February 22, 2023; Revised: March 10, 2023; Accepted: March 13,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대규모 군중이 모이는 국제적인 행사는 감염병의 확산을 일으킬 수 있으며 짧은 기간에 대규모 인구 이동이 발생하고 참가국 입장에서 감염병 발생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건 기반 감시체계를 활용한 공중보건 위협요소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다. 질병관리청 위기분석담당관에서는 2022 카타르 월드컵 기간동안 카타르 및 카타르 인접 6개국에 체류하는 내국인에게 위협이 되거나 해당 국가에 방문하는 사람들과 함께 국내에 유입될 수 있는 공중보건 위협신호를 감지하고 대응하기 위해 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EIOS) 시스템을 활용한 감시체계를 운영했다. 2022년 10월 30일부터 2023년 1월 7일까지 2022 카타르 월드컵 감시를 위해 생성한 EIOS 시스템 내 상황판에는 18,431건의 기사가 표시되었다. 공중보건 위협신호로 분류된 기사 11건(0.06%) 중 국내 3번째 엠폭스(원숭이두창) 환자 관련 기사 1건(0.01%)을 제외한 10건(0.05%)은 공중보건 위협요소가 국내에 유입되거나 감시 대상 국가에 체류하는 내국인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됐다. EIOS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관련 기사를 수집하고 사용자가 기사를 확인할 수 있어 단기간에 신속한 감시가 필요한 대규모 군중 행사에 활용하기 적합했으며 언어적 장벽으로 인해 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국제 행사의 감시에도 활용도가 높다. 다만, 대응 활동의 근거로 활용하기에는 정보원에 따라 신뢰도가 부족할 수 있어 다른 사건 기반 감시체계와 함께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EIOS를 활용한 사건 기반 감시체계는 우려되는 공중보건 위협 사건의 발생 가능성 및 영향력, 감시의 대상인 대규모 군중 행사의 규모 및 언론매체의 관심도, 가용할 수 있는 자원, 감시체계의 민감도 등을 고려하여 운영해야 한다. EIOS 시스템 활용의 효율성과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앞으로 진행되는 국제적인 대규모 군중 행사에서도 지속적으로 EIOS 시스템을 활용한 사건 기반 감시경험을 축적하고 EIOS 시스템을 활용하는 국가 및 연구자, 국제기구 등과 지식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사건 기반 감시, EIOS 시스템, 군중 활동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대규모 군중이 모이는 국제적인 행사는 감염병의 확산을 일으킬 수 있으며 사건 기반 감시체계를 활용한 공중보건위협요소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EIOS)를 활용한 사건 기반 감시체계는 우려되는 공중보건위협 사건의 발생 가능성 및 영향력, 감시 대상 대규모 군중 행사의 규모 및 언론매체의 관심도, 가용할 수 있는 자원, 감시체계의 민감도 등을 고려하여 운영해야 한다.

③ 시사점은?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EIOS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해 앞으로 진행되는 국제적인 대규모 군중 행사에서도 지속적으로 EIOS 시스템을 활용한 사건 기반 감시 경험을 축적하고 EIOS 시스템을 활용하는 국가 및 연구자, 국제기구 등과 지식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서 론

2022 카타르 월드컵이 2022년 11월 20일부터 12월 18일까지 개최됐다. 32개국에서 약 831명의 선수단과 전 세계에서 140만 명이 넘는 관광객들이 참석하여 누적 관중 수 340만 명을 기록했다[1,2]. 카타르 내 거주인구가 2,909,134만 명이고 상대적으로 인구밀도가 높은 점을 고려했을 때 카타르 외 지역에서 유입되는 감염병은 카타르 내 공중보건에 위협이 될 수 있다[3,4]. 카타르 언론에 따르면 주카타르 대한민국 대사관에서는 최소 5천 명의 한국 국민이 2022 카타르 월드컵 참석을 위해 카타르를 방문할 것으로 예상했다[5].

대규모 군중 행사는 방문자와 거주자 집단 내 감염병의 확산을 일으킬 수 있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대유행은 다양한 국제 군중 행사에 영향을 주었다[4]. 2021년 7월에 개최된 도쿄 하계올림픽과 2022년 2월에 개최된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대부분 무관중 경기로 치러진 점을 고려했을 때 2022 카타르 월드컵은 코로나19 대유행이 발생한 이후 대규모의 군중이 모이는 첫 국제 스포츠 행사이다[4]. 또한, 2022년 2분기부터 엠폭스(원숭이두창)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2022 카타르 월드컵을 통한 감염병 전파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졌다[4].

대규모 군중이 모이는 국제적인 행사의 경우 짧은 기간에 대규모 인구의 이동이 발생해 기존에 운영되던 지표 기반 감시체계1)를 활용한 공중보건위험요소(hazard)에 대한 감시가 어렵고 참가 국가의 경우 개최국에 비해 감염병 발생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져 대중매체 모니터링 및 국제보건규칙(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 등 국제사회의 소통 수단을 활용한 사건 기반 감시체계2)가 필요하다. 현재까지 많은 국제 스포츠 행사 개최국과 참가국이 사건 기반 감시를 수행해왔으며,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등에서도 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EIOS) 시스템을 활용해 대규모 군중 행사에 대한 사건 기반 감시를 진행 중이다[6-8].

EIOS 시스템은 사건 기반 감시를 진행하는 국제적인 공중보건감시활동(public health intelligence)을 강화 및 촉진하고자 WHO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공동연구센터(Joint Research Centre of the European Commission)가 협력하여 만든 시스템이다[9]. 인공지능에 기반한 EIOS 시스템은 다양한 언어로 된 대중매체, SNS, 웹사이트 등에서 공중보건위험요소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렇게 수집된 기사는 자동으로 EIOS 시스템 내 해당하는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EIOS 시스템 내에는 질병, 증상, 자연재해, 공중보건대응 등 다양한 카테고리가 존재하며 수집된 기사는 사용자가 생성한 상황판의 설정(대상 카테고리, 시간, 장소, 정보원 등)에 따라 상황판 화면에 나타난다.

질병관리청 위기대응분석관 위기분석담당관에서는 2022 카타르 월드컵 기간에 카타르와 주변 국가 6개국에 체류하는 내국인이 노출되거나 해당 국가에 방문한 인원을 통해 국내에 유입할 수 있는 공중보건위협신호(signal)를 감지 및 대응하기 위해 EIOS 시스템을 활용한 감시체계를 운영했다.

방 법

1. 감시 기간 및 대상 지역 설정

2022 카타르 월드컵은 2022년 11월 20일부터 12월 18일까지 29일간 개최됐다. 질병관리청 위기분석담당관에서는 인구이동 및 주요 감염병들의 잠복기를 고려하여 2022 카타르 월드컵 개막 3주 전인 2022년 10월 30일부터 종료 3주 후인 2023년 1월 7일까지 70일간 EIOS 시스템을 활용한 감시체계를 운영했다. 감시 대상 국가는 월드컵 개최국인 카타르를 포함하여 2022 카타르 월드컵 기간에 카타르 방문객들이 주로 숙박하는 주변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아랍에미리트 등 6개국이었다.

2. EIOS 시스템 상황판 카테고리 설정

2022년 10월 6일 기준 EIOS 시스템 내에는 571개의 카테고리가 있었으며, 이 중 감염병과 관련 없는 카테고리 182개를 감시 대상에서 제외했다. 감염병과 관련 있는 389개의 카테고리 중 국내 법정 감염병 및 카타르 내 우선순위 감염병 관련 카테고리와 발열 등 감시가 필요한 증상 관련 카테고리 232개를 감시 대상에 포함했으며, 신종감염병 및 여행 관련 감염병 등 감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카테고리 37개를 감시 대상에 포함했다. 감염병과 관련 있는 카테고리 중 언급된 기준에 따라 감시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카테고리 120개는 카테고리별로 위기분석담당관 내 검토 과정을 거쳐서 감시 대상 여부를 결정했다. 최종적으로 270개 카테고리가 2022 카타르 월드컵 상황판에 포함됐다(그림 1).

그림 1. EIOS 시스템 상황판 카테고리 설정 기준 및 과정
EIOS=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3. 감시체계 운영

10월 27일 2022 카타르 월드컵 상황판 설정이 완료됐으며, 역학조사관(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ficer)과 연구사, 연구원을 포함한 7명이 교대로 EIOS 시스템을 활용한 사건 기반 감시를 수행했다. 감시과정에서 한국어나 영어 이외의 언어로 작성된 기사는 크롬 등 웹 브라우저의 번역 기능을 활용하여 영어로 변환하여 내용을 확인했다. 감시 담당자가 공중보건 위협신호로 의심되는 기사를 확인하는 경우 EIOS 시스템 내 다른 기사와 비교하여 기사 내용의 신뢰도를 1차 검증했다. 해당 기사의 정보가 신뢰할만하다고 판단되면 기사의 보도 날짜, 포함된 위험 요소, 언급 국가명, 정보원, 기사가 포함된 카테고리, 요약내용을 위기분석담당관 내에 공유하고 EIOS 시스템에서 추출한 보고서를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했다. 위기분석담당관 내 공유된 기사의 내용이 국제보건규칙 등 기타 사건 기반 감시 수단을 활용한 2차 검증을 통해 신뢰할만하다고 판단되면 위기분석담당관 내 협의를 통해 공중보건위협신호 여부를 최종 결정했다.

4. 감지된 신호 평가

감지된 신호는 질병관리청 내 관련 부서에 잠재적인 공중보건 위험요소 대비를 위해 공유됐다. 감지된 신호는 아래 제시된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평가됐으며, 만약 평가 결과가 기준 1 이상에 해당하면 질병관리청 내외에 대응이 필요한 관계자에게 전파됐다.

  • 기준 1. 감지된 신호가 감시 대상 국가 내 체류 중인 한국 국적자가 감염병에 노출되거나 해당 감염병이 국내에 유입될 가능성을 포함하는가? (예/아니오)

  • 기준 2. (기준 1에 대한 답변이 “예”인 경우) 감지된 신호가 감시 대상 국가 내 체류 중인 한국 국적자 간 감염병이 전파되거나 국내에서 확산할 가능성을 포함하는가? (예/아니오)

  • 기준 3. (기준 2에 대한 답변이 “예”인 경우) 감지된 신호가 감시 대상 국가 내 체류 중인 한국 국적자 또는 국내 사회에 큰 영향을 줄 가능성을 포함하는가? (예/아니오)

결 과

2022년 10월 30일부터 2023년 1월 7일까지 EIOS 시스템 내 2022 카타르 월드컵 감시를 위해 생성한 상황판에 18,431건의 기사가 표시됐다. 이 중 736건(3.99%)의 기사는 감시 담당자가 세부 내용을 확인했으며 17,695건(96.01%)은 기사 제목 등이 감시 목적에 부합하지 않아 세부 내용을 확인하지 않았다. 확인된 736건의 기사 중 기존 신호와 중복되거나 검증과정에서 신호로 보고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는 기사 725건(3.93%)은 폐기했다. 공중보건 위협신호로 분류된 기사 11건(0.06%) 중 10건(0.05%)은 감시 대상 국가 내 체류 중인 한국 국적자의 감염병 노출 및 해당 감염병의 국내 유입 가능성을 포함하지 않아 기준 1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됐으며 국내 3번째 엠폭스 환자 관련 기사 1건(0.01%)만 기준 1에 해당하는 것으로 평가됐다(표 1).

EIOS 시스템 상황판에 표시된 기사 및 감지된 공중보건위협신호 숫자 및 비율
분류숫자비율(%)
EIOS 시스템 상황판에 표시된 전체 기사18,431100
감시과정에서 세부 내용이 확인되지 않은 기사17,69596.01
감시과정에서 세부 내용 확인 후 폐기된 기사a)7253.93
공중보건위협신호로 최종 확인된 기사110.06
- 기준 1에서 “아니오”로 분류된 기사100.05
- 기준 1에서 “예”로 분류된 기사10.01
- 기준 2에서 “예”로 분류된 기사00.00
- 기준 3에서 “예”로 분류된 기사00.00

EIOS=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a)내용이 중복되거나 검증과정에서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2022 카타르 월드컵 감시 기간에 공중보건 위협신호로 감지된 기사는 총 11건으로 주요 공중보건 위험요소로는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이 6회, 메르스 2회, 엠폭스 3회, 콜레라 1회가 포함됐다. 공중보건위협신호로 감지된 기사가 포함된 카테고리는 인플루엔자 관련 카테고리(4회), 코로나19(3회), 엠폭스(3회), FIFA2022 (2회), 발열 증상(2회), 메르스(2회), 폭스(2회), 조류인플루엔자(2회), 백신접종(2회), 청소년(1회), 콜레라(1회), FIFA-2022-장소(1회), 헬스맵(1회) 등이다. 공중보건위협신호로 분류된 기사의 언급 대상 국가는 카타르(6회), 아랍에미리트(3회), 모로코(3회), 프랑스(3회), 사우디아라비아(2회), 브라질(2회), 아르헨티나(2회), 스리랑카(2회), 스위스(2회), 한국(2회), 네덜란드(1회), 미국(1회), 세르비아(1회), 영국(1회), 이탈리아(1회), 인도네시아(1회), 중국(1회), 태국(1회), 호주(1회), 쿠웨이트(1회) 등이다(표 2).

EIOS 시스템을 활용한 감시체계에 감지된 공중보건위협신호 확인 일자 및 주요 위험요소, 포함된 카테고리, 대상 국가, 주요 내용
연번확인 일자주요 위험요소포함된 카테고리언급 대상 국가주요 내용
12022/11/04엠폭스엠폭스, 두창아랍에미리트, 스리랑카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스리랑카로 11월 1일 귀국한 20세 1명 엠폭스 발생
22022/11/15엠폭스청소년, 전염병, 엠폭스아랍에미리트,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태국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스리랑카로 11월 7일 귀국한 42세 1명 엠폭스 발생
32022/11/16엠폭스엠폭스, 두창아랍에미리트, 한국아랍에미리트에서 한국으로 11월 4일 귀국한 내국인 1명 엠폭스 발생
42022/11/20메르스메르스, 헬스맵사우디아라비아, 한국, 중국WHO 발표에 따르면 2021년 12월 29일부터 2022년 10월 31일의 기간 동안 사우디아라비아 내 4건의 메르스 환자 발생
52022/11/27콜레라콜레라, 백신접종쿠웨이트인접국(레바논, 시리아 또는 이라크 추정)에서 쿠웨이트로 귀국한 쿠웨이트 국적자 1명 콜레라 발생
62022/11/30미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조류인플루엔자, 코로나바이러스, FIFA-2022-장소, 미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카타르, 브라질, 이탈리아, 세르비아, 스위스브라질 국가대표팀 내 최소 3명의 선수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발생
72022/12/06미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조류 인플루엔자, 미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카타르, 네덜란드, 미국네덜란드 국가대표팀 내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발생(환자 수 미확인)
82022/12/09인플루엔자 유사 증상코로나바이러스, 발열카타르, 스위스스위스 국가대표팀 내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발생(환자 수 미확인)
92022/12/15미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미확인 인플루엔자카타르, 아르헨티나, 브라질, 프랑스, 모로코프랑스 국가대표팀 내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발생(누적 2명)
102022/12/17미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미확인 인플루엔자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호주, 프랑스, 모로코, 영국프랑스 국가대표팀 내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발생(누적 3명)
112022/12/17인플루엔자 유사 증상코로나바이러스, FIFA-2022-장소, 발열, 메르스, 백신접종카타르, 아르헨티나, 프랑스, 모로코프랑스 국가대표팀 내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발생(누적 5명), 일부 언론은 메르스 가능성 제기

EIOS=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결 론

EIOS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관련 기사를 수집하고 사용자가 기사를 확인할 수 있어 내부 논의나 문서작업 후에 정보가 공유되는 국제보건규칙 등의 다른 사건 기반 감시체계에 비해 신속하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은 단기간에 걸쳐 신속한 감시가 필요한 대규모 군중 행사에 활용하기 적합하다. 또한, EIOS 시스템은 다양한 언어로 된 기사를 수집하여 상황판에 표시해주기 때문에, 아랍어로 작성된 기사 등 포털 사이트에 해당 언어로 검색하지 않는 이상 확인하기 어려운 기사를 확인할 수 있어 다양한 국제 행사의 감시에도 활용도가 높다고 판단된다. 다만, 대응 활동의 근거로 활용하기에는 정보원에 따라 신뢰도가 부족할 수 있어 다른 사건 기반 감시체계와 함께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2022 카타르 월드컵 감시 기간에 EIOS를 통해 감지된 공중보건 위협신호는 11건이었으며, 이 중 평가 기준 13)에 해당하지 않은 신호 10건은 질병관리청 내 관련 부서에 잠재적인 공중보건 위험요소 대비를 위해 공유됐다. 11월 4일 아랍에미리트에서 귀국한 국내 3번째 엠폭스 환자 발생과 관련한 신호 평가의 경우 평가 기준상 국내 유입이 이루어져 평가 기준 1에 해당하는 공중보건위협신호이지만, 국내에서는 이미 관련 대응이 완료된 후 대중매체에 공개되었다. 따라서 대응이 필요한 이해당사자에게 이벤트로 전파하는 실효가 없다고 판단되어 질병관리청 내외 관계자에게 추가 전파하지 않았다.

이번 국내 3번째 엠폭스 환자 발생상황과 같이 공중보건감시체계가 갖춰진 국내에서 공중보건 위험요소가 발생하는 경우 공개 자료에 기반한 EIOS 시스템을 활용한 감시체계는 의료시설 기반 감시 등 다른 사건 기반 감시에 비해 신속성 및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10]. 2020 도쿄 올림픽 및 패럴림픽 감시 기간에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 또한 일본을 제외한 해외 69개 참가국에 대해서만 EIOS를 활용한 감시를 진행했다[7].

2022 카타르 월드컵 기간 공중보건 위험 감시를 위해 유럽 질병예방통제센터(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도 카타르 월드컵 개막 1주 전부터 종료 1주 후까지 카타르 및 인접국, 참여국 내 월드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공중보건 위험에 대한 사건 기반 감시를 진행했다[11]. 브라질, 네덜란드, 스위스, 프랑스 등 2022 카타르 월드컵에 참가한 국가대표팀 내 인플루엔자 유사증상자 발생과 쿠웨이트 내 콜레라 환자 발생 등의 신호는 유럽 질병예방통제센터에서 운영한 사건 기반 감시체계와 질병관리청에서 EIOS 시스템을 활용해 공중보건위협신호로 감지됐으나, 잉글랜드 국가대표팀 및 세네갈 국가대표팀 내 호흡기 증상자 발생 정보는 유럽 질병예방통제센터에서 운영한 사건 기반 감시체계에만 감지됐다[11]. 유럽 질병예방통제센터에서 운영한 감시체계 보고서는 미디어에 공개된 정보뿐만 아니라 협력관계에 있는 국가 및 기구들로부터 수집한 정보까지 포함하여 이러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EIOS 시스템은 대중에게 공개된 자료에 한정되어 정보를 수집하기 때문에 국제보건규칙과 같이 국제적인 공중보건감시활동을 하는 당사자 간의 적극적인 정보교류를 통해 아직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은 정보를 함께 수집할 필요가 있다.

2022 카타르 월드컵 감시 기간에 EIOS 시스템을 통해 감지된 공중보건위협신호의 비율은 상황판에 표시된 전체 기사 대비 0.06%로 도쿄 올림픽 및 패럴림픽 감시 기간에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에서 EIOS 시스템을 활용한 감시에 감지된 공중보건 위협신호의 비율(0.6%)보다 약 10배 작다[7]. 당시에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는 감시 대상에서 개최국인 일본을 제외했지만, 이번에 질병관리청 위기분석담당관에서 EIOS 시스템을 활용한 감시는 개최국인 카타르와 인접국을 포함한 6개국을 대상으로 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감시 대상 지역에 대한 미디어의 관심이 집중되어 공중보건위협신호와 연관성이 떨어지는 잡음(noise) 기사가 다수 생산됐고, EIOS 시스템 상황판에 표시된 기사 대비 공중보건위협신호의 비율이 낮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사건 기반 감시과정에서 EIOS 시스템을 통해 수집되는 정보의 카테고리, 언어, 지역 기준 등을 변경하여 감시대상을 확대하면 공중보건위협신호를 감지할 확률이 높아져 감시체계의 민감도는 증가하지만, 잡음 기사의 수집 빈도가 늘고 감시체계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인원 및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질병관리청 위기분석담당관에서 시행한 카타르 월드컵 감시 과정에서도 잡음 기사 비율을 줄이고 상황판에 표시되는 전체 기사 수 대비 감지된 공중보건위협신호의 비율을 높이기 위한 상황판 기준 설정 변경을 고려했다. 그러나, 카타르 2022 월드컵이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최초로 진행된 관중을 포함한 대규모 국제 스포츠 행사이며 엠폭스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던 시기여서 감시체계의 민감도를 유지해야 했고, 평균적으로 하루에 상황판에 표시되는 기사의 수가 약 260개로 7명의 감시 담당자가 교대하며 감시체계를 운영하는 것이 가능했기 때문에 상황판 설정을 유지했다.

이처럼 EIOS를 활용한 사건 기반 감시체계는 우려되는 공중보건위협 사건의 발생 가능성 및 영향력, 감시 대상 대규모 군중 행사의 규모 및 언론매체의 관심도, 가용할 수 있는 자원, 감시체계의 민감도 등을 고려하여 운영해야 한다. 예를 들어, 대규모 군중 행사를 통해 에볼라와 같이 치명률이 높은 감염병의 유행이 우려될 때는 민감도를 높이기 위해 투입 자원을 늘려야 한다. 또한, 월드컵 참가국이 늘어나거나 언론매체의 관심도가 높은 지역에서 월드컵이 개최되어 생성되는 기사가 많은 경우 감시체계의 민감도가 떨어지거나, 민감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자원이 늘어날 수 있다.

EIOS 시스템을 활용한 사건 기반 감시체계를 더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규모, 지리적 위치, 유행 감염병)과 다양한 입장(주최국, 참가국, 인접국 등)에서 사건 기반 감시체계를 운영한 경험과 지식을 쌓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앞으로 진행되는 국제적인 대규모 군중 행사에서도 지속적으로 EIOS 시스템을 활용한 사건 기반 감시체계를 운영하여 경험을 축적하고 EIOS 시스템을 활용하는 국가 및 연구자, 국제기구 등과 지식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Declarations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Acknowledgments: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CC, JO, YK, SL, SH, SK, ST. Data curation: CC, JO, YK, SL, GK, SH, SK. Formal analysis: CC. Methodology: CC, JO, YK, SL, GK, SH, SK, ST. Project administration: JL, ST. Supervision: ST. Visualization: CC. Writing – original draft: CC. Writing – review & editing: JO, YK, SL, GK, SH, SK, JL, ST.

Supplementary Materials

Supplementary data are available online.

Fig 1.

Figure 1.EIOS 시스템 상황판 카테고리 설정 기준 및 과정
EIOS=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394-410https://doi.org/10.56786/PHWR.2023.16.13.3
EIOS 시스템 상황판에 표시된 기사 및 감지된 공중보건위협신호 숫자 및 비율
분류숫자비율(%)
EIOS 시스템 상황판에 표시된 전체 기사18,431100
감시과정에서 세부 내용이 확인되지 않은 기사17,69596.01
감시과정에서 세부 내용 확인 후 폐기된 기사a)7253.93
공중보건위협신호로 최종 확인된 기사110.06
- 기준 1에서 “아니오”로 분류된 기사100.05
- 기준 1에서 “예”로 분류된 기사10.01
- 기준 2에서 “예”로 분류된 기사00.00
- 기준 3에서 “예”로 분류된 기사00.00

EIOS=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a)내용이 중복되거나 검증과정에서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EIOS 시스템을 활용한 감시체계에 감지된 공중보건위협신호 확인 일자 및 주요 위험요소, 포함된 카테고리, 대상 국가, 주요 내용
연번확인 일자주요 위험요소포함된 카테고리언급 대상 국가주요 내용
12022/11/04엠폭스엠폭스, 두창아랍에미리트, 스리랑카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스리랑카로 11월 1일 귀국한 20세 1명 엠폭스 발생
22022/11/15엠폭스청소년, 전염병, 엠폭스아랍에미리트,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태국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스리랑카로 11월 7일 귀국한 42세 1명 엠폭스 발생
32022/11/16엠폭스엠폭스, 두창아랍에미리트, 한국아랍에미리트에서 한국으로 11월 4일 귀국한 내국인 1명 엠폭스 발생
42022/11/20메르스메르스, 헬스맵사우디아라비아, 한국, 중국WHO 발표에 따르면 2021년 12월 29일부터 2022년 10월 31일의 기간 동안 사우디아라비아 내 4건의 메르스 환자 발생
52022/11/27콜레라콜레라, 백신접종쿠웨이트인접국(레바논, 시리아 또는 이라크 추정)에서 쿠웨이트로 귀국한 쿠웨이트 국적자 1명 콜레라 발생
62022/11/30미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조류인플루엔자, 코로나바이러스, FIFA-2022-장소, 미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카타르, 브라질, 이탈리아, 세르비아, 스위스브라질 국가대표팀 내 최소 3명의 선수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발생
72022/12/06미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조류 인플루엔자, 미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카타르, 네덜란드, 미국네덜란드 국가대표팀 내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발생(환자 수 미확인)
82022/12/09인플루엔자 유사 증상코로나바이러스, 발열카타르, 스위스스위스 국가대표팀 내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발생(환자 수 미확인)
92022/12/15미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미확인 인플루엔자카타르, 아르헨티나, 브라질, 프랑스, 모로코프랑스 국가대표팀 내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발생(누적 2명)
102022/12/17미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미확인 인플루엔자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호주, 프랑스, 모로코, 영국프랑스 국가대표팀 내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발생(누적 3명)
112022/12/17인플루엔자 유사 증상코로나바이러스, FIFA-2022-장소, 발열, 메르스, 백신접종카타르, 아르헨티나, 프랑스, 모로코프랑스 국가대표팀 내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발생(누적 5명), 일부 언론은 메르스 가능성 제기

EIOS=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References

  1. FIFA. Official: All squads for the FIFA World Cup Qatar 2022TM [Internet]. FIFA; 2022 [cited 2023 Jan 27]. Available from: https://www.fifa.com/fifaplus/en/articles/world-cup-qatar-2022-official-squad-announcement-32-teams
  2. FIFA World Cup Qatar 2022. Qatar hosts more than 1.4 million visitors during FIFA World CupTM [Internet]. FIFA World Cup Qatar 2022; 2022 [cited 2023 Jan 27]. Available from: https://www.qatar2022.qa/en/news/qatar-hosts-more-than-one-million-visitors-during-fifa-world-cup
  3. 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QA). Quarterly bulletin -Population Statistics -fourth Quarter- 2022 [Internet]. 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QA); 2022 [cited 2023 Mar 10]. Available from: https://www.psa.gov.qa/en/statistics1/pages/topicslisting.aspx?parent=Population&child=Population
  4. Sah R, Alshahrani NZ, Shah P, et al. FIFA World Cup 2022 in Qatar: mitigating the risk of imported infections amid the COVID-19 pandemic, monkeypox outbreak and other emerging diseases. Travel Med Infect Dis 2022;50:102450.
    Pubmed KoreaMed CrossRef
  5. Baluyut J. 5,000 South Koreans coming to Qatar for World Cup: Envoy [Internet]. The Peninsula; 2022 [cited 2023 Jan 27]. Available from: https://thepeninsulaqatar.com/article/21/10/2022/5000-south-koreans-coming-to-qatar-for-world-cup-envoy
  6. Jindai K, Yamagishi T, Fukusumi M, et al. Preparation for mass gathering events from the perspective of a non-host country: the experience of Japan during the 2018 PyeongChang Olympics and Paralympic Winter Games. Western Pac Surveill Response J 2019;10:39-42.
    Pubmed KoreaMed CrossRef
  7. Yanagawa M, Lorenzo JC, Fukusumi M, et al. Use of 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for global event-based surveillance of infectious diseases for the Tokyo 2020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Western Pac Surveill Response J 2022;13:18-24.
    Pubmed KoreaMed CrossRef
  8. Riccardo F, Manso MD, Caporali MG, et al. Event-based surveillance during EXPO Milan 2015: rationale, tools, procedures, and initial results. Health Secur 2016;14:161-72.
    Pubmed KoreaMed CrossRef
  9. World Health Organization. Epidemic Intelligence from Open Sources (EIOS) [Interne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3 [cited 2023 Jan 28].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initiatives/eios
  10. Balajee SA, Salyer SJ, Greene-Cramer B, Sadek M, Mounts AW. The practice of event-based surveillance: concept and methods. Glob Secur Health Sci Policy 2021;6:1-9.
    CrossRef
  11.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Communicable Disease Threats Report Week 45-51 [Internet].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2022 [cited 2023 Mar 10]. Available from: https://www.ecdc.europa.eu/en/publications-data

PHW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