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 보고

Split Viewer
ENG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16): 481-495

Published online April 27,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16.1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년 방역 완화시기 호남지역 외국인 유학생 입국자 코로나19 역학조사 결과와 대응

김은영, 김승진, 이애정, 유정희*

질병관리청 호남권질병대응센터 감염병대응과

*Corresponding author: 유정희, Tel: +82-62-221-4120, E-mail: cheeyu@korea.kr

Received: March 3, 2023; Revised: April 3, 2023; Accepted: April 3,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우리나라는 코로나바이러스-19(코로나19)의 팬데믹 장기 상황에서 방역과 교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노력을 지속 중이다. 포스트 오미크론에 따른 해외입국 관리가 개편되고 백신접종 등으로 확진자 발생이 비교적 둔화된 2022년 10월부터는 PCR 음성확인서 제출과 입국 후 검사 의무 중단 등으로 검역을 완화하였다. 그러나 중국의 방역완화로 인한 확진자 급증 등으로 2023년 1월부터 다시 중국 등 일부 국가의 입국자에 대한 검역을 강화하게 되었다. 본 원고는 방역 완화시기인 2022년 12월 일개 지역 대학의 외국인 수업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코로나19 발생을 조사한 결과로, 조사 대상자는 해당 시기에 입국한 중국 국적의 유학생 확진자 총 143명으로 역학조사 내용과 조치 사항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발병률은 남성이 53.8%로 여성보다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50대 100%, 30대 57.3%, 40대 42.3%, 20대 26.3%순이었다. 예방접종은 2차접종자 완료자가 59.1%, 3차 이상 완료자는 48.7%였으며, 조사된 확진자 중 입국자의 발병률은 97.2%이었고 이들 검체의 변이분석결과 오미크론 세부 계통 중 BA.5 61.5%, BQ.1 14.7%, BN.1 2.3% 등이었으며, BA.2.75 또는 신규 변이 등은 확인되지 않았다. 입국일로부터 확진일까지 소요기간은 입국 후 수동감시기간 10일 이내 확진자가 109명(42.6%)으로 이들 중 82명(32.0%)이 2–3일 내 확진되어 입국 전 감염으로 추정되며, 10일 이후 확진된 30명과 기존 입국자 4명 또한 확진자들과의 접촉력이 있어 기존 발생자를 통한 추가 전파도 가능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선제적인 검사와 철저한 관리 등이 지역사회로의 코로나19 유입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고, 해외 확진자 발생 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검역 정책의 강약을 조정하는 것이 확진자 관리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코로나바이러스-19, 해외유입, 역학조사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코로나19는 해외입국자 관리 시 입국자 대상으로 PCR 음성확인서 제출, 입국 후 1일차 검사와 6–7일차 검사를 실시하였고, 2022년 10월 1일부터 완화된 조치로 무증상 입국 시 3일 이내 자율검사로 완화되었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완화된 방역관리로 유지 중에 외국인 입국자 중 국내 입국일로부터 4일차에 유증상으로 병원 검사 후 확진되었다. 접촉자조사를 통해 외국인 대상 수업프로그램 참여한 동일국가 입국자에서 확진사례와 추가 전파가 확인되었다.

③ 시사점은?

해외 확진자 발생 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는 해외유입 발생 시 지역사회로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코로나바이러스-19(코로나19) 발생 이후 검역 대책은 확진자 발생 상황 및 신규변이 출현 등의 요인에 의해 조정되었다. 우리나라는 2021년 코로나19 1차 유행(2-4월)을 거쳐 2022년 6차 유행(7월) 후 3월 기준 현재 주간 일평균 전국 코로나19 확진자는 70,000명 미만으로 비교적으로 안정적인 상태이다[1].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는 2021년 7월 델타 변이 바이러스와 빠른 전파속도와 면역 회피 특성이 있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2]가 2021년 국내에서 처음 11월에 보고된 후[3] 국내에서는 오미크론 세부 계통 중 BA.5, BF.7, BA.1, BA.1.1, BA.2.75, BN.1 등이 유행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5].

검역은 2022년 3–4월의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유행 시기가 지나고 확진자 발생이 둔화된 9월부터 입국 전 음성확인서 제출이 중단되었고 2022년 10월 1일부터 입국 후 1일차 PCR 검사 의무 중단 및 3일 이내 자율적으로 PCR 검사를 하도록 완화되었다[6,7].

그러나 우리나라와 인접한 중국, 일본 등의 확진자 발생 및 변이 출현 상황 등이 우리나라와 상이하여 해외 유입 확진자에 대한 관리 강화 등이 요구되었다. 특히 중국의 경우 코로나19 봉쇄 정책 완화 후 확진자 급증, 중국 내‧외로의 이동 증가로 중국 및 인접 국가에서의 입국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원고는 2022년 12월 방역완화 시기의 일개 대학교 내 중국 유학생에서의 코로나19 역학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해외입국자에 대한 관리 및 국내 전파 차단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 역학조사

1) 해외입국자 감시

해외입국자 관리는 내‧외국인 구분 없이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모든 입국자 포함하여 시행한다.

해당 조사기간인 2022년 12월은 방역 완화 시기로 입국 전 PCR 음성확인서 제출과 입국 후 PCR 검사 의무는 없으며, 입국 후 1일차 검사가 권고되었다. 입국자 관리를 위해서 검역단계에서는 입국 시 발열 감시와 건강상태질문서를 확인하여 유증상자일 경우에 코로나19 검사를 실시하였다. 무증상자의 경우는 지역사회로 이동한 후에 보건소에서 10일간의 수동 감시가 시행되었다[8]. 이 과정에서 코로나19 확진 시, 관할 보건소에서 코로나19 확진자 관리를 실시하였다.

2) 인지경위

코로나19 집단발생의 지표환자는 2022년 12월 13일 입국한 중국 국적의 유학생으로 호남권역 지역 중 대학교에서 실시하는 겨울방학 외국인 대상 교육프로그램의 수업을 참여하기 위해 입국하였다. 방역완화 시기에 입국한 학생으로 권고되는 입국 후 1일차 검사는 받지 않았다. 입국일 기준 4일 후 유증상으로 의료기관 진료 후 확진되었고, 동일 날짜에 같은 대학의 중국인 유학생 3명도 유증상으로 확진되었다. 이상의 4명은 각각 개별사례로 신고되었다가 관할 보건소 역학조사에서 동일 학교의 동일 프로그램 외국인 유학생임이 확인되었으며, 호남권질병대응센터와 질병관리청 방역대책본부에서도 국내 한 지역에서 중국 유학생에 의한 해외유입 코로나19 다수 발생에 대해 인지하게 되었다.

해당 지역의 2022년 11월 동안의 해외유입 발생은 총 7명으로 2022년 12월 16일 중국인 유학생 확진 후 12월 17일 13명, 12월 18일 29명 등 해외유입 확진자의 급격한 증가가 확인되었다(그림 1).

Figure. 1.외국인 유학생 코로나19 발생지역의 코로나19 국내발생과 해외유입의 발생 현황 모니터링(2022. 11. 1.–2022. 12. 31)

3) 발생 현황

해당 사례는 2022년 12월 17일부터 2023년 2월 29일까지 해외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한 중국 유학생 입국 과정에서 확인된 사례였으며, 수업 대상자들은 2022년 기존 수업 참여자 41명과 수업을 위해 입국한 256명으로 총 297명이었다. 신규 입국자 184명은 12월 14일부터 17일까지 4일간 입국하였고, 12월 16일의 첫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확인 후 2023년 1월 14일까지 총 143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였다(그림 2).

Figure. 2.일자별 누적 입국자 현황과 프로그램 참여자의 코로나19 발생 양상(입국자 및 기존 거주자)

2022년 11–12월 사이는 해외입국자에 대한 방역이 완화되던 시기로 입국 전 PCR 음성확인서 제출 면제 및 입국 후 1일차 검사 의무가 해제이고 3일 이내 자율적인 검사 권고를 유지 중이었으며, 공항 입국 후 개별 이동 수단으로 지역사회로 이동하여 학교 내 기숙사 또는 외부 거주지에서 생활하였다.

해외입국 확진자의 입국일로부터 확진일까지 소요 기간은 확진자 중 42.6% (109명/256명)가 입국 후 10일 이내 확진 되었으며, 입국 후 2–3일 내 확진자가 32% (82명/256명)로 가장 많았다(그림 3). 해외유입 확진자의 경우 입국 후 10일 이내 확진자로 규정하고 있어 입국 전 감염으로 추정할 수 있다. 입국 후 10일이 경과한 확진자는 30명이었으며, 기존 거주자 중 4명이 확진되었고 이들은 이동 시 이동차량 내 접촉 및 중국 유학생 관리를 위한 기숙사 생활기간 내 접촉력 등으로 추가 전파가 가능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Figure. 3.입국 후 코로나19 확진일까지의 소요기간

2. 결과

1) 중국인 유학생 발생 역학조사의 일반적 특성

전체 확진자는 총 143명(48.1%)으로 남성이 56명(39.2%), 여성이 87명(60.8%)이었다. 연령은 20대 15명(10.5%), 30대 90명(62.9%), 40대 33명(23.1%), 50대 5명(3.5%)으로 3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별과 연령의 발병률은 남성 53.8%, 여성이 45.1%로 나타났고, 연령에서는 50대 100%, 30대 57.3%, 40대 42.3%, 20대 26.3%로 나타났다.

예방접종력은 예방접종등록시스템으로 확인이 어려워 자가 응답으로 확인하였고, 대상자 297명 중 미응답자 22명 제외하고 3차접종 완료 응답자가 226명으로 가장 많았다. 확진자는 접종 미확인자 7명(4.9%), 2차접종 완료자 26명(18.2%), 3차접종 완료자 110명(76.9%)이었으며, 4차접종 완료자는 없었다. 접종별 발병률은 2차접종 완료자가 59.1%, 3차접종 완료자가 48.7%로 확인되었다.

입국지역은 동북구 32명(22.4%), 서남구 7명(4.9%), 서북구 14명(9.8%), 화남구 22명(15.4%), 화동구 11명(7.7%), 화북구 10명(7.0%), 화중구 38명(26.6%), 확인되지 않은 9명(6.3%)으로 중국 전역에서 입국하여 입국자에 대한 지역적 특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11월과 12월 사이 입국한 256명 중 확진자는 139명으로 97.2%였고, 2022년 2학기 참가자 41명 중 확진자 4명은 2.8%를 차지하였고, 발병률에서는 11–12월 입국자가 54.3%, 2학기 수업 참가자는 9.8%로 나타났다(표 1).

확진자에 대한 성별, 연령, 예방접종력 및 입국력(n=297)
구분 대상자수 % 확진자수 % 발병률
전체 297 100.0 143 100.0 48.1
성별
남성 104 35.0 56 39.2 53.8
여성 193 65.0 87 60.8 45.1
연령
21–30 57 19.2 15 10.5 26.3
31–40 157 52.9 90 62.9 57.3
41–50 78 26.3 33 23.1 42.3
51–60 5 1.7 5 3.5 100.0
예방접종
확인불가 22 7.4 7 4.9 31.8
미접종 1 0.3 0 0.0 0.0
1차접종 완료 0 0.0 0 0.0 0.0
2차접종 완료 44 14.8 26 18.2 59.1
3차접종 완료 226 76.1 110 76.9 48.7
4차접종 완료 4 1.3 0 0.0 0.0
입국지역
동북구 53 17.8 32 22.4 60.4
서남구 13 4.4 7 4.9 53.8
서북구 29 9.8 14 9.8 48.3
화남구 61 20.5 22 15.4 36.1
화동구 30 10.1 11 7.7 36.7
화북구 27 9.1 10 7.0 37.0
화중구 59 19.9 38 26.6 64.4
확인불가 25 8.4 9 6.4 36.0
거주기준
국외입국 256 86.2 139 97.2 54.3
국내거주 41 13.8 4 2.8 9.8


2)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분석 결과

집단발생 확진자 143명 중 PCR 검사 결과 확진자 중 분석 가능한 88명(61.5%)에 대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분석은 해당지역의 중국유학생으로 확인된 확진자 양성 검체로 실시한 전장유전체분석이 실시 되었고, 결과 오미크론 세부 계통 중 BA.5가 86명(97.7%)으로 가장 많았고, BQ.1 13명(14.7%) 그 외 세부 계통으로 BN.1이 2명(2.3%)이었다. BA.2.75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BA.5는 입국지역 구분없이 모든 지역에서 검출되었다(표 2).

입국지역별 확진자 변이 바이러스 분석 결과
입국지역 확진자 변이 분석 완료 결과(오미크론 세부 계통 추출)
BA.5 세부 계통 그 외 세부 계통
BA.5 BQ.1 BA.2.75 BN.1
합계 143 88 (61.5) 86 (100.0) 13 (100.0) - 2 (100.0)
동북구 32 26 (18.2) 22 (25.6) 3 (23.1) - 1 (50.0)
서남구 7 5 (3.5) 5 (5.8) - - -
서북구 14 10 (7.0) 7 (8.1) 3 (23.1) - -
화남구 22 9 (6.3) 8 (9.3) - - 1 (50.0)
화동구 11 4 (2.8) 4 (4.7) - - -
화북구 10 5 (3.5) 3 (3.5) 2 (15.4) - -
화중구 38 23 (16.1) 21 (24.4) 2 (15.4) - -
지역 미확인 9 6 (4.2) 3 (3.5) 3 (23.1) - -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신고지 관할 보건소에서 신고된 확진자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초로 확인된 확진자 4명의 입국일은 12월 13일, 14일, 15일로 모두 상이하였으나 모두 입국 후 1일차 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하여 이들의 접촉자를 파악한 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10명이 추가 확진되었다. 이에 해당 수업 프로그램 참가자에 대한 전수검사를 실시하도록 조치하였고, 이후 수업 프로그램 참가를 위해 입국하는 학생들의 경우 입국 후 학교 도착 후 즉시 PCR 검사를 받도록 하고 확진 여부 확인 시까지 학교 내 기숙사에서 별도로 관리하였다. PCR 검사 후 확진자는 기숙사 내 구분된 별도의 생활관에서 격리 조치로 관리하였으며, 비확진자의 경우에도 기숙사 생활관에서 생활하여 수동감시 하였고 검사 이후에도 유증상 발생 시 즉시 PCR 검사를 받도록 하였다.

동일학교의 중국인 유학생 발생으로 인한 역학조사 이후 해외입국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를 위하여 호남권 전역에 동계 해외유학생 대상 학위과정 및 근로자 교류 프로그램 등을 조사하여 해외입국자에 대한 관리를 철저히 하도록 지자체에 협조 요청하였으며, 해당 사례를 전국 권역 질병대응센터 및 지자체 등과 공유하여 유사사례 발생에 대비하도록 하였다.

해당 사례는 중국 입국자의 검역 시 발열 기준을 37.3도로 하향 조정하고 유증상 시 PCR 검사를 받도록 하는 등 방역기준을 강화하는 한편 지역사회 내에서도 해외유입 입국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되면서 각국의 확진자 발생 상황 및 경제적 이해관계 등에 의해 방역조치는 강화와 완화가 변화되고 있다. 국내 확진자 발생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나 일부 기간 중 중국의 확진자 급증과 교류 확대 등의 영향으로 국내의 검역 관련 방역 조치도 기준이 변경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국가간 교류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방역을 조정할 때 국가간 이해와 협조가 중요시 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런 조정에서 우리는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공중보건 위기상황 조정 여부와 자국민 보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하여야 하고 이에 대한 상대 국가에 대해 이에 대한 협조를 요청하는 것이 타탕할 것이다.

해당 사례의 경우 지속적인 해외유입 확진자의 모니터링으로 신속하게 동일학교 해외입국자 다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확진자 발생 시 선제적인 검사 강화 및 격리 조치 등을 실시한 덕분에 지역사회 전파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해외입국자의 발생에 대한 위험도 평가 및 관리는 지역사회에서의 재유행과 신규 변이바이러스의 국내 유입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으로 지속적인 감시와 평가가 필요할 것이다. 팬데믹 상황에서의 국가별 발생 상황과 방역 조치 등이 유동적인 가운데 효과적이고 선제적인 방역 조치를 실시하는 것은 지역사회뿐 아니라 국내 유행상황을 최소화하고 유행에 적극 대응함으로써 국민 건강을 보호하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향후 국내 코로나19 발생을 안정적으로 조정하고 유연한 방역 정책 등의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개별 사례 및 집단 관리, 해외 확진자 발생 상황 등을 지속 모니터링하여야 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EYK. Data curation: EYK, AJL. Formal analysis: EYK. Investigation: EYK. Methodology: EYK, SJK. Project administration: EYK, AJL. Supervision: JHY, Visualization: EYK, SJK. Writing – original draft: EYK. Writing – review & editing: EYK, JHY.

  1.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Press Release (March 3, 2023)].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2033&cg_code=&act=view&nPage=7.
  2. Chatterjee S, Bhattacharya M, Nag S, Dhama K, Chakraborty C. A detailed overview of SARS-CoV-2 Omicron: its sub-variants, mutations and pathophysiology, clinical characteristics, immunological landscape, immune escape, and therapies. Viruses 2023;15:167.
    Pubmed KoreaMed CrossRef
  3.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Press Release (December 1, 2021)].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filepath/boardDownload.es?bid=0015&list_no=717719&seq=1.
  4.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Press Release (December 21, 2022)].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1471&cg_code=&act=view&nPage=7.
  5. World Health Organization. Tracking SARS-CoV-2 variants [Interne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3 [cited Feb 2, 2023].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activities/tracking-SARS-CoV-2-variants.
  6.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Notice of suspension of pre-entry testing for overseases arrivals(September 3,2022) [Internet].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 August 31 [cited August 31, 2022].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4000000&bid=0014.
  7.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Press Release (September 6, 2022)].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0646&cg_code=&act=view&nPage=39.
  8.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COVID-19 Quarantine respose gudeline. 14-2nd ed. KDCA; 2022.

Article

유행 보고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16): 481-495

Published online April 27,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16.1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년 방역 완화시기 호남지역 외국인 유학생 입국자 코로나19 역학조사 결과와 대응

김은영, 김승진, 이애정, 유정희*

질병관리청 호남권질병대응센터 감염병대응과

Received: March 3, 2023; Revised: April 3, 2023; Accepted: April 3,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우리나라는 코로나바이러스-19(코로나19)의 팬데믹 장기 상황에서 방역과 교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노력을 지속 중이다. 포스트 오미크론에 따른 해외입국 관리가 개편되고 백신접종 등으로 확진자 발생이 비교적 둔화된 2022년 10월부터는 PCR 음성확인서 제출과 입국 후 검사 의무 중단 등으로 검역을 완화하였다. 그러나 중국의 방역완화로 인한 확진자 급증 등으로 2023년 1월부터 다시 중국 등 일부 국가의 입국자에 대한 검역을 강화하게 되었다. 본 원고는 방역 완화시기인 2022년 12월 일개 지역 대학의 외국인 수업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코로나19 발생을 조사한 결과로, 조사 대상자는 해당 시기에 입국한 중국 국적의 유학생 확진자 총 143명으로 역학조사 내용과 조치 사항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발병률은 남성이 53.8%로 여성보다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50대 100%, 30대 57.3%, 40대 42.3%, 20대 26.3%순이었다. 예방접종은 2차접종자 완료자가 59.1%, 3차 이상 완료자는 48.7%였으며, 조사된 확진자 중 입국자의 발병률은 97.2%이었고 이들 검체의 변이분석결과 오미크론 세부 계통 중 BA.5 61.5%, BQ.1 14.7%, BN.1 2.3% 등이었으며, BA.2.75 또는 신규 변이 등은 확인되지 않았다. 입국일로부터 확진일까지 소요기간은 입국 후 수동감시기간 10일 이내 확진자가 109명(42.6%)으로 이들 중 82명(32.0%)이 2–3일 내 확진되어 입국 전 감염으로 추정되며, 10일 이후 확진된 30명과 기존 입국자 4명 또한 확진자들과의 접촉력이 있어 기존 발생자를 통한 추가 전파도 가능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선제적인 검사와 철저한 관리 등이 지역사회로의 코로나19 유입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고, 해외 확진자 발생 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검역 정책의 강약을 조정하는 것이 확진자 관리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코로나바이러스-19, 해외유입, 역학조사

서 론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코로나19는 해외입국자 관리 시 입국자 대상으로 PCR 음성확인서 제출, 입국 후 1일차 검사와 6–7일차 검사를 실시하였고, 2022년 10월 1일부터 완화된 조치로 무증상 입국 시 3일 이내 자율검사로 완화되었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완화된 방역관리로 유지 중에 외국인 입국자 중 국내 입국일로부터 4일차에 유증상으로 병원 검사 후 확진되었다. 접촉자조사를 통해 외국인 대상 수업프로그램 참여한 동일국가 입국자에서 확진사례와 추가 전파가 확인되었다.

③ 시사점은?

해외 확진자 발생 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는 해외유입 발생 시 지역사회로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코로나바이러스-19(코로나19) 발생 이후 검역 대책은 확진자 발생 상황 및 신규변이 출현 등의 요인에 의해 조정되었다. 우리나라는 2021년 코로나19 1차 유행(2-4월)을 거쳐 2022년 6차 유행(7월) 후 3월 기준 현재 주간 일평균 전국 코로나19 확진자는 70,000명 미만으로 비교적으로 안정적인 상태이다[1].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는 2021년 7월 델타 변이 바이러스와 빠른 전파속도와 면역 회피 특성이 있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2]가 2021년 국내에서 처음 11월에 보고된 후[3] 국내에서는 오미크론 세부 계통 중 BA.5, BF.7, BA.1, BA.1.1, BA.2.75, BN.1 등이 유행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5].

검역은 2022년 3–4월의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유행 시기가 지나고 확진자 발생이 둔화된 9월부터 입국 전 음성확인서 제출이 중단되었고 2022년 10월 1일부터 입국 후 1일차 PCR 검사 의무 중단 및 3일 이내 자율적으로 PCR 검사를 하도록 완화되었다[6,7].

그러나 우리나라와 인접한 중국, 일본 등의 확진자 발생 및 변이 출현 상황 등이 우리나라와 상이하여 해외 유입 확진자에 대한 관리 강화 등이 요구되었다. 특히 중국의 경우 코로나19 봉쇄 정책 완화 후 확진자 급증, 중국 내‧외로의 이동 증가로 중국 및 인접 국가에서의 입국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원고는 2022년 12월 방역완화 시기의 일개 대학교 내 중국 유학생에서의 코로나19 역학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해외입국자에 대한 관리 및 국내 전파 차단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와 결과

1. 역학조사

1) 해외입국자 감시

해외입국자 관리는 내‧외국인 구분 없이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모든 입국자 포함하여 시행한다.

해당 조사기간인 2022년 12월은 방역 완화 시기로 입국 전 PCR 음성확인서 제출과 입국 후 PCR 검사 의무는 없으며, 입국 후 1일차 검사가 권고되었다. 입국자 관리를 위해서 검역단계에서는 입국 시 발열 감시와 건강상태질문서를 확인하여 유증상자일 경우에 코로나19 검사를 실시하였다. 무증상자의 경우는 지역사회로 이동한 후에 보건소에서 10일간의 수동 감시가 시행되었다[8]. 이 과정에서 코로나19 확진 시, 관할 보건소에서 코로나19 확진자 관리를 실시하였다.

2) 인지경위

코로나19 집단발생의 지표환자는 2022년 12월 13일 입국한 중국 국적의 유학생으로 호남권역 지역 중 대학교에서 실시하는 겨울방학 외국인 대상 교육프로그램의 수업을 참여하기 위해 입국하였다. 방역완화 시기에 입국한 학생으로 권고되는 입국 후 1일차 검사는 받지 않았다. 입국일 기준 4일 후 유증상으로 의료기관 진료 후 확진되었고, 동일 날짜에 같은 대학의 중국인 유학생 3명도 유증상으로 확진되었다. 이상의 4명은 각각 개별사례로 신고되었다가 관할 보건소 역학조사에서 동일 학교의 동일 프로그램 외국인 유학생임이 확인되었으며, 호남권질병대응센터와 질병관리청 방역대책본부에서도 국내 한 지역에서 중국 유학생에 의한 해외유입 코로나19 다수 발생에 대해 인지하게 되었다.

해당 지역의 2022년 11월 동안의 해외유입 발생은 총 7명으로 2022년 12월 16일 중국인 유학생 확진 후 12월 17일 13명, 12월 18일 29명 등 해외유입 확진자의 급격한 증가가 확인되었다(그림 1).

Figure 1. 외국인 유학생 코로나19 발생지역의 코로나19 국내발생과 해외유입의 발생 현황 모니터링(2022. 11. 1.–2022. 12. 31)

3) 발생 현황

해당 사례는 2022년 12월 17일부터 2023년 2월 29일까지 해외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한 중국 유학생 입국 과정에서 확인된 사례였으며, 수업 대상자들은 2022년 기존 수업 참여자 41명과 수업을 위해 입국한 256명으로 총 297명이었다. 신규 입국자 184명은 12월 14일부터 17일까지 4일간 입국하였고, 12월 16일의 첫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확인 후 2023년 1월 14일까지 총 143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였다(그림 2).

Figure 2. 일자별 누적 입국자 현황과 프로그램 참여자의 코로나19 발생 양상(입국자 및 기존 거주자)

2022년 11–12월 사이는 해외입국자에 대한 방역이 완화되던 시기로 입국 전 PCR 음성확인서 제출 면제 및 입국 후 1일차 검사 의무가 해제이고 3일 이내 자율적인 검사 권고를 유지 중이었으며, 공항 입국 후 개별 이동 수단으로 지역사회로 이동하여 학교 내 기숙사 또는 외부 거주지에서 생활하였다.

해외입국 확진자의 입국일로부터 확진일까지 소요 기간은 확진자 중 42.6% (109명/256명)가 입국 후 10일 이내 확진 되었으며, 입국 후 2–3일 내 확진자가 32% (82명/256명)로 가장 많았다(그림 3). 해외유입 확진자의 경우 입국 후 10일 이내 확진자로 규정하고 있어 입국 전 감염으로 추정할 수 있다. 입국 후 10일이 경과한 확진자는 30명이었으며, 기존 거주자 중 4명이 확진되었고 이들은 이동 시 이동차량 내 접촉 및 중국 유학생 관리를 위한 기숙사 생활기간 내 접촉력 등으로 추가 전파가 가능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Figure 3. 입국 후 코로나19 확진일까지의 소요기간

2. 결과

1) 중국인 유학생 발생 역학조사의 일반적 특성

전체 확진자는 총 143명(48.1%)으로 남성이 56명(39.2%), 여성이 87명(60.8%)이었다. 연령은 20대 15명(10.5%), 30대 90명(62.9%), 40대 33명(23.1%), 50대 5명(3.5%)으로 3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별과 연령의 발병률은 남성 53.8%, 여성이 45.1%로 나타났고, 연령에서는 50대 100%, 30대 57.3%, 40대 42.3%, 20대 26.3%로 나타났다.

예방접종력은 예방접종등록시스템으로 확인이 어려워 자가 응답으로 확인하였고, 대상자 297명 중 미응답자 22명 제외하고 3차접종 완료 응답자가 226명으로 가장 많았다. 확진자는 접종 미확인자 7명(4.9%), 2차접종 완료자 26명(18.2%), 3차접종 완료자 110명(76.9%)이었으며, 4차접종 완료자는 없었다. 접종별 발병률은 2차접종 완료자가 59.1%, 3차접종 완료자가 48.7%로 확인되었다.

입국지역은 동북구 32명(22.4%), 서남구 7명(4.9%), 서북구 14명(9.8%), 화남구 22명(15.4%), 화동구 11명(7.7%), 화북구 10명(7.0%), 화중구 38명(26.6%), 확인되지 않은 9명(6.3%)으로 중국 전역에서 입국하여 입국자에 대한 지역적 특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11월과 12월 사이 입국한 256명 중 확진자는 139명으로 97.2%였고, 2022년 2학기 참가자 41명 중 확진자 4명은 2.8%를 차지하였고, 발병률에서는 11–12월 입국자가 54.3%, 2학기 수업 참가자는 9.8%로 나타났다(표 1).

확진자에 대한 성별, 연령, 예방접종력 및 입국력(n=297)
구분 대상자수 % 확진자수 % 발병률
전체 297 100.0 143 100.0 48.1
성별
남성 104 35.0 56 39.2 53.8
여성 193 65.0 87 60.8 45.1
연령
21–30 57 19.2 15 10.5 26.3
31–40 157 52.9 90 62.9 57.3
41–50 78 26.3 33 23.1 42.3
51–60 5 1.7 5 3.5 100.0
예방접종
확인불가 22 7.4 7 4.9 31.8
미접종 1 0.3 0 0.0 0.0
1차접종 완료 0 0.0 0 0.0 0.0
2차접종 완료 44 14.8 26 18.2 59.1
3차접종 완료 226 76.1 110 76.9 48.7
4차접종 완료 4 1.3 0 0.0 0.0
입국지역
동북구 53 17.8 32 22.4 60.4
서남구 13 4.4 7 4.9 53.8
서북구 29 9.8 14 9.8 48.3
화남구 61 20.5 22 15.4 36.1
화동구 30 10.1 11 7.7 36.7
화북구 27 9.1 10 7.0 37.0
화중구 59 19.9 38 26.6 64.4
확인불가 25 8.4 9 6.4 36.0
거주기준
국외입국 256 86.2 139 97.2 54.3
국내거주 41 13.8 4 2.8 9.8


2)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분석 결과

집단발생 확진자 143명 중 PCR 검사 결과 확진자 중 분석 가능한 88명(61.5%)에 대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분석은 해당지역의 중국유학생으로 확인된 확진자 양성 검체로 실시한 전장유전체분석이 실시 되었고, 결과 오미크론 세부 계통 중 BA.5가 86명(97.7%)으로 가장 많았고, BQ.1 13명(14.7%) 그 외 세부 계통으로 BN.1이 2명(2.3%)이었다. BA.2.75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BA.5는 입국지역 구분없이 모든 지역에서 검출되었다(표 2).

입국지역별 확진자 변이 바이러스 분석 결과
입국지역 확진자 변이 분석 완료 결과(오미크론 세부 계통 추출)
BA.5 세부 계통 그 외 세부 계통
BA.5 BQ.1 BA.2.75 BN.1
합계 143 88 (61.5) 86 (100.0) 13 (100.0) - 2 (100.0)
동북구 32 26 (18.2) 22 (25.6) 3 (23.1) - 1 (50.0)
서남구 7 5 (3.5) 5 (5.8) - - -
서북구 14 10 (7.0) 7 (8.1) 3 (23.1) - -
화남구 22 9 (6.3) 8 (9.3) - - 1 (50.0)
화동구 11 4 (2.8) 4 (4.7) - - -
화북구 10 5 (3.5) 3 (3.5) 2 (15.4) - -
화중구 38 23 (16.1) 21 (24.4) 2 (15.4) - -
지역 미확인 9 6 (4.2) 3 (3.5) 3 (23.1) - -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공중보건 대응

신고지 관할 보건소에서 신고된 확진자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초로 확인된 확진자 4명의 입국일은 12월 13일, 14일, 15일로 모두 상이하였으나 모두 입국 후 1일차 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하여 이들의 접촉자를 파악한 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10명이 추가 확진되었다. 이에 해당 수업 프로그램 참가자에 대한 전수검사를 실시하도록 조치하였고, 이후 수업 프로그램 참가를 위해 입국하는 학생들의 경우 입국 후 학교 도착 후 즉시 PCR 검사를 받도록 하고 확진 여부 확인 시까지 학교 내 기숙사에서 별도로 관리하였다. PCR 검사 후 확진자는 기숙사 내 구분된 별도의 생활관에서 격리 조치로 관리하였으며, 비확진자의 경우에도 기숙사 생활관에서 생활하여 수동감시 하였고 검사 이후에도 유증상 발생 시 즉시 PCR 검사를 받도록 하였다.

동일학교의 중국인 유학생 발생으로 인한 역학조사 이후 해외입국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를 위하여 호남권 전역에 동계 해외유학생 대상 학위과정 및 근로자 교류 프로그램 등을 조사하여 해외입국자에 대한 관리를 철저히 하도록 지자체에 협조 요청하였으며, 해당 사례를 전국 권역 질병대응센터 및 지자체 등과 공유하여 유사사례 발생에 대비하도록 하였다.

해당 사례는 중국 입국자의 검역 시 발열 기준을 37.3도로 하향 조정하고 유증상 시 PCR 검사를 받도록 하는 등 방역기준을 강화하는 한편 지역사회 내에서도 해외유입 입국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결 론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되면서 각국의 확진자 발생 상황 및 경제적 이해관계 등에 의해 방역조치는 강화와 완화가 변화되고 있다. 국내 확진자 발생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나 일부 기간 중 중국의 확진자 급증과 교류 확대 등의 영향으로 국내의 검역 관련 방역 조치도 기준이 변경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국가간 교류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방역을 조정할 때 국가간 이해와 협조가 중요시 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런 조정에서 우리는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공중보건 위기상황 조정 여부와 자국민 보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하여야 하고 이에 대한 상대 국가에 대해 이에 대한 협조를 요청하는 것이 타탕할 것이다.

해당 사례의 경우 지속적인 해외유입 확진자의 모니터링으로 신속하게 동일학교 해외입국자 다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확진자 발생 시 선제적인 검사 강화 및 격리 조치 등을 실시한 덕분에 지역사회 전파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해외입국자의 발생에 대한 위험도 평가 및 관리는 지역사회에서의 재유행과 신규 변이바이러스의 국내 유입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으로 지속적인 감시와 평가가 필요할 것이다. 팬데믹 상황에서의 국가별 발생 상황과 방역 조치 등이 유동적인 가운데 효과적이고 선제적인 방역 조치를 실시하는 것은 지역사회뿐 아니라 국내 유행상황을 최소화하고 유행에 적극 대응함으로써 국민 건강을 보호하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향후 국내 코로나19 발생을 안정적으로 조정하고 유연한 방역 정책 등의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개별 사례 및 집단 관리, 해외 확진자 발생 상황 등을 지속 모니터링하여야 할 것이다.

Declarations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EYK. Data curation: EYK, AJL. Formal analysis: EYK. Investigation: EYK. Methodology: EYK, SJK. Project administration: EYK, AJL. Supervision: JHY, Visualization: EYK, SJK. Writing – original draft: EYK. Writing – review & editing: EYK, JHY.

Fig 1.

Figure 1.외국인 유학생 코로나19 발생지역의 코로나19 국내발생과 해외유입의 발생 현황 모니터링(2022. 11. 1.–2022. 12. 31)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481-495https://doi.org/10.56786/PHWR.2023.16.16.1

Fig 2.

Figure 2.일자별 누적 입국자 현황과 프로그램 참여자의 코로나19 발생 양상(입국자 및 기존 거주자)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481-495https://doi.org/10.56786/PHWR.2023.16.16.1

Fig 3.

Figure 3.입국 후 코로나19 확진일까지의 소요기간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481-495https://doi.org/10.56786/PHWR.2023.16.16.1
확진자에 대한 성별, 연령, 예방접종력 및 입국력(n=297)
구분 대상자수 % 확진자수 % 발병률
전체 297 100.0 143 100.0 48.1
성별
남성 104 35.0 56 39.2 53.8
여성 193 65.0 87 60.8 45.1
연령
21–30 57 19.2 15 10.5 26.3
31–40 157 52.9 90 62.9 57.3
41–50 78 26.3 33 23.1 42.3
51–60 5 1.7 5 3.5 100.0
예방접종
확인불가 22 7.4 7 4.9 31.8
미접종 1 0.3 0 0.0 0.0
1차접종 완료 0 0.0 0 0.0 0.0
2차접종 완료 44 14.8 26 18.2 59.1
3차접종 완료 226 76.1 110 76.9 48.7
4차접종 완료 4 1.3 0 0.0 0.0
입국지역
동북구 53 17.8 32 22.4 60.4
서남구 13 4.4 7 4.9 53.8
서북구 29 9.8 14 9.8 48.3
화남구 61 20.5 22 15.4 36.1
화동구 30 10.1 11 7.7 36.7
화북구 27 9.1 10 7.0 37.0
화중구 59 19.9 38 26.6 64.4
확인불가 25 8.4 9 6.4 36.0
거주기준
국외입국 256 86.2 139 97.2 54.3
국내거주 41 13.8 4 2.8 9.8

입국지역별 확진자 변이 바이러스 분석 결과
입국지역 확진자 변이 분석 완료 결과(오미크론 세부 계통 추출)
BA.5 세부 계통 그 외 세부 계통
BA.5 BQ.1 BA.2.75 BN.1
합계 143 88 (61.5) 86 (100.0) 13 (100.0) - 2 (100.0)
동북구 32 26 (18.2) 22 (25.6) 3 (23.1) - 1 (50.0)
서남구 7 5 (3.5) 5 (5.8) - - -
서북구 14 10 (7.0) 7 (8.1) 3 (23.1) - -
화남구 22 9 (6.3) 8 (9.3) - - 1 (50.0)
화동구 11 4 (2.8) 4 (4.7) - - -
화북구 10 5 (3.5) 3 (3.5) 2 (15.4) - -
화중구 38 23 (16.1) 21 (24.4) 2 (15.4) - -
지역 미확인 9 6 (4.2) 3 (3.5) 3 (23.1) - -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References

  1.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Press Release (March 3, 2023)].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2033&cg_code=&act=view&nPage=7.
  2. Chatterjee S, Bhattacharya M, Nag S, Dhama K, Chakraborty C. A detailed overview of SARS-CoV-2 Omicron: its sub-variants, mutations and pathophysiology, clinical characteristics, immunological landscape, immune escape, and therapies. Viruses 2023;15:167.
    Pubmed KoreaMed CrossRef
  3.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Press Release (December 1, 2021)].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filepath/boardDownload.es?bid=0015&list_no=717719&seq=1.
  4.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Press Release (December 21, 2022)].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1471&cg_code=&act=view&nPage=7.
  5. World Health Organization. Tracking SARS-CoV-2 variants [Interne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3 [cited Feb 2, 2023].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activities/tracking-SARS-CoV-2-variants.
  6.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Notice of suspension of pre-entry testing for overseases arrivals(September 3,2022) [Internet].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 August 31 [cited August 31, 2022].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4000000&bid=0014.
  7.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Press Release (September 6, 2022)].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0646&cg_code=&act=view&nPage=39.
  8.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COVID-19 Quarantine respose gudeline. 14-2nd ed. KDCA; 2022.
PHWR
Sep 21, 2023 Vol.16 No.37
pp. 1275~1287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 주간 건강과 질병
PUBLIC HEALTH WEEKLY REPORT
질병관리청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eISSN 2586-0860
pISSN 2005-81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