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thcoming Articles

Public Health Weekly Report

Published online September 18, 2023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두창 백신의 접종 후 이상반응 및 이상반응 치료제 ‘백시니아 면역글로불린’

이상은1, 김진원1, 이화중1, 정윤석1,*

1질병관리청 감염병진단분석국 고위험병원체분석과

정윤석, Yoon-Seok Chung
+82-43-719-8270
rollstone93@korea.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두창 백신은 백시니아 바이러스 기반의 백신이며 한때 전 세계적으로 발병했던 두창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1980년 세계보건기구가 두창 근절 선언을 한 이후로 두창의 자연발생의 우려가 없기 때문에 현재는 일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예방 접종은 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두창 바이러스는 생물테러에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병원체로 생물테러 대응 인력 및 바이러스에 노출될 수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두창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이러한 두창 백신은 국소적이고 경미한 이상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 1, 2세대 두창 백신의 경우에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두창 백신 접종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반응에 대한 치료제로써 ‘백시니아 면역글로불린(Vaccinia immune globulin, VIG)’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백시니아 면역글로불린’은 두창 백신을 접종한 사람의 혈청을 이용하여 생산하기 때문에 로트(lot) 간에 유효성과 생산량이 가변적이며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백시니아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능을 갖는 사람(human) 단클론 항체들을 제작하여 가변적인 생산이 가능하며 유효성의 표준화가 가능한 두창 백신 이상반응 치료제의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Keywords 두창 백신, 이상반응, 백시니아 면역글로불린

Article

On-line First

Public Health Weekly Report

Published online September 18, 2023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두창 백신의 접종 후 이상반응 및 이상반응 치료제 ‘백시니아 면역글로불린’

이상은1, 김진원1, 이화중1, 정윤석1,*

1질병관리청 감염병진단분석국 고위험병원체분석과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e smallpox vaccine is a vaccine based on the vaccinia virus and has been effective in preventing the smallpox. Sinc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declared the eradication of smallpox in 1980, there has been no concern about the natural occurrence of smallpox, so vaccinations for the general population are not currently being conducted. However, the variola virus is a pathogen that is possibly to be used in bioterrorism and is vaccinated against bioterrorism response personnel and people who may be exposed to the virus. These smallpox vaccines can cause local and minor adverse reactions, and in the case of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smallpox vaccines, serious life-threatening complications may occur. Accordingly, “Vaccinia immune globulin (VIG)” is used as a treatment for abnormal reactions caused by vaccination of the smallpox. However, since “VIG” is produced using the serum of a person vaccinated against the smallpox, the effectiveness and production between lots are variable, and supply may be insufficient compared to demand. To compensate for these shortcoming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smallpox vaccine side effect treatment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ways by producing human monoclonal antibodies with neutrality against the vaccinia virus and standardizing its effectiveness is underway.

Keywords: Smallpox vaccine, Adverse reactions, Vaccinia immune globulin

PHWR
Sep 21, 2023 Vol.16 No.37
pp. 1275~1287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 주간 건강과 질병
PUBLIC HEALTH WEEKLY REPORT
질병관리청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eISSN 2586-0860
pISSN 2005-81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