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thcoming Articles

Public Health Weekly Report

Published online September 26, 2024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최근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유행 현황 및 세포기반의 오미크론 세부계통 KP.3 감염성 분석

김정민, 노진선, 김동주, 노지영, 이채영, 우상희, 이남주, 이지은, 김일환, 김은진*

질병관리청 진단분석국 신종병원체분석과

교신저자
이름: 김은진
유선 전화번호: +82-43-719-8140
e-mail: ekim@korea.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2019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질병관리청은 국내 유행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전장유전체 분석을 통한 유전체 감시를 지속하고 있다. BA.2.86에서 유래한 JN.1 세부계통이 2023년 11월 국내에서 처음 검출된 후 다양한 JN.1 하위 세부계통의 점유율이 지속 증가하였으며, 그 중 KP.3 세부계통 점유율이 2024년 8월 기준 60.9%로 가장 우세하였다. 특히, KP.3 하위세부계통 중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 상위 3개는 KP.3.3.1(22.3%), KP.3.3(14.0%), KP.3.1.1(11.1%)로 확인되었다.
최근 유행하는 JN.1, KP.2, KP.3의 세포기반 감염성 및 증식성을 비교한 결과, KP.3는 48시간까지 가장 높은 바이러스 배출량을 나타내었고, 특히 24시간대에 JN.1 대비 약 67배, KP.2 대비 약 23배 높게 관찰되었다. 또한, JN.1, KP.2, KP.3의 바이러스 증식성 최대치에는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나, 24시간대에 KP.3가 JN.1 대비 약 66배, KP.2 대비 약 16배 높게 관찰되었다. 따라서, KP.3의 JN.1 및 KP.2 대비 높은 초기 감염성 바이러스 배출량 및 바이러스 증식성이, 전파력 상승과 점유율 증가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질병관리청은 국내 변이바이러스 유행 양상을 파악하고 신규 변이 탐지를 통한 국내외 발생 변이의 특성 파악을 위해 전장유전체 분석 기반의 면밀한 모니터링을 지속하며,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지속 제공할 예정이다.

Keywords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SARS-CoV-2, KP.3, 바이러스 감염성, 바이러스 증식성

Article

On-line First

Public Health Weekly Report

Published online September 26, 2024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최근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유행 현황 및 세포기반의 오미크론 세부계통 KP.3 감염성 분석

김정민, 노진선, 김동주, 노지영, 이채영, 우상희, 이남주, 이지은, 김일환, 김은진*

질병관리청 진단분석국 신종병원체분석과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pandemic in 2019, the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has been conducting genomic surveillance through whole genome sequencing to monitor SARS-CoV-2 variants in the Republic of Korea. After the JN.1 lineage derived from BA.2.86 was first detected in in the Republic of Korea in November 2023, the share of various JN.1 sub-lineages continued to increase, with the KP.3 accounting for 60.9% as of August 2024. In particular, the KP.3 sub-lineages with the highest share was identified as KP.3.3.1 (22.3%), KP.3.3 (14.0%), and KP.3.1.1 (11.1%).
We compared the cell-based infectivity and viral replication of the recent circulating JN.1, KP.2, and KP.3. KP.3 showed the highest viral shedding up to 48 hours, especially at 24 hours, which was about 67 times higher than JN.1 and 23 times higher than KP.2. Although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peak viral replication of JN.1, KP.2, and KP.3, KP.3 was observed to be about 66 and 16 times higher than JN.1 and KP.2 at 24 hours, respectively. Therefore, it was estimated that KP.3's higher initial infectious virus shedding and viral replication compared to JN.1 and KP.2 may have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transmission and epidemic.
The KDCA will continue close monitoring based on whole-genome sequencing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variant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o characterize new variants, and will continue to provide scientific evidence for COVID-19 response.

Keywords: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SARS-CoV-2, KP.3, viral infectivity, viral replication

PHWR
Oct 02, 2024 Vol.17 No.38
pp. 1611~1634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