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Health Weekly Report
Published online December 24, 2024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임은실1, 김지은2, 이인숙3, 홍혜정3, 이동옥4, 남미경3, 양민경3, 이경아5,*
1대구보건대학교 간호대학, 2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3종로구보건소, 4대구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5가천대학교 간호대학
교신저자
이름: 이경아
유선 전화번호: +82-32-820-4217
e-mail: kalee613@gachon.ac.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본 연구는 2022년 시작된 서울시 종로구의 지역 내 소지역 건강격차 해소 시범사업 중 주민리더를 통한 이웃돌봄사업이 노인의 주관적 건강감, 삶의 만족도,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주민 리더를 통한 이웃돌봄사업은 이웃건강활동가를 통해 소지역 내 취약한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건강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둔 사업이다. 성향점수매칭을 이용하여 참여집단과 미참여집단을 추출 후, 단순평균 이중차이 분석을 통해 사업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업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미참여 대상자보다 삶의 만족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 이는 건강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효과적인 모델로, 주민 리더를 통한 이웃돌봄사업이 노인의 건강을 개선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앞으로도 주민참여형 보건서비스를 강화하여 지역 내 노인들이 건강한 노화를 맞이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주요 검색어 소지역 건강격차, 주민리더, 이웃돌봄사업, 주관적 건강감, 삶의 만족도, 삶의 질
Public Health Weekly Report
Published online December 24, 2024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임은실1, 김지은2, 이인숙3, 홍혜정3, 이동옥4, 남미경3, 양민경3, 이경아5,*
1대구보건대학교 간호대학, 2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3종로구보건소, 4대구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5가천대학교 간호대학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본 연구는 2022년 시작된 서울시 종로구의 지역 내 소지역 건강격차 해소 시범사업 중 주민리더를 통한 이웃돌봄사업이 노인의 주관적 건강감, 삶의 만족도,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주민 리더를 통한 이웃돌봄사업은 이웃건강활동가를 통해 소지역 내 취약한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건강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둔 사업이다. 성향점수매칭을 이용하여 참여집단과 미참여집단을 추출 후, 단순평균 이중차이 분석을 통해 사업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업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미참여 대상자보다 삶의 만족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 이는 건강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효과적인 모델로, 주민 리더를 통한 이웃돌봄사업이 노인의 건강을 개선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앞으로도 주민참여형 보건서비스를 강화하여 지역 내 노인들이 건강한 노화를 맞이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Keywords: 소지역 건강격차, 주민리더, 이웃돌봄사업, 주관적 건강감, 삶의 만족도, 삶의 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