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감시보고

Split Viewer
ENG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45): 1956-1970

Published online September 10, 2024

https://doi.org/10.56786/PHWR.2024.17.45.3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3–2024년 국내에서 발생한 빈대의 분포 조사

김기훈 , 조선란 , 이희일 *

질병관리청 진단분석국 매개체분석과

*Corresponding author: 이희일, Tel: +82-43-719-8560, E-mail: isak@korea.kr

Received: August 6, 2024; Revised: August 29, 2024; Accepted: September 9, 2024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빈대(bed bug)는 체외 기생충으로 전 세계적으로 24개 속 110여 종이 보고되어 있다. 그 중 사람을 흡혈하는 빈대는 3개 종으로, 빈대(Cimex lectularius), 반날개빈대(Cimex hemipterus), Leptocimex boueti가 있다. 국내에는 1945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근절된 것으로 추정하였으나, 최근 여행객 또는 주한 미군 부대로부터 C. lectularius가 보고되었다. C. hemipterus는 1934년에 보고된 이후 보이지 않다가 최근 오산시 주택에서 발생이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빈대의 종 동정하고,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여 해외 유입 여부를 조사하였다. 빈대의 종 동정을 위하여 형태적 동정과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성충은 형태적 특징을 이용한 동정이 가능하지만 유충‧약충은 형태적 특징이 불분명하기에 분자적 동정을 하였다. 또한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여 해외 유입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cytochrome oxidase I을 시퀀싱하여 계통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에서 서식하는 빈대는 두 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주로 C. hemipteurs가 채집되었다. 그리고 C. hemipterus의 유전형은 단일 유전형으로 확인된 반면, C. lectularius는 3가지 유전형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가 빈대의 감시 및 방제 등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 검색어 빈대류; 빈대; 반날개빈대; 종 동정; 유전적 다양성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과거 국내에서 빈대가 서식하였으나, 1945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근절된 것으로 추정된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빈대(Cimex lectularius)와 반날개빈대(Cimex hemipterus)가 서식하고 있으며, 주로 C. hemipterus가 채집되었고, 단일 유전형으로 확인되었다. C. lectularius는 3개의 유전형 그룹이 확인되었다.

③ 시사점은?

국내 C. hemipterus의 해외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으나, 유전적 다양성이 떨어져 확인이 어렵다. C. lectularius는 3가지 유전형 그룹이 확인되었고, 그 중 2개 그룹은 해외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리고 다른 1개 유전형 그룹은 국내 토착 strain의 가능성이 있으나, 검체 부족으로 인하여 추가 검체 확보 및 연구가 필요하다.

빈대(bed bug)는 체외 기생충으로 전 세계적으로 24개 속 110여 종이 보고되어 있으며[1], 주로 박쥐나 새를 흡혈하며, 일부 종은 사람을 흡혈한다[2]. 사람을 대상으로 흡혈하는 빈대는 빈대(Cimex lectularius), 반날개빈대(Cimex hemipterus), Leptocimex boueti가 있다. C. lectularius는 온대 지역 내 여러 국가에서 발생하며[3,4], C. hemipterus는 아열대와 열대 지역인 동남 아시아, 아프리카, 호주 등에서 서식한다[4,5]. L. boueti는 오직 아프리카에서만 서식하는 종으로 알려져 있다[6]. 빈대는 알, 약충, 성충으로 불완전 변태를 하며, 각 발달 단계마다 최소 1회 이상의 흡혈을 한다[7]. 성충은 갈색을 띄며, 2–3일 간격으로 산란하여 약 200–500개의 알을 산란한다. 성충의 생존 기간은 약 9–18개월이며, 흡혈하지 않은 개체는 최대 260일 이상 생존한다[8].

빈대는 제2차 세계대전(1939–1945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발생 국가가 증가하였고, 전쟁 후 활발한 물류 이동 및 빠른 도시화, 세계 여행객의 증가 그리고 살충제 저항성 발달 등으로 서식지가 확산되었다[9,10]. 유럽은 아시아보다 먼저 확산되었는데, 영국은 1503년 C. lectularius의 첫 발생을 보고하였고 1939년 런던에서 약 400만 명이 빈대로 인한 피해를 입었다[5]. 또한, 독일은 1948년 도심 내 40.0%가 빈대에 감염되어 있음을 보고하였다[5]. 아시아 지역 중 일본은 19세기 이전에는 빈대의 존재가 보고되지 않았으나, 1860년대 국제 무역이 활발히 이뤄지는 남부 지역에서 최초로 보고된 이후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5]. 중국은 1953년에 전국 빈대 발생 현황을 조사한 결과, C. lectulariusC. hemipterus의 발생을 보고하였다[5]. 국내의 경우, 1934년도 조사를 통하여 두 종의 빈대 분포를 확인하였으나, 1945년 이후 빈대 발생에 의한 보고는 없었다[11,12]. 그러나 2007년에 뉴저지에 체류했던 사람으로부터 C. lectularius의 존재를 보고하였고, 이후 국내 미군 주둔지 및 주택에서 C. lectularius가 채집되었다[13,14]. 특히 C. hemipterus는 2021년 오산에서 발견되어 1934년 보고된 이후 재발견이 보고되었다[14].

국내에서 보고된 빈대에 대한 선행 연구는 국내 종 분포 현황보다 살충제 저항성 확인을 중점으로 보고하였다[12,14,15]. 따라서 다소 한정적인 지역 내에서 수행하였기에, 전국적인 빈대 분포 현황 확인이 어렵다. 또한 유전적 다양성 및 해외에 보고된 종과의 연관성 확인을 하지 않았기에 해외 유입 여부 확인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서 확보한 빈대의 종 동정 및 유전적 다양성 분석하여 국내 빈대 발생 현황을 알리고자 한다.

1. 빈대 검체 확보

빈대는 2023년 11월부터 2024년 4월까지 보건소 및 보건기관, 방역 업체를 통하여 총 52개 지역으로부터 243개 개체를 확보하였다. 확보한 검체는 종 동정 및 실험을 위해 1.5 ml tube에 1개 개체씩 넣은 뒤 –20℃에 보관하였다.

2. 빈대의 형태학적, 분자학적 동정

제공받은 검체는 해부현미경을 통하여 Usinger (1966), Ghauri (1973), Walpole (1987)의 방법을 참고하여 형태학적 종 동정을 수행하였다[16]. 형태학적 동정으로 C. lectularius은 앞가슴 폭/길이의 비율이 2.5 이상이며, 앞가슴판의 측엽이 넓으며, C. hemipterus은 앞가슴 폭/길이의 비율은 2.5 이하이며, 앞가슴판의 측엽이 좁다(그림 1) [12].

그림 1. (A) 빈대(Cimex lectularius)와 (B) 반날개빈대(Cimex hemipterus)의 형태적 특징

형태학적인 동정이 어려운 유충‧약충과 재확인이 필요한 성충 검체의 정확한 종 동정을 위하여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분자생물학적 동정은 Clear-STM Quick DNA extraction kit (Invirustech)를 이용하여 DNA를 추출하였고, 추출한 DNA는 cytochrome oxidase I (COI)을 증폭시키기 위해 ProF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을 사용하였다(표 1). PCR 조건은 Seri Masran과 Ab Majid [17]의 방법을 참고하였다. PCR product는 시퀀싱 후 blast를 이용하여 종 동정을 수행하였다.

표 1. 빈대 종 분류 및 PCR 조건
부위프라이머서열크기 (bp)
COICHP-10 (F)5’-TTC GGA ATG TGG GCA GGG AT-3’468
CHP-10 (R)5’-GGT TAT TCC GGC AGG ACG TAT-3’
온도 (℃)시간횟수
944분1
9430초
60–45a)30초30
721분
9430초
4530초30
721분
7210분1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COI=cytochrome oxidase I; F=forward primer; R=revers primer; bp=base pair. a)PCR touchdown process로 annealing temperture를 매 cycle마다 0.5℃씩 ramping down 시킴.



3. 유전적 다양성 및 계통 분석

종 동정 후 국내 유전적 다양성 및 해외 유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NCBI GenBank 내 등록된 COI 염기서열을 사용하였다[18]. C. lectularius의 분석을 위하여 미국, 체코, 헝가리, 캐나다, 영국, 핀란드에서 보고된 COI 염기서열을 사용하였고, C. hemipterus는 방글라데시, 체코, 미국, 태국, 말레이시아, 이란, 노르웨이, 중국, 인도에서 보고된 15개의 COI 염기서열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웃 그룹으로 Triatoma dimidiata (JQ575031.1)를 사용하였다. 염기서열의 aligment를 위하여 Bioedit ver 7.7.1 (http://bioedit.software.informer.com)을 이용하여 FASTA 형식으로 변환시킨 뒤, MEGA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 11.0.13)를 이용하여 neighbor-joining 방법으로 phylogenetic tree를 작성하였다.

1. 국내 빈대 발생 현황

빈대 검체는 15개 시‧도 52개 지역에서 확보하였고, 검체를 형태학적으로 분류한 결과, C. hemipterus는 48개 지역에서 226개 개체(93.0%), C. lectularius는 4개 지역에서 17개 개체(7.0%)가 확인되었다. 또한 C. hemipterus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C. hemipterusC. lectularius가 동시에 채집된 지역은 1개 지역으로 확인되었다(표 2). C. lectularius가 채집된 지역은 서울 2개 지역, 경기 1개 지역, 전남 1개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빈대가 주로 발생한 환경으로는 주택가(33.3%)와 기숙사(29.3%), 고시텔(25.3%) 순으로 조사되었다.

표 2. 빈대 채집 및 확보 지역
채집 지역채집 환경
시‧도지역
빈대(Cimex lectularius)서울영등포구, 중랑구고시텔, 주택가
경기안양시 만안구고시텔
전남신안주택가
반날개빈대(Cimex hemipterus)서울송파구, 구로구, 중구, 용산구, 관악구, 마포구, 은평구, 금천구, 영등포구고시텔, 주택가, 사우나
인천연수구, 서구기숙사, 주택가
대전유성구, 중구주택가
광주서구주택가
울산울산, 울주군주택가, 기숙사
부산중구여객선
경기평택, 안성, 김포, 오산, 시흥, 성남시, 용인시 수지구, 안양시 동안구, 남양주 풍양, 파주시고시텔, 기숙사, 주택가, 사무실
강원원주기숙사
충북청주시 상당구, 청주시 흥덕구, 충주주택가, 기숙사
충남천안시, 천안시 동남구, 천안시 서북구, 서천군, 공주시, 아산시기숙사, 주택가, 숙박시설
경북울진기숙사
경남김해, 양산, 진주, 창원, 고성기숙사, 주택가, 비행기
전북군산여객선
전남진도, 목포, 완도주택가, 기숙사
제주서귀포숙박시설


2. 빈대의 유전적 다양성 및 계통분석

국내에서 채집한 C. hemipterus의 유전적 다양성을 확인한 결과, 모두 동일한 유전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그림 2). 국외 9개국 13개 유전형과 계통분석을 수행한 결과, 인도(OM108444.1), 중국(MK883766.1), 노르웨이(OM700201.1), 마우리타니아(OP898553.1)를 제외한 9개 유전형과 일치하였으며, 선행 연구로 보고된 국내 유전형(OP185034.1)과도 염기 서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 lectularius의 유전적 다양성을 확인한 결과 서울 3개 지점에서 확보한 C. lectularius는 동일한 유전형(CL1)이 확인되었으나, 안양(CL2), 신안(CL3)에서 확보한 종은 각기 다른 그룹으로 분류되었다(그림 3). 국외 6개국 7개 유전형과 계통분석을 수행한 결과, 서울 strain은 미국(KU874630.1), 체코(MF680529.1)와 같은 그룹으로 확인되었고, 안양 strain은 캐나다(KR044731.1), 영국(MG596836.1), 미국(KR002584.1)과 같은 그룹으로 확인되었다. 신안 strain의 경우 서울, 안양 strain과는 다른 유전형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2. 반날개빈대(Cimex hemipterus) 계통도

그림 3. 빈대(Cimex lectularius) 계통도

일반적으로 빈대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이 존재하며, 사람을 대상으로 흡혈 기생하는 빈대는 3종이 있다. 그 중 C. lectulariusC. hemipterus는 국내에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본 연구에서는 주로 C. hemipterus가 채집되었다. 선행 연구에서 C. hemipterus는 한반도 전역에 서식하고, C. lectularius는 경상도 및 전라도에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1].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C. lectularius는 서울, 경기도 지역에서도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 hemipterusC. lectularius의 서식에서 기후는 크나큰 영향을 끼쳤으나, 현재는 난방 및 실내 습기 유지 등으로 인하여 적절한 서식 환경이 만들어졌기에 확산의 원인으로 보기 어렵다[9]. 그러나 물리적 요인인 사람 혹은 의류, 운송 수단, 이동수단의 경우 빈대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생각된다[10,18-20]. 2007년 미국에서 빈대 발생 현황을 조사한 결과, 뉴욕, 로스엔젤레스 등 유동 인구가 많은 관문 도시에서의 빈대 신고가 급증하였다[8]. 또한, 주요 이동 수단인 비행기, 선박 등에서 빈대가 발견되었다고 보고하였다[19,20]. 본 연구에서도 C. hemipterus가 비행기와 여객선에서 발견되었다.

국내에서 서식하는 빈대의 해외 유입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유전적 다양성을 비교하였다. 확인 결과, C. hemipterus는 국내 단일 유전형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국내 선행 연구에서 등록한 유전형(오산, OP185034)과도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15]. 국내 선행 연구의 경우 말레이시아, 케냐, 이란 등 해외 유전형과 비교한 결과 동일한 유전형으로 확인되었는데[15], 본 연구에서도 동일하게 확인되었다. 또한 인근 국가의 선행 연구에서도 모두 동일한 유전형이 확인되었다[17,21,22]. 이러한 결과는 C. hemipterus의 경우 근친 교배 특성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유전적 다양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23]. 예를 들어 Booth 등[24]은 노스캐롤라이나 주와 뉴저지 주에 위치한 빌딩에서 채집한 빈대의 유전적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립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332개 개체 중 330개 개체가 동일한 대립 유전자를 가진 것이 확인되어 모두 단일 유전형을 가지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C. lectularius의 유전형은 3개 그룹으로 확인되었다. Chebbah 등[22]의 경우 프랑스 파리에서 채집된 C. lectularius의 유전형은 2개 그룹으로 보고하였다. 이는 발생 국가별로 유전형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국내에서는 서울 strian 그룹, 안양 strain 그룹 그리고 신안 strain 그룹이 확인되었다. 이 중 서울 strain은 미국과 체코에서 등록된 유전형과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안양 strain은 캐나다, 영국, 핀란드, 미국에서 등록한 유전형과 유사하기에, 이들 두 strain은 해외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신안 strain은 별도의 그룹으로 나뉘어져 있고, 해외 strain과도 유의성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기존 국내 토착 종으로 생각되나, 추가 검체 확보 및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17개 시‧도 중 15개 시‧도에서 빈대를 확인하였다. 국내에서 발생한 빈대는 C. hemipterusC. lectularius이며, 그 중 C. hemipterus가 주로 확보되었다. 두 빈대의 해외 유입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적적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C. hemipterus는 동일한 유전형으로 확인되어 해외 유입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웠다. 반면에, C. lectularius는 3가지 유전형 그룹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두 strain은 해외로부터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신안 strain은 해외 등록된 유전형과 다른 그룹을 형성하여 국내 토착종으로 생각되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서식하는 빈대의 분포와 유전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빈대 감시 및 방제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Acknowledgments: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HIL. Data curation: SRC, GHK. Formal analysis: SRC, GHK. Investigation: SRC, GHK. Project administration: HIL. Resources: SRC, GHK. Supervision: HIL. Visualization: SRC, GHK. Writing – original draft: GHK. Writing – review & editing: HIL.

  1. Walt HK, King JG, Sheele JM, Meyer F, Pietri JE, Hoffmann FG. Do bed bugs transmit human viruses, or do humans spread bed bugs and their viruses? A worldwide survey of the bed bug RNA virosphere. Virus Res 2024;343:199349.
    Pubmed KoreaMed CrossRef
  2. Talbot B, Balvín O, Vonhof MJ, Broders HG, Fenton B, Keyghobadi N. Host association and selection on salivary protein genes in bed bugs and related blood-feeding ectoparasites. R Soc Open Sci 2017;4:170446.
    Pubmed KoreaMed CrossRef
  3. Omori N. Comparative studies on the ecology and physiology of common and tropical bed bug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eactions to temperature and moisture. J Med Assoc Formosa 1941;60:555-729.
  4. Cannet A, Akhoundi M, Berenger JM, Michel G, Marty P, Delaunay P. A review of data on laboratory colonies of bed bugs (Cimicidae), an insect of emerging medical relevance. Parasite 2015;22:21.
    Pubmed KoreaMed CrossRef
  5. Akhoundi M, Sereno D, Durand R, et al. Bed bugs (Hemiptera, Cimicidae): overview of classification, evolution and dispersion.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20;17:4576.
    Pubmed KoreaMed CrossRef
  6. Weeks EN, Birkett MA, Cameron MM, Pickett JA, Logan JG. Semiochemicals of the common bed bug, Cimex lectularius L. (Hemiptera: Cimicidae), and their potential for use in monitoring and control. Pest Manag Sci 2011;67:10-20.
    CrossRef
  7. Insect Disease Vector Division, Immunopathology Center,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enter. Case reports and control of common bedbug (Cimex lectularius). Public Health Wkly Rep 2009;2:213-6.
  8.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Bed bug information book.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3:2nd ed:p.5-6.
  9. Balvín O, Sasínková M, Martinů J, et al. Early evidence of establishment of the tropical bedbug (Cimex hemipterus) in Central Europe. Med Vet Entomol 2021;35:462-7.
    CrossRef
  10. Lai O, Ho D, Glick S, Jagdeo J. Bed bugs and possible transmission of human pathogens: a systematic review. Arch Dermatol Res 2016;308:531-8.
    Pubmed KoreaMed CrossRef
  11. Bureau of Medicine and Surgery Navy Department. Epidemiology of the Diseases of Naval Importance in Korea.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48.
  12. Cho S, Kim HC, Eom H, et al. Species identification and pyrethroid resistance genotyping of recently resurgent Cimex lectularius and Cimex hemipterus in Korea. Parasites Hosts Dis 2024;62:251-6.
    Pubmed KoreaMed CrossRef
  13. Lee IY, Ree HI, An SJ, Linton JA, Yong TS. Reemergence of the bedbug Cimex lectularius in Seoul, Korea. Korean J Parasitol 2008;46:269-71.
    Pubmed KoreaMed CrossRef
  14. Cho S, Kim HC, Chong ST, et al. Monitoring of pyrethroid resistance allele frequency in the common bed bug (Cimex lectularius) in the Republic of Korea. Korean J Parasitol 2020;58:99-102.
    CrossRef
  15. Cho S, Shin EH, Ju HC, Jeong ES, Lee SH, Kim JH. The first recent case of Cimex hemipterus (Hemiptera: Cimicidae) with super-kdr mutat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J Med Entomol 2023;60:822-7.
    Pubmed CrossRef
  16. Benoit JB. Stress tolerance of bed bugs: a review of factors that cause trauma to Cimex lectularius and C. Hemipterus. Insects 2011;2:151-72.
    CrossRef
  17. Seri Masran SNA, Ab Majid AH.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in Cimex hemipterus (Hemiptera: Cimicidae) populations in Malaysia. J Med Entomol 2017;54:974-9.
    Pubmed CrossRef
  18. Davies TG, Field LM, Williamson MS. The re-emergence of the bed bug as a nuisance pest: implications of resistance to the pyrethroid insecticides. Med Vet Entomol 2012;26:241-54.
    CrossRef
  19. Mouchtouri VA, Anagnostopoulou R, Samanidou-Voyadjoglou A, et al. Surveillance study of vector species on board passenger ships, risk factors related to infestations. BMC Public Health 2008;8:100.
    KoreaMed CrossRef
  20. Loudon C. Rapid killing of bed bugs (Cimex lectularius L.) on surfaces using heat: application to luggage. Pest Manag Sci 2017;73:64-70.
    CrossRef
  21. Baqir HA, Ab Majid AH.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ropical bed bugs (Hemiptera: Cimicidae) infestation from different regions of Iraq. Gene Rep 2024;34:101866.
    CrossRef
  22. Chebbah D, Elissa N, Sereno D, et al. Bed bugs (Hemiptera: Cimicidae) population diversity and first record of Cimex hemipterus in Paris. Insects 2021;12:578.
    Pubmed KoreaMed CrossRef
  23. Akhoundi M, Raharisoa A, Andrianjafy RL, Chebbah D, Razanakolona LR, Izri A. Morphological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Cimex hemipterus Fabricius, 1803 (Hemiptera: Cimicidae) and first report of C. lectularius Linnaeus, 1758, in Madagascar. J Med Entomol 2022;59:1081-5.
    Pubmed CrossRef
  24. Booth W, Saenz VL, Santangelo RG, Wang C, Schal C, Vargo EL. Molecular markers reveal infestation dynamics of the bed bug (Hemiptera: Cimicidae) within apartment buildings. J Med Entomol 2012;49:535-46.
    Pubmed CrossRef

Article

조사/감시보고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45): 1956-1970

Published online November 21, 2024 https://doi.org/10.56786/PHWR.2024.17.45.3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3–2024년 국내에서 발생한 빈대의 분포 조사

김기훈, 조선란, 이희일*

질병관리청 진단분석국 매개체분석과

Received: August 6, 2024; Revised: August 29, 2024; Accepted: September 9, 2024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빈대(bed bug)는 체외 기생충으로 전 세계적으로 24개 속 110여 종이 보고되어 있다. 그 중 사람을 흡혈하는 빈대는 3개 종으로, 빈대(Cimex lectularius), 반날개빈대(Cimex hemipterus), Leptocimex boueti가 있다. 국내에는 1945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근절된 것으로 추정하였으나, 최근 여행객 또는 주한 미군 부대로부터 C. lectularius가 보고되었다. C. hemipterus는 1934년에 보고된 이후 보이지 않다가 최근 오산시 주택에서 발생이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빈대의 종 동정하고,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여 해외 유입 여부를 조사하였다. 빈대의 종 동정을 위하여 형태적 동정과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성충은 형태적 특징을 이용한 동정이 가능하지만 유충‧약충은 형태적 특징이 불분명하기에 분자적 동정을 하였다. 또한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여 해외 유입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cytochrome oxidase I을 시퀀싱하여 계통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에서 서식하는 빈대는 두 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주로 C. hemipteurs가 채집되었다. 그리고 C. hemipterus의 유전형은 단일 유전형으로 확인된 반면, C. lectularius는 3가지 유전형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가 빈대의 감시 및 방제 등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빈대류, 빈대, 반날개빈대, 종 동정, 유전적 다양성

몸 말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과거 국내에서 빈대가 서식하였으나, 1945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근절된 것으로 추정된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빈대(Cimex lectularius)와 반날개빈대(Cimex hemipterus)가 서식하고 있으며, 주로 C. hemipterus가 채집되었고, 단일 유전형으로 확인되었다. C. lectularius는 3개의 유전형 그룹이 확인되었다.

③ 시사점은?

국내 C. hemipterus의 해외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으나, 유전적 다양성이 떨어져 확인이 어렵다. C. lectularius는 3가지 유전형 그룹이 확인되었고, 그 중 2개 그룹은 해외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리고 다른 1개 유전형 그룹은 국내 토착 strain의 가능성이 있으나, 검체 부족으로 인하여 추가 검체 확보 및 연구가 필요하다.

서 론

빈대(bed bug)는 체외 기생충으로 전 세계적으로 24개 속 110여 종이 보고되어 있으며[1], 주로 박쥐나 새를 흡혈하며, 일부 종은 사람을 흡혈한다[2]. 사람을 대상으로 흡혈하는 빈대는 빈대(Cimex lectularius), 반날개빈대(Cimex hemipterus), Leptocimex boueti가 있다. C. lectularius는 온대 지역 내 여러 국가에서 발생하며[3,4], C. hemipterus는 아열대와 열대 지역인 동남 아시아, 아프리카, 호주 등에서 서식한다[4,5]. L. boueti는 오직 아프리카에서만 서식하는 종으로 알려져 있다[6]. 빈대는 알, 약충, 성충으로 불완전 변태를 하며, 각 발달 단계마다 최소 1회 이상의 흡혈을 한다[7]. 성충은 갈색을 띄며, 2–3일 간격으로 산란하여 약 200–500개의 알을 산란한다. 성충의 생존 기간은 약 9–18개월이며, 흡혈하지 않은 개체는 최대 260일 이상 생존한다[8].

빈대는 제2차 세계대전(1939–1945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발생 국가가 증가하였고, 전쟁 후 활발한 물류 이동 및 빠른 도시화, 세계 여행객의 증가 그리고 살충제 저항성 발달 등으로 서식지가 확산되었다[9,10]. 유럽은 아시아보다 먼저 확산되었는데, 영국은 1503년 C. lectularius의 첫 발생을 보고하였고 1939년 런던에서 약 400만 명이 빈대로 인한 피해를 입었다[5]. 또한, 독일은 1948년 도심 내 40.0%가 빈대에 감염되어 있음을 보고하였다[5]. 아시아 지역 중 일본은 19세기 이전에는 빈대의 존재가 보고되지 않았으나, 1860년대 국제 무역이 활발히 이뤄지는 남부 지역에서 최초로 보고된 이후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5]. 중국은 1953년에 전국 빈대 발생 현황을 조사한 결과, C. lectulariusC. hemipterus의 발생을 보고하였다[5]. 국내의 경우, 1934년도 조사를 통하여 두 종의 빈대 분포를 확인하였으나, 1945년 이후 빈대 발생에 의한 보고는 없었다[11,12]. 그러나 2007년에 뉴저지에 체류했던 사람으로부터 C. lectularius의 존재를 보고하였고, 이후 국내 미군 주둔지 및 주택에서 C. lectularius가 채집되었다[13,14]. 특히 C. hemipterus는 2021년 오산에서 발견되어 1934년 보고된 이후 재발견이 보고되었다[14].

국내에서 보고된 빈대에 대한 선행 연구는 국내 종 분포 현황보다 살충제 저항성 확인을 중점으로 보고하였다[12,14,15]. 따라서 다소 한정적인 지역 내에서 수행하였기에, 전국적인 빈대 분포 현황 확인이 어렵다. 또한 유전적 다양성 및 해외에 보고된 종과의 연관성 확인을 하지 않았기에 해외 유입 여부 확인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서 확보한 빈대의 종 동정 및 유전적 다양성 분석하여 국내 빈대 발생 현황을 알리고자 한다.

방 법

1. 빈대 검체 확보

빈대는 2023년 11월부터 2024년 4월까지 보건소 및 보건기관, 방역 업체를 통하여 총 52개 지역으로부터 243개 개체를 확보하였다. 확보한 검체는 종 동정 및 실험을 위해 1.5 ml tube에 1개 개체씩 넣은 뒤 –20℃에 보관하였다.

2. 빈대의 형태학적, 분자학적 동정

제공받은 검체는 해부현미경을 통하여 Usinger (1966), Ghauri (1973), Walpole (1987)의 방법을 참고하여 형태학적 종 동정을 수행하였다[16]. 형태학적 동정으로 C. lectularius은 앞가슴 폭/길이의 비율이 2.5 이상이며, 앞가슴판의 측엽이 넓으며, C. hemipterus은 앞가슴 폭/길이의 비율은 2.5 이하이며, 앞가슴판의 측엽이 좁다(그림 1) [12].

Figure 1. (A) 빈대(Cimex lectularius)와 (B) 반날개빈대(Cimex hemipterus)의 형태적 특징

형태학적인 동정이 어려운 유충‧약충과 재확인이 필요한 성충 검체의 정확한 종 동정을 위하여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분자생물학적 동정은 Clear-STM Quick DNA extraction kit (Invirustech)를 이용하여 DNA를 추출하였고, 추출한 DNA는 cytochrome oxidase I (COI)을 증폭시키기 위해 ProF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을 사용하였다(표 1). PCR 조건은 Seri Masran과 Ab Majid [17]의 방법을 참고하였다. PCR product는 시퀀싱 후 blast를 이용하여 종 동정을 수행하였다.

빈대 종 분류 및 PCR 조건
부위프라이머서열크기 (bp)
COICHP-10 (F)5’-TTC GGA ATG TGG GCA GGG AT-3’468
CHP-10 (R)5’-GGT TAT TCC GGC AGG ACG TAT-3’
온도 (℃)시간횟수
944분1
9430초
60–45a)30초30
721분
9430초
4530초30
721분
7210분1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COI=cytochrome oxidase I; F=forward primer; R=revers primer; bp=base pair. a)PCR touchdown process로 annealing temperture를 매 cycle마다 0.5℃씩 ramping down 시킴..



3. 유전적 다양성 및 계통 분석

종 동정 후 국내 유전적 다양성 및 해외 유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NCBI GenBank 내 등록된 COI 염기서열을 사용하였다[18]. C. lectularius의 분석을 위하여 미국, 체코, 헝가리, 캐나다, 영국, 핀란드에서 보고된 COI 염기서열을 사용하였고, C. hemipterus는 방글라데시, 체코, 미국, 태국, 말레이시아, 이란, 노르웨이, 중국, 인도에서 보고된 15개의 COI 염기서열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웃 그룹으로 Triatoma dimidiata (JQ575031.1)를 사용하였다. 염기서열의 aligment를 위하여 Bioedit ver 7.7.1 (http://bioedit.software.informer.com)을 이용하여 FASTA 형식으로 변환시킨 뒤, MEGA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 11.0.13)를 이용하여 neighbor-joining 방법으로 phylogenetic tree를 작성하였다.

결 과

1. 국내 빈대 발생 현황

빈대 검체는 15개 시‧도 52개 지역에서 확보하였고, 검체를 형태학적으로 분류한 결과, C. hemipterus는 48개 지역에서 226개 개체(93.0%), C. lectularius는 4개 지역에서 17개 개체(7.0%)가 확인되었다. 또한 C. hemipterus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C. hemipterusC. lectularius가 동시에 채집된 지역은 1개 지역으로 확인되었다(표 2). C. lectularius가 채집된 지역은 서울 2개 지역, 경기 1개 지역, 전남 1개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빈대가 주로 발생한 환경으로는 주택가(33.3%)와 기숙사(29.3%), 고시텔(25.3%) 순으로 조사되었다.

빈대 채집 및 확보 지역
채집 지역채집 환경
시‧도지역
빈대(Cimex lectularius)서울영등포구, 중랑구고시텔, 주택가
경기안양시 만안구고시텔
전남신안주택가
반날개빈대(Cimex hemipterus)서울송파구, 구로구, 중구, 용산구, 관악구, 마포구, 은평구, 금천구, 영등포구고시텔, 주택가, 사우나
인천연수구, 서구기숙사, 주택가
대전유성구, 중구주택가
광주서구주택가
울산울산, 울주군주택가, 기숙사
부산중구여객선
경기평택, 안성, 김포, 오산, 시흥, 성남시, 용인시 수지구, 안양시 동안구, 남양주 풍양, 파주시고시텔, 기숙사, 주택가, 사무실
강원원주기숙사
충북청주시 상당구, 청주시 흥덕구, 충주주택가, 기숙사
충남천안시, 천안시 동남구, 천안시 서북구, 서천군, 공주시, 아산시기숙사, 주택가, 숙박시설
경북울진기숙사
경남김해, 양산, 진주, 창원, 고성기숙사, 주택가, 비행기
전북군산여객선
전남진도, 목포, 완도주택가, 기숙사
제주서귀포숙박시설


2. 빈대의 유전적 다양성 및 계통분석

국내에서 채집한 C. hemipterus의 유전적 다양성을 확인한 결과, 모두 동일한 유전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그림 2). 국외 9개국 13개 유전형과 계통분석을 수행한 결과, 인도(OM108444.1), 중국(MK883766.1), 노르웨이(OM700201.1), 마우리타니아(OP898553.1)를 제외한 9개 유전형과 일치하였으며, 선행 연구로 보고된 국내 유전형(OP185034.1)과도 염기 서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 lectularius의 유전적 다양성을 확인한 결과 서울 3개 지점에서 확보한 C. lectularius는 동일한 유전형(CL1)이 확인되었으나, 안양(CL2), 신안(CL3)에서 확보한 종은 각기 다른 그룹으로 분류되었다(그림 3). 국외 6개국 7개 유전형과 계통분석을 수행한 결과, 서울 strain은 미국(KU874630.1), 체코(MF680529.1)와 같은 그룹으로 확인되었고, 안양 strain은 캐나다(KR044731.1), 영국(MG596836.1), 미국(KR002584.1)과 같은 그룹으로 확인되었다. 신안 strain의 경우 서울, 안양 strain과는 다른 유전형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2. 반날개빈대(Cimex hemipterus) 계통도

Figure 3. 빈대(Cimex lectularius) 계통도

논 의

일반적으로 빈대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이 존재하며, 사람을 대상으로 흡혈 기생하는 빈대는 3종이 있다. 그 중 C. lectulariusC. hemipterus는 국내에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본 연구에서는 주로 C. hemipterus가 채집되었다. 선행 연구에서 C. hemipterus는 한반도 전역에 서식하고, C. lectularius는 경상도 및 전라도에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1].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C. lectularius는 서울, 경기도 지역에서도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 hemipterusC. lectularius의 서식에서 기후는 크나큰 영향을 끼쳤으나, 현재는 난방 및 실내 습기 유지 등으로 인하여 적절한 서식 환경이 만들어졌기에 확산의 원인으로 보기 어렵다[9]. 그러나 물리적 요인인 사람 혹은 의류, 운송 수단, 이동수단의 경우 빈대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생각된다[10,18-20]. 2007년 미국에서 빈대 발생 현황을 조사한 결과, 뉴욕, 로스엔젤레스 등 유동 인구가 많은 관문 도시에서의 빈대 신고가 급증하였다[8]. 또한, 주요 이동 수단인 비행기, 선박 등에서 빈대가 발견되었다고 보고하였다[19,20]. 본 연구에서도 C. hemipterus가 비행기와 여객선에서 발견되었다.

국내에서 서식하는 빈대의 해외 유입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유전적 다양성을 비교하였다. 확인 결과, C. hemipterus는 국내 단일 유전형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국내 선행 연구에서 등록한 유전형(오산, OP185034)과도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15]. 국내 선행 연구의 경우 말레이시아, 케냐, 이란 등 해외 유전형과 비교한 결과 동일한 유전형으로 확인되었는데[15], 본 연구에서도 동일하게 확인되었다. 또한 인근 국가의 선행 연구에서도 모두 동일한 유전형이 확인되었다[17,21,22]. 이러한 결과는 C. hemipterus의 경우 근친 교배 특성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유전적 다양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23]. 예를 들어 Booth 등[24]은 노스캐롤라이나 주와 뉴저지 주에 위치한 빌딩에서 채집한 빈대의 유전적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립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332개 개체 중 330개 개체가 동일한 대립 유전자를 가진 것이 확인되어 모두 단일 유전형을 가지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C. lectularius의 유전형은 3개 그룹으로 확인되었다. Chebbah 등[22]의 경우 프랑스 파리에서 채집된 C. lectularius의 유전형은 2개 그룹으로 보고하였다. 이는 발생 국가별로 유전형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국내에서는 서울 strian 그룹, 안양 strain 그룹 그리고 신안 strain 그룹이 확인되었다. 이 중 서울 strain은 미국과 체코에서 등록된 유전형과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안양 strain은 캐나다, 영국, 핀란드, 미국에서 등록한 유전형과 유사하기에, 이들 두 strain은 해외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신안 strain은 별도의 그룹으로 나뉘어져 있고, 해외 strain과도 유의성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기존 국내 토착 종으로 생각되나, 추가 검체 확보 및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17개 시‧도 중 15개 시‧도에서 빈대를 확인하였다. 국내에서 발생한 빈대는 C. hemipterusC. lectularius이며, 그 중 C. hemipterus가 주로 확보되었다. 두 빈대의 해외 유입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적적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C. hemipterus는 동일한 유전형으로 확인되어 해외 유입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웠다. 반면에, C. lectularius는 3가지 유전형 그룹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두 strain은 해외로부터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신안 strain은 해외 등록된 유전형과 다른 그룹을 형성하여 국내 토착종으로 생각되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서식하는 빈대의 분포와 유전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빈대 감시 및 방제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Declarations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Acknowledgments: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HIL. Data curation: SRC, GHK. Formal analysis: SRC, GHK. Investigation: SRC, GHK. Project administration: HIL. Resources: SRC, GHK. Supervision: HIL. Visualization: SRC, GHK. Writing – original draft: GHK. Writing – review & editing: HIL.

Fig 1.

Figure 1.(A) 빈대(Cimex lectularius)와 (B) 반날개빈대(Cimex hemipterus)의 형태적 특징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 1956-1970https://doi.org/10.56786/PHWR.2024.17.45.3

Fig 2.

Figure 2.반날개빈대(Cimex hemipterus) 계통도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 1956-1970https://doi.org/10.56786/PHWR.2024.17.45.3

Fig 3.

Figure 3.빈대(Cimex lectularius) 계통도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 1956-1970https://doi.org/10.56786/PHWR.2024.17.45.3
빈대 종 분류 및 PCR 조건
부위프라이머서열크기 (bp)
COICHP-10 (F)5’-TTC GGA ATG TGG GCA GGG AT-3’468
CHP-10 (R)5’-GGT TAT TCC GGC AGG ACG TAT-3’
온도 (℃)시간횟수
944분1
9430초
60–45a)30초30
721분
9430초
4530초30
721분
7210분1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COI=cytochrome oxidase I; F=forward primer; R=revers primer; bp=base pair. a)PCR touchdown process로 annealing temperture를 매 cycle마다 0.5℃씩 ramping down 시킴..


빈대 채집 및 확보 지역
채집 지역채집 환경
시‧도지역
빈대(Cimex lectularius)서울영등포구, 중랑구고시텔, 주택가
경기안양시 만안구고시텔
전남신안주택가
반날개빈대(Cimex hemipterus)서울송파구, 구로구, 중구, 용산구, 관악구, 마포구, 은평구, 금천구, 영등포구고시텔, 주택가, 사우나
인천연수구, 서구기숙사, 주택가
대전유성구, 중구주택가
광주서구주택가
울산울산, 울주군주택가, 기숙사
부산중구여객선
경기평택, 안성, 김포, 오산, 시흥, 성남시, 용인시 수지구, 안양시 동안구, 남양주 풍양, 파주시고시텔, 기숙사, 주택가, 사무실
강원원주기숙사
충북청주시 상당구, 청주시 흥덕구, 충주주택가, 기숙사
충남천안시, 천안시 동남구, 천안시 서북구, 서천군, 공주시, 아산시기숙사, 주택가, 숙박시설
경북울진기숙사
경남김해, 양산, 진주, 창원, 고성기숙사, 주택가, 비행기
전북군산여객선
전남진도, 목포, 완도주택가, 기숙사
제주서귀포숙박시설

References

  1. Walt HK, King JG, Sheele JM, Meyer F, Pietri JE, Hoffmann FG. Do bed bugs transmit human viruses, or do humans spread bed bugs and their viruses? A worldwide survey of the bed bug RNA virosphere. Virus Res 2024;343:199349.
    Pubmed KoreaMed CrossRef
  2. Talbot B, Balvín O, Vonhof MJ, Broders HG, Fenton B, Keyghobadi N. Host association and selection on salivary protein genes in bed bugs and related blood-feeding ectoparasites. R Soc Open Sci 2017;4:170446.
    Pubmed KoreaMed CrossRef
  3. Omori N. Comparative studies on the ecology and physiology of common and tropical bed bug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eactions to temperature and moisture. J Med Assoc Formosa 1941;60:555-729.
  4. Cannet A, Akhoundi M, Berenger JM, Michel G, Marty P, Delaunay P. A review of data on laboratory colonies of bed bugs (Cimicidae), an insect of emerging medical relevance. Parasite 2015;22:21.
    Pubmed KoreaMed CrossRef
  5. Akhoundi M, Sereno D, Durand R, et al. Bed bugs (Hemiptera, Cimicidae): overview of classification, evolution and dispersion.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20;17:4576.
    Pubmed KoreaMed CrossRef
  6. Weeks EN, Birkett MA, Cameron MM, Pickett JA, Logan JG. Semiochemicals of the common bed bug, Cimex lectularius L. (Hemiptera: Cimicidae), and their potential for use in monitoring and control. Pest Manag Sci 2011;67:10-20.
    CrossRef
  7. Insect Disease Vector Division, Immunopathology Center,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enter. Case reports and control of common bedbug (Cimex lectularius). Public Health Wkly Rep 2009;2:213-6.
  8.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Bed bug information book.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3:2nd ed:p.5-6.
  9. Balvín O, Sasínková M, Martinů J, et al. Early evidence of establishment of the tropical bedbug (Cimex hemipterus) in Central Europe. Med Vet Entomol 2021;35:462-7.
    CrossRef
  10. Lai O, Ho D, Glick S, Jagdeo J. Bed bugs and possible transmission of human pathogens: a systematic review. Arch Dermatol Res 2016;308:531-8.
    Pubmed KoreaMed CrossRef
  11. Bureau of Medicine and Surgery Navy Department. Epidemiology of the Diseases of Naval Importance in Korea.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48.
  12. Cho S, Kim HC, Eom H, et al. Species identification and pyrethroid resistance genotyping of recently resurgent Cimex lectularius and Cimex hemipterus in Korea. Parasites Hosts Dis 2024;62:251-6.
    Pubmed KoreaMed CrossRef
  13. Lee IY, Ree HI, An SJ, Linton JA, Yong TS. Reemergence of the bedbug Cimex lectularius in Seoul, Korea. Korean J Parasitol 2008;46:269-71.
    Pubmed KoreaMed CrossRef
  14. Cho S, Kim HC, Chong ST, et al. Monitoring of pyrethroid resistance allele frequency in the common bed bug (Cimex lectularius) in the Republic of Korea. Korean J Parasitol 2020;58:99-102.
    CrossRef
  15. Cho S, Shin EH, Ju HC, Jeong ES, Lee SH, Kim JH. The first recent case of Cimex hemipterus (Hemiptera: Cimicidae) with super-kdr mutat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J Med Entomol 2023;60:822-7.
    Pubmed CrossRef
  16. Benoit JB. Stress tolerance of bed bugs: a review of factors that cause trauma to Cimex lectularius and C. Hemipterus. Insects 2011;2:151-72.
    CrossRef
  17. Seri Masran SNA, Ab Majid AH.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in Cimex hemipterus (Hemiptera: Cimicidae) populations in Malaysia. J Med Entomol 2017;54:974-9.
    Pubmed CrossRef
  18. Davies TG, Field LM, Williamson MS. The re-emergence of the bed bug as a nuisance pest: implications of resistance to the pyrethroid insecticides. Med Vet Entomol 2012;26:241-54.
    CrossRef
  19. Mouchtouri VA, Anagnostopoulou R, Samanidou-Voyadjoglou A, et al. Surveillance study of vector species on board passenger ships, risk factors related to infestations. BMC Public Health 2008;8:100.
    KoreaMed CrossRef
  20. Loudon C. Rapid killing of bed bugs (Cimex lectularius L.) on surfaces using heat: application to luggage. Pest Manag Sci 2017;73:64-70.
    CrossRef
  21. Baqir HA, Ab Majid AH.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ropical bed bugs (Hemiptera: Cimicidae) infestation from different regions of Iraq. Gene Rep 2024;34:101866.
    CrossRef
  22. Chebbah D, Elissa N, Sereno D, et al. Bed bugs (Hemiptera: Cimicidae) population diversity and first record of Cimex hemipterus in Paris. Insects 2021;12:578.
    Pubmed KoreaMed CrossRef
  23. Akhoundi M, Raharisoa A, Andrianjafy RL, Chebbah D, Razanakolona LR, Izri A. Morphological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Cimex hemipterus Fabricius, 1803 (Hemiptera: Cimicidae) and first report of C. lectularius Linnaeus, 1758, in Madagascar. J Med Entomol 2022;59:1081-5.
    Pubmed CrossRef
  24. Booth W, Saenz VL, Santangelo RG, Wang C, Schal C, Vargo EL. Molecular markers reveal infestation dynamics of the bed bug (Hemiptera: Cimicidae) within apartment buildings. J Med Entomol 2012;49:535-46.
    Pubmed CrossRef
PHWR
Dec 05, 2024 Vol.17 No.47
pp. 2019~2075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