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Split Viewer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5; 18(9): 399-429

Published online February 3, 2025

https://doi.org/10.56786/PHWR.2025.18.9.1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주간 건강과 질병」 보고 지침 개발

김수영 1*, 유석현 2, 류소연 3, 허선 4, 하미나 5, 최보율 6, 정원영 1

1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동성심병원 가정의학과, 2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3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4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과 의학교육연구소, 5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6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김수영, Tel: +82-2-2224-2409, E-mail: hallymfm@gmail.com

Received: December 30, 2024; Revised: January 24, 2025; Accepted: February 3, 2025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보고 지침은 ‘특정 유형의 연구 설계 결과를 보고할 때 저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잘 알려진 방법론에 따라 개발된 점검표, 흐름도’로 정 의할 수 있다. 보고 지침은 학술지의 질과 과학성을 제고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질병관리청의 학술지인 「주간 건강과 질병」에는 여러 가지 원고가 투고되고 있으며 주된 출판 유형에 대한 표준화된 원고작성 가이드가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주간 건강과 질병」의 주된 원고유형인 집단발병 보고, 조사 보고, 감시 보고, 정책 보고, 권고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과 해설서를 개발하는 것이다. 보고 지침 개발은 위원회 구성, 문헌 검토, 기존 보고 지침 검토, 초안 작성, 해설서 개발, 외부검토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집단발병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인 G-CORE (Guideline for Community Outbreak investigation REport), 감시 보고에 대한 보 고 지침인 G-SURE (Guideline for SUrvey REport), 조사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인 G-SIRE (Guideline for SurveIllance REport), 정책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인 G-SCOPE (Guideline for Standardize Criteria Of Policy rEporting), 권고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인 G-RECO (Guidelines for RECOmmendation reporting)와 해당 보고 지침에 대한 해설서가 개발되었다. 각 보고 지침은 제목, 초록, 요약, 배경, 방법, 결과, 논의, 기타정보로 구분하여 보고해야 할 항목을 다뤘고, 해설서는 개별 체크리스트에 대한 해설, 설명과 적절한 예시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보고 지침의 항목들이 투고원고에 적절히 구현될 수 있도록 교육, 템플릿 작성, 모니터링 등의 정책 수단이 필 요할 것이며, 추후 보고의 질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주요 검색어 보고 지침; 집단발병; 조사; 감시; 정책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보고 지침은 ‘특정 유형의 연구 설계 결과를 보고할 때 저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잘 알려진 방법론에 따라 개발된 점검표, 흐름도, 또는 작성 틀’이다. 보고 지침은 학술지의 질을 높힐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과학성을 제고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주간 건강과 질병」의 주된 원고유형인 집단발병 보고, 조사 보고, 감시 보고, 정책 보고, 권고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과 해설서를 개발하였다.

③ 시사점은?

보고 지침의 항목들이 투고원고에 적절히 구현될 수 있도록 교육, 템플릿 작성, 모니터링 등의 정책 수단이 필요할 것이며, 추후 보고의 질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보고 지침(reporting guideline, 원고작성가이드)은 ‘특정 유형의 연구 설계 결과를 보고할 때 저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잘 알려진 방법론에 따라 개발된 점검표(checklist), 흐름도(flow diagram), 또는 작성 틀(structured text)’로 정의할 수 있다[1]. 보고 지침을 사용하면 보고의 질이 향상되며[2,3], 보고 지침을 사용하여 동료심사를 시행하면, 심사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보고 지침은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에 대한 보고 지침인 CONSORT (Consolidated Standards of Reporting Trials) [5]가 발표된 후 활발하게 개발되었으며, 현재 의학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보고 지침은 500개가 넘는다. 거의 모든 보고 지침은 EQUATOR (Enhancing the Quality and Transparency of Health Research; http://www.equator-network.org)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구자는 원고와 프로토콜을 작성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보고지침의 주요 사용자이다. 수많은 보고 지침이 개발되었으며 검토할 원고에 가장 적합한 보고 지침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하지만 모든 연구 디자인에 대해서 보고 지침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질병관리청의 학술지인 「주간 건강과 질병」에는 여러 가지 원고가 투고되고 있으며 주된 출판 유형은 집단발병 보고(outbreak reports), 조사 보고(survey reports), 감시 보고(surveillance reports), 정책 보고(policy notes), 권고 보고(recommendation reports)이다. 이들은 대부분 연구 디자인으로 환자군 연구에 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표준화된 원고작성 가이드가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주간 건강과 질병」 원고의 특성을 고려한 원고 작성가이드를 개발하여 원고 내용의 전문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주간 건강과 질병」의 주된 출판 유형인 집단발병 보고, 조사 보고, 감시 보고, 정책 보고, 권고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을 개발하기 위해 1) 위원회 구성, 2) 문헌 검토, 3) 기본 보고 지침 검토, 4) 초안개발, 5) 외부검토의 단계를 거쳤다.

1. 위원회 구성

보고 지침을 개발하기 위해 공중보건 전문가, 방법론 전문가, 학술지 편집인 등을 위원으로 하는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위원회에서는 보고 지침 개발 절차, 문헌검토 방안, 보고 지침 활용 방안 등을 협의하였다. 개발절차는 EQUATOR network에서 제안한 표준화된 방법론[6]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2. 문헌검토

「주간 건강과 질병」 (https://www.phwr.org/journal/archives.html), MMWR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https://www.cdc.gov/mmwr/index.html), EuroSurveillance (https://www.eurosurveillance.org/)에서 집단발병 보고, 조사 보고, 감시 보고, 정책 보고, 권고 보고의 논문을 찾아, 해당 논문의 구성, 보고내용, 유형 등을 검토하였다.

3. 기존 보고 지침 검토

보고 지침 개발을 위해 참고할 기존 보고 지침을 선정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ORION (Outbreak Reports and Intervention studies Of Nosocomial infection) statement

병원내 감염에 대한 유행 보고와 중재 연구에 대한 보고 지침이다. 유행 보고의 보고항목을 검토하기 위해 선정하였다[7].

2) RECORD (REportingof studies Conducted using Observational Routinely-collected health Data) statement

연구를 위한 광범위한 자원(예: 질병 등록), 임상 관리(예: 일차 진료 데이터베이스), 보건 시스템 계획(예: 건강 관리 데이터), 임상 진료 문서(예: 전자 건강 기록 데이터 저장소), 역학 감시(예: 암 등록)의 제공 등에 사용되는 보고 지침이다. 조사 보고와 감시 보고의 보고내용을 검토하기 위해 선정하였다[8].

3) 환자군연구의 보고 지침

대표적인 것으로 외과에 대한 Preferred Reporting Of CasESeries in Surgery (PROCESS) [9]와 성형외과 관련 보고지침[10]이 있다. 「주간 건강과 질병」에 포함된 문헌들의 연구 디자인 중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군연구의 보고항목을 검토하기 위해 선정하였다.

4) STROBE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statement

가장 대표적인 관찰연구 보고 지침으로 관찰연구의 보고에 있어 기본이 되고 있다. 관찰연구들의 전체적인 체계와 구성 항목 등을 검토하기 위해 선정하였다[11].

5) TREND (Transparent Reporting of Evaluations with Nonrandomized Designs)

비무작위 임상시험에 대한 보고 지침으로, 비무작위연구에 대한 내용 검토를 위해 선정하였다[12].

6) CONSISE (Consortium for the Standardization of Influenza Seroepidemiology) statement

독감의 혈청역학연구에 대한 보고 지침이다. 유행 보고나 감시 보고 중에서 포함될 수 있는 혈청역학적인 내용을 검토하기 위해 선정하였다[13].

7) STROME-ID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molecular epidemiology for infectious diseases) statement

감염병의 분자역학 논문의 보고 지침이다. 유행 보고나 감시 보고 중에서 포함될 수 있는 분자 역학적인 내용을 검토하기 위해 선정하였다[14].

8) 진료 지침의 보고 지침

진료 지침의 대표적인 보고 지침은 Reporting Items for Practice Guidelines in Healthcare (RIGHT) [15]와 Appraisal of Guidelines, Research and Evaluation (AGREE) [16]이다. 권고 보고의 전체적인 체계와 구성 항목 등을 검토하기 위해 선정하였다.

4. 보고 지침의 기본적인 포맷의 결정

보고항목의 기본 포맷을 제목, 초록, 서론, 방법, 결과, 결론, 기타 정보 등으로 구분하기로 하였다. 초록과 구분되는 핵심요약을 통해 연구의 의의를 기술하게 하였다. 서론에는 배경/필요성과 목적을, 방법에는 연구 디자인, 대상자, 측정변수, 자료원, 분석 방법, 통계방법, 결측치 등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결과에는 대상자 특성과 주 결과(기술적 결과, 분석적 결과)를 제시하도록 하였고, 고찰에는 결과요약, 해석, 제한점, 결론과 의의의 내용을 담도록 하였다. 기타정보에는 윤리적 측면, 자금원, 감사의 글, 이해충돌, 저자기여, 참고문헌, 자료공유, 부록의 내용을 담도록 하였다.

5. 초안 작성

기본적인 포맷에 따라 보고항목을 구성하되, 개별 원고 종류에 따는 특성을 반영하여 보고 지침 초안을 개발하였다. 집단발병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은 G-CORE (Guideline for Community Outbreak investigation REport), 조사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은 G-SURE (Guideline for SUrvey REport), 감시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은 G-SIRE (Guideline for SurveIllance REport), 정책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은 G-SCOPE (Guideline for Standardize Criteria Of Policy rEporting), 권고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은 G-RECO (Guidelines for RECOmmendation reporting)라고 명명하였다. 개별 보고 지침의 해설서는 각 항목에 대한 설명과 예시로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6. 외부검토

개별 보고 지침에 대해 해당 영역의 전문가를 2–5인 선정하여 외부검토를 받았고 받은 피드백을 검토하여 필요한 부분을 수정하였다.

7. 프로토콜 발행

이 5가지 보고 지침 가운데 정책 보고 지침(G-SCOPE)을 제외한 4종은 프로토콜을 발행하였다[17-20].

총 5개의 보고 지침(G-CORE, G-SURE, G-SIRE, G- SCOPE, G-RECO)의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고 이에 대한 해설서를 개발하였다. 5개 보고 지침의 대략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집단발병 보고 지침

집단발병 보고 지침(G-SCOPE)은 지역사회 주민과 특정 인구집단, 시설과 기관 등에서 발생한 집단발병(outbreak) 혹은 유행(epidemic)에 대한 조사(investigation)에서 시작부터 종료까지의 1) 집단발병과 유행의 인지와 계기; 2) 조사 내용과 방법; 3) 조사 결과; 4) 방역 조치와 효과 및 영향; 5) 종결 등의 과정을 적절히 기술하도록 하는 도구이다(표 1).

표 1. 집단발병 보고 지침의 항목
No영역/주제항목
제목, 초록, 요약
1제목

제목에 집단발병 조사 보고(outbreak investigation report)임을 기술한다(또는 제목에 콜론(:) 다음에 집단발병 조사 보고임을 기술한다).

질병명(건강 문제), 시점(연도, 월), 장소(국가, 지역), (필요시) 대상자 특성을 기술한다.

조사 결과 감염원과 전파경로와 관련하여 주요한 발견이 있는 경우 제목에 반영한다.

2초록

목적(Objectives), 방법(Methods), 결과(Results), 결론(Conclusions)으로 구조화된 형태로 작성한다.

목적: 조사 대상이 된 건강 문제의 일반적인 현황과 조사 수행의 계기와 목표를 기술한다.

방법: 조사 시행 시기와 장소, 대상자를 기술하고, 사례 정의와 연구 설계와 조사 내용과 방법, 자료 분석법을 기술한다.

결과: 조사와 자료 분석을 통해 파악한 대상자 특성, 건강 문제의 특성, 시간과 공간적 분포, 감염원과 전파경로, 유행과 확산 양상과 관여 요인, 방역 조치와 그 결과를 기술한다.

결론: 결과를 요약하고 공중보건학적 함의를 밝힌다.

3요약

이미 알려진 것, 새로 알게 된 내용과 시사점으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이미 알려진 것: 기존의 건강 문제의 특성과 발병 양상을 기술한다.

새로 알게 된 내용: 이 조사로 밝혀진 새로운 결과를 기술한다.

시사점: 공중보건학적 함의를 기술한다.

서론
4조사 계기 및 특성지표 사례의 인지 시점을 포함하여 조사 시작의 계기와 현황(대상이 된 건강 문제의 역학적, 임상적 특성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중요성을 설명한다.
5목적조사의 목적(가설 포함)과 구체적 목표를 제시한다. (필요시) 세부 목표를 기술한다.
방법
6생활환경 정보조사 대상자의 생활환경으로서 지역사회 혹은 인구집단의 특징을 기술한다.
7사례 정의와 발견 방법조사 대상인 질병 혹은 증후군의 사례 정의와 사례 발견을 위한 조사 방법을 기술한다.
8병원체 확인병원체 확인을 위한 검체의 확보 체계와 검사 방법, 검사 시행 기관을 명시한다.
9역학/임상적 특성임상적 특징의 파악과 역학적 지표의 산출 방법을 기술한다.
10전파와 확산 과정과 관련 요인

병원소(혹은 감염원)로부터 숙주까지의 전파 과정과 지역사회 혹은 인구집단에서 확산 과정 파악을 위한 조사 방법을 기술한다.

집단발병에 관여한 직접 혹은 간접 위험 요인 파악을 위한 방법을 기술한다.

11방역 조치방역 조치를 정하고 반영하는 과정을 기술한다.
12연구 설계와 자료 분석조사에 이용한 연구 설계와 통계 방법, 통계 소프트웨어 등을 적는다.
결과
13기술 역학적 특성집단발병의 시간과 장소, 사람 특성에 따른 역학적 특성을 기술하고, 유행 판단을 위한 근거를 제시한다.
14병원체 확인 결과확보한 인체와 환경 검체를 이용하여 미생물학 혹은 면역학,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원인 병원체를 동정한 결과를 기술한다.
15임상적, 역학적 특성임상 증상 발생 양상과 이환과 의료 이용, 사망 등의 건강 지표와 환자-숙주 상호작용 지표의 산출 결과를 기술한다.
16감염원과 전파 과정, 유행 확산 과정과 관련 요인전파와 확산 과정을 기술하고 관련 요인 분석 결과를 연관성 지표와 함께 기술한다.
17방역 조치 내용과 결과

조사에서 밝힌 근거를 기반으로 집단발병을 통제하기 위해 시행된 방역 조치를 기술한다.

방역 조치 실행의 내용을 설명하고 해당 조치의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기술한다.

논의(결론)
18결과 요약조사 목적에 비추어 주요 결과를 요약한다.
19집단발병 특징국내외 유사 사례, 연구와 비교하여 이 집단발병의 특이점을 기술한다.
20해석조사 결과를 해석하고 고찰한다.
21제한점조사의 제한점과 장애 요인을 기술하고 향후 과제를 제안한다.
22결론과 의의결론을 제시하고, 보건학적 시사점 혹은 의의를 제시한다. (필요시) 향후 필요한 과제를 제시한다.
기타 정보(투고 양식에 포함, 자료공유‧부록 별도)
23윤리선언윤리 선언을 기술한다. IRB 승인, 대상자 동의(informed consent) 여부를 기록한다. 동의가 필요 없으면 그 사안을 기술한다.
24자금원자금원과 관련된 정보(연구지원 기관, 연구비 번호, 기관의 역할)를 기술한다. 연구비 지원이 없는 경우 없다고 기술한다.
25감사의 글연구에 기여하였지만 저자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이나 단체가 연구 수행과 관련하여 기여한 내용을 밝힌다.
26이해충돌이해 상충 여부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면 어떤 내용인지 기술한다.
27저자기여원고 작성에 있어서 각 저자별로 기여 사항을 기술한다.
28참고문헌제시된 양식에 따라 각종 참고 문헌을 명시한다.
29자료공유(필요시) 연구 정보 접근 방법을 기술한다.
30부록(필요시) 본문에 제시하지 않으나 결과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2. 조사 보고 지침

조사 보고 지침(G-SURE)은 여러 가지 조사연구의 내용을 보고할 때 사용하는 보고 지침이다(표 2). 조사 보고의 여러 내용 중, 역학적인 내용을 주로 다루며, 심리조사나 교육관련 조사가 아닌 해당하는 질환이나 건강 상태에 관한 설문 조사도 포함된다. 감염병, 만성질환, 환경성 질환, 외인성질환을 비롯하여 다양한 건강 상태에 해당하는 모든 분야를 다룬다. 조사 보고 지침의 대상에서 감시 보고는 제외되는데, 조사 보고는 어떤 것을 측정하고 기록하기 위해 관찰한 내용을 보고하며,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표준화된 조사를 반복적으로 조사하여 보고하는 감시 보고와는 구별된다.

표 2. 조사 보고 지침의 항목
No영역/주제항목
제목, 초록, 요약
1제목

제목에 조사 보고(survey report)임을 기술한다(또는 제목에 콜론(:) 다음에 조사 보고임을 기술한다).

질병명, 시점(연도, 월), 장소(국가, 지역), (필요시) 대상자 특성을 기술한다.

2초록

목적(Objectives), 방법(Methods), 결과(Results), 결론(Conclusions)으로 구조화된 형태로 작성한다.

목적: 원고 작성의 간략한 배경과 목적을 제시한다.

방법: 자료원, 대상자 정의 및 규모, 주요 변수, 통계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결과: 조사 또는 분석 결과를 기술한다

결론: 결과를 요약하고 공중보건적 함의를 밝힌다.

3요약

이미 알려진 것, 새로 알게 된 내용과 시사점으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이미 알려진 것: 기존에 보고된 유사한 조사 보고 내용을 기술한다.

새로 알게 된 내용: 해당 조사 결과 요약 및 기존 조사와의 차별성을 제시한다.

시사점: 보건학적 함의를 기술한다.

서론
4배경조사를 시행하게 된 배경과 현황, 중요성(과학적 배경과 이론적 근거)을 설명한다.
5목적조사의 목적(purpose) 와 구체적인 목표(goal) 기술한다.
방법
6연구 디자인조사자, 조사기간, 조사 장소, 대상시설 및 모집단 규모 등을 기술한다.
7대상자

대상자 선정(표본 추출)이 대상 모집단을 반영해 확률적으로 선정되었는 지 여부를 기술하고, 응답률과 선정된 대상자 중에서 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의 규모와 이유를 기술한다

(필요시) 전체 대상, 분석 대상, 실제 분석대상 등을 흐름도로 제시한다.

8측정변수대상 집단의 특성과 결과변수(outcome variable), (필요시) 잠재적 교란 요인(potential confounders) 등을 제시한다.
9자료원과 분석 방법기존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는 경우, 출처와 자료 분석 방법을 기술한다. 조사 도구의 구성과 내용을 간략히 기술한다. 설문조사인 경우 측정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사전조사 내용 등을 기술한다.
10통계방법통계 분석 방법을 기술한다. 통계 분석 프로그램 사용한 경우 이를 기술한다.
11결측치누락된 데이터(결측치)를 어떻게 처리하였는지 설명한다.
결과
12대상자 특성표본의 특성과 조사 모집단 특성을 비교한다.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기술한다.(다양한 특성이 포함된 경우, 표로 작성한다), (필요시) 대상자 등을 흐름도로 제시한다.
13주 결과유병율, 발생율, 사망률 , 양성율, Odds ratio, relative ratio, 평균차 등 통계 분석결과를 기술한다.
논의(결론)
14결과 요약연구목적에 비추어 주요 결과를 요약한다.
15해석연구 목적, 한계, 분석의 다양성, 유사 연구 결과 및 기타 관련 증거에 근거하여 결과에 대한 해석을 제시한다.
16제한점(필요시) 대상자, 측정, 분석도구 등 연구 수행과 관련된 제한점 및 장애요인을 제시한다
17결론과 의의연구 목적에 따른 결론을 제시한다. (필요시)일반화 가능성 등 보건학적 시사점 혹은 의의를 제시한다. (필요시) 향후 필요한 과제를 제시한다.
기타 정보(투고 양식에 포함, 자료공유‧부록 별도) 
18윤리선언윤리선언을 기술한다. IRB 승인, 대상자 동의(informed consent) 여부를 기록한다. 동의가 필요 없으면 그 사안을 기술한다.
19자금원자금원과 관련된 정보(연구지원 기관, 연구비 번호, 기관의 역할)를 기술한다. 연구비 지원이 없는 경우 없다고 기술한다.
20감사의 글연구에 기여하였지만 저자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이나 단체가 연구수행과 관련하여 기여한 내용을 밝힌다.
21이해충돌이해 상충 여부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면 어떤 내용인지 기술한다.
22저자 기여원고 작성에 있어서 각 저자별로 기여사항을 기술한다.
23참고문헌제시된 양식에 따라 각종 참고 문헌을 명시한다.
24자료공유(필요시) 연구 정보 접근 방법을 기술한다.
25부록(필요시) 본문에 제시하지 않으나 결과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석 결과등을 제시한다.


3. 감시 보고 지침

감시체계(surveillance system)는 질병 관리의 계획과 수행, 평가를 위해 역학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감시 보고는 국가 또는 국제적인 조사/감시 체계 자료 기반의 질환, 병원체, 건강 이슈 등에 대한 역학적 변화 추세에 대해 분석하고 보고하는 것이다. 감시 보고는 1) 질병 신고자료, 2) 인구 생정통계자료, 3) 기타 건강조사자료 및 위험인자에 관한 정보, 4) 환경요인 노출 여부에 관한 정보, 5) 기존의 보건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6) 타기관에서 수집된 자료이나 보건학적으로 유용한 정보, 7) 의료체계에 관한 정보 및 이들이 지역사회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 보고하게 된다(표 3).

표 3. 감시 보고 지침의 항목
No영역/주제항목
제목, 초록, 요약
1제목

제목에 감시 보고(surveillance report)임을 기술한다(또는 제목에 콜론(:) 다음에 감시 보고임을 기술한다).

질병명, 시점(연도), 장소(국가, 지역), (필요시) 대상자 특성을 기술한다.

연구에 사용한 감시체계의 데이터베이스 명칭을 기술한다(부제목 가능).

2초록

목적(Objectives), 방법(Methods), 결과(Results), 결론(Conclusions)으로 구조화된 형태로 작성한다.

목적: 원고 작성의 간략한 배경과 목적을 제시한다.

방법: 분석 자료원, 대상자 정의 및 규모, 주요 변수, 통계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결과: 기준이 되는 지표에 따른 결과를 제시하고, 관련성 분석을 실시한 경우에 주요 관련 요인을 제시한다.

결론: 결과를 요약하고 공중보건적 함의를 밝힌다.

3요약

이미 알려진 것, 새로 알게 된 내용과 시사점으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이미 알려진 것: 감시 중인 상태에 대한 기존 감시 보고 내용을 기술한다.

새로 알게 된 내용: 감시조사 결과 요약 및 기존 감시조사와의 차별성을 제시한다.

시사점: 현 감시체계의 보건학적 함의(지표 개선을 위한 정책 방향, 시사점 제시)를 기술한다.

서론
4배경/필요성

감시를 시행하게 된 배경과 현황, 중요성(과학적 배경과 이론적 근거)을 설명한다.

(필요시) 자료원이 되는 감시체계에 대하여 목적, 운영방법, 산출결과 등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을 포함한다.

5목적감시의 목적(purpose, 가설 포함)을 제시한다.
방법
6연구 디자인연구 디자인(단면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코호트 연구 등)을 밝힌다.
7자료원이용하는 감시체계의 자료원에 대한 설명과 자료 수집시기, 목적에 맞는 대상자(건)의 선정방법을 설명한다. (필요시) 타 자료와 연계 시, 연계 자료원과 연계 방법을 설명한다.
8대상자

분석 대상의 정의, 선정기준(혹은 제외기준)을 제시하고, 선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최종 분석 대상의 규모를 제시한다.

(필요시) 전체 대상, 분석 대상, 실제 분석 대상 등을 흐름도로 제시한다.

9자료 수집/측정 방법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신고, 설문조사; PAPI/CAPI, 계측 등)을 설명한다.
10자료품질

신고‧보고의 완결성, 정확성 등 감시체계 관련 자료의 품질 평가 방법을 기술한다.

누락된 자료는 어떻게 조사하고 해결하였는지 설명한다.

11변수이용하거나 수집한 변수에 대해 종속변수, 독립변수(노출), 교란변수를 구분하고, 각 변수의 정의와 분류 방법을 자세하게 기술한다.
12통계분석방법결과 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통계 패키지를 제시하고, 결과 분석 처리 과정(가중치, 결측치 처리 등)을 설명하고, 결과 제시 방법과 분석 방법(기술통계, 단변량분석, 다변량분석)을 설명한다.
결과
13대상자 특성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소개: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구성을 제시할 수 있는 분포를 소개한다.
14기술통계결과, 노출(예측인자), 잠재적 교란변수와 효과수정 변수에 대한 기술역학적 정보를 제시한다.
15분석통계

연구의 종속변수의 현황과 관련된 단변량 분석 결과 제시: 해당되는 대상자 수와 측정값(지표) 제시한다(유의성 결과 포함).

(시행한 경우) 다변량분석 결과 제시: 종속변수가 범주형일 경우 비차비(오즈비) 혹은 상대위험도와 95% 신뢰구간 제시, 연속형일 경우 관련성 지표(회귀계수와 유의성 검정 결과)를 제시한다.

(필요시) 하위그룹 분석, 상호작용 분석 등을 시행한 결과를 제시한다(내용의 맥락에 따라 부록으로 제시 가능).

논의
16결과 요약연구 목적에 비추어 주요 결과를 요약한다.
17해석다른 유사 선행연구나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결과에 대한 해석을 제시한다.
18제한점연구 수행과 관련된 제한점 및 장애요인을 제시한다(연구설계, 감시체계 수집 자료, 결과 해석 등 관련).
19결론과 의의연구 목적에 따른 결론을 제시하고, 보건학적 시사점 혹은 의의를 제시한다. (필요시) 향후 필요한 과제를 제시한다.
기타 정보(투고 양식에 포함, 자료공유‧부록 별도)
20윤리 선언윤리 선언을 기술한다. IRB 승인, 대상자 동의(informed consent) 여부를 기록한다. 동의가 필요 없으면 그 사안을 기술한다.
21자금원자금원과 관련된 정보(연구지원 기관, 연구비 번호, 기관의 역할)를 기술한다. 연구비 지원이 없는 경우 없다고 기술한다.
22감사의 글연구에 기여하였지만 저자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이나 단체가 연구수행과 관련하여 기여한 내용을 밝힌다.
23이해충돌이해 상충 여부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면 어떤 내용인지 기술한다.
24저자 기여원고 작성에 있어서 각 저자별로 기여사항을 기술한다.
25참고문헌제시된 양식에 따라 각종 참고 문헌을 명시한다.
26자료공유(필요시) 연구 정보 접근 방법을 기술한다.
27부록(필요시) 본문에 제시하지 않으나 결과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없으면 없다고 기술하거나 생략한다.


4. 정책 보고 지침

정책 보고란 보건의료정책, 즉 국민의 건강보호와 증진을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및 보건의료기관 또는 보건의료인의 활동과 관련한 법과 제도, 수요와 공급 등 시책의 수립(개발), 추진(이행), 결과 및 평가, 제안 등의 주제를 다루는 원고를 말한다. 이 지침이 안내하는 구체적인 정책 보고의 원고 유형은 다음과 같다(표 4): 1) 정책에 대한 사례와 동향(policial case report/review) 보고; 2) 정부의 정책 개발, 대책과 계획(policy development and planning) 보고; 3) 법령의 제정 혹은 개정(enactment and amendment of laws and regulation) 보고; 4) 정책 이행의 결과 또는 효과에 대한 평가(policy performance and/or effectiveness evaluation) 보고.

표 4. 정책 보고 지침의 항목
No영역/주제항목
제목, 초록, 요약
1제목

제목에 정책 보고임을 기술한다(또는 제목에 콜론(:) 다음에 정책 보고임을 기술한다).

해당 정책명을 기술한다.

시점, 장소, (필요시) 정책 공급자(시행자) 및 소비자(대상자)를 알 수 있도록 한다.

2초록

목적(Objectives), 방법(Methods), 결과(Results), 결론(Conclusions)으로 구조화된 형태로 작성한다.

목적: 해당 정책, 보고의 계기 및 목적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방법: 보고의 유형(①사례‧동향 보고, ②정책 개발‧대책‧계획, ③법령‧규정의 제정‧개정, ④정책 이행의 결과‧효과 평가), 연구설계 또는 사용된 조사‧개발‧평가 방법을 기술한다.

결과: 정책 조사/개발/평가를 통하여 파악한 주요 결과를 제시한다.

결론: 결과를 요약하고 공중보건적 함의를 밝힌다.

3요약

이미 알려진 것, 새로 알게 된 내용과 시사점으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이미 알려진 것: 기존 정책의 현황과 문제, 보고의 목적을 기술한다.

새로 알게 된 내용: 핵심 결과의 특징(정책목표, 정책대안 또는 권고사항)을 기술한다. (필요시) 기존 정책과 비교하여 구별되는 점을 기술한다.

시사점: 공중보건정책적 함의(기술적, 보건학적, 사회경제적 기대효과 등)를 기술한다.

서론
4배경/필요성정책이 필요한 근거(해결해야 할 보건 이슈, 문제점과 현황 등)를 기술한다.
5목적해당 정책의 목적(purpose)을 기술한다.
방법
6정책의 이해관계자와 환경

해당 정책 서비스에 관계하는 일차 인구집단을 기술한다.

정책의 입안자(개발자), 공급자(시행자), 소비자(대상자, 수혜자), 또는 잠재적 피해자(반대자)에 대해 기술한다.

(필요시) 이해관계자들의 관심‧이해를 기술한다.

해당 정책이 시행되는 환경(장소, 시점‧기간 등)을 기술한다

7정책의 맥락

(필요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보건의료서비스적 측면에서 해당 정책의 흐름(배경)과 역할, 위치, 정책개발 혹은 개선에 대한 요구도 등을 기술한다,

요구도는 ① 관련된 질병의 분포/양상 변화, ② 법적 요구, ③ 관련 부처‧분야의 요구, ④ 관련 정책과 지침의 변화 등 다양할 수 있으며, 해당 내용을 명확하게 기술한다.

8보고의 유형과 방법

해당 정책 보고의 유형(①사례‧동향 보고, ②정책 개발‧대책‧계획, ③법령‧규정의 제정‧개정, ④정책 이행의 결과‧효과 평가)과 사용한 방법(현황조사, 문헌조사와 고찰 등)을 기술한다.

보고유형 ①과 ④의 경우, 연구의 설계를 기술한다.

질적연구(문헌고찰, 집단면접, 인터뷰 등), 양적연구(문헌고찰, 관찰연구; 단면연구, 환자대조군연구, 코호트연구 등, 실험연구; 무작위시험, 준실험연구 등) 등 기술

보고유형 ②, ③, ④의 경우, 정책목표 설정 방법, 정책 수단, 의사결정체계를 가능한 범위에서 기술한다.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 방법을 포함한 정책에 대한 의사결정 체계 또는 정책수립과정에 대한 기술 포함

결과(보고의 유형에 따라 필요한 항목 적용)
9사례‧동향 조사 결과(보고유형 ①)문헌조사‧고찰 혹은 현황조사의 결과를 제시한다.
10개발‧대책‧계획, 법령‧규정 제‧개정 결과(보고유형 ②, ③)

정책의 내용, 활동 계획, 법령‧규정의 제‧개정 내용 등을 기술한다.

가능한 국내외의 과거 또는 현재 정책과 비교하여 차별성 및 개선점 부각

11이행‧효과 평가 결과(보고유형 ④)

(필요시) 평가대상 지표들의 기술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필요시) 고려한 제3의 변수들에 대한 기술분석 결과를 함께 제시한다.

정책의 이행결과‧효과에 대한 최종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12이해관계자의 의사결정 참여 결과(모든 보고유형)(필요시) 정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의 의사결정 참여 결과를 제시한다.
13정책의 기대효과 (모든 보고유형)

모든 측면에서(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보건의료적, 심리적, 개인적 등) 해당 정책이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 영향 등을 기술한다.

모든 측면에서(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보건의료적, 심리적, 개인적 등) 해당 정책이 초래할 수 있거나 초래된 부정적 영향, 의도하지 않은 효과 등을 기술한다.

논의(결론)
14결과요약정책 보고의 목적과 보고유형에 비추어 주요 결과를 요약한다.
15제한점 및 결론정책 보고의 목적과 보고유형에 비추어, 강점과 제한점, 기존 유사‧관련 정책과 비교, 결론과 함의를 기술한다.
16정책 개선방안 또는 제안(보고유형 ①, ④)기존 정책의 개선 방안이나 새로운 정책 제안을 기술한다.
기타 정보(투고 양식에 포함, 자료공유‧부록 별도)
17윤리선언윤리선언을 기술한다. IRB 승인, 대상자 동의(informed consent) 여부를 기록한다. 동의가 필요 없으면 그 사안을 기술한다.
18자금원자금원과 관련된 정보(연구지원 기관, 연구비 번호, 기관의 역할)를 기술한다. 연구비 지원이 없는 경우 없다고 기술한다.
19감사의 글연구에 기여하였지만 저자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이나 단체가 연구수행과 관련하여 기여한 내용을 밝힌다.
20이해충돌이해 상충 여부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면 어떤 내용인지 기술한다. 본문에서 서술 시 생략 가능하다.
21저자 기여원고 작성에 있어서 각 저자별로 기여사항을 기술한다.
22참고문헌제시된 양식에 따라 각종 참고 문헌을 명시한다.
23자료공유(필요시) 연구 정보 접근 방법을 기술한다.
24부록(필요시) 본문에 제시하지 않으나 결과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5. 권고 보고 지침

진료 지침은 ‘특정한 임상적 상황에서 의사와 환자의 의사결정을 돕기위해 체계적으로 개발된 권고안’으로 정의된다. 질병관리본부에서도 다수의 임상진료지침을 개발하고 있지만 다만 일반적인 임상진료지침과는 달리 질병의 예방(선별이나 예방접종 같은 주제)의 진료 지침을 개발하고 있으며, 일부 질환(성매개 질병, 결핵 등 감염병 등)에 대한 임상진료지침도 개발하고 있다. 권고 보고 지침(G-RECO) (표 5)은 그러한 내용의 권고 보고를 할 때 필요한 보고 지침이다.

표 5. 권고 보고 지침의 항목
No영역/주제항목
제목, 초록
1제목

제목에 권고 보고임을 명시한다(또는 제목에 콜론(:) 다음에 권고 보고임을 기술한다).

질병명(건강문제), 개발연도(혹은 버전)과 주요 영역(진단, 예방접종, 치료, 관리 등)을 기술한다.

2초록

목적(Objectives), 방법(Methods), 결과(Results), 결론(Conclusions)으로 구조화된 형태로 작성한다.

목적: 건강문제, 대상 인구집단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방법: 개발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결과: 주요 권고안의 근거 내용, 주요 권고 내용을 제시한다.

결론: 결과를 요약하고 권고안의 정책적 함의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다.

3요약

이미 알려진 것, 새로 알게 된 내용과 시사점으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이미 알려진 것: 기존 권고 현황과 문제, 지침 개발의 목적을 기술한다.

새로 알게 된 내용: 기존 권고와 비교하여 구별되는 점을 기술한다.

시사점: 공중보건정책적 함의(기술적, 보건학적, 사회경제적 기대효과 등)를 기술한다.

배경
4건강문제에 대한 기술해당 건강문제의 역학 정보(유병률/발생률, 이환율, 사망률 등), 부담(비용), 사회 문화적 문제, 의료 제도 환경적 문제(혹은 배경) 등을 기술한다.
5대상 인구집단권고 대상 인구집단(혹은 대상 건강문제)을 기술한다.
6목표 사용자와 사용 환경

권고의 목표 사용자(일차진료의사, 특정 영역 전문의, 정책결정자 등)에 대해 기술한다.

사용 환경(일차진료, 보건소, 입원실, 지역사회 등)을 기술한다.

7권고 개발그룹권고 보고의 기초가 되는 진료지침 개발에 참여한 모든 개인의 이름, 소속기관, 직위, 개발그룹 내에서 역할을 기술한다.
근거
8핵심 질문권고의 핵심질문에 따라 개발된 경우, 핵심 질문 문장과 PICO (P [patient], I [intervention], C [comparator], O [outcome]) 형식으로 제시한다. 다른 방법론을 적용시 그에 따른다.
9건강결과권고 결정에 고려할 건강결과는 어떻게 선정되고 분류되었나를 기술한다.
10근거평가

현재 권고 개발을 위해 신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했는지, 기존의 체계적 문헌고찰을 이용했는지 혹은 수용개작하였는지를 명시한다.

문헌고찰을 어떻게 수행하였는지 명시한다(검색방법, 포함/배제 기준, 비뚤림 위험 평가, 자료 합성 방법[메타분석, 질적 합성] 등).

11근거수준

근거수준을 평가한 방법을 제시한다.

근거수준 등급과 그 의미를 제시한다.

권고
12권고등급

권고 등급을 선정한 방법을 제시한다.

권고 등급을 제시한다.

13권고 도출에 고려한 사항

권고 도출에 고려한 권고 적용에 따른 이득과 위험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권고 도출에 대상 인구집단의 가치와 선호도를 고려하였는지를 기술한다. (필요시) 가치와 선호도를 확인한 접근법이나 방법을 기술한다.

권고 도출에 비용과 자원 등을 고려하였는지를 기술한다. (필요시) 비용과 자원 함의를 확인한 방법(비용-효과 분석 등)과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한다.

권고 도출에 고려한 다른 요인(예를 들어 형평성, 편의성, 수용성 등)이 있으면 기술한다.

14근거 도출 방법론권고 도출을 위해 사용한 방법(예: 투표, 델파이법, 합의 회의 등)을 기술한다.
15권고문

권고문을 모호하지 않고, 행동가능한 내용으로 제시한다.

하위 집단에 따라서 이득과 위해의 저울질 같은 권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른 경우 하위 집단에 따라서 권고문을 분리하여 제시한다.

검토와 갱신
16외부검토권고 초안에 대해서 외부검토가 시행되었는지 기술한다. (필요시) 외부검토를 시행하였다면, 방법과 검토를 받은 방법과 처리 방법을 기술한다.
17갱신권고가 향후 갱신될 예정인지,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떤 기준으로 갱신여부를 결정할지를 기술한다.
기타 정보(투고 양식에 포함, 자료공유·부록 별도)
18윤리선언윤리선언을 기술한다. IRB 승인, 대상자 동의(informed consent) 여부를 기록한다. 동의가 필요 없으면 그 사안을 기술한다.
19자금원자금원과 관련된 정보(지원 기관, 연구비 번호, 기관의 역할)를 기술한다. 자체 개발자금인 경우, 자체자금원임을 밝힌다. 권고 개발과 실행에 자금제공자의 역할은 무엇인지 기술한다.
20감사의 글권고 도출에 기여하였지만 저자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이나 단체가 연구수행과 관련하여 기여한 내용을 밝힌다.
21이해충돌

개발그룹이 권고 개발에 이해관계가 있는지, 있다면 어떤 이해관계(재정적, 비재정적)가 있는지 명시한다.

이해충돌을 어떻게 평가하고 관리했는지 기술한다.

이해충돌이 없으면 없다고 기술한다.

22저자 기여도원고 작성에 있어서 각 저자별로 기여사항을 기술한다.
23참고문헌제시된 양식에 따라 각종 참고 문헌을 명시한다.
24접근성진료지침, 부록, 관련 문서에 어떻게 접근 가능한지 기술한다.
25부록근거의 간극과 추후 연구 필요성에 대한 제안을 기술한다. (필요시) 본문에 제시하지 않으나 결과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보고 지침은 ‘특정 유형의 연구 설계 결과를 보고할 때 저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점검표, 흐름도’를 말한다[1]. 「주간 건강과 질병」의 주요 출판 유형을 검토하였을 때 유사한 보고 지침은 존재하였지만, 일치하는 보고 지침은 찾을 수가 없었다. 그러한 이유로 표준적인 보고 지침 개발방법론[6]을 사용하여 「주간 건강과 질병」의 주요 원고 유형인 집단발병 보고, 조사 보고, 감시 보고, 정책 보고, 권고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을 개발하였고(G-CORE, G-SURE, G-SIRE, G-SCOPE, G-RECO), 해당 보고 지침의 해설서를 개발하였다.

기존에 ORION [7]이나 CONSISE statement [13] 같은 감염관련 보고 지침이 있었지만 지역사회 유행발생에 대한 보고 지침은 집단발병 보고 지침(G-CORE)이 최초라고 할 수 있다. 집단발병 보고 지침의 보고 항목에는 조사의 계기, 생활환경 정보, 전파 및 확산과정, 방역조치 같은 다른 유행 보고와는 구별되는 부분이 있다.

조사 보고와 감시 보고는 비슷한 부분이 있고 기존의 보고에서 이를 하나의 보고 지침으로 제시하는 경우도 존재하지만 분명히 다른 부분이 있어서 조사 보고 지침(G-SURE), 감시 보고 지침(G-SIRE)으로 구분하여 발표하였다. 현재 조사 보고에 대한 명확한 보고 지침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런 이유로 RECORD [8], STROBE [11], PROCESS [9]와 같은 유사한 보고 지침을 참조하여 만들 수밖에 없었다. 감시 보고도 거의 유사하지만, 자료원, 자료의 품질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정책 보고는 보건의료인의 활동과 관련한 법과 제도, 수요와 공급 등 시책의 수립(개발), 추진(이행), 결과 및 평가, 제안 등의 주제를 다룬다. 정책 보고는 매우 이질적인 내용을 다루기 때문에 하나의 보고 지침으로 다루기는 힘들 수 있다. 정책 보고 지침(G-SCOPE)은 그런 점을 감안하여 정책에 대한 사례와 동향, 정부의 정책 개발, 대책과 계획, 법령의 제정 혹은 개정, 정책 이행의 결과 또는 효과에 대한 평가로 나누어 방법에서는 보고의 유형과 방법 그리고 결과에서는 정책의 내용에 따라 보고내용을 달리하도록 하였다.

권고 보고의 경우 RIGHT [15]와 AGREE [16] 같은 임상진료지침 보고가 이미 정립이 되어 있다. 하지만 질병의 예방, 공공성이 강한 질환(예, 성병, 결핵 등)의 권고와 같이 공중보건적 성격이 있어서 별도의 보고 지침(G-RECO)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번 연구에는 동시에 여러 가지 보고 지침을 한꺼번에 개발하다 보니 개별 보고 지침의 내용에 대한 검토가 심도 있게 진행되지 않았을 수 있고, 국내에 보고 지침을 검토할 수 있는 전문가들이 많지 않아 외부검토가 충분히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 활동은 국내 전문가만으로 다수의 보고 지침을 개발한 것으로 의의를 둘 수 있고, 보고 지침 개발의 표준적인 방법론을 적용한 것 또한 의의라고 할 수 있다.

추후 이러한 보고 지침의 항목들이 투고원고에 적절히 구현될 수 있도록 교육, 템플릿 작성, 모니터링 등의 정책 수단이 필요할 것이며, 추후 보고의 질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funds (2023-02-59-0001, 2023-05-21-0001) from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Acknowledgments: None.

Conflict of Interest: Soo Young Kim, Sukhyun Ryu, So Yeon Ryu, Mina Ha, and Bo Youl Choi are editorial board members of the journal, but were not involved in the review process of this manuscript. Otherwise, there is no conflict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SYK, BYC, SH. Data curation: SYK, SHR, SYR, SH, MNH, BYC, WYJ. Funding acquisition: SYK, BYC. Investigation: SYK, SHR, SYR, SH, MNH, BYC, WYJ. Methodology: SYK, WYJ, SH. Writing – original draft: SYK, BYC. Writing – review & editing: SYK, SHR, SYR, SH, MNH, BYC, WYJ.

  1. Kim SY. An algorithm for the selection of reporting guidelines. Sci Ed 2023;10:13-8.
    CrossRef
  2. Zhai X, Wang Y, Mu Q, et al. Methodological reporting quality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 3 leading diabetes journals from 2011 to 2013 following CONSORT statement: a system review. Medicine (Baltimore) 2015;94:e1083.
    Pubmed KoreaMed CrossRef
  3. Kim KH, Kang JW, Lee MS, Lee JD.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reporting in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of acupuncture in the Korean literature using the CONSORT statement and STRICTA guidelines. BMJ Open 2014;4:e005068.
    Pubmed KoreaMed CrossRef
  4. Cobo E, Cortés J, Ribera JM, et al. Effect of using reporting guidelines during peer review on quality of final manuscripts submitted to a biomedical journal: masked randomised trial. BMJ 2011;343:d6783.
    Pubmed KoreaMed CrossRef
  5. Schulz KF, Altman DG, Moher D; CONSORT Group. CONSORT 2010 statement: updated guidelines for reporting parallel group randomized trials. Ann Intern Med 2010;152:726-32.
    Pubmed CrossRef
  6. EQUATOR Network. How to develop a reporting guideline [Internet]. University of Oxford; 2018 [updated 2018 Jun 28; cited 2024 Dec 4].
    Available from: https://www.equator-network.org/toolkits/developing-a-reporting-guideline/
  7. Stone SP, Cooper BS, Kibbler CC, et al. The ORION statement: guidelines for transparent reporting of outbreak reports and intervention studies of nosocomial infection. J Antimicrob Chemother 2007;59:833-40.
    Pubmed CrossRef
  8. Benchimol EI, Smeeth L, Guttmann A, et al. The REporting of studies Conducted using Observational Routinely-collected health Data (RECORD) statement. PLoS Med 2015;12:e1001885.
    Pubmed KoreaMed CrossRef
  9. Agha RA, Sohrabi C, Mathew G, Franchi T, Kerwan A, O'Neill N; PROCESS Group. The PROCESS 2020 guideline: updating consensus Preferred Reporting Of CasESeries in Surgery (PROCESS) guidelines. Int J Surg 2020;84:231-5.
    Pubmed CrossRef
  10. Coroneos CJ, Ignacy TA, Thoma A. Designing and reporting case series in plastic surgery. Plast Reconstr Surg 2011;128:361e-8e.
    Pubmed CrossRef
  11. von Elm E, Altman DG, Egger M, Pocock SJ, Gøtzsche PC, Vandenbroucke JP; STROBE Initiative.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STROBE) statement: guidelines for reporting observational studies. BMJ 2007;335:806-8.
    Pubmed KoreaMed CrossRef
  12. Des Jarlais DC, Lyles C, Crepaz N; TREND Group. Improving the reporting quality of nonrandomized evaluations of behavioral and public health interventions: the TREND statement. Am J Public Health 2004;94:361-6.
    Pubmed KoreaMed CrossRef
  13. Horby PW, Laurie KL, Cowling BJ, et al. CONSISE statement on the reporting of seroepidemiologic studies for influenza (ROSES-I statement): an extension of the STROBE statement. Influenza Other Respir Viruses 2017;11:2-14.
    Pubmed KoreaMed CrossRef
  14. Field N, Cohen T, Struelens MJ, et al.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Molecular Epidemiology for Infectious Diseases (STROME-ID): an extension of the STROBE statement. Lancet Infect Dis 2014;14:341-52.
    Pubmed CrossRef
  15. Chen Y, Yang K, Marušic A, et al. A reporting tool for practice guidelines in health care: the RIGHT statement. Ann Intern Med 2017;166:128-32.
    Pubmed CrossRef
  16. Brouwers MC, Kerkvliet K, Spithoff K; AGREE Next Steps Consortium. The AGREE reporting checklist: a tool to improve reporting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BMJ 2016;352:i1152.
    Pubmed KoreaMed CrossRef
  17. Jung W, Ryu S, Ryu SY, Ha M, Choi BY, Kim SY. Reporting guidelines for community outbreak investigation reporting (G-CORE): protocol for guideline development. Ewha Med J 2024;47:e41.
    CrossRef
  18. Jung W, Ryu S, Ryu SY, Ha M, Choi BY, Kim SY. Developing guidelines for surveillance reporting (G-SIRE): protocol for guideline development. Ewha Med J 2024;47:e42.
    CrossRef
  19. Jung W, Ryu S, Ryu SY, Ha M, Choi BY, Kim SY. Establishing the guidelines for recommendation reporting (G-RECO): a study protocol for developing reporting guidelines for disease prevention recommendations. Ewha Med J 2024;47:e43.
    CrossRef
  20. Jung W, Kim SY, Ryu S, Ryu SY, Ha M, Choi BY. Reporting guidelines for survey reporting (G-SURE): protocol for guideline development. Ewha Med J 2024;47:e44.
    CrossRef

Article

연구논문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5; 18(9): 399-429

Published online March 6, 2025 https://doi.org/10.56786/PHWR.2025.18.9.1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주간 건강과 질병」 보고 지침 개발

김수영 1*, 유석현 2, 류소연 3, 허선 4, 하미나 5, 최보율 6, 정원영 1

1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동성심병원 가정의학과, 2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3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4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과 의학교육연구소, 5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6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Received: December 30, 2024; Revised: January 24, 2025; Accepted: February 3, 2025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보고 지침은 ‘특정 유형의 연구 설계 결과를 보고할 때 저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잘 알려진 방법론에 따라 개발된 점검표, 흐름도’로 정 의할 수 있다. 보고 지침은 학술지의 질과 과학성을 제고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질병관리청의 학술지인 「주간 건강과 질병」에는 여러 가지 원고가 투고되고 있으며 주된 출판 유형에 대한 표준화된 원고작성 가이드가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주간 건강과 질병」의 주된 원고유형인 집단발병 보고, 조사 보고, 감시 보고, 정책 보고, 권고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과 해설서를 개발하는 것이다. 보고 지침 개발은 위원회 구성, 문헌 검토, 기존 보고 지침 검토, 초안 작성, 해설서 개발, 외부검토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집단발병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인 G-CORE (Guideline for Community Outbreak investigation REport), 감시 보고에 대한 보 고 지침인 G-SURE (Guideline for SUrvey REport), 조사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인 G-SIRE (Guideline for SurveIllance REport), 정책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인 G-SCOPE (Guideline for Standardize Criteria Of Policy rEporting), 권고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인 G-RECO (Guidelines for RECOmmendation reporting)와 해당 보고 지침에 대한 해설서가 개발되었다. 각 보고 지침은 제목, 초록, 요약, 배경, 방법, 결과, 논의, 기타정보로 구분하여 보고해야 할 항목을 다뤘고, 해설서는 개별 체크리스트에 대한 해설, 설명과 적절한 예시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보고 지침의 항목들이 투고원고에 적절히 구현될 수 있도록 교육, 템플릿 작성, 모니터링 등의 정책 수단이 필 요할 것이며, 추후 보고의 질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보고 지침, 집단발병, 조사, 감시, 정책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보고 지침은 ‘특정 유형의 연구 설계 결과를 보고할 때 저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잘 알려진 방법론에 따라 개발된 점검표, 흐름도, 또는 작성 틀’이다. 보고 지침은 학술지의 질을 높힐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과학성을 제고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주간 건강과 질병」의 주된 원고유형인 집단발병 보고, 조사 보고, 감시 보고, 정책 보고, 권고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과 해설서를 개발하였다.

③ 시사점은?

보고 지침의 항목들이 투고원고에 적절히 구현될 수 있도록 교육, 템플릿 작성, 모니터링 등의 정책 수단이 필요할 것이며, 추후 보고의 질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서 론

보고 지침(reporting guideline, 원고작성가이드)은 ‘특정 유형의 연구 설계 결과를 보고할 때 저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잘 알려진 방법론에 따라 개발된 점검표(checklist), 흐름도(flow diagram), 또는 작성 틀(structured text)’로 정의할 수 있다[1]. 보고 지침을 사용하면 보고의 질이 향상되며[2,3], 보고 지침을 사용하여 동료심사를 시행하면, 심사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보고 지침은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에 대한 보고 지침인 CONSORT (Consolidated Standards of Reporting Trials) [5]가 발표된 후 활발하게 개발되었으며, 현재 의학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보고 지침은 500개가 넘는다. 거의 모든 보고 지침은 EQUATOR (Enhancing the Quality and Transparency of Health Research; http://www.equator-network.org)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구자는 원고와 프로토콜을 작성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보고지침의 주요 사용자이다. 수많은 보고 지침이 개발되었으며 검토할 원고에 가장 적합한 보고 지침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하지만 모든 연구 디자인에 대해서 보고 지침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질병관리청의 학술지인 「주간 건강과 질병」에는 여러 가지 원고가 투고되고 있으며 주된 출판 유형은 집단발병 보고(outbreak reports), 조사 보고(survey reports), 감시 보고(surveillance reports), 정책 보고(policy notes), 권고 보고(recommendation reports)이다. 이들은 대부분 연구 디자인으로 환자군 연구에 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표준화된 원고작성 가이드가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주간 건강과 질병」 원고의 특성을 고려한 원고 작성가이드를 개발하여 원고 내용의 전문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 법

「주간 건강과 질병」의 주된 출판 유형인 집단발병 보고, 조사 보고, 감시 보고, 정책 보고, 권고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을 개발하기 위해 1) 위원회 구성, 2) 문헌 검토, 3) 기본 보고 지침 검토, 4) 초안개발, 5) 외부검토의 단계를 거쳤다.

1. 위원회 구성

보고 지침을 개발하기 위해 공중보건 전문가, 방법론 전문가, 학술지 편집인 등을 위원으로 하는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위원회에서는 보고 지침 개발 절차, 문헌검토 방안, 보고 지침 활용 방안 등을 협의하였다. 개발절차는 EQUATOR network에서 제안한 표준화된 방법론[6]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2. 문헌검토

「주간 건강과 질병」 (https://www.phwr.org/journal/archives.html), MMWR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https://www.cdc.gov/mmwr/index.html), EuroSurveillance (https://www.eurosurveillance.org/)에서 집단발병 보고, 조사 보고, 감시 보고, 정책 보고, 권고 보고의 논문을 찾아, 해당 논문의 구성, 보고내용, 유형 등을 검토하였다.

3. 기존 보고 지침 검토

보고 지침 개발을 위해 참고할 기존 보고 지침을 선정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ORION (Outbreak Reports and Intervention studies Of Nosocomial infection) statement

병원내 감염에 대한 유행 보고와 중재 연구에 대한 보고 지침이다. 유행 보고의 보고항목을 검토하기 위해 선정하였다[7].

2) RECORD (REportingof studies Conducted using Observational Routinely-collected health Data) statement

연구를 위한 광범위한 자원(예: 질병 등록), 임상 관리(예: 일차 진료 데이터베이스), 보건 시스템 계획(예: 건강 관리 데이터), 임상 진료 문서(예: 전자 건강 기록 데이터 저장소), 역학 감시(예: 암 등록)의 제공 등에 사용되는 보고 지침이다. 조사 보고와 감시 보고의 보고내용을 검토하기 위해 선정하였다[8].

3) 환자군연구의 보고 지침

대표적인 것으로 외과에 대한 Preferred Reporting Of CasESeries in Surgery (PROCESS) [9]와 성형외과 관련 보고지침[10]이 있다. 「주간 건강과 질병」에 포함된 문헌들의 연구 디자인 중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군연구의 보고항목을 검토하기 위해 선정하였다.

4) STROBE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statement

가장 대표적인 관찰연구 보고 지침으로 관찰연구의 보고에 있어 기본이 되고 있다. 관찰연구들의 전체적인 체계와 구성 항목 등을 검토하기 위해 선정하였다[11].

5) TREND (Transparent Reporting of Evaluations with Nonrandomized Designs)

비무작위 임상시험에 대한 보고 지침으로, 비무작위연구에 대한 내용 검토를 위해 선정하였다[12].

6) CONSISE (Consortium for the Standardization of Influenza Seroepidemiology) statement

독감의 혈청역학연구에 대한 보고 지침이다. 유행 보고나 감시 보고 중에서 포함될 수 있는 혈청역학적인 내용을 검토하기 위해 선정하였다[13].

7) STROME-ID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molecular epidemiology for infectious diseases) statement

감염병의 분자역학 논문의 보고 지침이다. 유행 보고나 감시 보고 중에서 포함될 수 있는 분자 역학적인 내용을 검토하기 위해 선정하였다[14].

8) 진료 지침의 보고 지침

진료 지침의 대표적인 보고 지침은 Reporting Items for Practice Guidelines in Healthcare (RIGHT) [15]와 Appraisal of Guidelines, Research and Evaluation (AGREE) [16]이다. 권고 보고의 전체적인 체계와 구성 항목 등을 검토하기 위해 선정하였다.

4. 보고 지침의 기본적인 포맷의 결정

보고항목의 기본 포맷을 제목, 초록, 서론, 방법, 결과, 결론, 기타 정보 등으로 구분하기로 하였다. 초록과 구분되는 핵심요약을 통해 연구의 의의를 기술하게 하였다. 서론에는 배경/필요성과 목적을, 방법에는 연구 디자인, 대상자, 측정변수, 자료원, 분석 방법, 통계방법, 결측치 등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결과에는 대상자 특성과 주 결과(기술적 결과, 분석적 결과)를 제시하도록 하였고, 고찰에는 결과요약, 해석, 제한점, 결론과 의의의 내용을 담도록 하였다. 기타정보에는 윤리적 측면, 자금원, 감사의 글, 이해충돌, 저자기여, 참고문헌, 자료공유, 부록의 내용을 담도록 하였다.

5. 초안 작성

기본적인 포맷에 따라 보고항목을 구성하되, 개별 원고 종류에 따는 특성을 반영하여 보고 지침 초안을 개발하였다. 집단발병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은 G-CORE (Guideline for Community Outbreak investigation REport), 조사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은 G-SURE (Guideline for SUrvey REport), 감시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은 G-SIRE (Guideline for SurveIllance REport), 정책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은 G-SCOPE (Guideline for Standardize Criteria Of Policy rEporting), 권고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은 G-RECO (Guidelines for RECOmmendation reporting)라고 명명하였다. 개별 보고 지침의 해설서는 각 항목에 대한 설명과 예시로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6. 외부검토

개별 보고 지침에 대해 해당 영역의 전문가를 2–5인 선정하여 외부검토를 받았고 받은 피드백을 검토하여 필요한 부분을 수정하였다.

7. 프로토콜 발행

이 5가지 보고 지침 가운데 정책 보고 지침(G-SCOPE)을 제외한 4종은 프로토콜을 발행하였다[17-20].

결 과

총 5개의 보고 지침(G-CORE, G-SURE, G-SIRE, G- SCOPE, G-RECO)의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고 이에 대한 해설서를 개발하였다. 5개 보고 지침의 대략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집단발병 보고 지침

집단발병 보고 지침(G-SCOPE)은 지역사회 주민과 특정 인구집단, 시설과 기관 등에서 발생한 집단발병(outbreak) 혹은 유행(epidemic)에 대한 조사(investigation)에서 시작부터 종료까지의 1) 집단발병과 유행의 인지와 계기; 2) 조사 내용과 방법; 3) 조사 결과; 4) 방역 조치와 효과 및 영향; 5) 종결 등의 과정을 적절히 기술하도록 하는 도구이다(표 1).

표 1집단발병 보고 지침의 항목

No영역/주제항목
제목, 초록, 요약
1제목

1-2.. 질병명(건강 문제), 시점(연도, 월), 장소(국가, 지역), (필요시) 대상자 특성을 기술한다..

1-3.. 조사 결과 감염원과 전파경로와 관련하여 주요한 발견이 있는 경우 제목에 반영한다..

2초록

목적(Objectives), 방법(Methods), 결과(Results), 결론(Conclusions)으로 구조화된 형태로 작성한다..

2-1.. 목적: 조사 대상이 된 건강 문제의 일반적인 현황과 조사 수행의 계기와 목표를 기술한다..

2-2.. 방법: 조사 시행 시기와 장소, 대상자를 기술하고, 사례 정의와 연구 설계와 조사 내용과 방법, 자료 분석법을 기술한다..

2-3.. 결과: 조사와 자료 분석을 통해 파악한 대상자 특성, 건강 문제의 특성, 시간과 공간적 분포, 감염원과 전파경로, 유행과 확산 양상과 관여 요인, 방역 조치와 그 결과를 기술한다..

2-4.. 결론: 결과를 요약하고 공중보건학적 함의를 밝힌다..

3요약

이미 알려진 것, 새로 알게 된 내용과 시사점으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3-1.. 이미 알려진 것: 기존의 건강 문제의 특성과 발병 양상을 기술한다..

3-2.. 새로 알게 된 내용: 이 조사로 밝혀진 새로운 결과를 기술한다..

3-3.. 시사점: 공중보건학적 함의를 기술한다..

서론
4조사 계기 및 특성지표 사례의 인지 시점을 포함하여 조사 시작의 계기와 현황(대상이 된 건강 문제의 역학적, 임상적 특성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중요성을 설명한다.
5목적조사의 목적(가설 포함)과 구체적 목표를 제시한다. (필요시) 세부 목표를 기술한다.
방법
6생활환경 정보조사 대상자의 생활환경으로서 지역사회 혹은 인구집단의 특징을 기술한다.
7사례 정의와 발견 방법조사 대상인 질병 혹은 증후군의 사례 정의와 사례 발견을 위한 조사 방법을 기술한다.
8병원체 확인병원체 확인을 위한 검체의 확보 체계와 검사 방법, 검사 시행 기관을 명시한다.
9역학/임상적 특성임상적 특징의 파악과 역학적 지표의 산출 방법을 기술한다.
10전파와 확산 과정과 관련 요인

10-1.. 병원소(혹은 감염원)로부터 숙주까지의 전파 과정과 지역사회 혹은 인구집단에서 확산 과정 파악을 위한 조사 방법을 기술한다..

10-2.. 집단발병에 관여한 직접 혹은 간접 위험 요인 파악을 위한 방법을 기술한다..

11방역 조치방역 조치를 정하고 반영하는 과정을 기술한다.
12연구 설계와 자료 분석조사에 이용한 연구 설계와 통계 방법, 통계 소프트웨어 등을 적는다.
결과
13기술 역학적 특성집단발병의 시간과 장소, 사람 특성에 따른 역학적 특성을 기술하고, 유행 판단을 위한 근거를 제시한다.
14병원체 확인 결과확보한 인체와 환경 검체를 이용하여 미생물학 혹은 면역학,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원인 병원체를 동정한 결과를 기술한다.
15임상적, 역학적 특성임상 증상 발생 양상과 이환과 의료 이용, 사망 등의 건강 지표와 환자-숙주 상호작용 지표의 산출 결과를 기술한다.
16감염원과 전파 과정, 유행 확산 과정과 관련 요인전파와 확산 과정을 기술하고 관련 요인 분석 결과를 연관성 지표와 함께 기술한다.
17방역 조치 내용과 결과

17-1.. 조사에서 밝힌 근거를 기반으로 집단발병을 통제하기 위해 시행된 방역 조치를 기술한다..

17-2.. 방역 조치 실행의 내용을 설명하고 해당 조치의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기술한다..

논의(결론)
18결과 요약조사 목적에 비추어 주요 결과를 요약한다.
19집단발병 특징국내외 유사 사례, 연구와 비교하여 이 집단발병의 특이점을 기술한다.
20해석조사 결과를 해석하고 고찰한다.
21제한점조사의 제한점과 장애 요인을 기술하고 향후 과제를 제안한다.
22결론과 의의결론을 제시하고, 보건학적 시사점 혹은 의의를 제시한다. (필요시) 향후 필요한 과제를 제시한다.
기타 정보(투고 양식에 포함, 자료공유‧부록 별도)
23윤리선언윤리 선언을 기술한다. IRB 승인, 대상자 동의(informed consent) 여부를 기록한다. 동의가 필요 없으면 그 사안을 기술한다.
24자금원자금원과 관련된 정보(연구지원 기관, 연구비 번호, 기관의 역할)를 기술한다. 연구비 지원이 없는 경우 없다고 기술한다.
25감사의 글연구에 기여하였지만 저자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이나 단체가 연구 수행과 관련하여 기여한 내용을 밝힌다.
26이해충돌이해 상충 여부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면 어떤 내용인지 기술한다.
27저자기여원고 작성에 있어서 각 저자별로 기여 사항을 기술한다.
28참고문헌제시된 양식에 따라 각종 참고 문헌을 명시한다.
29자료공유(필요시) 연구 정보 접근 방법을 기술한다.
30부록(필요시) 본문에 제시하지 않으나 결과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2. 조사 보고 지침

조사 보고 지침(G-SURE)은 여러 가지 조사연구의 내용을 보고할 때 사용하는 보고 지침이다(표 2). 조사 보고의 여러 내용 중, 역학적인 내용을 주로 다루며, 심리조사나 교육관련 조사가 아닌 해당하는 질환이나 건강 상태에 관한 설문 조사도 포함된다. 감염병, 만성질환, 환경성 질환, 외인성질환을 비롯하여 다양한 건강 상태에 해당하는 모든 분야를 다룬다. 조사 보고 지침의 대상에서 감시 보고는 제외되는데, 조사 보고는 어떤 것을 측정하고 기록하기 위해 관찰한 내용을 보고하며,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표준화된 조사를 반복적으로 조사하여 보고하는 감시 보고와는 구별된다.

표 2조사 보고 지침의 항목

No영역/주제항목
제목, 초록, 요약
1제목

1-2.. 질병명, 시점(연도, 월), 장소(국가, 지역), (필요시) 대상자 특성을 기술한다..

2초록

목적(Objectives), 방법(Methods), 결과(Results), 결론(Conclusions)으로 구조화된 형태로 작성한다..

2-1.. 목적: 원고 작성의 간략한 배경과 목적을 제시한다..

2-2.. 방법: 자료원, 대상자 정의 및 규모, 주요 변수, 통계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2-3.. 결과: 조사 또는 분석 결과를 기술한다.

2-4.. 결론: 결과를 요약하고 공중보건적 함의를 밝힌다..

3요약

이미 알려진 것, 새로 알게 된 내용과 시사점으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3-1.. 이미 알려진 것: 기존에 보고된 유사한 조사 보고 내용을 기술한다..

3-2.. 새로 알게 된 내용: 해당 조사 결과 요약 및 기존 조사와의 차별성을 제시한다..

3-3.. 시사점: 보건학적 함의를 기술한다..

서론
4배경조사를 시행하게 된 배경과 현황, 중요성(과학적 배경과 이론적 근거)을 설명한다.
5목적조사의 목적(purpose) 와 구체적인 목표(goal) 기술한다.
방법
6연구 디자인조사자, 조사기간, 조사 장소, 대상시설 및 모집단 규모 등을 기술한다.
7대상자

7-1.. 대상자 선정(표본 추출)이 대상 모집단을 반영해 확률적으로 선정되었는 지 여부를 기술하고, 응답률과 선정된 대상자 중에서 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의 규모와 이유를 기술한다.

7-2.. (필요시) 전체 대상, 분석 대상, 실제 분석대상 등을 흐름도로 제시한다..

8측정변수대상 집단의 특성과 결과변수(outcome variable), (필요시) 잠재적 교란 요인(potential confounders) 등을 제시한다.
9자료원과 분석 방법기존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는 경우, 출처와 자료 분석 방법을 기술한다. 조사 도구의 구성과 내용을 간략히 기술한다. 설문조사인 경우 측정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사전조사 내용 등을 기술한다.
10통계방법통계 분석 방법을 기술한다. 통계 분석 프로그램 사용한 경우 이를 기술한다.
11결측치누락된 데이터(결측치)를 어떻게 처리하였는지 설명한다.
결과
12대상자 특성표본의 특성과 조사 모집단 특성을 비교한다.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기술한다.(다양한 특성이 포함된 경우, 표로 작성한다), (필요시) 대상자 등을 흐름도로 제시한다.
13주 결과유병율, 발생율, 사망률 , 양성율, Odds ratio, relative ratio, 평균차 등 통계 분석결과를 기술한다.
논의(결론)
14결과 요약연구목적에 비추어 주요 결과를 요약한다.
15해석연구 목적, 한계, 분석의 다양성, 유사 연구 결과 및 기타 관련 증거에 근거하여 결과에 대한 해석을 제시한다.
16제한점(필요시) 대상자, 측정, 분석도구 등 연구 수행과 관련된 제한점 및 장애요인을 제시한다
17결론과 의의연구 목적에 따른 결론을 제시한다. (필요시)일반화 가능성 등 보건학적 시사점 혹은 의의를 제시한다. (필요시) 향후 필요한 과제를 제시한다.
기타 정보(투고 양식에 포함, 자료공유‧부록 별도) 
18윤리선언윤리선언을 기술한다. IRB 승인, 대상자 동의(informed consent) 여부를 기록한다. 동의가 필요 없으면 그 사안을 기술한다.
19자금원자금원과 관련된 정보(연구지원 기관, 연구비 번호, 기관의 역할)를 기술한다. 연구비 지원이 없는 경우 없다고 기술한다.
20감사의 글연구에 기여하였지만 저자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이나 단체가 연구수행과 관련하여 기여한 내용을 밝힌다.
21이해충돌이해 상충 여부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면 어떤 내용인지 기술한다.
22저자 기여원고 작성에 있어서 각 저자별로 기여사항을 기술한다.
23참고문헌제시된 양식에 따라 각종 참고 문헌을 명시한다.
24자료공유(필요시) 연구 정보 접근 방법을 기술한다.
25부록(필요시) 본문에 제시하지 않으나 결과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석 결과등을 제시한다.


3. 감시 보고 지침

감시체계(surveillance system)는 질병 관리의 계획과 수행, 평가를 위해 역학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감시 보고는 국가 또는 국제적인 조사/감시 체계 자료 기반의 질환, 병원체, 건강 이슈 등에 대한 역학적 변화 추세에 대해 분석하고 보고하는 것이다. 감시 보고는 1) 질병 신고자료, 2) 인구 생정통계자료, 3) 기타 건강조사자료 및 위험인자에 관한 정보, 4) 환경요인 노출 여부에 관한 정보, 5) 기존의 보건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6) 타기관에서 수집된 자료이나 보건학적으로 유용한 정보, 7) 의료체계에 관한 정보 및 이들이 지역사회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 보고하게 된다(표 3).

표 3감시 보고 지침의 항목

No영역/주제항목
제목, 초록, 요약
1제목

1-2.. 질병명, 시점(연도), 장소(국가, 지역), (필요시) 대상자 특성을 기술한다..

1-3.. 연구에 사용한 감시체계의 데이터베이스 명칭을 기술한다(부제목 가능)..

2초록

목적(Objectives), 방법(Methods), 결과(Results), 결론(Conclusions)으로 구조화된 형태로 작성한다..

2-1.. 목적: 원고 작성의 간략한 배경과 목적을 제시한다..

2-2.. 방법: 분석 자료원, 대상자 정의 및 규모, 주요 변수, 통계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2-3.. 결과: 기준이 되는 지표에 따른 결과를 제시하고, 관련성 분석을 실시한 경우에 주요 관련 요인을 제시한다..

2-4.. 결론: 결과를 요약하고 공중보건적 함의를 밝힌다..

3요약

이미 알려진 것, 새로 알게 된 내용과 시사점으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3-1.. 이미 알려진 것: 감시 중인 상태에 대한 기존 감시 보고 내용을 기술한다..

3-2.. 새로 알게 된 내용: 감시조사 결과 요약 및 기존 감시조사와의 차별성을 제시한다..

3-3.. 시사점: 현 감시체계의 보건학적 함의(지표 개선을 위한 정책 방향, 시사점 제시)를 기술한다..

서론
4배경/필요성

감시를 시행하게 된 배경과 현황, 중요성(과학적 배경과 이론적 근거)을 설명한다..

(필요시) 자료원이 되는 감시체계에 대하여 목적, 운영방법, 산출결과 등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을 포함한다..

5목적감시의 목적(purpose, 가설 포함)을 제시한다.
방법
6연구 디자인연구 디자인(단면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코호트 연구 등)을 밝힌다.
7자료원이용하는 감시체계의 자료원에 대한 설명과 자료 수집시기, 목적에 맞는 대상자(건)의 선정방법을 설명한다. (필요시) 타 자료와 연계 시, 연계 자료원과 연계 방법을 설명한다.
8대상자

8-1.. 분석 대상의 정의, 선정기준(혹은 제외기준)을 제시하고, 선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최종 분석 대상의 규모를 제시한다..

8-2.. (필요시) 전체 대상, 분석 대상, 실제 분석 대상 등을 흐름도로 제시한다..

9자료 수집/측정 방법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신고, 설문조사; PAPI/CAPI, 계측 등)을 설명한다.
10자료품질

10-1.. 신고‧보고의 완결성, 정확성 등 감시체계 관련 자료의 품질 평가 방법을 기술한다..

10-2.. 누락된 자료는 어떻게 조사하고 해결하였는지 설명한다..

11변수이용하거나 수집한 변수에 대해 종속변수, 독립변수(노출), 교란변수를 구분하고, 각 변수의 정의와 분류 방법을 자세하게 기술한다.
12통계분석방법결과 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통계 패키지를 제시하고, 결과 분석 처리 과정(가중치, 결측치 처리 등)을 설명하고, 결과 제시 방법과 분석 방법(기술통계, 단변량분석, 다변량분석)을 설명한다.
결과
13대상자 특성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소개: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구성을 제시할 수 있는 분포를 소개한다.
14기술통계결과, 노출(예측인자), 잠재적 교란변수와 효과수정 변수에 대한 기술역학적 정보를 제시한다.
15분석통계

15-1.. 연구의 종속변수의 현황과 관련된 단변량 분석 결과 제시: 해당되는 대상자 수와 측정값(지표) 제시한다(유의성 결과 포함)..

15-2.. (시행한 경우) 다변량분석 결과 제시: 종속변수가 범주형일 경우 비차비(오즈비) 혹은 상대위험도와 95% 신뢰구간 제시, 연속형일 경우 관련성 지표(회귀계수와 유의성 검정 결과)를 제시한다..

15-3.. (필요시) 하위그룹 분석, 상호작용 분석 등을 시행한 결과를 제시한다(내용의 맥락에 따라 부록으로 제시 가능)..

논의
16결과 요약연구 목적에 비추어 주요 결과를 요약한다.
17해석다른 유사 선행연구나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결과에 대한 해석을 제시한다.
18제한점연구 수행과 관련된 제한점 및 장애요인을 제시한다(연구설계, 감시체계 수집 자료, 결과 해석 등 관련).
19결론과 의의연구 목적에 따른 결론을 제시하고, 보건학적 시사점 혹은 의의를 제시한다. (필요시) 향후 필요한 과제를 제시한다.
기타 정보(투고 양식에 포함, 자료공유‧부록 별도)
20윤리 선언윤리 선언을 기술한다. IRB 승인, 대상자 동의(informed consent) 여부를 기록한다. 동의가 필요 없으면 그 사안을 기술한다.
21자금원자금원과 관련된 정보(연구지원 기관, 연구비 번호, 기관의 역할)를 기술한다. 연구비 지원이 없는 경우 없다고 기술한다.
22감사의 글연구에 기여하였지만 저자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이나 단체가 연구수행과 관련하여 기여한 내용을 밝힌다.
23이해충돌이해 상충 여부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면 어떤 내용인지 기술한다.
24저자 기여원고 작성에 있어서 각 저자별로 기여사항을 기술한다.
25참고문헌제시된 양식에 따라 각종 참고 문헌을 명시한다.
26자료공유(필요시) 연구 정보 접근 방법을 기술한다.
27부록(필요시) 본문에 제시하지 않으나 결과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없으면 없다고 기술하거나 생략한다.


4. 정책 보고 지침

정책 보고란 보건의료정책, 즉 국민의 건강보호와 증진을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및 보건의료기관 또는 보건의료인의 활동과 관련한 법과 제도, 수요와 공급 등 시책의 수립(개발), 추진(이행), 결과 및 평가, 제안 등의 주제를 다루는 원고를 말한다. 이 지침이 안내하는 구체적인 정책 보고의 원고 유형은 다음과 같다(표 4): 1) 정책에 대한 사례와 동향(policial case report/review) 보고; 2) 정부의 정책 개발, 대책과 계획(policy development and planning) 보고; 3) 법령의 제정 혹은 개정(enactment and amendment of laws and regulation) 보고; 4) 정책 이행의 결과 또는 효과에 대한 평가(policy performance and/or effectiveness evaluation) 보고.

표 4정책 보고 지침의 항목

No영역/주제항목
제목, 초록, 요약
1제목

1-2.. 해당 정책명을 기술한다..

1-3.. 시점, 장소, (필요시) 정책 공급자(시행자) 및 소비자(대상자)를 알 수 있도록 한다..

2초록

목적(Objectives), 방법(Methods), 결과(Results), 결론(Conclusions)으로 구조화된 형태로 작성한다..

2-1.. 목적: 해당 정책, 보고의 계기 및 목적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2-2.. 방법: 보고의 유형(①사례‧동향 보고, ②정책 개발‧대책‧계획, ③법령‧규정의 제정‧개정, ④정책 이행의 결과‧효과 평가), 연구설계 또는 사용된 조사‧개발‧평가 방법을 기술한다..

2-3.. 결과: 정책 조사/개발/평가를 통하여 파악한 주요 결과를 제시한다..

2-4.. 결론: 결과를 요약하고 공중보건적 함의를 밝힌다..

3요약

이미 알려진 것, 새로 알게 된 내용과 시사점으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3-1.. 이미 알려진 것: 기존 정책의 현황과 문제, 보고의 목적을 기술한다..

3-2.. 새로 알게 된 내용: 핵심 결과의 특징(정책목표, 정책대안 또는 권고사항)을 기술한다. (필요시) 기존 정책과 비교하여 구별되는 점을 기술한다..

3-3.. 시사점: 공중보건정책적 함의(기술적, 보건학적, 사회경제적 기대효과 등)를 기술한다..

서론
4배경/필요성정책이 필요한 근거(해결해야 할 보건 이슈, 문제점과 현황 등)를 기술한다.
5목적해당 정책의 목적(purpose)을 기술한다.
방법
6정책의 이해관계자와 환경

6-1.. 해당 정책 서비스에 관계하는 일차 인구집단을 기술한다..

-. 정책의 입안자(개발자), 공급자(시행자), 소비자(대상자, 수혜자), 또는 잠재적 피해자(반대자)에 대해 기술한다..

(필요시) 이해관계자들의 관심‧이해를 기술한다..

6-2.. 해당 정책이 시행되는 환경(장소, 시점‧기간 등)을 기술한다.

7정책의 맥락

(필요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보건의료서비스적 측면에서 해당 정책의 흐름(배경)과 역할, 위치, 정책개발 혹은 개선에 대한 요구도 등을 기술한다,.

-. 요구도는 ① 관련된 질병의 분포/양상 변화, ② 법적 요구, ③ 관련 부처‧분야의 요구, ④ 관련 정책과 지침의 변화 등 다양할 수 있으며, 해당 내용을 명확하게 기술한다..

8보고의 유형과 방법

8-1.. 해당 정책 보고의 유형(①사례‧동향 보고, ②정책 개발‧대책‧계획, ③법령‧규정의 제정‧개정, ④정책 이행의 결과‧효과 평가)과 사용한 방법(현황조사, 문헌조사와 고찰 등)을 기술한다..

8-2.. 보고유형 ①과 ④의 경우, 연구의 설계를 기술한다..

-. 질적연구(문헌고찰, 집단면접, 인터뷰 등), 양적연구(문헌고찰, 관찰연구; 단면연구, 환자대조군연구, 코호트연구 등, 실험연구; 무작위시험, 준실험연구 등) 등 기술.

8-3.. 보고유형 ②, ③, ④의 경우, 정책목표 설정 방법, 정책 수단, 의사결정체계를 가능한 범위에서 기술한다..

-.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 방법을 포함한 정책에 대한 의사결정 체계 또는 정책수립과정에 대한 기술 포함.

결과(보고의 유형에 따라 필요한 항목 적용)
9사례‧동향 조사 결과(보고유형 ①)문헌조사‧고찰 혹은 현황조사의 결과를 제시한다.
10개발‧대책‧계획, 법령‧규정 제‧개정 결과(보고유형 ②, ③)

정책의 내용, 활동 계획, 법령‧규정의 제‧개정 내용 등을 기술한다..

가능한 국내외의 과거 또는 현재 정책과 비교하여 차별성 및 개선점 부각.

11이행‧효과 평가 결과(보고유형 ④)

11-1.. (필요시) 평가대상 지표들의 기술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 (필요시) 고려한 제3의 변수들에 대한 기술분석 결과를 함께 제시한다..

11-2.. 정책의 이행결과‧효과에 대한 최종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12이해관계자의 의사결정 참여 결과(모든 보고유형)(필요시) 정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의 의사결정 참여 결과를 제시한다.
13정책의 기대효과 (모든 보고유형)

13-1.. 모든 측면에서(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보건의료적, 심리적, 개인적 등) 해당 정책이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 영향 등을 기술한다..

13-2.. 모든 측면에서(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보건의료적, 심리적, 개인적 등) 해당 정책이 초래할 수 있거나 초래된 부정적 영향, 의도하지 않은 효과 등을 기술한다..

논의(결론)
14결과요약정책 보고의 목적과 보고유형에 비추어 주요 결과를 요약한다.
15제한점 및 결론정책 보고의 목적과 보고유형에 비추어, 강점과 제한점, 기존 유사‧관련 정책과 비교, 결론과 함의를 기술한다.
16정책 개선방안 또는 제안(보고유형 ①, ④)기존 정책의 개선 방안이나 새로운 정책 제안을 기술한다.
기타 정보(투고 양식에 포함, 자료공유‧부록 별도)
17윤리선언윤리선언을 기술한다. IRB 승인, 대상자 동의(informed consent) 여부를 기록한다. 동의가 필요 없으면 그 사안을 기술한다.
18자금원자금원과 관련된 정보(연구지원 기관, 연구비 번호, 기관의 역할)를 기술한다. 연구비 지원이 없는 경우 없다고 기술한다.
19감사의 글연구에 기여하였지만 저자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이나 단체가 연구수행과 관련하여 기여한 내용을 밝힌다.
20이해충돌이해 상충 여부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면 어떤 내용인지 기술한다. 본문에서 서술 시 생략 가능하다.
21저자 기여원고 작성에 있어서 각 저자별로 기여사항을 기술한다.
22참고문헌제시된 양식에 따라 각종 참고 문헌을 명시한다.
23자료공유(필요시) 연구 정보 접근 방법을 기술한다.
24부록(필요시) 본문에 제시하지 않으나 결과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5. 권고 보고 지침

진료 지침은 ‘특정한 임상적 상황에서 의사와 환자의 의사결정을 돕기위해 체계적으로 개발된 권고안’으로 정의된다. 질병관리본부에서도 다수의 임상진료지침을 개발하고 있지만 다만 일반적인 임상진료지침과는 달리 질병의 예방(선별이나 예방접종 같은 주제)의 진료 지침을 개발하고 있으며, 일부 질환(성매개 질병, 결핵 등 감염병 등)에 대한 임상진료지침도 개발하고 있다. 권고 보고 지침(G-RECO) (표 5)은 그러한 내용의 권고 보고를 할 때 필요한 보고 지침이다.

표 5권고 보고 지침의 항목

No영역/주제항목
제목, 초록
1제목

1-2.. 질병명(건강문제), 개발연도(혹은 버전)과 주요 영역(진단, 예방접종, 치료, 관리 등)을 기술한다..

2초록

목적(Objectives), 방법(Methods), 결과(Results), 결론(Conclusions)으로 구조화된 형태로 작성한다..

2-1.. 목적: 건강문제, 대상 인구집단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2-2.. 방법: 개발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2-3.. 결과: 주요 권고안의 근거 내용, 주요 권고 내용을 제시한다..

2-4.. 결론: 결과를 요약하고 권고안의 정책적 함의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다..

3요약

이미 알려진 것, 새로 알게 된 내용과 시사점으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3-1.. 이미 알려진 것: 기존 권고 현황과 문제, 지침 개발의 목적을 기술한다..

3-2.. 새로 알게 된 내용: 기존 권고와 비교하여 구별되는 점을 기술한다..

3-3.. 시사점: 공중보건정책적 함의(기술적, 보건학적, 사회경제적 기대효과 등)를 기술한다..

배경
4건강문제에 대한 기술해당 건강문제의 역학 정보(유병률/발생률, 이환율, 사망률 등), 부담(비용), 사회 문화적 문제, 의료 제도 환경적 문제(혹은 배경) 등을 기술한다.
5대상 인구집단권고 대상 인구집단(혹은 대상 건강문제)을 기술한다.
6목표 사용자와 사용 환경

6-1.. 권고의 목표 사용자(일차진료의사, 특정 영역 전문의, 정책결정자 등)에 대해 기술한다..

6-2.. 사용 환경(일차진료, 보건소, 입원실, 지역사회 등)을 기술한다..

7권고 개발그룹권고 보고의 기초가 되는 진료지침 개발에 참여한 모든 개인의 이름, 소속기관, 직위, 개발그룹 내에서 역할을 기술한다.
근거
8핵심 질문권고의 핵심질문에 따라 개발된 경우, 핵심 질문 문장과 PICO (P [patient], I [intervention], C [comparator], O [outcome]) 형식으로 제시한다. 다른 방법론을 적용시 그에 따른다.
9건강결과권고 결정에 고려할 건강결과는 어떻게 선정되고 분류되었나를 기술한다.
10근거평가

10-1.. 현재 권고 개발을 위해 신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했는지, 기존의 체계적 문헌고찰을 이용했는지 혹은 수용개작하였는지를 명시한다..

10-2.. 문헌고찰을 어떻게 수행하였는지 명시한다(검색방법, 포함/배제 기준, 비뚤림 위험 평가, 자료 합성 방법[메타분석, 질적 합성] 등)..

11근거수준

11-1.. 근거수준을 평가한 방법을 제시한다..

11-2.. 근거수준 등급과 그 의미를 제시한다..

권고
12권고등급

12-1.. 권고 등급을 선정한 방법을 제시한다..

12-2.. 권고 등급을 제시한다..

13권고 도출에 고려한 사항

13-1.. 권고 도출에 고려한 권고 적용에 따른 이득과 위험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13-2.. 권고 도출에 대상 인구집단의 가치와 선호도를 고려하였는지를 기술한다. (필요시) 가치와 선호도를 확인한 접근법이나 방법을 기술한다..

13-3.. 권고 도출에 비용과 자원 등을 고려하였는지를 기술한다. (필요시) 비용과 자원 함의를 확인한 방법(비용-효과 분석 등)과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한다..

13-4.. 권고 도출에 고려한 다른 요인(예를 들어 형평성, 편의성, 수용성 등)이 있으면 기술한다..

14근거 도출 방법론권고 도출을 위해 사용한 방법(예: 투표, 델파이법, 합의 회의 등)을 기술한다.
15권고문

15-1.. 권고문을 모호하지 않고, 행동가능한 내용으로 제시한다..

15-2.. 하위 집단에 따라서 이득과 위해의 저울질 같은 권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른 경우 하위 집단에 따라서 권고문을 분리하여 제시한다..

검토와 갱신
16외부검토권고 초안에 대해서 외부검토가 시행되었는지 기술한다. (필요시) 외부검토를 시행하였다면, 방법과 검토를 받은 방법과 처리 방법을 기술한다.
17갱신권고가 향후 갱신될 예정인지,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떤 기준으로 갱신여부를 결정할지를 기술한다.
기타 정보(투고 양식에 포함, 자료공유·부록 별도)
18윤리선언윤리선언을 기술한다. IRB 승인, 대상자 동의(informed consent) 여부를 기록한다. 동의가 필요 없으면 그 사안을 기술한다.
19자금원자금원과 관련된 정보(지원 기관, 연구비 번호, 기관의 역할)를 기술한다. 자체 개발자금인 경우, 자체자금원임을 밝힌다. 권고 개발과 실행에 자금제공자의 역할은 무엇인지 기술한다.
20감사의 글권고 도출에 기여하였지만 저자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이나 단체가 연구수행과 관련하여 기여한 내용을 밝힌다.
21이해충돌

21-1.. 개발그룹이 권고 개발에 이해관계가 있는지, 있다면 어떤 이해관계(재정적, 비재정적)가 있는지 명시한다..

21-2.. 이해충돌을 어떻게 평가하고 관리했는지 기술한다..

21-3.. 이해충돌이 없으면 없다고 기술한다..

22저자 기여도원고 작성에 있어서 각 저자별로 기여사항을 기술한다.
23참고문헌제시된 양식에 따라 각종 참고 문헌을 명시한다.
24접근성진료지침, 부록, 관련 문서에 어떻게 접근 가능한지 기술한다.
25부록근거의 간극과 추후 연구 필요성에 대한 제안을 기술한다. (필요시) 본문에 제시하지 않으나 결과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논 의

보고 지침은 ‘특정 유형의 연구 설계 결과를 보고할 때 저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점검표, 흐름도’를 말한다[1]. 「주간 건강과 질병」의 주요 출판 유형을 검토하였을 때 유사한 보고 지침은 존재하였지만, 일치하는 보고 지침은 찾을 수가 없었다. 그러한 이유로 표준적인 보고 지침 개발방법론[6]을 사용하여 「주간 건강과 질병」의 주요 원고 유형인 집단발병 보고, 조사 보고, 감시 보고, 정책 보고, 권고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을 개발하였고(G-CORE, G-SURE, G-SIRE, G-SCOPE, G-RECO), 해당 보고 지침의 해설서를 개발하였다.

기존에 ORION [7]이나 CONSISE statement [13] 같은 감염관련 보고 지침이 있었지만 지역사회 유행발생에 대한 보고 지침은 집단발병 보고 지침(G-CORE)이 최초라고 할 수 있다. 집단발병 보고 지침의 보고 항목에는 조사의 계기, 생활환경 정보, 전파 및 확산과정, 방역조치 같은 다른 유행 보고와는 구별되는 부분이 있다.

조사 보고와 감시 보고는 비슷한 부분이 있고 기존의 보고에서 이를 하나의 보고 지침으로 제시하는 경우도 존재하지만 분명히 다른 부분이 있어서 조사 보고 지침(G-SURE), 감시 보고 지침(G-SIRE)으로 구분하여 발표하였다. 현재 조사 보고에 대한 명확한 보고 지침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런 이유로 RECORD [8], STROBE [11], PROCESS [9]와 같은 유사한 보고 지침을 참조하여 만들 수밖에 없었다. 감시 보고도 거의 유사하지만, 자료원, 자료의 품질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정책 보고는 보건의료인의 활동과 관련한 법과 제도, 수요와 공급 등 시책의 수립(개발), 추진(이행), 결과 및 평가, 제안 등의 주제를 다룬다. 정책 보고는 매우 이질적인 내용을 다루기 때문에 하나의 보고 지침으로 다루기는 힘들 수 있다. 정책 보고 지침(G-SCOPE)은 그런 점을 감안하여 정책에 대한 사례와 동향, 정부의 정책 개발, 대책과 계획, 법령의 제정 혹은 개정, 정책 이행의 결과 또는 효과에 대한 평가로 나누어 방법에서는 보고의 유형과 방법 그리고 결과에서는 정책의 내용에 따라 보고내용을 달리하도록 하였다.

권고 보고의 경우 RIGHT [15]와 AGREE [16] 같은 임상진료지침 보고가 이미 정립이 되어 있다. 하지만 질병의 예방, 공공성이 강한 질환(예, 성병, 결핵 등)의 권고와 같이 공중보건적 성격이 있어서 별도의 보고 지침(G-RECO)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번 연구에는 동시에 여러 가지 보고 지침을 한꺼번에 개발하다 보니 개별 보고 지침의 내용에 대한 검토가 심도 있게 진행되지 않았을 수 있고, 국내에 보고 지침을 검토할 수 있는 전문가들이 많지 않아 외부검토가 충분히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 활동은 국내 전문가만으로 다수의 보고 지침을 개발한 것으로 의의를 둘 수 있고, 보고 지침 개발의 표준적인 방법론을 적용한 것 또한 의의라고 할 수 있다.

추후 이러한 보고 지침의 항목들이 투고원고에 적절히 구현될 수 있도록 교육, 템플릿 작성, 모니터링 등의 정책 수단이 필요할 것이며, 추후 보고의 질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Declarations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funds (2023-02-59-0001, 2023-05-21-0001) from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Acknowledgments: None.

Conflict of Interest: Soo Young Kim, Sukhyun Ryu, So Yeon Ryu, Mina Ha, and Bo Youl Choi are editorial board members of the journal, but were not involved in the review process of this manuscript. Otherwise, there is no conflict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SYK, BYC, SH. Data curation: SYK, SHR, SYR, SH, MNH, BYC, WYJ. Funding acquisition: SYK, BYC. Investigation: SYK, SHR, SYR, SH, MNH, BYC, WYJ. Methodology: SYK, WYJ, SH. Writing – original draft: SYK, BYC. Writing – review & editing: SYK, SHR, SYR, SH, MNH, BYC, WYJ.

표 1집단발병 보고 지침의 항목

No영역/주제항목
제목, 초록, 요약
1제목

1-2.. 질병명(건강 문제), 시점(연도, 월), 장소(국가, 지역), (필요시) 대상자 특성을 기술한다..

1-3.. 조사 결과 감염원과 전파경로와 관련하여 주요한 발견이 있는 경우 제목에 반영한다..

2초록

목적(Objectives), 방법(Methods), 결과(Results), 결론(Conclusions)으로 구조화된 형태로 작성한다..

2-1.. 목적: 조사 대상이 된 건강 문제의 일반적인 현황과 조사 수행의 계기와 목표를 기술한다..

2-2.. 방법: 조사 시행 시기와 장소, 대상자를 기술하고, 사례 정의와 연구 설계와 조사 내용과 방법, 자료 분석법을 기술한다..

2-3.. 결과: 조사와 자료 분석을 통해 파악한 대상자 특성, 건강 문제의 특성, 시간과 공간적 분포, 감염원과 전파경로, 유행과 확산 양상과 관여 요인, 방역 조치와 그 결과를 기술한다..

2-4.. 결론: 결과를 요약하고 공중보건학적 함의를 밝힌다..

3요약

이미 알려진 것, 새로 알게 된 내용과 시사점으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3-1.. 이미 알려진 것: 기존의 건강 문제의 특성과 발병 양상을 기술한다..

3-2.. 새로 알게 된 내용: 이 조사로 밝혀진 새로운 결과를 기술한다..

3-3.. 시사점: 공중보건학적 함의를 기술한다..

서론
4조사 계기 및 특성지표 사례의 인지 시점을 포함하여 조사 시작의 계기와 현황(대상이 된 건강 문제의 역학적, 임상적 특성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중요성을 설명한다.
5목적조사의 목적(가설 포함)과 구체적 목표를 제시한다. (필요시) 세부 목표를 기술한다.
방법
6생활환경 정보조사 대상자의 생활환경으로서 지역사회 혹은 인구집단의 특징을 기술한다.
7사례 정의와 발견 방법조사 대상인 질병 혹은 증후군의 사례 정의와 사례 발견을 위한 조사 방법을 기술한다.
8병원체 확인병원체 확인을 위한 검체의 확보 체계와 검사 방법, 검사 시행 기관을 명시한다.
9역학/임상적 특성임상적 특징의 파악과 역학적 지표의 산출 방법을 기술한다.
10전파와 확산 과정과 관련 요인

10-1.. 병원소(혹은 감염원)로부터 숙주까지의 전파 과정과 지역사회 혹은 인구집단에서 확산 과정 파악을 위한 조사 방법을 기술한다..

10-2.. 집단발병에 관여한 직접 혹은 간접 위험 요인 파악을 위한 방법을 기술한다..

11방역 조치방역 조치를 정하고 반영하는 과정을 기술한다.
12연구 설계와 자료 분석조사에 이용한 연구 설계와 통계 방법, 통계 소프트웨어 등을 적는다.
결과
13기술 역학적 특성집단발병의 시간과 장소, 사람 특성에 따른 역학적 특성을 기술하고, 유행 판단을 위한 근거를 제시한다.
14병원체 확인 결과확보한 인체와 환경 검체를 이용하여 미생물학 혹은 면역학,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원인 병원체를 동정한 결과를 기술한다.
15임상적, 역학적 특성임상 증상 발생 양상과 이환과 의료 이용, 사망 등의 건강 지표와 환자-숙주 상호작용 지표의 산출 결과를 기술한다.
16감염원과 전파 과정, 유행 확산 과정과 관련 요인전파와 확산 과정을 기술하고 관련 요인 분석 결과를 연관성 지표와 함께 기술한다.
17방역 조치 내용과 결과

17-1.. 조사에서 밝힌 근거를 기반으로 집단발병을 통제하기 위해 시행된 방역 조치를 기술한다..

17-2.. 방역 조치 실행의 내용을 설명하고 해당 조치의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기술한다..

논의(결론)
18결과 요약조사 목적에 비추어 주요 결과를 요약한다.
19집단발병 특징국내외 유사 사례, 연구와 비교하여 이 집단발병의 특이점을 기술한다.
20해석조사 결과를 해석하고 고찰한다.
21제한점조사의 제한점과 장애 요인을 기술하고 향후 과제를 제안한다.
22결론과 의의결론을 제시하고, 보건학적 시사점 혹은 의의를 제시한다. (필요시) 향후 필요한 과제를 제시한다.
기타 정보(투고 양식에 포함, 자료공유‧부록 별도)
23윤리선언윤리 선언을 기술한다. IRB 승인, 대상자 동의(informed consent) 여부를 기록한다. 동의가 필요 없으면 그 사안을 기술한다.
24자금원자금원과 관련된 정보(연구지원 기관, 연구비 번호, 기관의 역할)를 기술한다. 연구비 지원이 없는 경우 없다고 기술한다.
25감사의 글연구에 기여하였지만 저자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이나 단체가 연구 수행과 관련하여 기여한 내용을 밝힌다.
26이해충돌이해 상충 여부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면 어떤 내용인지 기술한다.
27저자기여원고 작성에 있어서 각 저자별로 기여 사항을 기술한다.
28참고문헌제시된 양식에 따라 각종 참고 문헌을 명시한다.
29자료공유(필요시) 연구 정보 접근 방법을 기술한다.
30부록(필요시) 본문에 제시하지 않으나 결과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표 2조사 보고 지침의 항목

No영역/주제항목
제목, 초록, 요약
1제목

1-2.. 질병명, 시점(연도, 월), 장소(국가, 지역), (필요시) 대상자 특성을 기술한다..

2초록

목적(Objectives), 방법(Methods), 결과(Results), 결론(Conclusions)으로 구조화된 형태로 작성한다..

2-1.. 목적: 원고 작성의 간략한 배경과 목적을 제시한다..

2-2.. 방법: 자료원, 대상자 정의 및 규모, 주요 변수, 통계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2-3.. 결과: 조사 또는 분석 결과를 기술한다.

2-4.. 결론: 결과를 요약하고 공중보건적 함의를 밝힌다..

3요약

이미 알려진 것, 새로 알게 된 내용과 시사점으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3-1.. 이미 알려진 것: 기존에 보고된 유사한 조사 보고 내용을 기술한다..

3-2.. 새로 알게 된 내용: 해당 조사 결과 요약 및 기존 조사와의 차별성을 제시한다..

3-3.. 시사점: 보건학적 함의를 기술한다..

서론
4배경조사를 시행하게 된 배경과 현황, 중요성(과학적 배경과 이론적 근거)을 설명한다.
5목적조사의 목적(purpose) 와 구체적인 목표(goal) 기술한다.
방법
6연구 디자인조사자, 조사기간, 조사 장소, 대상시설 및 모집단 규모 등을 기술한다.
7대상자

7-1.. 대상자 선정(표본 추출)이 대상 모집단을 반영해 확률적으로 선정되었는 지 여부를 기술하고, 응답률과 선정된 대상자 중에서 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의 규모와 이유를 기술한다.

7-2.. (필요시) 전체 대상, 분석 대상, 실제 분석대상 등을 흐름도로 제시한다..

8측정변수대상 집단의 특성과 결과변수(outcome variable), (필요시) 잠재적 교란 요인(potential confounders) 등을 제시한다.
9자료원과 분석 방법기존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는 경우, 출처와 자료 분석 방법을 기술한다. 조사 도구의 구성과 내용을 간략히 기술한다. 설문조사인 경우 측정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사전조사 내용 등을 기술한다.
10통계방법통계 분석 방법을 기술한다. 통계 분석 프로그램 사용한 경우 이를 기술한다.
11결측치누락된 데이터(결측치)를 어떻게 처리하였는지 설명한다.
결과
12대상자 특성표본의 특성과 조사 모집단 특성을 비교한다.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기술한다.(다양한 특성이 포함된 경우, 표로 작성한다), (필요시) 대상자 등을 흐름도로 제시한다.
13주 결과유병율, 발생율, 사망률 , 양성율, Odds ratio, relative ratio, 평균차 등 통계 분석결과를 기술한다.
논의(결론)
14결과 요약연구목적에 비추어 주요 결과를 요약한다.
15해석연구 목적, 한계, 분석의 다양성, 유사 연구 결과 및 기타 관련 증거에 근거하여 결과에 대한 해석을 제시한다.
16제한점(필요시) 대상자, 측정, 분석도구 등 연구 수행과 관련된 제한점 및 장애요인을 제시한다
17결론과 의의연구 목적에 따른 결론을 제시한다. (필요시)일반화 가능성 등 보건학적 시사점 혹은 의의를 제시한다. (필요시) 향후 필요한 과제를 제시한다.
기타 정보(투고 양식에 포함, 자료공유‧부록 별도) 
18윤리선언윤리선언을 기술한다. IRB 승인, 대상자 동의(informed consent) 여부를 기록한다. 동의가 필요 없으면 그 사안을 기술한다.
19자금원자금원과 관련된 정보(연구지원 기관, 연구비 번호, 기관의 역할)를 기술한다. 연구비 지원이 없는 경우 없다고 기술한다.
20감사의 글연구에 기여하였지만 저자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이나 단체가 연구수행과 관련하여 기여한 내용을 밝힌다.
21이해충돌이해 상충 여부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면 어떤 내용인지 기술한다.
22저자 기여원고 작성에 있어서 각 저자별로 기여사항을 기술한다.
23참고문헌제시된 양식에 따라 각종 참고 문헌을 명시한다.
24자료공유(필요시) 연구 정보 접근 방법을 기술한다.
25부록(필요시) 본문에 제시하지 않으나 결과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석 결과등을 제시한다.

표 3감시 보고 지침의 항목

No영역/주제항목
제목, 초록, 요약
1제목

1-2.. 질병명, 시점(연도), 장소(국가, 지역), (필요시) 대상자 특성을 기술한다..

1-3.. 연구에 사용한 감시체계의 데이터베이스 명칭을 기술한다(부제목 가능)..

2초록

목적(Objectives), 방법(Methods), 결과(Results), 결론(Conclusions)으로 구조화된 형태로 작성한다..

2-1.. 목적: 원고 작성의 간략한 배경과 목적을 제시한다..

2-2.. 방법: 분석 자료원, 대상자 정의 및 규모, 주요 변수, 통계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2-3.. 결과: 기준이 되는 지표에 따른 결과를 제시하고, 관련성 분석을 실시한 경우에 주요 관련 요인을 제시한다..

2-4.. 결론: 결과를 요약하고 공중보건적 함의를 밝힌다..

3요약

이미 알려진 것, 새로 알게 된 내용과 시사점으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3-1.. 이미 알려진 것: 감시 중인 상태에 대한 기존 감시 보고 내용을 기술한다..

3-2.. 새로 알게 된 내용: 감시조사 결과 요약 및 기존 감시조사와의 차별성을 제시한다..

3-3.. 시사점: 현 감시체계의 보건학적 함의(지표 개선을 위한 정책 방향, 시사점 제시)를 기술한다..

서론
4배경/필요성

감시를 시행하게 된 배경과 현황, 중요성(과학적 배경과 이론적 근거)을 설명한다..

(필요시) 자료원이 되는 감시체계에 대하여 목적, 운영방법, 산출결과 등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을 포함한다..

5목적감시의 목적(purpose, 가설 포함)을 제시한다.
방법
6연구 디자인연구 디자인(단면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코호트 연구 등)을 밝힌다.
7자료원이용하는 감시체계의 자료원에 대한 설명과 자료 수집시기, 목적에 맞는 대상자(건)의 선정방법을 설명한다. (필요시) 타 자료와 연계 시, 연계 자료원과 연계 방법을 설명한다.
8대상자

8-1.. 분석 대상의 정의, 선정기준(혹은 제외기준)을 제시하고, 선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최종 분석 대상의 규모를 제시한다..

8-2.. (필요시) 전체 대상, 분석 대상, 실제 분석 대상 등을 흐름도로 제시한다..

9자료 수집/측정 방법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신고, 설문조사; PAPI/CAPI, 계측 등)을 설명한다.
10자료품질

10-1.. 신고‧보고의 완결성, 정확성 등 감시체계 관련 자료의 품질 평가 방법을 기술한다..

10-2.. 누락된 자료는 어떻게 조사하고 해결하였는지 설명한다..

11변수이용하거나 수집한 변수에 대해 종속변수, 독립변수(노출), 교란변수를 구분하고, 각 변수의 정의와 분류 방법을 자세하게 기술한다.
12통계분석방법결과 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통계 패키지를 제시하고, 결과 분석 처리 과정(가중치, 결측치 처리 등)을 설명하고, 결과 제시 방법과 분석 방법(기술통계, 단변량분석, 다변량분석)을 설명한다.
결과
13대상자 특성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소개: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구성을 제시할 수 있는 분포를 소개한다.
14기술통계결과, 노출(예측인자), 잠재적 교란변수와 효과수정 변수에 대한 기술역학적 정보를 제시한다.
15분석통계

15-1.. 연구의 종속변수의 현황과 관련된 단변량 분석 결과 제시: 해당되는 대상자 수와 측정값(지표) 제시한다(유의성 결과 포함)..

15-2.. (시행한 경우) 다변량분석 결과 제시: 종속변수가 범주형일 경우 비차비(오즈비) 혹은 상대위험도와 95% 신뢰구간 제시, 연속형일 경우 관련성 지표(회귀계수와 유의성 검정 결과)를 제시한다..

15-3.. (필요시) 하위그룹 분석, 상호작용 분석 등을 시행한 결과를 제시한다(내용의 맥락에 따라 부록으로 제시 가능)..

논의
16결과 요약연구 목적에 비추어 주요 결과를 요약한다.
17해석다른 유사 선행연구나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결과에 대한 해석을 제시한다.
18제한점연구 수행과 관련된 제한점 및 장애요인을 제시한다(연구설계, 감시체계 수집 자료, 결과 해석 등 관련).
19결론과 의의연구 목적에 따른 결론을 제시하고, 보건학적 시사점 혹은 의의를 제시한다. (필요시) 향후 필요한 과제를 제시한다.
기타 정보(투고 양식에 포함, 자료공유‧부록 별도)
20윤리 선언윤리 선언을 기술한다. IRB 승인, 대상자 동의(informed consent) 여부를 기록한다. 동의가 필요 없으면 그 사안을 기술한다.
21자금원자금원과 관련된 정보(연구지원 기관, 연구비 번호, 기관의 역할)를 기술한다. 연구비 지원이 없는 경우 없다고 기술한다.
22감사의 글연구에 기여하였지만 저자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이나 단체가 연구수행과 관련하여 기여한 내용을 밝힌다.
23이해충돌이해 상충 여부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면 어떤 내용인지 기술한다.
24저자 기여원고 작성에 있어서 각 저자별로 기여사항을 기술한다.
25참고문헌제시된 양식에 따라 각종 참고 문헌을 명시한다.
26자료공유(필요시) 연구 정보 접근 방법을 기술한다.
27부록(필요시) 본문에 제시하지 않으나 결과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없으면 없다고 기술하거나 생략한다.

표 4정책 보고 지침의 항목

No영역/주제항목
제목, 초록, 요약
1제목

1-2.. 해당 정책명을 기술한다..

1-3.. 시점, 장소, (필요시) 정책 공급자(시행자) 및 소비자(대상자)를 알 수 있도록 한다..

2초록

목적(Objectives), 방법(Methods), 결과(Results), 결론(Conclusions)으로 구조화된 형태로 작성한다..

2-1.. 목적: 해당 정책, 보고의 계기 및 목적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2-2.. 방법: 보고의 유형(①사례‧동향 보고, ②정책 개발‧대책‧계획, ③법령‧규정의 제정‧개정, ④정책 이행의 결과‧효과 평가), 연구설계 또는 사용된 조사‧개발‧평가 방법을 기술한다..

2-3.. 결과: 정책 조사/개발/평가를 통하여 파악한 주요 결과를 제시한다..

2-4.. 결론: 결과를 요약하고 공중보건적 함의를 밝힌다..

3요약

이미 알려진 것, 새로 알게 된 내용과 시사점으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3-1.. 이미 알려진 것: 기존 정책의 현황과 문제, 보고의 목적을 기술한다..

3-2.. 새로 알게 된 내용: 핵심 결과의 특징(정책목표, 정책대안 또는 권고사항)을 기술한다. (필요시) 기존 정책과 비교하여 구별되는 점을 기술한다..

3-3.. 시사점: 공중보건정책적 함의(기술적, 보건학적, 사회경제적 기대효과 등)를 기술한다..

서론
4배경/필요성정책이 필요한 근거(해결해야 할 보건 이슈, 문제점과 현황 등)를 기술한다.
5목적해당 정책의 목적(purpose)을 기술한다.
방법
6정책의 이해관계자와 환경

6-1.. 해당 정책 서비스에 관계하는 일차 인구집단을 기술한다..

-. 정책의 입안자(개발자), 공급자(시행자), 소비자(대상자, 수혜자), 또는 잠재적 피해자(반대자)에 대해 기술한다..

(필요시) 이해관계자들의 관심‧이해를 기술한다..

6-2.. 해당 정책이 시행되는 환경(장소, 시점‧기간 등)을 기술한다.

7정책의 맥락

(필요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보건의료서비스적 측면에서 해당 정책의 흐름(배경)과 역할, 위치, 정책개발 혹은 개선에 대한 요구도 등을 기술한다,.

-. 요구도는 ① 관련된 질병의 분포/양상 변화, ② 법적 요구, ③ 관련 부처‧분야의 요구, ④ 관련 정책과 지침의 변화 등 다양할 수 있으며, 해당 내용을 명확하게 기술한다..

8보고의 유형과 방법

8-1.. 해당 정책 보고의 유형(①사례‧동향 보고, ②정책 개발‧대책‧계획, ③법령‧규정의 제정‧개정, ④정책 이행의 결과‧효과 평가)과 사용한 방법(현황조사, 문헌조사와 고찰 등)을 기술한다..

8-2.. 보고유형 ①과 ④의 경우, 연구의 설계를 기술한다..

-. 질적연구(문헌고찰, 집단면접, 인터뷰 등), 양적연구(문헌고찰, 관찰연구; 단면연구, 환자대조군연구, 코호트연구 등, 실험연구; 무작위시험, 준실험연구 등) 등 기술.

8-3.. 보고유형 ②, ③, ④의 경우, 정책목표 설정 방법, 정책 수단, 의사결정체계를 가능한 범위에서 기술한다..

-.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 방법을 포함한 정책에 대한 의사결정 체계 또는 정책수립과정에 대한 기술 포함.

결과(보고의 유형에 따라 필요한 항목 적용)
9사례‧동향 조사 결과(보고유형 ①)문헌조사‧고찰 혹은 현황조사의 결과를 제시한다.
10개발‧대책‧계획, 법령‧규정 제‧개정 결과(보고유형 ②, ③)

정책의 내용, 활동 계획, 법령‧규정의 제‧개정 내용 등을 기술한다..

가능한 국내외의 과거 또는 현재 정책과 비교하여 차별성 및 개선점 부각.

11이행‧효과 평가 결과(보고유형 ④)

11-1.. (필요시) 평가대상 지표들의 기술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 (필요시) 고려한 제3의 변수들에 대한 기술분석 결과를 함께 제시한다..

11-2.. 정책의 이행결과‧효과에 대한 최종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12이해관계자의 의사결정 참여 결과(모든 보고유형)(필요시) 정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의 의사결정 참여 결과를 제시한다.
13정책의 기대효과 (모든 보고유형)

13-1.. 모든 측면에서(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보건의료적, 심리적, 개인적 등) 해당 정책이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 영향 등을 기술한다..

13-2.. 모든 측면에서(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보건의료적, 심리적, 개인적 등) 해당 정책이 초래할 수 있거나 초래된 부정적 영향, 의도하지 않은 효과 등을 기술한다..

논의(결론)
14결과요약정책 보고의 목적과 보고유형에 비추어 주요 결과를 요약한다.
15제한점 및 결론정책 보고의 목적과 보고유형에 비추어, 강점과 제한점, 기존 유사‧관련 정책과 비교, 결론과 함의를 기술한다.
16정책 개선방안 또는 제안(보고유형 ①, ④)기존 정책의 개선 방안이나 새로운 정책 제안을 기술한다.
기타 정보(투고 양식에 포함, 자료공유‧부록 별도)
17윤리선언윤리선언을 기술한다. IRB 승인, 대상자 동의(informed consent) 여부를 기록한다. 동의가 필요 없으면 그 사안을 기술한다.
18자금원자금원과 관련된 정보(연구지원 기관, 연구비 번호, 기관의 역할)를 기술한다. 연구비 지원이 없는 경우 없다고 기술한다.
19감사의 글연구에 기여하였지만 저자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이나 단체가 연구수행과 관련하여 기여한 내용을 밝힌다.
20이해충돌이해 상충 여부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면 어떤 내용인지 기술한다. 본문에서 서술 시 생략 가능하다.
21저자 기여원고 작성에 있어서 각 저자별로 기여사항을 기술한다.
22참고문헌제시된 양식에 따라 각종 참고 문헌을 명시한다.
23자료공유(필요시) 연구 정보 접근 방법을 기술한다.
24부록(필요시) 본문에 제시하지 않으나 결과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표 5권고 보고 지침의 항목

No영역/주제항목
제목, 초록
1제목

1-2.. 질병명(건강문제), 개발연도(혹은 버전)과 주요 영역(진단, 예방접종, 치료, 관리 등)을 기술한다..

2초록

목적(Objectives), 방법(Methods), 결과(Results), 결론(Conclusions)으로 구조화된 형태로 작성한다..

2-1.. 목적: 건강문제, 대상 인구집단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2-2.. 방법: 개발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2-3.. 결과: 주요 권고안의 근거 내용, 주요 권고 내용을 제시한다..

2-4.. 결론: 결과를 요약하고 권고안의 정책적 함의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다..

3요약

이미 알려진 것, 새로 알게 된 내용과 시사점으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3-1.. 이미 알려진 것: 기존 권고 현황과 문제, 지침 개발의 목적을 기술한다..

3-2.. 새로 알게 된 내용: 기존 권고와 비교하여 구별되는 점을 기술한다..

3-3.. 시사점: 공중보건정책적 함의(기술적, 보건학적, 사회경제적 기대효과 등)를 기술한다..

배경
4건강문제에 대한 기술해당 건강문제의 역학 정보(유병률/발생률, 이환율, 사망률 등), 부담(비용), 사회 문화적 문제, 의료 제도 환경적 문제(혹은 배경) 등을 기술한다.
5대상 인구집단권고 대상 인구집단(혹은 대상 건강문제)을 기술한다.
6목표 사용자와 사용 환경

6-1.. 권고의 목표 사용자(일차진료의사, 특정 영역 전문의, 정책결정자 등)에 대해 기술한다..

6-2.. 사용 환경(일차진료, 보건소, 입원실, 지역사회 등)을 기술한다..

7권고 개발그룹권고 보고의 기초가 되는 진료지침 개발에 참여한 모든 개인의 이름, 소속기관, 직위, 개발그룹 내에서 역할을 기술한다.
근거
8핵심 질문권고의 핵심질문에 따라 개발된 경우, 핵심 질문 문장과 PICO (P [patient], I [intervention], C [comparator], O [outcome]) 형식으로 제시한다. 다른 방법론을 적용시 그에 따른다.
9건강결과권고 결정에 고려할 건강결과는 어떻게 선정되고 분류되었나를 기술한다.
10근거평가

10-1.. 현재 권고 개발을 위해 신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했는지, 기존의 체계적 문헌고찰을 이용했는지 혹은 수용개작하였는지를 명시한다..

10-2.. 문헌고찰을 어떻게 수행하였는지 명시한다(검색방법, 포함/배제 기준, 비뚤림 위험 평가, 자료 합성 방법[메타분석, 질적 합성] 등)..

11근거수준

11-1.. 근거수준을 평가한 방법을 제시한다..

11-2.. 근거수준 등급과 그 의미를 제시한다..

권고
12권고등급

12-1.. 권고 등급을 선정한 방법을 제시한다..

12-2.. 권고 등급을 제시한다..

13권고 도출에 고려한 사항

13-1.. 권고 도출에 고려한 권고 적용에 따른 이득과 위험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13-2.. 권고 도출에 대상 인구집단의 가치와 선호도를 고려하였는지를 기술한다. (필요시) 가치와 선호도를 확인한 접근법이나 방법을 기술한다..

13-3.. 권고 도출에 비용과 자원 등을 고려하였는지를 기술한다. (필요시) 비용과 자원 함의를 확인한 방법(비용-효과 분석 등)과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한다..

13-4.. 권고 도출에 고려한 다른 요인(예를 들어 형평성, 편의성, 수용성 등)이 있으면 기술한다..

14근거 도출 방법론권고 도출을 위해 사용한 방법(예: 투표, 델파이법, 합의 회의 등)을 기술한다.
15권고문

15-1.. 권고문을 모호하지 않고, 행동가능한 내용으로 제시한다..

15-2.. 하위 집단에 따라서 이득과 위해의 저울질 같은 권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른 경우 하위 집단에 따라서 권고문을 분리하여 제시한다..

검토와 갱신
16외부검토권고 초안에 대해서 외부검토가 시행되었는지 기술한다. (필요시) 외부검토를 시행하였다면, 방법과 검토를 받은 방법과 처리 방법을 기술한다.
17갱신권고가 향후 갱신될 예정인지,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떤 기준으로 갱신여부를 결정할지를 기술한다.
기타 정보(투고 양식에 포함, 자료공유·부록 별도)
18윤리선언윤리선언을 기술한다. IRB 승인, 대상자 동의(informed consent) 여부를 기록한다. 동의가 필요 없으면 그 사안을 기술한다.
19자금원자금원과 관련된 정보(지원 기관, 연구비 번호, 기관의 역할)를 기술한다. 자체 개발자금인 경우, 자체자금원임을 밝힌다. 권고 개발과 실행에 자금제공자의 역할은 무엇인지 기술한다.
20감사의 글권고 도출에 기여하였지만 저자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이나 단체가 연구수행과 관련하여 기여한 내용을 밝힌다.
21이해충돌

21-1.. 개발그룹이 권고 개발에 이해관계가 있는지, 있다면 어떤 이해관계(재정적, 비재정적)가 있는지 명시한다..

21-2.. 이해충돌을 어떻게 평가하고 관리했는지 기술한다..

21-3.. 이해충돌이 없으면 없다고 기술한다..

22저자 기여도원고 작성에 있어서 각 저자별로 기여사항을 기술한다.
23참고문헌제시된 양식에 따라 각종 참고 문헌을 명시한다.
24접근성진료지침, 부록, 관련 문서에 어떻게 접근 가능한지 기술한다.
25부록근거의 간극과 추후 연구 필요성에 대한 제안을 기술한다. (필요시) 본문에 제시하지 않으나 결과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References

  1. Kim SY. An algorithm for the selection of reporting guidelines. Sci Ed 2023;10:13-8.
    CrossRef
  2. Zhai X, Wang Y, Mu Q, et al. Methodological reporting quality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 3 leading diabetes journals from 2011 to 2013 following CONSORT statement: a system review. Medicine (Baltimore) 2015;94:e1083.
    Pubmed KoreaMed CrossRef
  3. Kim KH, Kang JW, Lee MS, Lee JD.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reporting in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of acupuncture in the Korean literature using the CONSORT statement and STRICTA guidelines. BMJ Open 2014;4:e005068.
    Pubmed KoreaMed CrossRef
  4. Cobo E, Cortés J, Ribera JM, et al. Effect of using reporting guidelines during peer review on quality of final manuscripts submitted to a biomedical journal: masked randomised trial. BMJ 2011;343:d6783.
    Pubmed KoreaMed CrossRef
  5. Schulz KF, Altman DG, Moher D; CONSORT Group. CONSORT 2010 statement: updated guidelines for reporting parallel group randomized trials. Ann Intern Med 2010;152:726-32.
    Pubmed CrossRef
  6. EQUATOR Network. How to develop a reporting guideline [Internet]. University of Oxford; 2018 [updated 2018 Jun 28; cited 2024 Dec 4]. Available from: https://www.equator-network.org/toolkits/developing-a-reporting-guideline/
  7. Stone SP, Cooper BS, Kibbler CC, et al. The ORION statement: guidelines for transparent reporting of outbreak reports and intervention studies of nosocomial infection. J Antimicrob Chemother 2007;59:833-40.
    Pubmed CrossRef
  8. Benchimol EI, Smeeth L, Guttmann A, et al. The REporting of studies Conducted using Observational Routinely-collected health Data (RECORD) statement. PLoS Med 2015;12:e1001885.
    Pubmed KoreaMed CrossRef
  9. Agha RA, Sohrabi C, Mathew G, Franchi T, Kerwan A, O'Neill N; PROCESS Group. The PROCESS 2020 guideline: updating consensus Preferred Reporting Of CasESeries in Surgery (PROCESS) guidelines. Int J Surg 2020;84:231-5.
    Pubmed CrossRef
  10. Coroneos CJ, Ignacy TA, Thoma A. Designing and reporting case series in plastic surgery. Plast Reconstr Surg 2011;128:361e-8e.
    Pubmed CrossRef
  11. von Elm E, Altman DG, Egger M, Pocock SJ, Gøtzsche PC, Vandenbroucke JP; STROBE Initiative.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STROBE) statement: guidelines for reporting observational studies. BMJ 2007;335:806-8.
    Pubmed KoreaMed CrossRef
  12. Des Jarlais DC, Lyles C, Crepaz N; TREND Group. Improving the reporting quality of nonrandomized evaluations of behavioral and public health interventions: the TREND statement. Am J Public Health 2004;94:361-6.
    Pubmed KoreaMed CrossRef
  13. Horby PW, Laurie KL, Cowling BJ, et al. CONSISE statement on the reporting of seroepidemiologic studies for influenza (ROSES-I statement): an extension of the STROBE statement. Influenza Other Respir Viruses 2017;11:2-14.
    Pubmed KoreaMed CrossRef
  14. Field N, Cohen T, Struelens MJ, et al.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Molecular Epidemiology for Infectious Diseases (STROME-ID): an extension of the STROBE statement. Lancet Infect Dis 2014;14:341-52.
    Pubmed CrossRef
  15. Chen Y, Yang K, Marušic A, et al. A reporting tool for practice guidelines in health care: the RIGHT statement. Ann Intern Med 2017;166:128-32.
    Pubmed CrossRef
  16. Brouwers MC, Kerkvliet K, Spithoff K; AGREE Next Steps Consortium. The AGREE reporting checklist: a tool to improve reporting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BMJ 2016;352:i1152.
    Pubmed KoreaMed CrossRef
  17. Jung W, Ryu S, Ryu SY, Ha M, Choi BY, Kim SY. Reporting guidelines for community outbreak investigation reporting (G-CORE): protocol for guideline development. Ewha Med J 2024;47:e41.
    CrossRef
  18. Jung W, Ryu S, Ryu SY, Ha M, Choi BY, Kim SY. Developing guidelines for surveillance reporting (G-SIRE): protocol for guideline development. Ewha Med J 2024;47:e42.
    CrossRef
  19. Jung W, Ryu S, Ryu SY, Ha M, Choi BY, Kim SY. Establishing the guidelines for recommendation reporting (G-RECO): a study protocol for developing reporting guidelines for disease prevention recommendations. Ewha Med J 2024;47:e43.
    CrossRef
  20. Jung W, Kim SY, Ryu S, Ryu SY, Ha M, Choi BY. Reporting guidelines for survey reporting (G-SURE): protocol for guideline development. Ewha Med J 2024;47:e44.
    CrossRef

PHW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