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감시보고

Split Viewer
ENG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43): 1464-1487

Published online November 9,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43.2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SARS-CoV-2 변이 우세종화 시기에 따른 국내 코로나19 중증도 추이

정세진1, 안미숙1, 장민정1, 최소영1,2, 최유정1, 장진화1,2, 류보영1,2, 박신영1,2, 김성순1,2*

1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 정보분석팀, 2질병관리청 위기대응분석관 위기대응연구담당관

*Corresponding author: 김성순, Tel: +82-43-719-7730, E-mail: sskim0719@korea.kr

Received: September 1, 2023; Revised: September 13, 2023; Accepted: September 25,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는 SARS-CoV-2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호흡기 증상이 주요 증상이며, 일부 고령자와 기저질환자의 경우에는 입원치료를 필요로 한다. 변이바이러스 특성에 따라 전파력, 백신 효과, 중증도 등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는 변이바이러스에 대해 추적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변이바이러스 분석 및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변이바이러스 우세종화 시기에 따른 국내 코로나19 중증도 추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2020년 1월 20일부터 2023년 7월 31일까지 코로나19 확진자의 중증도를 전 기간과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우세종화 시기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2023년 7월 31일까지 총 34,082,179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고, 그 중 37,760명(0.11%)의 위중증 환자와 35,644명(0.11%)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는 오미크론 BA.1, BA.2 우세종화 시기(2022.1.16.–2022.7.9.)에 가장 많이 발생하여 위중증 10,460명(27.7%), 사망자 18,679명(52.4%)이었다. 중증화율 및 치명률의 경우,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2020.1.20.–2021.7.24.)에 각각 2.98%, 1.15%로 전 기간 중 가장 높았으며,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시기(2023.4.16.–2023.7.31.)에 각각 0.12%, 0.04%로 가장 낮았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새로운 변이바이러스는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으나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 치명률은 0.04%로 인플루엔자 수준의 위험도로 낮아졌다. 다만, 연령대별 치명률은 0–49세 <0.01%, 50–59세 0.01%, 60–69세 0.03%인 반면, 80세 이상 연령대의 치명률은 0.56%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여전히 높아 고위험군 우선순위의 방역 정책은 지속되어야 하겠다.

Keywords 코로나19, SARS-CoV-2, 코로나19 중증도, 코로나19 변이, 코로나19 사망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국내 코로나19의 중증도는 델타변이 고유의 중증도가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델타변이 우세 시기의 중증도가 감소하였으며, 오미크론 우세 시기에도 지속 감소추세를 보였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중증화율 및 치명률의 경우,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2020.1.20.–2021.7.24.)에 각각 2.98%, 1.15%로 전 기간 중 가장 높았으며,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2023.4.16.–2023.7.31.)에 각각 0.12%, 0.04%로 가장 낮았다.

③ 시사점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새로운 변이바이러스는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으나,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2023.4.16.–2023.7.31.) 치명률은 0.04%로 계절 인플루엔자 수준의 위험도로 낮아졌다. 다만, 고위험군의 연령대 중 80대 이상 연령층의 치명률은 여전히 높아 고위험군 우선순위의 방역 정책은 지속되어야 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는 SARS-CoV-2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이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대부분의 사람들은 경증에서 중등도의 호흡기 질환을 경험하고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이 가능하나, 일부 고령자와 심혈관 질환, 당뇨병, 만성 호흡기 질환 등 기저 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치료가 필요하다[1]. 2023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2023년 8월 2일 기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확진자는 768,983,095명, 사망자는 11,740,993명, 치명률은 1.0%이며, 2023년 7월 29일까지 13,492,099,754회 백신이 투약되었다. 국내의 경우 동기간 기준, 확진자는 33,322,073명, 사망자는 35,339명으로 치명률은 0.11%이다. 코로나19와 비슷한 호흡기 감염병인 계절성 인플루엔자는 2023년 7월 25일 기준 외래환자 1천 명당 16.9명이었으며[2], 치명률은 WHO에서 0.03–0.07%, 국내 0.03–0.08% 수준으로 보고되고 있다[3]. 또한 백신(기초접종)의 경우 44,327,956명이 예방접종하였으며, 전국 인구 대비 86.7%의 접종률을 보이고 있다[4].

SARS-CoV-2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많은 국가를 거치고, 새로운 숙주를 감염시키는 과정을 통해, 변이가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다[5]. 변이를 통해 바이러스의 속성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세부계통 변화를 통해 바이러스의 전파, 질병의 중증도, 백신 효과, 치료제 등 공중 보건 및 사회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6].

세계보건기구는 변이 바이러스의 연구와 모니터링에 대한 우선순위를 위해 기타 변이(variants of interest)와 주요 변이(variants of concern)로 분류했다. 이에 WHO는 ‘SARS-CoV-2 변이 추적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있으며, 미국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서는 ‘National SARS-CoV-2 Genomic Surveillance System’, ‘국가 폐수 감시 시스템(National Wastewater Surveillance System)’, ‘여행자 기반 SARS-CoV-2 게놈 감시 프로그램’을 수행 중에 있으며[6,7], 국내에서도 변이바이러스 분류체계에 따라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8]. 주요 변이로 2020년 12월 알파변이, 베타변이, 2021년 1월 감마변이, 2021년 5월 델타변이, 2021년 11월 오미크론 변이 순으로 주요 변이로 지정 및 관리되고 있다[9].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시간이 흐를수록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우세종이 변경되며 중증도는 낮아지고 백신접종에 따라 감염 위험이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0-12]. 또한 오미크론 변이는 이전 타 변이에 비해 전파력이 높고, 백신접종 유무에 따라 입원 기간이 15–20% 감소하며, 입원 후 1박 이상 입원할 위험이 41% (95% confidence interval: 37-4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2023년 8월 기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확진자 및 사망자가 감소하고 있으며, 병원성 및 전염성이 강한 새로운 변종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14].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SARS-CoV-2 변이 우세종화 시기에 따른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중증화율 및 치명률을 비교하여, 향후 코로나19 관리체계 전환 시(감염병 등급 조정) 우선순위와 범위를 결정하고, 필요한 보건의료자원 마련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1. 대상

2020년 1월 20일부터 2023년 7월 31일까지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에 신고된 코로나19 확진자 중 위중증 상태로 진행하거나 사망한 사람을 대상으로 발생 규모와 인구학적 특성을 전 기간과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우세종화 시기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코로나19 확진자는 임상 양상에 관계 없이 코로나19 유전자 검출 또는 바이러스 분리를 통해 감염이 확인된 사람, 코로나19 증상을 나타낸 사람으로서 신속항원검사(전문가용/2022.3.14 시행) 또는 응급용 선별검사를 통해 감염이 확인된 사람으로 정의하였다. 코로나19의 중증도는 위중증과 사망으로 분류하였고, 위중증 상태는 코로나19 확진 후 의료기관 격리 중 비침습인공호흡기(non-invasive ventilation)/고유량산소요법(high flow O2), 침습인공호흡기(invasive ventilation), 다기관손상(multi-organ failure), 체외막산소법(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지속적 신대체요법(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을 시행하였을 경우로 정의하였다[15]. 확진자의 임상 상태는 보건소와 의료기관에서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 (질병관리청),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탈시스템’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보고한 자료와 유선 등을 통해 모니터링을 하였다. 코로나19 사망자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질병관리청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신고된 자를 대상으로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외인사를 제외한 후 코로나19 관련 사망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 분석 방법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규모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확진일을 기준으로 유행시기별, 성별 그리고 연령별을 포함한 인구학적 특성과 신고지역별 발생현황을 산출하였다. 또한 변이시기에 따라 지역사회에서 코로나19의 중증도를 파악하기 위해 중증도를 2단계로 구분하여 유행시기 전체 및 주차별 중증화율, 치명률을 산출하였다.

SARS-CoV-2 변이분석 보고일에 따라 주간 변이 바이러스 검사건 중 50% 이상 검출된 주간을 기준으로 우세종화 시기를 구분하였다. 전 기간 중 우세종화별 시기는 델타변이(2021.7.25.–2022.1.15.), 오미크론 BA.1, BA.2 변이(2022.1.16.–2022.7.9.), 오미크론 BA.5 변이(2022.7.24.–2022.12.31.), 오미크론 BN.1 변이(2023.1.22.–2023.3.25.), 오미크론 XBB 변이(2023.4.16.–2023.7.31.) 시기로 구분하였으며 우세종화 시기에 포함하지 않는 기간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추가적으로 현재까지 오미크론 XBB의 각 세부계통은 30% 이상 점유율을 나타내는 계통은 확인되지 않아[16], 오미크론 XBB 변이시기를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중증화율은 해당 기간(변이바이러스 우세종화 시기)에 발생한 확진자 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의 비율(%), 치명률은 해당 기간(변이바이러스 우세종화 시기)에 발생한 확진자 중 사망자의 비율(%)로 산출하였다. 또한 인구 10만명 당 전체 인구 대비 사망자의 규모(사망률)를 산출하기 위해 통계청에 등록된 주민등록연앙인구자료(해당 연도를 대표하는 인구분포)를 활용하였으며[17], 연령별 중증도를 비교하고자 10세 단위로 연령집단을 구분하여 중증화율, 치명률 및 사망률을 산출하였다. 기본 통계를 위해 Microsoft사의 Excel 2018 그리고 Tableau ver. 2021.4 (Salesforc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2023년 7월 31일까지 총 34,082,179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다. 전체 확진자 34,082,179명 중 델타변이 우세 이전은 0.5% (187,340명), 델타변이는 1.5% (500,414명), 오미크론변이의 경우 BA.1, BA.2는 52.2% (17,800,369명), BA.5는 29.1% (9,912,503명), BN.1은 2.3% (777,942명), XBB는 6.5% (2,224,486명)로 확인되었다. 위중증 상태 또는 사망으로 진행한 환자는 분석 전 기간 총 63,522명(0.19%)으로 그 중 위중증 환자는 37,760명(0.11%), 사망자는 35,644명(0.11%)이 발생하였다. 코로나19 확진 후 위중증 상태로 인지된 환자 중 사망한 환자는 9,882명(0.03%)이었다.

1. 위중증 환자 발생 현황

코로나19 발생 기간 동안 확인된 위중증 환자는 총 37,760명으로 확인되었다. 변이 우세종화 시기별 위중증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시기는 오미크론 BA.1, BA.2 우세종화 시기였으며, 27.7% (10,460명)를 차지하였다(표 1). 다음으로는 오미크론 BA.5 우세종화 시기가 23.0% (8,675명) 순으로 확인되었다.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 대비 오미크론 BA.1, BA.2 우세종화 시기에 확진자가 급격히 증가(35.6배)하여 위중증 환자도 증가(1.3배)하였으나 오미크론의 중증도 감소로 확진자 증가폭 대비 위중증 환자는 낮은 수준으로 증가하였다(그림 1). 성별 현황으로는 전 기간 남자의 비율이 57.7%로 여자보다 15.4%p 높게 나타났다. 위중증 환자의 평균 연령은 72.3세(표준편차 15.7세)로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는 67.7세(표준편차 13.7세),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 66.1세(표준편차 15.4세)에서 오미크론 BA.1/2 우세종화 시기 72.7세(표준편차 15.7세), 오미크론 BA.5 우세종화 시기 75.0세(표준편차 15.4)로 점차 평균 연령이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연령별 비율의 경우 60세 이상이 30,866명(81.7%)으로 가장 높았으며, 해당 연령대 중 오미크론 BA.5 우세종화 시기에 88.1%로 가장 비율이 높았고, 다음으로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에 87.1%로 확인되었다. 특히 80세 이상은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에 19.6%로 확인되었지만, 오미크론 시기에 38.7-47.1%로 (평균 42.3%) 약 2.1배 증가하는 추세로 확인되었다. 지역 현황으로는 전 기간 중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이 61.9% (23,347명)로 과반수 이상 발생하였으며, 그 외 지역은 37.8% (14,287명)로 확인되었다. 신고지역 기준으로 서울이 10,337명(27.4%)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다음으로 경기에서 10,183명(27.0%)이 확인되었다. 변이별 기간으로 구분한 경우,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와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에 수도권에서 각각 72.9%, 74.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XBB 변이가 우세종화 시기에 비수도권(54.0%)에서 과반수 이상 발생하였으나, 그 외 변이 시기는 수도권(델타: 74.5%; BA.1, BA.2: 57.1%; BA.5: 57.2%; BN.1: 52.2%)에서 과반수 이상 발생하였다. 특히 검역에서 발생한 126명 중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가 97명(2.1%)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델타변이 우세 시기에 27명(0.3%)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주간 확진자,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수(2023.7.31. 확진일 기준)

변이 우세종화 시기b)에 따른 위중증 환자a)의 기본 특성(2023.7.31. 확진일 기준)
구분변이 우세종화 시기
전 기간(2020.1.20.-2023.7.31.)델타 우세 이전(2020.1.20.-2021.7.24.)델타 변이(2021.7.25.-2022.1.15.)오미크론 변이
BA.1/BA.2 (2022.1.16.-2022.7.9.)BA.5 (2022.7.24.-2022.12.31.)BN.1 (2023.1.22.-2023.3.25.)XBB (2023.4.16.-2023.7.31.)
합계37,760 (100.0)4,665 (100.0)8,296 (100.0)10,460 (100.0)8,675 (100.0)1,364 (100.0)2,028 (100.0)
성별
21,787 (57.7)2,792 (59.8)4,775 (57.6)6,029 (57.6)4,886 (56.3)811 (59.5)1,199 (59.1)
15,973 (42.3)1,873 (40.2)3,521 (42.4)4,431 (42.4)3,789 (43.7)553 (40.5)829 (40.9)
연령(세)
평균±표준편차72.3±15.767.7±13.766.1±15.472.7±15.775.0±15.473.6±15.673.6±15.5
0-9209 (0.6)0 (0.0)6 (0.1)74 (0.7)67 (0.8)12 (0.9)25 (1.2)
10-19158 (0.4)3 (0.1)21 (0.2)65 (0.6)47 (0.5)7 (0.5)5 (0.3)
20-29385 (1.0)44 (0.9)129 (1.6)108 (1.0)63 (0.7)13 (1.0)11 (0.5)
30-39899 (2.4)116 (2.5)399 (4.8)193 (1.9)112 (1.3)20 (1.5)28 (1.4)
40-491,694 (4.5)298 (6.4)664 (8.0)343 (3.3)241 (2.8)39 (2.8)51 (2.5)
50-593,549 (9.4)730 (15.6)1,150 (13.9)777 (7.4)506 (5.8)93 (6.8)141 (7.0)
60-697,821 (20.7)1,240 (26.6)2,218 (26.7)2,045 (19.6)1,315 (15.2)225 (16.5)379 (18.7)
70-799,968 (26.4)1,289 (27.6)2,084 (25.1)2,805 (26.8)2,242 (25.8)396 (29.0)532 (26.2)
≥8013,077 (34.6)945 (20.3)1,625 (19.6)4,050 (38.7)4,082 (47.1)559 (41.0)856 (42.2)
≥6030,866 (81.7)3,474 (74.5)5,927 (71.4)8,900 (85.1)7,639 (88.1)1,180 (86.5)1,767 (87.1)
신고지역
수도권23,347 (61.9)3,402 (72.9)6,184 (74.5)5,975 (57.1)4,960 (57.2)713 (52.2)932 (46.0)
서울10,337 (27.4)1,876 (40.2)3,348 (40.3)2,275 (21.7)1,707 (19.7)276 (20.2)412 (20.3)
경기10,183 (27.0)1,238 (26.5)2,255 (27.2)2,746 (26.3)2,589 (29.8)359 (26.3)420 (20.7)
인천2,827 (7.5)288 (6.2)581 (7.0)954 (9.1)664 (7.7)78 (5.7)100 (5.0)
비수도권14,287 (37.8)1,166 (25.0)2,085 (25.2)4,484 (42.9)3,714 (42.8)651 (47.8)1,096 (54.0)
부산2,347 (6.2)156 (3.3)433 (5.2)723 (6.9)566 (6.5)108 (7.9)189 (9.3)
대구1,806 (4.8)240 (5.1)258 (3.1)613 (5.9)412 (4.7)54 (4.0)130 (6.4)
광주811 (2.2)65 (1.4)70 (0.9)301 (2.9)229 (2.6)29 (2.1)47 (2.3)
대전883 (2.3)71 (1.5)168 (2.0)269 (2.6)209 (2.4)36 (2.6)61 (3.0)
울산660 (1.8)75 (1.6)99 (1.2)196 (1.9)177 (2.0)23 (1.7)43 (2.1)
세종82 (0.2)2 (0.0)12 (0.2)31 (0.3)23 (0.3)3 (0.2)4 (0.2)
강원1,338 (3.5)99 (2.1)175 (2.1)444 (4.2)361 (4.2)65 (4.8)95 (4.7)
충북754 (2.0)64 (1.4)138 (1.7)265 (2.5)172 (2.0)32 (2.4)41 (2.0)
충남1,486 (3.9)97 (2.1)226 (2.7)395 (3.8)470 (5.4)61 (4.5)115 (5.7)
전북711 (1.9)58 (1.2)81 (1.0)247 (2.4)183 (2.1)33 (2.4)54 (2.7)
전남758 (2.0)42 (0.9)63 (0.8)239 (2.3)205 (2.4)43 (3.2)88 (4.3)
경북1,020 (2.7)94 (2.0)100 (1.2)274 (2.6)311 (3.6)69 (5.1)77 (3.8)
경남1,403 (3.7)88 (1.9)235 (2.8)404 (3.9)370 (4.3)81 (5.9)109 (5.4)
제주228 (0.6)15 (0.3)27 (0.3)83 (0.8)26 (0.3)14 (1.0)43 (2.1)
검역126 (0.3)97 (2.1)27 (0.3)1 (0.0)1 (0.0)0 (0.0)0 (0.0)

단위: 건(%). a)위중증 환자: 코로나19 격리 치료 중 비침습인공호흡기, 고유량산소요법, 침습인공호흡기, 체외막산소공급, 지속적신대체요법을 적용한 환자. b)확진자 수(80세 이상): 델타변이 우세종화 이전 시기 187,340명(6,083명, 3.2%),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 500,414명(15,600명, 3.1%), 오미크론 BA.1/BA.2 우세종화 시기 17,800,369명(516,128명, 2.9%), 오미크론 BA.5 우세 시기 9,912,503명(411,067명, 4.1%), 오미크론 BN.1 우세종화 시기 777,942명(42,126명, 5.4%),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 2,224,486명(112,926명, 5.1%).



2. 사망자 발생 현황

코로나19 발생 전 기간 발생한 사망자 35,644명 중 오미크론 BA.1, BA.2 우세종화 시기에 52.4% (18,679명)로 가장 많이 사망하였다(표 2). 오미크론 BA.1, BA.2 우세종화 시기 확진자가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 대비 급증(35.6배)과 동시에 사망자도 증가(3.9배)하였으나 중증도의 경우 오미크론 우세종화 시기에 확진자 증가 폭 대비 사망자는 낮은 수준으로 증가하였다(그림 1). 성별 현황으로는 전체에서 여성이 50.6% (18,029명), 남성이 49.4% (17,615명)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BA.1, BA.2 우세종화 시기를 제외하고 그 외 타 변이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과반수 이상 높게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평균 연령은 79.2세(표준편차 12.2세)로 델타변이 우세 이전 78.4세(표준편차 11.4세),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 77.2세(표준편차 12.2세), 오미크론 BA.1, BA.2 우세종화 시기 80.4세(표준편차 12.1세), 오미크론 BA.5 우세종화 시기 80.2세(표준편차 12.2세), BN.1은 78.8세(표준편차 12.7세) 그리고 XBB는 80.4세(표준편차 11.9세)로 70–80대 연령 범위 내에서 확인되었다. 연령집단의 경우, 80세 이상의 비율이 델타 변이 우세종화 시기 48.0% (2,292명)를 제외하고 델타 변이 우세 이전 시기(52.4%)와 오미크론 우세종화 시기는 과반수 이상(58.2–63.8%)의 비율이 나타났으며 전 연령 중 60세 이상이 전체의 약 90% 이상 비율(92.4–95.3%)을 차지하였다. 지역 현황으로는 전 기간 중 비수도권이 51.7% (18,443명)로 과반수 이상 사망하였으며, 수도권은 48.2% (17,185명)로 확인되었다. 신고지역 기준으로 경기가 8,586명(24.1%)으로 가장 많이 사망하였으며, 다음으로 서울에서 6,638명(18.6%)으로 확인되었다. 변이별 기간으로 구분한 경우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와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는 수도권에서 각각 61.8%, 74.3%로 과반수 이상 사망하였으며, 그 외 변이시기는 비수도권(BA.1, BA.2: 56.9%; BA.5: 56.6%; BN.1: 63.0%; XBB: 59.0%)에서 과반수 이상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였다.

변이 우세종화 시기에 따른 사망자의 기본 특성(2023.7.31. 확진일 기준)
구분변이 우세종화 시기
전 기간(2020.1.20.-2023.7.31.)델타 우세 이전(2020.1.20.-2021.7.24.)델타 변이(2021.7.25.-2022.1.15.)오미크론 변이
BA.1/BA.2 (2022.1.16.-2022.7.9.)BA.5 (2022.7.24.-2022.12.31.)BN.1 (2023.1.22.-2023.3.25.)XBB (2023.4.16.–2023.7.31.)
합계35,644 (100.0)2,163 (100.0)4,772 (100.0)18,679 (100.0)6,838 (100.0)809 (100.0)984 (100.0)
성별
17,615 (49.4)1,091 (50.4)2,487 (52.1)8,881 (47.5)3,455 (50.5)444 (54.9)527 (53.6)
18,029 (50.6)1,072 (49.6)2,285 (47.9)9,798 (52.5)3,383 (49.5)365 (45.1)457 (46.4)
연령(세)
평균±표준편차79.2±12.278.4±11.477.2±12.280.4±12.180.2±12.278.8±12.780.4±11.9
0-939 (0.1)0 (0.0)3 (0.1)21 (0.1)10 (0.1)0 (0.0)2 (0.2)
10-1924 (0.1)0 (0.0)0 (0.0)13 (0.1)6 (0.1)3 (0.4)1 (0.1)
20-2981 (0.2)5 (0.2)10 (0.2)48 (0.3)15 (0.2)0 (0.0)1 (0.1)
30-39166 (0.5)11 (0.5)33 (0.7)70 (0.4)33 (0.5)8 (1.0)5 (0.5)
40-49480 (1.3)20 (0.9)79 (1.7)242 (1.3)94 (1.4)12 (1.5)10 (1.0)
50-591,446 (4.1)105 (4.9)233 (4.9)708 (3.8)269 (3.9)38 (4.7)28 (2.8)
60-694,044 (11.3)284 (13.1)822 (17.2)1,897 (10.1)684 (10.0)99 (12.2)103 (10.6)
70-798,065 (22.6)604 (28.0)1,300 (27.2)4,001 (21.4)1,476 (21.6)178 (22.0)206 (20.9)
≥8021,299 (59.8)1,134 (52.4)2,292 (48.0)11,679 (62.5)4,251 (62.2)471 (58.2)628 (63.8)
≥6033,408 (93.7)2,022 (93.5)4,414 (92.4)17,577 (94.0)6,411 (93.8)748 (92.4)937 (95.3)
신고지역
수도권17,185 (48.2)1,337 (61.8)3,544 (74.3)8,048 (43.1)2,971 (43.4)299 (37.0)403 (41.0)
서울6,638 (18.6)555 (25.7)1,717 (36.0)2,719 (14.6)1,105 (16.1)117 (14.5)193 (19.6)
경기8,586 (24.1)714 (33.0)1,541 (32.3)4,244 (22.7)1,526 (22.3)131 (16.2)158 (16.1)
인천1,961 (5.5)68 (3.1)286 (6.0)1,085 (5.8)340 (5.0)51 (6.3)52 (5.3)
비수도권18,443 (51.7)814 (37.6)1,224 (25.6)10,631 (56.9)3,867 (56.6)510 (63.0)581 (59.0)
부산2,926 (8.2)130 (6.0)245 (5.1)1,878 (10.1)441 (6.4)44 (5.4)80 (8.1)
대구2,061 (5.8)222 (10.3)166 (3.5)1,026 (5.5)453 (6.6)56 (6.9)51 (5.2)
광주858 (2.4)24 (1.1)48 (1.0)536 (2.9)172 (2.5)19 (2.3)19 (1.9)
대전991 (2.8)34 (1.6)157 (3.3)529 (2.8)169 (2.5)32 (4.0)29 (2.9)
울산544 (1.5)40 (1.8)28 (0.6)314 (1.7)116 (1.7)11 (1.4)13 (1.3)
세종59 (0.2)1 (0.0)3 (0.1)32 (0.2)12 (0.2)1 (0.1)3 (0.3)
강원1,388 (3.9)56 (2.6)65 (1.4)769 (4.1)346 (5.1)36 (4.5)54 (5.5)
충북1,087 (3.0)71 (3.3)55 (1.2)629 (3.4)218 (3.2)28 (3.5)34 (3.5)
충남1,635 (4.6)46 (2.1)139 (2.9)896 (4.8)413 (6.0)38 (4.7)40 (4.1)
전북1,270 (3.6)60 (2.8)65 (1.4)802 (4.3)223 (3.3)35 (4.3)28 (2.8)
전남1,071 (3.0)18 (0.8)30 (0.6)548 (2.9)309 (4.5)53 (6.5)61 (6.2)
경북2,161 (6.1)88 (4.1)114 (2.4)1,301 (7.0)463 (6.8)52 (6.4)51 (5.2)
경남2,077 (5.8)23 (1.1)97 (2.0)1,196 (6.4)476 (7.0)97 (12.0)85 (8.6)
제주315 (0.9)1 (0.0)12 (0.3)175 (0.9)56 (0.8)8 (1.0)33 (3.4)
검역16 (0.0)12 (0.6)4 (0.1)0 (0.0)0 (0.0)0 (0.0)0 (0.0)

단위: 건(%).



3. 중증화율 및 치명률 추이

유행 전 기간 중증화율은 0.19%, 치명률은 0.10%였으며, 유행 시기별로는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가 중증화율 2.98%, 치명률 1.1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에서 중증화율 2.14%, 치명률 0.95% 순으로 높게 확인되었다.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에서는 중증화율 0.12%, 치명률 0.0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표 3, 그림 2). 중증화율은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 2.98%에서 오미크론 BA.5 우세종화 시기(0.14%)까지 감소하는 추세로 보였다. 그러나, 오미크론 BN.1 우세종화 시기에 증가(0.25%)하였으며, 그 이후 XBB 우세종화 시기에서 0.12%로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치명률 또한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에 1.1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오미크론 BA.5 우세종화 시기(0.07%)까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오미크론 BN.1 우세종화 시기에 0.10%로 증가하였으나,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에 0.04%로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 대비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는 약 29배 수준으로 급감하였다.

Figure. 2.코로나19 주별 중증화율 및 치명률(2023.7.31. 확진일 기준)

변이 우세종화 시기에 따른 중증화율, 치명률 및 사망률(2023.7.31. 확진일 기준)
구분변이 우세종화 시기
전 기간(2020.1.20.-2023.7.15.)델타 우세 이전(2020.1.20.-2021.7.24.)델타 변이(2021.7.25.-2022.1.15.)오미크론 변이
BA.1/BA.2 (2022.1.16.-2022.7.9.)BA.5 (2022.7.24.-2022.12.31.)BN.1 (2023.1.22.-2023.3.25.)XBB (2023.4.16.–2023.7.31.)
중증화율a)0.192.982.140.150.140.250.12
0-9세0.010.000.02<0.010.010.030.03
10-19세<0.010.020.04<0.01<0.010.01<0.01
20-29세0.010.150.190.010.010.01<0.01
30-39세0.020.450.560.010.010.020.01
40-49세0.041.040.980.020.020.040.02
50-59세0.102.261.910.060.050.110.05
60-69세0.275.313.590.190.140.300.15
70-79세0.7513.638.880.700.470.870.34
80세 이상2.4225.4219.752.731.742.131.18
치명률b)0.101.150.950.100.070.100.04
0-9세<0.010.000.01<0.01<0.010.00<0.01
10-19세<0.010.000.00<0.01<0.01<0.01<0.01
20-29세<0.010.020.01<0.01<0.010.00<0.01
30-39세<0.010.040.04<0.01<0.010.01<0.01
40-49세0.010.070.110.010.010.01<0.01
50-59세0.030.310.360.030.020.040.01
60-69세0.111.141.170.110.060.100.03
70-79세0.405.594.420.470.220.300.11
80세 이상1.7418.6414.692.261.031.120.56
사망률(10만 명당)69.294.209.2836.3113.291.571.91
0-9세1.100.000.080.590.280.000.06
10-19세0.510.000.000.280.130.060.02
20-29세1.260.080.160.750.230.000.02
30-39세2.510.170.501.060.500.120.08
40-49세5.950.250.983.001.160.150.12
50-59세16.791.222.718.223.120.440.33
60-69세54.623.8411.1025.629.241.341.39
70-79세210.8115.7933.98104.5838.584.655.38
80세 이상944.0750.26101.59517.67188.4220.8827.84

단위: %. a)중증화율: (해당기간 확진자 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해당기간 확진자×100. b)치명률: (해당기간 확진자 중 사망자)/해당기간 확진자×100.



각 시기별 연령별 중증화율, 치명률, 사망률은 모두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각 연령 집단별 유행시기에 따른 중증도 변화 수준은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에서 오미크론변이 BA.1/2 우세종화 시기로 전환되면서 모든 연령집단의 중증화율과 치명률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 중 중증화율이 연령층 상대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던 시기는 델타 변이 우세종화 시기에서 오미크론 BA.1/2 우세종화 전환되는 시기로, 30대(0.56%→0.01%, 60.3배)가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40대(0.98%→0.02%, 32.9배)였다. 상대적 감소가 가장 적었던 연령층은 80대(19.75%→2.73%, 7.2배)였다. 동일시기 치명률에서의 상대적 감소가 가장 컸던 연령층도 중증화율과 마찬가지로 30대(0.04%→<0.01%, 16.8배)였으며, 상대적 감소가 가장 적었던 연령층도 80대(14.69%→2.26%, 6.5배)였다. 오미크론 BA.5와 BN.1 우세종화 시기는 중증화율, 치명률 모두 8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집단에서 중증화율, 치명률이 1% 이하를 보였으며,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는 80세 이상 중증화율(1.18%)을 제외하고는 중증화율, 치명률이 1% 이하를 보였다.

사망률은 오미크론 BA.1/2 우세종화 시기에 확진자의 급격히 증가하여 전국 연앙인구 기준 10만 명당 36.31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오미크론 BA.5 우세종화 시기에 10만 명당 13.29명으로 높았다. 연령 집단별로는 80세 이상 10만 명당 944.07명이었으며, 우세종화 시기별로 분류 시,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 오미크론 BA.1/2 우세종화 시기, 오미크론 BA.5 우세종화 시기는 10만 명당 100명 이상의 사망률을 유지하였으나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 50.26명, 오미크론 BN.1 우세종화 시기 20.88명,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 27.84명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확인하였다.

본 보고서는 국내 코로나19 첫 확진자 발생일부터 오미크론 BA.5 우세종화 시기까지 중증도 추이를 분석한 보고서[18]를 이어 변이바이러스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까지의 중증도를 비교, 분석한 보고서이다. 오미크론 변이의 평균 잠복기는 4.2일(2–8일)로 델타변이의 평균 잠복기인 5.8일보다 짧으며, 항체 회피력이 높아져 델타 등 다른 변이보다 감염 전파력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9]. 또한 유행 시기별로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에 중증화율 2.14%, 치명률 0.95%,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에 중증화율 0.12%, 치명률 0.04%로 오미크론 변이를 통해 감염자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이에 따른 중증도는 낮게 확인되었다. 이는 다른 변이에 비에 오미크론 변이가 증상 또는 중증도가 경미하다는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20,21]. 이러한 중증도 감소추세와 낮은 중증화율 및 치명률 등을 반영하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023년 6월 1일부터, 코로나19 위기 단계를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치하였다[22]. 이후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 2023년 3월 이후부터 7월까지 확진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확산 및 전파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XBB 변이가 우세화되고 위기 단계 조정 시기 등의 영향이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중증화율과 치명률, 사망률이 각 변이 우세종화 시기를 거치면서 점점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연령분포별 중증화율과 치명률의 변화가 적은 연령은 80세 이상으로 확인되었으며, 20대와 30대에서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이는, 고령으로 갈수록 격차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표 3), 연령이 높아질수록 면역체계에 영향을 미치거나[23], 65세 이상은 백신의 효과가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를 뒷받침한다[24]. 또한, 현재 진행 중인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의 치명률(0.04%)은 계절 인플루엔자 치명률 수준(0.03–0.08%)으로, 타 변이 우세종화 시기 대비 낮은 수준이다[3]. 이는 질병의 위험도는 낮아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방역수준 완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중증으로 악화 될 수 있는 고연령 및 감염 취약시설에 대한 감염관리 및 모니터링은 유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본 보고서의 한계점으로는 코로나19 변이에 따른 우세종화 시기의 기준에 대한 정의를 따라 자료를 추출하였기에, 분석된 자료에 일부 기간을 제외하고 분석되었다. 따라서 우세종화시기 기준에 따라 결과값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오미크론 치명률은 델타변이에 비해 1/4 수준이며, 예방접종 완료시 오미크론 치명률은 계절독감과 유사하거나 낮아지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25]. 그러나, 본 보고서에서는 백신 접종에 따른 비교분석은 시행하지 않아 백신 접종에 따른 중증화율과 치명률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코로나19의 관리체계 전환 및 방역관리 단계 하향을 통해 많은 부분이 자율방역으로 변경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고령 및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집중적인 보호 및 관리가 필요하며, 확진이 되더라도 중증단계에 미치지 않도록 신속하고 적극적인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펜데믹을 통해 많은 국민들이 방역수칙에 대한 역량이 강화되었기에 향후 방역 단계가 추가 하향되고 법정감염병 2급 감염병에서 4급 감염병으로 변경되더라도 손 씻기, 기침 예의 준수, 주기적인 환기 및 소독 등 자율적으로 일상 방역 수칙을 실천하는 시민문화 형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SJJ, BYR, SYP, SSK. Data curation: SJJ, MSA, MJJ, SYC, YJC, JHJ, BYR, SYP, SSK. Formal analysis: SJJ. Methodology: SJJ, BYR, SYP, SSK. Resources: SJJ, MSA, MJJ, SYC, YJC, JHJ. Visualization: SJJ. Writing - original draft: SJJ. Writing - review & editing: SJJ, BYR, SYP, SSK.

  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oronavirus disease (COVID-19) [Internet]. WHO; 2023 [cited 2023 Aug 15].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health-topics/coronavirus#tab=tab_1
  2.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Press Release (July 25, 2023)].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3074&cg_code=&act=view&nPage=1
  3.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Press Release (August 23, 2023)].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3304&cg_code=&act=view&nPage=1
  4.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Coronavirus disease 19 (COVID-19), cases in Korea [Internet]. KDCA; 2023 [cited 2023 Aug 15].
    Available from: https://ncov.kdca.go.kr/bdBoardList_Real.do?brdId=1&brdGubun=11&ncvContSeq=&contSeq=&board_id=&gubun=
  5. Zeng L, Lu Y, Yan W, Yang Y. A protein co-conservation network model characterizes mutation effects on SARS-CoV-2 spike protein. Int J Mol Sci 2023;24:3255.
    Pubmed KoreaMed CrossRef
  6.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racking SARS-CoV-2 variants [Internet]. WHO; 2023 [cited 2023 Aug 15].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activities/tracking-SARS-CoV-2-variants
  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COVID Data Tracker [Internet]. CDC; 2023 [cited 2023 Aug 15].
    Available from: https://covid.cdc.gov/covid-data-tracker/#variant-summary
  8.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COVID-19 mutant virus [Internet]. KDCA; 2021 [cited 2023 Aug 15].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107020000
  9. Kim IH, Park AK, No JS, et al. Omicron subvariants (BQ.1, BQ.1.1, etc.) outbreak status. Public Health Wkly Rep 2022;15:2917-24.
    CrossRef
  10. Butt AA, Dargham SR, Coyle P, et al. COVID-19 disease severity in persons infected with Omicron BA.1 and BA.2 sublineages and association with vaccination status. JAMA Intern Med 2022;182:1097-9.
    Pubmed KoreaMed CrossRef
  11. Ciuffreda L, Lorenzo-Salazar JM, García-Martínez de Artola D, et al. Reinfection rate and disease severity of the BA.5 Omicron SARS-CoV-2 lineage compared to previously circulating variants of concern in the Canary Islands (Spain). Emerg Microbes Infect 2023;12:2202281.
    Pubmed KoreaMed CrossRef
  12. Sheikh A, Kerr S, Woolhouse M, McMenamin J, Robertson C; EAVE II Collaborators. Severity of omicron variant of concern and effectiveness of vaccine boosters against symptomatic disease in Scotland (EAVE II): a national cohort study with nested test-negative design. Lancet Infect Dis 2022;22:959-66.
    Pubmed KoreaMed CrossRef
  13. Malik YA. Covid-19 variants: impact on transmissibility and virulence. Malays J Pathol 2022;44:387-96.
    Pubmed
  14. Yang Z, Zhang S, Tang YP,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transmissibility, pathogenicity, susceptible populations, and re-infectivity of prominent COVID-19 variants. Aging Dis 2022;13:402-22.
    Pubmed KoreaMed CrossRef
  15.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Coronavirus disease 2019 response and management guidelines for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13-3rd ed. Central Disease Control Headquarters; 2023.
    CrossRef
  16.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Press Release (August 16, 2023)].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3254&cg_code=&act=view&nPage=1#
  17. Ryu B, Shin E, Kim NY, et al. Severity of COVID-19 associated with SARS-CoV-2 variants circulating in the Republic of Korea. Public Health Wkly Rep 2022;15:2873-95.
    CrossRef
  18.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COVID-19 and Omicron mutations [Internet]. KDCA; 2023 [cited 2023 Aug 15].
    Available from: https://ncv.kdca.go.kr/menu.es?mid=a30101000000
  19. Yu C, Fengzhao Z, Hongmei W, et al. The impact of vaccination on patients with COVID-19 during the wave of Omicron in Shanghai. Front Public Health 2022;10:1054313.
    Pubmed KoreaMed CrossRef
  20. AlBahrani S, AlBarrak A, Al-Musawi T, et al. COVID-19 vaccin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atients with SARS-COV-2 during the third (Omicron) wave in Saudi Arabia. J Infect Public Health 2022;15:1169-74.
    Pubmed KoreaMed CrossRef
  21.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Press Release (May 31, 2023)].
    Available from: https://ncov.kdca.go.kr/tcmBoardView.do?brdId=3&brdGubun=31&dataGubun=&ncvContSeq=7248&contSeq=7248&board_id=312&gubun=ALL
  22. Bajaj V, Gadi N, Spihlman AP, Wu SC, Choi CH, Moulton VR. Aging, immunity, and COVID-19: how age influences the host immune response to coronavirus infections?. Front Physiol 2021;11:571416.
    Pubmed KoreaMed CrossRef
  23. Omori R, Matsuyama R, Nakata Y. The age distribution of mortality from novel coronavirus disease (COVID-19) suggests no large difference of susceptibility by age. Sci Rep 2020;10:16642.
    Pubmed KoreaMed CrossRef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lease (February 23, 2022)].
    Available from: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503010100&bid=0027

Article

조사/감시보고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43): 1464-1487

Published online November 9,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43.2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SARS-CoV-2 변이 우세종화 시기에 따른 국내 코로나19 중증도 추이

정세진1, 안미숙1, 장민정1, 최소영1,2, 최유정1, 장진화1,2, 류보영1,2, 박신영1,2, 김성순1,2*

1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 정보분석팀, 2질병관리청 위기대응분석관 위기대응연구담당관

Received: September 1, 2023; Revised: September 13, 2023; Accepted: September 25,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는 SARS-CoV-2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호흡기 증상이 주요 증상이며, 일부 고령자와 기저질환자의 경우에는 입원치료를 필요로 한다. 변이바이러스 특성에 따라 전파력, 백신 효과, 중증도 등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는 변이바이러스에 대해 추적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변이바이러스 분석 및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변이바이러스 우세종화 시기에 따른 국내 코로나19 중증도 추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2020년 1월 20일부터 2023년 7월 31일까지 코로나19 확진자의 중증도를 전 기간과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우세종화 시기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2023년 7월 31일까지 총 34,082,179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고, 그 중 37,760명(0.11%)의 위중증 환자와 35,644명(0.11%)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는 오미크론 BA.1, BA.2 우세종화 시기(2022.1.16.–2022.7.9.)에 가장 많이 발생하여 위중증 10,460명(27.7%), 사망자 18,679명(52.4%)이었다. 중증화율 및 치명률의 경우,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2020.1.20.–2021.7.24.)에 각각 2.98%, 1.15%로 전 기간 중 가장 높았으며,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시기(2023.4.16.–2023.7.31.)에 각각 0.12%, 0.04%로 가장 낮았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새로운 변이바이러스는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으나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 치명률은 0.04%로 인플루엔자 수준의 위험도로 낮아졌다. 다만, 연령대별 치명률은 0–49세 <0.01%, 50–59세 0.01%, 60–69세 0.03%인 반면, 80세 이상 연령대의 치명률은 0.56%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여전히 높아 고위험군 우선순위의 방역 정책은 지속되어야 하겠다.

Keywords: 코로나19, SARS-CoV-2, 코로나19 중증도, 코로나19 변이, 코로나19 사망

서 론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국내 코로나19의 중증도는 델타변이 고유의 중증도가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델타변이 우세 시기의 중증도가 감소하였으며, 오미크론 우세 시기에도 지속 감소추세를 보였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중증화율 및 치명률의 경우,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2020.1.20.–2021.7.24.)에 각각 2.98%, 1.15%로 전 기간 중 가장 높았으며,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2023.4.16.–2023.7.31.)에 각각 0.12%, 0.04%로 가장 낮았다.

③ 시사점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새로운 변이바이러스는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으나,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2023.4.16.–2023.7.31.) 치명률은 0.04%로 계절 인플루엔자 수준의 위험도로 낮아졌다. 다만, 고위험군의 연령대 중 80대 이상 연령층의 치명률은 여전히 높아 고위험군 우선순위의 방역 정책은 지속되어야 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는 SARS-CoV-2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이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대부분의 사람들은 경증에서 중등도의 호흡기 질환을 경험하고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이 가능하나, 일부 고령자와 심혈관 질환, 당뇨병, 만성 호흡기 질환 등 기저 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치료가 필요하다[1]. 2023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2023년 8월 2일 기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확진자는 768,983,095명, 사망자는 11,740,993명, 치명률은 1.0%이며, 2023년 7월 29일까지 13,492,099,754회 백신이 투약되었다. 국내의 경우 동기간 기준, 확진자는 33,322,073명, 사망자는 35,339명으로 치명률은 0.11%이다. 코로나19와 비슷한 호흡기 감염병인 계절성 인플루엔자는 2023년 7월 25일 기준 외래환자 1천 명당 16.9명이었으며[2], 치명률은 WHO에서 0.03–0.07%, 국내 0.03–0.08% 수준으로 보고되고 있다[3]. 또한 백신(기초접종)의 경우 44,327,956명이 예방접종하였으며, 전국 인구 대비 86.7%의 접종률을 보이고 있다[4].

SARS-CoV-2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많은 국가를 거치고, 새로운 숙주를 감염시키는 과정을 통해, 변이가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다[5]. 변이를 통해 바이러스의 속성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세부계통 변화를 통해 바이러스의 전파, 질병의 중증도, 백신 효과, 치료제 등 공중 보건 및 사회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6].

세계보건기구는 변이 바이러스의 연구와 모니터링에 대한 우선순위를 위해 기타 변이(variants of interest)와 주요 변이(variants of concern)로 분류했다. 이에 WHO는 ‘SARS-CoV-2 변이 추적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있으며, 미국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서는 ‘National SARS-CoV-2 Genomic Surveillance System’, ‘국가 폐수 감시 시스템(National Wastewater Surveillance System)’, ‘여행자 기반 SARS-CoV-2 게놈 감시 프로그램’을 수행 중에 있으며[6,7], 국내에서도 변이바이러스 분류체계에 따라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8]. 주요 변이로 2020년 12월 알파변이, 베타변이, 2021년 1월 감마변이, 2021년 5월 델타변이, 2021년 11월 오미크론 변이 순으로 주요 변이로 지정 및 관리되고 있다[9].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시간이 흐를수록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우세종이 변경되며 중증도는 낮아지고 백신접종에 따라 감염 위험이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0-12]. 또한 오미크론 변이는 이전 타 변이에 비해 전파력이 높고, 백신접종 유무에 따라 입원 기간이 15–20% 감소하며, 입원 후 1박 이상 입원할 위험이 41% (95% confidence interval: 37-4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2023년 8월 기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확진자 및 사망자가 감소하고 있으며, 병원성 및 전염성이 강한 새로운 변종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14].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SARS-CoV-2 변이 우세종화 시기에 따른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중증화율 및 치명률을 비교하여, 향후 코로나19 관리체계 전환 시(감염병 등급 조정) 우선순위와 범위를 결정하고, 필요한 보건의료자원 마련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방 법

1. 대상

2020년 1월 20일부터 2023년 7월 31일까지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에 신고된 코로나19 확진자 중 위중증 상태로 진행하거나 사망한 사람을 대상으로 발생 규모와 인구학적 특성을 전 기간과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우세종화 시기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코로나19 확진자는 임상 양상에 관계 없이 코로나19 유전자 검출 또는 바이러스 분리를 통해 감염이 확인된 사람, 코로나19 증상을 나타낸 사람으로서 신속항원검사(전문가용/2022.3.14 시행) 또는 응급용 선별검사를 통해 감염이 확인된 사람으로 정의하였다. 코로나19의 중증도는 위중증과 사망으로 분류하였고, 위중증 상태는 코로나19 확진 후 의료기관 격리 중 비침습인공호흡기(non-invasive ventilation)/고유량산소요법(high flow O2), 침습인공호흡기(invasive ventilation), 다기관손상(multi-organ failure), 체외막산소법(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지속적 신대체요법(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을 시행하였을 경우로 정의하였다[15]. 확진자의 임상 상태는 보건소와 의료기관에서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 (질병관리청),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탈시스템’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보고한 자료와 유선 등을 통해 모니터링을 하였다. 코로나19 사망자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질병관리청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신고된 자를 대상으로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외인사를 제외한 후 코로나19 관련 사망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 분석 방법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규모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확진일을 기준으로 유행시기별, 성별 그리고 연령별을 포함한 인구학적 특성과 신고지역별 발생현황을 산출하였다. 또한 변이시기에 따라 지역사회에서 코로나19의 중증도를 파악하기 위해 중증도를 2단계로 구분하여 유행시기 전체 및 주차별 중증화율, 치명률을 산출하였다.

SARS-CoV-2 변이분석 보고일에 따라 주간 변이 바이러스 검사건 중 50% 이상 검출된 주간을 기준으로 우세종화 시기를 구분하였다. 전 기간 중 우세종화별 시기는 델타변이(2021.7.25.–2022.1.15.), 오미크론 BA.1, BA.2 변이(2022.1.16.–2022.7.9.), 오미크론 BA.5 변이(2022.7.24.–2022.12.31.), 오미크론 BN.1 변이(2023.1.22.–2023.3.25.), 오미크론 XBB 변이(2023.4.16.–2023.7.31.) 시기로 구분하였으며 우세종화 시기에 포함하지 않는 기간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추가적으로 현재까지 오미크론 XBB의 각 세부계통은 30% 이상 점유율을 나타내는 계통은 확인되지 않아[16], 오미크론 XBB 변이시기를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중증화율은 해당 기간(변이바이러스 우세종화 시기)에 발생한 확진자 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의 비율(%), 치명률은 해당 기간(변이바이러스 우세종화 시기)에 발생한 확진자 중 사망자의 비율(%)로 산출하였다. 또한 인구 10만명 당 전체 인구 대비 사망자의 규모(사망률)를 산출하기 위해 통계청에 등록된 주민등록연앙인구자료(해당 연도를 대표하는 인구분포)를 활용하였으며[17], 연령별 중증도를 비교하고자 10세 단위로 연령집단을 구분하여 중증화율, 치명률 및 사망률을 산출하였다. 기본 통계를 위해 Microsoft사의 Excel 2018 그리고 Tableau ver. 2021.4 (Salesforc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2023년 7월 31일까지 총 34,082,179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다. 전체 확진자 34,082,179명 중 델타변이 우세 이전은 0.5% (187,340명), 델타변이는 1.5% (500,414명), 오미크론변이의 경우 BA.1, BA.2는 52.2% (17,800,369명), BA.5는 29.1% (9,912,503명), BN.1은 2.3% (777,942명), XBB는 6.5% (2,224,486명)로 확인되었다. 위중증 상태 또는 사망으로 진행한 환자는 분석 전 기간 총 63,522명(0.19%)으로 그 중 위중증 환자는 37,760명(0.11%), 사망자는 35,644명(0.11%)이 발생하였다. 코로나19 확진 후 위중증 상태로 인지된 환자 중 사망한 환자는 9,882명(0.03%)이었다.

1. 위중증 환자 발생 현황

코로나19 발생 기간 동안 확인된 위중증 환자는 총 37,760명으로 확인되었다. 변이 우세종화 시기별 위중증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시기는 오미크론 BA.1, BA.2 우세종화 시기였으며, 27.7% (10,460명)를 차지하였다(표 1). 다음으로는 오미크론 BA.5 우세종화 시기가 23.0% (8,675명) 순으로 확인되었다.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 대비 오미크론 BA.1, BA.2 우세종화 시기에 확진자가 급격히 증가(35.6배)하여 위중증 환자도 증가(1.3배)하였으나 오미크론의 중증도 감소로 확진자 증가폭 대비 위중증 환자는 낮은 수준으로 증가하였다(그림 1). 성별 현황으로는 전 기간 남자의 비율이 57.7%로 여자보다 15.4%p 높게 나타났다. 위중증 환자의 평균 연령은 72.3세(표준편차 15.7세)로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는 67.7세(표준편차 13.7세),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 66.1세(표준편차 15.4세)에서 오미크론 BA.1/2 우세종화 시기 72.7세(표준편차 15.7세), 오미크론 BA.5 우세종화 시기 75.0세(표준편차 15.4)로 점차 평균 연령이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연령별 비율의 경우 60세 이상이 30,866명(81.7%)으로 가장 높았으며, 해당 연령대 중 오미크론 BA.5 우세종화 시기에 88.1%로 가장 비율이 높았고, 다음으로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에 87.1%로 확인되었다. 특히 80세 이상은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에 19.6%로 확인되었지만, 오미크론 시기에 38.7-47.1%로 (평균 42.3%) 약 2.1배 증가하는 추세로 확인되었다. 지역 현황으로는 전 기간 중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이 61.9% (23,347명)로 과반수 이상 발생하였으며, 그 외 지역은 37.8% (14,287명)로 확인되었다. 신고지역 기준으로 서울이 10,337명(27.4%)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다음으로 경기에서 10,183명(27.0%)이 확인되었다. 변이별 기간으로 구분한 경우,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와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에 수도권에서 각각 72.9%, 74.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XBB 변이가 우세종화 시기에 비수도권(54.0%)에서 과반수 이상 발생하였으나, 그 외 변이 시기는 수도권(델타: 74.5%; BA.1, BA.2: 57.1%; BA.5: 57.2%; BN.1: 52.2%)에서 과반수 이상 발생하였다. 특히 검역에서 발생한 126명 중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가 97명(2.1%)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델타변이 우세 시기에 27명(0.3%)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 주간 확진자,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수(2023.7.31. 확진일 기준)

변이 우세종화 시기b)에 따른 위중증 환자a)의 기본 특성(2023.7.31. 확진일 기준)
구분변이 우세종화 시기
전 기간(2020.1.20.-2023.7.31.)델타 우세 이전(2020.1.20.-2021.7.24.)델타 변이(2021.7.25.-2022.1.15.)오미크론 변이
BA.1/BA.2 (2022.1.16.-2022.7.9.)BA.5 (2022.7.24.-2022.12.31.)BN.1 (2023.1.22.-2023.3.25.)XBB (2023.4.16.-2023.7.31.)
합계37,760 (100.0)4,665 (100.0)8,296 (100.0)10,460 (100.0)8,675 (100.0)1,364 (100.0)2,028 (100.0)
성별
21,787 (57.7)2,792 (59.8)4,775 (57.6)6,029 (57.6)4,886 (56.3)811 (59.5)1,199 (59.1)
15,973 (42.3)1,873 (40.2)3,521 (42.4)4,431 (42.4)3,789 (43.7)553 (40.5)829 (40.9)
연령(세)
평균±표준편차72.3±15.767.7±13.766.1±15.472.7±15.775.0±15.473.6±15.673.6±15.5
0-9209 (0.6)0 (0.0)6 (0.1)74 (0.7)67 (0.8)12 (0.9)25 (1.2)
10-19158 (0.4)3 (0.1)21 (0.2)65 (0.6)47 (0.5)7 (0.5)5 (0.3)
20-29385 (1.0)44 (0.9)129 (1.6)108 (1.0)63 (0.7)13 (1.0)11 (0.5)
30-39899 (2.4)116 (2.5)399 (4.8)193 (1.9)112 (1.3)20 (1.5)28 (1.4)
40-491,694 (4.5)298 (6.4)664 (8.0)343 (3.3)241 (2.8)39 (2.8)51 (2.5)
50-593,549 (9.4)730 (15.6)1,150 (13.9)777 (7.4)506 (5.8)93 (6.8)141 (7.0)
60-697,821 (20.7)1,240 (26.6)2,218 (26.7)2,045 (19.6)1,315 (15.2)225 (16.5)379 (18.7)
70-799,968 (26.4)1,289 (27.6)2,084 (25.1)2,805 (26.8)2,242 (25.8)396 (29.0)532 (26.2)
≥8013,077 (34.6)945 (20.3)1,625 (19.6)4,050 (38.7)4,082 (47.1)559 (41.0)856 (42.2)
≥6030,866 (81.7)3,474 (74.5)5,927 (71.4)8,900 (85.1)7,639 (88.1)1,180 (86.5)1,767 (87.1)
신고지역
수도권23,347 (61.9)3,402 (72.9)6,184 (74.5)5,975 (57.1)4,960 (57.2)713 (52.2)932 (46.0)
서울10,337 (27.4)1,876 (40.2)3,348 (40.3)2,275 (21.7)1,707 (19.7)276 (20.2)412 (20.3)
경기10,183 (27.0)1,238 (26.5)2,255 (27.2)2,746 (26.3)2,589 (29.8)359 (26.3)420 (20.7)
인천2,827 (7.5)288 (6.2)581 (7.0)954 (9.1)664 (7.7)78 (5.7)100 (5.0)
비수도권14,287 (37.8)1,166 (25.0)2,085 (25.2)4,484 (42.9)3,714 (42.8)651 (47.8)1,096 (54.0)
부산2,347 (6.2)156 (3.3)433 (5.2)723 (6.9)566 (6.5)108 (7.9)189 (9.3)
대구1,806 (4.8)240 (5.1)258 (3.1)613 (5.9)412 (4.7)54 (4.0)130 (6.4)
광주811 (2.2)65 (1.4)70 (0.9)301 (2.9)229 (2.6)29 (2.1)47 (2.3)
대전883 (2.3)71 (1.5)168 (2.0)269 (2.6)209 (2.4)36 (2.6)61 (3.0)
울산660 (1.8)75 (1.6)99 (1.2)196 (1.9)177 (2.0)23 (1.7)43 (2.1)
세종82 (0.2)2 (0.0)12 (0.2)31 (0.3)23 (0.3)3 (0.2)4 (0.2)
강원1,338 (3.5)99 (2.1)175 (2.1)444 (4.2)361 (4.2)65 (4.8)95 (4.7)
충북754 (2.0)64 (1.4)138 (1.7)265 (2.5)172 (2.0)32 (2.4)41 (2.0)
충남1,486 (3.9)97 (2.1)226 (2.7)395 (3.8)470 (5.4)61 (4.5)115 (5.7)
전북711 (1.9)58 (1.2)81 (1.0)247 (2.4)183 (2.1)33 (2.4)54 (2.7)
전남758 (2.0)42 (0.9)63 (0.8)239 (2.3)205 (2.4)43 (3.2)88 (4.3)
경북1,020 (2.7)94 (2.0)100 (1.2)274 (2.6)311 (3.6)69 (5.1)77 (3.8)
경남1,403 (3.7)88 (1.9)235 (2.8)404 (3.9)370 (4.3)81 (5.9)109 (5.4)
제주228 (0.6)15 (0.3)27 (0.3)83 (0.8)26 (0.3)14 (1.0)43 (2.1)
검역126 (0.3)97 (2.1)27 (0.3)1 (0.0)1 (0.0)0 (0.0)0 (0.0)

단위: 건(%). a)위중증 환자: 코로나19 격리 치료 중 비침습인공호흡기, 고유량산소요법, 침습인공호흡기, 체외막산소공급, 지속적신대체요법을 적용한 환자. b)확진자 수(80세 이상): 델타변이 우세종화 이전 시기 187,340명(6,083명, 3.2%),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 500,414명(15,600명, 3.1%), 오미크론 BA.1/BA.2 우세종화 시기 17,800,369명(516,128명, 2.9%), 오미크론 BA.5 우세 시기 9,912,503명(411,067명, 4.1%), 오미크론 BN.1 우세종화 시기 777,942명(42,126명, 5.4%),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 2,224,486명(112,926명, 5.1%)..



2. 사망자 발생 현황

코로나19 발생 전 기간 발생한 사망자 35,644명 중 오미크론 BA.1, BA.2 우세종화 시기에 52.4% (18,679명)로 가장 많이 사망하였다(표 2). 오미크론 BA.1, BA.2 우세종화 시기 확진자가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 대비 급증(35.6배)과 동시에 사망자도 증가(3.9배)하였으나 중증도의 경우 오미크론 우세종화 시기에 확진자 증가 폭 대비 사망자는 낮은 수준으로 증가하였다(그림 1). 성별 현황으로는 전체에서 여성이 50.6% (18,029명), 남성이 49.4% (17,615명)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BA.1, BA.2 우세종화 시기를 제외하고 그 외 타 변이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과반수 이상 높게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평균 연령은 79.2세(표준편차 12.2세)로 델타변이 우세 이전 78.4세(표준편차 11.4세),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 77.2세(표준편차 12.2세), 오미크론 BA.1, BA.2 우세종화 시기 80.4세(표준편차 12.1세), 오미크론 BA.5 우세종화 시기 80.2세(표준편차 12.2세), BN.1은 78.8세(표준편차 12.7세) 그리고 XBB는 80.4세(표준편차 11.9세)로 70–80대 연령 범위 내에서 확인되었다. 연령집단의 경우, 80세 이상의 비율이 델타 변이 우세종화 시기 48.0% (2,292명)를 제외하고 델타 변이 우세 이전 시기(52.4%)와 오미크론 우세종화 시기는 과반수 이상(58.2–63.8%)의 비율이 나타났으며 전 연령 중 60세 이상이 전체의 약 90% 이상 비율(92.4–95.3%)을 차지하였다. 지역 현황으로는 전 기간 중 비수도권이 51.7% (18,443명)로 과반수 이상 사망하였으며, 수도권은 48.2% (17,185명)로 확인되었다. 신고지역 기준으로 경기가 8,586명(24.1%)으로 가장 많이 사망하였으며, 다음으로 서울에서 6,638명(18.6%)으로 확인되었다. 변이별 기간으로 구분한 경우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와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는 수도권에서 각각 61.8%, 74.3%로 과반수 이상 사망하였으며, 그 외 변이시기는 비수도권(BA.1, BA.2: 56.9%; BA.5: 56.6%; BN.1: 63.0%; XBB: 59.0%)에서 과반수 이상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였다.

변이 우세종화 시기에 따른 사망자의 기본 특성(2023.7.31. 확진일 기준)
구분변이 우세종화 시기
전 기간(2020.1.20.-2023.7.31.)델타 우세 이전(2020.1.20.-2021.7.24.)델타 변이(2021.7.25.-2022.1.15.)오미크론 변이
BA.1/BA.2 (2022.1.16.-2022.7.9.)BA.5 (2022.7.24.-2022.12.31.)BN.1 (2023.1.22.-2023.3.25.)XBB (2023.4.16.–2023.7.31.)
합계35,644 (100.0)2,163 (100.0)4,772 (100.0)18,679 (100.0)6,838 (100.0)809 (100.0)984 (100.0)
성별
17,615 (49.4)1,091 (50.4)2,487 (52.1)8,881 (47.5)3,455 (50.5)444 (54.9)527 (53.6)
18,029 (50.6)1,072 (49.6)2,285 (47.9)9,798 (52.5)3,383 (49.5)365 (45.1)457 (46.4)
연령(세)
평균±표준편차79.2±12.278.4±11.477.2±12.280.4±12.180.2±12.278.8±12.780.4±11.9
0-939 (0.1)0 (0.0)3 (0.1)21 (0.1)10 (0.1)0 (0.0)2 (0.2)
10-1924 (0.1)0 (0.0)0 (0.0)13 (0.1)6 (0.1)3 (0.4)1 (0.1)
20-2981 (0.2)5 (0.2)10 (0.2)48 (0.3)15 (0.2)0 (0.0)1 (0.1)
30-39166 (0.5)11 (0.5)33 (0.7)70 (0.4)33 (0.5)8 (1.0)5 (0.5)
40-49480 (1.3)20 (0.9)79 (1.7)242 (1.3)94 (1.4)12 (1.5)10 (1.0)
50-591,446 (4.1)105 (4.9)233 (4.9)708 (3.8)269 (3.9)38 (4.7)28 (2.8)
60-694,044 (11.3)284 (13.1)822 (17.2)1,897 (10.1)684 (10.0)99 (12.2)103 (10.6)
70-798,065 (22.6)604 (28.0)1,300 (27.2)4,001 (21.4)1,476 (21.6)178 (22.0)206 (20.9)
≥8021,299 (59.8)1,134 (52.4)2,292 (48.0)11,679 (62.5)4,251 (62.2)471 (58.2)628 (63.8)
≥6033,408 (93.7)2,022 (93.5)4,414 (92.4)17,577 (94.0)6,411 (93.8)748 (92.4)937 (95.3)
신고지역
수도권17,185 (48.2)1,337 (61.8)3,544 (74.3)8,048 (43.1)2,971 (43.4)299 (37.0)403 (41.0)
서울6,638 (18.6)555 (25.7)1,717 (36.0)2,719 (14.6)1,105 (16.1)117 (14.5)193 (19.6)
경기8,586 (24.1)714 (33.0)1,541 (32.3)4,244 (22.7)1,526 (22.3)131 (16.2)158 (16.1)
인천1,961 (5.5)68 (3.1)286 (6.0)1,085 (5.8)340 (5.0)51 (6.3)52 (5.3)
비수도권18,443 (51.7)814 (37.6)1,224 (25.6)10,631 (56.9)3,867 (56.6)510 (63.0)581 (59.0)
부산2,926 (8.2)130 (6.0)245 (5.1)1,878 (10.1)441 (6.4)44 (5.4)80 (8.1)
대구2,061 (5.8)222 (10.3)166 (3.5)1,026 (5.5)453 (6.6)56 (6.9)51 (5.2)
광주858 (2.4)24 (1.1)48 (1.0)536 (2.9)172 (2.5)19 (2.3)19 (1.9)
대전991 (2.8)34 (1.6)157 (3.3)529 (2.8)169 (2.5)32 (4.0)29 (2.9)
울산544 (1.5)40 (1.8)28 (0.6)314 (1.7)116 (1.7)11 (1.4)13 (1.3)
세종59 (0.2)1 (0.0)3 (0.1)32 (0.2)12 (0.2)1 (0.1)3 (0.3)
강원1,388 (3.9)56 (2.6)65 (1.4)769 (4.1)346 (5.1)36 (4.5)54 (5.5)
충북1,087 (3.0)71 (3.3)55 (1.2)629 (3.4)218 (3.2)28 (3.5)34 (3.5)
충남1,635 (4.6)46 (2.1)139 (2.9)896 (4.8)413 (6.0)38 (4.7)40 (4.1)
전북1,270 (3.6)60 (2.8)65 (1.4)802 (4.3)223 (3.3)35 (4.3)28 (2.8)
전남1,071 (3.0)18 (0.8)30 (0.6)548 (2.9)309 (4.5)53 (6.5)61 (6.2)
경북2,161 (6.1)88 (4.1)114 (2.4)1,301 (7.0)463 (6.8)52 (6.4)51 (5.2)
경남2,077 (5.8)23 (1.1)97 (2.0)1,196 (6.4)476 (7.0)97 (12.0)85 (8.6)
제주315 (0.9)1 (0.0)12 (0.3)175 (0.9)56 (0.8)8 (1.0)33 (3.4)
검역16 (0.0)12 (0.6)4 (0.1)0 (0.0)0 (0.0)0 (0.0)0 (0.0)

단위: 건(%)..



3. 중증화율 및 치명률 추이

유행 전 기간 중증화율은 0.19%, 치명률은 0.10%였으며, 유행 시기별로는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가 중증화율 2.98%, 치명률 1.1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에서 중증화율 2.14%, 치명률 0.95% 순으로 높게 확인되었다.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에서는 중증화율 0.12%, 치명률 0.0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표 3, 그림 2). 중증화율은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 2.98%에서 오미크론 BA.5 우세종화 시기(0.14%)까지 감소하는 추세로 보였다. 그러나, 오미크론 BN.1 우세종화 시기에 증가(0.25%)하였으며, 그 이후 XBB 우세종화 시기에서 0.12%로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치명률 또한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에 1.1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오미크론 BA.5 우세종화 시기(0.07%)까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오미크론 BN.1 우세종화 시기에 0.10%로 증가하였으나,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에 0.04%로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 대비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는 약 29배 수준으로 급감하였다.

Figure 2. 코로나19 주별 중증화율 및 치명률(2023.7.31. 확진일 기준)

변이 우세종화 시기에 따른 중증화율, 치명률 및 사망률(2023.7.31. 확진일 기준)
구분변이 우세종화 시기
전 기간(2020.1.20.-2023.7.15.)델타 우세 이전(2020.1.20.-2021.7.24.)델타 변이(2021.7.25.-2022.1.15.)오미크론 변이
BA.1/BA.2 (2022.1.16.-2022.7.9.)BA.5 (2022.7.24.-2022.12.31.)BN.1 (2023.1.22.-2023.3.25.)XBB (2023.4.16.–2023.7.31.)
중증화율a)0.192.982.140.150.140.250.12
0-9세0.010.000.02<0.010.010.030.03
10-19세<0.010.020.04<0.01<0.010.01<0.01
20-29세0.010.150.190.010.010.01<0.01
30-39세0.020.450.560.010.010.020.01
40-49세0.041.040.980.020.020.040.02
50-59세0.102.261.910.060.050.110.05
60-69세0.275.313.590.190.140.300.15
70-79세0.7513.638.880.700.470.870.34
80세 이상2.4225.4219.752.731.742.131.18
치명률b)0.101.150.950.100.070.100.04
0-9세<0.010.000.01<0.01<0.010.00<0.01
10-19세<0.010.000.00<0.01<0.01<0.01<0.01
20-29세<0.010.020.01<0.01<0.010.00<0.01
30-39세<0.010.040.04<0.01<0.010.01<0.01
40-49세0.010.070.110.010.010.01<0.01
50-59세0.030.310.360.030.020.040.01
60-69세0.111.141.170.110.060.100.03
70-79세0.405.594.420.470.220.300.11
80세 이상1.7418.6414.692.261.031.120.56
사망률(10만 명당)69.294.209.2836.3113.291.571.91
0-9세1.100.000.080.590.280.000.06
10-19세0.510.000.000.280.130.060.02
20-29세1.260.080.160.750.230.000.02
30-39세2.510.170.501.060.500.120.08
40-49세5.950.250.983.001.160.150.12
50-59세16.791.222.718.223.120.440.33
60-69세54.623.8411.1025.629.241.341.39
70-79세210.8115.7933.98104.5838.584.655.38
80세 이상944.0750.26101.59517.67188.4220.8827.84

단위: %. a)중증화율: (해당기간 확진자 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해당기간 확진자×100. b)치명률: (해당기간 확진자 중 사망자)/해당기간 확진자×100..



각 시기별 연령별 중증화율, 치명률, 사망률은 모두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각 연령 집단별 유행시기에 따른 중증도 변화 수준은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에서 오미크론변이 BA.1/2 우세종화 시기로 전환되면서 모든 연령집단의 중증화율과 치명률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 중 중증화율이 연령층 상대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던 시기는 델타 변이 우세종화 시기에서 오미크론 BA.1/2 우세종화 전환되는 시기로, 30대(0.56%→0.01%, 60.3배)가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40대(0.98%→0.02%, 32.9배)였다. 상대적 감소가 가장 적었던 연령층은 80대(19.75%→2.73%, 7.2배)였다. 동일시기 치명률에서의 상대적 감소가 가장 컸던 연령층도 중증화율과 마찬가지로 30대(0.04%→<0.01%, 16.8배)였으며, 상대적 감소가 가장 적었던 연령층도 80대(14.69%→2.26%, 6.5배)였다. 오미크론 BA.5와 BN.1 우세종화 시기는 중증화율, 치명률 모두 8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집단에서 중증화율, 치명률이 1% 이하를 보였으며,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는 80세 이상 중증화율(1.18%)을 제외하고는 중증화율, 치명률이 1% 이하를 보였다.

사망률은 오미크론 BA.1/2 우세종화 시기에 확진자의 급격히 증가하여 전국 연앙인구 기준 10만 명당 36.31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오미크론 BA.5 우세종화 시기에 10만 명당 13.29명으로 높았다. 연령 집단별로는 80세 이상 10만 명당 944.07명이었으며, 우세종화 시기별로 분류 시,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 오미크론 BA.1/2 우세종화 시기, 오미크론 BA.5 우세종화 시기는 10만 명당 100명 이상의 사망률을 유지하였으나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 50.26명, 오미크론 BN.1 우세종화 시기 20.88명,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 27.84명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확인하였다.

결 론

본 보고서는 국내 코로나19 첫 확진자 발생일부터 오미크론 BA.5 우세종화 시기까지 중증도 추이를 분석한 보고서[18]를 이어 변이바이러스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까지의 중증도를 비교, 분석한 보고서이다. 오미크론 변이의 평균 잠복기는 4.2일(2–8일)로 델타변이의 평균 잠복기인 5.8일보다 짧으며, 항체 회피력이 높아져 델타 등 다른 변이보다 감염 전파력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9]. 또한 유행 시기별로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에 중증화율 2.14%, 치명률 0.95%,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에 중증화율 0.12%, 치명률 0.04%로 오미크론 변이를 통해 감염자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이에 따른 중증도는 낮게 확인되었다. 이는 다른 변이에 비에 오미크론 변이가 증상 또는 중증도가 경미하다는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20,21]. 이러한 중증도 감소추세와 낮은 중증화율 및 치명률 등을 반영하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023년 6월 1일부터, 코로나19 위기 단계를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치하였다[22]. 이후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 2023년 3월 이후부터 7월까지 확진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확산 및 전파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XBB 변이가 우세화되고 위기 단계 조정 시기 등의 영향이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중증화율과 치명률, 사망률이 각 변이 우세종화 시기를 거치면서 점점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연령분포별 중증화율과 치명률의 변화가 적은 연령은 80세 이상으로 확인되었으며, 20대와 30대에서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이는, 고령으로 갈수록 격차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표 3), 연령이 높아질수록 면역체계에 영향을 미치거나[23], 65세 이상은 백신의 효과가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를 뒷받침한다[24]. 또한, 현재 진행 중인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의 치명률(0.04%)은 계절 인플루엔자 치명률 수준(0.03–0.08%)으로, 타 변이 우세종화 시기 대비 낮은 수준이다[3]. 이는 질병의 위험도는 낮아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방역수준 완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중증으로 악화 될 수 있는 고연령 및 감염 취약시설에 대한 감염관리 및 모니터링은 유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본 보고서의 한계점으로는 코로나19 변이에 따른 우세종화 시기의 기준에 대한 정의를 따라 자료를 추출하였기에, 분석된 자료에 일부 기간을 제외하고 분석되었다. 따라서 우세종화시기 기준에 따라 결과값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오미크론 치명률은 델타변이에 비해 1/4 수준이며, 예방접종 완료시 오미크론 치명률은 계절독감과 유사하거나 낮아지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25]. 그러나, 본 보고서에서는 백신 접종에 따른 비교분석은 시행하지 않아 백신 접종에 따른 중증화율과 치명률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코로나19의 관리체계 전환 및 방역관리 단계 하향을 통해 많은 부분이 자율방역으로 변경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고령 및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집중적인 보호 및 관리가 필요하며, 확진이 되더라도 중증단계에 미치지 않도록 신속하고 적극적인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펜데믹을 통해 많은 국민들이 방역수칙에 대한 역량이 강화되었기에 향후 방역 단계가 추가 하향되고 법정감염병 2급 감염병에서 4급 감염병으로 변경되더라도 손 씻기, 기침 예의 준수, 주기적인 환기 및 소독 등 자율적으로 일상 방역 수칙을 실천하는 시민문화 형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Declarations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SJJ, BYR, SYP, SSK. Data curation: SJJ, MSA, MJJ, SYC, YJC, JHJ, BYR, SYP, SSK. Formal analysis: SJJ. Methodology: SJJ, BYR, SYP, SSK. Resources: SJJ, MSA, MJJ, SYC, YJC, JHJ. Visualization: SJJ. Writing - original draft: SJJ. Writing - review & editing: SJJ, BYR, SYP, SSK.

Fig 1.

Figure 1.주간 확진자,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수(2023.7.31. 확진일 기준)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1464-1487https://doi.org/10.56786/PHWR.2023.16.43.2

Fig 2.

Figure 2.코로나19 주별 중증화율 및 치명률(2023.7.31. 확진일 기준)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1464-1487https://doi.org/10.56786/PHWR.2023.16.43.2
변이 우세종화 시기b)에 따른 위중증 환자a)의 기본 특성(2023.7.31. 확진일 기준)
구분변이 우세종화 시기
전 기간(2020.1.20.-2023.7.31.)델타 우세 이전(2020.1.20.-2021.7.24.)델타 변이(2021.7.25.-2022.1.15.)오미크론 변이
BA.1/BA.2 (2022.1.16.-2022.7.9.)BA.5 (2022.7.24.-2022.12.31.)BN.1 (2023.1.22.-2023.3.25.)XBB (2023.4.16.-2023.7.31.)
합계37,760 (100.0)4,665 (100.0)8,296 (100.0)10,460 (100.0)8,675 (100.0)1,364 (100.0)2,028 (100.0)
성별
21,787 (57.7)2,792 (59.8)4,775 (57.6)6,029 (57.6)4,886 (56.3)811 (59.5)1,199 (59.1)
15,973 (42.3)1,873 (40.2)3,521 (42.4)4,431 (42.4)3,789 (43.7)553 (40.5)829 (40.9)
연령(세)
평균±표준편차72.3±15.767.7±13.766.1±15.472.7±15.775.0±15.473.6±15.673.6±15.5
0-9209 (0.6)0 (0.0)6 (0.1)74 (0.7)67 (0.8)12 (0.9)25 (1.2)
10-19158 (0.4)3 (0.1)21 (0.2)65 (0.6)47 (0.5)7 (0.5)5 (0.3)
20-29385 (1.0)44 (0.9)129 (1.6)108 (1.0)63 (0.7)13 (1.0)11 (0.5)
30-39899 (2.4)116 (2.5)399 (4.8)193 (1.9)112 (1.3)20 (1.5)28 (1.4)
40-491,694 (4.5)298 (6.4)664 (8.0)343 (3.3)241 (2.8)39 (2.8)51 (2.5)
50-593,549 (9.4)730 (15.6)1,150 (13.9)777 (7.4)506 (5.8)93 (6.8)141 (7.0)
60-697,821 (20.7)1,240 (26.6)2,218 (26.7)2,045 (19.6)1,315 (15.2)225 (16.5)379 (18.7)
70-799,968 (26.4)1,289 (27.6)2,084 (25.1)2,805 (26.8)2,242 (25.8)396 (29.0)532 (26.2)
≥8013,077 (34.6)945 (20.3)1,625 (19.6)4,050 (38.7)4,082 (47.1)559 (41.0)856 (42.2)
≥6030,866 (81.7)3,474 (74.5)5,927 (71.4)8,900 (85.1)7,639 (88.1)1,180 (86.5)1,767 (87.1)
신고지역
수도권23,347 (61.9)3,402 (72.9)6,184 (74.5)5,975 (57.1)4,960 (57.2)713 (52.2)932 (46.0)
서울10,337 (27.4)1,876 (40.2)3,348 (40.3)2,275 (21.7)1,707 (19.7)276 (20.2)412 (20.3)
경기10,183 (27.0)1,238 (26.5)2,255 (27.2)2,746 (26.3)2,589 (29.8)359 (26.3)420 (20.7)
인천2,827 (7.5)288 (6.2)581 (7.0)954 (9.1)664 (7.7)78 (5.7)100 (5.0)
비수도권14,287 (37.8)1,166 (25.0)2,085 (25.2)4,484 (42.9)3,714 (42.8)651 (47.8)1,096 (54.0)
부산2,347 (6.2)156 (3.3)433 (5.2)723 (6.9)566 (6.5)108 (7.9)189 (9.3)
대구1,806 (4.8)240 (5.1)258 (3.1)613 (5.9)412 (4.7)54 (4.0)130 (6.4)
광주811 (2.2)65 (1.4)70 (0.9)301 (2.9)229 (2.6)29 (2.1)47 (2.3)
대전883 (2.3)71 (1.5)168 (2.0)269 (2.6)209 (2.4)36 (2.6)61 (3.0)
울산660 (1.8)75 (1.6)99 (1.2)196 (1.9)177 (2.0)23 (1.7)43 (2.1)
세종82 (0.2)2 (0.0)12 (0.2)31 (0.3)23 (0.3)3 (0.2)4 (0.2)
강원1,338 (3.5)99 (2.1)175 (2.1)444 (4.2)361 (4.2)65 (4.8)95 (4.7)
충북754 (2.0)64 (1.4)138 (1.7)265 (2.5)172 (2.0)32 (2.4)41 (2.0)
충남1,486 (3.9)97 (2.1)226 (2.7)395 (3.8)470 (5.4)61 (4.5)115 (5.7)
전북711 (1.9)58 (1.2)81 (1.0)247 (2.4)183 (2.1)33 (2.4)54 (2.7)
전남758 (2.0)42 (0.9)63 (0.8)239 (2.3)205 (2.4)43 (3.2)88 (4.3)
경북1,020 (2.7)94 (2.0)100 (1.2)274 (2.6)311 (3.6)69 (5.1)77 (3.8)
경남1,403 (3.7)88 (1.9)235 (2.8)404 (3.9)370 (4.3)81 (5.9)109 (5.4)
제주228 (0.6)15 (0.3)27 (0.3)83 (0.8)26 (0.3)14 (1.0)43 (2.1)
검역126 (0.3)97 (2.1)27 (0.3)1 (0.0)1 (0.0)0 (0.0)0 (0.0)

단위: 건(%). a)위중증 환자: 코로나19 격리 치료 중 비침습인공호흡기, 고유량산소요법, 침습인공호흡기, 체외막산소공급, 지속적신대체요법을 적용한 환자. b)확진자 수(80세 이상): 델타변이 우세종화 이전 시기 187,340명(6,083명, 3.2%), 델타변이 우세종화 시기 500,414명(15,600명, 3.1%), 오미크론 BA.1/BA.2 우세종화 시기 17,800,369명(516,128명, 2.9%), 오미크론 BA.5 우세 시기 9,912,503명(411,067명, 4.1%), 오미크론 BN.1 우세종화 시기 777,942명(42,126명, 5.4%), 오미크론 XBB 우세종화 시기 2,224,486명(112,926명, 5.1%)..


변이 우세종화 시기에 따른 사망자의 기본 특성(2023.7.31. 확진일 기준)
구분변이 우세종화 시기
전 기간(2020.1.20.-2023.7.31.)델타 우세 이전(2020.1.20.-2021.7.24.)델타 변이(2021.7.25.-2022.1.15.)오미크론 변이
BA.1/BA.2 (2022.1.16.-2022.7.9.)BA.5 (2022.7.24.-2022.12.31.)BN.1 (2023.1.22.-2023.3.25.)XBB (2023.4.16.–2023.7.31.)
합계35,644 (100.0)2,163 (100.0)4,772 (100.0)18,679 (100.0)6,838 (100.0)809 (100.0)984 (100.0)
성별
17,615 (49.4)1,091 (50.4)2,487 (52.1)8,881 (47.5)3,455 (50.5)444 (54.9)527 (53.6)
18,029 (50.6)1,072 (49.6)2,285 (47.9)9,798 (52.5)3,383 (49.5)365 (45.1)457 (46.4)
연령(세)
평균±표준편차79.2±12.278.4±11.477.2±12.280.4±12.180.2±12.278.8±12.780.4±11.9
0-939 (0.1)0 (0.0)3 (0.1)21 (0.1)10 (0.1)0 (0.0)2 (0.2)
10-1924 (0.1)0 (0.0)0 (0.0)13 (0.1)6 (0.1)3 (0.4)1 (0.1)
20-2981 (0.2)5 (0.2)10 (0.2)48 (0.3)15 (0.2)0 (0.0)1 (0.1)
30-39166 (0.5)11 (0.5)33 (0.7)70 (0.4)33 (0.5)8 (1.0)5 (0.5)
40-49480 (1.3)20 (0.9)79 (1.7)242 (1.3)94 (1.4)12 (1.5)10 (1.0)
50-591,446 (4.1)105 (4.9)233 (4.9)708 (3.8)269 (3.9)38 (4.7)28 (2.8)
60-694,044 (11.3)284 (13.1)822 (17.2)1,897 (10.1)684 (10.0)99 (12.2)103 (10.6)
70-798,065 (22.6)604 (28.0)1,300 (27.2)4,001 (21.4)1,476 (21.6)178 (22.0)206 (20.9)
≥8021,299 (59.8)1,134 (52.4)2,292 (48.0)11,679 (62.5)4,251 (62.2)471 (58.2)628 (63.8)
≥6033,408 (93.7)2,022 (93.5)4,414 (92.4)17,577 (94.0)6,411 (93.8)748 (92.4)937 (95.3)
신고지역
수도권17,185 (48.2)1,337 (61.8)3,544 (74.3)8,048 (43.1)2,971 (43.4)299 (37.0)403 (41.0)
서울6,638 (18.6)555 (25.7)1,717 (36.0)2,719 (14.6)1,105 (16.1)117 (14.5)193 (19.6)
경기8,586 (24.1)714 (33.0)1,541 (32.3)4,244 (22.7)1,526 (22.3)131 (16.2)158 (16.1)
인천1,961 (5.5)68 (3.1)286 (6.0)1,085 (5.8)340 (5.0)51 (6.3)52 (5.3)
비수도권18,443 (51.7)814 (37.6)1,224 (25.6)10,631 (56.9)3,867 (56.6)510 (63.0)581 (59.0)
부산2,926 (8.2)130 (6.0)245 (5.1)1,878 (10.1)441 (6.4)44 (5.4)80 (8.1)
대구2,061 (5.8)222 (10.3)166 (3.5)1,026 (5.5)453 (6.6)56 (6.9)51 (5.2)
광주858 (2.4)24 (1.1)48 (1.0)536 (2.9)172 (2.5)19 (2.3)19 (1.9)
대전991 (2.8)34 (1.6)157 (3.3)529 (2.8)169 (2.5)32 (4.0)29 (2.9)
울산544 (1.5)40 (1.8)28 (0.6)314 (1.7)116 (1.7)11 (1.4)13 (1.3)
세종59 (0.2)1 (0.0)3 (0.1)32 (0.2)12 (0.2)1 (0.1)3 (0.3)
강원1,388 (3.9)56 (2.6)65 (1.4)769 (4.1)346 (5.1)36 (4.5)54 (5.5)
충북1,087 (3.0)71 (3.3)55 (1.2)629 (3.4)218 (3.2)28 (3.5)34 (3.5)
충남1,635 (4.6)46 (2.1)139 (2.9)896 (4.8)413 (6.0)38 (4.7)40 (4.1)
전북1,270 (3.6)60 (2.8)65 (1.4)802 (4.3)223 (3.3)35 (4.3)28 (2.8)
전남1,071 (3.0)18 (0.8)30 (0.6)548 (2.9)309 (4.5)53 (6.5)61 (6.2)
경북2,161 (6.1)88 (4.1)114 (2.4)1,301 (7.0)463 (6.8)52 (6.4)51 (5.2)
경남2,077 (5.8)23 (1.1)97 (2.0)1,196 (6.4)476 (7.0)97 (12.0)85 (8.6)
제주315 (0.9)1 (0.0)12 (0.3)175 (0.9)56 (0.8)8 (1.0)33 (3.4)
검역16 (0.0)12 (0.6)4 (0.1)0 (0.0)0 (0.0)0 (0.0)0 (0.0)

단위: 건(%)..


변이 우세종화 시기에 따른 중증화율, 치명률 및 사망률(2023.7.31. 확진일 기준)
구분변이 우세종화 시기
전 기간(2020.1.20.-2023.7.15.)델타 우세 이전(2020.1.20.-2021.7.24.)델타 변이(2021.7.25.-2022.1.15.)오미크론 변이
BA.1/BA.2 (2022.1.16.-2022.7.9.)BA.5 (2022.7.24.-2022.12.31.)BN.1 (2023.1.22.-2023.3.25.)XBB (2023.4.16.–2023.7.31.)
중증화율a)0.192.982.140.150.140.250.12
0-9세0.010.000.02<0.010.010.030.03
10-19세<0.010.020.04<0.01<0.010.01<0.01
20-29세0.010.150.190.010.010.01<0.01
30-39세0.020.450.560.010.010.020.01
40-49세0.041.040.980.020.020.040.02
50-59세0.102.261.910.060.050.110.05
60-69세0.275.313.590.190.140.300.15
70-79세0.7513.638.880.700.470.870.34
80세 이상2.4225.4219.752.731.742.131.18
치명률b)0.101.150.950.100.070.100.04
0-9세<0.010.000.01<0.01<0.010.00<0.01
10-19세<0.010.000.00<0.01<0.01<0.01<0.01
20-29세<0.010.020.01<0.01<0.010.00<0.01
30-39세<0.010.040.04<0.01<0.010.01<0.01
40-49세0.010.070.110.010.010.01<0.01
50-59세0.030.310.360.030.020.040.01
60-69세0.111.141.170.110.060.100.03
70-79세0.405.594.420.470.220.300.11
80세 이상1.7418.6414.692.261.031.120.56
사망률(10만 명당)69.294.209.2836.3113.291.571.91
0-9세1.100.000.080.590.280.000.06
10-19세0.510.000.000.280.130.060.02
20-29세1.260.080.160.750.230.000.02
30-39세2.510.170.501.060.500.120.08
40-49세5.950.250.983.001.160.150.12
50-59세16.791.222.718.223.120.440.33
60-69세54.623.8411.1025.629.241.341.39
70-79세210.8115.7933.98104.5838.584.655.38
80세 이상944.0750.26101.59517.67188.4220.8827.84

단위: %. a)중증화율: (해당기간 확진자 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해당기간 확진자×100. b)치명률: (해당기간 확진자 중 사망자)/해당기간 확진자×100..


References

  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oronavirus disease (COVID-19) [Internet]. WHO; 2023 [cited 2023 Aug 15].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health-topics/coronavirus#tab=tab_1
  2.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Press Release (July 25, 2023)].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3074&cg_code=&act=view&nPage=1
  3.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Press Release (August 23, 2023)].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3304&cg_code=&act=view&nPage=1
  4.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Coronavirus disease 19 (COVID-19), cases in Korea [Internet]. KDCA; 2023 [cited 2023 Aug 15]. Available from: https://ncov.kdca.go.kr/bdBoardList_Real.do?brdId=1&brdGubun=11&ncvContSeq=&contSeq=&board_id=&gubun=
  5. Zeng L, Lu Y, Yan W, Yang Y. A protein co-conservation network model characterizes mutation effects on SARS-CoV-2 spike protein. Int J Mol Sci 2023;24:3255.
    Pubmed KoreaMed CrossRef
  6.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racking SARS-CoV-2 variants [Internet]. WHO; 2023 [cited 2023 Aug 15].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activities/tracking-SARS-CoV-2-variants
  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COVID Data Tracker [Internet]. CDC; 2023 [cited 2023 Aug 15]. Available from: https://covid.cdc.gov/covid-data-tracker/#variant-summary
  8.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COVID-19 mutant virus [Internet]. KDCA; 2021 [cited 2023 Aug 15].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107020000
  9. Kim IH, Park AK, No JS, et al. Omicron subvariants (BQ.1, BQ.1.1, etc.) outbreak status. Public Health Wkly Rep 2022;15:2917-24.
    CrossRef
  10. Butt AA, Dargham SR, Coyle P, et al. COVID-19 disease severity in persons infected with Omicron BA.1 and BA.2 sublineages and association with vaccination status. JAMA Intern Med 2022;182:1097-9.
    Pubmed KoreaMed CrossRef
  11. Ciuffreda L, Lorenzo-Salazar JM, García-Martínez de Artola D, et al. Reinfection rate and disease severity of the BA.5 Omicron SARS-CoV-2 lineage compared to previously circulating variants of concern in the Canary Islands (Spain). Emerg Microbes Infect 2023;12:2202281.
    Pubmed KoreaMed CrossRef
  12. Sheikh A, Kerr S, Woolhouse M, McMenamin J, Robertson C; EAVE II Collaborators. Severity of omicron variant of concern and effectiveness of vaccine boosters against symptomatic disease in Scotland (EAVE II): a national cohort study with nested test-negative design. Lancet Infect Dis 2022;22:959-66.
    Pubmed KoreaMed CrossRef
  13. Malik YA. Covid-19 variants: impact on transmissibility and virulence. Malays J Pathol 2022;44:387-96.
    Pubmed
  14. Yang Z, Zhang S, Tang YP,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transmissibility, pathogenicity, susceptible populations, and re-infectivity of prominent COVID-19 variants. Aging Dis 2022;13:402-22.
    Pubmed KoreaMed CrossRef
  15.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Coronavirus disease 2019 response and management guidelines for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13-3rd ed. Central Disease Control Headquarters; 2023.
    CrossRef
  16.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Press Release (August 16, 2023)].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3254&cg_code=&act=view&nPage=1#
  17.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ome Page [Internet]. Statistics Korea; 2023 [cited 2023 Aug 15]. Available from: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040M1&vw_cd=MT_ZTITLE&list_id=A_7&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path=%252FstatisticsList%252FstatisticsListIndex.do
  18. Ryu B, Shin E, Kim NY, et al. Severity of COVID-19 associated with SARS-CoV-2 variants circulating in the Republic of Korea. Public Health Wkly Rep 2022;15:2873-95.
    CrossRef
  19.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COVID-19 and Omicron mutations [Internet]. KDCA; 2023 [cited 2023 Aug 15]. Available from: https://ncv.kdca.go.kr/menu.es?mid=a30101000000
  20. Yu C, Fengzhao Z, Hongmei W, et al. The impact of vaccination on patients with COVID-19 during the wave of Omicron in Shanghai. Front Public Health 2022;10:1054313.
    Pubmed KoreaMed CrossRef
  21. AlBahrani S, AlBarrak A, Al-Musawi T, et al. COVID-19 vaccin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atients with SARS-COV-2 during the third (Omicron) wave in Saudi Arabia. J Infect Public Health 2022;15:1169-74.
    Pubmed KoreaMed CrossRef
  22.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Press Release (May 31, 2023)]. Available from: https://ncov.kdca.go.kr/tcmBoardView.do?brdId=3&brdGubun=31&dataGubun=&ncvContSeq=7248&contSeq=7248&board_id=312&gubun=ALL
  23. Bajaj V, Gadi N, Spihlman AP, Wu SC, Choi CH, Moulton VR. Aging, immunity, and COVID-19: how age influences the host immune response to coronavirus infections?. Front Physiol 2021;11:571416.
    Pubmed KoreaMed CrossRef
  24. Omori R, Matsuyama R, Nakata Y. The age distribution of mortality from novel coronavirus disease (COVID-19) suggests no large difference of susceptibility by age. Sci Rep 2020;10:16642.
    Pubmed KoreaMed CrossRef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lease (February 23, 2022)]. Available from: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503010100&bid=0027
PHWR
Oct 02, 2024 Vol.17 No.38
pp. 1611~1634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