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2; 15(47): 2873-2895
Published online November 24, 2022
https://doi.org/10.56786/PHWR.2022.15.47.2873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류보영, 신은정, 김나영, 김동휘, 이현주, 김아라, 박신영, 안선희, 장진화, 김성순, 권동혁*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 정보분석팀
*Corresponding author: 권동혁, Tel: +82-43-719-7730, E-mail: vethyok@korea.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19)는 기존에 보고되지 않았던 코로나바이러스로 최초 보고 시 질병의 중증도를 알 수 없었고, 지속적이고 전 세계적인 전파로 새로운 변이가 출현하여 중증도 등 특성이 변화되어 왔다. 본 보고서는 국내에서 2020년 1월 코로나19 첫 발생 이후 변이의 지속적 출현, 예방접종 시행 등으로 변화된 코로나19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의 현황을 파악하고, 중증화율과 치명률을 산출하였다.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2022년 9월 3일까지 총 23,496,849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고, 그 중 26,472명(0.11%)의 위중증 환자와 27,471명(0.12%)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기간은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2022.1.16–2022.7.23)였으며 각각 40.7% (10,772명), 66.4% (18,252명)를 차지하였다. 위중증 환자는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2020.1.20–2021.7.24) 대비 오미크론 BA.5 우세 시기(2022.7.24–2022.9.3)의 80세 이상 비율은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모두 26.4%p, 7.4%p 증가하였다. 중증화율과 치명률은 전체 기간 각각 0.20%, 0.12%였으며,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에 중증화율 2.98%, 치명률 1.15%로 가장 높았으며, 오미크론 BA.5 우세화 시기에 0.10%, 0.05%로 가장 낮았다. 시기별 중증화율은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의 2.98%에서 델타변이 우세 시기(2021.7.25–2022.1.15) 2.14%로 감소,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는 0.14%로 직전 시기 대비 1/15로 감소하였다. 치명률도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 1.15%에서 델타변이 우세 시기 0.95%로 감소하였으며, 오미크론 BA.1/BA.2 시기는 0.10%로 직전 시기 대비 약 1/10 수준으로 급감하였다. 국내 코로나19의 중증도는 델타변이 고유의 중증도가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델타변이 우세시기의 중증도가 감소하였으며, 오미크론 우세 시기에도 지속 감소추세를 보였다. 한편, 오미크론 시기 중증도가 낮아지면서 고령층에 중증 환자 및 사망자의 비율이 높아져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겠다.
Keywords 코로나19, SARS-CoV-2, 코로나19 중증도, 코로나19 변이, 코로나19 사망
코로나19 유행이 지속되면서 새로운 변이의 출현, 백신접종, 기 감염사례의 재감염 등으로 바이러스 고유의 특성 변화, 감염자의 면역상태 변화가 코로나19 감염의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증도가 높은 델타변이 우세 시기의 지역사회 전체 코로나19의 중증도는 감소하였으며,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에 중증도는 델타변이 우세 시기 대비 1/15 수준으로 급감하였다. 또한,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로 갈수록 위중증 및 사망자 중 80세 이상 비율이 높아졌다.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에 코로나19의 중증도가 감소하였지만,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중 고령층 비율이 증가하면서 고령층에 대한 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는 HCoV-229E, HCoV-NL63과 같이 일상적인 감기를 일으키기도 하지만 SARS-CoV, MERS-CoV와 같이 중증도가 높은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1]. 2019년 말 중국에서 처음 보고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19)는 이전에 확인되지 않은 새로운 종류의 코로나바이러스로 질병의 중증도를 알 수 없었다[2]. 또한, 코로나19는 전세계적으로 지속적인 전파가 이뤄져 SARS-CoV-2의 변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동시에 전파력, 중증도 등 바이러스의 특성이 조금씩 변화되었다. 2020년 말, 영국에서 첫 보고된 알파변이는 그 해 겨울 영국에서 대규모의 확진자를 발생시켰으며, 연구 결과 전파력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3]. 알파변이는 2020년 12월 국내에 첫 유입사례가 보고되어 지역사회에 전파되었으나 국내 확진자 변이검사사례 중 50% 이상의 검출률은 보이지 않았다[4].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가 지정한 주요변이 중 베타변이, 감마변이 또한 국내에 유입되었으나 50% 이상의 검출률은 보이지 않았다[4]. 그러나 델타, 오미크론변이의 경우 국내 유입 후 지역사회 대규모 유행을 일으켰을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200개 이상의 국가에서 발생이 보고되었으며[5], 바이러스의 특성 또한 기존 바이러스와 뚜렷한 차이를 보여 코로나19 유행의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6]. 두 변이 모두 전파력이 증가하여 확진자가 급증하였으며, 중증도의 경우 델타변이는 증가, 오미크론변이는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9].
한편, 급속한 코로나19 백신개발을 통해 전 세계는 2020년 말부터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행하였으며, 이는 코로나19 감염뿐 아니라 중증으로의 진행을 예방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코로나19 백신접종을 통한 예방효과 연구 결과 코로나19 백신접종 시 감염의 예방효과는 접종완료 후 1개월 경과 시 83%였으나 접종 후 5개월 경과 시 22%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면역회피의 특징이 있는 변이의 출현은 백신접종을 통한 감염예방의 효과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10-12]. 그러나 코로나19 감염 시 위중증 상태로 진행하거나 사망에 이르는 중증감염에 대한 백신접종의 예방효과는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0]. 국내에서는 2021년 2월 고령층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작하였으며, 2022년 10월 4일 현재 전 국민의 87.1%가 2차, 65.5%가 3차 이상 예방접종을 받았다[13].
2년 이상 장기간 지속되는 코로나19의 대유행에 대해 국내를 비롯하여 전세계적 공중보건학적 대응은 질병퇴치를 위한 강력한 억제정책에서 코로나19와 함께 살아가는 완화정책으로 바뀌고 있다[14-16]. 동시에 코로나19 대응 전략을 코로나19가 지역사회에 끼치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으로 변경하면서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하는 중증환자의 규모와 코로나19의 중증도 모니터링 결과는 대응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국내 2020년 1월 코로나19 첫 환자가 발생한 이후 2년 7개월간 새로운 변이의 지속적 출현, 코로나19 예방접종 시행 등으로 변화된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중증화율 및 치명률을 산출하여 코로나19 대응 정책 수립 대상의 우선순위와 범위를 결정하고, 필요한 보건의료자원을 준비하는 데 근거로 사용하고자 한다.
국내 코로나19가 최초 발생한 2020년 1월 20일부터 2022년 9월 3일까지 보고된 코로나19 확진자 중 위중증 상태로 진행하거나 사망한 사람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코로나19 유행의 우세화된 변이에 따라 유행시기를 구분하여 발생 규모와 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코로나19 확진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지침에 따라 코로나19 유전자 검출 또는 바이러스 분리를 통해 감염이 확인된 사람, 코로나19 증상을 나타낸 사람으로서 신속항원검사(전문가용) 또는 응급용 선별검사 결과 양성이 확인되어 의사가 진단한 사람으로 정의하였다. 코로나19의 중증도는 위중증 상태와 사망으로 분류하였고, 중증도는 위중증 상태와 사망을 모두 포함하여 중증화율을, 중증도가 가장 높은 사망만 포함하여 치명률을 산출하였다. 중증화율은 위중증 환자만 고려할 경우 요양병원 등 위중증 상태를 거치지 않고 사망하는 중증 환자가 제외됨으로 중증도의 과소추정을 야기할 수 있어 사망상태와 함께 산출하였다. 위중증 상태는 코로나19 유행 초기 WHO에서 제시한 임상상태 척도를 기반으로 설정한 국내 코로나19 대응지침에 따라 코로나19에 확진된 후 의료기관 격리 중 비침습인공호흡기/고유량산소요법, 침습인공호흡기, 체외막산소공급, 지속적신대체요법을 시행하였을 경우로 정의하였다[17,18]. 확진자의 임상상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관리정보시스템(중앙방역대책본부), 보건의료자원 통합신고포털 시스템(중앙사고수습본부)을 통해 보건소, 의료기관에서 보고한 자료, 유선 확인 등을 통해 모니터링하였다. 사망자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코로나19 감염병환자 사망자로 신고된 자에 대해 사망자 조사를 실시하여 외인사를 제외한 후 코로나19 관련 사망자로 집계하였다. 코로나19 확진 후 위중증 상태와 사망으로의 진행 기간을 고려하여 2022년 9월 17일까지 확진자의 임상경과를 모니터링하였다.
SARS-CoV-2 변이분석 보고일에 따라 주간 변이바이러스 검사건 중 50% 이상 검출된 주간을 기준으로 유행시기를 구분하였다. 전 기간 중 유행 시기는 델타변이 우세 이전(2020.1.20–2021.7.24), 델타변이 우세(2021.7.25–2022.1.15), 오미크론변이 우세(2022.1.16–2022.9.3) 시기로 구분하였으며, 오미크론변이의 경우 세부적으로 BA.5를 기준으로 BA.1/BA.2 (2022.1.16–2022.7.23)와 BA.5 (2022.7.24–2022.9.3) 우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백신 접종력은 코로나19 확진 14일 전 최종 예방 접종력을 기준으로 구분하였고, 얀센 접종자의 경우 1회 접종 시 2차접종자로 간주하였다.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규모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확진일을 기준으로 유행시기별 성, 연령을 포함한 인구학적 특성, 백신 접종률, 신고지역별 발생현황을 산출하였다. 또한, 변이시기에 따라 지역사회에서 코로나19의 중증도를 파악하기 위해 중증도를 2단계로 구분하여 유행시기 전체 및 주차별 중증화율, 치명률을 산출하였다. 중증화율은 해당 기간(유행시간 및 주차)에 발생한 확진환자 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의 비율(%), 치명률은 해당 기간(유행시간 및 주차)에 발생한 확진환자 중 사망자의 비율(%)로 산출하였다. 또한, 전체 인구 대비 사망자의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기간별 사망률을 전체 인구 중 사망자의 비율에 대해 주 평균 및 100만 명당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연령별 중증도를 비교하고자 10세 단위로 연령집단을 구분하여 중증화율, 치명률 및 사망률을 산출하였다. 모든 분석은 Excel 2016 (Microsoft, Redmond, WA, USA)을 사용하였다.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2022년 9월 3일까지 총 23,496,820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고, 그중 26,472명(0.11%)의 위중증 환자와 27,471명(0.12%)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코로나19 확진 후 위중증 상태로 인지된 환자 중 사망한 환자는 7,507명으로 위중증 상태 또는 사망으로 진행한 환자는 총 46,436명(0.20%)이었다.
코로나19 발생 기간 동안 확인된 위중증 환자 총 26,472명 중 전체 기간 확진자의 78.6%가 발생한 오미크론 BA.1/BA.2 우세 기간에 가장 많은 위중증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전체 위중증 환자의 40.7% (10,772명)를 차지하였다(표 1). 델타변이 우세 시기 대비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에 확진자가 급격히 증가(34.1배)하여 위중증 환자도 증가(1.3배)하였으나 오미크론의 중증도 감소로 확진자 증가폭 대비 위중증 환자는 낮은 수준으로 증가하였다(그림 1). 성별 현황으로는 전 기간 남자의 비율이 56% 이상으로 여자보다 13% 이상 더 많이 차지하였다. 위중증 환자의 평균연령은 델타변이 우세 이전 67.7세(±13.7세)에서 오미크론 BA.5 우세시기 74.6세(±15.7세)로 점차 높아졌으며, 연령집단 별 비율도 80세 이상이 델타변이 우세 이전 20.3%에서 오미크론 BA.5 우세 시기 46.6%로 26.3%p 증가하였다. 백신 접종률은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 미접종자가 97.3%에 반해 예방 접종률의 제고로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는 73.1%가 1회이상 접종자였다. 신고지역별로는 델타변이 우세 이전 서울, 경기, 인천을 포함하는 수도권 지역이 72.9%를 차지하였으나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에 비수도권 확진자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위중증 환자의 비율도 델타변이 우세 이전 25.0%에서 44.5%로 증가하였다.
변이 유행 시기a)에 따른 위중증 환자a)의 기본 특성(2022.9.3. 확진일 기준)
구분 | 전체 | 델타변이 우세 이전 | 델타변이 우세 | 오미크론변이 우세 | ||||||
---|---|---|---|---|---|---|---|---|---|---|
BA.1/BA.2 | BA.5 | |||||||||
합계 | 26,472 | (100.0) | 4,665 | (100.0) | 8,296 | (100.0) | 10,772 | (100.0) | 2,739 | (100.0) |
성별 | ||||||||||
남 | 15,303 | (57.8) | 2,792 | (59.8) | 4,775 | (57.6) | 6,184 | (57.4) | 1,552 | (56.7) |
여 | 11,169 | (42.2) | 1,873 | (40.2) | 3,521 | (42.4) | 4,588 | (42.6) | 1,187 | (43.3) |
연령 | ||||||||||
평균(±SD) | 69.9±15.7 | 67.7±13.7 | 66.0±15.4 | 72.7±15.8 | 74.6±15.7 | |||||
0–9세 | 103 | (0.4) | 0 | (0.0) | 6 | (0.1) | 77 | (0.7) | 20 | (0.7) |
10–19세 | 107 | (0.4) | 3 | (0.1) | 21 | (0.3) | 68 | (0.6) | 15 | (0.5) |
20–29세 | 303 | (1.1) | 44 | (0.9) | 129 | (1.6) | 108 | (1.0) | 22 | (0.8) |
30–39세 | 768 | (2.9) | 116 | (2.5) | 399 | (4.8) | 199 | (1.8) | 54 | (2.0) |
40–49세 | 1,398 | (5.3) | 298 | (6.4) | 664 | (8.0) | 356 | (3.3) | 80 | (2.9) |
50–59세 | 2,837 | (10.7) | 730 | (15.6) | 1,150 | (13.9) | 800 | (7.4) | 157 | (5.7) |
60–69세 | 5,966 | (22.5) | 1,240 | (26.6) | 2,217 | (26.7) | 2,090 | (19.4) | 419 | (15.3) |
70–79세 | 6,948 | (26.2) | 1,289 | (27.6) | 2,084 | (25.1) | 2,880 | (26.7) | 695 | (25.4) |
80세 이상 | 8,042 | (30.4) | 945 | (20.3) | 1,626 | (19.6) | 4,194 | (38.9) | 1,277 | (46.6) |
60세 이상c) | 20,956 | (79.2) | 3,474 | (74.5) | 5,927 | (71.4) | 9,164 | (85.1) | 2,391 | (87.3) |
백신 접종률 | ||||||||||
미접종 | 14,627 | (55.3) | 4,539 | (97.3) | 5,031 | (60.6) | 4,321 | (40.1) | 736 | (26.9) |
1차접종 | 1,100 | (4.2) | 118 | (2.5) | 580 | (7.0) | 347 | (3.2) | 55 | (2.0) |
2차접종 | 4,552 | (17.2) | 8 | (0.2) | 2,595 | (31.3) | 1,656 | (15.4) | 293 | (10.7) |
3차접종 | 6,193 | (23.4) | 0 | (0.0) | 90 | (1.1) | 4,448 | (41.3) | 1,655 | (60.4) |
신고지역 | ||||||||||
수도권 | 17,279 | (65.3) | 3,402 | (72.9) | 6,184 | (74.5) | 6,172 | (57.3) | 1,521 | (55.5) |
서울 | 8,118 | (30.7) | 1,876 | (40.2) | 3,348 | (40.4) | 2,348 | (21.8) | 546 | (19.9) |
경기 | 7,115 | (26.9) | 1,238 | (26.5) | 2,255 | (27.2) | 2,845 | (26.4) | 777 | (28.4) |
인천 | 2,046 | (7.7) | 288 | (6.2) | 581 | (7.0) | 979 | (9.1) | 198 | (7.2) |
비수도권 | 9,068 | (34.3) | 1,166 | (25.0) | 2,085 | (25.1) | 4,599 | (42.7) | 1,218 | (44.5) |
부산 | 1,493 | (5.6) | 156 | (3.3) | 433 | (5.2) | 738 | (6.9) | 166 | (6.1) |
대구 | 1,266 | (4.8) | 240 | (5.1) | 258 | (3.1) | 626 | (5.8) | 142 | (5.2) |
광주 | 532 | (2.0) | 65 | (1.4) | 70 | (0.8) | 305 | (2.8) | 92 | (3.4) |
대전 | 591 | (2.2) | 71 | (1.5) | 168 | (2.0) | 275 | (2.6) | 77 | (2.8) |
울산 | 440 | (1.7) | 75 | (1.6) | 99 | (1.2) | 200 | (1.9) | 66 | (2.4) |
세종 | 55 | (0.2) | 2 | (0.0) | 12 | (0.1) | 32 | (0.3) | 9 | (0.3) |
강원 | 837 | (3.2) | 99 | (2.1) | 175 | (2.1) | 455 | (4.2) | 108 | (3.9) |
충북 | 532 | (2.0) | 64 | (1.4) | 138 | (1.7) | 268 | (2.5) | 62 | (2.3) |
충남 | 903 | (3.4) | 97 | (2.1) | 226 | (2.7) | 411 | (3.8) | 169 | (6.2) |
전북 | 464 | (1.8) | 58 | (1.2) | 81 | (1.0) | 257 | (2.4) | 68 | (2.5) |
전남 | 425 | (1.6) | 42 | (0.9) | 63 | (0.8) | 248 | (2.3) | 72 | (2.6) |
경북 | 541 | (2.0) | 94 | (2.0) | 100 | (1.2) | 277 | (2.6) | 70 | (2.6) |
경남 | 850 | (3.2) | 88 | (1.9) | 235 | (2.8) | 419 | (3.9) | 108 | (3.9) |
제주 | 139 | (0.5) | 15 | (0.3) | 27 | (0.3) | 88 | (0.8) | 9 | (0.3) |
검역 | 125 | (0.5) | 97 | (2.1) | 27 | (0.3) | 1 | (0.0) | 0 | (0.0) |
단위=명(%). SD=standard deviation. a)위중증 환자: 코로나19 격리 치료 중 비침습인공호흡기, 고유량산소요법, 침습인공호흡기, 체외막산소공급, 지속적신대체요법을 적용한 환자. b)확진자 수(80세 이상):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 187,349명(6,085명, 3.2%), 델타변이 우세 시기 500,572명(15,602명, 3.1%),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 18,457,796명(528,350명, 2.9%), 오미크론 BA.5 우세 시기 4,351,103명(153,356명, 3.5%). c)60세 이상.
코로나19 발생 전 기간 발생한 사망자 27,471명 중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에 66.4% (18,252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으며,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 확진자의 급증(34.1배)으로 사망자도 증가(3.6배)하였으나 오미크론의 중증도 감소로 확진자 증가폭 대비 사망자는 낮은 수준으로 증가하였다(표 2, 그림 1). 성별 발생 차이는 각 변이 우세 시기별 5% 이내로 유사하였다. 평균 연령은 77.2–80.2세 범위로 유사하였으나, 연령 집단 별로는 80세 이상의 비율이 델타변이 우세 이전 52.5% (1,135명)에서 오미크론 BA.1/BA.2, BA.5 우세 시기 62.3% (11,379명), 59.9% (1,378명)로 증가하였다. 백신 접종력별 델타변이 우세 이전 미접종자의 비율이 98.8%였으나, 백신 접종률 증가와 함께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에는 미접종자가 29.0%를 차지하였다. 신고지별로 구분하면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 수도권 지역에서 61.7%의 사망자가 발생, 델타변이 우세 시기에는 수도권 지역에서 확진자 증가와 함께 74.3%의 사망자가 발생하였으며,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에는 비수도권 지역의 확진자 증가로 전체 사망자 중 비수도권 지역의 사망자가 58.3%로 수도권보다 더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변이 유행 시기에 따른 사망자의 기본 특성(2022.9.3. 확진일 기준)
구분 | 전체 | 델타변이 우세 이전 | 델타변이 우세 | 오미크론변이 우세 | ||||||
---|---|---|---|---|---|---|---|---|---|---|
BA.1/BA.2 | BA.5 | |||||||||
합계 | 27,471 | (100.0) | 2,162 | (100.0) | 4,758 | (100.0) | 18,252 | (100.0) | 2,299 | (100.0) |
성별 | ||||||||||
남 | 13,437 | (48.9) | 1,091 | (50.5) | 2,478 | (52.1) | 8,677 | (47.5) | 1,191 | (51.8) |
여 | 14,034 | (51.1) | 1,071 | (49.5) | 2,280 | (47.9) | 9,575 | (52.5) | 1,108 | (48.2) |
연령 | ||||||||||
평균(±SD) | 79.5±12.2 | 78.4±11.4 | 77.2±12.2 | 80.2±12.2 | 79.5±12.6 | |||||
0–9세 | 31 | (0.1) | 0 | (0.0) | 3 | (0.1) | 24 | (0.1) | 4 | (0.2) |
10–19세 | 16 | (0.1) | 0 | (0.0) | 0 | (0.0) | 14 | (0.1) | 2 | (0.1) |
20–29세 | 68 | (0.2) | 5 | (0.2) | 10 | (0.2) | 47 | (0.3) | 6 | (0.3) |
30–39세 | 130 | (0.5) | 11 | (0.5) | 33 | (0.7) | 70 | (0.4) | 16 | (0.7) |
40–49세 | 376 | (1.4) | 20 | (0.9) | 78 | (1.6) | 242 | (1.3) | 36 | (1.6) |
50–59세 | 1,143 | (4.2) | 105 | (4.9) | 232 | (4.9) | 705 | (3.9) | 101 | (4.4) |
60–69세 | 3,200 | (11.6) | 284 | (13.1) | 816 | (17.2) | 1,874 | (10.3) | 226 | (9.8) |
70–79세 | 6,326 | (23.0) | 602 | (27.8) | 1,297 | (27.3) | 3,897 | (21.4) | 530 | (23.1) |
80세 이상 | 16,181 | (58.9) | 1,135 | (52.5) | 2,289 | (48.1) | 11,379 | (62.3) | 1,378 | (59.9) |
60세 이상a) | 25,707 | (93.6) | 2,021 | (93.5) | 4,402 | (92.5) | 17,150 | (94.0) | 2,134 | (92.8) |
백신 접종률 | ||||||||||
미접종 | 12,429 | (45.2) | 2,137 | (98.8) | 2,645 | (55.6) | 6,981 | (38.2) | 666 | (29.0) |
1차접종 | 1,053 | (3.8) | 22 | (1.0) | 260 | (5.5) | 721 | (4.0) | 50 | (2.2) |
2차접종 | 4,946 | (18.0) | 3 | (0.1) | 1,786 | (37.5) | 2,919 | (16.0) | 238 | (10.4) |
3차접종 | 9,043 | (32.9) | 0 | (0.0) | 67 | (1.4) | 7,631 | (41.8) | 1,345 | (58.5) |
신고지역 | ||||||||||
수도권 | 13,780 | (50.2) | 1,335 | (61.7) | 3,537 | (74.3) | 7,950 | (43.6) | 958 | (41.7) |
서울 | 5,344 | (19.5) | 554 | (25.6) | 1,714 | (36.0) | 2,708 | (14.8) | 368 | (16.0) |
경기 | 6,940 | (25.3) | 713 | (33.0) | 1,539 | (32.3) | 4,169 | (22.8) | 519 | (22.6) |
인천 | 1,496 | (5.4) | 68 | (3.1) | 284 | (6.0) | 1,073 | (5.9) | 71 | (3.1) |
비수도권 | 13,675 | (49.8) | 815 | (37.7) | 1,217 | (25.6) | 10,302 | (56.4) | 1,341 | (58.3) |
부산 | 2,403 | (8.7) | 130 | (6.0) | 244 | (5.1) | 1,872 | (10.3) | 157 | (6.8) |
대구 | 1,569 | (5.7) | 222 | (10.3) | 166 | (3.5) | 1,015 | (5.6) | 166 | (7.2) |
광주 | 634 | (2.3) | 24 | (1.1) | 48 | (1.0) | 502 | (2.8) | 60 | (2.6) |
대전 | 773 | (2.8) | 34 | (1.6) | 157 | (3.3) | 531 | (2.9) | 51 | (2.2) |
울산 | 396 | (1.4) | 41 | (1.9) | 25 | (0.5) | 284 | (1.6) | 46 | (2.0) |
세종 | 43 | (0.2) | 1 | (0.0) | 3 | (0.1) | 34 | (0.2) | 5 | (0.2) |
강원 | 1,007 | (3.7) | 56 | (2.6) | 65 | (1.4) | 763 | (4.2) | 123 | (5.4) |
충북 | 827 | (3.0) | 71 | (3.3) | 54 | (1.1) | 619 | (3.4) | 83 | (3.6) |
충남 | 1,156 | (4.2) | 46 | (2.1) | 139 | (2.9) | 820 | (4.5) | 151 | (6.6) |
전북 | 962 | (3.5) | 60 | (2.8) | 64 | (1.3) | 773 | (4.2) | 65 | (2.8) |
전남 | 645 | (2.3) | 18 | (0.8) | 29 | (0.6) | 473 | (2.6) | 125 | (5.4) |
경북 | 1,598 | (5.8) | 88 | (4.1) | 114 | (2.4) | 1,267 | (6.9) | 129 | (5.6) |
경남 | 1,448 | (5.3) | 23 | (1.1) | 97 | (2.0) | 1,173 | (6.4) | 155 | (6.7) |
제주 | 214 | (0.8) | 1 | (0.0) | 12 | (0.3) | 176 | (1.0) | 25 | (1.1) |
검역 | 16 | (0.1) | 12 | (0.6) | 4 | (0.1) | 0 | (0.0) | 0 | (0.0) |
단위=명(%). SD=standard deviation. a)60세 이상.
유행 전 기간 중증화율은 0.20%, 치명률 0.12%이며, 유행시기별로는 델타변이 우세 이전시기에 중증화율 2.98%, 치명률 1.15%로 가장 높았고, 오미크론 BA.5 우세 시기에 중증화율 0.10%, 치명률 0.05%로 가장 낮았다(표 3, 그림 2). 델타변이 우세 이전 중증화율은 2.98%에서 델타변이 우세 시기 2.14%로 감소,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는 0.14%로 델타변이 우세 시기 대비 1/15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 중에서도 BA.5 우세 시기는 중증화율이 더 감소하여 0.10%를 나타냈다(그림 2). 치명률 또한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 1.15%에서 델타변이 우세 시기 0.95%로 감소하였으며,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는 0.10%로 델타변이 우세 시기 대비 약 1/10 수준으로 급감하였다. 오미크론 BA.5 우세 시기에는 치명률이 지속 감소하여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의 절반인 0.05%를 나타냈다.
변이 유행 시기에 따른 중증화율 및 치명률(2022.9.3. 확진일 기준)
구분 | 전체 | 델타변이 우세 이전 | 델타변이 우세 | 오미크론변이 우세 | |
---|---|---|---|---|---|
BA.1/BA.2 우세 | BA.5 우세 | ||||
중증화율a) | 0.20 | 2.98 | 2.14 | 0.14 | 0.10 |
0–9세 | <0.01 | 0.00 | 0.02 | <0.01 | 0.01 |
10–19세 | <0.01 | 0.02 | 0.04 | <0.01 | <0.01 |
20–29세 | 0.01 | 0.15 | 0.19 | 0.01 | <0.01 |
30–39세 | 0.02 | 0.45 | 0.56 | 0.01 | 0.01 |
40-49세 | 0.05 | 1.04 | 0.97 | 0.02 | 0.02 |
50–59세 | 0.12 | 2.26 | 1.91 | 0.06 | 0.04 |
60–69세 | 0.32 | 5.31 | 3.58 | 0.19 | 0.11 |
70–79세 | 0.92 | 13.63 | 8.87 | 0.67 | 0.38 |
80세 이상 | 2.97 | 25.42 | 19.74 | 2.63 | 1.51 |
치명률a) | 0.12 | 1.15 | 0.95 | 0.10 | 0.05 |
0–9세 | <0.01 | 0.00 | 0.01 | <0.01 | <0.01 |
10–19세 | <0.01 | 0.00 | 0.00 | <0.01 | <0.01 |
20–29세 | <0.01 | 0.02 | 0.01 | <0.01 | <0.01 |
30-39세 | <0.01 | 0.04 | 0.04 | <0.01 | <0.01 |
40–49세 | 0.01 | 0.07 | 0.11 | 0.01 | 0.01 |
50–59세 | 0.04 | 0.31 | 0.36 | 0.03 | 0.02 |
60–69세 | 0.13 | 1.14 | 1.16 | 0.10 | 0.04 |
70–79세 | 0.53 | 5.57 | 4.40 | 0.45 | 0.19 |
80세 이상 | 2.30 | 18.65 | 14.67 | 2.15 | 0.90 |
사망률(주평균, 100만 명당) | 6.75 | 0.53 | 3.69 | 13.09 | 7.42 |
0–9세 | 0.10 | 0.00 | 0.03 | 0.24 | 0.18 |
10–19세 | 0.04 | 0.00 | 0.00 | 0.11 | 0.07 |
20–29세 | 0.13 | 0.01 | 0.06 | 0.26 | 0.15 |
30–39세 | 0.25 | 0.02 | 0.20 | 0.39 | 0.40 |
40–49세 | 0.58 | 0.03 | 0.38 | 1.10 | 0.73 |
50–59세 | 1.68 | 0.15 | 1.07 | 3.02 | 1.95 |
60–69세 | 5.66 | 0.50 | 4.56 | 9.69 | 5.26 |
70–79세 | 21.59 | 2.05 | 13.96 | 38.85 | 23.78 |
80세 이상 | 97.34 | 6.83 | 43.43 | 199.93 | 108.95 |
단위=%. a)중증화율: (해당기간 확진자 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해당기간 확진자*100. b)치명률: (해당기간 확진자 중 사망자)/해당기간 확진자*100.
각 시기별 연령별 중증화율, 치명률, 사망률은 모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각 연령 집단별 유행시기에 따른 중증도 변화 수준은 일부 차이가 있었다.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에서 델타변이 우세 시기로 전환 시 중증화율의 경우 30대 이하에서는 증가, 40대부터는 감소하였으며, 치명률의 경우 60대 이하에서는 증가, 70대부터는 감소하였다. 델타변이 우세 시기에서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로 전환되면서 모든 연령집단의 중증화율과 치명률이 감소하였으며 20세 이상 성인연령층에서 상대적 감소가 가장 컸던 연령층은 30대(0.56%→0.01%, 1/61배), 가장 소폭의 감소는 80대(19.74%→2.63%, 1/8배)에서 보였다. 절대적 위험도는 80세 이상 연령대에서 17.11%p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동일 시기 치명률 또한 상대적 위험도 감소는 30대(0.045%→0.003%, 1/17배)에서 가장 컸으며, 80대(14.67→2.15%, 1/7배)에서 가장 적은 감소를 보였다. 치명률의 절대적 감소는 80세 이상에서 12.52%p 감소로 가장 큰 감소를 보였다.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는 중증화율, 치명률 모두 8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집단에서 1% 이하였으며, 오미크론 BA.5 우세 시기의 경우 중증화율은 8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집단에서, 치명률은 모든 연령대에서 1% 이하를 보였다.
사망률은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에 확진자의 폭발적 증가로 주 평균 100만 명당 13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절대적 위험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80세 이상의 경우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 주 평균 100만 명당 200명, 오미크론 BA.5 우세 시기 100만 명당 109명의 사망률을 나타냈다.
본 보고서는 국내 코로나19 첫 확진자 발생일부터 최근(2022.9.3)까지 코로나19의 중증도 추이를 분석하였다. 중증도는 코로나19 확진자의 임상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발생 현황을 시간별, 인구학적 특징으로 구분하였다.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에는 해당 기간 중증화율이 2.98%, 주간 중증화율이 최대 6.95%를 보였으며 코로나19 발생 첫해에 증감을 반복하였으나 2021년부터는 점차 일정한 모습을 보였다. 델타변이는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과 중증도가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7], 국내에서는 델타 시기 전 연령의 중증도는 중증화율 2.14%로 감소하였다. 다만, 연령별로 구분하면 중증도 증감의 차이가 있었는데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층에서는 중증도가 증가하여 중증화율은 30대 이하, 치명률은 60대 이하에서는 증가 양상을 보였다. 한편,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는 전 연령층에서 중증도의 급격한 감소를 보였는데 이는 전세계적으로 오미크론변이의 중증도가 감소한 것과 일치하는 결과이다[8,9]. 그러나 오미크론변이는 기존 변이보다 전파력이 증가하고, 면역 회피 특성이 있어 확진자 수가 델타변이 우세 시기 대비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에 일평균 30배 이상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의 규모도 증가하였다. 다만, 중증도의 감소로 확진자 증가폭 대비 낮은 수준으로 증가하였는데 위중증 환자는 1.3배, 사망자는 3.8배 증가하였다. 20세 이상 성인연령층에서 델타변이 우세 시기 대비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 중증도의 절대적 감소는 80세 이상 집단에서 가장 컸으나 상대적으로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80세 이상에서 가장 적은 감소를 보였다. 이는 오미크론변이로 인해 중증도가 감소한 현재 80세 이상 고령층에서 위중증 또는 사망환자의 발생이 집중되어 고령층 관리가 더욱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국내 코로나19 대응기간동안 코로나19 중증도 모니터링 결과는 시기별 방역전략 수립의 근거로 사용되었다. 2020년 발생 초기 중증도를 알 수 없어 모든 확진자에 대해 격리입원치료를 시행하였으나 확진자 중증도 모니터링을 통해 무증상, 경증 확진자를 구분하여 생활치료센터와 입원환자를 나누어 관리하게 되었으며, 이는 중증 환자를 적시에 치료할 수 있도록 보건의료자원을 분배시켰다. 2021년 10월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계획이 발표되면서 코로나19의 대응전략이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중증환자 발생 억제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이에 따라 코로나19로 인한 위험도 평가에 신규 위중증 환자 수가 핵심 지표로 포함되어 코로나19 전략 수립에 근거로 활용되었다. 또한 백신접종 도입 시 코로나19 감염 후 중증 진행의 예방 효과를 평가하고, SARS-CoV-2의 새로운 변이바이러스 출현 시 중증도를 평가할 때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모니터링 결과는 분석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본 보고서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코로나19 중증환자 감시체계는 보건소, 의료기관의 임상정보 보고와 신고 결과를 수집하므로 임상정보가 적시에 보고되지 않거나 사망신고가 이뤄지지 않은 사례가 제외되어 과소추정이 될 가능성이 있다. 두 번째로, 예방 접종력의 경우 예방접종 시스템에 입력된 접종력으로 구분하였으므로 예방 접종력이 잘못 기입되어 접종력이 잘못 구분된 사례를 조정할 수 없었다. 세 번째로, 본 보고서는 조율(crude rate)만 산출한 결과로 시기별 연령 등 확진자의 특성 차이를 보정하지 않았으나, 본 보고서의 목적상 여러 특성을 가진 확진자의 발생으로 전체 지역사회의 중증도를 보기 위한 목적으로 중증도 추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오미크론 유행으로 코로나19의 중증도가 감소하였으나 중증환자 중 고령층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고령층의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새로운 변이의 출현, 예방접종의 증가, 예방접종 후 시간경과에 따른 예방효과 감소, 과거 감염력이 있음에도 면역회피 특성으로 재감염 증가, 확진되지 않은 지역사회 감염자 증가 등의 조합으로 코로나19 유행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계속해서 변화되므로 지역사회의 코로나19 중증도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이에 맞는 방역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We would like to thank National Medical Center for monitoring severe and critical patients of COVID-19, and Regional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or investigation of COVID-19 deaths.
Not applicable.
None.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Conceptualization: BYR. Data curation: BYR. Formal analysis: BYR. Investigation: BYR, EJS, NYK, DHK, HJL. Methodology: BYR, SSK. Project administration: SSK. Resources: BYR, EJS, NYK, DHK, HJL, ARK. SYP, JHJ. Software: BYR. Supervision: DHK. Validation: SSK, DHK. Visualization: BYR. Writing – original draft: BYR. Writing – review & editing: SSK, DHK.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2; 15(47): 2873-2895
Published online November 24, 2022 https://doi.org/10.56786/PHWR.2022.15.47.2873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류보영, 신은정, 김나영, 김동휘, 이현주, 김아라, 박신영, 안선희, 장진화, 김성순, 권동혁*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 정보분석팀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19)는 기존에 보고되지 않았던 코로나바이러스로 최초 보고 시 질병의 중증도를 알 수 없었고, 지속적이고 전 세계적인 전파로 새로운 변이가 출현하여 중증도 등 특성이 변화되어 왔다. 본 보고서는 국내에서 2020년 1월 코로나19 첫 발생 이후 변이의 지속적 출현, 예방접종 시행 등으로 변화된 코로나19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의 현황을 파악하고, 중증화율과 치명률을 산출하였다.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2022년 9월 3일까지 총 23,496,849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고, 그 중 26,472명(0.11%)의 위중증 환자와 27,471명(0.12%)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기간은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2022.1.16–2022.7.23)였으며 각각 40.7% (10,772명), 66.4% (18,252명)를 차지하였다. 위중증 환자는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2020.1.20–2021.7.24) 대비 오미크론 BA.5 우세 시기(2022.7.24–2022.9.3)의 80세 이상 비율은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모두 26.4%p, 7.4%p 증가하였다. 중증화율과 치명률은 전체 기간 각각 0.20%, 0.12%였으며,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에 중증화율 2.98%, 치명률 1.15%로 가장 높았으며, 오미크론 BA.5 우세화 시기에 0.10%, 0.05%로 가장 낮았다. 시기별 중증화율은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의 2.98%에서 델타변이 우세 시기(2021.7.25–2022.1.15) 2.14%로 감소,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는 0.14%로 직전 시기 대비 1/15로 감소하였다. 치명률도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 1.15%에서 델타변이 우세 시기 0.95%로 감소하였으며, 오미크론 BA.1/BA.2 시기는 0.10%로 직전 시기 대비 약 1/10 수준으로 급감하였다. 국내 코로나19의 중증도는 델타변이 고유의 중증도가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델타변이 우세시기의 중증도가 감소하였으며, 오미크론 우세 시기에도 지속 감소추세를 보였다. 한편, 오미크론 시기 중증도가 낮아지면서 고령층에 중증 환자 및 사망자의 비율이 높아져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겠다.
Keywords: 코로나19, SARS-CoV-2, 코로나19 중증도, 코로나19 변이, 코로나19 사망
코로나19 유행이 지속되면서 새로운 변이의 출현, 백신접종, 기 감염사례의 재감염 등으로 바이러스 고유의 특성 변화, 감염자의 면역상태 변화가 코로나19 감염의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증도가 높은 델타변이 우세 시기의 지역사회 전체 코로나19의 중증도는 감소하였으며,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에 중증도는 델타변이 우세 시기 대비 1/15 수준으로 급감하였다. 또한,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로 갈수록 위중증 및 사망자 중 80세 이상 비율이 높아졌다.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에 코로나19의 중증도가 감소하였지만,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중 고령층 비율이 증가하면서 고령층에 대한 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는 HCoV-229E, HCoV-NL63과 같이 일상적인 감기를 일으키기도 하지만 SARS-CoV, MERS-CoV와 같이 중증도가 높은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1]. 2019년 말 중국에서 처음 보고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19)는 이전에 확인되지 않은 새로운 종류의 코로나바이러스로 질병의 중증도를 알 수 없었다[2]. 또한, 코로나19는 전세계적으로 지속적인 전파가 이뤄져 SARS-CoV-2의 변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동시에 전파력, 중증도 등 바이러스의 특성이 조금씩 변화되었다. 2020년 말, 영국에서 첫 보고된 알파변이는 그 해 겨울 영국에서 대규모의 확진자를 발생시켰으며, 연구 결과 전파력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3]. 알파변이는 2020년 12월 국내에 첫 유입사례가 보고되어 지역사회에 전파되었으나 국내 확진자 변이검사사례 중 50% 이상의 검출률은 보이지 않았다[4].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가 지정한 주요변이 중 베타변이, 감마변이 또한 국내에 유입되었으나 50% 이상의 검출률은 보이지 않았다[4]. 그러나 델타, 오미크론변이의 경우 국내 유입 후 지역사회 대규모 유행을 일으켰을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200개 이상의 국가에서 발생이 보고되었으며[5], 바이러스의 특성 또한 기존 바이러스와 뚜렷한 차이를 보여 코로나19 유행의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6]. 두 변이 모두 전파력이 증가하여 확진자가 급증하였으며, 중증도의 경우 델타변이는 증가, 오미크론변이는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9].
한편, 급속한 코로나19 백신개발을 통해 전 세계는 2020년 말부터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행하였으며, 이는 코로나19 감염뿐 아니라 중증으로의 진행을 예방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코로나19 백신접종을 통한 예방효과 연구 결과 코로나19 백신접종 시 감염의 예방효과는 접종완료 후 1개월 경과 시 83%였으나 접종 후 5개월 경과 시 22%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면역회피의 특징이 있는 변이의 출현은 백신접종을 통한 감염예방의 효과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10-12]. 그러나 코로나19 감염 시 위중증 상태로 진행하거나 사망에 이르는 중증감염에 대한 백신접종의 예방효과는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0]. 국내에서는 2021년 2월 고령층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작하였으며, 2022년 10월 4일 현재 전 국민의 87.1%가 2차, 65.5%가 3차 이상 예방접종을 받았다[13].
2년 이상 장기간 지속되는 코로나19의 대유행에 대해 국내를 비롯하여 전세계적 공중보건학적 대응은 질병퇴치를 위한 강력한 억제정책에서 코로나19와 함께 살아가는 완화정책으로 바뀌고 있다[14-16]. 동시에 코로나19 대응 전략을 코로나19가 지역사회에 끼치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으로 변경하면서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하는 중증환자의 규모와 코로나19의 중증도 모니터링 결과는 대응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국내 2020년 1월 코로나19 첫 환자가 발생한 이후 2년 7개월간 새로운 변이의 지속적 출현, 코로나19 예방접종 시행 등으로 변화된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중증화율 및 치명률을 산출하여 코로나19 대응 정책 수립 대상의 우선순위와 범위를 결정하고, 필요한 보건의료자원을 준비하는 데 근거로 사용하고자 한다.
국내 코로나19가 최초 발생한 2020년 1월 20일부터 2022년 9월 3일까지 보고된 코로나19 확진자 중 위중증 상태로 진행하거나 사망한 사람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코로나19 유행의 우세화된 변이에 따라 유행시기를 구분하여 발생 규모와 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코로나19 확진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지침에 따라 코로나19 유전자 검출 또는 바이러스 분리를 통해 감염이 확인된 사람, 코로나19 증상을 나타낸 사람으로서 신속항원검사(전문가용) 또는 응급용 선별검사 결과 양성이 확인되어 의사가 진단한 사람으로 정의하였다. 코로나19의 중증도는 위중증 상태와 사망으로 분류하였고, 중증도는 위중증 상태와 사망을 모두 포함하여 중증화율을, 중증도가 가장 높은 사망만 포함하여 치명률을 산출하였다. 중증화율은 위중증 환자만 고려할 경우 요양병원 등 위중증 상태를 거치지 않고 사망하는 중증 환자가 제외됨으로 중증도의 과소추정을 야기할 수 있어 사망상태와 함께 산출하였다. 위중증 상태는 코로나19 유행 초기 WHO에서 제시한 임상상태 척도를 기반으로 설정한 국내 코로나19 대응지침에 따라 코로나19에 확진된 후 의료기관 격리 중 비침습인공호흡기/고유량산소요법, 침습인공호흡기, 체외막산소공급, 지속적신대체요법을 시행하였을 경우로 정의하였다[17,18]. 확진자의 임상상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관리정보시스템(중앙방역대책본부), 보건의료자원 통합신고포털 시스템(중앙사고수습본부)을 통해 보건소, 의료기관에서 보고한 자료, 유선 확인 등을 통해 모니터링하였다. 사망자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코로나19 감염병환자 사망자로 신고된 자에 대해 사망자 조사를 실시하여 외인사를 제외한 후 코로나19 관련 사망자로 집계하였다. 코로나19 확진 후 위중증 상태와 사망으로의 진행 기간을 고려하여 2022년 9월 17일까지 확진자의 임상경과를 모니터링하였다.
SARS-CoV-2 변이분석 보고일에 따라 주간 변이바이러스 검사건 중 50% 이상 검출된 주간을 기준으로 유행시기를 구분하였다. 전 기간 중 유행 시기는 델타변이 우세 이전(2020.1.20–2021.7.24), 델타변이 우세(2021.7.25–2022.1.15), 오미크론변이 우세(2022.1.16–2022.9.3) 시기로 구분하였으며, 오미크론변이의 경우 세부적으로 BA.5를 기준으로 BA.1/BA.2 (2022.1.16–2022.7.23)와 BA.5 (2022.7.24–2022.9.3) 우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백신 접종력은 코로나19 확진 14일 전 최종 예방 접종력을 기준으로 구분하였고, 얀센 접종자의 경우 1회 접종 시 2차접종자로 간주하였다.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규모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확진일을 기준으로 유행시기별 성, 연령을 포함한 인구학적 특성, 백신 접종률, 신고지역별 발생현황을 산출하였다. 또한, 변이시기에 따라 지역사회에서 코로나19의 중증도를 파악하기 위해 중증도를 2단계로 구분하여 유행시기 전체 및 주차별 중증화율, 치명률을 산출하였다. 중증화율은 해당 기간(유행시간 및 주차)에 발생한 확진환자 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의 비율(%), 치명률은 해당 기간(유행시간 및 주차)에 발생한 확진환자 중 사망자의 비율(%)로 산출하였다. 또한, 전체 인구 대비 사망자의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기간별 사망률을 전체 인구 중 사망자의 비율에 대해 주 평균 및 100만 명당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연령별 중증도를 비교하고자 10세 단위로 연령집단을 구분하여 중증화율, 치명률 및 사망률을 산출하였다. 모든 분석은 Excel 2016 (Microsoft, Redmond, WA, USA)을 사용하였다.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2022년 9월 3일까지 총 23,496,820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고, 그중 26,472명(0.11%)의 위중증 환자와 27,471명(0.12%)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코로나19 확진 후 위중증 상태로 인지된 환자 중 사망한 환자는 7,507명으로 위중증 상태 또는 사망으로 진행한 환자는 총 46,436명(0.20%)이었다.
코로나19 발생 기간 동안 확인된 위중증 환자 총 26,472명 중 전체 기간 확진자의 78.6%가 발생한 오미크론 BA.1/BA.2 우세 기간에 가장 많은 위중증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전체 위중증 환자의 40.7% (10,772명)를 차지하였다(표 1). 델타변이 우세 시기 대비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에 확진자가 급격히 증가(34.1배)하여 위중증 환자도 증가(1.3배)하였으나 오미크론의 중증도 감소로 확진자 증가폭 대비 위중증 환자는 낮은 수준으로 증가하였다(그림 1). 성별 현황으로는 전 기간 남자의 비율이 56% 이상으로 여자보다 13% 이상 더 많이 차지하였다. 위중증 환자의 평균연령은 델타변이 우세 이전 67.7세(±13.7세)에서 오미크론 BA.5 우세시기 74.6세(±15.7세)로 점차 높아졌으며, 연령집단 별 비율도 80세 이상이 델타변이 우세 이전 20.3%에서 오미크론 BA.5 우세 시기 46.6%로 26.3%p 증가하였다. 백신 접종률은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 미접종자가 97.3%에 반해 예방 접종률의 제고로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는 73.1%가 1회이상 접종자였다. 신고지역별로는 델타변이 우세 이전 서울, 경기, 인천을 포함하는 수도권 지역이 72.9%를 차지하였으나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에 비수도권 확진자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위중증 환자의 비율도 델타변이 우세 이전 25.0%에서 44.5%로 증가하였다.
표 1. 변이 유행 시기a)에 따른 위중증 환자a)의 기본 특성(2022.9.3. 확진일 기준).
구분 | 전체 | 델타변이 우세 이전 | 델타변이 우세 | 오미크론변이 우세 | ||||||
---|---|---|---|---|---|---|---|---|---|---|
BA.1/BA.2 | BA.5 | |||||||||
합계 | 26,472 | (100.0) | 4,665 | (100.0) | 8,296 | (100.0) | 10,772 | (100.0) | 2,739 | (100.0) |
성별 | ||||||||||
남 | 15,303 | (57.8) | 2,792 | (59.8) | 4,775 | (57.6) | 6,184 | (57.4) | 1,552 | (56.7) |
여 | 11,169 | (42.2) | 1,873 | (40.2) | 3,521 | (42.4) | 4,588 | (42.6) | 1,187 | (43.3) |
연령 | ||||||||||
평균(±SD) | 69.9±15.7 | 67.7±13.7 | 66.0±15.4 | 72.7±15.8 | 74.6±15.7 | |||||
0–9세 | 103 | (0.4) | 0 | (0.0) | 6 | (0.1) | 77 | (0.7) | 20 | (0.7) |
10–19세 | 107 | (0.4) | 3 | (0.1) | 21 | (0.3) | 68 | (0.6) | 15 | (0.5) |
20–29세 | 303 | (1.1) | 44 | (0.9) | 129 | (1.6) | 108 | (1.0) | 22 | (0.8) |
30–39세 | 768 | (2.9) | 116 | (2.5) | 399 | (4.8) | 199 | (1.8) | 54 | (2.0) |
40–49세 | 1,398 | (5.3) | 298 | (6.4) | 664 | (8.0) | 356 | (3.3) | 80 | (2.9) |
50–59세 | 2,837 | (10.7) | 730 | (15.6) | 1,150 | (13.9) | 800 | (7.4) | 157 | (5.7) |
60–69세 | 5,966 | (22.5) | 1,240 | (26.6) | 2,217 | (26.7) | 2,090 | (19.4) | 419 | (15.3) |
70–79세 | 6,948 | (26.2) | 1,289 | (27.6) | 2,084 | (25.1) | 2,880 | (26.7) | 695 | (25.4) |
80세 이상 | 8,042 | (30.4) | 945 | (20.3) | 1,626 | (19.6) | 4,194 | (38.9) | 1,277 | (46.6) |
60세 이상c) | 20,956 | (79.2) | 3,474 | (74.5) | 5,927 | (71.4) | 9,164 | (85.1) | 2,391 | (87.3) |
백신 접종률 | ||||||||||
미접종 | 14,627 | (55.3) | 4,539 | (97.3) | 5,031 | (60.6) | 4,321 | (40.1) | 736 | (26.9) |
1차접종 | 1,100 | (4.2) | 118 | (2.5) | 580 | (7.0) | 347 | (3.2) | 55 | (2.0) |
2차접종 | 4,552 | (17.2) | 8 | (0.2) | 2,595 | (31.3) | 1,656 | (15.4) | 293 | (10.7) |
3차접종 | 6,193 | (23.4) | 0 | (0.0) | 90 | (1.1) | 4,448 | (41.3) | 1,655 | (60.4) |
신고지역 | ||||||||||
수도권 | 17,279 | (65.3) | 3,402 | (72.9) | 6,184 | (74.5) | 6,172 | (57.3) | 1,521 | (55.5) |
서울 | 8,118 | (30.7) | 1,876 | (40.2) | 3,348 | (40.4) | 2,348 | (21.8) | 546 | (19.9) |
경기 | 7,115 | (26.9) | 1,238 | (26.5) | 2,255 | (27.2) | 2,845 | (26.4) | 777 | (28.4) |
인천 | 2,046 | (7.7) | 288 | (6.2) | 581 | (7.0) | 979 | (9.1) | 198 | (7.2) |
비수도권 | 9,068 | (34.3) | 1,166 | (25.0) | 2,085 | (25.1) | 4,599 | (42.7) | 1,218 | (44.5) |
부산 | 1,493 | (5.6) | 156 | (3.3) | 433 | (5.2) | 738 | (6.9) | 166 | (6.1) |
대구 | 1,266 | (4.8) | 240 | (5.1) | 258 | (3.1) | 626 | (5.8) | 142 | (5.2) |
광주 | 532 | (2.0) | 65 | (1.4) | 70 | (0.8) | 305 | (2.8) | 92 | (3.4) |
대전 | 591 | (2.2) | 71 | (1.5) | 168 | (2.0) | 275 | (2.6) | 77 | (2.8) |
울산 | 440 | (1.7) | 75 | (1.6) | 99 | (1.2) | 200 | (1.9) | 66 | (2.4) |
세종 | 55 | (0.2) | 2 | (0.0) | 12 | (0.1) | 32 | (0.3) | 9 | (0.3) |
강원 | 837 | (3.2) | 99 | (2.1) | 175 | (2.1) | 455 | (4.2) | 108 | (3.9) |
충북 | 532 | (2.0) | 64 | (1.4) | 138 | (1.7) | 268 | (2.5) | 62 | (2.3) |
충남 | 903 | (3.4) | 97 | (2.1) | 226 | (2.7) | 411 | (3.8) | 169 | (6.2) |
전북 | 464 | (1.8) | 58 | (1.2) | 81 | (1.0) | 257 | (2.4) | 68 | (2.5) |
전남 | 425 | (1.6) | 42 | (0.9) | 63 | (0.8) | 248 | (2.3) | 72 | (2.6) |
경북 | 541 | (2.0) | 94 | (2.0) | 100 | (1.2) | 277 | (2.6) | 70 | (2.6) |
경남 | 850 | (3.2) | 88 | (1.9) | 235 | (2.8) | 419 | (3.9) | 108 | (3.9) |
제주 | 139 | (0.5) | 15 | (0.3) | 27 | (0.3) | 88 | (0.8) | 9 | (0.3) |
검역 | 125 | (0.5) | 97 | (2.1) | 27 | (0.3) | 1 | (0.0) | 0 | (0.0) |
단위=명(%). SD=standard deviation. a)위중증 환자: 코로나19 격리 치료 중 비침습인공호흡기, 고유량산소요법, 침습인공호흡기, 체외막산소공급, 지속적신대체요법을 적용한 환자. b)확진자 수(80세 이상):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 187,349명(6,085명, 3.2%), 델타변이 우세 시기 500,572명(15,602명, 3.1%),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 18,457,796명(528,350명, 2.9%), 오미크론 BA.5 우세 시기 4,351,103명(153,356명, 3.5%). c)60세 이상..
코로나19 발생 전 기간 발생한 사망자 27,471명 중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에 66.4% (18,252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으며,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 확진자의 급증(34.1배)으로 사망자도 증가(3.6배)하였으나 오미크론의 중증도 감소로 확진자 증가폭 대비 사망자는 낮은 수준으로 증가하였다(표 2, 그림 1). 성별 발생 차이는 각 변이 우세 시기별 5% 이내로 유사하였다. 평균 연령은 77.2–80.2세 범위로 유사하였으나, 연령 집단 별로는 80세 이상의 비율이 델타변이 우세 이전 52.5% (1,135명)에서 오미크론 BA.1/BA.2, BA.5 우세 시기 62.3% (11,379명), 59.9% (1,378명)로 증가하였다. 백신 접종력별 델타변이 우세 이전 미접종자의 비율이 98.8%였으나, 백신 접종률 증가와 함께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에는 미접종자가 29.0%를 차지하였다. 신고지별로 구분하면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 수도권 지역에서 61.7%의 사망자가 발생, 델타변이 우세 시기에는 수도권 지역에서 확진자 증가와 함께 74.3%의 사망자가 발생하였으며,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에는 비수도권 지역의 확진자 증가로 전체 사망자 중 비수도권 지역의 사망자가 58.3%로 수도권보다 더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표 2. 변이 유행 시기에 따른 사망자의 기본 특성(2022.9.3. 확진일 기준).
구분 | 전체 | 델타변이 우세 이전 | 델타변이 우세 | 오미크론변이 우세 | ||||||
---|---|---|---|---|---|---|---|---|---|---|
BA.1/BA.2 | BA.5 | |||||||||
합계 | 27,471 | (100.0) | 2,162 | (100.0) | 4,758 | (100.0) | 18,252 | (100.0) | 2,299 | (100.0) |
성별 | ||||||||||
남 | 13,437 | (48.9) | 1,091 | (50.5) | 2,478 | (52.1) | 8,677 | (47.5) | 1,191 | (51.8) |
여 | 14,034 | (51.1) | 1,071 | (49.5) | 2,280 | (47.9) | 9,575 | (52.5) | 1,108 | (48.2) |
연령 | ||||||||||
평균(±SD) | 79.5±12.2 | 78.4±11.4 | 77.2±12.2 | 80.2±12.2 | 79.5±12.6 | |||||
0–9세 | 31 | (0.1) | 0 | (0.0) | 3 | (0.1) | 24 | (0.1) | 4 | (0.2) |
10–19세 | 16 | (0.1) | 0 | (0.0) | 0 | (0.0) | 14 | (0.1) | 2 | (0.1) |
20–29세 | 68 | (0.2) | 5 | (0.2) | 10 | (0.2) | 47 | (0.3) | 6 | (0.3) |
30–39세 | 130 | (0.5) | 11 | (0.5) | 33 | (0.7) | 70 | (0.4) | 16 | (0.7) |
40–49세 | 376 | (1.4) | 20 | (0.9) | 78 | (1.6) | 242 | (1.3) | 36 | (1.6) |
50–59세 | 1,143 | (4.2) | 105 | (4.9) | 232 | (4.9) | 705 | (3.9) | 101 | (4.4) |
60–69세 | 3,200 | (11.6) | 284 | (13.1) | 816 | (17.2) | 1,874 | (10.3) | 226 | (9.8) |
70–79세 | 6,326 | (23.0) | 602 | (27.8) | 1,297 | (27.3) | 3,897 | (21.4) | 530 | (23.1) |
80세 이상 | 16,181 | (58.9) | 1,135 | (52.5) | 2,289 | (48.1) | 11,379 | (62.3) | 1,378 | (59.9) |
60세 이상a) | 25,707 | (93.6) | 2,021 | (93.5) | 4,402 | (92.5) | 17,150 | (94.0) | 2,134 | (92.8) |
백신 접종률 | ||||||||||
미접종 | 12,429 | (45.2) | 2,137 | (98.8) | 2,645 | (55.6) | 6,981 | (38.2) | 666 | (29.0) |
1차접종 | 1,053 | (3.8) | 22 | (1.0) | 260 | (5.5) | 721 | (4.0) | 50 | (2.2) |
2차접종 | 4,946 | (18.0) | 3 | (0.1) | 1,786 | (37.5) | 2,919 | (16.0) | 238 | (10.4) |
3차접종 | 9,043 | (32.9) | 0 | (0.0) | 67 | (1.4) | 7,631 | (41.8) | 1,345 | (58.5) |
신고지역 | ||||||||||
수도권 | 13,780 | (50.2) | 1,335 | (61.7) | 3,537 | (74.3) | 7,950 | (43.6) | 958 | (41.7) |
서울 | 5,344 | (19.5) | 554 | (25.6) | 1,714 | (36.0) | 2,708 | (14.8) | 368 | (16.0) |
경기 | 6,940 | (25.3) | 713 | (33.0) | 1,539 | (32.3) | 4,169 | (22.8) | 519 | (22.6) |
인천 | 1,496 | (5.4) | 68 | (3.1) | 284 | (6.0) | 1,073 | (5.9) | 71 | (3.1) |
비수도권 | 13,675 | (49.8) | 815 | (37.7) | 1,217 | (25.6) | 10,302 | (56.4) | 1,341 | (58.3) |
부산 | 2,403 | (8.7) | 130 | (6.0) | 244 | (5.1) | 1,872 | (10.3) | 157 | (6.8) |
대구 | 1,569 | (5.7) | 222 | (10.3) | 166 | (3.5) | 1,015 | (5.6) | 166 | (7.2) |
광주 | 634 | (2.3) | 24 | (1.1) | 48 | (1.0) | 502 | (2.8) | 60 | (2.6) |
대전 | 773 | (2.8) | 34 | (1.6) | 157 | (3.3) | 531 | (2.9) | 51 | (2.2) |
울산 | 396 | (1.4) | 41 | (1.9) | 25 | (0.5) | 284 | (1.6) | 46 | (2.0) |
세종 | 43 | (0.2) | 1 | (0.0) | 3 | (0.1) | 34 | (0.2) | 5 | (0.2) |
강원 | 1,007 | (3.7) | 56 | (2.6) | 65 | (1.4) | 763 | (4.2) | 123 | (5.4) |
충북 | 827 | (3.0) | 71 | (3.3) | 54 | (1.1) | 619 | (3.4) | 83 | (3.6) |
충남 | 1,156 | (4.2) | 46 | (2.1) | 139 | (2.9) | 820 | (4.5) | 151 | (6.6) |
전북 | 962 | (3.5) | 60 | (2.8) | 64 | (1.3) | 773 | (4.2) | 65 | (2.8) |
전남 | 645 | (2.3) | 18 | (0.8) | 29 | (0.6) | 473 | (2.6) | 125 | (5.4) |
경북 | 1,598 | (5.8) | 88 | (4.1) | 114 | (2.4) | 1,267 | (6.9) | 129 | (5.6) |
경남 | 1,448 | (5.3) | 23 | (1.1) | 97 | (2.0) | 1,173 | (6.4) | 155 | (6.7) |
제주 | 214 | (0.8) | 1 | (0.0) | 12 | (0.3) | 176 | (1.0) | 25 | (1.1) |
검역 | 16 | (0.1) | 12 | (0.6) | 4 | (0.1) | 0 | (0.0) | 0 | (0.0) |
단위=명(%). SD=standard deviation. a)60세 이상..
유행 전 기간 중증화율은 0.20%, 치명률 0.12%이며, 유행시기별로는 델타변이 우세 이전시기에 중증화율 2.98%, 치명률 1.15%로 가장 높았고, 오미크론 BA.5 우세 시기에 중증화율 0.10%, 치명률 0.05%로 가장 낮았다(표 3, 그림 2). 델타변이 우세 이전 중증화율은 2.98%에서 델타변이 우세 시기 2.14%로 감소,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는 0.14%로 델타변이 우세 시기 대비 1/15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 중에서도 BA.5 우세 시기는 중증화율이 더 감소하여 0.10%를 나타냈다(그림 2). 치명률 또한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 1.15%에서 델타변이 우세 시기 0.95%로 감소하였으며,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는 0.10%로 델타변이 우세 시기 대비 약 1/10 수준으로 급감하였다. 오미크론 BA.5 우세 시기에는 치명률이 지속 감소하여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의 절반인 0.05%를 나타냈다.
표 3. 변이 유행 시기에 따른 중증화율 및 치명률(2022.9.3. 확진일 기준).
구분 | 전체 | 델타변이 우세 이전 | 델타변이 우세 | 오미크론변이 우세 | |
---|---|---|---|---|---|
BA.1/BA.2 우세 | BA.5 우세 | ||||
중증화율a) | 0.20 | 2.98 | 2.14 | 0.14 | 0.10 |
0–9세 | <0.01 | 0.00 | 0.02 | <0.01 | 0.01 |
10–19세 | <0.01 | 0.02 | 0.04 | <0.01 | <0.01 |
20–29세 | 0.01 | 0.15 | 0.19 | 0.01 | <0.01 |
30–39세 | 0.02 | 0.45 | 0.56 | 0.01 | 0.01 |
40-49세 | 0.05 | 1.04 | 0.97 | 0.02 | 0.02 |
50–59세 | 0.12 | 2.26 | 1.91 | 0.06 | 0.04 |
60–69세 | 0.32 | 5.31 | 3.58 | 0.19 | 0.11 |
70–79세 | 0.92 | 13.63 | 8.87 | 0.67 | 0.38 |
80세 이상 | 2.97 | 25.42 | 19.74 | 2.63 | 1.51 |
치명률a) | 0.12 | 1.15 | 0.95 | 0.10 | 0.05 |
0–9세 | <0.01 | 0.00 | 0.01 | <0.01 | <0.01 |
10–19세 | <0.01 | 0.00 | 0.00 | <0.01 | <0.01 |
20–29세 | <0.01 | 0.02 | 0.01 | <0.01 | <0.01 |
30-39세 | <0.01 | 0.04 | 0.04 | <0.01 | <0.01 |
40–49세 | 0.01 | 0.07 | 0.11 | 0.01 | 0.01 |
50–59세 | 0.04 | 0.31 | 0.36 | 0.03 | 0.02 |
60–69세 | 0.13 | 1.14 | 1.16 | 0.10 | 0.04 |
70–79세 | 0.53 | 5.57 | 4.40 | 0.45 | 0.19 |
80세 이상 | 2.30 | 18.65 | 14.67 | 2.15 | 0.90 |
사망률(주평균, 100만 명당) | 6.75 | 0.53 | 3.69 | 13.09 | 7.42 |
0–9세 | 0.10 | 0.00 | 0.03 | 0.24 | 0.18 |
10–19세 | 0.04 | 0.00 | 0.00 | 0.11 | 0.07 |
20–29세 | 0.13 | 0.01 | 0.06 | 0.26 | 0.15 |
30–39세 | 0.25 | 0.02 | 0.20 | 0.39 | 0.40 |
40–49세 | 0.58 | 0.03 | 0.38 | 1.10 | 0.73 |
50–59세 | 1.68 | 0.15 | 1.07 | 3.02 | 1.95 |
60–69세 | 5.66 | 0.50 | 4.56 | 9.69 | 5.26 |
70–79세 | 21.59 | 2.05 | 13.96 | 38.85 | 23.78 |
80세 이상 | 97.34 | 6.83 | 43.43 | 199.93 | 108.95 |
단위=%. a)중증화율: (해당기간 확진자 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해당기간 확진자*100. b)치명률: (해당기간 확진자 중 사망자)/해당기간 확진자*100..
각 시기별 연령별 중증화율, 치명률, 사망률은 모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각 연령 집단별 유행시기에 따른 중증도 변화 수준은 일부 차이가 있었다.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에서 델타변이 우세 시기로 전환 시 중증화율의 경우 30대 이하에서는 증가, 40대부터는 감소하였으며, 치명률의 경우 60대 이하에서는 증가, 70대부터는 감소하였다. 델타변이 우세 시기에서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로 전환되면서 모든 연령집단의 중증화율과 치명률이 감소하였으며 20세 이상 성인연령층에서 상대적 감소가 가장 컸던 연령층은 30대(0.56%→0.01%, 1/61배), 가장 소폭의 감소는 80대(19.74%→2.63%, 1/8배)에서 보였다. 절대적 위험도는 80세 이상 연령대에서 17.11%p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동일 시기 치명률 또한 상대적 위험도 감소는 30대(0.045%→0.003%, 1/17배)에서 가장 컸으며, 80대(14.67→2.15%, 1/7배)에서 가장 적은 감소를 보였다. 치명률의 절대적 감소는 80세 이상에서 12.52%p 감소로 가장 큰 감소를 보였다.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는 중증화율, 치명률 모두 8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집단에서 1% 이하였으며, 오미크론 BA.5 우세 시기의 경우 중증화율은 8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집단에서, 치명률은 모든 연령대에서 1% 이하를 보였다.
사망률은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에 확진자의 폭발적 증가로 주 평균 100만 명당 13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절대적 위험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80세 이상의 경우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 주 평균 100만 명당 200명, 오미크론 BA.5 우세 시기 100만 명당 109명의 사망률을 나타냈다.
본 보고서는 국내 코로나19 첫 확진자 발생일부터 최근(2022.9.3)까지 코로나19의 중증도 추이를 분석하였다. 중증도는 코로나19 확진자의 임상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발생 현황을 시간별, 인구학적 특징으로 구분하였다.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에는 해당 기간 중증화율이 2.98%, 주간 중증화율이 최대 6.95%를 보였으며 코로나19 발생 첫해에 증감을 반복하였으나 2021년부터는 점차 일정한 모습을 보였다. 델타변이는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과 중증도가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7], 국내에서는 델타 시기 전 연령의 중증도는 중증화율 2.14%로 감소하였다. 다만, 연령별로 구분하면 중증도 증감의 차이가 있었는데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층에서는 중증도가 증가하여 중증화율은 30대 이하, 치명률은 60대 이하에서는 증가 양상을 보였다. 한편, 오미크론변이 우세 시기는 전 연령층에서 중증도의 급격한 감소를 보였는데 이는 전세계적으로 오미크론변이의 중증도가 감소한 것과 일치하는 결과이다[8,9]. 그러나 오미크론변이는 기존 변이보다 전파력이 증가하고, 면역 회피 특성이 있어 확진자 수가 델타변이 우세 시기 대비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에 일평균 30배 이상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의 규모도 증가하였다. 다만, 중증도의 감소로 확진자 증가폭 대비 낮은 수준으로 증가하였는데 위중증 환자는 1.3배, 사망자는 3.8배 증가하였다. 20세 이상 성인연령층에서 델타변이 우세 시기 대비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 중증도의 절대적 감소는 80세 이상 집단에서 가장 컸으나 상대적으로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80세 이상에서 가장 적은 감소를 보였다. 이는 오미크론변이로 인해 중증도가 감소한 현재 80세 이상 고령층에서 위중증 또는 사망환자의 발생이 집중되어 고령층 관리가 더욱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국내 코로나19 대응기간동안 코로나19 중증도 모니터링 결과는 시기별 방역전략 수립의 근거로 사용되었다. 2020년 발생 초기 중증도를 알 수 없어 모든 확진자에 대해 격리입원치료를 시행하였으나 확진자 중증도 모니터링을 통해 무증상, 경증 확진자를 구분하여 생활치료센터와 입원환자를 나누어 관리하게 되었으며, 이는 중증 환자를 적시에 치료할 수 있도록 보건의료자원을 분배시켰다. 2021년 10월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계획이 발표되면서 코로나19의 대응전략이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중증환자 발생 억제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이에 따라 코로나19로 인한 위험도 평가에 신규 위중증 환자 수가 핵심 지표로 포함되어 코로나19 전략 수립에 근거로 활용되었다. 또한 백신접종 도입 시 코로나19 감염 후 중증 진행의 예방 효과를 평가하고, SARS-CoV-2의 새로운 변이바이러스 출현 시 중증도를 평가할 때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모니터링 결과는 분석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본 보고서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코로나19 중증환자 감시체계는 보건소, 의료기관의 임상정보 보고와 신고 결과를 수집하므로 임상정보가 적시에 보고되지 않거나 사망신고가 이뤄지지 않은 사례가 제외되어 과소추정이 될 가능성이 있다. 두 번째로, 예방 접종력의 경우 예방접종 시스템에 입력된 접종력으로 구분하였으므로 예방 접종력이 잘못 기입되어 접종력이 잘못 구분된 사례를 조정할 수 없었다. 세 번째로, 본 보고서는 조율(crude rate)만 산출한 결과로 시기별 연령 등 확진자의 특성 차이를 보정하지 않았으나, 본 보고서의 목적상 여러 특성을 가진 확진자의 발생으로 전체 지역사회의 중증도를 보기 위한 목적으로 중증도 추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오미크론 유행으로 코로나19의 중증도가 감소하였으나 중증환자 중 고령층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고령층의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새로운 변이의 출현, 예방접종의 증가, 예방접종 후 시간경과에 따른 예방효과 감소, 과거 감염력이 있음에도 면역회피 특성으로 재감염 증가, 확진되지 않은 지역사회 감염자 증가 등의 조합으로 코로나19 유행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계속해서 변화되므로 지역사회의 코로나19 중증도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이에 맞는 방역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We would like to thank National Medical Center for monitoring severe and critical patients of COVID-19, and Regional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or investigation of COVID-19 deaths.
Not applicable.
None.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Conceptualization: BYR. Data curation: BYR. Formal analysis: BYR. Investigation: BYR, EJS, NYK, DHK, HJL. Methodology: BYR, SSK. Project administration: SSK. Resources: BYR, EJS, NYK, DHK, HJL, ARK. SYP, JHJ. Software: BYR. Supervision: DHK. Validation: SSK, DHK. Visualization: BYR. Writing – original draft: BYR. Writing – review & editing: SSK, DHK.
표 1. 변이 유행 시기a)에 따른 위중증 환자a)의 기본 특성(2022.9.3. 확진일 기준).
구분 | 전체 | 델타변이 우세 이전 | 델타변이 우세 | 오미크론변이 우세 | ||||||
---|---|---|---|---|---|---|---|---|---|---|
BA.1/BA.2 | BA.5 | |||||||||
합계 | 26,472 | (100.0) | 4,665 | (100.0) | 8,296 | (100.0) | 10,772 | (100.0) | 2,739 | (100.0) |
성별 | ||||||||||
남 | 15,303 | (57.8) | 2,792 | (59.8) | 4,775 | (57.6) | 6,184 | (57.4) | 1,552 | (56.7) |
여 | 11,169 | (42.2) | 1,873 | (40.2) | 3,521 | (42.4) | 4,588 | (42.6) | 1,187 | (43.3) |
연령 | ||||||||||
평균(±SD) | 69.9±15.7 | 67.7±13.7 | 66.0±15.4 | 72.7±15.8 | 74.6±15.7 | |||||
0–9세 | 103 | (0.4) | 0 | (0.0) | 6 | (0.1) | 77 | (0.7) | 20 | (0.7) |
10–19세 | 107 | (0.4) | 3 | (0.1) | 21 | (0.3) | 68 | (0.6) | 15 | (0.5) |
20–29세 | 303 | (1.1) | 44 | (0.9) | 129 | (1.6) | 108 | (1.0) | 22 | (0.8) |
30–39세 | 768 | (2.9) | 116 | (2.5) | 399 | (4.8) | 199 | (1.8) | 54 | (2.0) |
40–49세 | 1,398 | (5.3) | 298 | (6.4) | 664 | (8.0) | 356 | (3.3) | 80 | (2.9) |
50–59세 | 2,837 | (10.7) | 730 | (15.6) | 1,150 | (13.9) | 800 | (7.4) | 157 | (5.7) |
60–69세 | 5,966 | (22.5) | 1,240 | (26.6) | 2,217 | (26.7) | 2,090 | (19.4) | 419 | (15.3) |
70–79세 | 6,948 | (26.2) | 1,289 | (27.6) | 2,084 | (25.1) | 2,880 | (26.7) | 695 | (25.4) |
80세 이상 | 8,042 | (30.4) | 945 | (20.3) | 1,626 | (19.6) | 4,194 | (38.9) | 1,277 | (46.6) |
60세 이상c) | 20,956 | (79.2) | 3,474 | (74.5) | 5,927 | (71.4) | 9,164 | (85.1) | 2,391 | (87.3) |
백신 접종률 | ||||||||||
미접종 | 14,627 | (55.3) | 4,539 | (97.3) | 5,031 | (60.6) | 4,321 | (40.1) | 736 | (26.9) |
1차접종 | 1,100 | (4.2) | 118 | (2.5) | 580 | (7.0) | 347 | (3.2) | 55 | (2.0) |
2차접종 | 4,552 | (17.2) | 8 | (0.2) | 2,595 | (31.3) | 1,656 | (15.4) | 293 | (10.7) |
3차접종 | 6,193 | (23.4) | 0 | (0.0) | 90 | (1.1) | 4,448 | (41.3) | 1,655 | (60.4) |
신고지역 | ||||||||||
수도권 | 17,279 | (65.3) | 3,402 | (72.9) | 6,184 | (74.5) | 6,172 | (57.3) | 1,521 | (55.5) |
서울 | 8,118 | (30.7) | 1,876 | (40.2) | 3,348 | (40.4) | 2,348 | (21.8) | 546 | (19.9) |
경기 | 7,115 | (26.9) | 1,238 | (26.5) | 2,255 | (27.2) | 2,845 | (26.4) | 777 | (28.4) |
인천 | 2,046 | (7.7) | 288 | (6.2) | 581 | (7.0) | 979 | (9.1) | 198 | (7.2) |
비수도권 | 9,068 | (34.3) | 1,166 | (25.0) | 2,085 | (25.1) | 4,599 | (42.7) | 1,218 | (44.5) |
부산 | 1,493 | (5.6) | 156 | (3.3) | 433 | (5.2) | 738 | (6.9) | 166 | (6.1) |
대구 | 1,266 | (4.8) | 240 | (5.1) | 258 | (3.1) | 626 | (5.8) | 142 | (5.2) |
광주 | 532 | (2.0) | 65 | (1.4) | 70 | (0.8) | 305 | (2.8) | 92 | (3.4) |
대전 | 591 | (2.2) | 71 | (1.5) | 168 | (2.0) | 275 | (2.6) | 77 | (2.8) |
울산 | 440 | (1.7) | 75 | (1.6) | 99 | (1.2) | 200 | (1.9) | 66 | (2.4) |
세종 | 55 | (0.2) | 2 | (0.0) | 12 | (0.1) | 32 | (0.3) | 9 | (0.3) |
강원 | 837 | (3.2) | 99 | (2.1) | 175 | (2.1) | 455 | (4.2) | 108 | (3.9) |
충북 | 532 | (2.0) | 64 | (1.4) | 138 | (1.7) | 268 | (2.5) | 62 | (2.3) |
충남 | 903 | (3.4) | 97 | (2.1) | 226 | (2.7) | 411 | (3.8) | 169 | (6.2) |
전북 | 464 | (1.8) | 58 | (1.2) | 81 | (1.0) | 257 | (2.4) | 68 | (2.5) |
전남 | 425 | (1.6) | 42 | (0.9) | 63 | (0.8) | 248 | (2.3) | 72 | (2.6) |
경북 | 541 | (2.0) | 94 | (2.0) | 100 | (1.2) | 277 | (2.6) | 70 | (2.6) |
경남 | 850 | (3.2) | 88 | (1.9) | 235 | (2.8) | 419 | (3.9) | 108 | (3.9) |
제주 | 139 | (0.5) | 15 | (0.3) | 27 | (0.3) | 88 | (0.8) | 9 | (0.3) |
검역 | 125 | (0.5) | 97 | (2.1) | 27 | (0.3) | 1 | (0.0) | 0 | (0.0) |
단위=명(%). SD=standard deviation. a)위중증 환자: 코로나19 격리 치료 중 비침습인공호흡기, 고유량산소요법, 침습인공호흡기, 체외막산소공급, 지속적신대체요법을 적용한 환자. b)확진자 수(80세 이상): 델타변이 우세 이전 시기 187,349명(6,085명, 3.2%), 델타변이 우세 시기 500,572명(15,602명, 3.1%), 오미크론 BA.1/BA.2 우세 시기 18,457,796명(528,350명, 2.9%), 오미크론 BA.5 우세 시기 4,351,103명(153,356명, 3.5%). c)60세 이상..
표 2. 변이 유행 시기에 따른 사망자의 기본 특성(2022.9.3. 확진일 기준).
구분 | 전체 | 델타변이 우세 이전 | 델타변이 우세 | 오미크론변이 우세 | ||||||
---|---|---|---|---|---|---|---|---|---|---|
BA.1/BA.2 | BA.5 | |||||||||
합계 | 27,471 | (100.0) | 2,162 | (100.0) | 4,758 | (100.0) | 18,252 | (100.0) | 2,299 | (100.0) |
성별 | ||||||||||
남 | 13,437 | (48.9) | 1,091 | (50.5) | 2,478 | (52.1) | 8,677 | (47.5) | 1,191 | (51.8) |
여 | 14,034 | (51.1) | 1,071 | (49.5) | 2,280 | (47.9) | 9,575 | (52.5) | 1,108 | (48.2) |
연령 | ||||||||||
평균(±SD) | 79.5±12.2 | 78.4±11.4 | 77.2±12.2 | 80.2±12.2 | 79.5±12.6 | |||||
0–9세 | 31 | (0.1) | 0 | (0.0) | 3 | (0.1) | 24 | (0.1) | 4 | (0.2) |
10–19세 | 16 | (0.1) | 0 | (0.0) | 0 | (0.0) | 14 | (0.1) | 2 | (0.1) |
20–29세 | 68 | (0.2) | 5 | (0.2) | 10 | (0.2) | 47 | (0.3) | 6 | (0.3) |
30–39세 | 130 | (0.5) | 11 | (0.5) | 33 | (0.7) | 70 | (0.4) | 16 | (0.7) |
40–49세 | 376 | (1.4) | 20 | (0.9) | 78 | (1.6) | 242 | (1.3) | 36 | (1.6) |
50–59세 | 1,143 | (4.2) | 105 | (4.9) | 232 | (4.9) | 705 | (3.9) | 101 | (4.4) |
60–69세 | 3,200 | (11.6) | 284 | (13.1) | 816 | (17.2) | 1,874 | (10.3) | 226 | (9.8) |
70–79세 | 6,326 | (23.0) | 602 | (27.8) | 1,297 | (27.3) | 3,897 | (21.4) | 530 | (23.1) |
80세 이상 | 16,181 | (58.9) | 1,135 | (52.5) | 2,289 | (48.1) | 11,379 | (62.3) | 1,378 | (59.9) |
60세 이상a) | 25,707 | (93.6) | 2,021 | (93.5) | 4,402 | (92.5) | 17,150 | (94.0) | 2,134 | (92.8) |
백신 접종률 | ||||||||||
미접종 | 12,429 | (45.2) | 2,137 | (98.8) | 2,645 | (55.6) | 6,981 | (38.2) | 666 | (29.0) |
1차접종 | 1,053 | (3.8) | 22 | (1.0) | 260 | (5.5) | 721 | (4.0) | 50 | (2.2) |
2차접종 | 4,946 | (18.0) | 3 | (0.1) | 1,786 | (37.5) | 2,919 | (16.0) | 238 | (10.4) |
3차접종 | 9,043 | (32.9) | 0 | (0.0) | 67 | (1.4) | 7,631 | (41.8) | 1,345 | (58.5) |
신고지역 | ||||||||||
수도권 | 13,780 | (50.2) | 1,335 | (61.7) | 3,537 | (74.3) | 7,950 | (43.6) | 958 | (41.7) |
서울 | 5,344 | (19.5) | 554 | (25.6) | 1,714 | (36.0) | 2,708 | (14.8) | 368 | (16.0) |
경기 | 6,940 | (25.3) | 713 | (33.0) | 1,539 | (32.3) | 4,169 | (22.8) | 519 | (22.6) |
인천 | 1,496 | (5.4) | 68 | (3.1) | 284 | (6.0) | 1,073 | (5.9) | 71 | (3.1) |
비수도권 | 13,675 | (49.8) | 815 | (37.7) | 1,217 | (25.6) | 10,302 | (56.4) | 1,341 | (58.3) |
부산 | 2,403 | (8.7) | 130 | (6.0) | 244 | (5.1) | 1,872 | (10.3) | 157 | (6.8) |
대구 | 1,569 | (5.7) | 222 | (10.3) | 166 | (3.5) | 1,015 | (5.6) | 166 | (7.2) |
광주 | 634 | (2.3) | 24 | (1.1) | 48 | (1.0) | 502 | (2.8) | 60 | (2.6) |
대전 | 773 | (2.8) | 34 | (1.6) | 157 | (3.3) | 531 | (2.9) | 51 | (2.2) |
울산 | 396 | (1.4) | 41 | (1.9) | 25 | (0.5) | 284 | (1.6) | 46 | (2.0) |
세종 | 43 | (0.2) | 1 | (0.0) | 3 | (0.1) | 34 | (0.2) | 5 | (0.2) |
강원 | 1,007 | (3.7) | 56 | (2.6) | 65 | (1.4) | 763 | (4.2) | 123 | (5.4) |
충북 | 827 | (3.0) | 71 | (3.3) | 54 | (1.1) | 619 | (3.4) | 83 | (3.6) |
충남 | 1,156 | (4.2) | 46 | (2.1) | 139 | (2.9) | 820 | (4.5) | 151 | (6.6) |
전북 | 962 | (3.5) | 60 | (2.8) | 64 | (1.3) | 773 | (4.2) | 65 | (2.8) |
전남 | 645 | (2.3) | 18 | (0.8) | 29 | (0.6) | 473 | (2.6) | 125 | (5.4) |
경북 | 1,598 | (5.8) | 88 | (4.1) | 114 | (2.4) | 1,267 | (6.9) | 129 | (5.6) |
경남 | 1,448 | (5.3) | 23 | (1.1) | 97 | (2.0) | 1,173 | (6.4) | 155 | (6.7) |
제주 | 214 | (0.8) | 1 | (0.0) | 12 | (0.3) | 176 | (1.0) | 25 | (1.1) |
검역 | 16 | (0.1) | 12 | (0.6) | 4 | (0.1) | 0 | (0.0) | 0 | (0.0) |
단위=명(%). SD=standard deviation. a)60세 이상..
표 3. 변이 유행 시기에 따른 중증화율 및 치명률(2022.9.3. 확진일 기준).
구분 | 전체 | 델타변이 우세 이전 | 델타변이 우세 | 오미크론변이 우세 | |
---|---|---|---|---|---|
BA.1/BA.2 우세 | BA.5 우세 | ||||
중증화율a) | 0.20 | 2.98 | 2.14 | 0.14 | 0.10 |
0–9세 | <0.01 | 0.00 | 0.02 | <0.01 | 0.01 |
10–19세 | <0.01 | 0.02 | 0.04 | <0.01 | <0.01 |
20–29세 | 0.01 | 0.15 | 0.19 | 0.01 | <0.01 |
30–39세 | 0.02 | 0.45 | 0.56 | 0.01 | 0.01 |
40-49세 | 0.05 | 1.04 | 0.97 | 0.02 | 0.02 |
50–59세 | 0.12 | 2.26 | 1.91 | 0.06 | 0.04 |
60–69세 | 0.32 | 5.31 | 3.58 | 0.19 | 0.11 |
70–79세 | 0.92 | 13.63 | 8.87 | 0.67 | 0.38 |
80세 이상 | 2.97 | 25.42 | 19.74 | 2.63 | 1.51 |
치명률a) | 0.12 | 1.15 | 0.95 | 0.10 | 0.05 |
0–9세 | <0.01 | 0.00 | 0.01 | <0.01 | <0.01 |
10–19세 | <0.01 | 0.00 | 0.00 | <0.01 | <0.01 |
20–29세 | <0.01 | 0.02 | 0.01 | <0.01 | <0.01 |
30-39세 | <0.01 | 0.04 | 0.04 | <0.01 | <0.01 |
40–49세 | 0.01 | 0.07 | 0.11 | 0.01 | 0.01 |
50–59세 | 0.04 | 0.31 | 0.36 | 0.03 | 0.02 |
60–69세 | 0.13 | 1.14 | 1.16 | 0.10 | 0.04 |
70–79세 | 0.53 | 5.57 | 4.40 | 0.45 | 0.19 |
80세 이상 | 2.30 | 18.65 | 14.67 | 2.15 | 0.90 |
사망률(주평균, 100만 명당) | 6.75 | 0.53 | 3.69 | 13.09 | 7.42 |
0–9세 | 0.10 | 0.00 | 0.03 | 0.24 | 0.18 |
10–19세 | 0.04 | 0.00 | 0.00 | 0.11 | 0.07 |
20–29세 | 0.13 | 0.01 | 0.06 | 0.26 | 0.15 |
30–39세 | 0.25 | 0.02 | 0.20 | 0.39 | 0.40 |
40–49세 | 0.58 | 0.03 | 0.38 | 1.10 | 0.73 |
50–59세 | 1.68 | 0.15 | 1.07 | 3.02 | 1.95 |
60–69세 | 5.66 | 0.50 | 4.56 | 9.69 | 5.26 |
70–79세 | 21.59 | 2.05 | 13.96 | 38.85 | 23.78 |
80세 이상 | 97.34 | 6.83 | 43.43 | 199.93 | 108.95 |
단위=%. a)중증화율: (해당기간 확진자 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해당기간 확진자*100. b)치명률: (해당기간 확진자 중 사망자)/해당기간 확진자*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