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보고

Split Viewer
ENG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2; 15(49): 2917-2924

Published online December 8, 2022

https://doi.org/10.56786/PHWR.2022.15.49.2917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오미크론 세부계통(BQ.1 및 BQ.1.1 등) 변이 바이러스의 발생 현황

김일환 , 박애경 , 노진선 , 이혁진 , 김정아 , 이채영 , 안유정 , 이지은 , 김은진 *

질병관리청 감염병진단분석국 신종병원체분석과

*Corresponding author: 김은진, Tel: +82-43-719-8140, E-mail: ekim@korea.kr

Received: November 5, 2022; Accepted: November 7, 2022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이 장기화와 함께 다양한 변이 바이러스가 지속 발생하며, 2021년 11월 출현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전 세계에서 유행하고 있다. 2022년 10월 31일 기준 오미크론 BA.5가 여전히 우세한 상황이나 전 세계적으로 오미크론 내에서 세부계통 변이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특히 BA.5 세부계통 BQ.1, BQ.1.1, BF.7, 재조합변이 XBB 등의 점유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각 변이의 중증도 증가에 대한 보고는 아직 없으나, 검출 속도 및 면역회피능 증가를 특징으로 하고 있어 향후 이 변이들 중 일부가 전 세계적으로 우점화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질병관리청은 해외 동향을 적극 모니터링하고, 국내 유입 및 발생 변이에 대한 강화된 감시를 지속 수행하고자 한다.

주요 검색어 SARS-CoV-2; COVID-19; SARS-CoV-2 변이; 오미크론 변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 되며, 다양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들이 출현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공중보건에 미치는 위험도에 따라 변이 바이러스들을 주요 변이(variant of concern, VOC), 기타 변이(variant of interest), 모니터링 변이(variant under monitoring)로 분류하고 있으며, 각 변이 바이러스들의 발생 현황 및 공중보건에 미치는 영향 등을 평가하여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다[1]. 2020년 12월 알파, 베타, 2021년 1월 감마, 2021년 5월 델타, 2021년 11월 오미크론이 순차적으로 주요 변이로 지정되었고, 2022년 11월 현재 WHO는 오미크론만을 현재 유행 중인 주요 변이(currently circulating VOC)로 지정하고, 알파, 베타, 감마, 델타는 이전에 유행한 주요 변이(Previously circulating VOC)로 별도 분류하고 있다.

오미크론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지배적인 변이로 2022년 이후 Global Initiative on Sharing All Influenza Data (GISAID)에 공유되는 바이러스의 98%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1,2]. 오미크론의 전파가 지속되며 오미크론 변이 안에서도 다양한 세부 변이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WHO는 다양한 오미크론 세부계통의 변이에서 비롯될 수 있는 공중보건학적 위험을 추적하기 위해 “모니터링 중인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Omicron subvariants under monitoring)”라는 새로운 범주를 추가하여 변이를 감시하고 있다[1]. 2022년 10월 12일 기준 모니터링 중인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에는 스파이크(Spike, S) 유전자에 R346X, K444X 또는 N460X 등의 변이를 보유한 BA.5가 있고, 이러한 BA.5에는 대표적으로 R345T가 있는 BF.7, K444T와 N440K가 있는 BQ.1 등이 있다. 또한 BA.2의 세부계통인 BA.2.75, BJ.1 및 BA.2.3.20, BA.4 세부계통인 BA.4.6, BJ.1과 BM.1.1.1의 재조합 변이인 XBB가 있다(표 1, 그림 1).

그림 1.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의 개요

표 1. 모니터링 중인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WHO, 2022.10.12)
구분Pango lineagea) (+ S 유전자 변이)오미크론 세부계통 관계최초 검출 보고
오미크론BA.5(+R346X 또는 +K444X 또는 +V445X 또는 +N450D 또는 +N460X)BA.5의 세부계통(예, BF.7, BQ.1, BQ.1.1)2022.7.2
BA.2.75BA.2의 세부계통2021.12.31
BJ.1BA.2의 세부계통(BA.2.10.1.1)2021.6.9
BA.4.6BA.4 세부계통2020.7.20
XBBBJ.1과 BM.1.1.1의 재조합2022.8.13
BA.2.3.20BA.2의 세부계통2022.8.15

a)하위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함.



2022년 10월 31일 현재, 가장 높은 우세화 가능성을 보이는 오미크론 세부계통은 BQ.1과 BQ.1.1이다. 2020년 7월 나이지리아에서 처음 확인된 BQ.1과 BQ.1.1은 BA.5 유래의 세부계통으로 BQ.1은 BA.5의 S 단백질에 2개의 추가 변이(K444T와 N440K)가 있고, BQ.1.1은 BQ.1의 S 단백질에 1개의 추가 변이(R346T)를 지니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는 10월 3주 기준 각각 4.1%, 5.6%의 높지 않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나, 미국과 영국 등에서는 약 10%대의 점유율과 함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3]. 영국보건청(UK Health Security Agency)은 BQ.1의 검출속도가 BA.5 대비 53.3% 증가한 것으로 평가하였고, BQ.1.1의 검출속도는 63.1% 증가한 것으로 평가하였다[4]. 또한 BQ.1의 중화능은 BA.4/BA.5 감염자 혈청에서 BA.4/BA.5 대비 2.8배 감소하고, BQ.1.1은 2.9배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어, 면역회피능도 다소 증가한 것으로 평가되었다[5]. 이러한 특성 때문에 유럽 질병통제예방센터(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ECDC)는 BQ.1과 BQ.1.1이 2022년 11월 중순부터 12월 초순까지 전체 코로나19 감염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2023년 초까지 8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며, 발생 동향 모니터링, 고령층에 대한 위증증 관리, 취약계층에 대한 부스터 백신 접종 등을 권고하였다. 다만, 아직까지 BQ.1과 BQ.1.1의 중증도 증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6].

국내의 경우 10월 4주 기준 BQ.1과 BQ.1.1의 해외유입 사례는 각각 4.6%, 6.0%로 확인되고 있으나, 국내감염 사례는 0.4%와 0.7%로 아직은 낮은 검출률을 보이는 상황이다(표 2) [7].

표 2. 최근 4주간 국내 변이 바이러스 검출률 현황(2022.10.31. 기준)
구분분석주차국내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 바이러스 검출률(%)a)
BA.5BF.7BQ.1BQ.1.1BA.2.75BA.2.75.2BA.2.3.20XBB.1
국내감염10월 1주96.40.90.00.01.30.30.20.0
10월 2주96.20.40.30.20.50.51.00.2
10월 3주94.61.90.20.41.40.20.50.2
10월 4주93.11.50.40.72.30.10.70.5
해외유입10월 1주73.52.60.00.07.41.02.60.3
10월 2주61.46.61.40.812.92.76.31.6
10월 3주57.66.65.211.47.91.43.80.7
10월 4주57.46.54.66.011.60.55.12.8

a)BA.5는 BF.7, BQ.1 및 BQ.1.1을 제외한 BA.5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BQ.1은 BQ.1.1을 제외한 BQ.1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BA.2.75는 BA.2.75.2를 제외한 BA.2.75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함.



2022년 5월 벨기에에서 처음 확인된 BF.7도 벨기에, 독일, 미국 등에서 점유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BA.5 유래의 세부계통으로 S 단백질에 1개의 추가 변이(R346T)를 지닌 BF.7의 점유율은 10월 3주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8.7%이었고, 벨기에 30.9%, 독일 8.2%, 미국 6.6%였다.[3]. 영국보건청은 BF.7의 검출속도가 BA.5 대비 25.9% 증가한 것으로 평가하였고[4], BF.7의 중화능은 BA.4/BA.5 감염자 혈청에서 BA.4/BA.5 대비 1.2배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5], 중증도 증가에 대한 보고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국내의 경우 10월 4주 기준 해외유입 사례에서 6.5%의 검출률을 보였으나, 국내감염 사례에서는 1.5%의 낮은 검출률을 보였다(표 2) [7].

2022년 8월 인도에서 처음 확인된 XBB는 최근 싱가폴에서 급격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BA.2 유래의 세부계통인 BJ.1과 BM.1.1.1의 재조합체인 XBB는 S 단백질에 346T, N460K, F486S 등 13개의 추가 변이를 지니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는 10월 3주 기준 2.6%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나, 싱가폴은 63.9%의 점유율로 이미 우세종화되었다[3]. 또한 XBB의 중화능은 BA.5 감염자 혈청에서 BA.5 대비 18.6배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8]. 싱가폴 보건부는 XBB 확산으로 인한 확진자 및 재감염 비율이 증가하였으나 중증도 증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보고하며 개인 위생관리, 경미한 증상의 병원 방문 자제, 최신 예방접종 유지 등을 권고하였다[9].

국내에서는 XBB.1이 10월 4주 기준 해외유입 사례에서 2.8%, 국내 감염사례에서 0.5%의 낮은 검출률을 보였다(표 2) [7].

2022년 10월 31일을 기준으로 BA.5가 여전히 우세한 상황이나 세계적으로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가 390여 개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BQ.1, BQ.1.1, BF.7, XBB 등 일부 변이는 낮은 점유율임에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들 변이의 중증도 증가에 대한 보고는 아직 없으나, 검출 속도 및 면역회피능의 증가하는 특징이 있어 향후 이들 변이 중 일부가 전 세계적으로 우점화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질병관리청은 WHO를 포함한 해외 각국의 변이 발생을 적극 모니터링하고, 국가 호흡기바이러스 통합감시를 기반으로 국내 유입 및 발생 변이에 대한 강화된 감시를 지속 수행하고자 한다.

Ethics Statement: The report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IRB no. 2020-03-01-P-A).

Funding Source: The report was funded by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no. 6331-301).

Acknowledgments: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IHK, EJK. Data curation: AKP, JSN, HJL, JAK, CL, YJA. Investigation: JAK, CL, YJA. Methodology: HJL, JER. Writing – original draft: IHK. Writing – review & editing: EJK.

  1. World Health Organization. Tracking SARS-CoV-2 variant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activities/tracking-SARS-CoV-2-variants
  2. gisaid.org [Internet]. [Munich]: Global Initiative on Sharing All Influenza;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www.gisaid.org
  3. cov-spectrum.org [Internet]. covSPECTRUM;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cov-spectrum.org/
  4. SARS-CoV-2 variants of concern and variants under investigation in England: Technical briefing 47 [Internet]. London: United Kingdom Health Security Agency;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assets.publishing.service.gov.uk/government/uploads/system/uploads/attachment_data/file/1115077/Technical-Briefing-47.pdf
  5. Qu P, Evans JP, Faraone J, et al. Distinct neutralizing antibody escape of SARS-CoV-2 Omicron subvariants BQ.1, BQ.1.1, BA.4.6, BF.7 and BA.2.75.2. BioRxiv 512891 [Preprint];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doi.org/10.1101/2022.10.19.512891
    CrossRef
  6. Spread of the SARS-CoV-2 Omicron variant sub-lineage BQ.1 in the EU/EEA [Internet]. Stockholm: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www.ecdc.europa.eu/sites/default/files/documents/Epi-update-BQ1.pdf
  7.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Press Release.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1046&cg_code=&act=view&nPage=1
  8. Cao Y, Jian F, Wang J, et al. Imprinted SARS-CoV-2 humoral immunity induces convergent Omicron RBD evolution. BioRxiv 507787 [Preprint];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doi.org/10.1101/2022.09.15.507787
    CrossRef
  9. Update on COVID-19 situation and measures to protect healthcare capacity [Internet]. Singapore: Ministry of Health;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www.moh.gov.sg/news-highlights/details/update-on-covid-19-situation-and-measures-to-protect-healthcare-capacity

Article

현장 보고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2; 15(49): 2917-2924

Published online December 8, 2022 https://doi.org/10.56786/PHWR.2022.15.49.2917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오미크론 세부계통(BQ.1 및 BQ.1.1 등) 변이 바이러스의 발생 현황

김일환, 박애경, 노진선, 이혁진, 김정아, 이채영, 안유정, 이지은, 김은진*

질병관리청 감염병진단분석국 신종병원체분석과

Received: November 5, 2022; Accepted: November 7, 2022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이 장기화와 함께 다양한 변이 바이러스가 지속 발생하며, 2021년 11월 출현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전 세계에서 유행하고 있다. 2022년 10월 31일 기준 오미크론 BA.5가 여전히 우세한 상황이나 전 세계적으로 오미크론 내에서 세부계통 변이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특히 BA.5 세부계통 BQ.1, BQ.1.1, BF.7, 재조합변이 XBB 등의 점유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각 변이의 중증도 증가에 대한 보고는 아직 없으나, 검출 속도 및 면역회피능 증가를 특징으로 하고 있어 향후 이 변이들 중 일부가 전 세계적으로 우점화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질병관리청은 해외 동향을 적극 모니터링하고, 국내 유입 및 발생 변이에 대한 강화된 감시를 지속 수행하고자 한다.

Keywords: SARS-CoV-2, COVID-19, SARS-CoV-2 변이, 오미크론 변이

몸 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 되며, 다양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들이 출현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공중보건에 미치는 위험도에 따라 변이 바이러스들을 주요 변이(variant of concern, VOC), 기타 변이(variant of interest), 모니터링 변이(variant under monitoring)로 분류하고 있으며, 각 변이 바이러스들의 발생 현황 및 공중보건에 미치는 영향 등을 평가하여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다[1]. 2020년 12월 알파, 베타, 2021년 1월 감마, 2021년 5월 델타, 2021년 11월 오미크론이 순차적으로 주요 변이로 지정되었고, 2022년 11월 현재 WHO는 오미크론만을 현재 유행 중인 주요 변이(currently circulating VOC)로 지정하고, 알파, 베타, 감마, 델타는 이전에 유행한 주요 변이(Previously circulating VOC)로 별도 분류하고 있다.

오미크론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지배적인 변이로 2022년 이후 Global Initiative on Sharing All Influenza Data (GISAID)에 공유되는 바이러스의 98%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1,2]. 오미크론의 전파가 지속되며 오미크론 변이 안에서도 다양한 세부 변이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WHO는 다양한 오미크론 세부계통의 변이에서 비롯될 수 있는 공중보건학적 위험을 추적하기 위해 “모니터링 중인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Omicron subvariants under monitoring)”라는 새로운 범주를 추가하여 변이를 감시하고 있다[1]. 2022년 10월 12일 기준 모니터링 중인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에는 스파이크(Spike, S) 유전자에 R346X, K444X 또는 N460X 등의 변이를 보유한 BA.5가 있고, 이러한 BA.5에는 대표적으로 R345T가 있는 BF.7, K444T와 N440K가 있는 BQ.1 등이 있다. 또한 BA.2의 세부계통인 BA.2.75, BJ.1 및 BA.2.3.20, BA.4 세부계통인 BA.4.6, BJ.1과 BM.1.1.1의 재조합 변이인 XBB가 있다(표 1, 그림 1).

Figure 1.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의 개요

모니터링 중인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WHO, 2022.10.12)
구분Pango lineagea) (+ S 유전자 변이)오미크론 세부계통 관계최초 검출 보고
오미크론BA.5(+R346X 또는 +K444X 또는 +V445X 또는 +N450D 또는 +N460X)BA.5의 세부계통(예, BF.7, BQ.1, BQ.1.1)2022.7.2
BA.2.75BA.2의 세부계통2021.12.31
BJ.1BA.2의 세부계통(BA.2.10.1.1)2021.6.9
BA.4.6BA.4 세부계통2020.7.20
XBBBJ.1과 BM.1.1.1의 재조합2022.8.13
BA.2.3.20BA.2의 세부계통2022.8.15

a)하위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함..



2022년 10월 31일 현재, 가장 높은 우세화 가능성을 보이는 오미크론 세부계통은 BQ.1과 BQ.1.1이다. 2020년 7월 나이지리아에서 처음 확인된 BQ.1과 BQ.1.1은 BA.5 유래의 세부계통으로 BQ.1은 BA.5의 S 단백질에 2개의 추가 변이(K444T와 N440K)가 있고, BQ.1.1은 BQ.1의 S 단백질에 1개의 추가 변이(R346T)를 지니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는 10월 3주 기준 각각 4.1%, 5.6%의 높지 않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나, 미국과 영국 등에서는 약 10%대의 점유율과 함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3]. 영국보건청(UK Health Security Agency)은 BQ.1의 검출속도가 BA.5 대비 53.3% 증가한 것으로 평가하였고, BQ.1.1의 검출속도는 63.1% 증가한 것으로 평가하였다[4]. 또한 BQ.1의 중화능은 BA.4/BA.5 감염자 혈청에서 BA.4/BA.5 대비 2.8배 감소하고, BQ.1.1은 2.9배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어, 면역회피능도 다소 증가한 것으로 평가되었다[5]. 이러한 특성 때문에 유럽 질병통제예방센터(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ECDC)는 BQ.1과 BQ.1.1이 2022년 11월 중순부터 12월 초순까지 전체 코로나19 감염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2023년 초까지 8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며, 발생 동향 모니터링, 고령층에 대한 위증증 관리, 취약계층에 대한 부스터 백신 접종 등을 권고하였다. 다만, 아직까지 BQ.1과 BQ.1.1의 중증도 증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6].

국내의 경우 10월 4주 기준 BQ.1과 BQ.1.1의 해외유입 사례는 각각 4.6%, 6.0%로 확인되고 있으나, 국내감염 사례는 0.4%와 0.7%로 아직은 낮은 검출률을 보이는 상황이다(표 2) [7].

최근 4주간 국내 변이 바이러스 검출률 현황(2022.10.31. 기준)
구분분석주차국내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 바이러스 검출률(%)a)
BA.5BF.7BQ.1BQ.1.1BA.2.75BA.2.75.2BA.2.3.20XBB.1
국내감염10월 1주96.40.90.00.01.30.30.20.0
10월 2주96.20.40.30.20.50.51.00.2
10월 3주94.61.90.20.41.40.20.50.2
10월 4주93.11.50.40.72.30.10.70.5
해외유입10월 1주73.52.60.00.07.41.02.60.3
10월 2주61.46.61.40.812.92.76.31.6
10월 3주57.66.65.211.47.91.43.80.7
10월 4주57.46.54.66.011.60.55.12.8

a)BA.5는 BF.7, BQ.1 및 BQ.1.1을 제외한 BA.5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BQ.1은 BQ.1.1을 제외한 BQ.1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BA.2.75는 BA.2.75.2를 제외한 BA.2.75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함..



2022년 5월 벨기에에서 처음 확인된 BF.7도 벨기에, 독일, 미국 등에서 점유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BA.5 유래의 세부계통으로 S 단백질에 1개의 추가 변이(R346T)를 지닌 BF.7의 점유율은 10월 3주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8.7%이었고, 벨기에 30.9%, 독일 8.2%, 미국 6.6%였다.[3]. 영국보건청은 BF.7의 검출속도가 BA.5 대비 25.9% 증가한 것으로 평가하였고[4], BF.7의 중화능은 BA.4/BA.5 감염자 혈청에서 BA.4/BA.5 대비 1.2배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5], 중증도 증가에 대한 보고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국내의 경우 10월 4주 기준 해외유입 사례에서 6.5%의 검출률을 보였으나, 국내감염 사례에서는 1.5%의 낮은 검출률을 보였다(표 2) [7].

2022년 8월 인도에서 처음 확인된 XBB는 최근 싱가폴에서 급격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BA.2 유래의 세부계통인 BJ.1과 BM.1.1.1의 재조합체인 XBB는 S 단백질에 346T, N460K, F486S 등 13개의 추가 변이를 지니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는 10월 3주 기준 2.6%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나, 싱가폴은 63.9%의 점유율로 이미 우세종화되었다[3]. 또한 XBB의 중화능은 BA.5 감염자 혈청에서 BA.5 대비 18.6배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8]. 싱가폴 보건부는 XBB 확산으로 인한 확진자 및 재감염 비율이 증가하였으나 중증도 증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보고하며 개인 위생관리, 경미한 증상의 병원 방문 자제, 최신 예방접종 유지 등을 권고하였다[9].

국내에서는 XBB.1이 10월 4주 기준 해외유입 사례에서 2.8%, 국내 감염사례에서 0.5%의 낮은 검출률을 보였다(표 2) [7].

2022년 10월 31일을 기준으로 BA.5가 여전히 우세한 상황이나 세계적으로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가 390여 개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BQ.1, BQ.1.1, BF.7, XBB 등 일부 변이는 낮은 점유율임에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들 변이의 중증도 증가에 대한 보고는 아직 없으나, 검출 속도 및 면역회피능의 증가하는 특징이 있어 향후 이들 변이 중 일부가 전 세계적으로 우점화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질병관리청은 WHO를 포함한 해외 각국의 변이 발생을 적극 모니터링하고, 국가 호흡기바이러스 통합감시를 기반으로 국내 유입 및 발생 변이에 대한 강화된 감시를 지속 수행하고자 한다.

Declarations

Ethics Statement: The report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IRB no. 2020-03-01-P-A).

Funding Source: The report was funded by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no. 6331-301).

Acknowledgments: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IHK, EJK. Data curation: AKP, JSN, HJL, JAK, CL, YJA. Investigation: JAK, CL, YJA. Methodology: HJL, JER. Writing – original draft: IHK. Writing – review & editing: EJK.

Fig 1.

Figure 1.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의 개요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2; 15: 2917-2924https://doi.org/10.56786/PHWR.2022.15.49.2917
모니터링 중인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WHO, 2022.10.12)
구분Pango lineagea) (+ S 유전자 변이)오미크론 세부계통 관계최초 검출 보고
오미크론BA.5(+R346X 또는 +K444X 또는 +V445X 또는 +N450D 또는 +N460X)BA.5의 세부계통(예, BF.7, BQ.1, BQ.1.1)2022.7.2
BA.2.75BA.2의 세부계통2021.12.31
BJ.1BA.2의 세부계통(BA.2.10.1.1)2021.6.9
BA.4.6BA.4 세부계통2020.7.20
XBBBJ.1과 BM.1.1.1의 재조합2022.8.13
BA.2.3.20BA.2의 세부계통2022.8.15

a)하위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함..


최근 4주간 국내 변이 바이러스 검출률 현황(2022.10.31. 기준)
구분분석주차국내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 바이러스 검출률(%)a)
BA.5BF.7BQ.1BQ.1.1BA.2.75BA.2.75.2BA.2.3.20XBB.1
국내감염10월 1주96.40.90.00.01.30.30.20.0
10월 2주96.20.40.30.20.50.51.00.2
10월 3주94.61.90.20.41.40.20.50.2
10월 4주93.11.50.40.72.30.10.70.5
해외유입10월 1주73.52.60.00.07.41.02.60.3
10월 2주61.46.61.40.812.92.76.31.6
10월 3주57.66.65.211.47.91.43.80.7
10월 4주57.46.54.66.011.60.55.12.8

a)BA.5는 BF.7, BQ.1 및 BQ.1.1을 제외한 BA.5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BQ.1은 BQ.1.1을 제외한 BQ.1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BA.2.75는 BA.2.75.2를 제외한 BA.2.75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함..


References

  1. World Health Organization. Tracking SARS-CoV-2 variant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activities/tracking-SARS-CoV-2-variants
  2. gisaid.org [Internet]. [Munich]: Global Initiative on Sharing All Influenza;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www.gisaid.org
  3. cov-spectrum.org [Internet]. covSPECTRUM;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cov-spectrum.org/
  4. SARS-CoV-2 variants of concern and variants under investigation in England: Technical briefing 47 [Internet]. London: United Kingdom Health Security Agency;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assets.publishing.service.gov.uk/government/uploads/system/uploads/attachment_data/file/1115077/Technical-Briefing-47.pdf
  5. Qu P, Evans JP, Faraone J, et al. Distinct neutralizing antibody escape of SARS-CoV-2 Omicron subvariants BQ.1, BQ.1.1, BA.4.6, BF.7 and BA.2.75.2. BioRxiv 512891 [Preprint];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doi.org/10.1101/2022.10.19.512891
    CrossRef
  6. Spread of the SARS-CoV-2 Omicron variant sub-lineage BQ.1 in the EU/EEA [Internet]. Stockholm: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www.ecdc.europa.eu/sites/default/files/documents/Epi-update-BQ1.pdf
  7.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Press Release.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1046&cg_code=&act=view&nPage=1
  8. Cao Y, Jian F, Wang J, et al. Imprinted SARS-CoV-2 humoral immunity induces convergent Omicron RBD evolution. BioRxiv 507787 [Preprint];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doi.org/10.1101/2022.09.15.507787
    CrossRef
  9. Update on COVID-19 situation and measures to protect healthcare capacity [Internet]. Singapore: Ministry of Health;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www.moh.gov.sg/news-highlights/details/update-on-covid-19-situation-and-measures-to-protect-healthcare-capacity
PHWR
Dec 05, 2024 Vol.17 No.47
pp. 2019~2075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