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2; 15(41): 2695-2703
Published online October 13, 2022
https://doi.org/10.56786/PHWR.2022.15.41.2695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박한울, 박충민, 황명재, 최성주, 손태종*
질병관리청 경북권질병대응센터 감염병대응과
*Corresponding author: 손태종, Tel: +82-53-550-0620, E-mail: sontaejong@korea.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021년 11월 30일 국내에서 빠른 전파 속도, 백신에 대한 면역 회피 가능성의 특성을 갖는 오미크론 변이 첫 번째 사례가 확인되었으며, 최근 국외에서는 오미크론 변이를 BA.1.1, BA.2, BA.3, BA.4, BA.5 등으로 계통별 세부 분류하여 보고하였다. 우리는 2022년 4월 24일부터 6월 27일까지 약 2개월간 경북권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 바이러스(BA.2.12.1, BA.4, BA.5) 확정 사례(지표환자) 82명 및 동거인(가족접촉자) 156명을 대상으로 2차 발병률 및 백신전파예방효과를 확인하였다. 우리의 연구에서 세부 계통별 2차 발병률은 BA.4 (42.86%), BA.2.12.1 (41.18%), BA.5 (37.36%) 순으로 높았다. BA.5 변이에서 2차 발병률은 미접종군(45.45%), 2차 접종(33.33%), 3차 접종(35.94%) 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비교위험도 분석 시 미접종군 대비 2차 접종군은 30%, 3차 접종군은 37%의 전파예방효과를 확인하였다. 우리의 연구는 경북권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 변이 바이러스 확정 사례의 동거가족에 대한 2차 발병률 및 전파에 대한 백신효과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오미크론 변이, 2차 발병률, 백신전파예방효과
오미크론 변이의 세부 계통은 BA.1.1, BA.2, BA.3, BA.4, BA.5 등으로 분류되어 보고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신종 변이가 지속 출현 중이다.
경북권(대구광역시/경상북도)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별 2차 발병률은 BA.2.12.1 41.18%, BA.4 42.86%, BA.5 37.36%였다.
2022년 4월 24일부터 6월 27일까지 경북권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 변이 바이러스 확정 사례의 2차 발병률과 백신전파 예방효과를 가족접촉자를 대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최근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는 BA.1.1, BA.2, BA.3, BA.4, BA.5 등으로 분류되어 보고되었으며,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의 특징은 빠른 전파 속도, 면역 회피 가능성 등이다[1]. 국내에서는 2021년 11월 30일 첫 오미크론 변이 사례가 확인되었다[2]. 2022년 1월 3일 기준으로 국내 인구의 백신 접종률은 83.0%였으나, 오미크론 변이 출현 약 2개월 만에 국내 우세종 바이러스는 델타 변이에서 오미크론 변이로 전환되었다[3]. 백신 접종으로 인한 오미크론 변이의 감염예방 효과는 델타 변이에 비해서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국내 오미크론 유행 양상에서도 확인되었다[4].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변이의 빠른 확산에 따른 확진자 증가와 유행 장기화로 인하여 오미크론의 세부 계통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오미크론 세부 계통 변이의 위험도를 신속하게 평가하여 추가 전파를 최소화하고 지역사회 변이 대비 및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19) 확진자의 동거가족은 바이러스 전파의 취약집단으로, 동거가족에 대한 2차 발병률은 지역사회 전파 정도의 중요한 지표이다. 또한, 유럽의 연구는 신종 변이바이러스 출현 시 전파력을 추정하기 위하여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효과(Vaccine effectiveness against infection, VE) 및 백신전파예방효과(Vaccine effectiveness against transmission, VET)를 추정하고 정량화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5].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경북권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 변이바이러스 확정 사례의 동거가족에 대한 2차 발병률 및 백신전파예방효과를 확인하였다.
2022년 4월 24일부터 6월 27일까지 약 2개월간 확인된 경북권(대구광역시/경상북도)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 바이러스 확정 사례 130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확정 사례 130명 중 동거인이 없거나 확인 불가한 사례를 제외하였으며, 이에 따라 최종 분석 대상은 확정 사례 82명 및 동거인 156명이었다. 오미크론 세부 계통 바이러스 확정 사례의 정의는 코로나19 확진 후 실험실 검사에서 BA2.12.1, BA.4, BA.5가 확인된 사례였다. 확정 사례 동거인 접촉자의 정의는 오미크론 세부 계통 바이러스 확정 사례와 가정 내에서 동거하는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그 중 확진된 자는 추정전파 기간 동안 확정 사례와의 접촉 외에 다른 감염원이 확인되지 않은 사례였다. 조사 기간은 확정 사례 및 동거인 접촉자의 확진일 전‧후 2주를 포함하여 추적 조사하였다. 확정 사례는 지표환자로 동거인은 가족접촉자로 표기하였다.
분석 자료원은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에서 역학조사 정보를 활용하여 성별, 연령, 확진일, 진단 시 증상, 추정감염경로, 백신접종력을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범주형 변수로 표시하였으며, 2차 발병률은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확정 사례의 접촉자 중 확진자를 확인 후 추정하였다. 백신전파예방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상대적 위험도를 추정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 모델에서 지표환자의 성별, 연령, 추정감염경로, 임상경과를 보정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Jamovi software (ver. 1.6.23; Jamovi, Sydney, Australia)를 사용하였으며, 95% confidence interval (95% CI)값을 표시하였다.
전체 대상자 중 지표환자의 가족접촉자의 수는 BA.5 (91명), BA.2.12.1 (51명), BA.4 (14명) 순으로 많았다. 지표환자의 연령 범주에서 BA.2.12.1은 20–39세가 39.13% (9/23)로 가장 높았으며, BA.4와 BA.5는 40–59세가 각각 37.50% (3/8), 41.18% (21/51)로 가장 높았다. 모든 변이 확정사례의 국내 및 해외 추정감염경로는 국내감염보다 해외유입이 많았다. 예방접종력에서 지표환자의 미접종 또는 1차 접종자의 비율은 BA.2.12.1 (39.13%), BA.4 (25.00%), BA.5 (15.69%) 순이었으며, 가족접촉자에서는 BA.2.12.1 (39.22%), BA.4 (21.43%), BA.5 (16.48%) 순이었다. 임상경과 항목에서 BA.5는 지표환자 진단 시 무증상자가 80.39%로 가장 높았다(표 1).
Table 1 . 오미크론 세부 계통 바이러스 확정 사례(지표환자)의 특성에 따른 가족접촉자 접촉자 현황
구분 | BA.2.12.1 | BA.4 | BA.5 | |||
---|---|---|---|---|---|---|
지표환자 | 가족접촉자 | 지표환자 | 가족접촉자 | 지표환자 | 가족접촉자 | |
전체 | 23 (100) | 51 (100) | 8 (100) | 14 (100) | 51 (100) | 91 (100) |
성별 | ||||||
남 | 11 (47.83) | 27 (52.94) | 4 (50.00) | 9 (64.29) | 25 (49.02) | 44 (48.35) |
여 | 12 (52.17) | 24 (47.06) | 4 (50.00) | 5 (35.71) | 26 (50.98) | 47 (51.65) |
연령(세) | ||||||
≤19 | 3 (13.04) | 7 (13.73) | 2 (25.00) | 4 (28.57) | 2 (3.92) | 5 (5.49) |
20–39 | 9 (39.13) | 17 (33.33) | 2 (25.00) | 4 (28.57) | 19 (37.25) | 31 (34.07) |
40–59 | 7 (30.43) | 18 (35.29) | 3 (37.50) | 5 (35.71) | 21 (41.18) | 41 (45.05) |
60–74 | 3 (13.04) | 8 (15.69) | 1 (12.50) | 1 (7.14) | 7 (13.73) | 12 (13.19) |
≥75 | 1 (4.35) | 1 (1.69) | 0 (0.00) | 0 (0.00) | 2 (3.92) | 2 (2.20) |
추정감염경로 | ||||||
해외유입 | 15 (65.22) | 34 (66.67) | 7 (87.50) | 12 (85.71) | 33 (64.71) | 63 (69.23) |
국내감염 | 8 (34.78) | 17 (33.33) | 1 (12.50) | 2 (14.29) | 18 (35.29) | 28 (30.77) |
예방접종력 | ||||||
미접종 또는 1차 | 9 (39.13) | 20 (39.22) | 2 (25.00) | 3 (21.43) | 8 (15.69) | 15 (16.48) |
2차 접종 | 3 (13.04) | 6 (11.76) | 2 (25.00) | 5 (35.71) | 7 (13.73) | 12 (13.19) |
3차 접종 | 11 (47.83) | 25 (49.02) | 4 (50.00) | 6 (42.86) | 36 (70.59) | 63 (69.23) |
임상경과 | ||||||
진단 시 무증상 | 11 (47.83) | 29 (56.86) | 4 (50.00) | 8 (57.14) | 41 (80.39) | 76 (83.52) |
진단 시 유증상 | 12 (52.17) | 22 (43.14) | 4 (50.00) | 6 (42.86) | 10 (19.61) | 15 (16.48) |
단위=명(%).
각 변이별 지표환자의 일반적 및 역학적 특성에 따라 가족접촉자의 2차 발병률을 추정하였다. BA.4 (42.86%), BA.2.12.1 (41.18%), BA.5 (37.36%)의 2차 발병률을 확인하였다. 지표환자의 성별에 따라 확인한 결과 BA.2.12.1의 2차 발병률은 여자 62.50%, BA.4 및 BA.5는 남자 44.44%, 40.91%로 각각 높았다. 연령에서 19세 이하의 2차 발병률이 높게 나타났는데, BA.2.12.1 (85.71%), BA.5 (80.00%), BA.4 (50.00%) 순이었다. 국내 감염된 지표환자의 2차 발병은 해외유입 그룹 보다 모든 변이 그룹에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예방접종력에서 지표환자의 미접종 또는 1차 접종자의 2차 발병률은 BA.5 (46.67%), BA.2.12.1 (40.00%), BA.4 (33.33%) 순이었으며, 임상경과 항목에서 BA.2.12.1 변이와 BA.5 변이는 진단 시 무증상자의 그룹에서 2차 발병률이 각각 41.38%, 40.79%로 높았다(표 2).
Table 2 . 경북권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 바이러스 확정 사례의 특성에 따른 가족접촉자 2차 발병률
구분 | BA.2.12.1 | BA.4 | BA.5 | ||||||
---|---|---|---|---|---|---|---|---|---|
전체 | 양성 | 2차 발병률 | 전체 | 양성 | 2차 발병률 | 전체 | 양성 | 2차 발병률 | |
지표환자 전체 | 51 | 21 | 41.18 | 14 | 6 | 42.86 | 91 | 34 | 37.36 |
성별 | |||||||||
남 | 27 | 6 | 22.22 | 9 | 4 | 44.44 | 44 | 18 | 40.91 |
여 | 24 | 15 | 62.50 | 5 | 2 | 40.00 | 47 | 16 | 34.04 |
연령(세) | |||||||||
≤19 | 7 | 6 | 85.71 | 4 | 2 | 50.00 | 5 | 4 | 80.00 |
20–39 | 17 | 8 | 47.06 | 4 | 1 | 25.00 | 31 | 8 | 25.81 |
40–59 | 18 | 2 | 11.11 | 5 | 3 | 60.00 | 41 | 16 | 39.02 |
60–74 | 8 | 4 | 50.00 | 1 | 0 | 0.00 | 12 | 4 | 33.33 |
≥75 | 1 | 1 | 100.00 | 0 | 0 | - | 2 | 2 | 100.00 |
추정감염경로 | |||||||||
해외유입 | 34 | 9 | 26.47 | 12 | 5 | 41.67 | 63 | 20 | 31.75 |
국내감염 | 17 | 12 | 70.59 | 2 | 1 | 50.00 | 28 | 14 | 50.00 |
예방접종력 | |||||||||
미접종 또는 1차 | 20 | 8 | 40.00 | 3 | 1 | 33.33 | 15 | 7 | 46.67 |
2차 접종 | 6 | 4 | 66.67 | 5 | 2 | 40.00 | 12 | 4 | 33.33 |
3차 접종 | 25 | 9 | 36.00 | 6 | 3 | 50.00 | 64 | 23 | 35.94 |
임상경과 | |||||||||
진단 시 무증상 | 29 | 12 | 41.38 | 8 | 3 | 37.50 | 76 | 31 | 40.79 |
진단 시 유증상 | 22 | 9 | 40.91 | 6 | 3 | 50.00 | 15 | 3 | 20.00 |
단위=명, %.
지표환자의 예방접종력에 따라 2차 발병률을 비교하여, 백신전파예방효과를 추정 및 평가하였다. 모든 세부 계통의 변이 대상자를 분석에 포함하였을 때, 미접종 지표환자의 2차 발병률은 41.18%, 2차접종은 43.48%, 3차 접종은 36.84%였으며, 상대위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BA.2.12.1의 2차 발병률은 미접종 40.00%, 2차 접종 66.67%, 3차 접종 36.00%였으며, 상대위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BA.5의 2차 발병률은 미접종 45.45%, 2차 접종 33.33%, 3차 접종 35.94%였으며 보정된 상대적 위험도는 2차 접종 30%, 3차접종 37%의 전파 감소를 확인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표 3).
Table 3 . 경북권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 바이러스 지표환자의 가족접촉자에 대한 백신전파예방효과 평가
지표환자 | 전체 | BA.2.12.1 | BA.5 | ||||||
---|---|---|---|---|---|---|---|---|---|
SAR | cRR | aRRa) | SAR | cRR | aRRa) | SAR | cRR | aRRa) | |
예방접종력 | |||||||||
미접종 | 41.18 | 1.00 (ref) | 1.00 (ref) | 40.00 | 1.00 (ref) | 1.00 (ref) | 45.45 | 1.00 (ref) | 1.00 (ref) |
2차 접종 | 43.48 | 1.10 | 1.42 | 66.67 | 3.00 | 5.22 | 33.33 | 0.60 | 0.70 |
3차 접종 | 36.84 | 0.83 | 1.03 | 36.00 | 0.84 | 1.22 | 35.94 | 0.67 | 0.63 |
SAR (%)=Secondary Attack Rate; cRR=Crude Relative Risk; aRR=Adjusted Relative Risk; ref=Reference group. a)지표환자 성별, 연령, 추정감염경로, 임상경과 보정(가족접촉자 특성은 보정되지 않음).
우리는 2022년 4월 24일부터 6월 27일까지 약 2개월간 경북권(대구광역시/경상북도)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 바이러스 확정 사례(지표환자) 82명 및 동거인(가족접촉자) 156명을 대상으로 2차 발병률 및 백신전파예방효과를 확인하였다. 우리의 연구에서 세부 계통별 2차 발병률은 BA.4 (42.86%), BA.2.12.1 (41.18%), BA.5 (37.36%) 순으로 높았다. 기존의 오미크론 변이와 세부 계통 변이 바이러스들의 특징을 연구한 이전의 연구는 BA.2가 BA.1 및 BA.1.1에 비하여 전파력과 중증화가 주요하게 증가했다고 보고하였으며, BA.2.12.1, BA.4, BA.5는 BA.2보다 전파력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위 연구에서 BA.4와 BA.5는 BA.1의 감염으로부터 얻어지는 면역을 우회하는 특성이 있어 재감염 위험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
지표환자의 연령에서 BA.2.12.1과 BA.5는 19세 미만 그룹에서 가장 높은 2차 발병률을 보였다. 2차 발병률을 조사한 이전의 연구는 아이보다 어른의 2차 발병률이 약 2.2배 높다고 보고하였으며[6], 우리 결과와는 상반되었다. 가정 내 19세 미만 연령군은 부모님의 돌봄이 가장 필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다른 연령 군과 비교하여 2차 전파 가능성이 높았을 수 있다. 또한, 19세 미만 지표환자 7명 중 5명이 무증상으로 가정 내 철저한 방역 수칙 준수 및 감염관리가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추정감염경로는 해외유입 사례보다 국내 감염자들의 2차 발병률이 모든 세부 계통 변이에서 높았다. 해외유입 사례는 국내 우세화된 변이 바이러스에 비하여 국외에서 유행 중인 신종 변이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우리의 연구에서 변이 확정 사례는 국내 감염 사례보다 해외 유입사례에서 약 1.8–7배까지 많았다. 그러나, 해외 유입 사례는 입국 후 신속한 검사, 격리, 방역 수칙 준수에 대한 안내를 받기 때문에 2차 전파의 가능성이 국내 유입 사례보다 낮을 수 있다. 확정 사례의 진단 시 BA.2.12.1은 무증상과 유증상 사례의 2차 발병률이 각각 41.38%, 40.91%로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BA.5는 무증상 확정사례의 2차 발병률이 유증상 사례보다 약 2배(무증상: 40.79%, 유증상: 20.00%) 높았다. 각 변이에 따른 증상별 2차 발병률을 위 사례만으로 평가하기 어려우며, 지속 추적관찰 후 가정 내 환경, 개인 방역 수칙 준수 등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논의 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오미크론 세부 계통 변이 확정 사례의 백신전파예방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체사례, BA.2.12.1, BA.5의 예방접종력에 따른 2차 발병률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전체사례 및 BA2.12.1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을 때, 2차 발병률은 2차 접종군, 미접종군, 3차 접종군 순으로 높았으며, 이전의 연구에서 미접종 오미크론 변이 확정 사례의 2차 발병률은 약 57%로[7], 미접종 사례의 2차 발병률은 2차 접종자 및 3차 접종자보다 높다고 보고되었다[8]. 추후 백신 접종 후 면역력이 감소하는 기간, 재감염을 통한 면역력 향상 등의 변수들을 고려하여 후속 평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BA.5 변이에서 2차 발병률은 미접종군 45.45%, 2차 접종 33.33%, 3차 접종 35.94%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비교위험도 분석 시 미접종군 대비 2차 접종군은 30%, 3차접종군은 37%의 전파예방효과를 확인하였다. 다른 변이에 비하여 확정사례와 가족접촉자의 대상자 수 확보됨에 따라, 백신접종력에 따른 2차 발병률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델타 변이를 대상으로 진행한 노르웨이의 연구는 미접종 환자 대비 2차 접종자의 백신전파예방효과는 37%로 보고하였으나[7], 각 신종 변이별 백신전파예방효과를 평가하는 것은 코로나19 유행 초기와 비교하여 정책변화에 따라 접촉자에 대한 정보 수집 및 조사가 축소됨에 따라 연구의 제한점이 상존하였다. 향후 백신전파예방효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전체 대상자의 백신 접종 후 기간, 백신 종류, 재감염 여부, 접촉자의 인구학적 및 역학적 특성 등을 보정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갖고 있다. 첫 번째, 본 연구는 코로나19 최대잠복기를 고려하여 지표환자 확진 후 2주 이상 추적 조사한 결과로서 2차 발병률에 대한 정확도가 높으나, 백신전파예방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동거인의 일반적 및 역학적 특성은 보정하지 못하였다. 두 번째, 본 연구에 포함된 대상은 경북권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국내 신종 변이의 특성을 일반화 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None.
Not applicable.
None.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Conceptualization: HP, MJH, CP. Data curation: MJH. Formal analysis: HP, MJH. Investigation: HP, MJH, CP. Methodology: HP, MJH, CP. Project administration: HP. Resources: HP, MJH, CP. Supervision: TJS. Validation: HP, MJH, CP, SJC, TJS. Writing–original draft: HP. Writing–review & editing: HP, MJH, CP, SJC, TJS.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2; 15(41): 2695-2703
Published online October 13, 2022 https://doi.org/10.56786/PHWR.2022.15.41.2695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박한울, 박충민, 황명재, 최성주, 손태종*
질병관리청 경북권질병대응센터 감염병대응과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021년 11월 30일 국내에서 빠른 전파 속도, 백신에 대한 면역 회피 가능성의 특성을 갖는 오미크론 변이 첫 번째 사례가 확인되었으며, 최근 국외에서는 오미크론 변이를 BA.1.1, BA.2, BA.3, BA.4, BA.5 등으로 계통별 세부 분류하여 보고하였다. 우리는 2022년 4월 24일부터 6월 27일까지 약 2개월간 경북권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 바이러스(BA.2.12.1, BA.4, BA.5) 확정 사례(지표환자) 82명 및 동거인(가족접촉자) 156명을 대상으로 2차 발병률 및 백신전파예방효과를 확인하였다. 우리의 연구에서 세부 계통별 2차 발병률은 BA.4 (42.86%), BA.2.12.1 (41.18%), BA.5 (37.36%) 순으로 높았다. BA.5 변이에서 2차 발병률은 미접종군(45.45%), 2차 접종(33.33%), 3차 접종(35.94%) 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비교위험도 분석 시 미접종군 대비 2차 접종군은 30%, 3차 접종군은 37%의 전파예방효과를 확인하였다. 우리의 연구는 경북권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 변이 바이러스 확정 사례의 동거가족에 대한 2차 발병률 및 전파에 대한 백신효과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오미크론 변이, 2차 발병률, 백신전파예방효과
오미크론 변이의 세부 계통은 BA.1.1, BA.2, BA.3, BA.4, BA.5 등으로 분류되어 보고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신종 변이가 지속 출현 중이다.
경북권(대구광역시/경상북도)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별 2차 발병률은 BA.2.12.1 41.18%, BA.4 42.86%, BA.5 37.36%였다.
2022년 4월 24일부터 6월 27일까지 경북권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 변이 바이러스 확정 사례의 2차 발병률과 백신전파 예방효과를 가족접촉자를 대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최근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는 BA.1.1, BA.2, BA.3, BA.4, BA.5 등으로 분류되어 보고되었으며,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의 특징은 빠른 전파 속도, 면역 회피 가능성 등이다[1]. 국내에서는 2021년 11월 30일 첫 오미크론 변이 사례가 확인되었다[2]. 2022년 1월 3일 기준으로 국내 인구의 백신 접종률은 83.0%였으나, 오미크론 변이 출현 약 2개월 만에 국내 우세종 바이러스는 델타 변이에서 오미크론 변이로 전환되었다[3]. 백신 접종으로 인한 오미크론 변이의 감염예방 효과는 델타 변이에 비해서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국내 오미크론 유행 양상에서도 확인되었다[4].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변이의 빠른 확산에 따른 확진자 증가와 유행 장기화로 인하여 오미크론의 세부 계통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오미크론 세부 계통 변이의 위험도를 신속하게 평가하여 추가 전파를 최소화하고 지역사회 변이 대비 및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19) 확진자의 동거가족은 바이러스 전파의 취약집단으로, 동거가족에 대한 2차 발병률은 지역사회 전파 정도의 중요한 지표이다. 또한, 유럽의 연구는 신종 변이바이러스 출현 시 전파력을 추정하기 위하여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효과(Vaccine effectiveness against infection, VE) 및 백신전파예방효과(Vaccine effectiveness against transmission, VET)를 추정하고 정량화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5].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경북권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 변이바이러스 확정 사례의 동거가족에 대한 2차 발병률 및 백신전파예방효과를 확인하였다.
2022년 4월 24일부터 6월 27일까지 약 2개월간 확인된 경북권(대구광역시/경상북도)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 바이러스 확정 사례 130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확정 사례 130명 중 동거인이 없거나 확인 불가한 사례를 제외하였으며, 이에 따라 최종 분석 대상은 확정 사례 82명 및 동거인 156명이었다. 오미크론 세부 계통 바이러스 확정 사례의 정의는 코로나19 확진 후 실험실 검사에서 BA2.12.1, BA.4, BA.5가 확인된 사례였다. 확정 사례 동거인 접촉자의 정의는 오미크론 세부 계통 바이러스 확정 사례와 가정 내에서 동거하는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그 중 확진된 자는 추정전파 기간 동안 확정 사례와의 접촉 외에 다른 감염원이 확인되지 않은 사례였다. 조사 기간은 확정 사례 및 동거인 접촉자의 확진일 전‧후 2주를 포함하여 추적 조사하였다. 확정 사례는 지표환자로 동거인은 가족접촉자로 표기하였다.
분석 자료원은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에서 역학조사 정보를 활용하여 성별, 연령, 확진일, 진단 시 증상, 추정감염경로, 백신접종력을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범주형 변수로 표시하였으며, 2차 발병률은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확정 사례의 접촉자 중 확진자를 확인 후 추정하였다. 백신전파예방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상대적 위험도를 추정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 모델에서 지표환자의 성별, 연령, 추정감염경로, 임상경과를 보정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Jamovi software (ver. 1.6.23; Jamovi, Sydney, Australia)를 사용하였으며, 95% confidence interval (95% CI)값을 표시하였다.
전체 대상자 중 지표환자의 가족접촉자의 수는 BA.5 (91명), BA.2.12.1 (51명), BA.4 (14명) 순으로 많았다. 지표환자의 연령 범주에서 BA.2.12.1은 20–39세가 39.13% (9/23)로 가장 높았으며, BA.4와 BA.5는 40–59세가 각각 37.50% (3/8), 41.18% (21/51)로 가장 높았다. 모든 변이 확정사례의 국내 및 해외 추정감염경로는 국내감염보다 해외유입이 많았다. 예방접종력에서 지표환자의 미접종 또는 1차 접종자의 비율은 BA.2.12.1 (39.13%), BA.4 (25.00%), BA.5 (15.69%) 순이었으며, 가족접촉자에서는 BA.2.12.1 (39.22%), BA.4 (21.43%), BA.5 (16.48%) 순이었다. 임상경과 항목에서 BA.5는 지표환자 진단 시 무증상자가 80.39%로 가장 높았다(표 1).
Table 1 . 오미크론 세부 계통 바이러스 확정 사례(지표환자)의 특성에 따른 가족접촉자 접촉자 현황.
구분 | BA.2.12.1 | BA.4 | BA.5 | |||
---|---|---|---|---|---|---|
지표환자 | 가족접촉자 | 지표환자 | 가족접촉자 | 지표환자 | 가족접촉자 | |
전체 | 23 (100) | 51 (100) | 8 (100) | 14 (100) | 51 (100) | 91 (100) |
성별 | ||||||
남 | 11 (47.83) | 27 (52.94) | 4 (50.00) | 9 (64.29) | 25 (49.02) | 44 (48.35) |
여 | 12 (52.17) | 24 (47.06) | 4 (50.00) | 5 (35.71) | 26 (50.98) | 47 (51.65) |
연령(세) | ||||||
≤19 | 3 (13.04) | 7 (13.73) | 2 (25.00) | 4 (28.57) | 2 (3.92) | 5 (5.49) |
20–39 | 9 (39.13) | 17 (33.33) | 2 (25.00) | 4 (28.57) | 19 (37.25) | 31 (34.07) |
40–59 | 7 (30.43) | 18 (35.29) | 3 (37.50) | 5 (35.71) | 21 (41.18) | 41 (45.05) |
60–74 | 3 (13.04) | 8 (15.69) | 1 (12.50) | 1 (7.14) | 7 (13.73) | 12 (13.19) |
≥75 | 1 (4.35) | 1 (1.69) | 0 (0.00) | 0 (0.00) | 2 (3.92) | 2 (2.20) |
추정감염경로 | ||||||
해외유입 | 15 (65.22) | 34 (66.67) | 7 (87.50) | 12 (85.71) | 33 (64.71) | 63 (69.23) |
국내감염 | 8 (34.78) | 17 (33.33) | 1 (12.50) | 2 (14.29) | 18 (35.29) | 28 (30.77) |
예방접종력 | ||||||
미접종 또는 1차 | 9 (39.13) | 20 (39.22) | 2 (25.00) | 3 (21.43) | 8 (15.69) | 15 (16.48) |
2차 접종 | 3 (13.04) | 6 (11.76) | 2 (25.00) | 5 (35.71) | 7 (13.73) | 12 (13.19) |
3차 접종 | 11 (47.83) | 25 (49.02) | 4 (50.00) | 6 (42.86) | 36 (70.59) | 63 (69.23) |
임상경과 | ||||||
진단 시 무증상 | 11 (47.83) | 29 (56.86) | 4 (50.00) | 8 (57.14) | 41 (80.39) | 76 (83.52) |
진단 시 유증상 | 12 (52.17) | 22 (43.14) | 4 (50.00) | 6 (42.86) | 10 (19.61) | 15 (16.48) |
단위=명(%)..
각 변이별 지표환자의 일반적 및 역학적 특성에 따라 가족접촉자의 2차 발병률을 추정하였다. BA.4 (42.86%), BA.2.12.1 (41.18%), BA.5 (37.36%)의 2차 발병률을 확인하였다. 지표환자의 성별에 따라 확인한 결과 BA.2.12.1의 2차 발병률은 여자 62.50%, BA.4 및 BA.5는 남자 44.44%, 40.91%로 각각 높았다. 연령에서 19세 이하의 2차 발병률이 높게 나타났는데, BA.2.12.1 (85.71%), BA.5 (80.00%), BA.4 (50.00%) 순이었다. 국내 감염된 지표환자의 2차 발병은 해외유입 그룹 보다 모든 변이 그룹에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예방접종력에서 지표환자의 미접종 또는 1차 접종자의 2차 발병률은 BA.5 (46.67%), BA.2.12.1 (40.00%), BA.4 (33.33%) 순이었으며, 임상경과 항목에서 BA.2.12.1 변이와 BA.5 변이는 진단 시 무증상자의 그룹에서 2차 발병률이 각각 41.38%, 40.79%로 높았다(표 2).
Table 2 . 경북권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 바이러스 확정 사례의 특성에 따른 가족접촉자 2차 발병률.
구분 | BA.2.12.1 | BA.4 | BA.5 | ||||||
---|---|---|---|---|---|---|---|---|---|
전체 | 양성 | 2차 발병률 | 전체 | 양성 | 2차 발병률 | 전체 | 양성 | 2차 발병률 | |
지표환자 전체 | 51 | 21 | 41.18 | 14 | 6 | 42.86 | 91 | 34 | 37.36 |
성별 | |||||||||
남 | 27 | 6 | 22.22 | 9 | 4 | 44.44 | 44 | 18 | 40.91 |
여 | 24 | 15 | 62.50 | 5 | 2 | 40.00 | 47 | 16 | 34.04 |
연령(세) | |||||||||
≤19 | 7 | 6 | 85.71 | 4 | 2 | 50.00 | 5 | 4 | 80.00 |
20–39 | 17 | 8 | 47.06 | 4 | 1 | 25.00 | 31 | 8 | 25.81 |
40–59 | 18 | 2 | 11.11 | 5 | 3 | 60.00 | 41 | 16 | 39.02 |
60–74 | 8 | 4 | 50.00 | 1 | 0 | 0.00 | 12 | 4 | 33.33 |
≥75 | 1 | 1 | 100.00 | 0 | 0 | - | 2 | 2 | 100.00 |
추정감염경로 | |||||||||
해외유입 | 34 | 9 | 26.47 | 12 | 5 | 41.67 | 63 | 20 | 31.75 |
국내감염 | 17 | 12 | 70.59 | 2 | 1 | 50.00 | 28 | 14 | 50.00 |
예방접종력 | |||||||||
미접종 또는 1차 | 20 | 8 | 40.00 | 3 | 1 | 33.33 | 15 | 7 | 46.67 |
2차 접종 | 6 | 4 | 66.67 | 5 | 2 | 40.00 | 12 | 4 | 33.33 |
3차 접종 | 25 | 9 | 36.00 | 6 | 3 | 50.00 | 64 | 23 | 35.94 |
임상경과 | |||||||||
진단 시 무증상 | 29 | 12 | 41.38 | 8 | 3 | 37.50 | 76 | 31 | 40.79 |
진단 시 유증상 | 22 | 9 | 40.91 | 6 | 3 | 50.00 | 15 | 3 | 20.00 |
단위=명, %..
지표환자의 예방접종력에 따라 2차 발병률을 비교하여, 백신전파예방효과를 추정 및 평가하였다. 모든 세부 계통의 변이 대상자를 분석에 포함하였을 때, 미접종 지표환자의 2차 발병률은 41.18%, 2차접종은 43.48%, 3차 접종은 36.84%였으며, 상대위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BA.2.12.1의 2차 발병률은 미접종 40.00%, 2차 접종 66.67%, 3차 접종 36.00%였으며, 상대위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BA.5의 2차 발병률은 미접종 45.45%, 2차 접종 33.33%, 3차 접종 35.94%였으며 보정된 상대적 위험도는 2차 접종 30%, 3차접종 37%의 전파 감소를 확인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표 3).
Table 3 . 경북권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 바이러스 지표환자의 가족접촉자에 대한 백신전파예방효과 평가.
지표환자 | 전체 | BA.2.12.1 | BA.5 | ||||||
---|---|---|---|---|---|---|---|---|---|
SAR | cRR | aRRa) | SAR | cRR | aRRa) | SAR | cRR | aRRa) | |
예방접종력 | |||||||||
미접종 | 41.18 | 1.00 (ref) | 1.00 (ref) | 40.00 | 1.00 (ref) | 1.00 (ref) | 45.45 | 1.00 (ref) | 1.00 (ref) |
2차 접종 | 43.48 | 1.10 | 1.42 | 66.67 | 3.00 | 5.22 | 33.33 | 0.60 | 0.70 |
3차 접종 | 36.84 | 0.83 | 1.03 | 36.00 | 0.84 | 1.22 | 35.94 | 0.67 | 0.63 |
SAR (%)=Secondary Attack Rate; cRR=Crude Relative Risk; aRR=Adjusted Relative Risk; ref=Reference group. a)지표환자 성별, 연령, 추정감염경로, 임상경과 보정(가족접촉자 특성은 보정되지 않음)..
우리는 2022년 4월 24일부터 6월 27일까지 약 2개월간 경북권(대구광역시/경상북도)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 바이러스 확정 사례(지표환자) 82명 및 동거인(가족접촉자) 156명을 대상으로 2차 발병률 및 백신전파예방효과를 확인하였다. 우리의 연구에서 세부 계통별 2차 발병률은 BA.4 (42.86%), BA.2.12.1 (41.18%), BA.5 (37.36%) 순으로 높았다. 기존의 오미크론 변이와 세부 계통 변이 바이러스들의 특징을 연구한 이전의 연구는 BA.2가 BA.1 및 BA.1.1에 비하여 전파력과 중증화가 주요하게 증가했다고 보고하였으며, BA.2.12.1, BA.4, BA.5는 BA.2보다 전파력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위 연구에서 BA.4와 BA.5는 BA.1의 감염으로부터 얻어지는 면역을 우회하는 특성이 있어 재감염 위험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
지표환자의 연령에서 BA.2.12.1과 BA.5는 19세 미만 그룹에서 가장 높은 2차 발병률을 보였다. 2차 발병률을 조사한 이전의 연구는 아이보다 어른의 2차 발병률이 약 2.2배 높다고 보고하였으며[6], 우리 결과와는 상반되었다. 가정 내 19세 미만 연령군은 부모님의 돌봄이 가장 필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다른 연령 군과 비교하여 2차 전파 가능성이 높았을 수 있다. 또한, 19세 미만 지표환자 7명 중 5명이 무증상으로 가정 내 철저한 방역 수칙 준수 및 감염관리가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추정감염경로는 해외유입 사례보다 국내 감염자들의 2차 발병률이 모든 세부 계통 변이에서 높았다. 해외유입 사례는 국내 우세화된 변이 바이러스에 비하여 국외에서 유행 중인 신종 변이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우리의 연구에서 변이 확정 사례는 국내 감염 사례보다 해외 유입사례에서 약 1.8–7배까지 많았다. 그러나, 해외 유입 사례는 입국 후 신속한 검사, 격리, 방역 수칙 준수에 대한 안내를 받기 때문에 2차 전파의 가능성이 국내 유입 사례보다 낮을 수 있다. 확정 사례의 진단 시 BA.2.12.1은 무증상과 유증상 사례의 2차 발병률이 각각 41.38%, 40.91%로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BA.5는 무증상 확정사례의 2차 발병률이 유증상 사례보다 약 2배(무증상: 40.79%, 유증상: 20.00%) 높았다. 각 변이에 따른 증상별 2차 발병률을 위 사례만으로 평가하기 어려우며, 지속 추적관찰 후 가정 내 환경, 개인 방역 수칙 준수 등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논의 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오미크론 세부 계통 변이 확정 사례의 백신전파예방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체사례, BA.2.12.1, BA.5의 예방접종력에 따른 2차 발병률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전체사례 및 BA2.12.1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을 때, 2차 발병률은 2차 접종군, 미접종군, 3차 접종군 순으로 높았으며, 이전의 연구에서 미접종 오미크론 변이 확정 사례의 2차 발병률은 약 57%로[7], 미접종 사례의 2차 발병률은 2차 접종자 및 3차 접종자보다 높다고 보고되었다[8]. 추후 백신 접종 후 면역력이 감소하는 기간, 재감염을 통한 면역력 향상 등의 변수들을 고려하여 후속 평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BA.5 변이에서 2차 발병률은 미접종군 45.45%, 2차 접종 33.33%, 3차 접종 35.94%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비교위험도 분석 시 미접종군 대비 2차 접종군은 30%, 3차접종군은 37%의 전파예방효과를 확인하였다. 다른 변이에 비하여 확정사례와 가족접촉자의 대상자 수 확보됨에 따라, 백신접종력에 따른 2차 발병률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델타 변이를 대상으로 진행한 노르웨이의 연구는 미접종 환자 대비 2차 접종자의 백신전파예방효과는 37%로 보고하였으나[7], 각 신종 변이별 백신전파예방효과를 평가하는 것은 코로나19 유행 초기와 비교하여 정책변화에 따라 접촉자에 대한 정보 수집 및 조사가 축소됨에 따라 연구의 제한점이 상존하였다. 향후 백신전파예방효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전체 대상자의 백신 접종 후 기간, 백신 종류, 재감염 여부, 접촉자의 인구학적 및 역학적 특성 등을 보정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갖고 있다. 첫 번째, 본 연구는 코로나19 최대잠복기를 고려하여 지표환자 확진 후 2주 이상 추적 조사한 결과로서 2차 발병률에 대한 정확도가 높으나, 백신전파예방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동거인의 일반적 및 역학적 특성은 보정하지 못하였다. 두 번째, 본 연구에 포함된 대상은 경북권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국내 신종 변이의 특성을 일반화 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None.
Not applicable.
None.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Conceptualization: HP, MJH, CP. Data curation: MJH. Formal analysis: HP, MJH. Investigation: HP, MJH, CP. Methodology: HP, MJH, CP. Project administration: HP. Resources: HP, MJH, CP. Supervision: TJS. Validation: HP, MJH, CP, SJC, TJS. Writing–original draft: HP. Writing–review & editing: HP, MJH, CP, SJC, TJS.
Table 1 . 오미크론 세부 계통 바이러스 확정 사례(지표환자)의 특성에 따른 가족접촉자 접촉자 현황.
구분 | BA.2.12.1 | BA.4 | BA.5 | |||
---|---|---|---|---|---|---|
지표환자 | 가족접촉자 | 지표환자 | 가족접촉자 | 지표환자 | 가족접촉자 | |
전체 | 23 (100) | 51 (100) | 8 (100) | 14 (100) | 51 (100) | 91 (100) |
성별 | ||||||
남 | 11 (47.83) | 27 (52.94) | 4 (50.00) | 9 (64.29) | 25 (49.02) | 44 (48.35) |
여 | 12 (52.17) | 24 (47.06) | 4 (50.00) | 5 (35.71) | 26 (50.98) | 47 (51.65) |
연령(세) | ||||||
≤19 | 3 (13.04) | 7 (13.73) | 2 (25.00) | 4 (28.57) | 2 (3.92) | 5 (5.49) |
20–39 | 9 (39.13) | 17 (33.33) | 2 (25.00) | 4 (28.57) | 19 (37.25) | 31 (34.07) |
40–59 | 7 (30.43) | 18 (35.29) | 3 (37.50) | 5 (35.71) | 21 (41.18) | 41 (45.05) |
60–74 | 3 (13.04) | 8 (15.69) | 1 (12.50) | 1 (7.14) | 7 (13.73) | 12 (13.19) |
≥75 | 1 (4.35) | 1 (1.69) | 0 (0.00) | 0 (0.00) | 2 (3.92) | 2 (2.20) |
추정감염경로 | ||||||
해외유입 | 15 (65.22) | 34 (66.67) | 7 (87.50) | 12 (85.71) | 33 (64.71) | 63 (69.23) |
국내감염 | 8 (34.78) | 17 (33.33) | 1 (12.50) | 2 (14.29) | 18 (35.29) | 28 (30.77) |
예방접종력 | ||||||
미접종 또는 1차 | 9 (39.13) | 20 (39.22) | 2 (25.00) | 3 (21.43) | 8 (15.69) | 15 (16.48) |
2차 접종 | 3 (13.04) | 6 (11.76) | 2 (25.00) | 5 (35.71) | 7 (13.73) | 12 (13.19) |
3차 접종 | 11 (47.83) | 25 (49.02) | 4 (50.00) | 6 (42.86) | 36 (70.59) | 63 (69.23) |
임상경과 | ||||||
진단 시 무증상 | 11 (47.83) | 29 (56.86) | 4 (50.00) | 8 (57.14) | 41 (80.39) | 76 (83.52) |
진단 시 유증상 | 12 (52.17) | 22 (43.14) | 4 (50.00) | 6 (42.86) | 10 (19.61) | 15 (16.48) |
단위=명(%)..
Table 2 . 경북권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 바이러스 확정 사례의 특성에 따른 가족접촉자 2차 발병률.
구분 | BA.2.12.1 | BA.4 | BA.5 | ||||||
---|---|---|---|---|---|---|---|---|---|
전체 | 양성 | 2차 발병률 | 전체 | 양성 | 2차 발병률 | 전체 | 양성 | 2차 발병률 | |
지표환자 전체 | 51 | 21 | 41.18 | 14 | 6 | 42.86 | 91 | 34 | 37.36 |
성별 | |||||||||
남 | 27 | 6 | 22.22 | 9 | 4 | 44.44 | 44 | 18 | 40.91 |
여 | 24 | 15 | 62.50 | 5 | 2 | 40.00 | 47 | 16 | 34.04 |
연령(세) | |||||||||
≤19 | 7 | 6 | 85.71 | 4 | 2 | 50.00 | 5 | 4 | 80.00 |
20–39 | 17 | 8 | 47.06 | 4 | 1 | 25.00 | 31 | 8 | 25.81 |
40–59 | 18 | 2 | 11.11 | 5 | 3 | 60.00 | 41 | 16 | 39.02 |
60–74 | 8 | 4 | 50.00 | 1 | 0 | 0.00 | 12 | 4 | 33.33 |
≥75 | 1 | 1 | 100.00 | 0 | 0 | - | 2 | 2 | 100.00 |
추정감염경로 | |||||||||
해외유입 | 34 | 9 | 26.47 | 12 | 5 | 41.67 | 63 | 20 | 31.75 |
국내감염 | 17 | 12 | 70.59 | 2 | 1 | 50.00 | 28 | 14 | 50.00 |
예방접종력 | |||||||||
미접종 또는 1차 | 20 | 8 | 40.00 | 3 | 1 | 33.33 | 15 | 7 | 46.67 |
2차 접종 | 6 | 4 | 66.67 | 5 | 2 | 40.00 | 12 | 4 | 33.33 |
3차 접종 | 25 | 9 | 36.00 | 6 | 3 | 50.00 | 64 | 23 | 35.94 |
임상경과 | |||||||||
진단 시 무증상 | 29 | 12 | 41.38 | 8 | 3 | 37.50 | 76 | 31 | 40.79 |
진단 시 유증상 | 22 | 9 | 40.91 | 6 | 3 | 50.00 | 15 | 3 | 20.00 |
단위=명, %..
Table 3 . 경북권 내 오미크론 세부 계통 바이러스 지표환자의 가족접촉자에 대한 백신전파예방효과 평가.
지표환자 | 전체 | BA.2.12.1 | BA.5 | ||||||
---|---|---|---|---|---|---|---|---|---|
SAR | cRR | aRRa) | SAR | cRR | aRRa) | SAR | cRR | aRRa) | |
예방접종력 | |||||||||
미접종 | 41.18 | 1.00 (ref) | 1.00 (ref) | 40.00 | 1.00 (ref) | 1.00 (ref) | 45.45 | 1.00 (ref) | 1.00 (ref) |
2차 접종 | 43.48 | 1.10 | 1.42 | 66.67 | 3.00 | 5.22 | 33.33 | 0.60 | 0.70 |
3차 접종 | 36.84 | 0.83 | 1.03 | 36.00 | 0.84 | 1.22 | 35.94 | 0.67 | 0.63 |
SAR (%)=Secondary Attack Rate; cRR=Crude Relative Risk; aRR=Adjusted Relative Risk; ref=Reference group. a)지표환자 성별, 연령, 추정감염경로, 임상경과 보정(가족접촉자 특성은 보정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