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감시보고

Split Viewer
ENG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25): 801-814

Published online June 29,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25.2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년 국내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 현황

신소은, 조세훈, 김현우, 이욱교, 이희일*

질병관리청 감염병진단분석국 매개체분석과

*Corresponding author: 이희일, Tel: +82-43-719-8560, E-mail: isak@korea.kr

Received: April 10, 2023; Revised: May 8, 2023; Accepted: May 9,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질병관리청 매개체분석과에서는 일본뇌염(Japanese encephalitis)의 매개체로 알려진 작은빨간집모기의 발생 감시를 위해 9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의 협조를 받아 감시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11개 우사 채집지점에서 유문등을 이용해 2022년 4-10월까지 주 2회 모기를 채집하였다. 매개모기 출현 시기를 고려하여 일부 남부지역은 3월(13주)부터 감시를 수행하였다. 2022년 4월 7일, 부산에서 첫 번째로 작은빨간집모기를 확인함에 따라 4월 11일 전국에 주의보를 발령하였고, 7월 18–19일 부산에서 작은빨간집모기가 전체 모기의 50% 이상 채집되어 7월 23일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하였다. 전체모기는 총 18종 116,340마리 채집되었고, 그 중 작은빨간집모기는 20,340마리 채집되어 전년(17,528마리) 대비 16% 증가하였다. 작은빨간집모기는 6월부터 점진적으로 발생하고, 7월부터 9월까지 높은 밀도를 보이며 10월까지 나타났다. 남부지역이 북부지역보다 밀도가 높았으며, 경남(진주)에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작은빨간집모기의 최초 발생이 북쪽 지역으로 갈수록 출현 시기가 늦어지는 지역적 차이를 확인하였다. 작은빨간집모기는 34주(평균 345마리)에 최성기였고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2022년 일본뇌염 환자는 총 11명으로 경기 지역(4명)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자세한 정보는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www.kdc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일본뇌염, 매개모기, 작은빨간집모기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일본뇌염은 아시아지역에서 발생하며,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속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가 사람을 흡혈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감염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주요종은 작은빨간집모기이며, 중국 등 동남아시아에 분포하고 한국 전역에 서식한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2022년 전체모기는 총 18종 116,340마리 채집되었고, 작은빨간집모기는 20,340마리 채집하였다. 부산에서 첫번째로 작은빨간집모기를 확인함에 따라 4월 11일 전국에 주의보를 발령하였고, 7월 23일에 작은빨간집모기가 전체 모기의 50% 이상 채집되어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하였다.

③ 시사점은?

기후 및 환경의 변화에 따라 매개체의 분포와 일본뇌염환자 발생 패턴 등이 변화하므로 작은빨간집모기의 발생 시기 및 추세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환경인자와 비교 분석하는 지속적인 일본뇌염 예측 감시가 필요하다.

일본뇌염(Japanese encephalitis)는 1871년 일본에서 처음 보고되었고, 동남아시아 및 서태평양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모기 매개 감염병이다[1].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 따르면 매년 68,000여 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치명률은 약 10–30%이며 회복 후에도 20–30%가 재발성 발작, 지능 및 운동장애를 일으킨다고 보고되었다[2,3]. 일본뇌염은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에 감염된 모기가 사람을 흡혈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감염되는 급성 바이러스성 감염병이다[4]. 일본뇌염 매개모기 종으로는 Culex tritaeniorhynchus (작은빨간집모기), Cx. annulirostris, Cx. annulus, Cx. fuscocephala, Cx. gelidus, Cx. quinquefasciatus (열대집모기), Cx. sitiens (별넷집모기), Cx. vishnui, Armigeres subalbatus (큰검정들모기) 등이 확인되었다[5]. 일본뇌염 주요 매개종인 작은빨간집모기는 한국 전역에 서식하며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에 주로 분포한다[5]. 질병관리청 매개체분석과에서는 1975년부터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의 발생 밀도 및 분포를 조사하는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작은빨간집모기의 발생 및 추세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일본뇌염 주의보 및 경보를 발령하고 대국민 홍보와 함께 효과적인 방역 대책을 수립하여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1. 모기 채집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사업은 9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의 협조를 받아 수행하고 있으며, 2022년 4월 4일(14주)부터 10월 30일(44주)까지 진행되었다. 11개의 채집지점(우사)에서 유문등 설치하여 매주 2회 채집하였고 평균 개채수를 산출하였다.

2. 결과 취합

감염병매개체 통합감시체계(VectorNet)에 업로드한 분류‧동정 결과와 기상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사업에 사용한 기상자료는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https://data.kma.go.kr/cmmn/main.do)의 기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3. 정보 공유

작은빨간집모기 밀도 조사 결과는 매주 업데이트되어 질병관리청 누리집 (http://www.kdca.go.kr)의 간행물‧통계 → (통계)감염병발생정보 → 주간건강과질병 → 주요감염병통계에 제공하였다. 해당 정보는 14주 부터 44주까지의 기간동안 주별로 제공한다.

1. 연간 모기 채집 경향

2022년 채집된 모기는 총 18종 116,340마리 채집되었고, 채집지점(11지점) 당 평균 10,576마리 채집되었다. 채집된 모기의 우점종은 금빛숲모기 60% (69,486마리), 중국얼룩날개모기 18% (21,342마리), 작은빨간집모기 18% (20,340마리) 순으로 확인되었다(표 1). 작은빨간집모기는 채집지점 당 평균 1,849마리로 나타났다. 2017-2022년의 전체모기 채집 경향은 2020년에 급감하였다가 2021년에 증가하고 금년 다시 감소하는 형태를 보였다(그림 1). 하지만 작은빨간집모기는 전체모기 발생 경향과 반대로 2021년에 급감하였다가 금년에 다시 증가하였다.

모기 종별에 따른 모기 채집 수
국명 학명 개체수 (비율)
숲모기속 금빛숲모기 Aedes vexans 69,486 (59.7)
한국숲모기 Ochlerotatus koreicus 606 (0.5)
토고숲모기 Ochlerotatus togoi 68 (0.1)
흰어깨숲모기 Ochlerotatus nipponicus 55 (0.1)
흰줄숲모기 Aedes albopictus 51 (0.1)
하토리숲모기 Ochlerotatus hatorii 42 (0.0)
등줄숲모기 Ochlerotatus dorsalis 6 (0.0)
흰뒷등숲모기 Aedes alboscutellatus 2 (0.0)
금빛어깨숲모기 Aedes lineatopennis 2 (0.0)
얼룩날개모기속 중국얼룩날개모기 Anopheles spp. 21,342 (18.3)
집모기속 작은빨간집모기 Culex tritaeniorhynchus 20,340 (17.5)
빨간집모기 Culex pipiens 2,820 (2.4)
동양집모기 Culex orientalis 216 (0.2)
반점날개집모기 Culex bitaeniorhynchus 16 (0.0)
줄다리집모기 Culex vagans 3 (0.0)
들모기속 큰검정들모기 Armigeres subalbatus 1,161 (1.0)
늪모기속 반점날개늪모기 Mansonia uniformis 123 (0.1)
노랑늪모기 Coquillettidia ochracea 1 (0.0)
전체 모기 개체 수 116,340 (100.0)

단위: 트랩지수(전체모기수/채집일).


Figure. 1.전체 모기와 매개모기 발생 경향(2017–2022년)

2. 월별/지역별 모기 밀도 변화

전체모기는 6월부터 9월까지 밀도가 높았으며, 특히 남부 지역이 북부 지역보다 모기 발생 밀도가 높았다. 작은빨간집모기의 월별 발생은 6월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7월부터 9월까지 높은 밀도를 보이며 10월까지 나타났다. 전체모기에 대한 작은빨간집모기 비율도 남부 지역이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작은빨간집모기는 진주(경남)에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그림 2). 2021년과 비교하였을 때, 진주(경남)‧청주(충북)‧경산(경북)‧예산(충남)지역은 작은빨간집모기 채집량이 증가 하였고 부산(부산)‧함평(전남)‧전주(전북)‧제주(제주)‧춘천(강원)은 작은빨간집모기 채집량이 감소하였다.

Figure. 2.주차별 매개모기 발생경향

3. 주차별 모기 밀도 변화

전체모기의 발생 경향을 주차별로 확인하였을 때, 22주차부터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36주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그림 3). 2022년에 모기가 평균 1,000마리 이상 채집되는 주차는 2회였으며, 2021년(7회)과 평년(6회)보다 낮은 횟수였다. 작은빨간집모기의 발생 경향을 주차별로 확인하였을 때, 29주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34주에 평균 345마리로 최성기를 확인하였다(그림 4). 4–6월 초까지 출현한 작은빨간집모기는 점진적으로 개체수가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전년도에 월동한 개체가 깨어나 채집된 것으로 추측된다. 2022년 최성기는 34주로 전년과 평년의 최성기(36주)보다 2주 빨라졌다. 최성기의 채집 개체수는 전년(116마리) 대비 198% (229마리), 평년(195마리) 대비 77% (150마리) 증가하였다. 작은빨간집모기는 최성기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2022년 40주차에 기온이 20℃ 이하로 떨어졌고, 이러한 환경요건이 모기 성장에 영향을 주어 42주차부터 미채집된 것으로 추측된다. 작은빨간집모기의 최초 발생을 지역별/주차별로 확인하였을 때, 부산(15주), 제주(16주), 경남(17주), 전남(26주), 경북(27주), 강원(29주), 충북‧전북(30주), 충남(32주) 순으로 출현하였으며, 북쪽 지역으로 갈수록 출현 시기가 늦어지는 지역적 차이를 확인하였다(그림 5).

Figure. 3.지역별 매개모기 채집 결과
Figure. 4.전체모기 주차별 발생경향
*연도별 1,000마리 이상 모기 채집 주
Figure. 5.지역 및 주차별 매개모기 발생 누적

4. 주의보 및 경보 발령

질병관리청 매개체분석과에서 운영하는 감시사업 중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경남1권)」 의 부산 지역에서 2022년 4월 7일 첫 번째로 작은빨간집모기를 확인함에 따라 4월 11일 전국에 주의보를 발령하였다. 일본뇌염 주의보는 작은빨간집모기가 당해 연도 최초 채집되었을 때 발령된다. 일본뇌염 경보는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 수 중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모기 밀도의 50% 이상이거나, 채집된 모기로부터 일본뇌염바이러스가 분리 또는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검출된 경우,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했을 경우 경보가 발령된다. 2022년의 경우, 부산지역에서 작은빨간집모기가 전체모기의 90.4% (1,777마리/1,965마리)로 확인되어 2022년 7월 23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하였다.

5. 일본뇌염 환자 발생

2022년 일본뇌염 환자는 총 11명으로 전년 대비 12명 적었다. 지역별로 환자 발생수를 비교하였을 때, 경기 지역이 4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서울에 2명, 인천‧강원‧충북‧경북‧대구에 각각 1명씩 발생하였다. 작은빨간집모기 밀도가 높은 남부지역보다 경기 및 서울지역에 환자 발생수가 많았다(그림 6).

Figure. 6.지역별 일본뇌염 환자 발생 현황(2021–2022년)

2022년 채집된 전체모기 개체수는 감소하였고, 작은빨간집모기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022년은 태풍 ‘힌남노’가 발생하였고(2021년에는 강력한 태풍 영향 없음), 장마 기간이 33일로 21년 대비 6일 길었다. 장마철과 같이 지속적이며, 잦은 강우로 인해 모기의 활동이 감소한다. 일일 강수량이 75 mm 이상(폭우)이거나, 15일 동안 총 강수량이 150 mm 이상일 때 모기 알과 유충의 유실이 많다[7]. 전체모기의 최성기인 6월의 평균강수량은 176.1 mm로 전년(104.3 mm)보다 많았으며, 강수일수는 비슷하였다(전년 10.4일; 금년 10.8일). 이러한 기상 환경이 모기 서식 및 발생에 영향을 주어 전체 개체 수가 감소된 것으로 추측된다. 개체수가 증가한 작은빨간집모기의 최고 성장속도 수온은 약 20℃로 다른 우점종보다 온도가 낮다[8]. 작은빨간집모기의 최고 발생 시기(8월)의 수온 및 기온 환경조건이 작은빨간집모기의 성장에 최적화되어 개체수가 증가한 것으로 추측된다. 일본뇌염 주의보 및 경보 발령 시기는 약 2개월(1975년)에서 약 4개월(2022년) 차로 벌어지는 양상을 보이며 특히, 주의보 발령 시기는 기후변화(아열대화)에 따른 매개체 서식 환경변화 등으로 점차 빨라지고 있다. 따라서, 기후 및 환경변화에 맞춰 매개체의 분포와 환자 발생 패턴 등이 변화하므로 일본뇌염 매개모기의 발생 시기와 추세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일본뇌염 예측감시가 지속되어야 한다.

Supplementary data are available online.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SES, SHC, HWK, WGL, HIL. Data curation: SES, SHC, HWK. Formal analysis: SES, HWK. Supervision: HWK, WGL, HIL. Writing – original draft: SES. Writing – review & editing : SES, SHC, HWK, WGL, HIL.

  1. Endy TP, Nisalak A. Japanese encephalitis virus: ecology and epidemiology. Curr Top Microbiol Immunol 2002;267:11-48.
    Pubmed CrossRef
  2. Zheng Y, Li M, Wang H, Liang G. Japanese encephalitis and Japanese encephalitis virus in mainland China. Rev Med Virol 2012;22:301-22.
    Pubmed CrossRef
  3. WHO.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s: WHO position paper - February 2015. Wkly Epidemiol Rec 2015;90:69-87.
    Pubmed
  4. Chang KJ. Studies on the serological cross-reaction between dengue and Japanese encephalitis. Zhonghua Min Guo Wei Sheng Wu Ji Mian Yi Xue Za Zhi 1997;30:207-18.
    Pubmed
  5. Rosen L, Lien JC, Shroyer DA, Baker RH, Lu LC. Experimental vertical transmission of Japanese encephalitis virus by Culex tritaeniorhynchus and other mosquitoes. Am J Trop Med Hyg 1989;40:548-56.
    Pubmed CrossRef
  6. Chambers TJ, Hahn CS, Galler R, Rice CM. Flavivirus genome organization, expression, and replication. Annu Rev Microbiol 1990;44:649-88.
    Pubmed CrossRef
  7. Noh BE. Seasonal prevalence of mosquitoes collected with black light trap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2016.
  8. Wada Y, Omori N. Ecology of vector mosquitoes of Japanese encephalitis, especially of Culex tritaeniorhynchus summorosus. 4. Development of immature stages of Culex tritaeniorhynchus summorosu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emperature in spring and autumn. Trop Med 1971;13:193-9.

Article

조사/감시보고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25): 801-814

Published online June 29,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25.2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년 국내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 현황

신소은, 조세훈, 김현우, 이욱교, 이희일*

질병관리청 감염병진단분석국 매개체분석과

Received: April 10, 2023; Revised: May 8, 2023; Accepted: May 9,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질병관리청 매개체분석과에서는 일본뇌염(Japanese encephalitis)의 매개체로 알려진 작은빨간집모기의 발생 감시를 위해 9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의 협조를 받아 감시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11개 우사 채집지점에서 유문등을 이용해 2022년 4-10월까지 주 2회 모기를 채집하였다. 매개모기 출현 시기를 고려하여 일부 남부지역은 3월(13주)부터 감시를 수행하였다. 2022년 4월 7일, 부산에서 첫 번째로 작은빨간집모기를 확인함에 따라 4월 11일 전국에 주의보를 발령하였고, 7월 18–19일 부산에서 작은빨간집모기가 전체 모기의 50% 이상 채집되어 7월 23일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하였다. 전체모기는 총 18종 116,340마리 채집되었고, 그 중 작은빨간집모기는 20,340마리 채집되어 전년(17,528마리) 대비 16% 증가하였다. 작은빨간집모기는 6월부터 점진적으로 발생하고, 7월부터 9월까지 높은 밀도를 보이며 10월까지 나타났다. 남부지역이 북부지역보다 밀도가 높았으며, 경남(진주)에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작은빨간집모기의 최초 발생이 북쪽 지역으로 갈수록 출현 시기가 늦어지는 지역적 차이를 확인하였다. 작은빨간집모기는 34주(평균 345마리)에 최성기였고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2022년 일본뇌염 환자는 총 11명으로 경기 지역(4명)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자세한 정보는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www.kdc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일본뇌염, 매개모기, 작은빨간집모기

서 론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일본뇌염은 아시아지역에서 발생하며,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속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가 사람을 흡혈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감염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주요종은 작은빨간집모기이며, 중국 등 동남아시아에 분포하고 한국 전역에 서식한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2022년 전체모기는 총 18종 116,340마리 채집되었고, 작은빨간집모기는 20,340마리 채집하였다. 부산에서 첫번째로 작은빨간집모기를 확인함에 따라 4월 11일 전국에 주의보를 발령하였고, 7월 23일에 작은빨간집모기가 전체 모기의 50% 이상 채집되어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하였다.

③ 시사점은?

기후 및 환경의 변화에 따라 매개체의 분포와 일본뇌염환자 발생 패턴 등이 변화하므로 작은빨간집모기의 발생 시기 및 추세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환경인자와 비교 분석하는 지속적인 일본뇌염 예측 감시가 필요하다.

일본뇌염(Japanese encephalitis)는 1871년 일본에서 처음 보고되었고, 동남아시아 및 서태평양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모기 매개 감염병이다[1].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 따르면 매년 68,000여 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치명률은 약 10–30%이며 회복 후에도 20–30%가 재발성 발작, 지능 및 운동장애를 일으킨다고 보고되었다[2,3]. 일본뇌염은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에 감염된 모기가 사람을 흡혈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감염되는 급성 바이러스성 감염병이다[4]. 일본뇌염 매개모기 종으로는 Culex tritaeniorhynchus (작은빨간집모기), Cx. annulirostris, Cx. annulus, Cx. fuscocephala, Cx. gelidus, Cx. quinquefasciatus (열대집모기), Cx. sitiens (별넷집모기), Cx. vishnui, Armigeres subalbatus (큰검정들모기) 등이 확인되었다[5]. 일본뇌염 주요 매개종인 작은빨간집모기는 한국 전역에 서식하며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에 주로 분포한다[5]. 질병관리청 매개체분석과에서는 1975년부터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의 발생 밀도 및 분포를 조사하는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작은빨간집모기의 발생 및 추세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일본뇌염 주의보 및 경보를 발령하고 대국민 홍보와 함께 효과적인 방역 대책을 수립하여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방 법

1. 모기 채집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사업은 9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의 협조를 받아 수행하고 있으며, 2022년 4월 4일(14주)부터 10월 30일(44주)까지 진행되었다. 11개의 채집지점(우사)에서 유문등 설치하여 매주 2회 채집하였고 평균 개채수를 산출하였다.

2. 결과 취합

감염병매개체 통합감시체계(VectorNet)에 업로드한 분류‧동정 결과와 기상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사업에 사용한 기상자료는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https://data.kma.go.kr/cmmn/main.do)의 기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3. 정보 공유

작은빨간집모기 밀도 조사 결과는 매주 업데이트되어 질병관리청 누리집 (http://www.kdca.go.kr)의 간행물‧통계 → (통계)감염병발생정보 → 주간건강과질병 → 주요감염병통계에 제공하였다. 해당 정보는 14주 부터 44주까지의 기간동안 주별로 제공한다.

결 과

1. 연간 모기 채집 경향

2022년 채집된 모기는 총 18종 116,340마리 채집되었고, 채집지점(11지점) 당 평균 10,576마리 채집되었다. 채집된 모기의 우점종은 금빛숲모기 60% (69,486마리), 중국얼룩날개모기 18% (21,342마리), 작은빨간집모기 18% (20,340마리) 순으로 확인되었다(표 1). 작은빨간집모기는 채집지점 당 평균 1,849마리로 나타났다. 2017-2022년의 전체모기 채집 경향은 2020년에 급감하였다가 2021년에 증가하고 금년 다시 감소하는 형태를 보였다(그림 1). 하지만 작은빨간집모기는 전체모기 발생 경향과 반대로 2021년에 급감하였다가 금년에 다시 증가하였다.

모기 종별에 따른 모기 채집 수
국명 학명 개체수 (비율)
숲모기속 금빛숲모기 Aedes vexans 69,486 (59.7)
한국숲모기 Ochlerotatus koreicus 606 (0.5)
토고숲모기 Ochlerotatus togoi 68 (0.1)
흰어깨숲모기 Ochlerotatus nipponicus 55 (0.1)
흰줄숲모기 Aedes albopictus 51 (0.1)
하토리숲모기 Ochlerotatus hatorii 42 (0.0)
등줄숲모기 Ochlerotatus dorsalis 6 (0.0)
흰뒷등숲모기 Aedes alboscutellatus 2 (0.0)
금빛어깨숲모기 Aedes lineatopennis 2 (0.0)
얼룩날개모기속 중국얼룩날개모기 Anopheles spp. 21,342 (18.3)
집모기속 작은빨간집모기 Culex tritaeniorhynchus 20,340 (17.5)
빨간집모기 Culex pipiens 2,820 (2.4)
동양집모기 Culex orientalis 216 (0.2)
반점날개집모기 Culex bitaeniorhynchus 16 (0.0)
줄다리집모기 Culex vagans 3 (0.0)
들모기속 큰검정들모기 Armigeres subalbatus 1,161 (1.0)
늪모기속 반점날개늪모기 Mansonia uniformis 123 (0.1)
노랑늪모기 Coquillettidia ochracea 1 (0.0)
전체 모기 개체 수 116,340 (100.0)

단위: 트랩지수(전체모기수/채집일)..


Figure 1. 전체 모기와 매개모기 발생 경향(2017–2022년)

2. 월별/지역별 모기 밀도 변화

전체모기는 6월부터 9월까지 밀도가 높았으며, 특히 남부 지역이 북부 지역보다 모기 발생 밀도가 높았다. 작은빨간집모기의 월별 발생은 6월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7월부터 9월까지 높은 밀도를 보이며 10월까지 나타났다. 전체모기에 대한 작은빨간집모기 비율도 남부 지역이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작은빨간집모기는 진주(경남)에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그림 2). 2021년과 비교하였을 때, 진주(경남)‧청주(충북)‧경산(경북)‧예산(충남)지역은 작은빨간집모기 채집량이 증가 하였고 부산(부산)‧함평(전남)‧전주(전북)‧제주(제주)‧춘천(강원)은 작은빨간집모기 채집량이 감소하였다.

Figure 2. 주차별 매개모기 발생경향

3. 주차별 모기 밀도 변화

전체모기의 발생 경향을 주차별로 확인하였을 때, 22주차부터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36주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그림 3). 2022년에 모기가 평균 1,000마리 이상 채집되는 주차는 2회였으며, 2021년(7회)과 평년(6회)보다 낮은 횟수였다. 작은빨간집모기의 발생 경향을 주차별로 확인하였을 때, 29주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34주에 평균 345마리로 최성기를 확인하였다(그림 4). 4–6월 초까지 출현한 작은빨간집모기는 점진적으로 개체수가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전년도에 월동한 개체가 깨어나 채집된 것으로 추측된다. 2022년 최성기는 34주로 전년과 평년의 최성기(36주)보다 2주 빨라졌다. 최성기의 채집 개체수는 전년(116마리) 대비 198% (229마리), 평년(195마리) 대비 77% (150마리) 증가하였다. 작은빨간집모기는 최성기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2022년 40주차에 기온이 20℃ 이하로 떨어졌고, 이러한 환경요건이 모기 성장에 영향을 주어 42주차부터 미채집된 것으로 추측된다. 작은빨간집모기의 최초 발생을 지역별/주차별로 확인하였을 때, 부산(15주), 제주(16주), 경남(17주), 전남(26주), 경북(27주), 강원(29주), 충북‧전북(30주), 충남(32주) 순으로 출현하였으며, 북쪽 지역으로 갈수록 출현 시기가 늦어지는 지역적 차이를 확인하였다(그림 5).

Figure 3. 지역별 매개모기 채집 결과
Figure 4. 전체모기 주차별 발생경향
*연도별 1,000마리 이상 모기 채집 주
Figure 5. 지역 및 주차별 매개모기 발생 누적

4. 주의보 및 경보 발령

질병관리청 매개체분석과에서 운영하는 감시사업 중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경남1권)」 의 부산 지역에서 2022년 4월 7일 첫 번째로 작은빨간집모기를 확인함에 따라 4월 11일 전국에 주의보를 발령하였다. 일본뇌염 주의보는 작은빨간집모기가 당해 연도 최초 채집되었을 때 발령된다. 일본뇌염 경보는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 수 중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모기 밀도의 50% 이상이거나, 채집된 모기로부터 일본뇌염바이러스가 분리 또는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검출된 경우,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했을 경우 경보가 발령된다. 2022년의 경우, 부산지역에서 작은빨간집모기가 전체모기의 90.4% (1,777마리/1,965마리)로 확인되어 2022년 7월 23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하였다.

5. 일본뇌염 환자 발생

2022년 일본뇌염 환자는 총 11명으로 전년 대비 12명 적었다. 지역별로 환자 발생수를 비교하였을 때, 경기 지역이 4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서울에 2명, 인천‧강원‧충북‧경북‧대구에 각각 1명씩 발생하였다. 작은빨간집모기 밀도가 높은 남부지역보다 경기 및 서울지역에 환자 발생수가 많았다(그림 6).

Figure 6. 지역별 일본뇌염 환자 발생 현황(2021–2022년)

결 론

2022년 채집된 전체모기 개체수는 감소하였고, 작은빨간집모기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022년은 태풍 ‘힌남노’가 발생하였고(2021년에는 강력한 태풍 영향 없음), 장마 기간이 33일로 21년 대비 6일 길었다. 장마철과 같이 지속적이며, 잦은 강우로 인해 모기의 활동이 감소한다. 일일 강수량이 75 mm 이상(폭우)이거나, 15일 동안 총 강수량이 150 mm 이상일 때 모기 알과 유충의 유실이 많다[7]. 전체모기의 최성기인 6월의 평균강수량은 176.1 mm로 전년(104.3 mm)보다 많았으며, 강수일수는 비슷하였다(전년 10.4일; 금년 10.8일). 이러한 기상 환경이 모기 서식 및 발생에 영향을 주어 전체 개체 수가 감소된 것으로 추측된다. 개체수가 증가한 작은빨간집모기의 최고 성장속도 수온은 약 20℃로 다른 우점종보다 온도가 낮다[8]. 작은빨간집모기의 최고 발생 시기(8월)의 수온 및 기온 환경조건이 작은빨간집모기의 성장에 최적화되어 개체수가 증가한 것으로 추측된다. 일본뇌염 주의보 및 경보 발령 시기는 약 2개월(1975년)에서 약 4개월(2022년) 차로 벌어지는 양상을 보이며 특히, 주의보 발령 시기는 기후변화(아열대화)에 따른 매개체 서식 환경변화 등으로 점차 빨라지고 있다. 따라서, 기후 및 환경변화에 맞춰 매개체의 분포와 환자 발생 패턴 등이 변화하므로 일본뇌염 매개모기의 발생 시기와 추세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일본뇌염 예측감시가 지속되어야 한다.

Supplementary Materials

Supplementary data are available online.

Declarations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SES, SHC, HWK, WGL, HIL. Data curation: SES, SHC, HWK. Formal analysis: SES, HWK. Supervision: HWK, WGL, HIL. Writing – original draft: SES. Writing – review & editing : SES, SHC, HWK, WGL, HIL.

Fig 1.

Figure 1.전체 모기와 매개모기 발생 경향(2017–2022년)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801-814https://doi.org/10.56786/PHWR.2023.16.25.2

Fig 2.

Figure 2.주차별 매개모기 발생경향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801-814https://doi.org/10.56786/PHWR.2023.16.25.2

Fig 3.

Figure 3.지역별 매개모기 채집 결과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801-814https://doi.org/10.56786/PHWR.2023.16.25.2

Fig 4.

Figure 4.전체모기 주차별 발생경향
*연도별 1,000마리 이상 모기 채집 주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801-814https://doi.org/10.56786/PHWR.2023.16.25.2

Fig 5.

Figure 5.지역 및 주차별 매개모기 발생 누적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801-814https://doi.org/10.56786/PHWR.2023.16.25.2

Fig 6.

Figure 6.지역별 일본뇌염 환자 발생 현황(2021–2022년)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801-814https://doi.org/10.56786/PHWR.2023.16.25.2
모기 종별에 따른 모기 채집 수
국명 학명 개체수 (비율)
숲모기속 금빛숲모기 Aedes vexans 69,486 (59.7)
한국숲모기 Ochlerotatus koreicus 606 (0.5)
토고숲모기 Ochlerotatus togoi 68 (0.1)
흰어깨숲모기 Ochlerotatus nipponicus 55 (0.1)
흰줄숲모기 Aedes albopictus 51 (0.1)
하토리숲모기 Ochlerotatus hatorii 42 (0.0)
등줄숲모기 Ochlerotatus dorsalis 6 (0.0)
흰뒷등숲모기 Aedes alboscutellatus 2 (0.0)
금빛어깨숲모기 Aedes lineatopennis 2 (0.0)
얼룩날개모기속 중국얼룩날개모기 Anopheles spp. 21,342 (18.3)
집모기속 작은빨간집모기 Culex tritaeniorhynchus 20,340 (17.5)
빨간집모기 Culex pipiens 2,820 (2.4)
동양집모기 Culex orientalis 216 (0.2)
반점날개집모기 Culex bitaeniorhynchus 16 (0.0)
줄다리집모기 Culex vagans 3 (0.0)
들모기속 큰검정들모기 Armigeres subalbatus 1,161 (1.0)
늪모기속 반점날개늪모기 Mansonia uniformis 123 (0.1)
노랑늪모기 Coquillettidia ochracea 1 (0.0)
전체 모기 개체 수 116,340 (100.0)

단위: 트랩지수(전체모기수/채집일)..


References

  1. Endy TP, Nisalak A. Japanese encephalitis virus: ecology and epidemiology. Curr Top Microbiol Immunol 2002;267:11-48.
    Pubmed CrossRef
  2. Zheng Y, Li M, Wang H, Liang G. Japanese encephalitis and Japanese encephalitis virus in mainland China. Rev Med Virol 2012;22:301-22.
    Pubmed CrossRef
  3. WHO.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s: WHO position paper - February 2015. Wkly Epidemiol Rec 2015;90:69-87.
    Pubmed
  4. Chang KJ. Studies on the serological cross-reaction between dengue and Japanese encephalitis. Zhonghua Min Guo Wei Sheng Wu Ji Mian Yi Xue Za Zhi 1997;30:207-18.
    Pubmed
  5. Rosen L, Lien JC, Shroyer DA, Baker RH, Lu LC. Experimental vertical transmission of Japanese encephalitis virus by Culex tritaeniorhynchus and other mosquitoes. Am J Trop Med Hyg 1989;40:548-56.
    Pubmed CrossRef
  6. Chambers TJ, Hahn CS, Galler R, Rice CM. Flavivirus genome organization, expression, and replication. Annu Rev Microbiol 1990;44:649-88.
    Pubmed CrossRef
  7. Noh BE. Seasonal prevalence of mosquitoes collected with black light trap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2016.
  8. Wada Y, Omori N. Ecology of vector mosquitoes of Japanese encephalitis, especially of Culex tritaeniorhynchus summorosus. 4. Development of immature stages of Culex tritaeniorhynchus summorosu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emperature in spring and autumn. Trop Med 1971;13:193-9.
PHWR
Sep 21, 2023 Vol.16 No.37
pp. 1275~1287

Supplementary File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 주간 건강과 질병
PUBLIC HEALTH WEEKLY REPORT
질병관리청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eISSN 2586-0860
pISSN 2005-81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