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28): 911-930
Published online July 20,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28.1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이지주1†, 장세혁1†, 이은솔1, 박경희2, 이현주2, 은영덕2, 이정민3, 사공필용3, 김경아4, 나영란4, 김연정1*
*Corresponding author: 김연정, Tel: +82-51-260-3720, E-mail: kimye@korea.kr
†이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공동 제1저자로 기여하였음.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 시기의 항생제 사용 증가에 따른 의료기관 내 항생제 내성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항생제내성균에 의한 감염증 중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감염증 신고건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부산광역시는 비수도권 시도 중 의료기관 수가 많아 카바페넴분해효소 생성 CRE (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CP-CRE) 감염증 신고건이 가장 높게 나타나, 이에 대한 실태 파악을 위해 경남권질병대응센터-부산광역시청(감염병관리지원단)-보건환경연구원이 합동으로 기획조사를 실시하였다. 2022년 6월–12월 부산광역시 내 CRE 발생 신고된 23개(상급)종합병원 및 20개 요양병원에서의 CRE 사례조사서 분석과 환경검체 분석을 통해, 종합병원/요양병원 등 의료기관 유형별 CRE 환자 격리형태, CP-CRE 발생현황, carbapenemase 균종/유전형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조사 결과를 통해 지역 내 의료기관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감염예방관리 교육내용을 개발하고, 의료기관 대상 지속가능한 감염관리 방안을 독려할 수 있는 근거기반을 마련하였으며, 나아가 지역 내 감염병 대응이라는 공동의 목적을 위해 유관기관 간 협력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카바페넴계 항생제 내성균 감염증, 카바페넴 분해효소, 항생제 내성 Acinetobacter, 항생제 내성, 의료관련감염병
항생제 내성균 중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ase-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감염증 신고건이 2018년 11,954건에서 2022년 30,522건으로 증가하였고, 부산광역시는 의료기관 수가 많아 비수도권 시도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남권질병대응센터-지자체 합동조사를 통해 부산광역시 내 CRE 감염증을 신고한 (상급)종합병원과 요양병원 유형별로 CRE 환자 격리형태(1인실 격리 vs. 코호트 격리), 카바페넴 분해효소 생성 CRE 발병률(74.2% vs. 80.4%) 및 의료기관 내 카바페넴분해효소 생성 내성균 검출 장소(환자 및 의료진 사용 세면대) 등을 확인하였다.
지역 내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요양병원 등 의료기관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감염관리 교육내용을 개발하고,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 강화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질병관리청 권역질병대응센터-지자체가 협력하여 지역 내 감염병 대응을 위한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시기 입원환자에 대한 항생제 처방이 증가하여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2022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의 보고로 팬데믹 이후 항생제 내성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1]. 질병관리청은 항생제 내성균(다제내성균 6종)1) 감염에 의한 의료관련감염병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하고 발생 감시체계를 운영 중이며, 이 중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감염증은 2010년 표본감시체계에서 2017년 전수감시체계로 전환되었고[2], 전수감시 후 신고건은 2018년 11,954건에서 2022년 30,522건으로 지속 증가하고 있다[3].
CRE 감염증의 항생제 내성 기전 중 카바페넴분해효소를 생성하는 카바페넴분해효소 생성 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CP-CRE) 감염증은 항생제 내성 분해효소 유전자를 다른 병원체로 전파할 수 있어[4], 의료기관 신고 시 CP-CRE 확인검사를 통해 양성일 경우 ‘CP-CRE 감염증 신고서’를 추가 신고하도록 정하고 있다[2].
질병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2021년 CP-CRE 감염증 신고서를 통해 보고된 14,320건 중 시도별 분포는 서울 25.9% (3,715건), 경기 18.9% (2,704건)에 이어 부산광역시가 9.7% (1,395건)를 차지하며 비수도권 시도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5].
질병관리청 경남권질병대응센터(경남권센터)에서는 부산광역시 내 의료기관(종합병원, 요양병원)에서 CRE 등 항생제 내성균에 의한 의료관련감염병 발생 특성을 파악하여, 지역 내 의료관련감염병 예방 전략을 수립하는 데 활용하고자, 경남권센터, 부산광역시청(감염병관리지원단) 및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보환연) 등 지역 내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합동기획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원고에서는 기획조사 내용과 결과를 소개하고, 나아가 지역 내 감염병 대응을 위한 권역질병대응센터-지자체 협업체계 운영성과를 알리고자 하였다.
본 기획조사는 크게 CRE/CP-CRE 신고건 특성분석과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 실태 파악을 위한 환경검체 분석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CRE/CP-CRE 사례 특성은 부산광역시 의료기관([상급]종합병원 23개, 요양병원 20개 기관)에서 2022년 6월–12월 신고된 CRE 사례조사서/CP-CRE 신고서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하였고, CRE 사례건 중 CP-CRE 신고건이 차지하는 비율을 양성률로 나타내었다.
환경검체 분석은 부산광역시에서 2022년 6월–12월 CRE 집단발생을 신고한 요양병원 20개 기관별(표 1)로 약 20개 검체, 약 400개를 2023년 1월–2월에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검체 채취 부위(spots)는 기본적으로 2021년 의료관련감염병 관리지침 내 환경점검 목록을 참고하여, 전문가 자문2)을 거쳐 습기가 많고, 환자/의료진 접촉빈도가 높은 곳을 추가하여 작성하였다. 선정된 검체 채취 부위 목록과 각 부위별 채취방법은 표 2에 나타내었다.
의료기관 코드 | 병상 수 | 총합계 | 2022년 | 검출부위a) | ||||||||
---|---|---|---|---|---|---|---|---|---|---|---|---|
163 | % | 6월 (n=7) | 7월 (n=34) | 8월 (n=36) | 9월 (n=22) | 10월 (n=31) | 11월 (n=20) | 12월 (n=13) | ||||
1b) | 226 | 9 | 5.5 | 1 | 3 | 2 | 2 | 1 | ||||
2b) | 197 | 23 | 14.1 | 5 | 7 | 3 | 3 | 2 | 3 | -환자 병실 손위생 세면대 표면 | ||
3b) | 248 | 9 | 5.5 | 2 | 1 | 2 | 1 | 3 | -환자 병실 손위생 세면대 표면 | |||
4b) | 172 | 16 | 9.8 | 3 | 2 | 4 | 4 | 1 | 2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 | ||
5 | 257 | 5 | 3.1 | 1 | 1 | 2 | 1 | |||||
6b) | 209 | 12 | 7.4 | 3 | 2 | 1 | 3 | 2 | 1 | |||
7 | 407 | 1 | 0.6 | 1 | ||||||||
8 | 352 | 1 | 0.6 | 1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 | |||||||
9 | 372 | 7 | 4.3 | 1 | 2 | 3 | 1 | |||||
10 | 295 | 7 | 4.3 | 1 | 3 | 3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 | |||||
11b) | 136 | 20 | 12.3 | 3 | 6 | 2 | 6 | 3 | ||||
12 | 180 | 3 | 1.8 | 3 | -환자 병실 손위생 세면대 표면 | |||||||
13 | 223 | 9 | 5.5 | 1 | 2 | 4 | 1 | 1 | ||||
14b) | 288 | 9 | 5.5 | 2 | 1 | 1 | 4 | 1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 | |||
15b) | 580 | 10 | 6.1 | 2 | 2 | 2 | 2 | 2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 | |||
16 | 176 | 5 | 3.1 | 2 | 2 | 1 | ||||||
17 | 539 | 7 | 4.3 | 3 | 2 | 1 | 1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수도 손잡이 | ||||
18 | 199 | 3 | 1.8 | 1 | 1 | 1 | ||||||
19 | 397 | 3 | 1.8 | 2 | 1 | -환자 병실 손위생 세면대 표면 | ||||||
20 | 374 | 4 | 2.5 | 1 | 2 | 1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 |
a)각 검출부위 별 1건. b)CRE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신고 지속기관(#13 기관은 2달 간 사례 미발생으로 제외).
코드 | 검체 채취 부위 | 검체 채취 부위 정의 |
---|---|---|
1 | 환자 침상 난간 | 환자 팔과 가까운 침상 난간의 위와 아래를 30초 동안 문지름 |
2 | 환자 침상 테이블 | 테이블을 펼쳤을 때 환자와 닿는 측면부를 30초 동안 문지름 |
3 | 다인실 환자 침상 옆 커튼 | 커튼 바깥쪽 가장자리 가로 20 cm, 세로 30 cm 면적 부위를 30초 동안 문지름(예: 총 길이 190 cm의 커튼일 경우 상단으로부터 약 80 cm 아래 부위–하단으로부터 80 cm 지점) |
4 | 환자 병실 손위생 세면대 표면 | 세면대 가운데 표면 부위를 30초 동안 문지름 |
5 | 환자 병실 손위생 세면대 수도 손잡이 | 손잡이 윗부분 전체와 손잡이 아랫면을 30초 동안 문지름 |
6 | 환자 병실 문 손잡이 | 손잡이의 겉면과 안쪽면 전체를 30초 동안 문지름 |
7 | 환자 병실 화장실 변기 시트(병실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 환자공용 화장실) | 변기시트의 전면부를 30초 동안 문지름 |
8 | 환자 병실 화장실 변기 물내림 손잡이(병실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 환자공용 화장실) | 물내림 손잡이 전 부위를 30초동안 문지름 |
9 | 환자 병실 화장실 세면대 표면(병실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 환자공용 화장실) | 세면대 가운데 표면 부위를 30초 동안 문지름 |
10 | 환자 병실 화장실 세면대 수도 손잡이(병실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 환자공용 화장실) | 손잡이 윗부분 전체와 손잡이 아랫면을 30초 동안 문지름 |
11 | 환자 병실 화장실 세면대 수도꼭지(병실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 환자공용 화장실) | 수도꼭지 안쪽을 30초 동안 문지름 |
12 | 환자 병실 샤워실 샤워기 손잡이(병실에 샤워실이 없는 경우, 환자공용 화장실) | 손잡이 윗부분 전체와 손잡이 아랫면을 30초 동안 문지름 |
13 | 인공호흡기용 가습기(ventilator humidifier) 내부 | 내부의 물 제거 후 면봉(swab)을 사용하여 내부 부위를 돌아가며 30초 동안 문지름 |
14 | 간호사스테이션 마우스 | 마우스 전체를 30초 동안 문지름 |
15 | 간호사스테이션 키보드 | 오른쪽 숫자를 포함한 자판 윗부분을 30초 동안 문지름 |
16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예: 간호사스테이션 등 의료진 환자 처치 준비구역) | 세면대 가운데 표면 부위를 30초 동안 문지름 |
17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수도 손잡이(예: 간호사스테이션 등 의료진 환자 처치 준비구역) | 손잡이 윗부분 전체와 손잡이 아랫면을 30초 동안 문지름 |
18 | 근무자 근무복 앞면 | 간호사 또는 간병사 근무복(앞치마 등)의 허리 아래 부위를 30초 동안 문지름 |
본 기획조사를 위해 경남권센터와 부산광역시가 참여하는 수행체계를 구축하였고, 각 기관의 역할 분담은 표 3에 기술하였다.
기관 구분 | 질병관리청 경남권질병대응센터 | 부산광역시청(감염병관리지원단) |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
기관별 역할 | 조사기획∙관리 | 의료기관 협조 | 환경검체 분석 |
자료분석 | 환경검체 채취 | 추가 연구 | |
전문가 자문 | 역학조사(향후 필요 시) | ||
환경검체 채취 | |||
검체 배송 | |||
역학조사(향후 필요 시) |
환경검체는 Pipette Swab Plus (Saline; 3M)를 사용하여 표 2에 기술된 방법으로 채취하였다. 부산광역시 보환연에서 환경검체에 대한 균주 분리동정, carbapenemase 유전형 분석 및 카바페넴계 항생제(ertapenem, imipenem, meropenem, doripenem 등 4종)에 대한 감수성을 확인하였다[6]. 구체적으로 균주 동정은 CHROMagarTM KPC (Hangang)에 도말, 배양 후 선별된 집락을 순수 분리하여 VITEK 2 Compact (BioMerieux) 장비로 최종 확인하였다. 항생제 감수성 시험을 위해 순수 분리한 균의 2–3개 집락을 현탁시킨 균액을 동결건조된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 4종이 도포된 TREK MIC plate (Sensititre KORN MIC plate; Thermo)에 접종, 배양한 후 각 항생제가 균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최소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를 Clinical &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CLSI) 기준에 따라 판독하였다. carbapenemase 유전형 분석은 균주 세포로부터 분리된 DNA를 주형(template)으로 carbapenemase 10종(KPC, NDM, VIM, OXA, IMP, GES, SPM, SIM, GIM, SEM 등)을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으로 증폭한 다음 Sanger sequencing 방법으로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2022년 6월–12월까지 질병관리청 질병보건통합정보시스템에 등록된 확진사례 658건 중 CRE 사례조사서 및 CP-CRE 1차 신고서가 작성된 594 신고건(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신고 431건, 요양병원 신고 163건)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Microsoft Excel 2016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지역 내 의료기관 유형별(종합병원, 요양병원)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CRE 감염증 전파 확산 위험도를 높인다고 알려진 CP-CRE 사례는 (상급)종합병원 23개 기관에서 신고된 CRE 감염증 431건 중 320건으로 74.2%의 양성률을 보였고, 요양병원 20개 기관 CRE 163건 중 131건으로 80.4%를 보였다. 대변, 직장도말 등의 보균검체로부터 CP-CRE를 확인한 건수는 (상급)종합병원 290건(67.3%)으로 이 중 202건(69.7%)이 CP-CRE였고, 요양병원은 122건(74.8%) 중 104건으로 85.2%의 양성률을 나타내었다.
전체 합계 건(%) | (상급)종합병원 | 요양병원 | ||||||||||||
---|---|---|---|---|---|---|---|---|---|---|---|---|---|---|
합계 | CP-CRE | Non-CP-CRE | 합계 | CP-CRE | Non-CP-CRE | 검사미실시 | ||||||||
합계 | 594 (100.0) | 431 (100.0) | 320 (100.0) | 111 (100.0) | 163 (100.0) | 131 (100.0) | 23 (100.0) | 9 (100.0) | ||||||
CP-CRE 발병 건수(%) | 451 (75.9) | 320 (74.2) | 320 (74.2) | 111 (25.8) | 131 (80.4) | 131 (80.4) | 23 (14.1) | 0 (0.0) | ||||||
검체 종류 | ||||||||||||||
보균검체(대변, 직장도말) | 412 (69.4) | 290 (67.3) | 202 (63.1) | 88 (79.3) | 122 (74.8) | 104 (79.4) | 18 (78.3) | 0 (0.0) | ||||||
임상검체(blood, urine) | 166 (27.9) | 136 (31.6) | 113 (35.3) | 23 (20.7) | 30 (18.4) | 25 (19.1) | 5 (21.7) | 0 (0.0) | ||||||
기타(환자삽입기구 등) | 7 (1.2) | 5 (1.2) | 5 (1.6) | 0 (0.0) | 2 (1.2) | 2 (1.5) | 0 (0.0) | 0 (0.0) | ||||||
미확인 | 9 (1.5) | 0 (0.0) | 0 (0.0) | 0 (0.0) | 9 (5.5) | 0 (0.0) | 0 (0.0) | 9 (100.0) | ||||||
입원일-검체 채취일 | ||||||||||||||
2일 이내 | 221 (37.2) | 138 (32.0) | 101 (31.6) | 37 (33.3) | 83 (50.9) | 67 (51.1) | 16 (69.6) | 0 (0.0) | ||||||
2일 초과 | 337 (56.7) | 267 (61.9) | 198 (61.9) | 69 (62.2) | 70 (42.9) | 63 (48.1) | 7 (30.4) | 0 (0.0) | ||||||
미확인 | 36 (6.1) | 26 (6.0) | 21 (6.6) | 5 (4.5) | 10 (6.1) | 1 (0.8) | 0 (0.0) | 9 (100.0) | ||||||
확진 후 격리형태 | ||||||||||||||
1인실 | 297 (50.0) | 269 (62.4) | 205 (64.1) | 64 (57.7) | 28 (17.2) | 22 (16.8) | 6 (26.1) | 0 (0.0) | ||||||
코호트 격리(2인 이상) | 156 (26.3) | 33 (7.7) | 28 (8.8) | 5 (4.5) | 123 (75.5) | 108 (82.4) | 15 (65.2) | 0 (0.0) | ||||||
격리 미실시 | 132 (22.2) | 129 (29.9) | 87 (27.2) | 42 (37.8) | 3 (1.8) | 1 (0.8) | 2 (8.7) | 0 (0.0) | ||||||
미확인 | 9 (1.5) | 0 (0.0) | 0 (0.0) | 0 (0.0) | 9 (5.5) | 0 (0.0) | 0 (0.0) | 9 (100.0) |
CRE=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P-CRE=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의료기관 입원일로부터 검체 채취일이 2일 이내인 CRE 신고건은 2일 초과건에 비해 감염원 외부유입에 따른 발생 가능성이 높아 신고건을 2일 이내와 2일 초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상급)종합병원은 431건 중 32.0%가 2일 이내인 반면, 2일 초과는 62.0%로 2배 정도 높았으나, 요양병원 163건 중 50.9%가 2일 이내, 42.9%가 2일 초과로 차이가 비교적 작았다.
확진 후 격리형태는 (상급)종합병원 신고건 중 62.4%가 1인실 격리였으나, 격리 미실시도 29.9%를 나타냈으며, 요양병원은 코호트 격리(2인 이상)가 79.9%로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1인실 격리 18.2%, 격리 미실시가 2.0%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상급)종합병원보다 시설, 공간에 제한이 많을 수 있는 요양병원에서 CRE 환자에 대해 코호트 격리를 주로 실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산광역시 내 CRE 발생 신고기관의 감염관리 상황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감염관리 교육내용을 개발하고자 실시한 환경검체 분석은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는 기관 내 광범위한 장소 접근에 대한 기관 협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였기 때문이다. 20개 요양병원별로 표 1에 나타난 부위에서 검체를 채취하여 보환연에 분석을 의뢰하였고, 총 395개 검체 중 18개 검체(4.6%)에서 8종의 카바페넴분해효소 생성 내성균(carbapenemase-producing microorganisms, CPM)을 확인하였다, 18개 검체 모두에서 총 4종의 carbapenemase 유전형을 확인하였다(표 5).
구분 | 계 | Klebsiella pneumoniae | Enterobacter spp. | Citrobacter freundii | Acinetobacter baumannii | Acinetobacter haemolyticus | Acinetobacter junii | Acinetobacter lwoffii | Aeromonas hydrophila caviae | |
---|---|---|---|---|---|---|---|---|---|---|
Carbapenemase 유전형 | KPC | KPC, NDM | KPC | VIM, NDM | NDM | VIM, NDM | IMP, NDM | NDM | ||
합계 | 18 | 2 | 2 | 1 | 4 | 2 | 3 | 3 | 1 | |
기관별 소계 | #2 | 3 | - | - | 1 | - | 2 | - | - | - |
#3 | 3 | - | - | - | 2VIM | - | 1NDM | - | - | |
#4 | 1 | - | 1KPC, NDM | - | - | - | - | - | - | |
#8 | 1 | - | - | - | 1NDM | - | - | - | - | |
#10 | 1 | - | 1KPC | - | - | - | - | - | - | |
#12 | 2 | 1 | - | - | 1VIM | - | - | - | - | |
#14 | 1 | - | - | - | - | - | 1NDM | - | - | |
#15 | 2 | 1 | - | - | - | - | - | 1VIM | - | |
#17 | 1 | - | - | - | - | - | 1VIM | - | - | |
#19 | 2 | - | - | - | - | - | - | 1VIM | 1 | |
#20 | 1 | - | - | - | - | - | - | 1IMP | - |
18개 CPM 중 CRE는 5건(27.8%)이었고, Acinetobacter spp.는 12건(66.7%), 이 중 Acinetobaterbaumannii 4건(CRAB)을 확인하였다(그림 1A). Carbapenemase 유전형은 18개 CPM으로부터 19개(NDM 7건, VIM 6건, KPC 5건, IMP 1건) 검출되었고, 5건의 CRE 양성검체에서 확인된 carbapenemase 유전형은 모두 KPC였다. CRAB 4건에서는 NDM 2건, VIM 2건이 확인되었다.
18개 CPM 검출부위 모두 환자 병실이나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에서 확인되었다(환자병실 내 화장실 등의 세면대 8건,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10건; 그림 1B). 18개 양성검체가 20개 요양병원 중 11개 기관에서 검출되어 기관 당 평균 1.6개 양성률을 보였다. 검출된 11개 기관 중 CRE 신고율이 높은 기관은 CRE 지속 발생 기관으로 볼 수도 있으나, 오히려 CRE 환자 입원이 가능하고, 격리 등 관리를 위해 주기적으로 검사를 시행하는 요양병원일 가능성이 높고, 산발적 신고기관에서도 환경 내 내성균이 검출된 점으로 인해, CRE 환자 지속 발생과 내성균 검출 간 관련성을 단정하기는 어려웠다(표 1).
본 조사를 통해 부산광역시 내 CRE 발생 신고된 (상급)종합병원, 요양병원에서의 CRE 환자 격리형태, CP-CRE 발생현황, carbapenemase 균종/유전형 등의 정보를 확보할 수 있었다.
부산광역시의 CRE 신고건이 많은 것은 지역 내 의료기관 수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점(2023년 2월 기준 서울[24,069개], 경기[22,448개]에 이어, 부산광역시 3위[7,141개], 국가통계포털 [7])이 요인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조사에서 부산광역시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신고 CRE 중 CP-CRE 양성률이 74.2%, 요양병원은 80.4%로 나타나, CRE 신고가 상대적으로 잘 수행되고 있는 (상급)종합병원과 요양병원에서의 CP-CRE 양성률을 파악할 수 있었다(2021년 질병관리청 공식통계[5]: 전국 63.4% [14,769건/23,311건], 부산광역시 58.9% [1,395건/2,370건]).
또한 부산광역시 내 (상급)종합병원 및 요양병원 CRE 신고건 중 평균 약 70%는 보균검체로부터 확인되어, 기관 입소 전 고위험군에 대한 능동감시배양 선별검사를 독려하기 위해 의료기관 상황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확진 후 격리형태는 (상급)종합병원에서는 1인실 격리, 요양병원에서는 코호트 격리가 대다수로 나타났다. (상급)종합병원은 격리 미실시도 약 30%를 차지하였고, 특히 300병상을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 상대적으로 CRE 신고건이 적은(431건 중 22건) 100–299병상 규모 종합병원에서는 격리 미실시가 40.9% (9건/22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요양병원 등 의료기관 유형별 격리상황에 맞는 감염관리 교육내용을 개발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또한 2021년 감염관리실 설치 기준을 1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으로 강화한 정책의[3] 이행실태를 지속 점검하고, 300병상에 비해 CRE 신고율이 낮은 100–299병상 규모 종합병원에서 CRE 확진자/보균자 격리를 강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특히 본 조사를 통해 요양병원 내 환자병실이나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에서 CPM 검출이 집중된 것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결과에서 청소빈도를 높이는 것보다 청소 담당자나 의료진의 교육 강화가 감염예방에 더 효율적이라고 제안된 점[8]과 본 조사 결과를 근거로 요양병원 내 지속가능한 감염예방관리를 위해 종사자 대상으로 구체적인 맞춤교육 방안 도출이 가능할 것이다.
CRE/CPM 감염증 환자나 보균자로부터 다른 인체나 환경으로 전파, 감염확산이 일어날 수 있어[9], 환경검체 분석을 통한 감염관리 상황을 알아보는 것은 중요하다. 환경검체 분석을 통해 부산광역시 내 CRE 발생을 신고한 20개 요양병원 환경에서 검출된 CRE/CPM 균종과 carbapenemase 유전형 및 검출 장소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분석대상 기관 수가 적어 정량적 결과해석에 제한이 있고, 환경 내 내성균 검출과 CRE 환자 지속 발생과의 관련성으로 단정지어 해석하기는 어려우나, 기관 내 감염관리교육을 위한 근거자료로써의 가치는 충분히 있다고 보여진다.
분석검체의 약 5%에서 CP-CRE/CPM이 확인되었고, 이 중 Acinetobacter spp.가 약 70% 정도를 차지하였다. 전국 급성기 의료기관 및 요양병원 내 환경검체를 분석한 선행 사업 결과에서도 Acinetobacter spp.가 가장 많이 검출된 것과 일치하는 결과이다[10]. 특히 Acinetobacter spp. 중 CRAB는 카바페넴을 비롯한 항생제 다제내성균으로서 의료기관 내 주요한 의료관련감염원으로 World Health Organization과 미국 CDC에서 보고하고 있고[4,9,11,12], 질병관리청에서도 표본감시 대상(MRAB)으로 관리하고 있다.
본 조사에서 검출된 CP-CRE 유전형은 모두 KPC로, 2021년 질병관리청 집계에서 국내 CP-CRE 유전형 중 76.2%를 KPC가 차지하고 2019–2021년 3년간 검출률 증가세를 보이는 것과 일치하는 결과이다[5]. 병원체 간 수평적 전파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carbapenemase 유전자는 지리적으로 우세종이 다르며 국내 KPC 우세는 미국 등과 유사한 경향이다[11,13]. 한편 이번 환경검체 분석에서 확인된 CP-CRAB 유전형은 미국 내에서는 OXA가 우세하다고 보고되었으나[4], 본 조사에서는 NDM과 VIM이 검출되었고 이는 부산광역시에서 항생제 내성 범위(KPC>NDM>OXA [13])가 더 넓은 carbapenemase 유전형 검출 경향을 의미할 수 있어, 심층조사를 통한 확인이 필요해 보인다.
결론적으로 항생제 내성균으로 인한 의료관련감염병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주요 정책 추진(제2차 의료관련감염 예방관리 종합대책[2023–2027],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2021–2025])과 발맞추기 위해 권역질병대응센터-지자체가 공조하여 추진한 본 조사를 통해, 지역 내 유관기관이 협력하여 감염병 대응에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경남권센터는 향후 지자체와의 상시 협력체계를 강화하며 공동성과 도출 기반을 다져나갈 계획이다.
1) 전수감시대상(CRE, VRSA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및 표본감시대상(VRE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MR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PA [multidrug-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MRAB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등 총 6종
2)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정인숙 교수
Acknowledgments: The authors are grateful to Drs. Ihn-Sook Jeong (College of Nurs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Jongyoun Yi (Laborator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Jin Yong Kim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cheon Medical Center) for their expertise-based consultation. We also thank Hye-Rim Park for thoroughly commenting on the manuscript, and Soon-Jong Bae, Go-Woon Yun, and Soo-Hyun Kim for supporting sample collection.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JJL, YJK. Data curation: ESL, JJL. Formal analysis: JJL, SHJ, YRN, KAK. Investigation: SHJ, YDE, KHP, HJL. Methodology: JJL. Project administration: JJL, SHJ. Supervision: YJK, JML, PYS. Visualization: SHJ. Writing–original draft: YJK. Writing–review & editing: YJK.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28): 911-930
Published online July 20,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28.1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이지주1†, 장세혁1†, 이은솔1, 박경희2, 이현주2, 은영덕2, 이정민3, 사공필용3, 김경아4, 나영란4, 김연정1*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 시기의 항생제 사용 증가에 따른 의료기관 내 항생제 내성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항생제내성균에 의한 감염증 중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감염증 신고건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부산광역시는 비수도권 시도 중 의료기관 수가 많아 카바페넴분해효소 생성 CRE (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CP-CRE) 감염증 신고건이 가장 높게 나타나, 이에 대한 실태 파악을 위해 경남권질병대응센터-부산광역시청(감염병관리지원단)-보건환경연구원이 합동으로 기획조사를 실시하였다. 2022년 6월–12월 부산광역시 내 CRE 발생 신고된 23개(상급)종합병원 및 20개 요양병원에서의 CRE 사례조사서 분석과 환경검체 분석을 통해, 종합병원/요양병원 등 의료기관 유형별 CRE 환자 격리형태, CP-CRE 발생현황, carbapenemase 균종/유전형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조사 결과를 통해 지역 내 의료기관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감염예방관리 교육내용을 개발하고, 의료기관 대상 지속가능한 감염관리 방안을 독려할 수 있는 근거기반을 마련하였으며, 나아가 지역 내 감염병 대응이라는 공동의 목적을 위해 유관기관 간 협력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카바페넴계 항생제 내성균 감염증, 카바페넴 분해효소, 항생제 내성 <,i>,Acinetobacter<,/i>,, 항생제 내성, 의료관련감염병
항생제 내성균 중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ase-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감염증 신고건이 2018년 11,954건에서 2022년 30,522건으로 증가하였고, 부산광역시는 의료기관 수가 많아 비수도권 시도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남권질병대응센터-지자체 합동조사를 통해 부산광역시 내 CRE 감염증을 신고한 (상급)종합병원과 요양병원 유형별로 CRE 환자 격리형태(1인실 격리 vs. 코호트 격리), 카바페넴 분해효소 생성 CRE 발병률(74.2% vs. 80.4%) 및 의료기관 내 카바페넴분해효소 생성 내성균 검출 장소(환자 및 의료진 사용 세면대) 등을 확인하였다.
지역 내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요양병원 등 의료기관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감염관리 교육내용을 개발하고,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 강화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질병관리청 권역질병대응센터-지자체가 협력하여 지역 내 감염병 대응을 위한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시기 입원환자에 대한 항생제 처방이 증가하여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2022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의 보고로 팬데믹 이후 항생제 내성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1]. 질병관리청은 항생제 내성균(다제내성균 6종)1) 감염에 의한 의료관련감염병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하고 발생 감시체계를 운영 중이며, 이 중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감염증은 2010년 표본감시체계에서 2017년 전수감시체계로 전환되었고[2], 전수감시 후 신고건은 2018년 11,954건에서 2022년 30,522건으로 지속 증가하고 있다[3].
CRE 감염증의 항생제 내성 기전 중 카바페넴분해효소를 생성하는 카바페넴분해효소 생성 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CP-CRE) 감염증은 항생제 내성 분해효소 유전자를 다른 병원체로 전파할 수 있어[4], 의료기관 신고 시 CP-CRE 확인검사를 통해 양성일 경우 ‘CP-CRE 감염증 신고서’를 추가 신고하도록 정하고 있다[2].
질병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2021년 CP-CRE 감염증 신고서를 통해 보고된 14,320건 중 시도별 분포는 서울 25.9% (3,715건), 경기 18.9% (2,704건)에 이어 부산광역시가 9.7% (1,395건)를 차지하며 비수도권 시도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5].
질병관리청 경남권질병대응센터(경남권센터)에서는 부산광역시 내 의료기관(종합병원, 요양병원)에서 CRE 등 항생제 내성균에 의한 의료관련감염병 발생 특성을 파악하여, 지역 내 의료관련감염병 예방 전략을 수립하는 데 활용하고자, 경남권센터, 부산광역시청(감염병관리지원단) 및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보환연) 등 지역 내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합동기획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원고에서는 기획조사 내용과 결과를 소개하고, 나아가 지역 내 감염병 대응을 위한 권역질병대응센터-지자체 협업체계 운영성과를 알리고자 하였다.
본 기획조사는 크게 CRE/CP-CRE 신고건 특성분석과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 실태 파악을 위한 환경검체 분석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CRE/CP-CRE 사례 특성은 부산광역시 의료기관([상급]종합병원 23개, 요양병원 20개 기관)에서 2022년 6월–12월 신고된 CRE 사례조사서/CP-CRE 신고서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하였고, CRE 사례건 중 CP-CRE 신고건이 차지하는 비율을 양성률로 나타내었다.
환경검체 분석은 부산광역시에서 2022년 6월–12월 CRE 집단발생을 신고한 요양병원 20개 기관별(표 1)로 약 20개 검체, 약 400개를 2023년 1월–2월에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검체 채취 부위(spots)는 기본적으로 2021년 의료관련감염병 관리지침 내 환경점검 목록을 참고하여, 전문가 자문2)을 거쳐 습기가 많고, 환자/의료진 접촉빈도가 높은 곳을 추가하여 작성하였다. 선정된 검체 채취 부위 목록과 각 부위별 채취방법은 표 2에 나타내었다.
의료기관 코드 | 병상 수 | 총합계 | 2022년 | 검출부위a) | ||||||||
---|---|---|---|---|---|---|---|---|---|---|---|---|
163 | % | 6월 (n=7) | 7월 (n=34) | 8월 (n=36) | 9월 (n=22) | 10월 (n=31) | 11월 (n=20) | 12월 (n=13) | ||||
1b) | 226 | 9 | 5.5 | 1 | 3 | 2 | 2 | 1 | ||||
2b) | 197 | 23 | 14.1 | 5 | 7 | 3 | 3 | 2 | 3 | -환자 병실 손위생 세면대 표면 | ||
3b) | 248 | 9 | 5.5 | 2 | 1 | 2 | 1 | 3 | -환자 병실 손위생 세면대 표면 | |||
4b) | 172 | 16 | 9.8 | 3 | 2 | 4 | 4 | 1 | 2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 | ||
5 | 257 | 5 | 3.1 | 1 | 1 | 2 | 1 | |||||
6b) | 209 | 12 | 7.4 | 3 | 2 | 1 | 3 | 2 | 1 | |||
7 | 407 | 1 | 0.6 | 1 | ||||||||
8 | 352 | 1 | 0.6 | 1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 | |||||||
9 | 372 | 7 | 4.3 | 1 | 2 | 3 | 1 | |||||
10 | 295 | 7 | 4.3 | 1 | 3 | 3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 | |||||
11b) | 136 | 20 | 12.3 | 3 | 6 | 2 | 6 | 3 | ||||
12 | 180 | 3 | 1.8 | 3 | -환자 병실 손위생 세면대 표면 | |||||||
13 | 223 | 9 | 5.5 | 1 | 2 | 4 | 1 | 1 | ||||
14b) | 288 | 9 | 5.5 | 2 | 1 | 1 | 4 | 1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 | |||
15b) | 580 | 10 | 6.1 | 2 | 2 | 2 | 2 | 2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 | |||
16 | 176 | 5 | 3.1 | 2 | 2 | 1 | ||||||
17 | 539 | 7 | 4.3 | 3 | 2 | 1 | 1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수도 손잡이 | ||||
18 | 199 | 3 | 1.8 | 1 | 1 | 1 | ||||||
19 | 397 | 3 | 1.8 | 2 | 1 | -환자 병실 손위생 세면대 표면 | ||||||
20 | 374 | 4 | 2.5 | 1 | 2 | 1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 |
a)각 검출부위 별 1건. b)CRE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신고 지속기관(#13 기관은 2달 간 사례 미발생으로 제외)..
코드 | 검체 채취 부위 | 검체 채취 부위 정의 |
---|---|---|
1 | 환자 침상 난간 | 환자 팔과 가까운 침상 난간의 위와 아래를 30초 동안 문지름 |
2 | 환자 침상 테이블 | 테이블을 펼쳤을 때 환자와 닿는 측면부를 30초 동안 문지름 |
3 | 다인실 환자 침상 옆 커튼 | 커튼 바깥쪽 가장자리 가로 20 cm, 세로 30 cm 면적 부위를 30초 동안 문지름(예: 총 길이 190 cm의 커튼일 경우 상단으로부터 약 80 cm 아래 부위–하단으로부터 80 cm 지점) |
4 | 환자 병실 손위생 세면대 표면 | 세면대 가운데 표면 부위를 30초 동안 문지름 |
5 | 환자 병실 손위생 세면대 수도 손잡이 | 손잡이 윗부분 전체와 손잡이 아랫면을 30초 동안 문지름 |
6 | 환자 병실 문 손잡이 | 손잡이의 겉면과 안쪽면 전체를 30초 동안 문지름 |
7 | 환자 병실 화장실 변기 시트(병실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 환자공용 화장실) | 변기시트의 전면부를 30초 동안 문지름 |
8 | 환자 병실 화장실 변기 물내림 손잡이(병실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 환자공용 화장실) | 물내림 손잡이 전 부위를 30초동안 문지름 |
9 | 환자 병실 화장실 세면대 표면(병실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 환자공용 화장실) | 세면대 가운데 표면 부위를 30초 동안 문지름 |
10 | 환자 병실 화장실 세면대 수도 손잡이(병실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 환자공용 화장실) | 손잡이 윗부분 전체와 손잡이 아랫면을 30초 동안 문지름 |
11 | 환자 병실 화장실 세면대 수도꼭지(병실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 환자공용 화장실) | 수도꼭지 안쪽을 30초 동안 문지름 |
12 | 환자 병실 샤워실 샤워기 손잡이(병실에 샤워실이 없는 경우, 환자공용 화장실) | 손잡이 윗부분 전체와 손잡이 아랫면을 30초 동안 문지름 |
13 | 인공호흡기용 가습기(ventilator humidifier) 내부 | 내부의 물 제거 후 면봉(swab)을 사용하여 내부 부위를 돌아가며 30초 동안 문지름 |
14 | 간호사스테이션 마우스 | 마우스 전체를 30초 동안 문지름 |
15 | 간호사스테이션 키보드 | 오른쪽 숫자를 포함한 자판 윗부분을 30초 동안 문지름 |
16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예: 간호사스테이션 등 의료진 환자 처치 준비구역) | 세면대 가운데 표면 부위를 30초 동안 문지름 |
17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수도 손잡이(예: 간호사스테이션 등 의료진 환자 처치 준비구역) | 손잡이 윗부분 전체와 손잡이 아랫면을 30초 동안 문지름 |
18 | 근무자 근무복 앞면 | 간호사 또는 간병사 근무복(앞치마 등)의 허리 아래 부위를 30초 동안 문지름 |
본 기획조사를 위해 경남권센터와 부산광역시가 참여하는 수행체계를 구축하였고, 각 기관의 역할 분담은 표 3에 기술하였다.
기관 구분 | 질병관리청 경남권질병대응센터 | 부산광역시청(감염병관리지원단) |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
기관별 역할 | 조사기획∙관리 | 의료기관 협조 | 환경검체 분석 |
자료분석 | 환경검체 채취 | 추가 연구 | |
전문가 자문 | 역학조사(향후 필요 시) | ||
환경검체 채취 | |||
검체 배송 | |||
역학조사(향후 필요 시) |
환경검체는 Pipette Swab Plus (Saline; 3M)를 사용하여 표 2에 기술된 방법으로 채취하였다. 부산광역시 보환연에서 환경검체에 대한 균주 분리동정, carbapenemase 유전형 분석 및 카바페넴계 항생제(ertapenem, imipenem, meropenem, doripenem 등 4종)에 대한 감수성을 확인하였다[6]. 구체적으로 균주 동정은 CHROMagarTM KPC (Hangang)에 도말, 배양 후 선별된 집락을 순수 분리하여 VITEK 2 Compact (BioMerieux) 장비로 최종 확인하였다. 항생제 감수성 시험을 위해 순수 분리한 균의 2–3개 집락을 현탁시킨 균액을 동결건조된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 4종이 도포된 TREK MIC plate (Sensititre KORN MIC plate; Thermo)에 접종, 배양한 후 각 항생제가 균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최소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를 Clinical &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CLSI) 기준에 따라 판독하였다. carbapenemase 유전형 분석은 균주 세포로부터 분리된 DNA를 주형(template)으로 carbapenemase 10종(KPC, NDM, VIM, OXA, IMP, GES, SPM, SIM, GIM, SEM 등)을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으로 증폭한 다음 Sanger sequencing 방법으로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2022년 6월–12월까지 질병관리청 질병보건통합정보시스템에 등록된 확진사례 658건 중 CRE 사례조사서 및 CP-CRE 1차 신고서가 작성된 594 신고건(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신고 431건, 요양병원 신고 163건)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Microsoft Excel 2016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지역 내 의료기관 유형별(종합병원, 요양병원)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CRE 감염증 전파 확산 위험도를 높인다고 알려진 CP-CRE 사례는 (상급)종합병원 23개 기관에서 신고된 CRE 감염증 431건 중 320건으로 74.2%의 양성률을 보였고, 요양병원 20개 기관 CRE 163건 중 131건으로 80.4%를 보였다. 대변, 직장도말 등의 보균검체로부터 CP-CRE를 확인한 건수는 (상급)종합병원 290건(67.3%)으로 이 중 202건(69.7%)이 CP-CRE였고, 요양병원은 122건(74.8%) 중 104건으로 85.2%의 양성률을 나타내었다.
전체 합계 건(%) | (상급)종합병원 | 요양병원 | ||||||||||||
---|---|---|---|---|---|---|---|---|---|---|---|---|---|---|
합계 | CP-CRE | Non-CP-CRE | 합계 | CP-CRE | Non-CP-CRE | 검사미실시 | ||||||||
합계 | 594 (100.0) | 431 (100.0) | 320 (100.0) | 111 (100.0) | 163 (100.0) | 131 (100.0) | 23 (100.0) | 9 (100.0) | ||||||
CP-CRE 발병 건수(%) | 451 (75.9) | 320 (74.2) | 320 (74.2) | 111 (25.8) | 131 (80.4) | 131 (80.4) | 23 (14.1) | 0 (0.0) | ||||||
검체 종류 | ||||||||||||||
보균검체(대변, 직장도말) | 412 (69.4) | 290 (67.3) | 202 (63.1) | 88 (79.3) | 122 (74.8) | 104 (79.4) | 18 (78.3) | 0 (0.0) | ||||||
임상검체(blood, urine) | 166 (27.9) | 136 (31.6) | 113 (35.3) | 23 (20.7) | 30 (18.4) | 25 (19.1) | 5 (21.7) | 0 (0.0) | ||||||
기타(환자삽입기구 등) | 7 (1.2) | 5 (1.2) | 5 (1.6) | 0 (0.0) | 2 (1.2) | 2 (1.5) | 0 (0.0) | 0 (0.0) | ||||||
미확인 | 9 (1.5) | 0 (0.0) | 0 (0.0) | 0 (0.0) | 9 (5.5) | 0 (0.0) | 0 (0.0) | 9 (100.0) | ||||||
입원일-검체 채취일 | ||||||||||||||
2일 이내 | 221 (37.2) | 138 (32.0) | 101 (31.6) | 37 (33.3) | 83 (50.9) | 67 (51.1) | 16 (69.6) | 0 (0.0) | ||||||
2일 초과 | 337 (56.7) | 267 (61.9) | 198 (61.9) | 69 (62.2) | 70 (42.9) | 63 (48.1) | 7 (30.4) | 0 (0.0) | ||||||
미확인 | 36 (6.1) | 26 (6.0) | 21 (6.6) | 5 (4.5) | 10 (6.1) | 1 (0.8) | 0 (0.0) | 9 (100.0) | ||||||
확진 후 격리형태 | ||||||||||||||
1인실 | 297 (50.0) | 269 (62.4) | 205 (64.1) | 64 (57.7) | 28 (17.2) | 22 (16.8) | 6 (26.1) | 0 (0.0) | ||||||
코호트 격리(2인 이상) | 156 (26.3) | 33 (7.7) | 28 (8.8) | 5 (4.5) | 123 (75.5) | 108 (82.4) | 15 (65.2) | 0 (0.0) | ||||||
격리 미실시 | 132 (22.2) | 129 (29.9) | 87 (27.2) | 42 (37.8) | 3 (1.8) | 1 (0.8) | 2 (8.7) | 0 (0.0) | ||||||
미확인 | 9 (1.5) | 0 (0.0) | 0 (0.0) | 0 (0.0) | 9 (5.5) | 0 (0.0) | 0 (0.0) | 9 (100.0) |
CRE=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P-CRE=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의료기관 입원일로부터 검체 채취일이 2일 이내인 CRE 신고건은 2일 초과건에 비해 감염원 외부유입에 따른 발생 가능성이 높아 신고건을 2일 이내와 2일 초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상급)종합병원은 431건 중 32.0%가 2일 이내인 반면, 2일 초과는 62.0%로 2배 정도 높았으나, 요양병원 163건 중 50.9%가 2일 이내, 42.9%가 2일 초과로 차이가 비교적 작았다.
확진 후 격리형태는 (상급)종합병원 신고건 중 62.4%가 1인실 격리였으나, 격리 미실시도 29.9%를 나타냈으며, 요양병원은 코호트 격리(2인 이상)가 79.9%로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1인실 격리 18.2%, 격리 미실시가 2.0%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상급)종합병원보다 시설, 공간에 제한이 많을 수 있는 요양병원에서 CRE 환자에 대해 코호트 격리를 주로 실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산광역시 내 CRE 발생 신고기관의 감염관리 상황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감염관리 교육내용을 개발하고자 실시한 환경검체 분석은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는 기관 내 광범위한 장소 접근에 대한 기관 협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였기 때문이다. 20개 요양병원별로 표 1에 나타난 부위에서 검체를 채취하여 보환연에 분석을 의뢰하였고, 총 395개 검체 중 18개 검체(4.6%)에서 8종의 카바페넴분해효소 생성 내성균(carbapenemase-producing microorganisms, CPM)을 확인하였다, 18개 검체 모두에서 총 4종의 carbapenemase 유전형을 확인하였다(표 5).
구분 | 계 | Klebsiella pneumoniae | Enterobacter spp. | Citrobacter freundii | Acinetobacter baumannii | Acinetobacter haemolyticus | Acinetobacter junii | Acinetobacter lwoffii | Aeromonas hydrophila caviae | |
---|---|---|---|---|---|---|---|---|---|---|
Carbapenemase 유전형 | KPC | KPC, NDM | KPC | VIM, NDM | NDM | VIM, NDM | IMP, NDM | NDM | ||
합계 | 18 | 2 | 2 | 1 | 4 | 2 | 3 | 3 | 1 | |
기관별 소계 | #2 | 3 | - | - | 1 | - | 2 | - | - | - |
#3 | 3 | - | - | - | 2VIM | - | 1NDM | - | - | |
#4 | 1 | - | 1KPC, NDM | - | - | - | - | - | - | |
#8 | 1 | - | - | - | 1NDM | - | - | - | - | |
#10 | 1 | - | 1KPC | - | - | - | - | - | - | |
#12 | 2 | 1 | - | - | 1VIM | - | - | - | - | |
#14 | 1 | - | - | - | - | - | 1NDM | - | - | |
#15 | 2 | 1 | - | - | - | - | - | 1VIM | - | |
#17 | 1 | - | - | - | - | - | 1VIM | - | - | |
#19 | 2 | - | - | - | - | - | - | 1VIM | 1 | |
#20 | 1 | - | - | - | - | - | - | 1IMP | - |
18개 CPM 중 CRE는 5건(27.8%)이었고, Acinetobacter spp.는 12건(66.7%), 이 중 Acinetobaterbaumannii 4건(CRAB)을 확인하였다(그림 1A). Carbapenemase 유전형은 18개 CPM으로부터 19개(NDM 7건, VIM 6건, KPC 5건, IMP 1건) 검출되었고, 5건의 CRE 양성검체에서 확인된 carbapenemase 유전형은 모두 KPC였다. CRAB 4건에서는 NDM 2건, VIM 2건이 확인되었다.
18개 CPM 검출부위 모두 환자 병실이나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에서 확인되었다(환자병실 내 화장실 등의 세면대 8건,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10건; 그림 1B). 18개 양성검체가 20개 요양병원 중 11개 기관에서 검출되어 기관 당 평균 1.6개 양성률을 보였다. 검출된 11개 기관 중 CRE 신고율이 높은 기관은 CRE 지속 발생 기관으로 볼 수도 있으나, 오히려 CRE 환자 입원이 가능하고, 격리 등 관리를 위해 주기적으로 검사를 시행하는 요양병원일 가능성이 높고, 산발적 신고기관에서도 환경 내 내성균이 검출된 점으로 인해, CRE 환자 지속 발생과 내성균 검출 간 관련성을 단정하기는 어려웠다(표 1).
본 조사를 통해 부산광역시 내 CRE 발생 신고된 (상급)종합병원, 요양병원에서의 CRE 환자 격리형태, CP-CRE 발생현황, carbapenemase 균종/유전형 등의 정보를 확보할 수 있었다.
부산광역시의 CRE 신고건이 많은 것은 지역 내 의료기관 수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점(2023년 2월 기준 서울[24,069개], 경기[22,448개]에 이어, 부산광역시 3위[7,141개], 국가통계포털 [7])이 요인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조사에서 부산광역시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신고 CRE 중 CP-CRE 양성률이 74.2%, 요양병원은 80.4%로 나타나, CRE 신고가 상대적으로 잘 수행되고 있는 (상급)종합병원과 요양병원에서의 CP-CRE 양성률을 파악할 수 있었다(2021년 질병관리청 공식통계[5]: 전국 63.4% [14,769건/23,311건], 부산광역시 58.9% [1,395건/2,370건]).
또한 부산광역시 내 (상급)종합병원 및 요양병원 CRE 신고건 중 평균 약 70%는 보균검체로부터 확인되어, 기관 입소 전 고위험군에 대한 능동감시배양 선별검사를 독려하기 위해 의료기관 상황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확진 후 격리형태는 (상급)종합병원에서는 1인실 격리, 요양병원에서는 코호트 격리가 대다수로 나타났다. (상급)종합병원은 격리 미실시도 약 30%를 차지하였고, 특히 300병상을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 상대적으로 CRE 신고건이 적은(431건 중 22건) 100–299병상 규모 종합병원에서는 격리 미실시가 40.9% (9건/22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요양병원 등 의료기관 유형별 격리상황에 맞는 감염관리 교육내용을 개발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또한 2021년 감염관리실 설치 기준을 1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으로 강화한 정책의[3] 이행실태를 지속 점검하고, 300병상에 비해 CRE 신고율이 낮은 100–299병상 규모 종합병원에서 CRE 확진자/보균자 격리를 강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특히 본 조사를 통해 요양병원 내 환자병실이나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에서 CPM 검출이 집중된 것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결과에서 청소빈도를 높이는 것보다 청소 담당자나 의료진의 교육 강화가 감염예방에 더 효율적이라고 제안된 점[8]과 본 조사 결과를 근거로 요양병원 내 지속가능한 감염예방관리를 위해 종사자 대상으로 구체적인 맞춤교육 방안 도출이 가능할 것이다.
CRE/CPM 감염증 환자나 보균자로부터 다른 인체나 환경으로 전파, 감염확산이 일어날 수 있어[9], 환경검체 분석을 통한 감염관리 상황을 알아보는 것은 중요하다. 환경검체 분석을 통해 부산광역시 내 CRE 발생을 신고한 20개 요양병원 환경에서 검출된 CRE/CPM 균종과 carbapenemase 유전형 및 검출 장소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분석대상 기관 수가 적어 정량적 결과해석에 제한이 있고, 환경 내 내성균 검출과 CRE 환자 지속 발생과의 관련성으로 단정지어 해석하기는 어려우나, 기관 내 감염관리교육을 위한 근거자료로써의 가치는 충분히 있다고 보여진다.
분석검체의 약 5%에서 CP-CRE/CPM이 확인되었고, 이 중 Acinetobacter spp.가 약 70% 정도를 차지하였다. 전국 급성기 의료기관 및 요양병원 내 환경검체를 분석한 선행 사업 결과에서도 Acinetobacter spp.가 가장 많이 검출된 것과 일치하는 결과이다[10]. 특히 Acinetobacter spp. 중 CRAB는 카바페넴을 비롯한 항생제 다제내성균으로서 의료기관 내 주요한 의료관련감염원으로 World Health Organization과 미국 CDC에서 보고하고 있고[4,9,11,12], 질병관리청에서도 표본감시 대상(MRAB)으로 관리하고 있다.
본 조사에서 검출된 CP-CRE 유전형은 모두 KPC로, 2021년 질병관리청 집계에서 국내 CP-CRE 유전형 중 76.2%를 KPC가 차지하고 2019–2021년 3년간 검출률 증가세를 보이는 것과 일치하는 결과이다[5]. 병원체 간 수평적 전파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carbapenemase 유전자는 지리적으로 우세종이 다르며 국내 KPC 우세는 미국 등과 유사한 경향이다[11,13]. 한편 이번 환경검체 분석에서 확인된 CP-CRAB 유전형은 미국 내에서는 OXA가 우세하다고 보고되었으나[4], 본 조사에서는 NDM과 VIM이 검출되었고 이는 부산광역시에서 항생제 내성 범위(KPC>NDM>OXA [13])가 더 넓은 carbapenemase 유전형 검출 경향을 의미할 수 있어, 심층조사를 통한 확인이 필요해 보인다.
결론적으로 항생제 내성균으로 인한 의료관련감염병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주요 정책 추진(제2차 의료관련감염 예방관리 종합대책[2023–2027],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2021–2025])과 발맞추기 위해 권역질병대응센터-지자체가 공조하여 추진한 본 조사를 통해, 지역 내 유관기관이 협력하여 감염병 대응에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경남권센터는 향후 지자체와의 상시 협력체계를 강화하며 공동성과 도출 기반을 다져나갈 계획이다.
1) 전수감시대상(CRE, VRSA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및 표본감시대상(VRE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MR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PA [multidrug-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MRAB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등 총 6종
2)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정인숙 교수
Acknowledgments: The authors are grateful to Drs. Ihn-Sook Jeong (College of Nurs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Jongyoun Yi (Laborator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Jin Yong Kim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cheon Medical Center) for their expertise-based consultation. We also thank Hye-Rim Park for thoroughly commenting on the manuscript, and Soon-Jong Bae, Go-Woon Yun, and Soo-Hyun Kim for supporting sample collection.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JJL, YJK. Data curation: ESL, JJL. Formal analysis: JJL, SHJ, YRN, KAK. Investigation: SHJ, YDE, KHP, HJL. Methodology: JJL. Project administration: JJL, SHJ. Supervision: YJK, JML, PYS. Visualization: SHJ. Writing–original draft: YJK. Writing–review & editing: YJK.
의료기관 코드 | 병상 수 | 총합계 | 2022년 | 검출부위a) | ||||||||
---|---|---|---|---|---|---|---|---|---|---|---|---|
163 | % | 6월 (n=7) | 7월 (n=34) | 8월 (n=36) | 9월 (n=22) | 10월 (n=31) | 11월 (n=20) | 12월 (n=13) | ||||
1b) | 226 | 9 | 5.5 | 1 | 3 | 2 | 2 | 1 | ||||
2b) | 197 | 23 | 14.1 | 5 | 7 | 3 | 3 | 2 | 3 | -환자 병실 손위생 세면대 표면 | ||
3b) | 248 | 9 | 5.5 | 2 | 1 | 2 | 1 | 3 | -환자 병실 손위생 세면대 표면 | |||
4b) | 172 | 16 | 9.8 | 3 | 2 | 4 | 4 | 1 | 2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 | ||
5 | 257 | 5 | 3.1 | 1 | 1 | 2 | 1 | |||||
6b) | 209 | 12 | 7.4 | 3 | 2 | 1 | 3 | 2 | 1 | |||
7 | 407 | 1 | 0.6 | 1 | ||||||||
8 | 352 | 1 | 0.6 | 1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 | |||||||
9 | 372 | 7 | 4.3 | 1 | 2 | 3 | 1 | |||||
10 | 295 | 7 | 4.3 | 1 | 3 | 3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 | |||||
11b) | 136 | 20 | 12.3 | 3 | 6 | 2 | 6 | 3 | ||||
12 | 180 | 3 | 1.8 | 3 | -환자 병실 손위생 세면대 표면 | |||||||
13 | 223 | 9 | 5.5 | 1 | 2 | 4 | 1 | 1 | ||||
14b) | 288 | 9 | 5.5 | 2 | 1 | 1 | 4 | 1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 | |||
15b) | 580 | 10 | 6.1 | 2 | 2 | 2 | 2 | 2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 | |||
16 | 176 | 5 | 3.1 | 2 | 2 | 1 | ||||||
17 | 539 | 7 | 4.3 | 3 | 2 | 1 | 1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수도 손잡이 | ||||
18 | 199 | 3 | 1.8 | 1 | 1 | 1 | ||||||
19 | 397 | 3 | 1.8 | 2 | 1 | -환자 병실 손위생 세면대 표면 | ||||||
20 | 374 | 4 | 2.5 | 1 | 2 | 1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 |
a)각 검출부위 별 1건. b)CRE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신고 지속기관(#13 기관은 2달 간 사례 미발생으로 제외)..
코드 | 검체 채취 부위 | 검체 채취 부위 정의 |
---|---|---|
1 | 환자 침상 난간 | 환자 팔과 가까운 침상 난간의 위와 아래를 30초 동안 문지름 |
2 | 환자 침상 테이블 | 테이블을 펼쳤을 때 환자와 닿는 측면부를 30초 동안 문지름 |
3 | 다인실 환자 침상 옆 커튼 | 커튼 바깥쪽 가장자리 가로 20 cm, 세로 30 cm 면적 부위를 30초 동안 문지름(예: 총 길이 190 cm의 커튼일 경우 상단으로부터 약 80 cm 아래 부위–하단으로부터 80 cm 지점) |
4 | 환자 병실 손위생 세면대 표면 | 세면대 가운데 표면 부위를 30초 동안 문지름 |
5 | 환자 병실 손위생 세면대 수도 손잡이 | 손잡이 윗부분 전체와 손잡이 아랫면을 30초 동안 문지름 |
6 | 환자 병실 문 손잡이 | 손잡이의 겉면과 안쪽면 전체를 30초 동안 문지름 |
7 | 환자 병실 화장실 변기 시트(병실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 환자공용 화장실) | 변기시트의 전면부를 30초 동안 문지름 |
8 | 환자 병실 화장실 변기 물내림 손잡이(병실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 환자공용 화장실) | 물내림 손잡이 전 부위를 30초동안 문지름 |
9 | 환자 병실 화장실 세면대 표면(병실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 환자공용 화장실) | 세면대 가운데 표면 부위를 30초 동안 문지름 |
10 | 환자 병실 화장실 세면대 수도 손잡이(병실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 환자공용 화장실) | 손잡이 윗부분 전체와 손잡이 아랫면을 30초 동안 문지름 |
11 | 환자 병실 화장실 세면대 수도꼭지(병실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 환자공용 화장실) | 수도꼭지 안쪽을 30초 동안 문지름 |
12 | 환자 병실 샤워실 샤워기 손잡이(병실에 샤워실이 없는 경우, 환자공용 화장실) | 손잡이 윗부분 전체와 손잡이 아랫면을 30초 동안 문지름 |
13 | 인공호흡기용 가습기(ventilator humidifier) 내부 | 내부의 물 제거 후 면봉(swab)을 사용하여 내부 부위를 돌아가며 30초 동안 문지름 |
14 | 간호사스테이션 마우스 | 마우스 전체를 30초 동안 문지름 |
15 | 간호사스테이션 키보드 | 오른쪽 숫자를 포함한 자판 윗부분을 30초 동안 문지름 |
16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표면(예: 간호사스테이션 등 의료진 환자 처치 준비구역) | 세면대 가운데 표면 부위를 30초 동안 문지름 |
17 | 의료진 근무공간 내 세면대 수도 손잡이(예: 간호사스테이션 등 의료진 환자 처치 준비구역) | 손잡이 윗부분 전체와 손잡이 아랫면을 30초 동안 문지름 |
18 | 근무자 근무복 앞면 | 간호사 또는 간병사 근무복(앞치마 등)의 허리 아래 부위를 30초 동안 문지름 |
기관 구분 | 질병관리청 경남권질병대응센터 | 부산광역시청(감염병관리지원단) |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
기관별 역할 | 조사기획∙관리 | 의료기관 협조 | 환경검체 분석 |
자료분석 | 환경검체 채취 | 추가 연구 | |
전문가 자문 | 역학조사(향후 필요 시) | ||
환경검체 채취 | |||
검체 배송 | |||
역학조사(향후 필요 시) |
전체 합계 건(%) | (상급)종합병원 | 요양병원 | ||||||||||||
---|---|---|---|---|---|---|---|---|---|---|---|---|---|---|
합계 | CP-CRE | Non-CP-CRE | 합계 | CP-CRE | Non-CP-CRE | 검사미실시 | ||||||||
합계 | 594 (100.0) | 431 (100.0) | 320 (100.0) | 111 (100.0) | 163 (100.0) | 131 (100.0) | 23 (100.0) | 9 (100.0) | ||||||
CP-CRE 발병 건수(%) | 451 (75.9) | 320 (74.2) | 320 (74.2) | 111 (25.8) | 131 (80.4) | 131 (80.4) | 23 (14.1) | 0 (0.0) | ||||||
검체 종류 | ||||||||||||||
보균검체(대변, 직장도말) | 412 (69.4) | 290 (67.3) | 202 (63.1) | 88 (79.3) | 122 (74.8) | 104 (79.4) | 18 (78.3) | 0 (0.0) | ||||||
임상검체(blood, urine) | 166 (27.9) | 136 (31.6) | 113 (35.3) | 23 (20.7) | 30 (18.4) | 25 (19.1) | 5 (21.7) | 0 (0.0) | ||||||
기타(환자삽입기구 등) | 7 (1.2) | 5 (1.2) | 5 (1.6) | 0 (0.0) | 2 (1.2) | 2 (1.5) | 0 (0.0) | 0 (0.0) | ||||||
미확인 | 9 (1.5) | 0 (0.0) | 0 (0.0) | 0 (0.0) | 9 (5.5) | 0 (0.0) | 0 (0.0) | 9 (100.0) | ||||||
입원일-검체 채취일 | ||||||||||||||
2일 이내 | 221 (37.2) | 138 (32.0) | 101 (31.6) | 37 (33.3) | 83 (50.9) | 67 (51.1) | 16 (69.6) | 0 (0.0) | ||||||
2일 초과 | 337 (56.7) | 267 (61.9) | 198 (61.9) | 69 (62.2) | 70 (42.9) | 63 (48.1) | 7 (30.4) | 0 (0.0) | ||||||
미확인 | 36 (6.1) | 26 (6.0) | 21 (6.6) | 5 (4.5) | 10 (6.1) | 1 (0.8) | 0 (0.0) | 9 (100.0) | ||||||
확진 후 격리형태 | ||||||||||||||
1인실 | 297 (50.0) | 269 (62.4) | 205 (64.1) | 64 (57.7) | 28 (17.2) | 22 (16.8) | 6 (26.1) | 0 (0.0) | ||||||
코호트 격리(2인 이상) | 156 (26.3) | 33 (7.7) | 28 (8.8) | 5 (4.5) | 123 (75.5) | 108 (82.4) | 15 (65.2) | 0 (0.0) | ||||||
격리 미실시 | 132 (22.2) | 129 (29.9) | 87 (27.2) | 42 (37.8) | 3 (1.8) | 1 (0.8) | 2 (8.7) | 0 (0.0) | ||||||
미확인 | 9 (1.5) | 0 (0.0) | 0 (0.0) | 0 (0.0) | 9 (5.5) | 0 (0.0) | 0 (0.0) | 9 (100.0) |
CRE=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P-CRE=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구분 | 계 | Klebsiella pneumoniae | Enterobacter spp. | Citrobacter freundii | Acinetobacter baumannii | Acinetobacter haemolyticus | Acinetobacter junii | Acinetobacter lwoffii | Aeromonas hydrophila caviae | |
---|---|---|---|---|---|---|---|---|---|---|
Carbapenemase 유전형 | KPC | KPC, NDM | KPC | VIM, NDM | NDM | VIM, NDM | IMP, NDM | NDM | ||
합계 | 18 | 2 | 2 | 1 | 4 | 2 | 3 | 3 | 1 | |
기관별 소계 | #2 | 3 | - | - | 1 | - | 2 | - | - | - |
#3 | 3 | - | - | - | 2VIM | - | 1NDM | - | - | |
#4 | 1 | - | 1KPC, NDM | - | - | - | - | - | - | |
#8 | 1 | - | - | - | 1NDM | - | - | - | - | |
#10 | 1 | - | 1KPC | - | - | - | - | - | - | |
#12 | 2 | 1 | - | - | 1VIM | - | - | - | - | |
#14 | 1 | - | - | - | - | - | 1NDM | - | - | |
#15 | 2 | 1 | - | - | - | - | - | 1VIM | - | |
#17 | 1 | - | - | - | - | - | 1VIM | - | - | |
#19 | 2 | - | - | - | - | - | - | 1VIM | 1 | |
#20 | 1 | - | - | - | - | - | - | 1IMP | - |
Hospital Code | Number of bed | Total | 2022 | Site of detectiona) | ||||||||
---|---|---|---|---|---|---|---|---|---|---|---|---|
163 | % | Jun (n=7) | Jul (n=34) | Aug (n=36) | Sep (n=22) | Oct (n=31) | Nov (n=20) | Dec (n=13) | ||||
1b) | 226 | 9 | 5.5 | 1 | 3 | 2 | 2 | 1 | ||||
2b) | 197 | 23 | 14.1 | 5 | 7 | 3 | 3 | 2 | 3 | -Patient room hand hygiene washbasin surface | ||
-Washbasin surface in the medical staff’s workplace | ||||||||||||
-Washbasin water handle in the medical staff’s workplace | ||||||||||||
3b) | 248 | 9 | 5.5 | 2 | 1 | 2 | 1 | 3 | -Patient room hand hygiene washbasin surface | |||
-Patient’s room hand sanitation washbasin water handle | ||||||||||||
-Patient room toilet washbasin surface | ||||||||||||
4b) | 172 | 16 | 9.8 | 3 | 2 | 4 | 4 | 1 | 2 | -Washbasin surface in the medical staff’s workplace | ||
5 | 257 | 5 | 3.1 | 1 | 1 | 2 | 1 | |||||
6b) | 209 | 12 | 7.4 | 3 | 2 | 1 | 3 | 2 | 1 | |||
7 | 407 | 1 | 0.6 | 1 | ||||||||
8 | 352 | 1 | 0.6 | 1 | -Washbasin surface in the medical staff’s workplace | |||||||
9 | 372 | 7 | 4.3 | 1 | 2 | 3 | 1 | |||||
10 | 295 | 7 | 4.3 | 1 | 3 | 3 | -Washbasin surface in the medical staff’s workplace | |||||
11b) | 136 | 20 | 12.3 | 3 | 6 | 2 | 6 | 3 | ||||
12 | 180 | 3 | 1.8 | 3 | -Patient room Hand hygiene washbasin surface | |||||||
-After washing the surface of the hand sanitation sink in the patient’s room | ||||||||||||
13 | 223 | 9 | 5.5 | 1 | 2 | 4 | 1 | 1 | ||||
14b) | 288 | 9 | 5.5 | 2 | 1 | 1 | 4 | 1 | -Washbasin surface in the medical staff’s workplace | |||
15b) | 580 | 10 | 6.1 | 2 | 2 | 2 | 2 | 2 | -Washbasin surface in the medical staff’s workplace | |||
-Washbasin water handle in the medical staff’s workplace | ||||||||||||
16 | 176 | 5 | 3.1 | 2 | 2 | 1 | ||||||
17 | 539 | 7 | 4.3 | 3 | 2 | 1 | 1 | -Washbasin water handle in the medical staff’s workplace | ||||
18 | 199 | 3 | 1.8 | 1 | 1 | 1 | ||||||
19 | 397 | 3 | 1.8 | 2 | 1 | -Patient room Hand hygiene washbasin surface | ||||||
-Patient room toilet washbasin surface | ||||||||||||
20 | 374 | 4 | 2.5 | 1 | 2 | 1 | -Washbasin surface in the medical staff’s workplace |
CPM=carbapenemase-producing microorganisms; CRE=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a)Case for each detection area. b)Frequently CRE-reporting institutions (#13 institutions are excluded due to no cases for two months)..
Code | Sample collection | Define sample collection site |
---|---|---|
1 | Patient bed railing | Rub above and below the needle rail close to the patient's arm for 30 sec |
2 | Patient bed table | Rubbing the side of the patient for 30 sec when the table is unfolded |
3 | Curtain next to multi-room patient bed | Rub the area 20 cm wide and 30 cm long on the outer edge of the curtain for 30 sec (e.g., in the case of a curtain with a total length of 190 cm, about 80 cm below the top to 80 cm from the bottom) |
4 | Patient room hand hygiene washbasin surface | Rub the middle surface of the washbasin for 30 sec |
5 | Patient room hand sanitation washbasin water handle | Rub the entire upper part of the handle and the underside of the handle for 30 sec |
6 | Patient room door handle | Rub the entire surface and inside of the handle for 30 sec |
7 | Patient room toilet seat (if there is no toilet in the hospital room, the patient’s public toilet) | Rub the front of the toilet seat for 30 sec |
8 | Patient room toilet flushing handle (if there is no toilet in the hospital room, the patient’s public toilet) | Rub all parts of the dripping handle for 30 sec |
9 | Patient room toilet washbasin surface (if there is no toilet in the hospital room, the patient’s public toilet) | Rub the middle surface of the washbasin for 30 sec |
10 | Patient room toilet washbasin water handle (if there is no toilet in the hospital room, the patient’s public toilet) | Rub the entire upper part of the handle and the underside of the handle for 30 sec |
11 | Patient room, toilet, washbasin, faucet (if there is no toilet in the hospital room, the patient’s public toilet) | Rub the inside of the faucet for 30 sec |
12 | Patient shower room shower handle (if there is no shower room in the hospital room, the patient’s public toilet) | Rub the entire upper part of the handle and the underside of the handle for 30 sec |
13 | Inside the ventilator humidifier | Remove water from the inside and rub the inside area for 30 sec using swab |
14 | Mouseinnursestation | Rub the entire mouse for 30 sec |
15 | Keyboardinnursestation | Rub the top of the keyboard with the right number for 30 sec |
16 | Washbasin surface in the medical staff workplace (e.g., nurse stations, where medical staff are prepared to treat patients) | Rub the middle surface of the washbasin for 30 sec |
17 | Washbasin water handle in the medical staff workplace (e.g., nurse stations, where medical staff are prepared to treat patients) | Rub the entire upper part of the handle and the underside of the handle for 30 sec |
18 | The front of a staff uniform | Rub the lower back area of the nurse or caregiver’s uniform (e.g., apron) for 30 sec |
Classification | Gyeongnam Regional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Busan Metropolitan City |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
---|---|---|---|
Roles by institution | Investigation planning and management | Cooperation with medical institutions | Environmental sample analysis |
Data analysis |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 Additional research | |
Expert advice |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if required) | ||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 |||
Sample delivery | |||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if required) |
Characteristics | Total | Tertiary hospitals | Long term care hospitals | ||||||
---|---|---|---|---|---|---|---|---|---|
Tertiary hospital total | CP-CRE | Non-CP-CRE | Long term care hospitals total | CP-CRE | Non-CP-CRE | Untested | |||
Total | 594 (100.0) | 431 (100.0) | 320 (100.0) | 111 (100.0) | 163 (100.0) | 131 (100.0) | 23 (100.0) | 9 (100.0) | |
CP-CRE cases (%) | 451 (75.9) | 320 (74.2) | 320 (74.2) | 111 (25.8) | 131 (80.4) | 131 (80.4) | 23 (14.1) | 0 (0.0) | |
Sample origin | |||||||||
Colonized specimens (stool, rectal swab) | 412 (69.4) | 290 (67.3) | 202 (63.1) | 88 (79.3) | 122 (74.8) | 104 (79.4) | 18 (78.3) | 0 (0.0) | |
Clinical specimens (blood, urine) | 166 (27.9) | 136 (31.6) | 113 (35.3) | 23 (20.7) | 30 (18.4) | 25 (19.1) | 5 (21.7) | 0 (0.0) | |
Others (device-associated infection) | 7 (1.2) | 5 (1.2) | 5 (1.6) | 0 (0.0) | 2 (1.2) | 2 (1.5) | 0 (0.0) | 0 (0.0) | |
Unknown | 9 (1.5) | 0 (0.0) | 0 (0.0) | 0 (0.0) | 9 (5.5) | 0 (0.00) | 0 (0.0) | 9 (100.0) | |
Hospitalization date-collection date | |||||||||
≤2 day | 221 (37.2) | 138 (32.0) | 101 (31.6) | 37 (33.3) | 83 (50.9) | 67 (51.1) | 16 (69.6) | 0 (0.0) | |
>2 day | 337 (56.7) | 267 (61.9) | 198 (61.9) | 69 (62.2) | 70 (42.9) | 63 (48.1) | 7 (30.4) | 0 (0.0) | |
Unknown | 36 (6.1) | 26 (6.0) | 21 (6.6) | 5 (4.5) | 10 (6.1) | 1 (0.8) | 0 (0.0) | 9 (100.0) | |
Isolation type | |||||||||
Single patient rooms | 297 (50.0) | 269 (62.4) | 205 (64.1) | 64 (57.7) | 28 (17.2) | 22 (16.8) | 6 (26.1) | 0 (0.0) | |
Cohort isolation | 156 (26.3) | 33 (7.7) | 28 (8.8) | 5 (4.5) | 123 (75.5) | 108 (82.4) | 15 (65.2) | 0 (0.0) | |
None | 132 (22.2) | 129 (29.9) | 87 (27.2) | 42 (37.8) | 3 (1.8) | 1 (0.8) | 2 (8.7) | 0 (0.0) | |
Unknown | 9 (1.5) | 0 (0.0) | 0 (0.0) | 0 (0.0) | 9 (5.5) | 0 (0.0) | 0 (0.0) | 9 (100.0) |
CRE=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P-CRE=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Classification | Total | Klebsiella pneumoniae | Enterobacter spp. | Citrobacter freundii | Acinetobacter baumannii | Acinetobacter haemolyticus | Acinetobacter junii | Acinetobacter lwoffii | Aeromonas hydrophila caviae | |
---|---|---|---|---|---|---|---|---|---|---|
Carbapenemase genotype | KPC | KPC, NDM | KPC | VIM, NDM | NDM | VIM, NDM | IMP, NDM | NDM | ||
Total | 18 | 2 | 2 | 1 | 4 | 2 | 3 | 3 | 1 | |
Subtotal by institution | #2 | 3 | - | - | 1 | - | 2 | - | - | - |
#3 | 3 | - | - | - | 2VIM | - | 1NDM | - | - | |
#4 | 1 | - | 1KPC, NDM | - | - | - | - | - | - | |
#8 | 1 | - | - | - | 1NDM | - | - | - | - | |
#10 | 1 | - | 1KPC | - | - | - | - | - | - | |
#12 | 2 | 1 | - | - | 1VIM | - | - | - | - | |
#14 | 1 | - | - | - | - | - | 1NDM | - | - | |
#15 | 2 | 1 | - | - | - | - | - | 1VIM | - | |
#17 | 1 | - | - | - | - | - | 1VIM | - | - | |
#19 | 2 | - | - | - | - | - | - | 1VIM | 1 | |
#20 | 1 | - | - | - | - | - | - | 1IMP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