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감시보고

Split Viewer
ENG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28): 931-949

Published online July 20,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28.2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년 결핵환자 신고현황

이혜원, 김진선, 박광자, 최호용*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 결핵정책과

*Corresponding author: 최호용, Tel: +82-43-719-7310, E-mail: probono@korea.kr

Received: April 7, 2023; Revised: June 14, 2023; Accepted: June 14,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Erratum: https://doi.org/10.56786/PHWR.2023.16.29.3

우리나라의 2022년 결핵 신규 환자 수(신환자 수)는 2011년 최고치(39,557명)를 기록한 후 연평균 7.8%씩 감소하여, 16,264명(10만 명당 31.7명)을 차지하였다. 이는 2011년 대비 58.9% 감소한 수준이다. 그중에 65세 이상 노인이 9,069명(10만 명당 100.6명)으로 절반 이상(55.8%) 높게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고 있다. 의료보장 가입 이력이 있는 결핵 신환자(16,087명) 중 의료급여 수급권자 비율은 9.4%(1,512명)였으나, 의료급여 수급권자에 대한 2022년 결핵 신환자율이 10만 명당 99.7명으로 건강보험 가입자(10만 명당 28.3명)보다 3.5배 높았다. 항결핵약제에 내성이 있어 치료가 어려운 다제내성/리팜핀내성결핵 환자는 전체환자(20,383명) 중 2.7%(560명)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질병관리청은 지난 2023년 3월 24일에 ‘2027년까지 결핵 발생률 10만 명당 20명 이하’를 목표로 하여 향후 5년간의 「제3차 결핵관리 종합계획(2023–2027)」을 발표하였다. 동 계획에 따라 결핵예방, 진단 및 치료에 대한 기반을 더욱 강화하고, 중점 과제들을 꾸준히 이행하여, 우리나라의 결핵 퇴치를 위해 국가결핵관리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다.

Keywords 결핵, 세계보건기구, 결핵 발생률, 결핵 사망률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2021년 결핵 신규 환자 수(신환자 수)는 18,335명(10만 명당 35.7명)으로, 2020년(19,933명, 10만 명당 38.8명) 대비 8.0%(1,598명) 감소하였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2022년 우리나라의 결핵 신환자 수는 16,264명(10만 명당 31.7명)으로, 전년(18,335명, 10만 명당 35.7명) 대비 11.3% 감소하였다. 65세 이상 노인 결핵 신환자 수는 9,069명(10만 명당 100.6명)으로 전년(9,406명, 10만 명당 109.7명) 대비 3.6% 감소하였다.

③ 시사점은?

우리나라 결핵 신환자 수는 매년 감소 추세이나,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고,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결핵 신환자율이 건강보험 가입자보다 3.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다각면으로 국가결핵관리사업을 운영하여 결핵환자의 조기 발견과 지역사회 내 결핵 전파를 예방해 나갈 것이다.

결핵(tuberculosis)은 결핵균(Mycobacteriumtuberculosis)에 의해 발생하는 호흡기 감염병으로,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 따르면 2021년 한 해 동안 전 세계적으로 약 1,060만 명의 결핵환자가 발생하였고 160만 명이 사망하였다. 그중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38개 회원국 중에서 결핵 발생률은 1위, 사망률은 공동 3위를 차지하였다[1]. 또한, 2021년 결핵은 법정감염병 중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수두 다음으로 환자 수가 많고[2], 코로나19 다음으로 사망자 수가 많은 감염병으로 보고되었다[3].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의 2022년 결핵환자 신고현황 및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질병관리청은 결핵환자와 결핵 의사환자(결핵환자등)로 신고∙보고된 자료를 분석하여 2002년부터 매년 「결핵환자 신고현황 연보」를 발간하고 있다. 「2022 결핵환자 신고현황 연보」는 202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내 결핵환자등 신고∙보고 원자료 28,353건을 분석하여 발간되었다[4]. 또한, 신고 (신)환자율 산출을 위해 통계청의 2022년 주민등록연앙인구[5]를 이용하였다. 2022년 의료보장 유형별 결핵 신규 환자 수(신환자 수)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받은 2022년 12월 31일 기준 의료보장 자격별 환자 수이며, 의료보장 유형별 결핵 신환자율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21년 의료보장 적용인구를 기준인구[6]로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1. 2022년 결핵환자 신고현황

2022년 결핵 신환자 수는 16,264명(10만 명당 31.7명)으로, 2021년(18,335명, 10만 명당 35.7명) 대비 11.3% (2,071명) 감소하였다. 이는 결핵 신환자 수가 2011년 최고치(39,557명)를 기록한 후 연평균 7.8%씩 감소하여, 지난 11년 동안 58.9% 감소하였다. 또한, 2022년 결핵 전체환자수는 20,383명(10만 명당 39.8명)으로, 2021년(22,904명, 10만 명당 44.6명) 대비 11.0%(2,521명) 감소하였다(그림 1).

Figure. 1.연도별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01–2022년

전체 신환자 중 남성이 58.9%(9,578명), 여성이 41.1% (6,686명)를 차지하였으며, 신환자율은 남성(10만 명당 37.5명)이 여성(10만 명당 26.0명)보다 1.4배 높았다(표 1). 2022년 연령별 신환자 수는 0–4세(20% 증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전년 대비 감소하였고, 그중 5–9세에서 가장 큰 감소율(66.7%)을 보였다. 그중 65세 이상 노인 결핵 신환자율(10만 명당 100.6명)은 65세 미만 신환자율(10만 명당 17.0명)보다 5.9배 높았고, 2022년 65세 이상 노인 결핵 신환자 수는 전년 대비 3.6% 감소하여, 65세 미만의 감소폭(19.4% 감소)보다 작았다(표 2).

성별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20–2022년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환자 수(명) 환자율(%) 환자 수(명) 환자율(%)
합계 19,933 38.8 18,335 35.7 –1,598 △(8.0) 16,264 31.7 –2,071 △(11.3)
11,608 45.3 10,639 41.6 –969 △(8.3) 9,578 37.5 –1,061 △(10.0)
8,325 32.3 7,696 29.9 –629 △(7.6) 6,686 26.0 –1,010 △(13.1)

△=감소. a)10만 명당 환자 수.



연령별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20–2022년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환자 수(명) 환자율(%) 환자 수(명) 환자율(%)
합계 19,933 38.8 18,335 35.7 –1,598 △(8.0) 16,264 31.7 –2,071 △(11.3)
0–4세 9 0.5 5 0.3 –4 △(44.4) 6 0.4 1 (20.0)
5–9세 10 0.4 6 0.3 –4 △(40.0) 2 0.1 –4 △(66.7)
10–14세 32 1.4 26 1.1 –6 △(18.8) 18 0.8 –8 △(30.8)
15–19세 220 8.6 155 6.5 –65 △(29.5) 120 5.1 –35 △(22.6)
20–24세 579 17.7 431 13.6 –148 △(25.6) 264 8.7 –167 △(38.7)
25–29세 820 23.4 690 19.5 –130 △(15.9) 470 13.5 –220 △(31.9)
30–34세 766 24.5 652 20.6 –114 △(14.9) 531 16.3 –121 △(18.6)
35–39세 827 21.8 670 18.7 –157 △(19.0) 530 15.7 –140 △(20.9)
40–44세 865 22.4 777 19.8 –88 △(10.2) 664 16.7 –113 △(14.5)
45–49세 1,171 26.7 969 22.9 –202 △(17.3) 768 18.8 –201 △(20.7)
50–54세 1,425 32.9 1,350 30.5 –75 △(5.3) 1,105 24.6 –245 △(18.1)
55–59세 1,655 39.3 1,460 35.4 –195 △(11.8) 1,222 30.1 –238 △(16.3)
60–64세 1,772 46.6 1,738 43.5 –34 △(1.9) 1,495 36.1 –243 △(14.0)
65–69세 1,538 58.4 1,451 50.3 –87 △(5.7) 1,428 46.3 –23 △(1.6)
70–74세 1,622 81.1 1,618 78.0 –4 △(0.2) 1,522 70.8 –96 △(5.9)
75–79세 2,177 135.8 1,956 122.4 –221 △(10.2) 1,829 114.0 –127 △(6.5)
80세 이상 4,445 234.5 4,381 216.6 –64 △(1.4) 4,290 197.6 –91 △(2.1)
65세 미만 10,151 23.5 8,929 20.9 –1,222 △(12.0) 7,195 17.0 –1,734 △(19.4)
65세 이상 9,782 120.3 9,406 109.7 –376 △(3.8) 9,069 100.6 –337 △(3.6)

△=감소. a)10만 명당 환자 수.



결핵 종류별로는, 2022년 전체 신환자(16,264명) 중 폐결핵 신환자가 12,406명(10만 명당 24.2명)으로 76.3%를 차지하였으며, 폐외결핵은 3,858명(10만 명당 7.5명)으로 23.7%를 차지하였다. 폐결핵 신환자 수 12,406명(10만 명당 24.2명)은 전년(14,100명, 10만 명당 27.5명) 대비 12.0% (1,694명) 감소하였다. 또한 폐결핵 신환자 중 도말양성인 환자 수는 4,669명(10만 명당 9.1명)으로 전년(5,170명, 10만 명당 10.1명) 대비 9.7%(501명) 감소하였다(표 3).

연도별 결핵종류별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11–2022년
연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전체
신환자 수(명) 39,557 39,545 36,089 34,869 32,181 30,892 28,161 26,433 23,821 19,933 18,335 16,264
신환자율a) 78.9 78.5 71.4 68.7 63.2 60.4 55.0 51.5 46.4 38.8 35.7 31.7
폐결핵
신환자 수(명) 30,100 31,075 28,720 27,906 25,550 24,696 22,314 20,883 18,765 15,221 14,100 12,406
신환자율a) 60.1 61.7 56.8 55.0 50.1 48.3 43.6 40.7 36.6 29.6 27.5 24.2
(도말양성)
신환자 수(명) 11,714 12,137 11,100 10,446 9,309 8,812 7,701 7,330 6,497 5,379 5,170 4,669
신환자율a) 23.4 24.1 22.0 20.6 18.3 17.2 15.0 14.3 12.7 10.5 10.1 9.1
폐외결핵
신환자 수(명) 9,457 8,470 7,369 6,963 6,631 6,196 5,847 5,550 5,056 4,712 4,235 3,858
신환자율a) 18.9 16.8 14.6 13.7 13.0 12.1 11.4 10.8 9.8 9.2 8.3 7.5

a)10만 명당 환자 수.



지역별 2022년 결핵 신환자율은 모든 지역에서 전년 대비 감소하였다. 17개 시·도 중에서 세종(56명, 10만 명당 14.9명)의 신환자 수가 전년(80명, 10만 명당 22.0명) 대비 30.0%(24명) 감소하여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반면에 충남의 신환자 수는 842명(10만 명당 39.8명)으로 전년(860명, 10만 명당 40.8명) 대비 2.1%(18명) 감소하여, 17개 시·도 중 감소폭이 가장 작았다. 결핵 신환자율이 높은 지역은 경북(10만 명당 50.5명), 전남(10만 명당 50.4명), 강원(10만 명당 46.0명) 순이었고, 신환자율이 낮은 지역은 세종(10만 명당 14.9명), 광주(10만 명당 24.6명), 대전(10만 명당 25.5명) 순이었다(표 4, 그림 2).

지역별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20–2022년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환자 수(명) 환자율(%) 환자 수(명) 환자율(%)
전국 19,933 38.8 18,335 35.7 –1,598 △(8.0) 16,264 31.7 –2,071 △(11.3)
서울 3,486 36.6 3,067 32.4 –419 △(12.0) 2,756 29.4 –311 △(10.1)
부산 1,270 37.7 1,266 37.9 –4 △(0.3) 1,038 31.3 –228 △(18.0)
대구 977 40.5 898 37.6 –79 △(8.1) 787 33.3 –111 △(12.4)
인천 1,005 34.4 953 32.6 –52 △(5.2) 827 28.1 –126 △(13.2)
광주 493 34.1 434 30.2 –59 △(12.0) 352 24.6 –82 △(18.9)
대전 426 29.2 404 27.9 –22 △(5.2) 368 25.5 –36 △(8.9)
울산 370 32.6 352 31.3 –18 △(4.9) 290 26.1 –62 △(17.6)
세종 93 26.8 80 22.0 –13 △(14.0) 56 14.9 –24 △(30.0)
경기 4,343 32.9 4,137 30.9 –206 △(4.7) 3,626 26.9 –511 △(12.4)
강원 850 55.6 771 50.4 –79 △(9.3) 704 46.0 –67 △(8.7)
충북 616 38.7 609 38.3 –7 △(1.1) 498 31.3 –111 △(18.2)
충남 1,019 48.3 860 40.8 –159 △(15.6) 842 39.8 –18 △(2.1)
전북 821 45.6 725 40.6 –96 △(11.7) 653 36.8 –72 △(9.9)
전남 1,044 56.5 1,015 55.4 –29 △(2.8) 917 50.4 –98 △(9.7)
경북 1,495 56.7 1,368 52.2 –127 △(8.5) 1,315 50.5 –53 △(3.9)
경남 1,356 40.7 1,189 35.9 –167 △(12.3) 1,039 31.6 –150 △(12.6)
제주 269 40.3 207 30.8 –62 △(23.0) 196 29.1 –11 △(5.3)

△=감소. a)10만 명당 환자 수.



Figure. 2.2022년 지역별 신고 결핵 신환자율
(A) 시∙도별 (B) 시∙군∙구별

신고 기관별로 살펴보면, 2022년 결핵 신환자 중 16,131명(99.2%)은 민간의료기관에서, 133명(0.8%)은 보건소에서 신고되었다. 민간의료기관 종별 신고 신환자 수는 종합병원 14,971명(92.0%), 병원 920명(5.7%), 의원 240명(1.5%) 순이었다. 또한 보건소에서 신고된 결핵 신환자 수는 133명으로 전년(155명) 대비 14.2%(22명) 감소하였고, 코로나19 발생 직전인 2019년(742명) 대비 약 82.1% 감소하였다(표 5).

신고 기관별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구성비, 2011–2022년
연도 보건소 의료기관
소계 종합병원 병원 의원
2011 39,557 (100.0) 4,461 (11.3) 35,096 (88.7) 29,207 (73.8) 3,704 (9.4) 2,185 (5.5)
2012 39,545 (100.0) 3,779 (9.6) 35,766 (90.4) 29,335 (74.2) 4,121 (10.4) 2,310 (5.8)
2013 36,089 (100.0) 3,269 (9.1) 32,820 (90.9) 27,565 (76.4) 3,743 (10.4) 1,512 (4.2)
2014 34,869 (100.0) 2,994 (8.6) 31,875 (91.4) 27,502 (78.9) 3,310 (9.5) 1,063 (3.0)
2015 32,181 (100.0) 2,320 (7.2) 29,861 (92.8) 25,919 (80.5) 3,012 (9.4) 930 (2.9)
2016 30,892 (100.0) 2,405 (7.8) 28,487 (92.2) 25,175 (81.5) 2,556 (8.3) 756 (2.4)
2017 28,161 (100.0) 1,516 (5.4) 26,645 (94.6) 23,730 (84.3) 2,282 (8.1) 633 (2.2)
2018 26,433 (100.0) 1,069 (4.0) 25,364 (96.0) 22,931 (86.8) 1,968 (7.5) 465 (1.8)
2019 23,821 (100.0) 742 (3.1) 23,079 (96.9) 21,163 (88.8) 1,521 (6.4) 395 (1.7)
2020 19,933 (100.0) 264 (1.3) 19,669 (98.7) 18,191 (91.3) 1,161 (5.8) 317 (1.6)
2021 18,335 (100.0) 155 (0.8) 18,180 (99.2) 16,935 (92.4) 959 (5.2) 286 (1.6)
2022 16,264 (100.0) 133 (0.8) 16,131 (99.2) 14,971 (92.0) 920 (5.7) 240 (1.5)

단위: 명(%).



2. 65세 이상 노인 결핵환자 신고현황

2022년 노인 결핵 신환자 수는 9,069명(10만 명당 100.6명)으로 전년(9,406명, 10만 명당 109.7명) 대비 3.6% (337명) 감소하였고, 2019년부터 꾸준히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그림 3). 반면, 전체 신환자 중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2021년 최초 절반(51.3%) 이상을 돌파하고, 2022년 55.8%를 차지하였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 중 도말양성 폐결핵 신환자 수는 2022년 2,898명(10만 명당 32.2명)으로 전년(3,009명, 10만 명당 35.1명) 대비 3.7% (111명) 감소하였고(표 6), 폐결핵 신환자 중 도말양성인 4,669명(표 3) 중에서 65세 이상 노인이 62.1%(2,898명)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65세 이상 노인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20–2022년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환자 수(명) 환자율(%) 환자 수(명) 환자율(%)
전체 9,782 120.3 9,406 109.7 –376 △(3.8) 9,069 100.6 –337 △(3.6)
폐결핵 7,573 93.1 7,399 86.3 –174 △(2.3) 7,067 78.4 –332 △(4.5)
(도말양성) 2,928 36.0 3,009 35.1 81 (2.8) 2,898 32.2 –111 △(3.7)
폐외결핵 2,209 27.2 2,007 23.4 –202 △(9.1) 2,002 22.2 –5 △(0.2)

△=감소. a)10만 명당 환자 수.



Figure. 3.연도별 65세 이상 노인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01–2022년

3. 외국인 결핵환자 신고현황

2022년 외국인 결핵 전체환자수는 1,072명으로 전년(1,242명) 대비 13.7%(170명) 감소하였고, 신환자 수 또한 877명으로 전년(1,029명) 대비 14.8%(152명) 감소하였다. 결핵 전체환자 20,383명(그림 1) 중 외국인 비율은 5.3%를 차지하였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우리나라 체류 외국인 수가 감소했으나[7], 전체 결핵 신환자 중 외국인 비율은 최근 5년간 약 5.3%를 지속 유지하고 있다(그림 4, 표 7). 2022년 외국인 결핵 신환자 중 폐결핵환자는 643명, 폐외결핵환자는 234명이었고, 전년 대비(728명, 301명) 각각 11.7%, 22.3% 감소하였다.

외국인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구성비, 2020–2022년
2020년 2021년 2022년
환자 수(구성비a)) 환자 수 (구성비a)) 증감 환자 수(구성비a)) 증감
환자 수 증감율 환자 수 증감율
전체환자 1,316 (5.2) 1,242 (5.4) –74 △(5.6) 1,072 (5.3) –170 △(13.7)
신환자 1,076 (5.4) 1,029 (5.6) –47 △(4.4) 877 (5.4) –152 △(14.8)
폐결핵 796 (5.2) 728 (5.2) –68 △(8.5) 643 (5.2) –85 △(11.7)
(도말양성) 254 (4.7) 248 (4.8) –6 △(2.4) 221 (4.7) –27 △(10.9)
폐외결핵 280 (5.9) 301 (7.1) 21 (7.5) 234 (6.1) –67 △(22.3)

단위: 명, (%). △=감소. a)전체 (신)환자 수 중 외국인 (신)환자 수 비율.



Figure. 4.연도별 체류 외국인 수(2009–2021년), 외국인 결핵 (신)환자 수 및 외국인 전체환자 비율(2001–2022년)

4. 의료보장 유형별 결핵환자 신고현황

2021년 의료보장 적용인구 중 의료급여 수급권자 비율은 2.9%이나[4], 2022년 결핵 신환자 중 의료급여 수급권자 비율은 9.3%(1,512명)로 2021년 의료보장 적용인구 대비 의료급여 수급권자 비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2021년 의료보장 적용인구로 2022년 의료보장 유형별 결핵 신환자율을 산출한 결과, 2022년 의료급여 수급권자 중 결핵 신환자율(10만 명당 99.7명)은 건강보험 가입자(10만 명당 28.3명)보다 3.5배 높았다(표 8).

의료보장 유형별 2021년 의료보장 적용인구와 2022년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구분 의료보장 불명a)
건강보험 의료급여
소계 직장 지역 소계
의료보장 적용인구b) (천 명, %) 52,929 51,412 (97.1) 37,180 (70.2) 14,232 (26.9) 1,517 (2.9)
결핵 신환자 수(명, %) 16,087 14,575 (89.6) 8,957 (55.1) 5,618 (34.5) 1,512 (9.4) 177 (1.1)
결핵 신환자율b) (10만 명당 환자 수) 30.4 28.3 24.1 39.5 99.7

a)2022년 12월 31일 기준 의료보장 가입 이력이 없는 경우. b)2021년 기준 의료보장 적용인구(출처: 「2021 건강보험 통계연보」 [6]).



5. 약제내성 신고 결핵환자 신고현황

2022년 다제내성/리팜핀내성결핵 환자는 560명으로 전체 환자(20,383명) 중 2.7%를 차지하였고, 다제내성/리팜핀내성결핵 환자 비율이 ‘신환자’(1.9%)보다 ‘재치료자 등’(6.1%)에서 3.2배 높았으며, 퀴놀론계 약제내성 비율이 ‘신환자’(0.2%)보다 ‘재치료자 등’(0.97%)에서 4.9배 높았다(표 9).

약제내성 종류별, 환자구분별 결핵 신환자 수 및 비율
전체환자 신환자 재치료자 등a)
20,383 (100) 16,264 (100) 4,119 (100)
다제내성/리팜핀내성결핵 환자 560 (2.7) 308 (1.9) 252 (6.1)
광범위약제내성결핵b) 3 (0.0) 0 (-) 3 (0.1)
광범위약제내성 전 단계 결핵c) 66 (0.3) 29 (0.2) 37 (0.9)
다제내성결핵d) 314 (1.5) 172 (1.1) 142 (3.4)
리팜핀단독내성결핵e) 177 (0.9) 107 (0.7) 70 (1.7)

단위: 명(%). a)재발자, 실패 후 재치료자, 중단 후 재치료자, 이전 치료결과 불명확, 과거 치료여부 불명확, 기타환자. b)리팜핀내성결핵 또는 다제내성결핵이면서 한 가지 이상의 퀴놀론계 약제(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목시플록사신[moxifloxacin], 오플록사신[ofloxacin], 가티플록사신[gatifloxacin])에 내성이고, 그 외 A군 약제(베다퀼린[bedaquiline], 리네졸리드[linezolid]) 한 가지 이상에 내성을 보이는 결핵. c)리팜핀내성결핵 또는 다제내성결핵이면서 한 가지 이상의 퀴놀론계 약제에 내성을 보이는 결핵. d)리팜핀과 이소니아지드 약제에 모두 내성을 보이는 결핵. e)리팜핀 약제에 내성을 보이며, 이소니아지드 약제에 감수성이거나 감수성을 확인할 수 없는 결핵.



2022년 우리나라 결핵 신환자 수는 16,264명(10만 명당 31.7명)으로 전년(18,335명, 10만 명당 35.7명) 대비 11.3%(2,071명) 감소하였고, 이는 2011년 신환자 수 최고치(39,557명)를 기록한 후 연평균 7.8%씩 꾸준히 감소하여 지난 11년 동안 58.9% 감소한 수치이다[3]. 2021년에 전 세계 결핵 발생률이 전년 대비 증가세(1,010만 명→1,060만 명)로 전환되었음에도 불구하고[1] 국내 결핵 신환자율은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4]. 이는 2020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 유행 속에서도 차질 없는 국가결핵관리사업을 추진한 성과로 볼 수 있다.

다만, 꾸준한 결핵 신환자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65세 이상 노인 결핵환자 비중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 65세 이상 노인 결핵환자는 65세 미만 연령대보다 증상이 상대적으로 경미하여 환자 발견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고 동반질환으로 인해 치료 순응도가 낮을 수 있다. 또한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으로 의료서비스 접근성에 다소 제약이 있는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결핵 신환자율은 건강보험 가입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결핵검진사업’을 꾸준히 추진하여 사각지대에 있는 결핵환자의 조기 발견과 지역사회 내 결핵 전파를 예방해 나갈 것이다. 아울러, 치료가 어려운 다제내성/리팜핀내성결핵 환자가 결핵 치료력이 있는 결핵환자 중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나 맞춤형 사례관리 사업 추진, 다제내성결핵 컨소시엄을 운영하여 체계적인 환자 관리 및 치료성공률 제고에 더욱 힘쓸 것이다.

마지막으로, 질병관리청은 지난 2023년 3월 24일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을 발표하여, 2027년까지 인구 10만 명당 결핵 발생률 20명 이하를 달성하기 위한 제3차 종합계획의 목표치를 제시하였다. 앞으로도 관계부처, 지자체, 의료기관, 전문가 등과 협력하여, 「제3차 결핵관리 종합계획」에서 제시한 추진 전략과 세부 중점 과제를 결핵 예방·진단·치료 전주기에 걸쳐 차질 없이 이행해 나갈 계획이다.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HWL, JSK. Data curation: HWL, JSK. Formal analysis: HWL, JSK. Investigation: HWL, JSK. Supervision: GJP. Visualization: HWL, JSK. Writing–original draft: HWL. Writing–review & editing: HWL, JSK, GJP, HYC.

  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lobal tuberculosis report 2022. WHO;2022.
  2.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Infectious diseases surveillance yearbook, 2021. KDCA;2022.
  3. Statistics Korea.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21. Statistics Korea;2022.
    CrossRef
  4.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Annual report on the notified tuberculosis in Korea, 2022. KDCA;2023.
  5. Statistics Korea. 2021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Statistics Korea;2022.
    CrossRef
  6.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IRA). 2021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HIRA;2022.
  7. Ministry of Justice. Yearbook of Korea immigration statistics 2021. Ministry of Justice;2022.

Article

조사/감시보고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28): 931-949

Published online July 20,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28.2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년 결핵환자 신고현황

이혜원, 김진선, 박광자, 최호용*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 결핵정책과

Received: April 7, 2023; Revised: June 14, 2023; Accepted: June 14,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Erratum: https://doi.org/10.56786/PHWR.2023.16.29.3

Abstract

우리나라의 2022년 결핵 신규 환자 수(신환자 수)는 2011년 최고치(39,557명)를 기록한 후 연평균 7.8%씩 감소하여, 16,264명(10만 명당 31.7명)을 차지하였다. 이는 2011년 대비 58.9% 감소한 수준이다. 그중에 65세 이상 노인이 9,069명(10만 명당 100.6명)으로 절반 이상(55.8%) 높게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고 있다. 의료보장 가입 이력이 있는 결핵 신환자(16,087명) 중 의료급여 수급권자 비율은 9.4%(1,512명)였으나, 의료급여 수급권자에 대한 2022년 결핵 신환자율이 10만 명당 99.7명으로 건강보험 가입자(10만 명당 28.3명)보다 3.5배 높았다. 항결핵약제에 내성이 있어 치료가 어려운 다제내성/리팜핀내성결핵 환자는 전체환자(20,383명) 중 2.7%(560명)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질병관리청은 지난 2023년 3월 24일에 ‘2027년까지 결핵 발생률 10만 명당 20명 이하’를 목표로 하여 향후 5년간의 「제3차 결핵관리 종합계획(2023–2027)」을 발표하였다. 동 계획에 따라 결핵예방, 진단 및 치료에 대한 기반을 더욱 강화하고, 중점 과제들을 꾸준히 이행하여, 우리나라의 결핵 퇴치를 위해 국가결핵관리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다.

Keywords: 결핵, 세계보건기구, 결핵 발생률, 결핵 사망률

서 론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2021년 결핵 신규 환자 수(신환자 수)는 18,335명(10만 명당 35.7명)으로, 2020년(19,933명, 10만 명당 38.8명) 대비 8.0%(1,598명) 감소하였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2022년 우리나라의 결핵 신환자 수는 16,264명(10만 명당 31.7명)으로, 전년(18,335명, 10만 명당 35.7명) 대비 11.3% 감소하였다. 65세 이상 노인 결핵 신환자 수는 9,069명(10만 명당 100.6명)으로 전년(9,406명, 10만 명당 109.7명) 대비 3.6% 감소하였다.

③ 시사점은?

우리나라 결핵 신환자 수는 매년 감소 추세이나,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고,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결핵 신환자율이 건강보험 가입자보다 3.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다각면으로 국가결핵관리사업을 운영하여 결핵환자의 조기 발견과 지역사회 내 결핵 전파를 예방해 나갈 것이다.

결핵(tuberculosis)은 결핵균(Mycobacteriumtuberculosis)에 의해 발생하는 호흡기 감염병으로,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 따르면 2021년 한 해 동안 전 세계적으로 약 1,060만 명의 결핵환자가 발생하였고 160만 명이 사망하였다. 그중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38개 회원국 중에서 결핵 발생률은 1위, 사망률은 공동 3위를 차지하였다[1]. 또한, 2021년 결핵은 법정감염병 중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수두 다음으로 환자 수가 많고[2], 코로나19 다음으로 사망자 수가 많은 감염병으로 보고되었다[3].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의 2022년 결핵환자 신고현황 및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 법

질병관리청은 결핵환자와 결핵 의사환자(결핵환자등)로 신고∙보고된 자료를 분석하여 2002년부터 매년 「결핵환자 신고현황 연보」를 발간하고 있다. 「2022 결핵환자 신고현황 연보」는 202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내 결핵환자등 신고∙보고 원자료 28,353건을 분석하여 발간되었다[4]. 또한, 신고 (신)환자율 산출을 위해 통계청의 2022년 주민등록연앙인구[5]를 이용하였다. 2022년 의료보장 유형별 결핵 신규 환자 수(신환자 수)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받은 2022년 12월 31일 기준 의료보장 자격별 환자 수이며, 의료보장 유형별 결핵 신환자율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21년 의료보장 적용인구를 기준인구[6]로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결 과

1. 2022년 결핵환자 신고현황

2022년 결핵 신환자 수는 16,264명(10만 명당 31.7명)으로, 2021년(18,335명, 10만 명당 35.7명) 대비 11.3% (2,071명) 감소하였다. 이는 결핵 신환자 수가 2011년 최고치(39,557명)를 기록한 후 연평균 7.8%씩 감소하여, 지난 11년 동안 58.9% 감소하였다. 또한, 2022년 결핵 전체환자수는 20,383명(10만 명당 39.8명)으로, 2021년(22,904명, 10만 명당 44.6명) 대비 11.0%(2,521명) 감소하였다(그림 1).

Figure 1. 연도별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01–2022년

전체 신환자 중 남성이 58.9%(9,578명), 여성이 41.1% (6,686명)를 차지하였으며, 신환자율은 남성(10만 명당 37.5명)이 여성(10만 명당 26.0명)보다 1.4배 높았다(표 1). 2022년 연령별 신환자 수는 0–4세(20% 증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전년 대비 감소하였고, 그중 5–9세에서 가장 큰 감소율(66.7%)을 보였다. 그중 65세 이상 노인 결핵 신환자율(10만 명당 100.6명)은 65세 미만 신환자율(10만 명당 17.0명)보다 5.9배 높았고, 2022년 65세 이상 노인 결핵 신환자 수는 전년 대비 3.6% 감소하여, 65세 미만의 감소폭(19.4% 감소)보다 작았다(표 2).

성별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20–2022년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환자 수(명) 환자율(%) 환자 수(명) 환자율(%)
합계 19,933 38.8 18,335 35.7 –1,598 △(8.0) 16,264 31.7 –2,071 △(11.3)
11,608 45.3 10,639 41.6 –969 △(8.3) 9,578 37.5 –1,061 △(10.0)
8,325 32.3 7,696 29.9 –629 △(7.6) 6,686 26.0 –1,010 △(13.1)

△=감소. a)10만 명당 환자 수..



연령별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20–2022년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환자 수(명) 환자율(%) 환자 수(명) 환자율(%)
합계 19,933 38.8 18,335 35.7 –1,598 △(8.0) 16,264 31.7 –2,071 △(11.3)
0–4세 9 0.5 5 0.3 –4 △(44.4) 6 0.4 1 (20.0)
5–9세 10 0.4 6 0.3 –4 △(40.0) 2 0.1 –4 △(66.7)
10–14세 32 1.4 26 1.1 –6 △(18.8) 18 0.8 –8 △(30.8)
15–19세 220 8.6 155 6.5 –65 △(29.5) 120 5.1 –35 △(22.6)
20–24세 579 17.7 431 13.6 –148 △(25.6) 264 8.7 –167 △(38.7)
25–29세 820 23.4 690 19.5 –130 △(15.9) 470 13.5 –220 △(31.9)
30–34세 766 24.5 652 20.6 –114 △(14.9) 531 16.3 –121 △(18.6)
35–39세 827 21.8 670 18.7 –157 △(19.0) 530 15.7 –140 △(20.9)
40–44세 865 22.4 777 19.8 –88 △(10.2) 664 16.7 –113 △(14.5)
45–49세 1,171 26.7 969 22.9 –202 △(17.3) 768 18.8 –201 △(20.7)
50–54세 1,425 32.9 1,350 30.5 –75 △(5.3) 1,105 24.6 –245 △(18.1)
55–59세 1,655 39.3 1,460 35.4 –195 △(11.8) 1,222 30.1 –238 △(16.3)
60–64세 1,772 46.6 1,738 43.5 –34 △(1.9) 1,495 36.1 –243 △(14.0)
65–69세 1,538 58.4 1,451 50.3 –87 △(5.7) 1,428 46.3 –23 △(1.6)
70–74세 1,622 81.1 1,618 78.0 –4 △(0.2) 1,522 70.8 –96 △(5.9)
75–79세 2,177 135.8 1,956 122.4 –221 △(10.2) 1,829 114.0 –127 △(6.5)
80세 이상 4,445 234.5 4,381 216.6 –64 △(1.4) 4,290 197.6 –91 △(2.1)
65세 미만 10,151 23.5 8,929 20.9 –1,222 △(12.0) 7,195 17.0 –1,734 △(19.4)
65세 이상 9,782 120.3 9,406 109.7 –376 △(3.8) 9,069 100.6 –337 △(3.6)

△=감소. a)10만 명당 환자 수..



결핵 종류별로는, 2022년 전체 신환자(16,264명) 중 폐결핵 신환자가 12,406명(10만 명당 24.2명)으로 76.3%를 차지하였으며, 폐외결핵은 3,858명(10만 명당 7.5명)으로 23.7%를 차지하였다. 폐결핵 신환자 수 12,406명(10만 명당 24.2명)은 전년(14,100명, 10만 명당 27.5명) 대비 12.0% (1,694명) 감소하였다. 또한 폐결핵 신환자 중 도말양성인 환자 수는 4,669명(10만 명당 9.1명)으로 전년(5,170명, 10만 명당 10.1명) 대비 9.7%(501명) 감소하였다(표 3).

연도별 결핵종류별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11–2022년
연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전체
신환자 수(명) 39,557 39,545 36,089 34,869 32,181 30,892 28,161 26,433 23,821 19,933 18,335 16,264
신환자율a) 78.9 78.5 71.4 68.7 63.2 60.4 55.0 51.5 46.4 38.8 35.7 31.7
폐결핵
신환자 수(명) 30,100 31,075 28,720 27,906 25,550 24,696 22,314 20,883 18,765 15,221 14,100 12,406
신환자율a) 60.1 61.7 56.8 55.0 50.1 48.3 43.6 40.7 36.6 29.6 27.5 24.2
(도말양성)
신환자 수(명) 11,714 12,137 11,100 10,446 9,309 8,812 7,701 7,330 6,497 5,379 5,170 4,669
신환자율a) 23.4 24.1 22.0 20.6 18.3 17.2 15.0 14.3 12.7 10.5 10.1 9.1
폐외결핵
신환자 수(명) 9,457 8,470 7,369 6,963 6,631 6,196 5,847 5,550 5,056 4,712 4,235 3,858
신환자율a) 18.9 16.8 14.6 13.7 13.0 12.1 11.4 10.8 9.8 9.2 8.3 7.5

a)10만 명당 환자 수..



지역별 2022년 결핵 신환자율은 모든 지역에서 전년 대비 감소하였다. 17개 시·도 중에서 세종(56명, 10만 명당 14.9명)의 신환자 수가 전년(80명, 10만 명당 22.0명) 대비 30.0%(24명) 감소하여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반면에 충남의 신환자 수는 842명(10만 명당 39.8명)으로 전년(860명, 10만 명당 40.8명) 대비 2.1%(18명) 감소하여, 17개 시·도 중 감소폭이 가장 작았다. 결핵 신환자율이 높은 지역은 경북(10만 명당 50.5명), 전남(10만 명당 50.4명), 강원(10만 명당 46.0명) 순이었고, 신환자율이 낮은 지역은 세종(10만 명당 14.9명), 광주(10만 명당 24.6명), 대전(10만 명당 25.5명) 순이었다(표 4, 그림 2).

지역별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20–2022년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환자 수(명) 환자율(%) 환자 수(명) 환자율(%)
전국 19,933 38.8 18,335 35.7 –1,598 △(8.0) 16,264 31.7 –2,071 △(11.3)
서울 3,486 36.6 3,067 32.4 –419 △(12.0) 2,756 29.4 –311 △(10.1)
부산 1,270 37.7 1,266 37.9 –4 △(0.3) 1,038 31.3 –228 △(18.0)
대구 977 40.5 898 37.6 –79 △(8.1) 787 33.3 –111 △(12.4)
인천 1,005 34.4 953 32.6 –52 △(5.2) 827 28.1 –126 △(13.2)
광주 493 34.1 434 30.2 –59 △(12.0) 352 24.6 –82 △(18.9)
대전 426 29.2 404 27.9 –22 △(5.2) 368 25.5 –36 △(8.9)
울산 370 32.6 352 31.3 –18 △(4.9) 290 26.1 –62 △(17.6)
세종 93 26.8 80 22.0 –13 △(14.0) 56 14.9 –24 △(30.0)
경기 4,343 32.9 4,137 30.9 –206 △(4.7) 3,626 26.9 –511 △(12.4)
강원 850 55.6 771 50.4 –79 △(9.3) 704 46.0 –67 △(8.7)
충북 616 38.7 609 38.3 –7 △(1.1) 498 31.3 –111 △(18.2)
충남 1,019 48.3 860 40.8 –159 △(15.6) 842 39.8 –18 △(2.1)
전북 821 45.6 725 40.6 –96 △(11.7) 653 36.8 –72 △(9.9)
전남 1,044 56.5 1,015 55.4 –29 △(2.8) 917 50.4 –98 △(9.7)
경북 1,495 56.7 1,368 52.2 –127 △(8.5) 1,315 50.5 –53 △(3.9)
경남 1,356 40.7 1,189 35.9 –167 △(12.3) 1,039 31.6 –150 △(12.6)
제주 269 40.3 207 30.8 –62 △(23.0) 196 29.1 –11 △(5.3)

△=감소. a)10만 명당 환자 수..



Figure 2. 2022년 지역별 신고 결핵 신환자율
(A) 시∙도별 (B) 시∙군∙구별

신고 기관별로 살펴보면, 2022년 결핵 신환자 중 16,131명(99.2%)은 민간의료기관에서, 133명(0.8%)은 보건소에서 신고되었다. 민간의료기관 종별 신고 신환자 수는 종합병원 14,971명(92.0%), 병원 920명(5.7%), 의원 240명(1.5%) 순이었다. 또한 보건소에서 신고된 결핵 신환자 수는 133명으로 전년(155명) 대비 14.2%(22명) 감소하였고, 코로나19 발생 직전인 2019년(742명) 대비 약 82.1% 감소하였다(표 5).

신고 기관별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구성비, 2011–2022년
연도 보건소 의료기관
소계 종합병원 병원 의원
2011 39,557 (100.0) 4,461 (11.3) 35,096 (88.7) 29,207 (73.8) 3,704 (9.4) 2,185 (5.5)
2012 39,545 (100.0) 3,779 (9.6) 35,766 (90.4) 29,335 (74.2) 4,121 (10.4) 2,310 (5.8)
2013 36,089 (100.0) 3,269 (9.1) 32,820 (90.9) 27,565 (76.4) 3,743 (10.4) 1,512 (4.2)
2014 34,869 (100.0) 2,994 (8.6) 31,875 (91.4) 27,502 (78.9) 3,310 (9.5) 1,063 (3.0)
2015 32,181 (100.0) 2,320 (7.2) 29,861 (92.8) 25,919 (80.5) 3,012 (9.4) 930 (2.9)
2016 30,892 (100.0) 2,405 (7.8) 28,487 (92.2) 25,175 (81.5) 2,556 (8.3) 756 (2.4)
2017 28,161 (100.0) 1,516 (5.4) 26,645 (94.6) 23,730 (84.3) 2,282 (8.1) 633 (2.2)
2018 26,433 (100.0) 1,069 (4.0) 25,364 (96.0) 22,931 (86.8) 1,968 (7.5) 465 (1.8)
2019 23,821 (100.0) 742 (3.1) 23,079 (96.9) 21,163 (88.8) 1,521 (6.4) 395 (1.7)
2020 19,933 (100.0) 264 (1.3) 19,669 (98.7) 18,191 (91.3) 1,161 (5.8) 317 (1.6)
2021 18,335 (100.0) 155 (0.8) 18,180 (99.2) 16,935 (92.4) 959 (5.2) 286 (1.6)
2022 16,264 (100.0) 133 (0.8) 16,131 (99.2) 14,971 (92.0) 920 (5.7) 240 (1.5)

단위: 명(%)..



2. 65세 이상 노인 결핵환자 신고현황

2022년 노인 결핵 신환자 수는 9,069명(10만 명당 100.6명)으로 전년(9,406명, 10만 명당 109.7명) 대비 3.6% (337명) 감소하였고, 2019년부터 꾸준히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그림 3). 반면, 전체 신환자 중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2021년 최초 절반(51.3%) 이상을 돌파하고, 2022년 55.8%를 차지하였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 중 도말양성 폐결핵 신환자 수는 2022년 2,898명(10만 명당 32.2명)으로 전년(3,009명, 10만 명당 35.1명) 대비 3.7% (111명) 감소하였고(표 6), 폐결핵 신환자 중 도말양성인 4,669명(표 3) 중에서 65세 이상 노인이 62.1%(2,898명)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65세 이상 노인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20–2022년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환자 수(명) 환자율(%) 환자 수(명) 환자율(%)
전체 9,782 120.3 9,406 109.7 –376 △(3.8) 9,069 100.6 –337 △(3.6)
폐결핵 7,573 93.1 7,399 86.3 –174 △(2.3) 7,067 78.4 –332 △(4.5)
(도말양성) 2,928 36.0 3,009 35.1 81 (2.8) 2,898 32.2 –111 △(3.7)
폐외결핵 2,209 27.2 2,007 23.4 –202 △(9.1) 2,002 22.2 –5 △(0.2)

△=감소. a)10만 명당 환자 수..



Figure 3. 연도별 65세 이상 노인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01–2022년

3. 외국인 결핵환자 신고현황

2022년 외국인 결핵 전체환자수는 1,072명으로 전년(1,242명) 대비 13.7%(170명) 감소하였고, 신환자 수 또한 877명으로 전년(1,029명) 대비 14.8%(152명) 감소하였다. 결핵 전체환자 20,383명(그림 1) 중 외국인 비율은 5.3%를 차지하였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우리나라 체류 외국인 수가 감소했으나[7], 전체 결핵 신환자 중 외국인 비율은 최근 5년간 약 5.3%를 지속 유지하고 있다(그림 4, 표 7). 2022년 외국인 결핵 신환자 중 폐결핵환자는 643명, 폐외결핵환자는 234명이었고, 전년 대비(728명, 301명) 각각 11.7%, 22.3% 감소하였다.

외국인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구성비, 2020–2022년
2020년 2021년 2022년
환자 수(구성비a)) 환자 수 (구성비a)) 증감 환자 수(구성비a)) 증감
환자 수 증감율 환자 수 증감율
전체환자 1,316 (5.2) 1,242 (5.4) –74 △(5.6) 1,072 (5.3) –170 △(13.7)
신환자 1,076 (5.4) 1,029 (5.6) –47 △(4.4) 877 (5.4) –152 △(14.8)
폐결핵 796 (5.2) 728 (5.2) –68 △(8.5) 643 (5.2) –85 △(11.7)
(도말양성) 254 (4.7) 248 (4.8) –6 △(2.4) 221 (4.7) –27 △(10.9)
폐외결핵 280 (5.9) 301 (7.1) 21 (7.5) 234 (6.1) –67 △(22.3)

단위: 명, (%). △=감소. a)전체 (신)환자 수 중 외국인 (신)환자 수 비율..



Figure 4. 연도별 체류 외국인 수(2009–2021년), 외국인 결핵 (신)환자 수 및 외국인 전체환자 비율(2001–2022년)

4. 의료보장 유형별 결핵환자 신고현황

2021년 의료보장 적용인구 중 의료급여 수급권자 비율은 2.9%이나[4], 2022년 결핵 신환자 중 의료급여 수급권자 비율은 9.3%(1,512명)로 2021년 의료보장 적용인구 대비 의료급여 수급권자 비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2021년 의료보장 적용인구로 2022년 의료보장 유형별 결핵 신환자율을 산출한 결과, 2022년 의료급여 수급권자 중 결핵 신환자율(10만 명당 99.7명)은 건강보험 가입자(10만 명당 28.3명)보다 3.5배 높았다(표 8).

의료보장 유형별 2021년 의료보장 적용인구와 2022년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구분 의료보장 불명a)
건강보험 의료급여
소계 직장 지역 소계
의료보장 적용인구b) (천 명, %) 52,929 51,412 (97.1) 37,180 (70.2) 14,232 (26.9) 1,517 (2.9)
결핵 신환자 수(명, %) 16,087 14,575 (89.6) 8,957 (55.1) 5,618 (34.5) 1,512 (9.4) 177 (1.1)
결핵 신환자율b) (10만 명당 환자 수) 30.4 28.3 24.1 39.5 99.7

a)2022년 12월 31일 기준 의료보장 가입 이력이 없는 경우. b)2021년 기준 의료보장 적용인구(출처: 「2021 건강보험 통계연보」 [6])..



5. 약제내성 신고 결핵환자 신고현황

2022년 다제내성/리팜핀내성결핵 환자는 560명으로 전체 환자(20,383명) 중 2.7%를 차지하였고, 다제내성/리팜핀내성결핵 환자 비율이 ‘신환자’(1.9%)보다 ‘재치료자 등’(6.1%)에서 3.2배 높았으며, 퀴놀론계 약제내성 비율이 ‘신환자’(0.2%)보다 ‘재치료자 등’(0.97%)에서 4.9배 높았다(표 9).

약제내성 종류별, 환자구분별 결핵 신환자 수 및 비율
전체환자 신환자 재치료자 등a)
20,383 (100) 16,264 (100) 4,119 (100)
다제내성/리팜핀내성결핵 환자 560 (2.7) 308 (1.9) 252 (6.1)
광범위약제내성결핵b) 3 (0.0) 0 (-) 3 (0.1)
광범위약제내성 전 단계 결핵c) 66 (0.3) 29 (0.2) 37 (0.9)
다제내성결핵d) 314 (1.5) 172 (1.1) 142 (3.4)
리팜핀단독내성결핵e) 177 (0.9) 107 (0.7) 70 (1.7)

단위: 명(%). a)재발자, 실패 후 재치료자, 중단 후 재치료자, 이전 치료결과 불명확, 과거 치료여부 불명확, 기타환자. b)리팜핀내성결핵 또는 다제내성결핵이면서 한 가지 이상의 퀴놀론계 약제(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목시플록사신[moxifloxacin], 오플록사신[ofloxacin], 가티플록사신[gatifloxacin])에 내성이고, 그 외 A군 약제(베다퀼린[bedaquiline], 리네졸리드[linezolid]) 한 가지 이상에 내성을 보이는 결핵. c)리팜핀내성결핵 또는 다제내성결핵이면서 한 가지 이상의 퀴놀론계 약제에 내성을 보이는 결핵. d)리팜핀과 이소니아지드 약제에 모두 내성을 보이는 결핵. e)리팜핀 약제에 내성을 보이며, 이소니아지드 약제에 감수성이거나 감수성을 확인할 수 없는 결핵..



논 의

2022년 우리나라 결핵 신환자 수는 16,264명(10만 명당 31.7명)으로 전년(18,335명, 10만 명당 35.7명) 대비 11.3%(2,071명) 감소하였고, 이는 2011년 신환자 수 최고치(39,557명)를 기록한 후 연평균 7.8%씩 꾸준히 감소하여 지난 11년 동안 58.9% 감소한 수치이다[3]. 2021년에 전 세계 결핵 발생률이 전년 대비 증가세(1,010만 명→1,060만 명)로 전환되었음에도 불구하고[1] 국내 결핵 신환자율은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4]. 이는 2020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 유행 속에서도 차질 없는 국가결핵관리사업을 추진한 성과로 볼 수 있다.

다만, 꾸준한 결핵 신환자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65세 이상 노인 결핵환자 비중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 65세 이상 노인 결핵환자는 65세 미만 연령대보다 증상이 상대적으로 경미하여 환자 발견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고 동반질환으로 인해 치료 순응도가 낮을 수 있다. 또한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으로 의료서비스 접근성에 다소 제약이 있는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결핵 신환자율은 건강보험 가입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결핵검진사업’을 꾸준히 추진하여 사각지대에 있는 결핵환자의 조기 발견과 지역사회 내 결핵 전파를 예방해 나갈 것이다. 아울러, 치료가 어려운 다제내성/리팜핀내성결핵 환자가 결핵 치료력이 있는 결핵환자 중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나 맞춤형 사례관리 사업 추진, 다제내성결핵 컨소시엄을 운영하여 체계적인 환자 관리 및 치료성공률 제고에 더욱 힘쓸 것이다.

마지막으로, 질병관리청은 지난 2023년 3월 24일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을 발표하여, 2027년까지 인구 10만 명당 결핵 발생률 20명 이하를 달성하기 위한 제3차 종합계획의 목표치를 제시하였다. 앞으로도 관계부처, 지자체, 의료기관, 전문가 등과 협력하여, 「제3차 결핵관리 종합계획」에서 제시한 추진 전략과 세부 중점 과제를 결핵 예방·진단·치료 전주기에 걸쳐 차질 없이 이행해 나갈 계획이다.

Declarations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HWL, JSK. Data curation: HWL, JSK. Formal analysis: HWL, JSK. Investigation: HWL, JSK. Supervision: GJP. Visualization: HWL, JSK. Writing–original draft: HWL. Writing–review & editing: HWL, JSK, GJP, HYC.

Fig 1.

Figure 1.연도별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01–2022년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931-949https://doi.org/10.56786/PHWR.2023.16.28.2

Fig 2.

Figure 2.2022년 지역별 신고 결핵 신환자율
(A) 시∙도별 (B) 시∙군∙구별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931-949https://doi.org/10.56786/PHWR.2023.16.28.2

Fig 3.

Figure 3.연도별 65세 이상 노인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01–2022년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931-949https://doi.org/10.56786/PHWR.2023.16.28.2

Fig 4.

Figure 4.연도별 체류 외국인 수(2009–2021년), 외국인 결핵 (신)환자 수 및 외국인 전체환자 비율(2001–2022년)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931-949https://doi.org/10.56786/PHWR.2023.16.28.2
성별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20–2022년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환자 수(명) 환자율(%) 환자 수(명) 환자율(%)
합계 19,933 38.8 18,335 35.7 –1,598 △(8.0) 16,264 31.7 –2,071 △(11.3)
11,608 45.3 10,639 41.6 –969 △(8.3) 9,578 37.5 –1,061 △(10.0)
8,325 32.3 7,696 29.9 –629 △(7.6) 6,686 26.0 –1,010 △(13.1)

△=감소. a)10만 명당 환자 수..


연령별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20–2022년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환자 수(명) 환자율(%) 환자 수(명) 환자율(%)
합계 19,933 38.8 18,335 35.7 –1,598 △(8.0) 16,264 31.7 –2,071 △(11.3)
0–4세 9 0.5 5 0.3 –4 △(44.4) 6 0.4 1 (20.0)
5–9세 10 0.4 6 0.3 –4 △(40.0) 2 0.1 –4 △(66.7)
10–14세 32 1.4 26 1.1 –6 △(18.8) 18 0.8 –8 △(30.8)
15–19세 220 8.6 155 6.5 –65 △(29.5) 120 5.1 –35 △(22.6)
20–24세 579 17.7 431 13.6 –148 △(25.6) 264 8.7 –167 △(38.7)
25–29세 820 23.4 690 19.5 –130 △(15.9) 470 13.5 –220 △(31.9)
30–34세 766 24.5 652 20.6 –114 △(14.9) 531 16.3 –121 △(18.6)
35–39세 827 21.8 670 18.7 –157 △(19.0) 530 15.7 –140 △(20.9)
40–44세 865 22.4 777 19.8 –88 △(10.2) 664 16.7 –113 △(14.5)
45–49세 1,171 26.7 969 22.9 –202 △(17.3) 768 18.8 –201 △(20.7)
50–54세 1,425 32.9 1,350 30.5 –75 △(5.3) 1,105 24.6 –245 △(18.1)
55–59세 1,655 39.3 1,460 35.4 –195 △(11.8) 1,222 30.1 –238 △(16.3)
60–64세 1,772 46.6 1,738 43.5 –34 △(1.9) 1,495 36.1 –243 △(14.0)
65–69세 1,538 58.4 1,451 50.3 –87 △(5.7) 1,428 46.3 –23 △(1.6)
70–74세 1,622 81.1 1,618 78.0 –4 △(0.2) 1,522 70.8 –96 △(5.9)
75–79세 2,177 135.8 1,956 122.4 –221 △(10.2) 1,829 114.0 –127 △(6.5)
80세 이상 4,445 234.5 4,381 216.6 –64 △(1.4) 4,290 197.6 –91 △(2.1)
65세 미만 10,151 23.5 8,929 20.9 –1,222 △(12.0) 7,195 17.0 –1,734 △(19.4)
65세 이상 9,782 120.3 9,406 109.7 –376 △(3.8) 9,069 100.6 –337 △(3.6)

△=감소. a)10만 명당 환자 수..


연도별 결핵종류별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11–2022년
연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전체
신환자 수(명) 39,557 39,545 36,089 34,869 32,181 30,892 28,161 26,433 23,821 19,933 18,335 16,264
신환자율a) 78.9 78.5 71.4 68.7 63.2 60.4 55.0 51.5 46.4 38.8 35.7 31.7
폐결핵
신환자 수(명) 30,100 31,075 28,720 27,906 25,550 24,696 22,314 20,883 18,765 15,221 14,100 12,406
신환자율a) 60.1 61.7 56.8 55.0 50.1 48.3 43.6 40.7 36.6 29.6 27.5 24.2
(도말양성)
신환자 수(명) 11,714 12,137 11,100 10,446 9,309 8,812 7,701 7,330 6,497 5,379 5,170 4,669
신환자율a) 23.4 24.1 22.0 20.6 18.3 17.2 15.0 14.3 12.7 10.5 10.1 9.1
폐외결핵
신환자 수(명) 9,457 8,470 7,369 6,963 6,631 6,196 5,847 5,550 5,056 4,712 4,235 3,858
신환자율a) 18.9 16.8 14.6 13.7 13.0 12.1 11.4 10.8 9.8 9.2 8.3 7.5

a)10만 명당 환자 수..


지역별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20–2022년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환자 수(명) 환자율(%) 환자 수(명) 환자율(%)
전국 19,933 38.8 18,335 35.7 –1,598 △(8.0) 16,264 31.7 –2,071 △(11.3)
서울 3,486 36.6 3,067 32.4 –419 △(12.0) 2,756 29.4 –311 △(10.1)
부산 1,270 37.7 1,266 37.9 –4 △(0.3) 1,038 31.3 –228 △(18.0)
대구 977 40.5 898 37.6 –79 △(8.1) 787 33.3 –111 △(12.4)
인천 1,005 34.4 953 32.6 –52 △(5.2) 827 28.1 –126 △(13.2)
광주 493 34.1 434 30.2 –59 △(12.0) 352 24.6 –82 △(18.9)
대전 426 29.2 404 27.9 –22 △(5.2) 368 25.5 –36 △(8.9)
울산 370 32.6 352 31.3 –18 △(4.9) 290 26.1 –62 △(17.6)
세종 93 26.8 80 22.0 –13 △(14.0) 56 14.9 –24 △(30.0)
경기 4,343 32.9 4,137 30.9 –206 △(4.7) 3,626 26.9 –511 △(12.4)
강원 850 55.6 771 50.4 –79 △(9.3) 704 46.0 –67 △(8.7)
충북 616 38.7 609 38.3 –7 △(1.1) 498 31.3 –111 △(18.2)
충남 1,019 48.3 860 40.8 –159 △(15.6) 842 39.8 –18 △(2.1)
전북 821 45.6 725 40.6 –96 △(11.7) 653 36.8 –72 △(9.9)
전남 1,044 56.5 1,015 55.4 –29 △(2.8) 917 50.4 –98 △(9.7)
경북 1,495 56.7 1,368 52.2 –127 △(8.5) 1,315 50.5 –53 △(3.9)
경남 1,356 40.7 1,189 35.9 –167 △(12.3) 1,039 31.6 –150 △(12.6)
제주 269 40.3 207 30.8 –62 △(23.0) 196 29.1 –11 △(5.3)

△=감소. a)10만 명당 환자 수..


신고 기관별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구성비, 2011–2022년
연도 보건소 의료기관
소계 종합병원 병원 의원
2011 39,557 (100.0) 4,461 (11.3) 35,096 (88.7) 29,207 (73.8) 3,704 (9.4) 2,185 (5.5)
2012 39,545 (100.0) 3,779 (9.6) 35,766 (90.4) 29,335 (74.2) 4,121 (10.4) 2,310 (5.8)
2013 36,089 (100.0) 3,269 (9.1) 32,820 (90.9) 27,565 (76.4) 3,743 (10.4) 1,512 (4.2)
2014 34,869 (100.0) 2,994 (8.6) 31,875 (91.4) 27,502 (78.9) 3,310 (9.5) 1,063 (3.0)
2015 32,181 (100.0) 2,320 (7.2) 29,861 (92.8) 25,919 (80.5) 3,012 (9.4) 930 (2.9)
2016 30,892 (100.0) 2,405 (7.8) 28,487 (92.2) 25,175 (81.5) 2,556 (8.3) 756 (2.4)
2017 28,161 (100.0) 1,516 (5.4) 26,645 (94.6) 23,730 (84.3) 2,282 (8.1) 633 (2.2)
2018 26,433 (100.0) 1,069 (4.0) 25,364 (96.0) 22,931 (86.8) 1,968 (7.5) 465 (1.8)
2019 23,821 (100.0) 742 (3.1) 23,079 (96.9) 21,163 (88.8) 1,521 (6.4) 395 (1.7)
2020 19,933 (100.0) 264 (1.3) 19,669 (98.7) 18,191 (91.3) 1,161 (5.8) 317 (1.6)
2021 18,335 (100.0) 155 (0.8) 18,180 (99.2) 16,935 (92.4) 959 (5.2) 286 (1.6)
2022 16,264 (100.0) 133 (0.8) 16,131 (99.2) 14,971 (92.0) 920 (5.7) 240 (1.5)

단위: 명(%)..


65세 이상 노인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2020–2022년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신환자 수(명) 신환자율a) 증감
환자 수(명) 환자율(%) 환자 수(명) 환자율(%)
전체 9,782 120.3 9,406 109.7 –376 △(3.8) 9,069 100.6 –337 △(3.6)
폐결핵 7,573 93.1 7,399 86.3 –174 △(2.3) 7,067 78.4 –332 △(4.5)
(도말양성) 2,928 36.0 3,009 35.1 81 (2.8) 2,898 32.2 –111 △(3.7)
폐외결핵 2,209 27.2 2,007 23.4 –202 △(9.1) 2,002 22.2 –5 △(0.2)

△=감소. a)10만 명당 환자 수..


외국인 신고 결핵 (신)환자 수 및 구성비, 2020–2022년
2020년 2021년 2022년
환자 수(구성비a)) 환자 수 (구성비a)) 증감 환자 수(구성비a)) 증감
환자 수 증감율 환자 수 증감율
전체환자 1,316 (5.2) 1,242 (5.4) –74 △(5.6) 1,072 (5.3) –170 △(13.7)
신환자 1,076 (5.4) 1,029 (5.6) –47 △(4.4) 877 (5.4) –152 △(14.8)
폐결핵 796 (5.2) 728 (5.2) –68 △(8.5) 643 (5.2) –85 △(11.7)
(도말양성) 254 (4.7) 248 (4.8) –6 △(2.4) 221 (4.7) –27 △(10.9)
폐외결핵 280 (5.9) 301 (7.1) 21 (7.5) 234 (6.1) –67 △(22.3)

단위: 명, (%). △=감소. a)전체 (신)환자 수 중 외국인 (신)환자 수 비율..


의료보장 유형별 2021년 의료보장 적용인구와 2022년 결핵 신환자 수 및 율
구분 의료보장 불명a)
건강보험 의료급여
소계 직장 지역 소계
의료보장 적용인구b) (천 명, %) 52,929 51,412 (97.1) 37,180 (70.2) 14,232 (26.9) 1,517 (2.9)
결핵 신환자 수(명, %) 16,087 14,575 (89.6) 8,957 (55.1) 5,618 (34.5) 1,512 (9.4) 177 (1.1)
결핵 신환자율b) (10만 명당 환자 수) 30.4 28.3 24.1 39.5 99.7

a)2022년 12월 31일 기준 의료보장 가입 이력이 없는 경우. b)2021년 기준 의료보장 적용인구(출처: 「2021 건강보험 통계연보」 [6])..


약제내성 종류별, 환자구분별 결핵 신환자 수 및 비율
전체환자 신환자 재치료자 등a)
20,383 (100) 16,264 (100) 4,119 (100)
다제내성/리팜핀내성결핵 환자 560 (2.7) 308 (1.9) 252 (6.1)
광범위약제내성결핵b) 3 (0.0) 0 (-) 3 (0.1)
광범위약제내성 전 단계 결핵c) 66 (0.3) 29 (0.2) 37 (0.9)
다제내성결핵d) 314 (1.5) 172 (1.1) 142 (3.4)
리팜핀단독내성결핵e) 177 (0.9) 107 (0.7) 70 (1.7)

단위: 명(%). a)재발자, 실패 후 재치료자, 중단 후 재치료자, 이전 치료결과 불명확, 과거 치료여부 불명확, 기타환자. b)리팜핀내성결핵 또는 다제내성결핵이면서 한 가지 이상의 퀴놀론계 약제(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목시플록사신[moxifloxacin], 오플록사신[ofloxacin], 가티플록사신[gatifloxacin])에 내성이고, 그 외 A군 약제(베다퀼린[bedaquiline], 리네졸리드[linezolid]) 한 가지 이상에 내성을 보이는 결핵. c)리팜핀내성결핵 또는 다제내성결핵이면서 한 가지 이상의 퀴놀론계 약제에 내성을 보이는 결핵. d)리팜핀과 이소니아지드 약제에 모두 내성을 보이는 결핵. e)리팜핀 약제에 내성을 보이며, 이소니아지드 약제에 감수성이거나 감수성을 확인할 수 없는 결핵..


References

  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lobal tuberculosis report 2022. WHO;2022.
  2.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Infectious diseases surveillance yearbook, 2021. KDCA;2022.
  3. Statistics Korea.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21. Statistics Korea;2022.
    CrossRef
  4.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Annual report on the notified tuberculosis in Korea, 2022. KDCA;2023.
  5. Statistics Korea. 2021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Statistics Korea;2022.
    CrossRef
  6.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IRA). 2021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HIRA;2022.
  7. Ministry of Justice. Yearbook of Korea immigration statistics 2021. Ministry of Justice;2022.
PHWR
Sep 21, 2023 Vol.16 No.37
pp. 1275~1287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 주간 건강과 질병
PUBLIC HEALTH WEEKLY REPORT
질병관리청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eISSN 2586-0860
pISSN 2005-81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