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감시보고

Split Viewer
ENG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28): 950-964

Published online July 20,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28.3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년 결핵 역학조사 결과

한선미, 박용준, 김지은, 이혜영, 최호용*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 결핵정책과

*Corresponding author: 최호용, Tel: +82-43-719-7310, E-mail: probono@korea.kr

Received: May 19, 2023; Revised: June 15, 2023; Accepted: June 19,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공기로 전파되는 공기 매개 감염병으로, 결핵환자와 접촉한 사람에게 결핵균을 감염시킬 수 있다. 이에 전염성 결핵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한 역학조사를 통해 추가 결핵환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결핵 전파를 차단하고, 잠복결핵감염자 치료를 통해 결핵 발병을 예방하는 것은 주요한 결핵 예방관리 정책 수단이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도 결핵환자의 접촉자를 우선순위에 두고 체계적인 잠복결핵감염 검사와 치료를 권고하고 있다. 결핵 역학조사는 결핵환자의 가족과 소속된 집단시설 내 접촉자를 선정하여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검진을 시행한다. 2022년 결핵 역학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호흡기 결핵환자 18,137명의 가족접촉자 22,297명 중 추가 결핵환자 101명(접촉자 10만 명당 453.0명), 집단시설 역학조사 결과 조사 시행 3,416건의 접촉자 72,824명 중 추가 결핵환자 89명(접촉자 10만 명당 122.2명)을 조기 발견하였다. 우리나라의 2022년 결핵 신환자는 16,264명(10만 명당 31.7명)으로 일반인구에 비해 결핵 발병 위험이 결핵환자의 가족접촉자는 14.3배, 집단시설 접촉자는 3.9배 높아 철저한 접촉자 관리가 필요하다. 질병관리청은 2027년까지 인구 10만 명당 결핵 발생률을 20명 이하로 낮추기 위해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2023–2027)」을 수립하였고, 결핵 발병 위험이 높은 가족 및 집단시설 내 접촉자에 대한 검진·치료 사업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Keywords 결핵, 결핵환자, 잠복결핵감염, 접촉자 조사, 역학조사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2021년 결핵 역학조사 결과, 가족접촉자 27,808명 중 결핵환자 158명(접촉자 10만 명당 568.2명), 집단시설 접촉자 90,073명 중 결핵환자 85명(접촉자 10만 명당 94.4명)을 발견하였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2022년 결핵 역학조사 결과, 가족접촉자 22,297명 중 결핵환자 101명(접촉자 10만 명당 453.0명), 집단시설 접촉자 72,824명 중 결핵환자 89명(접촉자 10만 명당 122.2명)을 조기 발견하였다.

③ 시사점은?

우리나라의 결핵환자가 2011년 이후 지속 감소함에 따라 2022년 결핵 역학조사 결과 가족접촉자는 전년 대비 19.8% 감소, 집단시설 내 역학조사 건수 또한 전년 대비 14.6% 감소하였다. 이에 결핵 발병 위험이 높은 가족접촉자 및 집단시설 내 접촉자가 누락 없이 등록되고,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검진과 잠복결핵감염 치료시작 및 완료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핵(tuberculosis)이란 결핵균(Mycobacteriumtuberculosis) 감염에 의해 생기는 호흡기 감염병으로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 따르면 2021년 전 세계적으로 약 1,060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160만 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우리나라의 2022년 결핵 신환자는 16,264명(인구 10만 명당 31.7명)이 발생하였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회원국 중 결핵 발생률 1위, 사망률 3위로 여전히 높은 결핵 발생률을 보이고 있어 더욱 적극적인 결핵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2]. 결핵 발생을 줄이기 위해 접촉자 검진을 통한 신속한 활동성 결핵 진단으로 결핵이 전파되는 것을 억제하는 정책과, 잠복결핵감염을 진단하고 치료하여 접촉자의 결핵 발생을 감소시키는 정책을 사용한다. 우리나라는 중등도 결핵 발생 국가로, 2011년 이후 활동성 결핵환자의 접촉자에 대한 잠복결핵감염 검진 및 치료 사업이 시행되었다[3,4].

가족접촉자 조사는 호흡기 결핵환자가 결핵 치료를 시작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3개월 이전부터 치료시작 후 2주까지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거나 주기적으로 접촉한 가족 및 동거인을 대상으로 시행한다. 집단시설 결핵환자가 객담을 포함한 호흡기검체 검사(항산균 도말검사, 핵산증폭검사, 항산균 배양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확인된 경우 또는 호흡기검체 검사 결과 음성이더라도 흉부 X선상 공동이 확인된 경우 결핵 역학조사를 실시한다.

접촉자 조사를 시행하여 조사범위를 결정한 후 접촉자 중 결핵 검사(흉부 X선 검사) 및 잠복결핵감염 검사(투베르쿨린 피부반응 검사[Tuberculin skin test, TST], 인터페론감마 분비검사[interferon-gamma release assay, IGRA])를 통해 추가 결핵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잠복결핵감염자를 진단·치료함으로써 향후 발병할 수 있는 결핵을 사전에 차단하고, 잠복결핵감염자 치료를 통한 결핵 발병 예방이 목적이다. 이에 2022년 결핵 역학조사 특성 및 의미를 살펴보고 보다 촘촘한 결핵 역학조사 추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202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에 신고된 호흡기 결핵환자 중 진단변경으로 퇴록한 2,319명을 제외한 18,137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가족접촉자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집단시설 발생보고 사례 중 진단변경된 432건을 제외한 6,252건을 대상으로 한 접촉자 조사 현황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최근 5년간(2018–2022) 성별, 연령별, 연도별, 집단시설에 따른 접촉자 및 추가 결핵환자, 잠복결핵감염자 등의 세부 분석을 통해 2022년 결핵 역학조사 특성 및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1. 2022년 가족접촉자 조사 결과

2022년 신고된 전체 결핵환자 20,383명 중 호흡기 결핵환자는 18,137명(89.0%)이며, 그중 가족접촉자가 있는 결핵환자는 12,085명(66.6%)이었다. 가족접촉자는 22,297명으로 호흡기 결핵환자 수의 감소에 따라 전년 대비 5,511명(19.8%) 감소하였으나 2021년 행정정보공동이용망 주민등록정보 연계를 통한 가족접촉자 등록 체계 개선으로 가족접촉자가 있는 결핵환자 비율은 지속 증가하고 있다. 호흡기 결핵환자 가족접촉자 검진율은 97.3% (22,203명)로 전년 대비 2.3%p 증가하였고, 가족검진율은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그림 1).

Figure. 1.연도별 가족접촉자 검진 현황, 2018–2022년

2022년 호흡기 결핵환자의 가족접촉자는 총 22,297명이며, 호흡기 결핵환자 1명당 평균 가족접촉자 수는 1.2명이었다. 접촉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결핵 검사 결과 추가 결핵환자는 총 101명(접촉자 10만 명당 453.0명)으로, 이는 2022년 일반인구의 결핵 신환자율(10만 명당 31.7명)에 비해 14.3배 높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가족접촉자 중 과거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자를 제외한 잠복결핵감염 검사대상자 20,613명 중 17,444명(84.6%)을 대상으로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시행한 결과 4,362명(25.0%)가 양성으로 진단되었다.

2022년 가족접촉자 중 잠복결핵감염자의 치료시작률은 72.9%, 치료완료율은 92.0%였다. 잠복결핵감염자 치료시작률은 전년 대비 9.6%p, 치료완료율은 전년 대비 13.7%p 증가하며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표 1).

연도별 가족접촉자 조사 결과, 2018–2022년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접촉자 30,380 27,835 24,650 27,808 22,297
결핵 검진
검사자 27,751 (91.3) 25,684 (92.3) 23,833 (96.7) 26,432 (95.1) 22,239 (99.7)
추가결핵환자 154 [506.9] 120 [431.1] 126 [511.2] 158 [568.2] 101 [453.0]
잠복결핵감염 검진
검사대상자a) 26,468 24,422 23,288 26,048 20,613
검사자 23,331 (88.1) 21,546 (88.2) 20,254 (87.0) 21,972 (84.4) 17,444 (84.6)
감염자 6,711 (28.8) 5,761 (26.7) 5,547 (27.4) 5,988 (27.3) 4,362 (25.0)
치료대상자b) 6,533 5,626 5,395 5,590 4,044
치료시작자 2,703 (41.4) 3,060 (54.4) 3,234 (59.9) 3,540 (63.3) 2,950 (72.9)
치료완료예정자c) 1,558 1,753 3,210 3,269 3,069
치료완료자 1,045 (67.1) 1,302 (74.3) 1,850 (57.6) 2,559 (78.3) 2,824 (92.0)

단위: 명, (%), [명/10만 명]. a)잠복결핵감염 검사대상자: 과거력(결핵 또는 잠복결핵감염)이 있는 자 제외. b)치료대상자: 다제내성 결핵환자의 접촉자 또는 과거 치료력이 있는 잠복결핵감염자 등 제외. c)치료완료예정자: 치료시작자 중 치료완료예정일이 당해년인 경우.



접촉자 연령에 따른 잠복결핵감염률은 10대 미만 21.6%, 10대 13.4%, 20대 8.4%, 30대 15.8%, 40대 24.7%, 50대 32.5%, 60대 37.8%, 70대 이상 33.0%로 20대 이후부터 접촉자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잠복결핵감염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지표환자와의 관계에서는 조부모 43.8%, 부모 35.5%, 배우자 32.4% 등의 순으로 잠복결핵감염률이 높았다(표 2).

접촉자 특성에 따른 가족접촉자 조사 결과, 2022년
구분 접촉자 결핵 검진 잠복결핵감염 검진
검사자 추가결핵환자 검사 대상자 검사자 감염자
22,297 22,239 (99.7) 101 [453.0] 20,613 17,444 (84.6) 4,362 (25.0)
연령
10세 미만 1,197 1,194 (99.7) 3 [250.6] 1,175 1,169 (99.5) 252 (21.6)
10–19세 1,786 1,784 (99.9) 9 [503.9] 1,733 1,725 (99.5) 232 (13.4)
20–29세 2,178 2,173 (99.8) 10 [459.1] 2,110 2,097 (99.4) 177 (8.4)
30–39세 1,806 1,789 (99.1) 4 [221.5] 1,745 1,724 (98.8) 273 (15.8)
40–49세 2,975 2,971 (99.9) 14 [470.6] 2,774 2,762 (99.6) 682 (24.7)
50–59세 4,472 4,462 (99.8) 18 [402.5] 4,134 4,100 (99.2) 1,332 (32.5)
60–69세 3,920 3,911 (99.8) 14 [357.1] 3,409 2,841 (83.3) 1,075 (37.8)
70세 이상 3,963 3,955 (99.8) 29 [731.8] 3,533 1,026 (29.0) 339 (33.0)
지표환자와의 관계
배우자 7,729 7,717 (99.8) 43 [556.3] 7,069 4,494 (63.6) 1,458 (32.4)
부모 1,634 1,631 (99.8) 13 [795.6] 1,405 1,024 (72.9) 364 (35.5)
자녀 8,146 8,126 (99.8) 22 [270.1] 7,632 7,600 (99.6) 1,656 (21.8)
형제‧자매 726 725 (99.9) 9 [1,239.7] 638 626 (98.1) 127 (20.3)
손자‧손녀 1,706 1,702 (99.8) 2 [117.2] 1,672 1,668 (99.8) 177 (10.6)
조부모 50 50 (100.0) 2 [4,000.0] 41 16 (39.0) 7 (43.8)
친척 272 272 (100.0) 2 [735.3] 251 237 (94.4) 75 (31.6)
기타 2,034 2,016 (99.1) 8 [393.3] 1,905 1,779 (93.4) 498 (28.0)

단위: 명, (%), [명/10만 명].



2. 2022년 집단시설 역학조사 결과

2022년에 신고된 전체 결핵환자 20,383명 중 집단시설에 소속된 사례는 6,252건이었으며, 그중 집단시설 역학조사 실시기준에 따라 총 3,416건을 조사하였다. 집단시설별 조사 건수는 사업장이 1,589건(46.5%)으로 가장 많았고, 사회복지시설이 845건(24.7%), 의료기관 572건(16.7%) 순이었다. 전체 조사 건 감소에 따라 기관별 조사 건수 또한 전년 대비 사업장 109건(20.5%), 의료기관 78건(12.0%), 학교 17건(6.4%), 사회복지시설 14건(1.6%) 감소하였다(그림 2).

Figure. 2.집단시설별 결핵 역학조사 현황, 2020–2022년

집단시설 소속 결핵환자의 접촉자는 총 72,824명이며, 조사 1건당 접촉자 수는 평균 21.3명이었다. 기관별로는 사회복지시설이 25,378명(34.8%)으로 가장 많았으며, 사업장 17,037명(23.4%), 의료기관 14,925명(20.5%) 순이었다. 접촉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결핵 검사 결과 추가 결핵환자 총 89명(접촉자 10만 명당 122.2명)을 조기 발견하였으며, 기관별로는 사회복지시설이 46명(접촉자 10만 명당 181.3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그중 45명의 추가 결핵환자가 노인복지시설에서 확인되었다.

접촉자 중 과거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자, 접촉 시간이 적은 일상 접촉자 등을 제외한 잠복결핵감염 검사대상자 40,631명 중 38,123명(93.8%)을 대상으로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시행한 결과 7,640명(20.0%)이 양성으로 진단되었다. 집단시설별로는 교정시설(37.1%), 사회복지시설(29.2%), 사업장(24.2%), 의료기관(22.5%) 순으로 잠복결핵감염률이 높았다(표 3).

집단시설 결핵 역학조사 결과, 2022년
학교 의료기관 군부대/ 경찰 사회복지시설 교정시설 사업장 그 밖의 시설
조사 시행 3,416 249 572 24 845 20 1,589 117
접촉자 72,824 12,347 14,925 508 25,378 329 17,037 2,300
추가결핵환자 89 [122.2] 1 [8.1] 22 [147.4] 1 [196.9] 46 [181.3] 0 [0.0] 19 [111.5] 0 [0.0]
잠복결핵감염 검사대상자a) 40,631 9,819 7,132 339 8,761 303 12,507 1,770
잠복결핵감염 검사자 38,123 (93.8) 9,368 (95.4) 6,701 (94.0) 292 (86.1) 8,170 (93.3) 299 (98.7) 11,670 (93.3) 1,623 (91.7)
잠복결핵 감염자 7,640 (20.0) 626 (6.7) 1,507 (22.5) 28 (9.6) 2,388 (29.2) 111 (37.1) 2,825 (24.2) 155 (9.6)

단위: 명, [명/10만 명], (%). a)잠복결핵감염 검사대상자: 과거력(결핵 또는 잠복결핵감염)이 있는 자 제외.



집단시설 내 접촉자 특성에 따른 잠복결핵감염률은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22.2%, 여성은 18.3%이었다. 연령별 잠복결핵감염률은 10대 미만 10.6%, 10대 2.7%, 20대 5.4%, 30대 11.9%, 40대 20.6%, 50대 32.9%, 60대 40.1%, 70대 이상 46.8%로 10대 이후부터 접촉자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잠복결핵감염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표 4).

집단시설 내 접촉자 특성별 결핵 역학조사 결과, 2022년
접촉자 결핵 검사자 잠복결핵감염 검진
검사 대상자a) 검사자 감염
72,824 71,955 (98.8) 40,631 38,123 (93.8) 7,640 (20.0)
성별
남자 29,900 29,487 (98.6) 18,259 17,025 (93.2) 3,778 (22.2)
여자 42,924 42,468 (98.9) 22,372 21,098 (94.3) 3,862 (18.3)
연령
10세 미만 1,598 1,591 (99.6) 1,306 1,251 (95.8) 132 (10.6)
10–19세 7,461 7,334 (98.3) 6,546 6,229 (95.2) 166 (2.7)
20–29세 8,295 8,080 (97.4) 6,062 5,658 (93.3) 304 (5.4)
30–39세 6,770 6,665 (98.4) 4,966 4,662 (93.9) 557 (11.9)
40–49세 9,124 9,038 (99.1) 6,306 5,915 (93.8) 1,220 (20.6)
50–59세 13,379 13,291 (99.3) 8,658 8,158 (94.2) 2,685 (32.9)
60–69세 9,634 9,573 (99.4) 5,645 5,238 (92.8) 2,102 (40.1)
70세 이상 16,563 16,383 (98.9) 1,142 1,012 (88.6) 474 (46.8)

단위: 명, (%). a)잠복결핵감염 검사대상자: 과거력(결핵 또는 잠복결핵감염)이 있는 자 제외.



2022년 집단시설 내 접촉자 중 잠복결핵감염자는 총 7,640명으로 다제내성 결핵환자의 접촉자, 과거 치료력이 있는 자 등을 제외한 치료대상자 6,867명 중 치료를 시작한 사람은 3,438명(50.1%)으로 치료시작률은 전년 대비 2.6%p 감소하였다. 치료완료예정일이 2023년인 치료시작자 4,750명 중 치료를 완료한 사람은 3,928명(82.7%)으로 치료완료율은 전년 대비 2.0%p 증가하였다(표 5, 그림 3).

연도별 집단시설 내 접촉자 잠복결핵감염 치료 현황, 2018–2022년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접촉자 122,913 130,843 109,723 90,073 72,824
결핵 검진
검사자 119,266 (97.0) 126,419 (96.6) 107,557 (98.0) 89,215 (99.0) 71,955 (98.8)
추가결핵환자 181 [147.3] 154 [117.7] 102 [93.0] 85 [94.4] 89 [122.2]
잠복결핵감염 검진
검사대상자a) 59,466 76,401 57,893 45,754 40,631
검사자 50,334 (84.6) 67,259 (88.0) 53,033 (91.6) 42,799 (93.5) 38,123 (93.8)
감염자 9,263 (18.4) 12,873 (19.1) 11,494 (21.7) 11,009 (25.7) 7,640 (20.0)
치료대상자b) 8,922 11,818 10,860 10,445 6,867
치료시작자 3,351 (37.6) 5,220 (44.2) 5,397 (49.7) 5,506 (52.7) 3,438 (50.1)
치료완료예정자c) 3,243 4,638 5,261 5,780 4,750
치료완료자 2,572 (79.3) 3,642 (78.5) 4,184 (79.5) 4,665 (80.7) 3,928 (82.7)

단위: 명, (%), [명/10만 명]. a)잠복결핵감염 검사대상자: 과거력(결핵 또는 잠복결핵감염)이 있는 자 제외. b)치료대상자: 다제내성 결핵환자의 접촉자 또는 과거 치료력이 있는 잠복결핵감염자 등 제외. c)치료완료예정자: 치료시작자 중 치료완료예정일이 당해년인 경우.



Figure. 3.집단시설 내 접촉자 잠복결핵감염 치료 현황, 2018–2022년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결핵 퇴치 단계 진입을 위해 다각적인 결핵 퇴치 전략을 추진 중으로, 결핵환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결핵 전파를 차단하고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통해 결핵 발병을 예방하는 것은 결핵 퇴치 전략의 필수 과제이다.

매년 결핵 신고 환자 수가 감소함에 따라 가족접촉자는 전년 대비 19.8% (5,511명) 감소, 집단시설 내 역학조사 건수는 전년 대비 14.6% (583건) 감소하였다. 결핵환자의 접촉자 중 가족 내 결핵환자의 배우자(43명, 접촉자 10만 명당 556.3명) 및 자녀(22명, 접촉자 10만 명당 270.1명)가 추가 결핵환자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가족접촉자의 검진 및 잠복결핵감염 치료에 보다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복지시설 역학조사 결과 추가 결핵환자가 46명(접촉자 10만 명당 181.3명)으로 가장 많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45명(97.8%)이 노인복지시설에서 발견되어 해당 시설에 대한 지속적이며 보다 적극적인 결핵 관리가 필요하다.

가족접촉자 중 2022년에 진단된 잠복결핵감염 치료대상자 4,044명의 72.9%가 치료를 시작하였고, 그중 92.0%가 치료를 완료하였다. 집단시설 내 잠복결핵감염 치료대상자 6,867명의 50.1%가 치료를 시작하였고, 그중 82.7%가 치료를 완료하였다. 매년 잠복결핵감염 치료시작률 및 치료완료율이 증가하고 있다. 이전 연구에서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완료하면 약 86%의 결핵 예방효과를 확인한 만큼 치료율 향상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5].

질병관리청은 2027년까지 인구 10만 명당 결핵 발생률을 20명 이하로 낮추기 위해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2023–2027)」을 수립하였고, 결핵 발병 위험이 높은 가족 및 집단시설 내 역학조사 정교화를 위해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에 제시한 결핵 역학조사 접촉자 확인 강화 및 결핵 조기 발견을 위한 접촉자 추구관리 강화 등 세부 중점 과제를 이행하는 데 힘쓸 것이다. 또한 2023년부터 지자체 주도로 역학조사를 시행 중이며, 시·도 역학조사 담당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역학조사관 교육 및 결핵 역학조사 현장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더불어 그간의 환자 다발생 사례, 전염성 강한 사례, 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사례를 중심으로 결핵 위험요인 등을 분석하여 결핵 역학조사의 관리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할 계획이다.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SMH, YJP, JEK, HYL, HYC. Data curation: SMH. Formal analysis: SMH. Investigation: SMH, YJP, JEK, HYL. Supervision: HYC. Visualization: SMH. Writing–original draft: SMH. Writing–review & editing: SMH, YJP, JEK, HYL, HYC.

  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lobal tuberculosis report 2022. WHO;2022.
  2.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Annual report on the notified tuberculosis in Korea, 2022. KDCA;2023.
  3.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2022 Korea tuberculosis management guidelines. KDCA;2021.
  4. Joint Committee for the Revision of Korean Guidelines for Tuberculosis. Korean guidelines for tuberculosis. 4th ed.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
  5. Park Y, Park J, Kwon Y, et al. Diagnosis, treatment and outcomes of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 in the household contact investigation program. Public Health Wkly Rep 2021;14:1256-63.

Article

조사/감시보고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28): 950-964

Published online July 20,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28.3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년 결핵 역학조사 결과

한선미, 박용준, 김지은, 이혜영, 최호용*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 결핵정책과

Received: May 19, 2023; Revised: June 15, 2023; Accepted: June 19,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공기로 전파되는 공기 매개 감염병으로, 결핵환자와 접촉한 사람에게 결핵균을 감염시킬 수 있다. 이에 전염성 결핵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한 역학조사를 통해 추가 결핵환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결핵 전파를 차단하고, 잠복결핵감염자 치료를 통해 결핵 발병을 예방하는 것은 주요한 결핵 예방관리 정책 수단이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도 결핵환자의 접촉자를 우선순위에 두고 체계적인 잠복결핵감염 검사와 치료를 권고하고 있다. 결핵 역학조사는 결핵환자의 가족과 소속된 집단시설 내 접촉자를 선정하여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검진을 시행한다. 2022년 결핵 역학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호흡기 결핵환자 18,137명의 가족접촉자 22,297명 중 추가 결핵환자 101명(접촉자 10만 명당 453.0명), 집단시설 역학조사 결과 조사 시행 3,416건의 접촉자 72,824명 중 추가 결핵환자 89명(접촉자 10만 명당 122.2명)을 조기 발견하였다. 우리나라의 2022년 결핵 신환자는 16,264명(10만 명당 31.7명)으로 일반인구에 비해 결핵 발병 위험이 결핵환자의 가족접촉자는 14.3배, 집단시설 접촉자는 3.9배 높아 철저한 접촉자 관리가 필요하다. 질병관리청은 2027년까지 인구 10만 명당 결핵 발생률을 20명 이하로 낮추기 위해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2023–2027)」을 수립하였고, 결핵 발병 위험이 높은 가족 및 집단시설 내 접촉자에 대한 검진·치료 사업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Keywords: 결핵, 결핵환자, 잠복결핵감염, 접촉자 조사, 역학조사

서 론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2021년 결핵 역학조사 결과, 가족접촉자 27,808명 중 결핵환자 158명(접촉자 10만 명당 568.2명), 집단시설 접촉자 90,073명 중 결핵환자 85명(접촉자 10만 명당 94.4명)을 발견하였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2022년 결핵 역학조사 결과, 가족접촉자 22,297명 중 결핵환자 101명(접촉자 10만 명당 453.0명), 집단시설 접촉자 72,824명 중 결핵환자 89명(접촉자 10만 명당 122.2명)을 조기 발견하였다.

③ 시사점은?

우리나라의 결핵환자가 2011년 이후 지속 감소함에 따라 2022년 결핵 역학조사 결과 가족접촉자는 전년 대비 19.8% 감소, 집단시설 내 역학조사 건수 또한 전년 대비 14.6% 감소하였다. 이에 결핵 발병 위험이 높은 가족접촉자 및 집단시설 내 접촉자가 누락 없이 등록되고,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검진과 잠복결핵감염 치료시작 및 완료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핵(tuberculosis)이란 결핵균(Mycobacteriumtuberculosis) 감염에 의해 생기는 호흡기 감염병으로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 따르면 2021년 전 세계적으로 약 1,060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160만 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우리나라의 2022년 결핵 신환자는 16,264명(인구 10만 명당 31.7명)이 발생하였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회원국 중 결핵 발생률 1위, 사망률 3위로 여전히 높은 결핵 발생률을 보이고 있어 더욱 적극적인 결핵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2]. 결핵 발생을 줄이기 위해 접촉자 검진을 통한 신속한 활동성 결핵 진단으로 결핵이 전파되는 것을 억제하는 정책과, 잠복결핵감염을 진단하고 치료하여 접촉자의 결핵 발생을 감소시키는 정책을 사용한다. 우리나라는 중등도 결핵 발생 국가로, 2011년 이후 활동성 결핵환자의 접촉자에 대한 잠복결핵감염 검진 및 치료 사업이 시행되었다[3,4].

가족접촉자 조사는 호흡기 결핵환자가 결핵 치료를 시작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3개월 이전부터 치료시작 후 2주까지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거나 주기적으로 접촉한 가족 및 동거인을 대상으로 시행한다. 집단시설 결핵환자가 객담을 포함한 호흡기검체 검사(항산균 도말검사, 핵산증폭검사, 항산균 배양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확인된 경우 또는 호흡기검체 검사 결과 음성이더라도 흉부 X선상 공동이 확인된 경우 결핵 역학조사를 실시한다.

접촉자 조사를 시행하여 조사범위를 결정한 후 접촉자 중 결핵 검사(흉부 X선 검사) 및 잠복결핵감염 검사(투베르쿨린 피부반응 검사[Tuberculin skin test, TST], 인터페론감마 분비검사[interferon-gamma release assay, IGRA])를 통해 추가 결핵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잠복결핵감염자를 진단·치료함으로써 향후 발병할 수 있는 결핵을 사전에 차단하고, 잠복결핵감염자 치료를 통한 결핵 발병 예방이 목적이다. 이에 2022년 결핵 역학조사 특성 및 의미를 살펴보고 보다 촘촘한 결핵 역학조사 추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 법

202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에 신고된 호흡기 결핵환자 중 진단변경으로 퇴록한 2,319명을 제외한 18,137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가족접촉자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집단시설 발생보고 사례 중 진단변경된 432건을 제외한 6,252건을 대상으로 한 접촉자 조사 현황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최근 5년간(2018–2022) 성별, 연령별, 연도별, 집단시설에 따른 접촉자 및 추가 결핵환자, 잠복결핵감염자 등의 세부 분석을 통해 2022년 결핵 역학조사 특성 및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결 과

1. 2022년 가족접촉자 조사 결과

2022년 신고된 전체 결핵환자 20,383명 중 호흡기 결핵환자는 18,137명(89.0%)이며, 그중 가족접촉자가 있는 결핵환자는 12,085명(66.6%)이었다. 가족접촉자는 22,297명으로 호흡기 결핵환자 수의 감소에 따라 전년 대비 5,511명(19.8%) 감소하였으나 2021년 행정정보공동이용망 주민등록정보 연계를 통한 가족접촉자 등록 체계 개선으로 가족접촉자가 있는 결핵환자 비율은 지속 증가하고 있다. 호흡기 결핵환자 가족접촉자 검진율은 97.3% (22,203명)로 전년 대비 2.3%p 증가하였고, 가족검진율은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그림 1).

Figure 1. 연도별 가족접촉자 검진 현황, 2018–2022년

2022년 호흡기 결핵환자의 가족접촉자는 총 22,297명이며, 호흡기 결핵환자 1명당 평균 가족접촉자 수는 1.2명이었다. 접촉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결핵 검사 결과 추가 결핵환자는 총 101명(접촉자 10만 명당 453.0명)으로, 이는 2022년 일반인구의 결핵 신환자율(10만 명당 31.7명)에 비해 14.3배 높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가족접촉자 중 과거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자를 제외한 잠복결핵감염 검사대상자 20,613명 중 17,444명(84.6%)을 대상으로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시행한 결과 4,362명(25.0%)가 양성으로 진단되었다.

2022년 가족접촉자 중 잠복결핵감염자의 치료시작률은 72.9%, 치료완료율은 92.0%였다. 잠복결핵감염자 치료시작률은 전년 대비 9.6%p, 치료완료율은 전년 대비 13.7%p 증가하며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표 1).

연도별 가족접촉자 조사 결과, 2018–2022년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접촉자 30,380 27,835 24,650 27,808 22,297
결핵 검진
검사자 27,751 (91.3) 25,684 (92.3) 23,833 (96.7) 26,432 (95.1) 22,239 (99.7)
추가결핵환자 154 [506.9] 120 [431.1] 126 [511.2] 158 [568.2] 101 [453.0]
잠복결핵감염 검진
검사대상자a) 26,468 24,422 23,288 26,048 20,613
검사자 23,331 (88.1) 21,546 (88.2) 20,254 (87.0) 21,972 (84.4) 17,444 (84.6)
감염자 6,711 (28.8) 5,761 (26.7) 5,547 (27.4) 5,988 (27.3) 4,362 (25.0)
치료대상자b) 6,533 5,626 5,395 5,590 4,044
치료시작자 2,703 (41.4) 3,060 (54.4) 3,234 (59.9) 3,540 (63.3) 2,950 (72.9)
치료완료예정자c) 1,558 1,753 3,210 3,269 3,069
치료완료자 1,045 (67.1) 1,302 (74.3) 1,850 (57.6) 2,559 (78.3) 2,824 (92.0)

단위: 명, (%), [명/10만 명]. a)잠복결핵감염 검사대상자: 과거력(결핵 또는 잠복결핵감염)이 있는 자 제외. b)치료대상자: 다제내성 결핵환자의 접촉자 또는 과거 치료력이 있는 잠복결핵감염자 등 제외. c)치료완료예정자: 치료시작자 중 치료완료예정일이 당해년인 경우..



접촉자 연령에 따른 잠복결핵감염률은 10대 미만 21.6%, 10대 13.4%, 20대 8.4%, 30대 15.8%, 40대 24.7%, 50대 32.5%, 60대 37.8%, 70대 이상 33.0%로 20대 이후부터 접촉자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잠복결핵감염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지표환자와의 관계에서는 조부모 43.8%, 부모 35.5%, 배우자 32.4% 등의 순으로 잠복결핵감염률이 높았다(표 2).

접촉자 특성에 따른 가족접촉자 조사 결과, 2022년
구분 접촉자 결핵 검진 잠복결핵감염 검진
검사자 추가결핵환자 검사 대상자 검사자 감염자
22,297 22,239 (99.7) 101 [453.0] 20,613 17,444 (84.6) 4,362 (25.0)
연령
10세 미만 1,197 1,194 (99.7) 3 [250.6] 1,175 1,169 (99.5) 252 (21.6)
10–19세 1,786 1,784 (99.9) 9 [503.9] 1,733 1,725 (99.5) 232 (13.4)
20–29세 2,178 2,173 (99.8) 10 [459.1] 2,110 2,097 (99.4) 177 (8.4)
30–39세 1,806 1,789 (99.1) 4 [221.5] 1,745 1,724 (98.8) 273 (15.8)
40–49세 2,975 2,971 (99.9) 14 [470.6] 2,774 2,762 (99.6) 682 (24.7)
50–59세 4,472 4,462 (99.8) 18 [402.5] 4,134 4,100 (99.2) 1,332 (32.5)
60–69세 3,920 3,911 (99.8) 14 [357.1] 3,409 2,841 (83.3) 1,075 (37.8)
70세 이상 3,963 3,955 (99.8) 29 [731.8] 3,533 1,026 (29.0) 339 (33.0)
지표환자와의 관계
배우자 7,729 7,717 (99.8) 43 [556.3] 7,069 4,494 (63.6) 1,458 (32.4)
부모 1,634 1,631 (99.8) 13 [795.6] 1,405 1,024 (72.9) 364 (35.5)
자녀 8,146 8,126 (99.8) 22 [270.1] 7,632 7,600 (99.6) 1,656 (21.8)
형제‧자매 726 725 (99.9) 9 [1,239.7] 638 626 (98.1) 127 (20.3)
손자‧손녀 1,706 1,702 (99.8) 2 [117.2] 1,672 1,668 (99.8) 177 (10.6)
조부모 50 50 (100.0) 2 [4,000.0] 41 16 (39.0) 7 (43.8)
친척 272 272 (100.0) 2 [735.3] 251 237 (94.4) 75 (31.6)
기타 2,034 2,016 (99.1) 8 [393.3] 1,905 1,779 (93.4) 498 (28.0)

단위: 명, (%), [명/10만 명]..



2. 2022년 집단시설 역학조사 결과

2022년에 신고된 전체 결핵환자 20,383명 중 집단시설에 소속된 사례는 6,252건이었으며, 그중 집단시설 역학조사 실시기준에 따라 총 3,416건을 조사하였다. 집단시설별 조사 건수는 사업장이 1,589건(46.5%)으로 가장 많았고, 사회복지시설이 845건(24.7%), 의료기관 572건(16.7%) 순이었다. 전체 조사 건 감소에 따라 기관별 조사 건수 또한 전년 대비 사업장 109건(20.5%), 의료기관 78건(12.0%), 학교 17건(6.4%), 사회복지시설 14건(1.6%) 감소하였다(그림 2).

Figure 2. 집단시설별 결핵 역학조사 현황, 2020–2022년

집단시설 소속 결핵환자의 접촉자는 총 72,824명이며, 조사 1건당 접촉자 수는 평균 21.3명이었다. 기관별로는 사회복지시설이 25,378명(34.8%)으로 가장 많았으며, 사업장 17,037명(23.4%), 의료기관 14,925명(20.5%) 순이었다. 접촉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결핵 검사 결과 추가 결핵환자 총 89명(접촉자 10만 명당 122.2명)을 조기 발견하였으며, 기관별로는 사회복지시설이 46명(접촉자 10만 명당 181.3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그중 45명의 추가 결핵환자가 노인복지시설에서 확인되었다.

접촉자 중 과거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자, 접촉 시간이 적은 일상 접촉자 등을 제외한 잠복결핵감염 검사대상자 40,631명 중 38,123명(93.8%)을 대상으로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시행한 결과 7,640명(20.0%)이 양성으로 진단되었다. 집단시설별로는 교정시설(37.1%), 사회복지시설(29.2%), 사업장(24.2%), 의료기관(22.5%) 순으로 잠복결핵감염률이 높았다(표 3).

집단시설 결핵 역학조사 결과, 2022년
학교 의료기관 군부대/ 경찰 사회복지시설 교정시설 사업장 그 밖의 시설
조사 시행 3,416 249 572 24 845 20 1,589 117
접촉자 72,824 12,347 14,925 508 25,378 329 17,037 2,300
추가결핵환자 89 [122.2] 1 [8.1] 22 [147.4] 1 [196.9] 46 [181.3] 0 [0.0] 19 [111.5] 0 [0.0]
잠복결핵감염 검사대상자a) 40,631 9,819 7,132 339 8,761 303 12,507 1,770
잠복결핵감염 검사자 38,123 (93.8) 9,368 (95.4) 6,701 (94.0) 292 (86.1) 8,170 (93.3) 299 (98.7) 11,670 (93.3) 1,623 (91.7)
잠복결핵 감염자 7,640 (20.0) 626 (6.7) 1,507 (22.5) 28 (9.6) 2,388 (29.2) 111 (37.1) 2,825 (24.2) 155 (9.6)

단위: 명, [명/10만 명], (%). a)잠복결핵감염 검사대상자: 과거력(결핵 또는 잠복결핵감염)이 있는 자 제외..



집단시설 내 접촉자 특성에 따른 잠복결핵감염률은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22.2%, 여성은 18.3%이었다. 연령별 잠복결핵감염률은 10대 미만 10.6%, 10대 2.7%, 20대 5.4%, 30대 11.9%, 40대 20.6%, 50대 32.9%, 60대 40.1%, 70대 이상 46.8%로 10대 이후부터 접촉자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잠복결핵감염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표 4).

집단시설 내 접촉자 특성별 결핵 역학조사 결과, 2022년
접촉자 결핵 검사자 잠복결핵감염 검진
검사 대상자a) 검사자 감염
72,824 71,955 (98.8) 40,631 38,123 (93.8) 7,640 (20.0)
성별
남자 29,900 29,487 (98.6) 18,259 17,025 (93.2) 3,778 (22.2)
여자 42,924 42,468 (98.9) 22,372 21,098 (94.3) 3,862 (18.3)
연령
10세 미만 1,598 1,591 (99.6) 1,306 1,251 (95.8) 132 (10.6)
10–19세 7,461 7,334 (98.3) 6,546 6,229 (95.2) 166 (2.7)
20–29세 8,295 8,080 (97.4) 6,062 5,658 (93.3) 304 (5.4)
30–39세 6,770 6,665 (98.4) 4,966 4,662 (93.9) 557 (11.9)
40–49세 9,124 9,038 (99.1) 6,306 5,915 (93.8) 1,220 (20.6)
50–59세 13,379 13,291 (99.3) 8,658 8,158 (94.2) 2,685 (32.9)
60–69세 9,634 9,573 (99.4) 5,645 5,238 (92.8) 2,102 (40.1)
70세 이상 16,563 16,383 (98.9) 1,142 1,012 (88.6) 474 (46.8)

단위: 명, (%). a)잠복결핵감염 검사대상자: 과거력(결핵 또는 잠복결핵감염)이 있는 자 제외..



2022년 집단시설 내 접촉자 중 잠복결핵감염자는 총 7,640명으로 다제내성 결핵환자의 접촉자, 과거 치료력이 있는 자 등을 제외한 치료대상자 6,867명 중 치료를 시작한 사람은 3,438명(50.1%)으로 치료시작률은 전년 대비 2.6%p 감소하였다. 치료완료예정일이 2023년인 치료시작자 4,750명 중 치료를 완료한 사람은 3,928명(82.7%)으로 치료완료율은 전년 대비 2.0%p 증가하였다(표 5, 그림 3).

연도별 집단시설 내 접촉자 잠복결핵감염 치료 현황, 2018–2022년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접촉자 122,913 130,843 109,723 90,073 72,824
결핵 검진
검사자 119,266 (97.0) 126,419 (96.6) 107,557 (98.0) 89,215 (99.0) 71,955 (98.8)
추가결핵환자 181 [147.3] 154 [117.7] 102 [93.0] 85 [94.4] 89 [122.2]
잠복결핵감염 검진
검사대상자a) 59,466 76,401 57,893 45,754 40,631
검사자 50,334 (84.6) 67,259 (88.0) 53,033 (91.6) 42,799 (93.5) 38,123 (93.8)
감염자 9,263 (18.4) 12,873 (19.1) 11,494 (21.7) 11,009 (25.7) 7,640 (20.0)
치료대상자b) 8,922 11,818 10,860 10,445 6,867
치료시작자 3,351 (37.6) 5,220 (44.2) 5,397 (49.7) 5,506 (52.7) 3,438 (50.1)
치료완료예정자c) 3,243 4,638 5,261 5,780 4,750
치료완료자 2,572 (79.3) 3,642 (78.5) 4,184 (79.5) 4,665 (80.7) 3,928 (82.7)

단위: 명, (%), [명/10만 명]. a)잠복결핵감염 검사대상자: 과거력(결핵 또는 잠복결핵감염)이 있는 자 제외. b)치료대상자: 다제내성 결핵환자의 접촉자 또는 과거 치료력이 있는 잠복결핵감염자 등 제외. c)치료완료예정자: 치료시작자 중 치료완료예정일이 당해년인 경우..



Figure 3. 집단시설 내 접촉자 잠복결핵감염 치료 현황, 2018–2022년

논 의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결핵 퇴치 단계 진입을 위해 다각적인 결핵 퇴치 전략을 추진 중으로, 결핵환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결핵 전파를 차단하고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통해 결핵 발병을 예방하는 것은 결핵 퇴치 전략의 필수 과제이다.

매년 결핵 신고 환자 수가 감소함에 따라 가족접촉자는 전년 대비 19.8% (5,511명) 감소, 집단시설 내 역학조사 건수는 전년 대비 14.6% (583건) 감소하였다. 결핵환자의 접촉자 중 가족 내 결핵환자의 배우자(43명, 접촉자 10만 명당 556.3명) 및 자녀(22명, 접촉자 10만 명당 270.1명)가 추가 결핵환자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가족접촉자의 검진 및 잠복결핵감염 치료에 보다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복지시설 역학조사 결과 추가 결핵환자가 46명(접촉자 10만 명당 181.3명)으로 가장 많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45명(97.8%)이 노인복지시설에서 발견되어 해당 시설에 대한 지속적이며 보다 적극적인 결핵 관리가 필요하다.

가족접촉자 중 2022년에 진단된 잠복결핵감염 치료대상자 4,044명의 72.9%가 치료를 시작하였고, 그중 92.0%가 치료를 완료하였다. 집단시설 내 잠복결핵감염 치료대상자 6,867명의 50.1%가 치료를 시작하였고, 그중 82.7%가 치료를 완료하였다. 매년 잠복결핵감염 치료시작률 및 치료완료율이 증가하고 있다. 이전 연구에서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완료하면 약 86%의 결핵 예방효과를 확인한 만큼 치료율 향상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5].

질병관리청은 2027년까지 인구 10만 명당 결핵 발생률을 20명 이하로 낮추기 위해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2023–2027)」을 수립하였고, 결핵 발병 위험이 높은 가족 및 집단시설 내 역학조사 정교화를 위해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에 제시한 결핵 역학조사 접촉자 확인 강화 및 결핵 조기 발견을 위한 접촉자 추구관리 강화 등 세부 중점 과제를 이행하는 데 힘쓸 것이다. 또한 2023년부터 지자체 주도로 역학조사를 시행 중이며, 시·도 역학조사 담당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역학조사관 교육 및 결핵 역학조사 현장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더불어 그간의 환자 다발생 사례, 전염성 강한 사례, 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사례를 중심으로 결핵 위험요인 등을 분석하여 결핵 역학조사의 관리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할 계획이다.

Declarations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SMH, YJP, JEK, HYL, HYC. Data curation: SMH. Formal analysis: SMH. Investigation: SMH, YJP, JEK, HYL. Supervision: HYC. Visualization: SMH. Writing–original draft: SMH. Writing–review & editing: SMH, YJP, JEK, HYL, HYC.

Fig 1.

Figure 1.연도별 가족접촉자 검진 현황, 2018–2022년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950-964https://doi.org/10.56786/PHWR.2023.16.28.3

Fig 2.

Figure 2.집단시설별 결핵 역학조사 현황, 2020–2022년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950-964https://doi.org/10.56786/PHWR.2023.16.28.3

Fig 3.

Figure 3.집단시설 내 접촉자 잠복결핵감염 치료 현황, 2018–2022년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950-964https://doi.org/10.56786/PHWR.2023.16.28.3
연도별 가족접촉자 조사 결과, 2018–2022년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접촉자 30,380 27,835 24,650 27,808 22,297
결핵 검진
검사자 27,751 (91.3) 25,684 (92.3) 23,833 (96.7) 26,432 (95.1) 22,239 (99.7)
추가결핵환자 154 [506.9] 120 [431.1] 126 [511.2] 158 [568.2] 101 [453.0]
잠복결핵감염 검진
검사대상자a) 26,468 24,422 23,288 26,048 20,613
검사자 23,331 (88.1) 21,546 (88.2) 20,254 (87.0) 21,972 (84.4) 17,444 (84.6)
감염자 6,711 (28.8) 5,761 (26.7) 5,547 (27.4) 5,988 (27.3) 4,362 (25.0)
치료대상자b) 6,533 5,626 5,395 5,590 4,044
치료시작자 2,703 (41.4) 3,060 (54.4) 3,234 (59.9) 3,540 (63.3) 2,950 (72.9)
치료완료예정자c) 1,558 1,753 3,210 3,269 3,069
치료완료자 1,045 (67.1) 1,302 (74.3) 1,850 (57.6) 2,559 (78.3) 2,824 (92.0)

단위: 명, (%), [명/10만 명]. a)잠복결핵감염 검사대상자: 과거력(결핵 또는 잠복결핵감염)이 있는 자 제외. b)치료대상자: 다제내성 결핵환자의 접촉자 또는 과거 치료력이 있는 잠복결핵감염자 등 제외. c)치료완료예정자: 치료시작자 중 치료완료예정일이 당해년인 경우..


접촉자 특성에 따른 가족접촉자 조사 결과, 2022년
구분 접촉자 결핵 검진 잠복결핵감염 검진
검사자 추가결핵환자 검사 대상자 검사자 감염자
22,297 22,239 (99.7) 101 [453.0] 20,613 17,444 (84.6) 4,362 (25.0)
연령
10세 미만 1,197 1,194 (99.7) 3 [250.6] 1,175 1,169 (99.5) 252 (21.6)
10–19세 1,786 1,784 (99.9) 9 [503.9] 1,733 1,725 (99.5) 232 (13.4)
20–29세 2,178 2,173 (99.8) 10 [459.1] 2,110 2,097 (99.4) 177 (8.4)
30–39세 1,806 1,789 (99.1) 4 [221.5] 1,745 1,724 (98.8) 273 (15.8)
40–49세 2,975 2,971 (99.9) 14 [470.6] 2,774 2,762 (99.6) 682 (24.7)
50–59세 4,472 4,462 (99.8) 18 [402.5] 4,134 4,100 (99.2) 1,332 (32.5)
60–69세 3,920 3,911 (99.8) 14 [357.1] 3,409 2,841 (83.3) 1,075 (37.8)
70세 이상 3,963 3,955 (99.8) 29 [731.8] 3,533 1,026 (29.0) 339 (33.0)
지표환자와의 관계
배우자 7,729 7,717 (99.8) 43 [556.3] 7,069 4,494 (63.6) 1,458 (32.4)
부모 1,634 1,631 (99.8) 13 [795.6] 1,405 1,024 (72.9) 364 (35.5)
자녀 8,146 8,126 (99.8) 22 [270.1] 7,632 7,600 (99.6) 1,656 (21.8)
형제‧자매 726 725 (99.9) 9 [1,239.7] 638 626 (98.1) 127 (20.3)
손자‧손녀 1,706 1,702 (99.8) 2 [117.2] 1,672 1,668 (99.8) 177 (10.6)
조부모 50 50 (100.0) 2 [4,000.0] 41 16 (39.0) 7 (43.8)
친척 272 272 (100.0) 2 [735.3] 251 237 (94.4) 75 (31.6)
기타 2,034 2,016 (99.1) 8 [393.3] 1,905 1,779 (93.4) 498 (28.0)

단위: 명, (%), [명/10만 명]..


집단시설 결핵 역학조사 결과, 2022년
학교 의료기관 군부대/ 경찰 사회복지시설 교정시설 사업장 그 밖의 시설
조사 시행 3,416 249 572 24 845 20 1,589 117
접촉자 72,824 12,347 14,925 508 25,378 329 17,037 2,300
추가결핵환자 89 [122.2] 1 [8.1] 22 [147.4] 1 [196.9] 46 [181.3] 0 [0.0] 19 [111.5] 0 [0.0]
잠복결핵감염 검사대상자a) 40,631 9,819 7,132 339 8,761 303 12,507 1,770
잠복결핵감염 검사자 38,123 (93.8) 9,368 (95.4) 6,701 (94.0) 292 (86.1) 8,170 (93.3) 299 (98.7) 11,670 (93.3) 1,623 (91.7)
잠복결핵 감염자 7,640 (20.0) 626 (6.7) 1,507 (22.5) 28 (9.6) 2,388 (29.2) 111 (37.1) 2,825 (24.2) 155 (9.6)

단위: 명, [명/10만 명], (%). a)잠복결핵감염 검사대상자: 과거력(결핵 또는 잠복결핵감염)이 있는 자 제외..


집단시설 내 접촉자 특성별 결핵 역학조사 결과, 2022년
접촉자 결핵 검사자 잠복결핵감염 검진
검사 대상자a) 검사자 감염
72,824 71,955 (98.8) 40,631 38,123 (93.8) 7,640 (20.0)
성별
남자 29,900 29,487 (98.6) 18,259 17,025 (93.2) 3,778 (22.2)
여자 42,924 42,468 (98.9) 22,372 21,098 (94.3) 3,862 (18.3)
연령
10세 미만 1,598 1,591 (99.6) 1,306 1,251 (95.8) 132 (10.6)
10–19세 7,461 7,334 (98.3) 6,546 6,229 (95.2) 166 (2.7)
20–29세 8,295 8,080 (97.4) 6,062 5,658 (93.3) 304 (5.4)
30–39세 6,770 6,665 (98.4) 4,966 4,662 (93.9) 557 (11.9)
40–49세 9,124 9,038 (99.1) 6,306 5,915 (93.8) 1,220 (20.6)
50–59세 13,379 13,291 (99.3) 8,658 8,158 (94.2) 2,685 (32.9)
60–69세 9,634 9,573 (99.4) 5,645 5,238 (92.8) 2,102 (40.1)
70세 이상 16,563 16,383 (98.9) 1,142 1,012 (88.6) 474 (46.8)

단위: 명, (%). a)잠복결핵감염 검사대상자: 과거력(결핵 또는 잠복결핵감염)이 있는 자 제외..


연도별 집단시설 내 접촉자 잠복결핵감염 치료 현황, 2018–2022년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접촉자 122,913 130,843 109,723 90,073 72,824
결핵 검진
검사자 119,266 (97.0) 126,419 (96.6) 107,557 (98.0) 89,215 (99.0) 71,955 (98.8)
추가결핵환자 181 [147.3] 154 [117.7] 102 [93.0] 85 [94.4] 89 [122.2]
잠복결핵감염 검진
검사대상자a) 59,466 76,401 57,893 45,754 40,631
검사자 50,334 (84.6) 67,259 (88.0) 53,033 (91.6) 42,799 (93.5) 38,123 (93.8)
감염자 9,263 (18.4) 12,873 (19.1) 11,494 (21.7) 11,009 (25.7) 7,640 (20.0)
치료대상자b) 8,922 11,818 10,860 10,445 6,867
치료시작자 3,351 (37.6) 5,220 (44.2) 5,397 (49.7) 5,506 (52.7) 3,438 (50.1)
치료완료예정자c) 3,243 4,638 5,261 5,780 4,750
치료완료자 2,572 (79.3) 3,642 (78.5) 4,184 (79.5) 4,665 (80.7) 3,928 (82.7)

단위: 명, (%), [명/10만 명]. a)잠복결핵감염 검사대상자: 과거력(결핵 또는 잠복결핵감염)이 있는 자 제외. b)치료대상자: 다제내성 결핵환자의 접촉자 또는 과거 치료력이 있는 잠복결핵감염자 등 제외. c)치료완료예정자: 치료시작자 중 치료완료예정일이 당해년인 경우..


Results of the household contacts investigations, 2018–2022
2018 2019 2020 2021 2022
No. of contacts 30,380 27,835 24,650 27,808 22,297
TB tests
TB tested 27,751 (91.3) 25,684 (92.3) 23,833 (96.7) 26,432 (95.1) 22,239 (99.7)
TB cases 154 [506.9] 120 [431.1] 126 [511.2] 158 [568.2] 101 [453.0]
LTBI tests
Subject to LTBI testa) 26,468 24,422 23,288 26,048 20,613
LTBI tested 23,331 (88.1) 21,546 (88.2) 20,254 (87.0) 21,972 (84.4) 17,444 (84.6)
LTBI cases 6,711 (28.8) 5,761 (26.7) 5,547 (27.4) 5,988 (27.3) 4,362 (25.0)
LTBI treatmentb) 6,533 5,626 5,395 5,590 4,044
Initiation of LTBI treatment 2,703 (41.4) 3,060 (54.4) 3,234 (59.9) 3,540 (63.3) 2,950 (72.9)
Expected complete of LTBI treatmentc) 1,558 1,753 3,210 3,269 3,069
Complete of LTBI treatment 1,045 (67.1) 1,302 (74.3) 1,850 (57.6) 2,559 (78.3) 2,824 (92.0)

Unit: person, (%), [cases/100,000 contacts]. TB=tuberculosis; LTBI=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a)Subject to LTBI test: exclude contacts who have a history of TB or LTBI. b)LTBI treatment: exclude contacts of multidrug-resistant-TB patients or individuals who have a history of TB or LTBI treatment. c)Expected complete of LTBI treatment: a person with an expected completion date for LTBI treatment in the current year..


Baselin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contacts, 2022
Characteristics No. of contacts TB tests LTBI tests
TB tested TB cases Subject to LTBI testa) LTBI tested LTBI cases
Total 22,297 22,239 (99.7) 101 [453.0] 20,613 17,444 (84.6) 4,362 (25.0)
Age (yr)
≤9 1,197 1,194 (99.7) 3 [250.6] 1,175 1,169 (99.5) 252 (21.6)
10–19 1,786 1,784 (99.9) 9 [503.9] 1,733 1,725 (99.5) 232 (13.4)
20–29 2,178 2,173 (99.8) 10 [459.1] 2,110 2,097 (99.4) 177 (8.4)
30–39 1,806 1,789 (99.1) 4 [221.5] 1,745 1,724 (98.8) 273 (15.8)
40–49 2,975 2,971 (99.9) 14 [470.6] 2,774 2,762 (99.6) 682 (24.7)
50–59 4,472 4,462 (99.8) 18 [402.5] 4,134 4,100 (99.2) 1,332 (32.5)
60–69 3,920 3,911 (99.8) 14 [357.1] 3,409 2,841 (83.3) 1,075 (37.8)
≥70 3,963 3,955 (99.8) 29 [731.8] 3,533 1,026 (29.0) 339 (33.0)
Relationship
Spouse 7,729 7,717 (99.8) 43 [556.3] 7,069 4,494 (63.6) 1,458 (32.4)
Parents 1,634 1,631 (99.8) 13 [795.6] 1,405 1,024 (72.9) 364 (35.5)
Children 8,146 8,126 (99.8) 22 [270.1] 7,632 7,600 (99.6) 1,656 (21.8)
Brothers & sisters 726 725 (99.9) 9 [1,239.7] 638 626 (98.1) 127 (20.3)
Grandchildren 1,706 1,702 (99.8) 2 [117.2] 1,672 1,668 (99.8) 177 (10.6)
Grandparents 50 50 (100.0) 2 [4,000.0] 41 16 (39.0) 7 (43.8)
Relatives 272 272 (100.0) 2 [735.3] 251 237 (94.4) 75 (31.6)
Others 2,034 2,016 (99.1) 8 [393.3] 1,905 1,779 (93.4) 498 (28.0)

Unit: person, (%), [cases/100,000 contacts]. TB=tuberculosis; LTBI=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a)Subject to LTBI test: exclude contacts who have a history of TB or LTBI..


Results of the contact investigations of infectious TB patients in congregate settings, 2022
Total Educational facilities Clinics/hospitals Military/police units Social welfare facilities Correctional facilities Work places Others
No. of investigations 3,416 249 572 24 845 20 1,589 117
No. of contacts 72,824 12,347 14,925 508 25,378 329 17,037 2,300
TB cases 89 [122.2] 1 [8.1] 22 [147.4] 1 [196.9] 46 [181.3] 0 [0.0] 19 [111.5] 0 [0.0]
Subject to LTBI testa) 40,631 9,819 7,132 339 8,761 303 12,507 1,770
LTBI tested 38,123 (93.8) 9,368 (95.4) 6,701 (94.0) 292 (86.1) 8,170 (93.3) 299 (98.7) 11,670 (93.3) 1,623 (91.7)
LTBI cases 7,640 (20.0) 626 (6.7) 1,507 (22.5) 28 (9.6) 2,388 (29.2) 111(37.1) 2,825 (24.2) 155 (9.6)

Unit: case, person, [cases/100,000 contacts], (%). TB=tuberculosis; LTBI=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a)Subject to LTBI test: exclude contacts who have a history of TB or LTBI..


Characteristics of LTBI in congregate settings, 2022
No. of contacts TB tested LTBI tests
Subject to LTBI testa) LTBI tested Contacts with LTBI
Total 72,824 71,955 (98.8) 40,631 38,123 (93.8) 7,640 (20.0)
Sex
Male 29,900 29,487 (98.6) 18,259 17,025 (93.2) 3,778 (22.2)
Female 42,924 42,468 (98.9) 22,372 21,098 (94.3) 3,862 (18.3)
Age (yr)
≤9 1,598 1,591 (99.6) 1,306 1,251 (95.8) 132 (10.6)
10–19 7,461 7,334 (98.3) 6,546 6,229 (95.2) 166 (2.7)
20–29 8,295 8,080 (97.4) 6,062 5,658 (93.3) 304 (5.4)
30–39 6,770 6,665 (98.4) 4,966 4,662 (93.9) 557 (11.9)
40–49 9,124 9,038 (99.1) 6,306 5,915 (93.8) 1,220 (20.6)
50–59 13,379 13,291 (99.3) 8,658 8,158 (94.2) 2,685 (32.9)
60–69 9,634 9,573 (99.4) 5,645 5,238 (92.8) 2,102 (40.1)
≥70 16,563 16,383 (98.9) 1,142 1,012 (88.6) 474 (46.8)

Unit: person, (%). LTBI=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TB=tuberculosis. a)Subject to LTBI test: exclude contacts who have a history of TB or LTBI..


Results of the treatment of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in congregate settings, 2018-2022
2018 2019 2020 2021 2022
No. of contacts 122,913 130,843 109,723 90,073 72,824
TB tests
TB tested 119,266 (97.0) 126,419 (96.6) 107,557 (98.0) 89,215 (99.0) 71,955 (98.8)
TB cases 181 [147.3] 154 [117.7] 102 [93.0] 85 [94.4] 89 [122.2]
LTBI tests
Subject to LTBI testa) 59,466 76,401 57,893 45,754 40,631
LTBI tested 50,334 (84.6) 67,259 (88.0) 53,033 (91.6) 42,799 (93.5) 38,123 (93.8)
LTBI cases 9,263 (18.4) 12,873 (19.1) 11,494 (21.7) 11,009 (25.7) 7,640 (20.0)
LTBI treatmentb) 8,922 11,818 10,860 10,445 6,867
Initiation of LTBI treatment 3,351 (37.6) 5,220 (44.2) 5,397 (49.7) 5,506 (52.7) 3,438 (50.1)
Expected complete of LTBI treatmentc) 3,243 4,638 5,261 5,780 4,750
Complete of LTBI treatment 2,572 (79.3) 3,642 (78.5) 4,184 (79.5) 4,665 (80.7) 3,928 (82.7)

Unit: person, [cases/100,000 contacts], (%). TB=tuberculosis; LTBI=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a)Subject to LTBI test: exclude contacts who have a history of TB or LTBI. b)LTBI treatment: exclude contacts of multidrug-resistant (MDR)-TB patients or individuals who have a history of TB or LTBI treatment. c)Expected complete of LTBI treatment: a person with an expected completion date for LTBI treatment in the current year..


References

  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lobal tuberculosis report 2022. WHO;2022.
  2.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Annual report on the notified tuberculosis in Korea, 2022. KDCA;2023.
  3.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2022 Korea tuberculosis management guidelines. KDCA;2021.
  4. Joint Committee for the Revision of Korean Guidelines for Tuberculosis. Korean guidelines for tuberculosis. 4th ed.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
  5. Park Y, Park J, Kwon Y, et al. Diagnosis, treatment and outcomes of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 in the household contact investigation program. Public Health Wkly Rep 2021;14:1256-63.
PHWR
Sep 21, 2023 Vol.16 No.37
pp. 1275~1287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 주간 건강과 질병
PUBLIC HEALTH WEEKLY REPORT
질병관리청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eISSN 2586-0860
pISSN 2005-81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