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와 전망

Split Viewer
ENG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29): 973-991

Published online July 27,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29.1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코로나19 핵심 지표 산출체계 국제 비교 및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

이나애1, 김연경1, 정승필1, 이우주1, 오주환2, 황승식1*

1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2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Corresponding author: 황승식, Tel: +82-2-880-2715, E-mail: cyberdoc@snu.ac.kr

Received: March 21, 2023; Revised: June 16, 2023; Accepted: June 21,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의 효과적인 유행 통제를 위해 유행 양상을 예측하고 분석하기 위한 관련 지표의 생산과 관리,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대시보드의 개발과 평가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료의 질 평가 분류 방법을 활용하여 주요 코로나19 방역 지표를 검토하고, 국내외 대시보드를 활용성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코로나19 발생현황과 병상 관련 지표를 중심으로 주요 방역지표를 제시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상당수의 관리지표를 제공하지만, 특정 대상 및 기간에 대해 공개된 지표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감염 및 사회경제적 취약성 요소를 포괄하는 지표를 개발하고, 국내의 감염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추정 모형의 개발과 정책 개발을 통한 지표의 활용이 필요하다. 대화형 대시보드는 데이터의 관리와 가공이 가능하고, 관리 및 가공의 결과를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정보를 제공하고 적절한 시각적 요소로 구현하기 때문에,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는 대화형 대시보드가 가장 활용성이 높다. 그러나 보다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명확한 지표 사용, 수월한 접근성, 정보 배치 가독성을 고려한 대시보드 개선이 필요하다.

Keywords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방역지표, 코로나19 대시보드, 대시보드 활용성 평가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코로나19 유행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대응하기 위해 국내에서도 상당수의 방역 지표를 공개하고 대시보드를 제작하여 게시하고 있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전략에 따라 상당수의 많은 지표를 관리하나 일부 공개하지 않는 지표가 있다. 정책적 의사결정, 행동 변화를 위해선 활용성(actionability)이 있는 대시보드가 개발되어야 한다.

③ 시사점은?

코로나19 관련 지표 벤치마킹을 통해 신종 감염병 대응 및 관리를 위한 시의적절한 방역 지표 발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국내외 대시보드의 활용성을 평가한 내용을 토대로 대시보드 개선안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2019년 12월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국내에서는 해외 확진자 유입으로 2020년 1월 20일 첫 확진자가 발생하였다[1]. 2023년 2월 7일 기준 국내 코로나19 발생현황은 인구 10만명당 발생률 31.22명(누적 확진자 30,279,381명, 일 확진자 16,120명), 사망률은 0.02명이다.

전 세계에서는 코로나19 유행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효과적인 방역대책을 세우기 위해 다양한 방역 지표를 발표하였다. 미국 질병통제센터의 경우 주요 핵심 지표에 대한 주보를 발간하고 있으며 모든 지표에 대해 지도 기반 정보를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다[2]. 발생현황 및 추세 경향(일일 확진자 현황, 사망, 신규 입원, 예방 접종) 및 누적현황(전체 확진자 현황, 사망, 입원 등) 기본 역학적 지표를 첫 화면에 제시하였으며 지역사회 기반(주별/카운티별) 자료를 제공하여 지역사회 간 방역 지표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핵심지표 외에도 여러 형태의 지표를 확인하고 다운받아 활용할 수 있다. 캐나다 연방보건부의 경우, 코로나19 발생현황, 보건 당국에서의 예방 및 관리, 백신현황 및 안전성, 여행 정보 등을 분류하여 첫 화면에 제시하였다[3]. 인공지능을 이용한 가상비서(virtual assistant)를 활용하여 상시로 원하는 정보를 클릭하여 이동하게끔 취약계층을 위한 정보도 지원하고 있으며 방역 지표와 관련된 원자료를 쉽게 다운받을 수 있다. 프랑스 사회보건부에서는 주요 방역 지표의 유행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주별로 문서 형태의 보도자료를 함께 제시하고 있으며 전주와 비교하여 각 지표별 상승 및 하락률과 함께 일반 국민들의 이해력을 돕기 위해 인포그래픽 형태로 제시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한 이후 관련 데이터를 소통하기 위한 시각적 도구로 대시보드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했다. 53개국의 158개 대시보드를 평가한 연구에 의하면 20개의 대시보드만이 활용성(actionability)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4].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 대시보드는 미국의 Covid ActNow, HowsMyFlattening, 덴마크, 프랑스, 스페인, 뉴질랜드의 대시보드, 뉴욕 타임즈, ABC 뉴스의 대시보드, 영국보건부의 대시보드 등이 있다. 활용성이 높은 대시보드의 특징으로는 첫째, 수요자와 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명확히 파악하고 있다. 둘째, 다양한 지표를 적절한 시기에 제공한다. 셋째, 제공 지표의 산출 근거 및 한계를 명확히 제시한다. 넷째, 시간 흐름에 따른 정보와 정책에 의한 영향을 제공한다. 다섯째, 지리적 공간에 기반한 정보를 제공한다. 여섯째, 인구학적‧사회경제학적‧지리적 특성 등으로 나눠 볼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제공한다. 일곱째, 이해를 돕는 시각화 자료나 설명을 제공한다를 들 수 있다.

코로나19 유행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고자 국내의 경우 질병관리청에서 의료‧방역 대응 상황 및 확진자 발생 현황, 예방접종 현황 등을 종합하여 코로나19 위험도 평가를 통해 모니터링을 진행하며 주별 정례 브리핑으로 정리하여 보도자료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대시보드의 경우 질병관리청, 통계청, 시‧도 감염병관리지원단, 시‧군‧구별로 제공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국 보건부 및 공중보건청 홈페이지 및 내부보고서를 통해 발표되는 주요 지표들을 검토하여 방역 정책 측면과 공중보건재난 대응 측면에서 주요 지표 및 생산체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활용성이 높은 대시보드의 특징을 가지고 국내외 대시보드를 평가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1. 연구대상

각국에서 발표하고 있는 코로나19 관련 방역 지표들과 생산체계에 대해 국내 지표와 효율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6대륙(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에서 총 20개국을 선정하였다. 아시아의 경우 4개국(중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유럽은 7개국(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영국,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아프리카(나이지리아, 남아공), 북아메리카(미국, 캐나다, 멕시코), 남아메리카(브라질, 아르헨티나), 오세아니아(호주, 뉴질랜드)로 주요국을 선정하였다.

평가 대상 대시보드는 영국보건부[5], 미국의 Covid ActNow [6], 질병관리청[7],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8]의 대시보드로 선정하였다.

2. 연구방법

주요국의 공공기관 웹사이트 및 보고서를 참고하여 코로나19 방역 지표를 검토하였으며 2022년 2월 15일부터 21일, 7일간 조사하였다. 각 나라별 공통으로 발표되고 있는 지표와 차별성을 두고 있는 지표를 분류하기 위하여 도나베디안(Donabedian)의 의료의 질 평가방법을 사용하여 결과(이환), 과정(검사, 추적, 환자 또는 확진자 격리, 접촉자 또는 의심자 격리, 예방접종), 구조(자원) 관련 지표로 나누어서 분류하였다. 또한, 1차 정리안과 비교하여 지표명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제공방식을 지표/대시보드의 형태로 정리하였으며 특징을 비고에 작성하여 각 나라에서 발표되고 있는 코로나19 방역 지표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주요 국가에서 코로나19의 사회‧경제적 영향을 나타내기 위해 발표하는 지표들에 대해서도, 해당 국가의 보건부 및 공중보건청 홈페이지와 내부에서 발표된 보고서를 검토하였으며 코로나19 감염 및 확산을 예측하기 위한 통계학적 지표로 감염재생산지수를 검토하였다.

Ivanković 등[4]의 대시보드 활용성(actionability) 평가는 대시보드의 다양한 요소들을 목록화하여 검토 후 검토 내용에 기반하여 활용성(actionability)을 1–5점 사이로 점수화한다. 평가 요소로는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지(역학적 정보, 감염병 관리 정보, 의료시스템 관리 정보, 사회경제적 의미 등), 대시보드의 수요자를 명시하고 수요자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는지, 데이터 출처를 명시하였는지, 분석을 위해 시간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지, 공간이나 지리적 범위를 구분하여 정보를 제공하는지, 시각화 자료의 종류와 수준이 어떠한지, 정보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해석을 제공하는지, 대시보드가 대화형 대시보드인지, 메타 데이터를 제공하는지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활용성이 높은 대시보드의 7가지 특징과 활용성 검토 도구에서 고려된 요소들을 ‘지표의 다양성’, ‘불필요한 정보 유무’, ‘비전공자 이해도’, ‘시각화 수준’, ‘자료의 신뢰성’, ‘정책활용 및 연계’ 총 6가지로 함축하여 보건‧의료 정보를 다루는 교수, 연구원, 언론인 등 국내외 38명을 대상으로 각 대시보드에 대해 느끼는 장단점을 조사하였다.

3. 분석방법

정리된 코로나19 관련 지표와 국내에서 발표하고 있는 코로나19 방역 지표를 비교하여 각 분류체계에 따라 특징들을 정리하였고, 국내에서만 발표되고 있거나 해외에서는 발표하지만, 한국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방역 지표들에 대해 확인하였다. 또한, 코로나19 방역 지표 외에 사회‧경제학적 지표와 통계학적 지표를 검토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내외 대시보드를 6가지 측면에서 검토한 결과를 점수화하여 비교하고, 38명이 각 대시보드에 대해 장점과 단점으로 나누어 제시한 의견을 ‘제공 지표 관련 고려사항’, ‘개발 관련 고려사항’, ‘시각화 관련 고려사항’으로 유형화하여 제작 시 필요한 고려사항을 정리하고, 이를 다시 이용자 유형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1. 국내외 코로나19 방역 지표 검토 결과

국내외 주요 코로나19 관련 지표 중 총 115건을 검토하였으며 도나베디안 의료의 질 평가방법에 따라 크게 3가지 분류기준으로 과정, 구조, 결과로 정리하였다(표 1).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과정의 경우 검사(test), 추적(trace), 환자 또는 확진자 격리(isolate), 접촉자 또는 의심자 격리(quarantine), 예방접종(vaccination) 총 5가지로 분류하였고, 구조의 경우 자원(resource), 결과는 이환(morbidity)으로 나누어서 정리하였다. 지표들을 검토하고 분류할 때, 명칭이 같거나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경우에는 통합하여 정리하였다. 검토한 20개국 중 5개국을 선택하여 표 2에 정리하였으며, 분류 기준에 따라 해당 국가에서 발표하고 있는 비율도 함께 표시하였다. 국외 대부분의 국가에서 발표하고 있는 코로나19 주요 방역 지표로는 코로나19 발생현황(신규 및 누적 확진자 수/성별/연령별), 입원환자 수(일별/주별/누적), 재원환자 수(일별/누적), 중증환자 수(일별/누적), 사망자 수(확진 후 28일 내/일별/누적/진단서 기준/지역별/성별/연령별) 등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표 2).

도나베디안 분류에 따른 코로나19 방역 지표
종류개수
결과이환26
과정검사16
추적13
환자 또는 확진자 격리5
접촉자 또는 의심자 격리3
예방접종36
구조자원17
합계116


국내외 코로나19 핵심지표 검토 결과
나라별 지표 개수
종류한국일본미국캐나다프랑스남아공
결과이환 (26)12 (46.2)4 (15.4)12 (46.2)11 (42.3)7 (26.9)9 (34.6)
과정검사 (16)10 (62.5)2 (12.5)4 (25.0)6 (37.5)6 (37.5)3 (18.8)
추적 (13)6 (46.2)1 (7.7)2 (15.4)4 (30.8)-1 (7.7)
환자 또는 확진자 격리 (5)4 (80.0)-----
접촉자 또는 의심자 격리 (3)3 (100.0)1 (33.3)----
예방접종 (36)21 (58.3)6 (16.7)18 (50.0)10 (27.8)9 (25.0)6 (16.7)
구조자원 (17)12 (70.6)-1 (5.9)-1 (5.9)-
합계11665 (56.5)14 (12.2)37 (32.2)31 (27.0)23 (20.0)19 (16.5)

단위: 개수(%). -, not available.



분류기준에 따라 각 나라에서 주요 지표만 선택하여 표 3표 4에 작성하였으며 국내에서 발표되고 있는 지표 여부와 발표되고 있는 나라를 함께 표시하였다. 결과(이환)에 해당하는 지표를 상세 검토하였을 때, 미국의 경우 의료이용과 관련하여 의료인력 입원환자 수, 산소 공급이 필요한 환자 수, 취약계층인 임산부 확진자, 교정시설 확진자 및 사망자 수 등 상세한 지표를 제공하고 있었다. 과정에서 검사(test)에 해당하는 지표를 살펴봤을 때 캐나다에서는 검사 양성률(항공편/육로) 및 접종군에 따른 검사 양성률 지표를 보고하였으며 프랑스에서는 혈청 검사 중 양성률을 발표하였다. 추적(trace)에 해당하는 지표를 살펴봤을 경우, 싱가포르에서는 감시체계(surveillance)를 통해 찾은 확진자를 보고하기도 하였으며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에는 지역별 전파 및 노출 경로를 일별/누적/인종별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예방접종(vaccination)에 해당하는 지표에서는 상당수의 나라에서 백신 접종 횟수 및 접종률(일별/누적, 지역별/인종별, 성별, 취약계층별)을 다양한 분류를 통해 제시하며 미국의 경우 임산부, 미성년자, 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상세한 지표 및 그에 따른 시각화도 함께 제시하고 있었다(표 3).

검사, 추적, 환자 또는 확진자 격리, 접촉자 또는 의심자 격리, 예방접종에 해당하는 지표 및 나라
과정지표명한국*공개하고 있는 나라명
검사검사 양성률(전체, 항공, 육로)캐나다
신속항원 검사 수(Antigen Rapid Test/Nucleic Acid Amplification Test)영국, 싱가포르, 미국, 덴마크
검사 양성률O남아공, 싱가포르, 덴마크, 호주, 프랑스, 스웨덴, 캐나다, 이탈리아, 노르웨이, 영국
변이 검사 비율O프랑스, 미국
- E484K 및 L452R 변이가 검출되지 않은 검사 비율(프랑스)
- DEL69/70, K417N, S371L-S373P 또는 Q493R 변이 중 한 가지 이상 검출된 검사 비율(프랑스)
- 오미크론 검출률(한국)
- 변종 비율 추정치(미국)
혈청 검사 중 양성률프랑스
하수감시시스템미국, 캐나다, 독일, 프랑스, 중국, 이탈리아, 일본, 브라질, 호주, 싱가포르, 뉴질랜드
추적Surveillance를 통해 찾은 확진 수×싱가포르
QR 코드 등록 횟수없음
이동량 데이터(증가율)캐나다, 멕시코
집단 감염 사례별 건수일본, 뉴질랜드
코로나 19 의심 대상자 수뉴질랜드
지역별 전파/노출 경로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환자 또는 확진자 격리격리 및 입원 상태에 있는 확진자 수대만, 뉴질랜드, 중국, 싱가포르
자가격리 발급 수×싱가포르
격리해제자 수싱가포르
재택치료 현황없음
재원 위중증 현황독일, 이탈리아, 중국
접촉자 또는 의심자 격리방역망 내 관리 분율없음
해외 입국/출국 검사자 수나이지리아, 일본
해외입국 격리면제자 중 확진자 현황없음
예방접종총 백신접종 횟수/접종률모든 20개국
백신 제조사별 누적 접종 수남아공, 미국, 프랑스
임산부 백신 접종 비율미국
외국인 확진자에 대한 예방접종력없음
백신 접종상태, 접종의향별 행동지표×미국
예방접종 보고서에 따른 백신 부작용 사례 수 및 백분율캐나다
양로원 및 장기요양시설 거주자의 백신 접종률프랑스
백신종류별 운송된 백신 수/백신 배포 건수(지역별)미국, 호주, 캐나다, 독일, 브라질
16세 이상 백신 접종률호주

*○: 공개(제공), ×: 미생산, △: 비공개.



이환과 자원에 해당되는 지표 및 나라
결과/구조지표명한국*나라명
이환코로나19 임산부 환자 중 중환자실 입원, 에크모(ECMO) 필요 환자 수, 임산부 확진자 수(입원 중인/연령군별)×미국
해외 유입 확진자 수없음
입원환자 수, 재원환자 수, 중증환자 수, 사망자 수영국, 남아공, 아르헨티나, 싱가포르, 덴마크, 호주, 프랑스, 캐나다, 뉴질랜드, 이탈리아, 멕시코, 나이지리아, 독일, 브라질, 일본
의료인력 중 입원자 수×남아공, 싱가포르, 캐나다, 이탈리아
입원 중인 코로나19환자 중 intensive care unit 이용률, invasive mechanical ventilation 이용 비율×미국
오미크론 위중증률모든 20개국
교정시설 확진자 수, 사망자 수미국
사망자 백신 접종 상태×호주, 캐나다
자원병상 이용률/입원 허용률싱가포르, 미국
검사소 수나이지리아
진단검사 제공경로별 검사 역량(일별 검사 가능 수)영국
검사키트 재고×뉴질랜드
공적 마스크 공급량(월별)없음
마스크 생산동향(보건용/비말차단용/수술용)없음
공적 마스크 구매량 및 구매자 수 동향없음
ECMO 주간현황없음
백신 재고 폐기율뉴질랜드

*○: 공개(제공), ×: 미생산, △: 비공개.



국내의 코로나19 방역 지표를 비교하였을 때 국내에서도 상당수의 방역 지표가 매일 주간보도로 발표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도 다양한 통계 현황을 바탕으로 코로나19 감염병을 관리하기 위한 정책 활용에 제공되고 있다. 국내에서만 발표하고 있는 지표들의 경우, 혈청 검사 양성률, 재택치료 현황, 외국인 확진자에 대한 예방접종력, 방역망 내 관리 분율, 에크모 현황, 공적 마스크 구매량 등을 발표하고 있다. 한국에서 발표하지 않는 지표들의 경우, 의료 인력에 대한 환자 수, 재감염자 수, 취약계층에 대한 확진자 비율, 사망자 백신접종 상태, 접종 유효성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표들에 대해서는 코로나19 유행시기 및 대응 정책의 변화로 인해 더이상 제공하지 않거나 공개하지 않는 지표가 있어 검색 시기에 따라 지표의 유무가 변경될 수 있다(표 4).

2. 사회‧경제적 및 통계학적 지표 검토 결과

국외에서 사회경제학적 지표로 발표되는 지역별, 인구집단별 또는 취약계층에 따른 확진자 비율, 사망률, 백신 접종률 등을 발표하고 있다. 덴마크의 경우 산업, 소비, 노동시장, 교통, 무역 분야에서 코로나19가 미친 영향에 대해 발표하기도 하였다[9]. 국외에서는 코로나19와 관련된 정보가 제공됨에 따라 행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실제 인도에서는 대규모 메시지 캠페인을 진행하였으며 이러한 메시지 캠페인을 통해 건강 의심 증상 보고를 늘리고 마을 간 여행을 줄였음을 밝혀내었다[10]. 미국에서는 인종을 고려한 메시지가 코로나19 관련 지식과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코로나19 관련 지식의 격차 해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11].

국내의 경우, 통계청 ‘국민 삶의 질’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국민의 사회, 경제적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12]. 또한, 대부분의 주요 국가들과 같이 성별, 연령과 같은 주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통계를 집계하며 통계개발원에서 수행된 코로나19 경제 사회 영향 측정지표 연구에서는 관련 종합적인 사회‧경제지표체계를 선정하여 발표하기도 하였다[13].

통계학적 지표로는 감염재생산지수를 검토하였는데 국외와 비교하여 국내에서도 매주 정기적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감염재생산지수를 추정한 방법론을 보고해왔다[14,15]. 감염전파 양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염재생산지수에 대한 상세한 해석은 제시되어있으나 정책 활용 매뉴얼에 대한 정보는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16]. 또한, 대부분의 해외 사례의 경우 자체적으로 개발한 모형을 사용하는 반면[17,18], 국내에서는 Cori 방법론을 이용한 감염재생산지수를 산출하였으며[16] 이외에도 수리적 모형이나[19] 행위자 기반 모형[20] 등을 활용하여 감염재생산지수를 산출하였다. 그러나 감염재생산지수를 활용한 매뉴얼은 공개되지 않아 본 연구에 활용하기에는 제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언급한 해외 사례들을 통해 국내의 감염 특징을 잘 반영할 수 있는 감염재생산지수 추정 모형의 개발 및 섬세한 해석, 정책 개발을 통한 활용이 필요하다.

3. 국내외 대시보드 평가 및 비교 결과

38명을 대상으로 국내외 대시보드 4종에 대한 평가를 한 결과 전반적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대시보드는 영국보건부의 대시보드였다. 질병관리청의 대시보드는 자료의 신뢰성 항목은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시각화, 비전공자 이해도 등의 항목에서는 낮은 평가를 받았는데 이러한 항목들에서는 추후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그림 1). 38명의 대시보드 평가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여 향후 대시보드 제작에 필요한 고려 사항은 ‘제공지표’, ‘인터페이스 개발’, ‘시각화 관련 사항’ 총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표 5).

대시보드 제작 고려 사항(공통)
제공 지표 관련 고려 사항(4개 대시보드 공통)
• Count, ratio, proportion, rate 등의 지표 명확히 사용
• 시의적절한 지표를 전면에 배치(백신 접종률, 병상 가동률 등)
• 이동 평균 같은 안정적인 지표 제시 필요
• 인구 집단에 기반한 위험 지표 제공 필요
• 지표에 대한 용어 정의를 명확히
개발 관련 고려 사항(4개 대시보드 공통)
• 가볍고 빨라야 함
• 원자료제공(csv, json 등 다양한 형태)
•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조회 가능한 분류 도구(데이터 필터링 기능) 필요
• 게시판이나 부가정보를 얻을 수 있는 링크의 구조화
• 모바일 기기에서 접근성, 메뉴 식별 가능성이 좋아야 함
• 클릭 횟수 적어야 함(게시판, 지도, 데이터 조회 모두 해당)
• 중요 정보만 시각화하고 이에 대한 추가 자료나 원자료는 따로 제공되어야 하되, 어디에 있는지 바로 파악이 가능해야 함
• 분류 도구, Interactive map에 대한 사용법 메뉴얼 제공
• API 제공
시각화 관련 고려 사항(4개 대시보드 공통)
• 지도 제공
• 색상이나 시각화 표현에 대한 정보 제공(예를 들어 범례, 색상의 의미)
• 이중 그래프 지양
• 그래프 구성 요소 명시(x축 제목, y축 제목)
• 장기 추이를 볼 수 있는 차트가 있어야 함
• Interactive 요소 제공


Figure. 1.국내외 대시보드 의견조사 설문 결과

국외의 코로나19 방역 지표를 국내와 비교하였을 때 국내에서도 상당수의 방역 지표가 주기적으로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감염병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유행시기를 고려한 필수적인 방역 지표와 부가지표가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향후 신종 감염병을 대응하고 대비하기 위한 신규 지표를 검토해서 코로나19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시의적절한 방역 지표 발표가 필요하다.

코로나19 대시보드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활용성과 접근성이라고 볼 수 있다. 활용성 측면에서는 시각적 소통 도구로써 대시보드가 단순히 정보를 보여주는 것을 넘어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시각화하고 사용자의 조작으로 자료를 바로 가공하여 결과를 볼 수 있는 대화형 대시보드(Interactive dashboard)로 제작할 필요가 있다[21,22]. 접근성 측면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를 고려하여 해당 대시보드의 주요 수요자를 염두에 두고 제작할 필요가 있다(그림 2).

Figure. 2.이용자 유형별 필요한 대시보드 특징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This research was funded b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No. 900-20210112).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NL, YK, JO, SH. Data curation: NL, YK, SH. Formal analysis: NL, YK, SH. Methodology: NL, YK, SJ, WL, SH. Writing – original draft: NL, YK, SH. Writing – review & editing: NL, YK, SH.

  1. Yang S, Jang J, Park SY, et al. Two-year report of COVID-19 outbreak from January 20, 2020 to January 19, 2022 in the Republic of Korea. Public Health Wkly Rep 2022;15:414-26.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COVID data tracker [Internet]. CDC; 2022 [cited 2023 Feb 7].
    Available from: https://covid.cdc.gov/covid-data-tracker/#datatracker-home
  3.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Coronavirus disease (COVID-19) [Internet]. Government of Canada; 2022 [cited 2023 Jan 23].
    Available from: https://www.canada.ca/en/public-health/services/diseases/coronavirus-disease-covid-19.html
  4. Ivanković D, Barbazza E, Bos V, et al. Features constituting actionable COVID-19 dashboards: descriptive assessment and expert appraisal of 158 public web-based COVID-19 dashboards. J Med Internet Res 2021;23:e25682.
    Pubmed KoreaMed CrossRef
  5. GOV.UK. Coronavirus (COVID-19) in the UK [Internet]. UK Health Security Agency; 2020 [cited 2022 Mar 28].
    Available from: https://coronavirus.data.gov.uk/
  6. Covid Act Now. U.S. COVID tracker [Internet]. Covid Act Now; 2020 [cited 2022 Mar 28].
    Available from: https://covidactnow.org/
  7.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Coronavirus Disease 19 (COVID-19)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cited 2022 Mar 28].
    Available from: https://ncov.kdca.go.kr/
  8. Gyeonggi Infectious Disease Control Center (GIDCC). Daily Infectious disease Awareness MONitoring boarD [Internet]. GIDCC; 2020 [cited 2022 Mar 28].
    Available from: https://www.gidcc.or.kr/
  9. Statistics Denmark. Experimental statistics [Internet]. Statistics Denmark; 2020 [cited 2023 Apr 20].
    Available from: https://www.dst.dk/en/Statistik/dokumentation/eksperimentel-statistik
  10. Banerjee A, Alsan M, Breza E, et al. Messages on COVID-19 prevention in India increased symptoms reporting and adherence to preventive behaviors among 25 million recipients with similar effects on non-recipient members of their communities. Cambridge, MA: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20 Jul. Report No.: Working Paper 27496.
    CrossRef
  11. Alsan M, Stanford FC, Banerjee A, et al. Comparis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r after general COVID-19 public health messages and messages tailored for Black and Latinx communities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 Intern Med 2021;174:484-92.
    Pubmed KoreaMed CrossRef
  12. Statistics Korea. Quality of life indicators in Korea 2022. Statistics Korea; 2023.
  13. Chung E, Han J. Research on construction of indicators to estimate the social and economic influences of COVID-19. Daejeon: Statistics Korea; 2021 Apr. Report No.: 2020-16.
  14. Jeong J, Kwon HM, Hong SH, Lee MK. Estimation of reproduction number for COVID-19 in Korea. J Korean Soc Qual Manag 2020;48:493-510.
  15. Moon SG, Kim YK, Son WS, et al. Time-variant reproductive number of COVID-19 in Seoul, Korea. Epidemiol Health 2020;42:e2020047.
    Pubmed KoreaMed CrossRef
  16. Yoo M, Kim Y, Baek S, Kwon D. The concept of reproduction number and changes according to government response policies. Public Health Wkly Rep 2021;14:282-9.
  17. Sonabend R, Whittles LK, Imai N, et al. Evaluating the roadmap out of lockdown: modelling step 4 of the roadmap in the context of B.1.617.2. Imperial College London; 2021.
  18.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Health.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s (NPI) implementation guide [Internet].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Health; 2020 [cited 2023 Apr 20].
    Available from: https://www.dshs.wa.gov/sites/default/files/ALTSA/16_-_NPI_Guidance_and_Implementation_2.29.20.pdf
  19. Choi S, Ki M. Analyzing the effects of social distancing on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using mathematical modeling. Epidemiol Health 2020;42:e2020064.
    Pubmed KoreaMed CrossRef
  20. Ryu H, Abulali A, Lee S.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isolation and contact-tracing interventions for early transmission dynamics of COVID-19 in South Korea. IEEE Access 2021;9:41456-67.
    Pubmed KoreaMed CrossRef
  21. Vahedi A, Moghaddasi H, Asadi F, Hosseini AS, Nazemi E. Applications, features and key indicators for the development of COVID-19 dashboards: a systematic review study. Inform Med Unlocked 2022;30:100910.
    Pubmed KoreaMed CrossRef
  22. Nijkamp P, Kourtit K. Place-specific corona dashboards for health policy: design and application of a 'Dutchboard'. Sustainability 2022;14:836.
    CrossRef

Article

리뷰와 전망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29): 973-991

Published online July 27,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29.1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코로나19 핵심 지표 산출체계 국제 비교 및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

이나애1, 김연경1, 정승필1, 이우주1, 오주환2, 황승식1*

1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2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Received: March 21, 2023; Revised: June 16, 2023; Accepted: June 21,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의 효과적인 유행 통제를 위해 유행 양상을 예측하고 분석하기 위한 관련 지표의 생산과 관리,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대시보드의 개발과 평가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료의 질 평가 분류 방법을 활용하여 주요 코로나19 방역 지표를 검토하고, 국내외 대시보드를 활용성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코로나19 발생현황과 병상 관련 지표를 중심으로 주요 방역지표를 제시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상당수의 관리지표를 제공하지만, 특정 대상 및 기간에 대해 공개된 지표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감염 및 사회경제적 취약성 요소를 포괄하는 지표를 개발하고, 국내의 감염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추정 모형의 개발과 정책 개발을 통한 지표의 활용이 필요하다. 대화형 대시보드는 데이터의 관리와 가공이 가능하고, 관리 및 가공의 결과를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정보를 제공하고 적절한 시각적 요소로 구현하기 때문에,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는 대화형 대시보드가 가장 활용성이 높다. 그러나 보다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명확한 지표 사용, 수월한 접근성, 정보 배치 가독성을 고려한 대시보드 개선이 필요하다.

Keywords: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방역지표, 코로나19 대시보드, 대시보드 활용성 평가

서 론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코로나19 유행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대응하기 위해 국내에서도 상당수의 방역 지표를 공개하고 대시보드를 제작하여 게시하고 있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전략에 따라 상당수의 많은 지표를 관리하나 일부 공개하지 않는 지표가 있다. 정책적 의사결정, 행동 변화를 위해선 활용성(actionability)이 있는 대시보드가 개발되어야 한다.

③ 시사점은?

코로나19 관련 지표 벤치마킹을 통해 신종 감염병 대응 및 관리를 위한 시의적절한 방역 지표 발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국내외 대시보드의 활용성을 평가한 내용을 토대로 대시보드 개선안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2019년 12월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국내에서는 해외 확진자 유입으로 2020년 1월 20일 첫 확진자가 발생하였다[1]. 2023년 2월 7일 기준 국내 코로나19 발생현황은 인구 10만명당 발생률 31.22명(누적 확진자 30,279,381명, 일 확진자 16,120명), 사망률은 0.02명이다.

전 세계에서는 코로나19 유행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효과적인 방역대책을 세우기 위해 다양한 방역 지표를 발표하였다. 미국 질병통제센터의 경우 주요 핵심 지표에 대한 주보를 발간하고 있으며 모든 지표에 대해 지도 기반 정보를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다[2]. 발생현황 및 추세 경향(일일 확진자 현황, 사망, 신규 입원, 예방 접종) 및 누적현황(전체 확진자 현황, 사망, 입원 등) 기본 역학적 지표를 첫 화면에 제시하였으며 지역사회 기반(주별/카운티별) 자료를 제공하여 지역사회 간 방역 지표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핵심지표 외에도 여러 형태의 지표를 확인하고 다운받아 활용할 수 있다. 캐나다 연방보건부의 경우, 코로나19 발생현황, 보건 당국에서의 예방 및 관리, 백신현황 및 안전성, 여행 정보 등을 분류하여 첫 화면에 제시하였다[3]. 인공지능을 이용한 가상비서(virtual assistant)를 활용하여 상시로 원하는 정보를 클릭하여 이동하게끔 취약계층을 위한 정보도 지원하고 있으며 방역 지표와 관련된 원자료를 쉽게 다운받을 수 있다. 프랑스 사회보건부에서는 주요 방역 지표의 유행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주별로 문서 형태의 보도자료를 함께 제시하고 있으며 전주와 비교하여 각 지표별 상승 및 하락률과 함께 일반 국민들의 이해력을 돕기 위해 인포그래픽 형태로 제시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한 이후 관련 데이터를 소통하기 위한 시각적 도구로 대시보드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했다. 53개국의 158개 대시보드를 평가한 연구에 의하면 20개의 대시보드만이 활용성(actionability)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4].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 대시보드는 미국의 Covid ActNow, HowsMyFlattening, 덴마크, 프랑스, 스페인, 뉴질랜드의 대시보드, 뉴욕 타임즈, ABC 뉴스의 대시보드, 영국보건부의 대시보드 등이 있다. 활용성이 높은 대시보드의 특징으로는 첫째, 수요자와 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명확히 파악하고 있다. 둘째, 다양한 지표를 적절한 시기에 제공한다. 셋째, 제공 지표의 산출 근거 및 한계를 명확히 제시한다. 넷째, 시간 흐름에 따른 정보와 정책에 의한 영향을 제공한다. 다섯째, 지리적 공간에 기반한 정보를 제공한다. 여섯째, 인구학적‧사회경제학적‧지리적 특성 등으로 나눠 볼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제공한다. 일곱째, 이해를 돕는 시각화 자료나 설명을 제공한다를 들 수 있다.

코로나19 유행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고자 국내의 경우 질병관리청에서 의료‧방역 대응 상황 및 확진자 발생 현황, 예방접종 현황 등을 종합하여 코로나19 위험도 평가를 통해 모니터링을 진행하며 주별 정례 브리핑으로 정리하여 보도자료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대시보드의 경우 질병관리청, 통계청, 시‧도 감염병관리지원단, 시‧군‧구별로 제공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국 보건부 및 공중보건청 홈페이지 및 내부보고서를 통해 발표되는 주요 지표들을 검토하여 방역 정책 측면과 공중보건재난 대응 측면에서 주요 지표 및 생산체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활용성이 높은 대시보드의 특징을 가지고 국내외 대시보드를 평가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1. 연구대상

각국에서 발표하고 있는 코로나19 관련 방역 지표들과 생산체계에 대해 국내 지표와 효율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6대륙(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에서 총 20개국을 선정하였다. 아시아의 경우 4개국(중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유럽은 7개국(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영국,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아프리카(나이지리아, 남아공), 북아메리카(미국, 캐나다, 멕시코), 남아메리카(브라질, 아르헨티나), 오세아니아(호주, 뉴질랜드)로 주요국을 선정하였다.

평가 대상 대시보드는 영국보건부[5], 미국의 Covid ActNow [6], 질병관리청[7],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8]의 대시보드로 선정하였다.

2. 연구방법

주요국의 공공기관 웹사이트 및 보고서를 참고하여 코로나19 방역 지표를 검토하였으며 2022년 2월 15일부터 21일, 7일간 조사하였다. 각 나라별 공통으로 발표되고 있는 지표와 차별성을 두고 있는 지표를 분류하기 위하여 도나베디안(Donabedian)의 의료의 질 평가방법을 사용하여 결과(이환), 과정(검사, 추적, 환자 또는 확진자 격리, 접촉자 또는 의심자 격리, 예방접종), 구조(자원) 관련 지표로 나누어서 분류하였다. 또한, 1차 정리안과 비교하여 지표명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제공방식을 지표/대시보드의 형태로 정리하였으며 특징을 비고에 작성하여 각 나라에서 발표되고 있는 코로나19 방역 지표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주요 국가에서 코로나19의 사회‧경제적 영향을 나타내기 위해 발표하는 지표들에 대해서도, 해당 국가의 보건부 및 공중보건청 홈페이지와 내부에서 발표된 보고서를 검토하였으며 코로나19 감염 및 확산을 예측하기 위한 통계학적 지표로 감염재생산지수를 검토하였다.

Ivanković 등[4]의 대시보드 활용성(actionability) 평가는 대시보드의 다양한 요소들을 목록화하여 검토 후 검토 내용에 기반하여 활용성(actionability)을 1–5점 사이로 점수화한다. 평가 요소로는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지(역학적 정보, 감염병 관리 정보, 의료시스템 관리 정보, 사회경제적 의미 등), 대시보드의 수요자를 명시하고 수요자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는지, 데이터 출처를 명시하였는지, 분석을 위해 시간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지, 공간이나 지리적 범위를 구분하여 정보를 제공하는지, 시각화 자료의 종류와 수준이 어떠한지, 정보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해석을 제공하는지, 대시보드가 대화형 대시보드인지, 메타 데이터를 제공하는지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활용성이 높은 대시보드의 7가지 특징과 활용성 검토 도구에서 고려된 요소들을 ‘지표의 다양성’, ‘불필요한 정보 유무’, ‘비전공자 이해도’, ‘시각화 수준’, ‘자료의 신뢰성’, ‘정책활용 및 연계’ 총 6가지로 함축하여 보건‧의료 정보를 다루는 교수, 연구원, 언론인 등 국내외 38명을 대상으로 각 대시보드에 대해 느끼는 장단점을 조사하였다.

3. 분석방법

정리된 코로나19 관련 지표와 국내에서 발표하고 있는 코로나19 방역 지표를 비교하여 각 분류체계에 따라 특징들을 정리하였고, 국내에서만 발표되고 있거나 해외에서는 발표하지만, 한국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방역 지표들에 대해 확인하였다. 또한, 코로나19 방역 지표 외에 사회‧경제학적 지표와 통계학적 지표를 검토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내외 대시보드를 6가지 측면에서 검토한 결과를 점수화하여 비교하고, 38명이 각 대시보드에 대해 장점과 단점으로 나누어 제시한 의견을 ‘제공 지표 관련 고려사항’, ‘개발 관련 고려사항’, ‘시각화 관련 고려사항’으로 유형화하여 제작 시 필요한 고려사항을 정리하고, 이를 다시 이용자 유형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결 과

1. 국내외 코로나19 방역 지표 검토 결과

국내외 주요 코로나19 관련 지표 중 총 115건을 검토하였으며 도나베디안 의료의 질 평가방법에 따라 크게 3가지 분류기준으로 과정, 구조, 결과로 정리하였다(표 1).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과정의 경우 검사(test), 추적(trace), 환자 또는 확진자 격리(isolate), 접촉자 또는 의심자 격리(quarantine), 예방접종(vaccination) 총 5가지로 분류하였고, 구조의 경우 자원(resource), 결과는 이환(morbidity)으로 나누어서 정리하였다. 지표들을 검토하고 분류할 때, 명칭이 같거나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경우에는 통합하여 정리하였다. 검토한 20개국 중 5개국을 선택하여 표 2에 정리하였으며, 분류 기준에 따라 해당 국가에서 발표하고 있는 비율도 함께 표시하였다. 국외 대부분의 국가에서 발표하고 있는 코로나19 주요 방역 지표로는 코로나19 발생현황(신규 및 누적 확진자 수/성별/연령별), 입원환자 수(일별/주별/누적), 재원환자 수(일별/누적), 중증환자 수(일별/누적), 사망자 수(확진 후 28일 내/일별/누적/진단서 기준/지역별/성별/연령별) 등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표 2).

도나베디안 분류에 따른 코로나19 방역 지표
종류개수
결과이환26
과정검사16
추적13
환자 또는 확진자 격리5
접촉자 또는 의심자 격리3
예방접종36
구조자원17
합계116


국내외 코로나19 핵심지표 검토 결과
나라별 지표 개수
종류한국일본미국캐나다프랑스남아공
결과이환 (26)12 (46.2)4 (15.4)12 (46.2)11 (42.3)7 (26.9)9 (34.6)
과정검사 (16)10 (62.5)2 (12.5)4 (25.0)6 (37.5)6 (37.5)3 (18.8)
추적 (13)6 (46.2)1 (7.7)2 (15.4)4 (30.8)-1 (7.7)
환자 또는 확진자 격리 (5)4 (80.0)-----
접촉자 또는 의심자 격리 (3)3 (100.0)1 (33.3)----
예방접종 (36)21 (58.3)6 (16.7)18 (50.0)10 (27.8)9 (25.0)6 (16.7)
구조자원 (17)12 (70.6)-1 (5.9)-1 (5.9)-
합계11665 (56.5)14 (12.2)37 (32.2)31 (27.0)23 (20.0)19 (16.5)

단위: 개수(%). -, not available..



분류기준에 따라 각 나라에서 주요 지표만 선택하여 표 3표 4에 작성하였으며 국내에서 발표되고 있는 지표 여부와 발표되고 있는 나라를 함께 표시하였다. 결과(이환)에 해당하는 지표를 상세 검토하였을 때, 미국의 경우 의료이용과 관련하여 의료인력 입원환자 수, 산소 공급이 필요한 환자 수, 취약계층인 임산부 확진자, 교정시설 확진자 및 사망자 수 등 상세한 지표를 제공하고 있었다. 과정에서 검사(test)에 해당하는 지표를 살펴봤을 때 캐나다에서는 검사 양성률(항공편/육로) 및 접종군에 따른 검사 양성률 지표를 보고하였으며 프랑스에서는 혈청 검사 중 양성률을 발표하였다. 추적(trace)에 해당하는 지표를 살펴봤을 경우, 싱가포르에서는 감시체계(surveillance)를 통해 찾은 확진자를 보고하기도 하였으며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에는 지역별 전파 및 노출 경로를 일별/누적/인종별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예방접종(vaccination)에 해당하는 지표에서는 상당수의 나라에서 백신 접종 횟수 및 접종률(일별/누적, 지역별/인종별, 성별, 취약계층별)을 다양한 분류를 통해 제시하며 미국의 경우 임산부, 미성년자, 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상세한 지표 및 그에 따른 시각화도 함께 제시하고 있었다(표 3).

검사, 추적, 환자 또는 확진자 격리, 접촉자 또는 의심자 격리, 예방접종에 해당하는 지표 및 나라
과정지표명한국*공개하고 있는 나라명
검사검사 양성률(전체, 항공, 육로)캐나다
신속항원 검사 수(Antigen Rapid Test/Nucleic Acid Amplification Test)영국, 싱가포르, 미국, 덴마크
검사 양성률O남아공, 싱가포르, 덴마크, 호주, 프랑스, 스웨덴, 캐나다, 이탈리아, 노르웨이, 영국
변이 검사 비율O프랑스, 미국
- E484K 및 L452R 변이가 검출되지 않은 검사 비율(프랑스)
- DEL69/70, K417N, S371L-S373P 또는 Q493R 변이 중 한 가지 이상 검출된 검사 비율(프랑스)
- 오미크론 검출률(한국)
- 변종 비율 추정치(미국)
혈청 검사 중 양성률프랑스
하수감시시스템미국, 캐나다, 독일, 프랑스, 중국, 이탈리아, 일본, 브라질, 호주, 싱가포르, 뉴질랜드
추적Surveillance를 통해 찾은 확진 수×싱가포르
QR 코드 등록 횟수없음
이동량 데이터(증가율)캐나다, 멕시코
집단 감염 사례별 건수일본, 뉴질랜드
코로나 19 의심 대상자 수뉴질랜드
지역별 전파/노출 경로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환자 또는 확진자 격리격리 및 입원 상태에 있는 확진자 수대만, 뉴질랜드, 중국, 싱가포르
자가격리 발급 수×싱가포르
격리해제자 수싱가포르
재택치료 현황없음
재원 위중증 현황독일, 이탈리아, 중국
접촉자 또는 의심자 격리방역망 내 관리 분율없음
해외 입국/출국 검사자 수나이지리아, 일본
해외입국 격리면제자 중 확진자 현황없음
예방접종총 백신접종 횟수/접종률모든 20개국
백신 제조사별 누적 접종 수남아공, 미국, 프랑스
임산부 백신 접종 비율미국
외국인 확진자에 대한 예방접종력없음
백신 접종상태, 접종의향별 행동지표×미국
예방접종 보고서에 따른 백신 부작용 사례 수 및 백분율캐나다
양로원 및 장기요양시설 거주자의 백신 접종률프랑스
백신종류별 운송된 백신 수/백신 배포 건수(지역별)미국, 호주, 캐나다, 독일, 브라질
16세 이상 백신 접종률호주

*○: 공개(제공), ×: 미생산, △: 비공개..



이환과 자원에 해당되는 지표 및 나라
결과/구조지표명한국*나라명
이환코로나19 임산부 환자 중 중환자실 입원, 에크모(ECMO) 필요 환자 수, 임산부 확진자 수(입원 중인/연령군별)×미국
해외 유입 확진자 수없음
입원환자 수, 재원환자 수, 중증환자 수, 사망자 수영국, 남아공, 아르헨티나, 싱가포르, 덴마크, 호주, 프랑스, 캐나다, 뉴질랜드, 이탈리아, 멕시코, 나이지리아, 독일, 브라질, 일본
의료인력 중 입원자 수×남아공, 싱가포르, 캐나다, 이탈리아
입원 중인 코로나19환자 중 intensive care unit 이용률, invasive mechanical ventilation 이용 비율×미국
오미크론 위중증률모든 20개국
교정시설 확진자 수, 사망자 수미국
사망자 백신 접종 상태×호주, 캐나다
자원병상 이용률/입원 허용률싱가포르, 미국
검사소 수나이지리아
진단검사 제공경로별 검사 역량(일별 검사 가능 수)영국
검사키트 재고×뉴질랜드
공적 마스크 공급량(월별)없음
마스크 생산동향(보건용/비말차단용/수술용)없음
공적 마스크 구매량 및 구매자 수 동향없음
ECMO 주간현황없음
백신 재고 폐기율뉴질랜드

*○: 공개(제공), ×: 미생산, △: 비공개..



국내의 코로나19 방역 지표를 비교하였을 때 국내에서도 상당수의 방역 지표가 매일 주간보도로 발표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도 다양한 통계 현황을 바탕으로 코로나19 감염병을 관리하기 위한 정책 활용에 제공되고 있다. 국내에서만 발표하고 있는 지표들의 경우, 혈청 검사 양성률, 재택치료 현황, 외국인 확진자에 대한 예방접종력, 방역망 내 관리 분율, 에크모 현황, 공적 마스크 구매량 등을 발표하고 있다. 한국에서 발표하지 않는 지표들의 경우, 의료 인력에 대한 환자 수, 재감염자 수, 취약계층에 대한 확진자 비율, 사망자 백신접종 상태, 접종 유효성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표들에 대해서는 코로나19 유행시기 및 대응 정책의 변화로 인해 더이상 제공하지 않거나 공개하지 않는 지표가 있어 검색 시기에 따라 지표의 유무가 변경될 수 있다(표 4).

2. 사회‧경제적 및 통계학적 지표 검토 결과

국외에서 사회경제학적 지표로 발표되는 지역별, 인구집단별 또는 취약계층에 따른 확진자 비율, 사망률, 백신 접종률 등을 발표하고 있다. 덴마크의 경우 산업, 소비, 노동시장, 교통, 무역 분야에서 코로나19가 미친 영향에 대해 발표하기도 하였다[9]. 국외에서는 코로나19와 관련된 정보가 제공됨에 따라 행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실제 인도에서는 대규모 메시지 캠페인을 진행하였으며 이러한 메시지 캠페인을 통해 건강 의심 증상 보고를 늘리고 마을 간 여행을 줄였음을 밝혀내었다[10]. 미국에서는 인종을 고려한 메시지가 코로나19 관련 지식과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코로나19 관련 지식의 격차 해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11].

국내의 경우, 통계청 ‘국민 삶의 질’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국민의 사회, 경제적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12]. 또한, 대부분의 주요 국가들과 같이 성별, 연령과 같은 주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통계를 집계하며 통계개발원에서 수행된 코로나19 경제 사회 영향 측정지표 연구에서는 관련 종합적인 사회‧경제지표체계를 선정하여 발표하기도 하였다[13].

통계학적 지표로는 감염재생산지수를 검토하였는데 국외와 비교하여 국내에서도 매주 정기적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감염재생산지수를 추정한 방법론을 보고해왔다[14,15]. 감염전파 양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염재생산지수에 대한 상세한 해석은 제시되어있으나 정책 활용 매뉴얼에 대한 정보는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16]. 또한, 대부분의 해외 사례의 경우 자체적으로 개발한 모형을 사용하는 반면[17,18], 국내에서는 Cori 방법론을 이용한 감염재생산지수를 산출하였으며[16] 이외에도 수리적 모형이나[19] 행위자 기반 모형[20] 등을 활용하여 감염재생산지수를 산출하였다. 그러나 감염재생산지수를 활용한 매뉴얼은 공개되지 않아 본 연구에 활용하기에는 제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언급한 해외 사례들을 통해 국내의 감염 특징을 잘 반영할 수 있는 감염재생산지수 추정 모형의 개발 및 섬세한 해석, 정책 개발을 통한 활용이 필요하다.

3. 국내외 대시보드 평가 및 비교 결과

38명을 대상으로 국내외 대시보드 4종에 대한 평가를 한 결과 전반적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대시보드는 영국보건부의 대시보드였다. 질병관리청의 대시보드는 자료의 신뢰성 항목은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시각화, 비전공자 이해도 등의 항목에서는 낮은 평가를 받았는데 이러한 항목들에서는 추후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그림 1). 38명의 대시보드 평가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여 향후 대시보드 제작에 필요한 고려 사항은 ‘제공지표’, ‘인터페이스 개발’, ‘시각화 관련 사항’ 총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표 5).

대시보드 제작 고려 사항(공통)
제공 지표 관련 고려 사항(4개 대시보드 공통)
• Count, ratio, proportion, rate 등의 지표 명확히 사용
• 시의적절한 지표를 전면에 배치(백신 접종률, 병상 가동률 등)
• 이동 평균 같은 안정적인 지표 제시 필요
• 인구 집단에 기반한 위험 지표 제공 필요
• 지표에 대한 용어 정의를 명확히
개발 관련 고려 사항(4개 대시보드 공통)
• 가볍고 빨라야 함
• 원자료제공(csv, json 등 다양한 형태)
•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조회 가능한 분류 도구(데이터 필터링 기능) 필요
• 게시판이나 부가정보를 얻을 수 있는 링크의 구조화
• 모바일 기기에서 접근성, 메뉴 식별 가능성이 좋아야 함
• 클릭 횟수 적어야 함(게시판, 지도, 데이터 조회 모두 해당)
• 중요 정보만 시각화하고 이에 대한 추가 자료나 원자료는 따로 제공되어야 하되, 어디에 있는지 바로 파악이 가능해야 함
• 분류 도구, Interactive map에 대한 사용법 메뉴얼 제공
• API 제공
시각화 관련 고려 사항(4개 대시보드 공통)
• 지도 제공
• 색상이나 시각화 표현에 대한 정보 제공(예를 들어 범례, 색상의 의미)
• 이중 그래프 지양
• 그래프 구성 요소 명시(x축 제목, y축 제목)
• 장기 추이를 볼 수 있는 차트가 있어야 함
• Interactive 요소 제공


Figure 1. 국내외 대시보드 의견조사 설문 결과

결 론

국외의 코로나19 방역 지표를 국내와 비교하였을 때 국내에서도 상당수의 방역 지표가 주기적으로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감염병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유행시기를 고려한 필수적인 방역 지표와 부가지표가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향후 신종 감염병을 대응하고 대비하기 위한 신규 지표를 검토해서 코로나19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시의적절한 방역 지표 발표가 필요하다.

코로나19 대시보드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활용성과 접근성이라고 볼 수 있다. 활용성 측면에서는 시각적 소통 도구로써 대시보드가 단순히 정보를 보여주는 것을 넘어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시각화하고 사용자의 조작으로 자료를 바로 가공하여 결과를 볼 수 있는 대화형 대시보드(Interactive dashboard)로 제작할 필요가 있다[21,22]. 접근성 측면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를 고려하여 해당 대시보드의 주요 수요자를 염두에 두고 제작할 필요가 있다(그림 2).

Figure 2. 이용자 유형별 필요한 대시보드 특징

Declarations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This research was funded b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No. 900-20210112).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NL, YK, JO, SH. Data curation: NL, YK, SH. Formal analysis: NL, YK, SH. Methodology: NL, YK, SJ, WL, SH. Writing – original draft: NL, YK, SH. Writing – review & editing: NL, YK, SH.

Fig 1.

Figure 1.국내외 대시보드 의견조사 설문 결과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973-991https://doi.org/10.56786/PHWR.2023.16.29.1

Fig 2.

Figure 2.이용자 유형별 필요한 대시보드 특징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973-991https://doi.org/10.56786/PHWR.2023.16.29.1
도나베디안 분류에 따른 코로나19 방역 지표
종류개수
결과이환26
과정검사16
추적13
환자 또는 확진자 격리5
접촉자 또는 의심자 격리3
예방접종36
구조자원17
합계116

국내외 코로나19 핵심지표 검토 결과
나라별 지표 개수
종류한국일본미국캐나다프랑스남아공
결과이환 (26)12 (46.2)4 (15.4)12 (46.2)11 (42.3)7 (26.9)9 (34.6)
과정검사 (16)10 (62.5)2 (12.5)4 (25.0)6 (37.5)6 (37.5)3 (18.8)
추적 (13)6 (46.2)1 (7.7)2 (15.4)4 (30.8)-1 (7.7)
환자 또는 확진자 격리 (5)4 (80.0)-----
접촉자 또는 의심자 격리 (3)3 (100.0)1 (33.3)----
예방접종 (36)21 (58.3)6 (16.7)18 (50.0)10 (27.8)9 (25.0)6 (16.7)
구조자원 (17)12 (70.6)-1 (5.9)-1 (5.9)-
합계11665 (56.5)14 (12.2)37 (32.2)31 (27.0)23 (20.0)19 (16.5)

단위: 개수(%). -, not available..


검사, 추적, 환자 또는 확진자 격리, 접촉자 또는 의심자 격리, 예방접종에 해당하는 지표 및 나라
과정지표명한국*공개하고 있는 나라명
검사검사 양성률(전체, 항공, 육로)캐나다
신속항원 검사 수(Antigen Rapid Test/Nucleic Acid Amplification Test)영국, 싱가포르, 미국, 덴마크
검사 양성률O남아공, 싱가포르, 덴마크, 호주, 프랑스, 스웨덴, 캐나다, 이탈리아, 노르웨이, 영국
변이 검사 비율O프랑스, 미국
- E484K 및 L452R 변이가 검출되지 않은 검사 비율(프랑스)
- DEL69/70, K417N, S371L-S373P 또는 Q493R 변이 중 한 가지 이상 검출된 검사 비율(프랑스)
- 오미크론 검출률(한국)
- 변종 비율 추정치(미국)
혈청 검사 중 양성률프랑스
하수감시시스템미국, 캐나다, 독일, 프랑스, 중국, 이탈리아, 일본, 브라질, 호주, 싱가포르, 뉴질랜드
추적Surveillance를 통해 찾은 확진 수×싱가포르
QR 코드 등록 횟수없음
이동량 데이터(증가율)캐나다, 멕시코
집단 감염 사례별 건수일본, 뉴질랜드
코로나 19 의심 대상자 수뉴질랜드
지역별 전파/노출 경로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환자 또는 확진자 격리격리 및 입원 상태에 있는 확진자 수대만, 뉴질랜드, 중국, 싱가포르
자가격리 발급 수×싱가포르
격리해제자 수싱가포르
재택치료 현황없음
재원 위중증 현황독일, 이탈리아, 중국
접촉자 또는 의심자 격리방역망 내 관리 분율없음
해외 입국/출국 검사자 수나이지리아, 일본
해외입국 격리면제자 중 확진자 현황없음
예방접종총 백신접종 횟수/접종률모든 20개국
백신 제조사별 누적 접종 수남아공, 미국, 프랑스
임산부 백신 접종 비율미국
외국인 확진자에 대한 예방접종력없음
백신 접종상태, 접종의향별 행동지표×미국
예방접종 보고서에 따른 백신 부작용 사례 수 및 백분율캐나다
양로원 및 장기요양시설 거주자의 백신 접종률프랑스
백신종류별 운송된 백신 수/백신 배포 건수(지역별)미국, 호주, 캐나다, 독일, 브라질
16세 이상 백신 접종률호주

*○: 공개(제공), ×: 미생산, △: 비공개..


이환과 자원에 해당되는 지표 및 나라
결과/구조지표명한국*나라명
이환코로나19 임산부 환자 중 중환자실 입원, 에크모(ECMO) 필요 환자 수, 임산부 확진자 수(입원 중인/연령군별)×미국
해외 유입 확진자 수없음
입원환자 수, 재원환자 수, 중증환자 수, 사망자 수영국, 남아공, 아르헨티나, 싱가포르, 덴마크, 호주, 프랑스, 캐나다, 뉴질랜드, 이탈리아, 멕시코, 나이지리아, 독일, 브라질, 일본
의료인력 중 입원자 수×남아공, 싱가포르, 캐나다, 이탈리아
입원 중인 코로나19환자 중 intensive care unit 이용률, invasive mechanical ventilation 이용 비율×미국
오미크론 위중증률모든 20개국
교정시설 확진자 수, 사망자 수미국
사망자 백신 접종 상태×호주, 캐나다
자원병상 이용률/입원 허용률싱가포르, 미국
검사소 수나이지리아
진단검사 제공경로별 검사 역량(일별 검사 가능 수)영국
검사키트 재고×뉴질랜드
공적 마스크 공급량(월별)없음
마스크 생산동향(보건용/비말차단용/수술용)없음
공적 마스크 구매량 및 구매자 수 동향없음
ECMO 주간현황없음
백신 재고 폐기율뉴질랜드

*○: 공개(제공), ×: 미생산, △: 비공개..


대시보드 제작 고려 사항(공통)
제공 지표 관련 고려 사항(4개 대시보드 공통)
• Count, ratio, proportion, rate 등의 지표 명확히 사용
• 시의적절한 지표를 전면에 배치(백신 접종률, 병상 가동률 등)
• 이동 평균 같은 안정적인 지표 제시 필요
• 인구 집단에 기반한 위험 지표 제공 필요
• 지표에 대한 용어 정의를 명확히
개발 관련 고려 사항(4개 대시보드 공통)
• 가볍고 빨라야 함
• 원자료제공(csv, json 등 다양한 형태)
•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조회 가능한 분류 도구(데이터 필터링 기능) 필요
• 게시판이나 부가정보를 얻을 수 있는 링크의 구조화
• 모바일 기기에서 접근성, 메뉴 식별 가능성이 좋아야 함
• 클릭 횟수 적어야 함(게시판, 지도, 데이터 조회 모두 해당)
• 중요 정보만 시각화하고 이에 대한 추가 자료나 원자료는 따로 제공되어야 하되, 어디에 있는지 바로 파악이 가능해야 함
• 분류 도구, Interactive map에 대한 사용법 메뉴얼 제공
• API 제공
시각화 관련 고려 사항(4개 대시보드 공통)
• 지도 제공
• 색상이나 시각화 표현에 대한 정보 제공(예를 들어 범례, 색상의 의미)
• 이중 그래프 지양
• 그래프 구성 요소 명시(x축 제목, y축 제목)
• 장기 추이를 볼 수 있는 차트가 있어야 함
• Interactive 요소 제공

References

  1. Yang S, Jang J, Park SY, et al. Two-year report of COVID-19 outbreak from January 20, 2020 to January 19, 2022 in the Republic of Korea. Public Health Wkly Rep 2022;15:414-26.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COVID data tracker [Internet]. CDC; 2022 [cited 2023 Feb 7]. Available from: https://covid.cdc.gov/covid-data-tracker/#datatracker-home
  3.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Coronavirus disease (COVID-19) [Internet]. Government of Canada; 2022 [cited 2023 Jan 23]. Available from: https://www.canada.ca/en/public-health/services/diseases/coronavirus-disease-covid-19.html
  4. Ivanković D, Barbazza E, Bos V, et al. Features constituting actionable COVID-19 dashboards: descriptive assessment and expert appraisal of 158 public web-based COVID-19 dashboards. J Med Internet Res 2021;23:e25682.
    Pubmed KoreaMed CrossRef
  5. GOV.UK. Coronavirus (COVID-19) in the UK [Internet]. UK Health Security Agency; 2020 [cited 2022 Mar 28]. Available from: https://coronavirus.data.gov.uk/
  6. Covid Act Now. U.S. COVID tracker [Internet]. Covid Act Now; 2020 [cited 2022 Mar 28]. Available from: https://covidactnow.org/
  7.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Coronavirus Disease 19 (COVID-19)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cited 2022 Mar 28]. Available from: https://ncov.kdca.go.kr/
  8. Gyeonggi Infectious Disease Control Center (GIDCC). Daily Infectious disease Awareness MONitoring boarD [Internet]. GIDCC; 2020 [cited 2022 Mar 28]. Available from: https://www.gidcc.or.kr/
  9. Statistics Denmark. Experimental statistics [Internet]. Statistics Denmark; 2020 [cited 2023 Apr 20]. Available from: https://www.dst.dk/en/Statistik/dokumentation/eksperimentel-statistik
  10. Banerjee A, Alsan M, Breza E, et al. Messages on COVID-19 prevention in India increased symptoms reporting and adherence to preventive behaviors among 25 million recipients with similar effects on non-recipient members of their communities. Cambridge, MA: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20 Jul. Report No.: Working Paper 27496.
    CrossRef
  11. Alsan M, Stanford FC, Banerjee A, et al. Comparis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r after general COVID-19 public health messages and messages tailored for Black and Latinx communities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 Intern Med 2021;174:484-92.
    Pubmed KoreaMed CrossRef
  12. Statistics Korea. Quality of life indicators in Korea 2022. Statistics Korea; 2023.
  13. Chung E, Han J. Research on construction of indicators to estimate the social and economic influences of COVID-19. Daejeon: Statistics Korea; 2021 Apr. Report No.: 2020-16.
  14. Jeong J, Kwon HM, Hong SH, Lee MK. Estimation of reproduction number for COVID-19 in Korea. J Korean Soc Qual Manag 2020;48:493-510.
  15. Moon SG, Kim YK, Son WS, et al. Time-variant reproductive number of COVID-19 in Seoul, Korea. Epidemiol Health 2020;42:e2020047.
    Pubmed KoreaMed CrossRef
  16. Yoo M, Kim Y, Baek S, Kwon D. The concept of reproduction number and changes according to government response policies. Public Health Wkly Rep 2021;14:282-9.
  17. Sonabend R, Whittles LK, Imai N, et al. Evaluating the roadmap out of lockdown: modelling step 4 of the roadmap in the context of B.1.617.2. Imperial College London; 2021.
  18.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Health.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s (NPI) implementation guide [Internet].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Health; 2020 [cited 2023 Apr 20]. Available from: https://www.dshs.wa.gov/sites/default/files/ALTSA/16_-_NPI_Guidance_and_Implementation_2.29.20.pdf
  19. Choi S, Ki M. Analyzing the effects of social distancing on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using mathematical modeling. Epidemiol Health 2020;42:e2020064.
    Pubmed KoreaMed CrossRef
  20. Ryu H, Abulali A, Lee S.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isolation and contact-tracing interventions for early transmission dynamics of COVID-19 in South Korea. IEEE Access 2021;9:41456-67.
    Pubmed KoreaMed CrossRef
  21. Vahedi A, Moghaddasi H, Asadi F, Hosseini AS, Nazemi E. Applications, features and key indicators for the development of COVID-19 dashboards: a systematic review study. Inform Med Unlocked 2022;30:100910.
    Pubmed KoreaMed CrossRef
  22. Nijkamp P, Kourtit K. Place-specific corona dashboards for health policy: design and application of a 'Dutchboard'. Sustainability 2022;14:836.
    CrossRef
PHWR
Oct 02, 2024 Vol.17 No.38
pp. 1611~1634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