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감시보고

Split Viewer
ENG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35): 1221-1232

Published online September 7,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35.1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우리 국민의 마그네슘, 아연 섭취 현황

박진영, 양지은, 박시현, 오경원*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관리국 건강영양조사분석과

*Corresponding author: 오경원, Tel: +82-43-719-7460, E-mail: kwoh27@korea.kr

Received: July 11, 2023; Revised: August 8, 2023; Accepted: August 8,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016–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활용된 식품 4,514개에 대하여 마그네슘, 아연 함량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우리 국민의 마그네슘, 아연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3차년도(2021) 식품섭취조사 자료로 산출한 마그네슘, 아연의 1일 평균 섭취량은 각각 292.6 mg, 10.1 mg이었고, 이는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의 권장섭취량 대비 98%, 123%에 해당하였다. 마그네슘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은 45%였고, 연령별로는 12–19세에서 6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아연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은 27%였고, 연령별로는 20–40대에서 3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마그네슘의 주요 급원 식품군은 곡류, 채소류, 두류 등이었고, 아연의 주요 급원 식품군은 곡류, 육류, 채소류 등이었다.

Keywords 마그네슘 섭취량, 아연 섭취량, 국민건강영양조사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마그네슘은 골격과 치아를 구성하며, 신경흥분의 전달에 관여하는 다량무기질이다. 아연은 체내 효소의 구성성분이며, 면역기능 유지와 세포분열에 관여하는 미량무기질이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우리 국민의 1세 이상 1일 평균 마그네슘 섭취량은 292.6 mg이었고, 아연 섭취량은 10.1 mg이었다. 이는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의 권장섭취량 대비 마그네슘은 98%, 아연은 123% 수준이었다.

③ 시사점은?

마그네슘과 아연의 평균 섭취량은 권장섭취량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마그네슘은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이 45%로 섭취가 부족(특히 10–20대)하였고, 아연은 섭취기준 대비 부족(20–40대) 및 과잉(1–5세) 섭취에 대한 문제가 공존하였으므로 섭취 수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마그네슘은 골격과 치아를 구성하며 신경흥분의 전달과 근육의 이완 및 수축 기능에 관여하는 역할을 하여 마그네슘이 결핍되면 근육경련, 눈꺼풀 떨림, 손발저림, 근육통 등을 일으킨다[1]. 아연은 체내 효소의 구성성분으로 효소의 촉매적 활성과 면역기능 유지 및 세포분열에 관여하므로, 결핍되면 면역기능 장애가 나타나고 성장과 발육이 지연된다. 아연을 과잉 섭취하면 구리 등 다른 무기질의 흡수 저해와 소화기계 장애 및 면역기능의 저하가 일어난다[1].

마그네슘, 아연에 대한 섭취기준은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2005년부터 포함되었으나, 식품별 함량 데이터베이스 (database, DB)가 미비하여 우리 국민의 섭취 현황을 파악하지 못하였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2022년 식품별 마그네슘, 아연 함량 DB를 구축하였고, 이 글에서는 DB 구축 방법과 해당 DB를 이용하여 산출한 2021년 마그네슘, 아연 섭취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1. 식품별 마그네슘, 아연 함량 DB 구축

2016–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조사된 식품 4,514개에 대하여 식품별 마그네슘, 아연 함량 DB를 구축하였다. 구축 개요는 그림 1과 같으며, 국가건강조사 영양 데이터베이스 분과의 전문가 검토를 받아 DB 구축을 진행하였다.

Figure. 1.식품별 마그네슘, 아연 함량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a)농촌진흥청. 국가표준식품성분표 제10개정판. 한국. 2022 [2]. b)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영양성분자료집. 한국. 2020 [3]. c)문부과학성. [Standard Tables of Food Composition in Japan]. 일본. 2020. Japanese [4]. d)미국 농무부.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28. 미국. 2016 [5]. e)미국 농무부. Food and Nutrient Database for Dietary Studies 2017–2018. 미국. 2020 [6]. f)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청. Australian Food Composition Database - Release 1. 호주, 뉴질랜드. 2019 [7].

마그네슘, 아연 함량 DB는 농촌진흥청의 국가표준식품성분표 제10개정판[2]을 주요 자료원으로 활용하였고, 다음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영양성분자료집[3] 등 국내 국가기관에서 발간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국내 자료원에서 마그네슘, 아연의 함량이 없는 식품은 일본문부과학성[4], 미국농무부[5,6], 호주[7] 등 국외 국가기관 발간자료 순으로 활용하였다.

자료원의 마그네슘, 아연 함량 DB는 구축대상 식품과 특성이 일치하는지를 고려하여 구축하였다. 구축대상 식품과 자료원의 원재료 및 식품상태가 동일한 경우, 자료원의 마그네슘, 아연 함량을 그대로 적용하였다. 구축대상 식품과 자료원의 원재료 및 식품상태가 동일한 식품에 대한 함량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생물학적 분류, 조리 상태 등 특성이 유사한 식품의 정보로 대체하여 자료원의 마그네슘, 아연 함량에 구축대상 식품과 자료원 식품의 고형분량(100–수분함량) 비를 곱한 후 적용하였다.

마그네슘, 아연 함량 DB를 구축한 결과 약 79%가 국내 자료원을, 약 21%가 국외 자료원을 활용하였고, 일치하는 식품의 마그네슘, 아연 함량을 적용한 경우는 약 74%, 유사 식품 정보를 대체하여 계산한 경우는 약 26%였다.

2. 마그네슘, 아연 섭취 현황 분석

본 원고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3차년도(2021) 식품섭취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마그네슘 및 아연 섭취 현황을 분석하였다. 마그네슘 및 아연 섭취량은 동일 기수(제8기, 2019–2020) 내에는 동일한 영양소 섭취기준을 적용한다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칙에 따라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8]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통계 분석은 SAS version 9.4 (SAS Institute Inc.)를 이용하였으며, 모든 결과는 목표 모집단인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국민의 특성을 잘 대표할 수 있도록 가중치를 적용하여 복합표본설계분석방법으로 산출하였다.

1. 마그네슘 섭취 현황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3차년도(2021) 식품섭취조사 결과, 우리 국민의 1일 평균 마그네슘 섭취량은 292.6 mg이었고, 남자 326.5 mg, 여자 258.6 mg이었다(표 1). 연령별로는 남녀 모두 50–64세에서 높았다.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의 권장섭취량에 대한 섭취 비율은 전체 98.1% (남자 97.8%, 여자 98.5%)로 권장섭취량에 가깝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 대상자의 44.6%가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였고, 특히 12–29세에서 60% 이상이 부족하게 섭취하였다(표 2).

성별, 연령별 마그네슘, 아연 섭취량 및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
연령
(세)
마그네슘아연
전체남자여자전체남자여자
n섭취량
(mg)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a)
n섭취량
(mg)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
n섭취량
(mg)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
n섭취량
(mg)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a)
n섭취량
(mg)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
n섭취량
(mg)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
≥15,940292.6±2.998.1±0.92,639326.5±3.897.8±1.23,301258.6±3.198.5±1.25,94010.1±0.1123.1±1.32,63911.6±0.2129.3±1.73,3018.5±0.1116.8±1.4
≥194,973303.2±2.993.9±0.92,140340.3±4.192.8±1.12,833266.4±3.295.1±1.14,97310.2±0.1119.3±1.42,14011.9±0.2125.0±1.92,8338.5±0.1113.6±1.5
1–273171.0±8.6213.8±10.742172.5±9.3215.6±11.631169.3±15.4211.7±19.3737.1±0.4235.7±13.7427.1±0.4237.1±14.6317.0±0.7233.9±23.3
3–5154186.5±6.5186.5±6.579197.1±8.8197.1±8.875175.0±8.3175.0±8.31547.3±0.3182.5±6.3797.8±0.3194.7±7.9756.8±0.4169.4±9.0
6–11383229.9±7.4124.8±3.9191231.6±8.8120.3±4.4192228.1±9.8129.3±5.33839.0±0.3137.4±3.91919.5±0.4136.1±4.81928.6±0.3138.6±5.9
12–18357263.9±8.177.1±2.3187302.2±12.783.4±3.5170220.9±7.570.0±2.435710.5±0.3118.5±3.518712.1±0.5133.6±5.71708.6±0.3101.5±3.5
19–29584266.7±7.084.0±2.1279297.8±10.785.1±3.1305232.2±8.682.7±3.158410.8±0.4117.5±4.127912.6±0.6126.3±5.53058.7±0.3107.7±4.2
30–491,359299.8±4.591.7±1.3583340.1±6.791.9±1.8776256.6±4.691.5±1.61,35910.2±0.2111.5±1.858312.0±0.3120.4±2.67768.3±0.2101.8±2.0
50–641,405328.8±4.9101.7±1.5582363.5±6.998.2±1.9823294.3±5.2105.1±1.91,40510.5±0.2130.9±2.058211.9±0.3132.3±3.28239.1±0.1129.5±2.1
≥651,625302.8±5.595.1±1.7696345.9±7.993.5±2.1929269.8±5.796.4±2.01,6259.3±0.2117.6±2.169610.9±0.3120.9±2.99298.1±0.2115.0±2.3

단위: 평균±표준오차. a)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 마그네슘, 아연 권장섭취량(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8])에 대한 마그네슘, 아연 1일 섭취량의 비.



성별, 연령별 마그네슘, 아연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
연령
(세)
마그네슘아연
전체남자여자전체남자여자
n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a)n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n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n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a)n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n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
≥15,94044.6±0.92,63944.3±1.23,30144.8±1.25,94027.2±0.82,63921.2±0.93,30133.2±1.1
≥194,97346.0±1.02,14046.3±1.32,83345.6±1.34,97329.0±0.92,14022.6±1.02,83335.4±1.2
1–2731.9±1.5d)420.7±0.7d)313.3±3.1d)730.4±0.4d)420.7±0.7d)310.0±(–)b)
3–51545.9±2.0c)793.8±2.0d)758.1±3.6c)1543.3±1.6c)792.2±1.3d)754.6±3.0d)
6–1138324.2±2.719124.6±3.619223.8±3.838315.7±2.019116.1±2.819215.3±3.0
12–1835765.6±3.318758.0±4.817074.1±3.435726.1±2.618718.1±3.417035.2±3.9
19–2958461.5±2.627961.8±3.630561.2±3.358435.9±2.327928.2±3.230544.5±3.3
30–491,35946.8±1.658345.6±2.177648.0±2.31,35933.9±1.558323.3±1.977645.4±2.1
50–641,40535.4±1.658237.6±2.382333.2±2.01,40520.8±1.358219.2±1.882322.4±1.8
≥651,62546.8±1.769646.5±2.592947.0±2.11,62526.2±1.569620.8±2.092930.4±2.0

단위: 평균±표준오차. a)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 마그네슘, 아연 섭취량이 평균필요량(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8]) 미만인 분율. b)분율 0.1% 미만으로 표준오차 비제시.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25–50%, d)50% 이상.



마그네슘 섭취량의 주요 급원 식품군은 곡류(74.9 mg), 채소류(52.1 mg), 두류(26.2 mg), 육류(25.4 mg), 양념류(22.6 mg)로 이 식품군으로부터 총 마그네슘의 약 69.1%를 섭취하였다(표 3).

식품군별 마그네슘, 아연 섭취량
식품군마그네슘 (mg)식품군아연 (mg)
전체
(n=5,940)
남자
(n=2,639)
여자
(n=3,301)
전체
(n=5,940)
남자
(n=2,639)
여자
(n=3,301)
곡류74.9±0.984.6±1.265.2±1.0곡류3.52±0.044.07±0.052.98±0.04
채소류52.1±0.958.9±1.345.3±0.9육류2.58±0.083.23±0.111.92±0.07
두류26.2±1.028.4±1.624.1±1.0채소류1.05±0.021.18±0.020.92±0.02
육류25.4±0.832.3±1.218.5±0.6어패류0.62±0.030.74±0.050.50±0.03
양념류22.6±0.426.8±0.618.3±0.4두류0.46±0.020.49±0.030.43±0.02
어패류20.5±0.523.7±0.817.3±0.6난류0.45±0.010.48±0.020.41±0.02
과일류11.8±0.410.6±0.513.0±0.5우유류0.41±0.010.41±0.020.41±0.02
해조류11.0±0.611.7±0.910.4±0.6양념류0.27±0.010.32±0.010.22±0.00
우유류10.9±0.310.8±0.511.0±0.4과일류0.15±0.010.13±0.010.16±0.01
음료류9.0±0.310.0±0.38.1±0.3종실류0.14±0.010.14±0.010.13±0.01
종실류8.8±0.59.1±0.78.5±0.5감자‧전분류0.10±0.000.10±0.010.11±0.01
감자‧전분류7.6±0.47.0±0.58.2±0.4음료류0.08±0.000.10±0.010.06±0.00
난류4.0±0.14.3±0.13.6±0.1버섯류0.06±0.000.06±0.010.06±0.01
주류3.0±0.23.8±0.42.3±0.3해조류0.06±0.000.06±0.000.05±0.00
기타1.8±0.31.7±0.31.8±0.4기타0.06±0.010.06±0.010.06±0.01
당류1.2±0.11.1±0.11.4±0.1당류0.03±0.000.02±0.000.03±0.00
버섯류1.0±0.11.0±0.10.9±0.1주류0.02±0.000.03±0.01a)0.01±0.00
유지류0.7±0.00.8±0.00.7±0.0유지류0.01±0.000.01±0.000.01±0.00

단위: 평균±표준오차.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a)25–50%.



2. 아연 섭취 현황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3차년도(2021) 조사 결과, 1일 평균 아연 섭취량은 전체 10.1 mg, 남자 11.6 mg, 여자 8.5 mg이었다(표 1). 연령별 아연 섭취량은 19–29세가 가장 높았다.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의 권장섭취량에 대한 섭취 비율은 전체 123.1%, 남자 129.3%, 여자 116.8%로, 전 연령에서 권장섭취량 대비 100% 이상 섭취하였다. 그러나 전체 대상자의 27.2%는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였고(표 2), 상한섭취량 초과 섭취자 분율은 전체 1.9%로 연령별로는 1–2세 56.7%, 3–5세 21.8%로 높았다(data not shown).

아연 섭취량의 주요 급원 식품군은 곡류(3.52 mg), 육류(2.58 mg), 채소류(1.05 mg)로 이 식품군으로부터 총 아연의 약 70%를 섭취하였다(표 3).

2016–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섭취조사 자료처리에 활용된 식품 4,514개에 대한 마그네슘 및 아연 함량 DB를 구축하고 우리 국민의 섭취 수준을 산출한 결과, 1세 이상의 1일 평균 마그네슘 및 아연 섭취량은 각각 292.6 mg, 10.1 mg이었다. 국외 국가단위 조사의 마그네슘 섭취량은 미국 287 mg (2세 이상), 일본 247 mg (1세 이상)이었고, 아연 섭취량은 미국 10.4 mg (2세 이상), 일본 8.4 mg (1세 이상)으로, 우리나라의 섭취 수준은 미국과는 유사하고 일본보다는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9,10].

질병관리청은 「2021 국민건강통계」에 마그네슘, 아연 섭취량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고, 2016–2021년 원시자료에 마그네슘, 아연 섭취량을 포함하여 공개하였다. 「2021 국민건강통계」와 원시자료에 제시된 마그네슘, 아연 섭취량은 식품으로부터의 섭취량을 산출한 것이며 식이보충제를 통한 섭취량은 포함하지 않았으므로, 이를 고려한 결과 해석 및 활용이 필요하다.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The study protocol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IRB number: 2018-01-03-5C-A).

Funding Source: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JYP, SHP, KWO. Data curation: JYP, JEY. Formal analysis: JEY. Methodology: JYP, SHP, KWO. Writing – original draft: JYP. Writing – review & editing: SHP, KWO.

  1. Koo JO, Kim BH, Sohn CM, et al. Advanced Nutrition. Powerbook; 2022.
  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10th rev. e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22.
  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od and Nutrient Composition Databas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0.
  4.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of Japan. [Standard Tables of Food Composition in Japan]. 8th rev. ed.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of Japan; 2020. Japanese.
  5.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6.
  6.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od And Nutrient Database for Dietary Studies 2017-201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0.
  7. Food Standards Australia New Zealand. Australian Food Composition Database - Release 1. Food Standards Australia New Zealand; 2019.
  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9.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What We Eat in America, NHANES 2017-March 2020 Prepandemic, individuals 2 years and over (excluding breast-fed children), day 1 [Interne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2 [cited 2023 May 25].
    Available from: https://www.ars.usda.gov/ARSUserFiles/80400530/pdf/1720/Table_1_NIN_GEN_1720.pdf
  10.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and Nutrition of Jap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9 [Internet].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and Nutrition of Japan; 2020 [cited 2023 May 25].
    Available from: https://www.nibiohn.go.jp/eiken/kenkounippon21/download_files/eiyouchousa/2019.pdf

Article

조사/감시보고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35): 1221-1232

Published online September 7,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35.1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우리 국민의 마그네슘, 아연 섭취 현황

박진영, 양지은, 박시현, 오경원*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관리국 건강영양조사분석과

Received: July 11, 2023; Revised: August 8, 2023; Accepted: August 8,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2016–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활용된 식품 4,514개에 대하여 마그네슘, 아연 함량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우리 국민의 마그네슘, 아연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3차년도(2021) 식품섭취조사 자료로 산출한 마그네슘, 아연의 1일 평균 섭취량은 각각 292.6 mg, 10.1 mg이었고, 이는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의 권장섭취량 대비 98%, 123%에 해당하였다. 마그네슘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은 45%였고, 연령별로는 12–19세에서 6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아연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은 27%였고, 연령별로는 20–40대에서 3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마그네슘의 주요 급원 식품군은 곡류, 채소류, 두류 등이었고, 아연의 주요 급원 식품군은 곡류, 육류, 채소류 등이었다.

Keywords: 마그네슘 섭취량, 아연 섭취량, 국민건강영양조사

서 론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마그네슘은 골격과 치아를 구성하며, 신경흥분의 전달에 관여하는 다량무기질이다. 아연은 체내 효소의 구성성분이며, 면역기능 유지와 세포분열에 관여하는 미량무기질이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우리 국민의 1세 이상 1일 평균 마그네슘 섭취량은 292.6 mg이었고, 아연 섭취량은 10.1 mg이었다. 이는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의 권장섭취량 대비 마그네슘은 98%, 아연은 123% 수준이었다.

③ 시사점은?

마그네슘과 아연의 평균 섭취량은 권장섭취량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마그네슘은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이 45%로 섭취가 부족(특히 10–20대)하였고, 아연은 섭취기준 대비 부족(20–40대) 및 과잉(1–5세) 섭취에 대한 문제가 공존하였으므로 섭취 수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마그네슘은 골격과 치아를 구성하며 신경흥분의 전달과 근육의 이완 및 수축 기능에 관여하는 역할을 하여 마그네슘이 결핍되면 근육경련, 눈꺼풀 떨림, 손발저림, 근육통 등을 일으킨다[1]. 아연은 체내 효소의 구성성분으로 효소의 촉매적 활성과 면역기능 유지 및 세포분열에 관여하므로, 결핍되면 면역기능 장애가 나타나고 성장과 발육이 지연된다. 아연을 과잉 섭취하면 구리 등 다른 무기질의 흡수 저해와 소화기계 장애 및 면역기능의 저하가 일어난다[1].

마그네슘, 아연에 대한 섭취기준은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2005년부터 포함되었으나, 식품별 함량 데이터베이스 (database, DB)가 미비하여 우리 국민의 섭취 현황을 파악하지 못하였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2022년 식품별 마그네슘, 아연 함량 DB를 구축하였고, 이 글에서는 DB 구축 방법과 해당 DB를 이용하여 산출한 2021년 마그네슘, 아연 섭취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방 법

1. 식품별 마그네슘, 아연 함량 DB 구축

2016–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조사된 식품 4,514개에 대하여 식품별 마그네슘, 아연 함량 DB를 구축하였다. 구축 개요는 그림 1과 같으며, 국가건강조사 영양 데이터베이스 분과의 전문가 검토를 받아 DB 구축을 진행하였다.

Figure 1. 식품별 마그네슘, 아연 함량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a)농촌진흥청. 국가표준식품성분표 제10개정판. 한국. 2022 [2]. b)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영양성분자료집. 한국. 2020 [3]. c)문부과학성. [Standard Tables of Food Composition in Japan]. 일본. 2020. Japanese [4]. d)미국 농무부.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28. 미국. 2016 [5]. e)미국 농무부. Food and Nutrient Database for Dietary Studies 2017–2018. 미국. 2020 [6]. f)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청. Australian Food Composition Database - Release 1. 호주, 뉴질랜드. 2019 [7].

마그네슘, 아연 함량 DB는 농촌진흥청의 국가표준식품성분표 제10개정판[2]을 주요 자료원으로 활용하였고, 다음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영양성분자료집[3] 등 국내 국가기관에서 발간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국내 자료원에서 마그네슘, 아연의 함량이 없는 식품은 일본문부과학성[4], 미국농무부[5,6], 호주[7] 등 국외 국가기관 발간자료 순으로 활용하였다.

자료원의 마그네슘, 아연 함량 DB는 구축대상 식품과 특성이 일치하는지를 고려하여 구축하였다. 구축대상 식품과 자료원의 원재료 및 식품상태가 동일한 경우, 자료원의 마그네슘, 아연 함량을 그대로 적용하였다. 구축대상 식품과 자료원의 원재료 및 식품상태가 동일한 식품에 대한 함량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생물학적 분류, 조리 상태 등 특성이 유사한 식품의 정보로 대체하여 자료원의 마그네슘, 아연 함량에 구축대상 식품과 자료원 식품의 고형분량(100–수분함량) 비를 곱한 후 적용하였다.

마그네슘, 아연 함량 DB를 구축한 결과 약 79%가 국내 자료원을, 약 21%가 국외 자료원을 활용하였고, 일치하는 식품의 마그네슘, 아연 함량을 적용한 경우는 약 74%, 유사 식품 정보를 대체하여 계산한 경우는 약 26%였다.

2. 마그네슘, 아연 섭취 현황 분석

본 원고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3차년도(2021) 식품섭취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마그네슘 및 아연 섭취 현황을 분석하였다. 마그네슘 및 아연 섭취량은 동일 기수(제8기, 2019–2020) 내에는 동일한 영양소 섭취기준을 적용한다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칙에 따라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8]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통계 분석은 SAS version 9.4 (SAS Institute Inc.)를 이용하였으며, 모든 결과는 목표 모집단인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국민의 특성을 잘 대표할 수 있도록 가중치를 적용하여 복합표본설계분석방법으로 산출하였다.

결 과

1. 마그네슘 섭취 현황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3차년도(2021) 식품섭취조사 결과, 우리 국민의 1일 평균 마그네슘 섭취량은 292.6 mg이었고, 남자 326.5 mg, 여자 258.6 mg이었다(표 1). 연령별로는 남녀 모두 50–64세에서 높았다.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의 권장섭취량에 대한 섭취 비율은 전체 98.1% (남자 97.8%, 여자 98.5%)로 권장섭취량에 가깝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 대상자의 44.6%가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였고, 특히 12–29세에서 60% 이상이 부족하게 섭취하였다(표 2).

성별, 연령별 마그네슘, 아연 섭취량 및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
연령
(세)
마그네슘아연
전체남자여자전체남자여자
n섭취량
(mg)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a)
n섭취량
(mg)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
n섭취량
(mg)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
n섭취량
(mg)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a)
n섭취량
(mg)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
n섭취량
(mg)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
≥15,940292.6±2.998.1±0.92,639326.5±3.897.8±1.23,301258.6±3.198.5±1.25,94010.1±0.1123.1±1.32,63911.6±0.2129.3±1.73,3018.5±0.1116.8±1.4
≥194,973303.2±2.993.9±0.92,140340.3±4.192.8±1.12,833266.4±3.295.1±1.14,97310.2±0.1119.3±1.42,14011.9±0.2125.0±1.92,8338.5±0.1113.6±1.5
1–273171.0±8.6213.8±10.742172.5±9.3215.6±11.631169.3±15.4211.7±19.3737.1±0.4235.7±13.7427.1±0.4237.1±14.6317.0±0.7233.9±23.3
3–5154186.5±6.5186.5±6.579197.1±8.8197.1±8.875175.0±8.3175.0±8.31547.3±0.3182.5±6.3797.8±0.3194.7±7.9756.8±0.4169.4±9.0
6–11383229.9±7.4124.8±3.9191231.6±8.8120.3±4.4192228.1±9.8129.3±5.33839.0±0.3137.4±3.91919.5±0.4136.1±4.81928.6±0.3138.6±5.9
12–18357263.9±8.177.1±2.3187302.2±12.783.4±3.5170220.9±7.570.0±2.435710.5±0.3118.5±3.518712.1±0.5133.6±5.71708.6±0.3101.5±3.5
19–29584266.7±7.084.0±2.1279297.8±10.785.1±3.1305232.2±8.682.7±3.158410.8±0.4117.5±4.127912.6±0.6126.3±5.53058.7±0.3107.7±4.2
30–491,359299.8±4.591.7±1.3583340.1±6.791.9±1.8776256.6±4.691.5±1.61,35910.2±0.2111.5±1.858312.0±0.3120.4±2.67768.3±0.2101.8±2.0
50–641,405328.8±4.9101.7±1.5582363.5±6.998.2±1.9823294.3±5.2105.1±1.91,40510.5±0.2130.9±2.058211.9±0.3132.3±3.28239.1±0.1129.5±2.1
≥651,625302.8±5.595.1±1.7696345.9±7.993.5±2.1929269.8±5.796.4±2.01,6259.3±0.2117.6±2.169610.9±0.3120.9±2.99298.1±0.2115.0±2.3

단위: 평균±표준오차. a)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 마그네슘, 아연 권장섭취량(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8])에 대한 마그네슘, 아연 1일 섭취량의 비..



성별, 연령별 마그네슘, 아연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
연령
(세)
마그네슘아연
전체남자여자전체남자여자
n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a)n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n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n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a)n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n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
≥15,94044.6±0.92,63944.3±1.23,30144.8±1.25,94027.2±0.82,63921.2±0.93,30133.2±1.1
≥194,97346.0±1.02,14046.3±1.32,83345.6±1.34,97329.0±0.92,14022.6±1.02,83335.4±1.2
1–2731.9±1.5d)420.7±0.7d)313.3±3.1d)730.4±0.4d)420.7±0.7d)310.0±(–)b)
3–51545.9±2.0c)793.8±2.0d)758.1±3.6c)1543.3±1.6c)792.2±1.3d)754.6±3.0d)
6–1138324.2±2.719124.6±3.619223.8±3.838315.7±2.019116.1±2.819215.3±3.0
12–1835765.6±3.318758.0±4.817074.1±3.435726.1±2.618718.1±3.417035.2±3.9
19–2958461.5±2.627961.8±3.630561.2±3.358435.9±2.327928.2±3.230544.5±3.3
30–491,35946.8±1.658345.6±2.177648.0±2.31,35933.9±1.558323.3±1.977645.4±2.1
50–641,40535.4±1.658237.6±2.382333.2±2.01,40520.8±1.358219.2±1.882322.4±1.8
≥651,62546.8±1.769646.5±2.592947.0±2.11,62526.2±1.569620.8±2.092930.4±2.0

단위: 평균±표준오차. a)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 마그네슘, 아연 섭취량이 평균필요량(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8]) 미만인 분율. b)분율 0.1% 미만으로 표준오차 비제시.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25–50%, d)50% 이상..



마그네슘 섭취량의 주요 급원 식품군은 곡류(74.9 mg), 채소류(52.1 mg), 두류(26.2 mg), 육류(25.4 mg), 양념류(22.6 mg)로 이 식품군으로부터 총 마그네슘의 약 69.1%를 섭취하였다(표 3).

식품군별 마그네슘, 아연 섭취량
식품군마그네슘 (mg)식품군아연 (mg)
전체
(n=5,940)
남자
(n=2,639)
여자
(n=3,301)
전체
(n=5,940)
남자
(n=2,639)
여자
(n=3,301)
곡류74.9±0.984.6±1.265.2±1.0곡류3.52±0.044.07±0.052.98±0.04
채소류52.1±0.958.9±1.345.3±0.9육류2.58±0.083.23±0.111.92±0.07
두류26.2±1.028.4±1.624.1±1.0채소류1.05±0.021.18±0.020.92±0.02
육류25.4±0.832.3±1.218.5±0.6어패류0.62±0.030.74±0.050.50±0.03
양념류22.6±0.426.8±0.618.3±0.4두류0.46±0.020.49±0.030.43±0.02
어패류20.5±0.523.7±0.817.3±0.6난류0.45±0.010.48±0.020.41±0.02
과일류11.8±0.410.6±0.513.0±0.5우유류0.41±0.010.41±0.020.41±0.02
해조류11.0±0.611.7±0.910.4±0.6양념류0.27±0.010.32±0.010.22±0.00
우유류10.9±0.310.8±0.511.0±0.4과일류0.15±0.010.13±0.010.16±0.01
음료류9.0±0.310.0±0.38.1±0.3종실류0.14±0.010.14±0.010.13±0.01
종실류8.8±0.59.1±0.78.5±0.5감자‧전분류0.10±0.000.10±0.010.11±0.01
감자‧전분류7.6±0.47.0±0.58.2±0.4음료류0.08±0.000.10±0.010.06±0.00
난류4.0±0.14.3±0.13.6±0.1버섯류0.06±0.000.06±0.010.06±0.01
주류3.0±0.23.8±0.42.3±0.3해조류0.06±0.000.06±0.000.05±0.00
기타1.8±0.31.7±0.31.8±0.4기타0.06±0.010.06±0.010.06±0.01
당류1.2±0.11.1±0.11.4±0.1당류0.03±0.000.02±0.000.03±0.00
버섯류1.0±0.11.0±0.10.9±0.1주류0.02±0.000.03±0.01a)0.01±0.00
유지류0.7±0.00.8±0.00.7±0.0유지류0.01±0.000.01±0.000.01±0.00

단위: 평균±표준오차.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a)25–50%..



2. 아연 섭취 현황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3차년도(2021) 조사 결과, 1일 평균 아연 섭취량은 전체 10.1 mg, 남자 11.6 mg, 여자 8.5 mg이었다(표 1). 연령별 아연 섭취량은 19–29세가 가장 높았다.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의 권장섭취량에 대한 섭취 비율은 전체 123.1%, 남자 129.3%, 여자 116.8%로, 전 연령에서 권장섭취량 대비 100% 이상 섭취하였다. 그러나 전체 대상자의 27.2%는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였고(표 2), 상한섭취량 초과 섭취자 분율은 전체 1.9%로 연령별로는 1–2세 56.7%, 3–5세 21.8%로 높았다(data not shown).

아연 섭취량의 주요 급원 식품군은 곡류(3.52 mg), 육류(2.58 mg), 채소류(1.05 mg)로 이 식품군으로부터 총 아연의 약 70%를 섭취하였다(표 3).

결 론

2016–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섭취조사 자료처리에 활용된 식품 4,514개에 대한 마그네슘 및 아연 함량 DB를 구축하고 우리 국민의 섭취 수준을 산출한 결과, 1세 이상의 1일 평균 마그네슘 및 아연 섭취량은 각각 292.6 mg, 10.1 mg이었다. 국외 국가단위 조사의 마그네슘 섭취량은 미국 287 mg (2세 이상), 일본 247 mg (1세 이상)이었고, 아연 섭취량은 미국 10.4 mg (2세 이상), 일본 8.4 mg (1세 이상)으로, 우리나라의 섭취 수준은 미국과는 유사하고 일본보다는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9,10].

질병관리청은 「2021 국민건강통계」에 마그네슘, 아연 섭취량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고, 2016–2021년 원시자료에 마그네슘, 아연 섭취량을 포함하여 공개하였다. 「2021 국민건강통계」와 원시자료에 제시된 마그네슘, 아연 섭취량은 식품으로부터의 섭취량을 산출한 것이며 식이보충제를 통한 섭취량은 포함하지 않았으므로, 이를 고려한 결과 해석 및 활용이 필요하다.

Declarations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The study protocol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IRB number: 2018-01-03-5C-A).

Funding Source: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JYP, SHP, KWO. Data curation: JYP, JEY. Formal analysis: JEY. Methodology: JYP, SHP, KWO. Writing – original draft: JYP. Writing – review & editing: SHP, KWO.

Fig 1.

Figure 1.식품별 마그네슘, 아연 함량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a)농촌진흥청. 국가표준식품성분표 제10개정판. 한국. 2022 [2]. b)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영양성분자료집. 한국. 2020 [3]. c)문부과학성. [Standard Tables of Food Composition in Japan]. 일본. 2020. Japanese [4]. d)미국 농무부.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28. 미국. 2016 [5]. e)미국 농무부. Food and Nutrient Database for Dietary Studies 2017–2018. 미국. 2020 [6]. f)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청. Australian Food Composition Database - Release 1. 호주, 뉴질랜드. 2019 [7].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1221-1232https://doi.org/10.56786/PHWR.2023.16.35.1
성별, 연령별 마그네슘, 아연 섭취량 및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
연령
(세)
마그네슘아연
전체남자여자전체남자여자
n섭취량
(mg)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a)
n섭취량
(mg)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
n섭취량
(mg)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
n섭취량
(mg)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a)
n섭취량
(mg)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
n섭취량
(mg)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
≥15,940292.6±2.998.1±0.92,639326.5±3.897.8±1.23,301258.6±3.198.5±1.25,94010.1±0.1123.1±1.32,63911.6±0.2129.3±1.73,3018.5±0.1116.8±1.4
≥194,973303.2±2.993.9±0.92,140340.3±4.192.8±1.12,833266.4±3.295.1±1.14,97310.2±0.1119.3±1.42,14011.9±0.2125.0±1.92,8338.5±0.1113.6±1.5
1–273171.0±8.6213.8±10.742172.5±9.3215.6±11.631169.3±15.4211.7±19.3737.1±0.4235.7±13.7427.1±0.4237.1±14.6317.0±0.7233.9±23.3
3–5154186.5±6.5186.5±6.579197.1±8.8197.1±8.875175.0±8.3175.0±8.31547.3±0.3182.5±6.3797.8±0.3194.7±7.9756.8±0.4169.4±9.0
6–11383229.9±7.4124.8±3.9191231.6±8.8120.3±4.4192228.1±9.8129.3±5.33839.0±0.3137.4±3.91919.5±0.4136.1±4.81928.6±0.3138.6±5.9
12–18357263.9±8.177.1±2.3187302.2±12.783.4±3.5170220.9±7.570.0±2.435710.5±0.3118.5±3.518712.1±0.5133.6±5.71708.6±0.3101.5±3.5
19–29584266.7±7.084.0±2.1279297.8±10.785.1±3.1305232.2±8.682.7±3.158410.8±0.4117.5±4.127912.6±0.6126.3±5.53058.7±0.3107.7±4.2
30–491,359299.8±4.591.7±1.3583340.1±6.791.9±1.8776256.6±4.691.5±1.61,35910.2±0.2111.5±1.858312.0±0.3120.4±2.67768.3±0.2101.8±2.0
50–641,405328.8±4.9101.7±1.5582363.5±6.998.2±1.9823294.3±5.2105.1±1.91,40510.5±0.2130.9±2.058211.9±0.3132.3±3.28239.1±0.1129.5±2.1
≥651,625302.8±5.595.1±1.7696345.9±7.993.5±2.1929269.8±5.796.4±2.01,6259.3±0.2117.6±2.169610.9±0.3120.9±2.99298.1±0.2115.0±2.3

단위: 평균±표준오차. a)권장섭취량 대비 섭취 비율: 마그네슘, 아연 권장섭취량(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8])에 대한 마그네슘, 아연 1일 섭취량의 비..


성별, 연령별 마그네슘, 아연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
연령
(세)
마그네슘아연
전체남자여자전체남자여자
n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a)n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n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n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a)n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n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
≥15,94044.6±0.92,63944.3±1.23,30144.8±1.25,94027.2±0.82,63921.2±0.93,30133.2±1.1
≥194,97346.0±1.02,14046.3±1.32,83345.6±1.34,97329.0±0.92,14022.6±1.02,83335.4±1.2
1–2731.9±1.5d)420.7±0.7d)313.3±3.1d)730.4±0.4d)420.7±0.7d)310.0±(–)b)
3–51545.9±2.0c)793.8±2.0d)758.1±3.6c)1543.3±1.6c)792.2±1.3d)754.6±3.0d)
6–1138324.2±2.719124.6±3.619223.8±3.838315.7±2.019116.1±2.819215.3±3.0
12–1835765.6±3.318758.0±4.817074.1±3.435726.1±2.618718.1±3.417035.2±3.9
19–2958461.5±2.627961.8±3.630561.2±3.358435.9±2.327928.2±3.230544.5±3.3
30–491,35946.8±1.658345.6±2.177648.0±2.31,35933.9±1.558323.3±1.977645.4±2.1
50–641,40535.4±1.658237.6±2.382333.2±2.01,40520.8±1.358219.2±1.882322.4±1.8
≥651,62546.8±1.769646.5±2.592947.0±2.11,62526.2±1.569620.8±2.092930.4±2.0

단위: 평균±표준오차. a)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분율: 마그네슘, 아연 섭취량이 평균필요량(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8]) 미만인 분율. b)분율 0.1% 미만으로 표준오차 비제시.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25–50%, d)50% 이상..


식품군별 마그네슘, 아연 섭취량
식품군마그네슘 (mg)식품군아연 (mg)
전체
(n=5,940)
남자
(n=2,639)
여자
(n=3,301)
전체
(n=5,940)
남자
(n=2,639)
여자
(n=3,301)
곡류74.9±0.984.6±1.265.2±1.0곡류3.52±0.044.07±0.052.98±0.04
채소류52.1±0.958.9±1.345.3±0.9육류2.58±0.083.23±0.111.92±0.07
두류26.2±1.028.4±1.624.1±1.0채소류1.05±0.021.18±0.020.92±0.02
육류25.4±0.832.3±1.218.5±0.6어패류0.62±0.030.74±0.050.50±0.03
양념류22.6±0.426.8±0.618.3±0.4두류0.46±0.020.49±0.030.43±0.02
어패류20.5±0.523.7±0.817.3±0.6난류0.45±0.010.48±0.020.41±0.02
과일류11.8±0.410.6±0.513.0±0.5우유류0.41±0.010.41±0.020.41±0.02
해조류11.0±0.611.7±0.910.4±0.6양념류0.27±0.010.32±0.010.22±0.00
우유류10.9±0.310.8±0.511.0±0.4과일류0.15±0.010.13±0.010.16±0.01
음료류9.0±0.310.0±0.38.1±0.3종실류0.14±0.010.14±0.010.13±0.01
종실류8.8±0.59.1±0.78.5±0.5감자‧전분류0.10±0.000.10±0.010.11±0.01
감자‧전분류7.6±0.47.0±0.58.2±0.4음료류0.08±0.000.10±0.010.06±0.00
난류4.0±0.14.3±0.13.6±0.1버섯류0.06±0.000.06±0.010.06±0.01
주류3.0±0.23.8±0.42.3±0.3해조류0.06±0.000.06±0.000.05±0.00
기타1.8±0.31.7±0.31.8±0.4기타0.06±0.010.06±0.010.06±0.01
당류1.2±0.11.1±0.11.4±0.1당류0.03±0.000.02±0.000.03±0.00
버섯류1.0±0.11.0±0.10.9±0.1주류0.02±0.000.03±0.01a)0.01±0.00
유지류0.7±0.00.8±0.00.7±0.0유지류0.01±0.000.01±0.000.01±0.00

단위: 평균±표준오차.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a)25–50%..


References

  1. Koo JO, Kim BH, Sohn CM, et al. Advanced Nutrition. Powerbook; 2022.
  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10th rev. e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22.
  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od and Nutrient Composition Databas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0.
  4.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of Japan. [Standard Tables of Food Composition in Japan]. 8th rev. ed.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of Japan; 2020. Japanese.
  5.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6.
  6.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od And Nutrient Database for Dietary Studies 2017-201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0.
  7. Food Standards Australia New Zealand. Australian Food Composition Database - Release 1. Food Standards Australia New Zealand; 2019.
  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9.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What We Eat in America, NHANES 2017-March 2020 Prepandemic, individuals 2 years and over (excluding breast-fed children), day 1 [Interne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2 [cited 2023 May 25]. Available from: https://www.ars.usda.gov/ARSUserFiles/80400530/pdf/1720/Table_1_NIN_GEN_1720.pdf
  10.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and Nutrition of Jap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9 [Internet].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and Nutrition of Japan; 2020 [cited 2023 May 25]. Available from: https://www.nibiohn.go.jp/eiken/kenkounippon21/download_files/eiyouchousa/2019.pdf
PHWR
Sep 21, 2023 Vol.16 No.37
pp. 1275~1287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 주간 건강과 질병
PUBLIC HEALTH WEEKLY REPORT
질병관리청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eISSN 2586-0860
pISSN 2005-81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