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Split Viewer
ENG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2): 33-45

Published online November 16,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4.17.2.1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폭염특보의 절대적ㆍ상대적 개념에 따른 임신부, 태아, 영유아 건강영향 연구

곽영린1†, 오종민1†, 이환희2, 김은지1, 김조이스1, 민지은1, 이지영3, 하은희1*

1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환경의학교실, 2부산대학교 정보의생명공학대학 의생명융합공학부, 3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염증-암 미세환경 연구센터

*Corresponding author: 하은희, Tel: +82-2-6986-6243, E-mail: eunheeha@ewha.ac.kr
이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공동 제1저자로 기여하였음.

Received: August 10, 2023; Revised: October 26, 2023; Accepted: November 9,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폭염 등의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 문제 및 건강 피해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건강영향은 임신부, 영유아, 어린이, 노인 등의 민감(취약)계층에 더욱 심각한 피해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특히 2020년부터 폭염의 기준이 달라짐에 따라 건강영향 분석 및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이 연구에서는 폭염특보의 절대적ㆍ상대적 개념에 따른 임신부, 태아, 영유아 건강영향 분석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폭염 노출에 따른 건강영향 관련 국내외 최신 연구 동향 문헌고찰과 체감온도 기반의 폭염특보 기준변경에 따른 분석 연구를 수행하고, 폭염특보의 절대적ㆍ상대적 개념 구분에 따른 임신부, 태아 및 영유아의 건강영향 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 수행방법은 폭염특보 기준 관련 국내외 문헌고찰을 정리하고, 폭염특보 기준변경(체감온도 적용)에 따른 비교 분석 자료를 제시하였으며, 가용 자료원(기상청, 건강보험데이터)을 활용하여 폭염 노출에 따른 임신부, 태아 및 영유아의 건강영향 관련성에 대해 시계열 회귀분석 방법, 시간 층화 환자-교차 설계 방법, 생존분석을 이용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고온 노출과 임신부 건강영향에 대한 다양한 열지표값에 따른 영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이는 기후변화가 조산, 고혈압성 장애, 호흡기질환, 장감염질환, 비뇨생식 질환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뒷받침해 준다. 또한 고온 노출과 5세 미만 영유아 건강영향과의 연관성에서도 온열질환, 수족구병 폐렴 등의 질환과 다양한 열지표와의 연관성을 거시적 결과물로 증명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폭염에 노출된 임신부 및 태아, 영유아의 건강영향 관련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근거 자료를 마련할 수 있고, 향후 추가적으로 폭염 등 극한기온에 대한 민감(취약)계층의 건강영향 연구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폭염, 임신부, 영유아, 건강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이전 국외 연구들에서 고온 및 폭염 노출이 임신부의 조산 및 저체중아 출생과 연관됨을 보고한 바 있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2015–2020년 기간 동안 취약인구집단인 임신부 및 5세 미만 영유아를 대상으로 고온 및 폭염 노출과 건강영향 연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분석을 통한 임신부 연구 결과는 일평균기온, 일최고 체감기온은 조산 위험, 장감염질환 입원 발생과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5세 미만 영유아 연구 결과는 온열질환 및 탈수, 수족구병, 전체 장감염질환, 호흡기 질환(전체, 폐렴, 급성하기도감염), 비뇨생식계통 관련 질환 입원 발생과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③ 시사점은?

본 연구를 통해 고온 및 폭염노출이 임신부 및 5세 미만 영유아에게 부정적인 건강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한국의 특성에 맞는 고온 및 폭염 관리와 민감계층을 위한 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마련 및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국가별로 개별적인 노력이 아닌 여러 국가들의 글로벌 협력을 통한 다학제적 연구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폭염은 임신부 및 영유아의 또 다른 환경 위험 요소이다. 임신부의 조산 및 질환에 대한 체온의 영향과 영유아의 온열질환 및 기타 질환에 대한 정확한 생리학적 기전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이전의 연구들은 고온 및 폭염 노출과 일반인구집단에 초점을 맞추어 사망 및 질환 입∙내원 연관성을 보고하였다[1-3]. 그러나, 상대적으로 민감취약집단인 임신부 및 어린이들의 폭염 노출과 건강영향은 적게 다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5–2020년간 한국의 임신부와 5세 미만 영유아를 대상으로 고온 및 폭염 노출에 대한 건강영향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폭염과 관련된 기후변화 요인에 따른 건강영향에 대해 의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선행된 국내외 연구 문헌을 검토 및 정리하였고, 빅데이터(통계청, 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여름철 폭염에 따른 임신부 및 5세 미만 영유아에 대한 대상별 건강영향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5–2020년간 통계청-출생통계, 건강보험공단 맞춤형 자료를 이용하여 임신부와 5세 미만 영유아 및 건강 결과(조산, 저체중아, 입원, 응급실 입원)를 정의하였다. 기상 자료는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에서 일평균기온, 최저기온, 최고기온, 최고체감기온, 열지수, 열대야 유무, 일교차, 기온편차 등을 확보하였다. 절대온도와 백분위수를 고려한 상대온도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폭염을 정의하였다. 고온 및 폭염의 단기노출로 인한 건강영향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연구 가설마다 시계열 분석, 시간층화 환자-교차연구, 생존분석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4-6]. 표 1의 조산, 저체중아 분석은 생존분석, 나머지 질환은 시계열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표 2, 그림 1, 그림 2는 생존분석을 진행하였고, 표 3은 시계열 분석을 진행하였다.

Figure. 1.고온 노출과 5세 미만 영유아 응급실 입원 관련성(2015–2020년 건강보험공단자료 분석결과)
95% CI=95% confidence interval.

Figure. 2.고온 백분위수에 따른 5세 미만 소아 온열질환 및 탈수 입원 관련성(2015–2020년 건강보험공단자료 분석결과)
95% CI=95% confidence interval.

고온 노출과 임신부 건강영향과의 연관성 유무(2015–2020년 건강보험공단자료 분석결과)
고온 노출과 임신부 건강영향일평균기온일최고기온일최고체감기온열지수열대야일교차일일기온편차
조산OOOOOOO
저체중아O
임신, 출산 및 산후기의 부종OOOOO
단백뇨 및 고혈압성 장애
전자간증O
양막의 조기파열OOO
전체 호흡기질환OOOOOO
전체 장감염질환OOOOOOO
전체 비뇨생식계통질환OOOO OO


고온과 5세 미만 영유아 건강영향 연관성(2015–2020년 건강보험공단자료 분석결과)
5세 미만 영유아 질환일평균기온일최고기온일최고체감기온열지수열대야일교차일일기온편차
온열질환 및 탈수OOOOOOO
열성경련O
수족구병OOOOO
아토피피부염O
중이염OOO
전체 장감염질환OOOOOO
전체 호흡기질환OOOOOOO
폐렴OOOOOO
천식
급성하기도감염OOOOOOO
알레르기성 비염OO
전체 비뇨∙생식계통질환OOOO
비뇨계통질환OOOO   


고온 백분위수와 5세 미만 영유아 건강영향 연관성(2015–2020년 건강보험공단자료 분석결과)
구분상대적 정의절대적 정의
70백분위수75백분위수80백분위수85백분위수90백분위수33°C
질환MaxTMaxATMaxTMaxATMaxTMaxATMaxTMaxATMaxTMaxATMaxTMaxAT
온열질환 및 탈수OOOOOOO O O 
열성경련OO
수족구병OO
아토피피부염OOOOOOOOOOO
중이염
전체 장감염질환OOOOOOOOOO
전체 호흡기질환O
폐렴OO
천식
급성하기도감염OOO
알레르기성 비염
전체 비뇨·생식계통질환OOOOO
비뇨계통질환OOOOOO      

MaxT=maximum temperature; MaxAT=maximum apparent temperature.


연구기간 동안 임신부는 일평균기온, 일최고기온, 일최고체감기온, 열지수, 열대야, 일교차, 일일기온편차 노출에 따른 조산 위험, 장감염질환 입원 환자수와의 연관성이 있었으며, 호흡기질환과 비뇨생식계통질환은 일평균기온, 일최고기온, 일최고체감기온, 열지수, 일교차, 일일기온편차와 연관성이 있었다(표 1).

5세 미만 영유아 연구 결과는 표 2에서 일평균기온, 일최고기온, 일최고체감기온, 열지수, 열대야. 일교차, 일일기온편차 노출에 따른 온열질환 및 탈수, 호흡기질환(전체, 급성하기도감염), 발생과 연관성이 있었다. 열성경련, 수족구병, 아토피 피부염, 중이염, 전체 장감염질환, 폐렴, 알레르기성비염, 전체 비뇨생식계통질환과 비뇨계통질환 입원 발생 결과는 일부 고온 관련 지표에서 연관성이 있었다.

그림 1에서 고온 노출과 5세 미만 영유아 응급실 입원에 대한 일최고기온과 일최고체감기온을 비교한 결과, 동일하게 유의미한 값이 나타났다. 단, 온열질환 및 탈수질환은 일최고기온과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였지만 일최고체감기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림 2에서는 고온 백분위수에 따른 5세 미만 소아의 온열질환 및 탈수 입원에 대한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일최고체감기온보다 일최고기온에서 유의미한 결과값이 나타났다.

표 3에서 고온 백분위수와 5세 영유아 대상 분석결과에서는 온열질환 및 탈수, 아토피 피부염, 전체 장감염질환 입원 발생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전체적으로 고온의 70백분위수에서부터 연관성이 나타난 만큼 고온에서 정의된 폭염 노출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기온에서 정의된 폭염과 건강영향에 대한 연관성이 있었다.

연구 결과 기상청 특보 기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기온에서 정의한 폭염 노출과 임신부, 5세 미만 영유아 건강영향 관련성이 관찰되었다. 이는 임신부, 5세 미만 영유아 같은 취약계층은 일반인구집단에 비해 폭염 기준 기온이 더 낮게 관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7,8]. 여러 고온 관련 지표(일평균기온, 일최고기온, 일최고체감기온, 열지수, 열대야, 일교차 등)를 이용하여 고온 노출과 건강 결과 관련성을 비교하였다. 2021년 연구는 절대적 폭염 기준 33°C를 기준으로 온도 중심으로 위험성을 평가했다면 2022년 연구는 좀 더 다양한 상대적 온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2020년 5월부터 체감온도(습도영향기반)를 반영한 폭염경보가 실행되어 이 부분에 대한 실제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위수 분석을 통해 절대적 온도의 분석결과보다 폭염이 훨씬 다양한 질환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상대적인 분위수 분석에 따라 최고기온으로 분석할 때 영향이 나타나는 질환과 최고체감기온(습도반영)을 분석할 때 영향이 나타나는 질환이 다름을 확인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영향과의 연관성이 있는 결과를 다각도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의 정책적 흐름에 발맞춰 국내 폭염 노출의 임신부, 신생아 및 영유아 건강영향에 대해 의학적 근거를 제공하고, 보건정책 측면에서 건강 가이드라인의 기초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9]. 또한 기후특보 시스템의 건강취약계층 대응정책에 적용 가능 하도록 빅데이터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건강취약계층(임신부, 신생아, 영유아)에 대한 분석 자료와 취약계층에 대한 건강대응방안의 정책 근거 자료로써 활용될 것이다.

현재 통계청과 건강보험공단의 개별 자료분석만으로는 폭염과 건강영향의 인과성을 밝히는 데 제한이 있다. 향후 국자차원에서 법부처 협력을 통해 보건의료를 전담으로 한 보건의료 플랫폼 구축과 지원이 필요하다.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This study was exempted from review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Hospital (IRB File No: SEUMC 2022-04-045).

Funding Source: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Program fund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rant No. 2022-12-303).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EHH. Data curation: YRK. JMO, EJK, JMK, JEM. Funding acquisition: YRK. Investigation: WHL, Methodology: JYL. Project administration: YRK. Supervision: EHH. Writing–original draft: YRK. Writing–review & editing: YRK.

  1. Alman BL, Stingone JA, Yazdy M, et al. Associations between PM2.5 and risk of preterm birth among liveborn infants. Ann Epidemiol 2019;39:46-53.e2.
    Pubmed KoreaMed CrossRef
  2. Arroyo V, Díaz J, Carmona R, Ortiz C, Linares C. Impact of air pollution and temperature on adverse birth outcomes: Madrid, 2001-2009. Environ Pollut 2016;218:1154-61.
    Pubmed CrossRef
  3. Arroyo V, Díaz J, Ortiz C, Carmona R, Sáez M, Linares C. Short term effect of air pollution, noise and heat waves on preterm births in Madrid (Spain). Environ Res 2016;145:162-8.
    Pubmed CrossRef
  4. Avalos LA, Chen H, Li DK, Basu R. The impact of high apparent temperature on spontaneous preterm delivery: a case-crossover study. Environ Health 2017;16:5.
    Pubmed KoreaMed CrossRef
  5. Basagaña X, Michael Y, Lensky IM, et al. Low and high ambient temperatures during pregnancy and birth weight among 624,940 singleton term births in Israel (2010-2014): an investigation of potential windows of susceptibility. Environ Health Perspect 2021;129:107001.
    Pubmed KoreaMed CrossRef
  6. Basu R, Rau R, Pearson D, Malig B. Temperature and term low birth weight in California. Am J Epidemiol 2018;187:2306-14.
    Pubmed CrossRef
  7. Bekkar B, Pacheco S, Basu R, DeNicola N. Association of air pollution and heat exposure with preterm birth, low birth weight, and stillbirth in the US: a systematic review. JAMA Netw Open 2020;3:e208243. Erratum in: JAMA Netw Open 2020;3:e2014510.
    Pubmed KoreaMed CrossRef
  8. Bernstein AS, Sun S, Weinberger KR, Spangler KR, Sheffield PE, Wellenius GA. Warm season and emergency department visits to U.S. children's hospitals. Environ Health Perspect 2022;130:17001. Erratum in: Environ Health Perspect 2022;130:49002.
    Pubmed KoreaMed CrossRef
  9. Bhaskaran K, Gasparrini A, Hajat S, Smeeth L, Armstrong B. Time series regression studies in environmental epidemiology. Int J Epidemiol 2013;42:1187-95.
    Pubmed KoreaMed CrossRef

Article

연구논문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2): 33-45

Published online January 11, 2024 https://doi.org/10.56786/PHWR.2024.17.2.1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폭염특보의 절대적ㆍ상대적 개념에 따른 임신부, 태아, 영유아 건강영향 연구

곽영린1†, 오종민1†, 이환희2, 김은지1, 김조이스1, 민지은1, 이지영3, 하은희1*

1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환경의학교실, 2부산대학교 정보의생명공학대학 의생명융합공학부, 3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염증-암 미세환경 연구센터

Received: August 10, 2023; Revised: October 26, 2023; Accepted: November 9,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폭염 등의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 문제 및 건강 피해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건강영향은 임신부, 영유아, 어린이, 노인 등의 민감(취약)계층에 더욱 심각한 피해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특히 2020년부터 폭염의 기준이 달라짐에 따라 건강영향 분석 및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이 연구에서는 폭염특보의 절대적ㆍ상대적 개념에 따른 임신부, 태아, 영유아 건강영향 분석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폭염 노출에 따른 건강영향 관련 국내외 최신 연구 동향 문헌고찰과 체감온도 기반의 폭염특보 기준변경에 따른 분석 연구를 수행하고, 폭염특보의 절대적ㆍ상대적 개념 구분에 따른 임신부, 태아 및 영유아의 건강영향 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 수행방법은 폭염특보 기준 관련 국내외 문헌고찰을 정리하고, 폭염특보 기준변경(체감온도 적용)에 따른 비교 분석 자료를 제시하였으며, 가용 자료원(기상청, 건강보험데이터)을 활용하여 폭염 노출에 따른 임신부, 태아 및 영유아의 건강영향 관련성에 대해 시계열 회귀분석 방법, 시간 층화 환자-교차 설계 방법, 생존분석을 이용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고온 노출과 임신부 건강영향에 대한 다양한 열지표값에 따른 영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이는 기후변화가 조산, 고혈압성 장애, 호흡기질환, 장감염질환, 비뇨생식 질환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뒷받침해 준다. 또한 고온 노출과 5세 미만 영유아 건강영향과의 연관성에서도 온열질환, 수족구병 폐렴 등의 질환과 다양한 열지표와의 연관성을 거시적 결과물로 증명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폭염에 노출된 임신부 및 태아, 영유아의 건강영향 관련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근거 자료를 마련할 수 있고, 향후 추가적으로 폭염 등 극한기온에 대한 민감(취약)계층의 건강영향 연구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폭염, 임신부, 영유아, 건강

서 론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이전 국외 연구들에서 고온 및 폭염 노출이 임신부의 조산 및 저체중아 출생과 연관됨을 보고한 바 있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2015–2020년 기간 동안 취약인구집단인 임신부 및 5세 미만 영유아를 대상으로 고온 및 폭염 노출과 건강영향 연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분석을 통한 임신부 연구 결과는 일평균기온, 일최고 체감기온은 조산 위험, 장감염질환 입원 발생과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5세 미만 영유아 연구 결과는 온열질환 및 탈수, 수족구병, 전체 장감염질환, 호흡기 질환(전체, 폐렴, 급성하기도감염), 비뇨생식계통 관련 질환 입원 발생과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③ 시사점은?

본 연구를 통해 고온 및 폭염노출이 임신부 및 5세 미만 영유아에게 부정적인 건강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한국의 특성에 맞는 고온 및 폭염 관리와 민감계층을 위한 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마련 및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국가별로 개별적인 노력이 아닌 여러 국가들의 글로벌 협력을 통한 다학제적 연구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폭염은 임신부 및 영유아의 또 다른 환경 위험 요소이다. 임신부의 조산 및 질환에 대한 체온의 영향과 영유아의 온열질환 및 기타 질환에 대한 정확한 생리학적 기전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이전의 연구들은 고온 및 폭염 노출과 일반인구집단에 초점을 맞추어 사망 및 질환 입∙내원 연관성을 보고하였다[1-3]. 그러나, 상대적으로 민감취약집단인 임신부 및 어린이들의 폭염 노출과 건강영향은 적게 다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5–2020년간 한국의 임신부와 5세 미만 영유아를 대상으로 고온 및 폭염 노출에 대한 건강영향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폭염과 관련된 기후변화 요인에 따른 건강영향에 대해 의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선행된 국내외 연구 문헌을 검토 및 정리하였고, 빅데이터(통계청, 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여름철 폭염에 따른 임신부 및 5세 미만 영유아에 대한 대상별 건강영향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5–2020년간 통계청-출생통계, 건강보험공단 맞춤형 자료를 이용하여 임신부와 5세 미만 영유아 및 건강 결과(조산, 저체중아, 입원, 응급실 입원)를 정의하였다. 기상 자료는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에서 일평균기온, 최저기온, 최고기온, 최고체감기온, 열지수, 열대야 유무, 일교차, 기온편차 등을 확보하였다. 절대온도와 백분위수를 고려한 상대온도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폭염을 정의하였다. 고온 및 폭염의 단기노출로 인한 건강영향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연구 가설마다 시계열 분석, 시간층화 환자-교차연구, 생존분석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4-6]. 표 1의 조산, 저체중아 분석은 생존분석, 나머지 질환은 시계열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표 2, 그림 1, 그림 2는 생존분석을 진행하였고, 표 3은 시계열 분석을 진행하였다.

Figure 1. 고온 노출과 5세 미만 영유아 응급실 입원 관련성(2015–2020년 건강보험공단자료 분석결과)
95% CI=95% confidence interval.

Figure 2. 고온 백분위수에 따른 5세 미만 소아 온열질환 및 탈수 입원 관련성(2015–2020년 건강보험공단자료 분석결과)
95% CI=95% confidence interval.

고온 노출과 임신부 건강영향과의 연관성 유무(2015–2020년 건강보험공단자료 분석결과)
고온 노출과 임신부 건강영향일평균기온일최고기온일최고체감기온열지수열대야일교차일일기온편차
조산OOOOOOO
저체중아O
임신, 출산 및 산후기의 부종OOOOO
단백뇨 및 고혈압성 장애
전자간증O
양막의 조기파열OOO
전체 호흡기질환OOOOOO
전체 장감염질환OOOOOOO
전체 비뇨생식계통질환OOOO OO


고온과 5세 미만 영유아 건강영향 연관성(2015–2020년 건강보험공단자료 분석결과)
5세 미만 영유아 질환일평균기온일최고기온일최고체감기온열지수열대야일교차일일기온편차
온열질환 및 탈수OOOOOOO
열성경련O
수족구병OOOOO
아토피피부염O
중이염OOO
전체 장감염질환OOOOOO
전체 호흡기질환OOOOOOO
폐렴OOOOOO
천식
급성하기도감염OOOOOOO
알레르기성 비염OO
전체 비뇨∙생식계통질환OOOO
비뇨계통질환OOOO   


고온 백분위수와 5세 미만 영유아 건강영향 연관성(2015–2020년 건강보험공단자료 분석결과)
구분상대적 정의절대적 정의
70백분위수75백분위수80백분위수85백분위수90백분위수33°C
질환MaxTMaxATMaxTMaxATMaxTMaxATMaxTMaxATMaxTMaxATMaxTMaxAT
온열질환 및 탈수OOOOOOO O O 
열성경련OO
수족구병OO
아토피피부염OOOOOOOOOOO
중이염
전체 장감염질환OOOOOOOOOO
전체 호흡기질환O
폐렴OO
천식
급성하기도감염OOO
알레르기성 비염
전체 비뇨·생식계통질환OOOOO
비뇨계통질환OOOOOO      

MaxT=maximum temperature; MaxAT=maximum apparent temperature..


결 과

연구기간 동안 임신부는 일평균기온, 일최고기온, 일최고체감기온, 열지수, 열대야, 일교차, 일일기온편차 노출에 따른 조산 위험, 장감염질환 입원 환자수와의 연관성이 있었으며, 호흡기질환과 비뇨생식계통질환은 일평균기온, 일최고기온, 일최고체감기온, 열지수, 일교차, 일일기온편차와 연관성이 있었다(표 1).

5세 미만 영유아 연구 결과는 표 2에서 일평균기온, 일최고기온, 일최고체감기온, 열지수, 열대야. 일교차, 일일기온편차 노출에 따른 온열질환 및 탈수, 호흡기질환(전체, 급성하기도감염), 발생과 연관성이 있었다. 열성경련, 수족구병, 아토피 피부염, 중이염, 전체 장감염질환, 폐렴, 알레르기성비염, 전체 비뇨생식계통질환과 비뇨계통질환 입원 발생 결과는 일부 고온 관련 지표에서 연관성이 있었다.

그림 1에서 고온 노출과 5세 미만 영유아 응급실 입원에 대한 일최고기온과 일최고체감기온을 비교한 결과, 동일하게 유의미한 값이 나타났다. 단, 온열질환 및 탈수질환은 일최고기온과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였지만 일최고체감기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림 2에서는 고온 백분위수에 따른 5세 미만 소아의 온열질환 및 탈수 입원에 대한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일최고체감기온보다 일최고기온에서 유의미한 결과값이 나타났다.

표 3에서 고온 백분위수와 5세 영유아 대상 분석결과에서는 온열질환 및 탈수, 아토피 피부염, 전체 장감염질환 입원 발생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전체적으로 고온의 70백분위수에서부터 연관성이 나타난 만큼 고온에서 정의된 폭염 노출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기온에서 정의된 폭염과 건강영향에 대한 연관성이 있었다.

결 론

연구 결과 기상청 특보 기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기온에서 정의한 폭염 노출과 임신부, 5세 미만 영유아 건강영향 관련성이 관찰되었다. 이는 임신부, 5세 미만 영유아 같은 취약계층은 일반인구집단에 비해 폭염 기준 기온이 더 낮게 관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7,8]. 여러 고온 관련 지표(일평균기온, 일최고기온, 일최고체감기온, 열지수, 열대야, 일교차 등)를 이용하여 고온 노출과 건강 결과 관련성을 비교하였다. 2021년 연구는 절대적 폭염 기준 33°C를 기준으로 온도 중심으로 위험성을 평가했다면 2022년 연구는 좀 더 다양한 상대적 온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2020년 5월부터 체감온도(습도영향기반)를 반영한 폭염경보가 실행되어 이 부분에 대한 실제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위수 분석을 통해 절대적 온도의 분석결과보다 폭염이 훨씬 다양한 질환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상대적인 분위수 분석에 따라 최고기온으로 분석할 때 영향이 나타나는 질환과 최고체감기온(습도반영)을 분석할 때 영향이 나타나는 질환이 다름을 확인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영향과의 연관성이 있는 결과를 다각도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의 정책적 흐름에 발맞춰 국내 폭염 노출의 임신부, 신생아 및 영유아 건강영향에 대해 의학적 근거를 제공하고, 보건정책 측면에서 건강 가이드라인의 기초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9]. 또한 기후특보 시스템의 건강취약계층 대응정책에 적용 가능 하도록 빅데이터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건강취약계층(임신부, 신생아, 영유아)에 대한 분석 자료와 취약계층에 대한 건강대응방안의 정책 근거 자료로써 활용될 것이다.

현재 통계청과 건강보험공단의 개별 자료분석만으로는 폭염과 건강영향의 인과성을 밝히는 데 제한이 있다. 향후 국자차원에서 법부처 협력을 통해 보건의료를 전담으로 한 보건의료 플랫폼 구축과 지원이 필요하다.

Declarations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This study was exempted from review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Hospital (IRB File No: SEUMC 2022-04-045).

Funding Source: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Program fund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rant No. 2022-12-303).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EHH. Data curation: YRK. JMO, EJK, JMK, JEM. Funding acquisition: YRK. Investigation: WHL, Methodology: JYL. Project administration: YRK. Supervision: EHH. Writing–original draft: YRK. Writing–review & editing: YRK.

Fig 1.

Figure 1.고온 노출과 5세 미만 영유아 응급실 입원 관련성(2015–2020년 건강보험공단자료 분석결과)
95% CI=95% confidence interval.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 33-45https://doi.org/10.56786/PHWR.2024.17.2.1

Fig 2.

Figure 2.고온 백분위수에 따른 5세 미만 소아 온열질환 및 탈수 입원 관련성(2015–2020년 건강보험공단자료 분석결과)
95% CI=95% confidence interval.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 33-45https://doi.org/10.56786/PHWR.2024.17.2.1
고온 노출과 임신부 건강영향과의 연관성 유무(2015–2020년 건강보험공단자료 분석결과)
고온 노출과 임신부 건강영향일평균기온일최고기온일최고체감기온열지수열대야일교차일일기온편차
조산OOOOOOO
저체중아O
임신, 출산 및 산후기의 부종OOOOO
단백뇨 및 고혈압성 장애
전자간증O
양막의 조기파열OOO
전체 호흡기질환OOOOOO
전체 장감염질환OOOOOOO
전체 비뇨생식계통질환OOOO OO

고온과 5세 미만 영유아 건강영향 연관성(2015–2020년 건강보험공단자료 분석결과)
5세 미만 영유아 질환일평균기온일최고기온일최고체감기온열지수열대야일교차일일기온편차
온열질환 및 탈수OOOOOOO
열성경련O
수족구병OOOOO
아토피피부염O
중이염OOO
전체 장감염질환OOOOOO
전체 호흡기질환OOOOOOO
폐렴OOOOOO
천식
급성하기도감염OOOOOOO
알레르기성 비염OO
전체 비뇨∙생식계통질환OOOO
비뇨계통질환OOOO   

고온 백분위수와 5세 미만 영유아 건강영향 연관성(2015–2020년 건강보험공단자료 분석결과)
구분상대적 정의절대적 정의
70백분위수75백분위수80백분위수85백분위수90백분위수33°C
질환MaxTMaxATMaxTMaxATMaxTMaxATMaxTMaxATMaxTMaxATMaxTMaxAT
온열질환 및 탈수OOOOOOO O O 
열성경련OO
수족구병OO
아토피피부염OOOOOOOOOOO
중이염
전체 장감염질환OOOOOOOOOO
전체 호흡기질환O
폐렴OO
천식
급성하기도감염OOO
알레르기성 비염
전체 비뇨·생식계통질환OOOOO
비뇨계통질환OOOOOO      

MaxT=maximum temperature; MaxAT=maximum apparent temperature..


References

  1. Alman BL, Stingone JA, Yazdy M, et al. Associations between PM2.5 and risk of preterm birth among liveborn infants. Ann Epidemiol 2019;39:46-53.e2.
    Pubmed KoreaMed CrossRef
  2. Arroyo V, Díaz J, Carmona R, Ortiz C, Linares C. Impact of air pollution and temperature on adverse birth outcomes: Madrid, 2001-2009. Environ Pollut 2016;218:1154-61.
    Pubmed CrossRef
  3. Arroyo V, Díaz J, Ortiz C, Carmona R, Sáez M, Linares C. Short term effect of air pollution, noise and heat waves on preterm births in Madrid (Spain). Environ Res 2016;145:162-8.
    Pubmed CrossRef
  4. Avalos LA, Chen H, Li DK, Basu R. The impact of high apparent temperature on spontaneous preterm delivery: a case-crossover study. Environ Health 2017;16:5.
    Pubmed KoreaMed CrossRef
  5. Basagaña X, Michael Y, Lensky IM, et al. Low and high ambient temperatures during pregnancy and birth weight among 624,940 singleton term births in Israel (2010-2014): an investigation of potential windows of susceptibility. Environ Health Perspect 2021;129:107001.
    Pubmed KoreaMed CrossRef
  6. Basu R, Rau R, Pearson D, Malig B. Temperature and term low birth weight in California. Am J Epidemiol 2018;187:2306-14.
    Pubmed CrossRef
  7. Bekkar B, Pacheco S, Basu R, DeNicola N. Association of air pollution and heat exposure with preterm birth, low birth weight, and stillbirth in the US: a systematic review. JAMA Netw Open 2020;3:e208243. Erratum in: JAMA Netw Open 2020;3:e2014510.
    Pubmed KoreaMed CrossRef
  8. Bernstein AS, Sun S, Weinberger KR, Spangler KR, Sheffield PE, Wellenius GA. Warm season and emergency department visits to U.S. children's hospitals. Environ Health Perspect 2022;130:17001. Erratum in: Environ Health Perspect 2022;130:49002.
    Pubmed KoreaMed CrossRef
  9. Bhaskaran K, Gasparrini A, Hajat S, Smeeth L, Armstrong B. Time series regression studies in environmental epidemiology. Int J Epidemiol 2013;42:1187-95.
    Pubmed KoreaMed CrossRef
PHWR
Oct 02, 2024 Vol.17 No.38
pp. 1611~1634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