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감시보고

Split Viewer
ENG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19): 802-822

Published online April 3, 2024

https://doi.org/10.56786/PHWR.2024.17.19.2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전수감시 기간 사망자 분석 결과 (2020.1.20.–2023.8.30.)

최소영1,2, 류보영1,2, 정세진2, 장민정2, 안미숙2, 박신영1,2, 김성순1,2*

1질병관리청 위기대응분석관 위기대응연구담당관, 2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 정보분석팀

*Corresponding author: 김성순, Tel: +82-43-719-7730, E-mail: sskim0719@korea.kr

Received: March 13, 2024; Revised: April 1, 2024; Accepted: April 2, 2024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질병관리청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의 중증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2020년 코로나19 첫 환자 보고일부터 2023년 8월 30일까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사망자 전수신고체계를 운영하였다. 본 원고는 국내 코로나19 전수감시 기간(2020.1.20.–2023.8.30.) 동안 신고된 전체 사망자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사망자 특성은 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성 등을 포함하였고, 중증도는 치명률과 사망률을 분석하였으며, 모든 분석은 연도별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전체 전수감시 기간 동안 총 35,605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고, 사망자의 90.0% 이상이 고령층 및 기저질환자로 확인되었다. 치명률은 0.10%, 사망률은 10만 명당 69명이었으며 80세 이상 연령의 치명률은 1.75%로 전 연령 중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의 코로나19 치명률은 세계적으로 낮은 수준이며, 코로나19는 2023년 8월 31일 4급 감염병으로 전환되었다. 그렇지만 새로운 변이바이러스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코로나19 유행은 계속되고 있으므로 고령층 및 기저질환자와 같은 고위험군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고위험군은 코로나19 중증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적시의 예방접종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Keywords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망자, 치명률, 사망률, 고위험군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질병관리청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첫 환자가 보고된 2020년 1월 20일부터 2023년 8월 30일까지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에 대한 전수감시체계를 운영하여 코로나19 중증도를 모니터링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중증도가 감소하여 공중보건위기상황은 종료하였으나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코로나19 전수감시 기간 동안 사망자는 35,605명, 치명률은 0.10%, 사망률은 10만 명당 69명이었다. 사망자의 대부분은 고령층과 기저질환자로 확인되었다. 또한, 코로나19 치명률은 80세 이상 연령이 1.75%로 가장 높았다.

③ 시사점은?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유행 시 중앙정부와 의료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활용하여 코로나19 전 기간 동안 사망자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코로나19 유행기간 발생한 전체 사망자의 특성을 분석하여 사망에 취약한 사람의 특성을 파악함으로 향후 정책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023년 8월 30일 기준, 국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19) 사망자는 35,605명으로 보고되었으며[1],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는 2024년 1월 7일 기준 전 세계적으로 약 625만 명이 코로나19로 사망하였다고 보고하였다[2].

질병관리청은 2020년 1월 20일 코로나19 첫 환자가 보고된 이후 중앙방역대책본부를 가동하여 범정부적으로 대응에 집중하였으며, 2023년 8월 30일 전수감시 종료까지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에 대한 전수조사를 시행해왔다[3].

코로나19는 발생 초기 질병의 중증도를 알 수 없는 신종 감염병으로 전수신고체계를 활용하여 코로나19 사망자를 실시간으로 인지하고 추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매주 사망자 수, 치명률 등의 정보를 생산하였다. 매주 산출된 중증도는 시시각각 변하는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최적의 전략 마련의 근거로 활용되었다.

본 원고에서는 코로나19 전수감시가 종료되어 전수감시 기간(2020.1.20.–2023.8.30.) 동안 발생한 국내 코로나19 사망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중증도를 분석하여 향후 코로나19 대응 정책 수립 대상의 우선순위와 범위를 결정하고, 필요한 보건의료자원을 준비하는 데 근거로 활용하고자 한다.

1. 대상

본 연구에서는 2020년 1월 20일부터 2023년 8월 30일까지 질병관리청의 코로나19 환자관리정보시스템에 신고된 확진자와 사망자 정보를 활용하였다[4].

코로나19 확진자는 임상 양상에 관계 없이 코로나19 유전자 검출 또는 바이러스 분리를 통해 감염이 확인된 사람, 코로나19 증상을 나타낸 사람으로서 신속항원검사(전문가용, 2022년 3월 14일 시행) 또는 응급용 선별검사를 통해 감염이 확인된 사람으로 정의하였다.

코로나19 사망자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질병관리청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신고되었다. 코로나19 사망자는 감염이 확인되어 격리 기간 중 사망 및 사망 후 코로나19 확인, 코로나19 감염 격리 해제된 이후의 사망자에 대해 의료진의 소견에 따라 신고되었다. 신고된 사망 사례 중 전문가 검토에 따라 타 질환으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외인사인 사례는 제외하였다.

2. 사망자 조사 및 집계

1) 신고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1조에 따라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가 질병관리청장 또는 관할 보건소장에게 구두, 전화 등의 방법으로 알린 후 정보시스템 또는 팩스를 이용하여 즉시 신고하도록 하였다(그림 1).

Figure. 1.사망 조사 및 집계

2) 사망자 조사

질병관리청 및 권역별 질병대응센터에서 신고된 사망자에 대해 역학조사서 등 기조사된 자료를 활용하고, 의료기관과 보건소를 통해 사망자의 사인, 기저질환, 예방접종력 등을 조사하였다(그림 1).

3) 사망자 잠정 집계

신고 및 조사가 완료된 사망자에 대하여 시∙도 담당부서와 확인 후 일별로 사망자 통계를 집계하고 보도자료 등을 통해 연령별, 시∙도별 사망자 수와 시∙군∙구별 사망률에 대한 현황을 발표하였다(그림 1).

4) 통계 확정

전수감시 종료 이후, 시∙도 삭제 요청 건, 집계 오류 건과 사망사례분류위원회의 사례 분류 결과 등을 최종 반영하여 코로나19 전수감시 기간 사망자 발생 통계를 확정하였다(그림 1).

3. 분석 방법

확진자와 사망자의 정보는 확진자 신고 정보와 사망자 신고 정보를 결합하여 구성하였다. 사망자 발생 규모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망 보도일을 기준으로 성별, 연령을 구분한 인구학적 특성 및 예방접종력, 기저질환을 포함한 임상적 특성을 연도별로 나누어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치명률은 해당 기간에 발생한 확진자 중 사망자의 비율(%), 사망률은 전년도 12월 기준 주민등록인구 중 사망자의 비율(인구 10만 명당)로 산출하였다. 연도별 표준화 치명률 산출 시 표준인구는 전체 확진자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연도별 표준화 사망률의 표준인구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의 평균 인구로 산출하였다. 지역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2022년 12월 시‧도별 주민등록인구 수를 분모로, 전 국민 인구 수를 표준인구로 산출하였다. 국가별 치명률은 세계보건기구 코로나19 대시보드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하였다[2]. 모든 분석은 Microsoft사의 Excel 2018과 Tableau (ver. 2021.4)를 사용하였다.

사망률(100,000명당)=사망자 수전년도 12월 인구×100,000

1. 일반적 특징

코로나19 전수감시 기간 동안 총 34,572,554명의 확진자 중 사망자는 35,605명 발생했으며, 이는 전체 확진자의 0.1%에 해당한다. 특히, 확진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2022년에는 사망자가 26,363명으로 나타나 전체 사망자 중 74.0%를 차지하였다(그림 2). 사망자의 평균 연령은 79.8세이며, 60세 이상 연령대가 전체 사망자의 93.9% (33,415명)를 차지했다. 성별에 따른 사망자 분포는 여성이 18,018명(50.6%), 남성이 17,587명(49.4%)으로 확인되었다(표 1).

Figure. 2.월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자 및 사망자 수(2020.1.20.–2023.8.30.)

연도별 사망자의 기본 특성(보도일 기준)
구분사망보도일
전 기간
(2020.1.20.-2023.8.31.)
2020
(2020.1.20.~)
202120222023
(~2023.8.31.)
합계35,605 (100.0)890 (100.0)4,621 (100.0)26,363 (100.0)3,731 (100.0)
성별
17,587 (49.4)445 (50.0)2,398 (51.9)12,768 (48.4)1,976 (53.0)
18,018 (50.6)445 (50.0)2,223 (48.1)13,595 (51.6)1,755 (47.0)
연령(세)
평균±표준편차79.8±12.179.5±10.177.6±12.280.1±12.280.0±11.7
0–938 (0.1)0 (0.0)3 (0.1)33 (0.1)2 (0.1)
10–1924 (0.1)0 (0.0)0 (0.0)19 (0.1)5 (0.1)
20–2973 (0.2)0 (0.0)10 (0.2)60 (0.2)3 (0.1)
30–39160 (0.4)2 (0.2)30 (0.6)110 (0.4)18 (0.5)
40–49473 (1.3)6 (0.7)67 (1.5)352 (1.3)48 (1.3)
50–591,422 (4.0)30 (3.4)241 (5.2)1,019 (3.9)132 (3.5)
60–694,008 (11.3)102 (11.5)731 (15.8)2,769 (10.5)406 (10.9)
70–798,062 (22.6)256 (28.7)1,231 (26.6)5,751 (21.8)824 (22.1)
≥8021,345 (60.0)494 (55.5)2,308 (50.0)16,250 (61.7)2,293 (61.4)
≥60a)33,415 (93.9)852 (95.7)4,270 (92.4)24,770 (94.0)3,523 (94.4)
신고 지역
수도권17,113 (48.1)459 (51.6)3,373 (73.0)11,802 (44.8)1,479 (39.6)
충청권3,795 (10.6)54 (6.1)368 (8.0)2,939 (11.1)434 (11.6)
호남권3,212 (9.0)22 (2.5)163 (3.5)2,562 (9.7)465 (12.5)
경북권4,227 (11.9)261 (29.3)261 (5.6)3,272 (12.4)433 (11.6)
경남권5,519 (15.5)79 (8.9)340 (7.4)4,451 (16.9)649 (17.4)
강원1,406 (3.9)13 (1.4)89 (1.9)1,111 (4.2)193 (5.2)
제주317 (0.9)0 (0.0)13 (0.3)226 (0.9)78 (2.1)
검역16 (0.0)2 (0.2)14 (0.3)0 (0.0)0 (0.0)

단위: 명(%). a)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충청권(대전, 세종, 충북, 충남), 호남권(광주, 전북, 전남), 경북권(대구, 경북), 경남권(부산, 울산, 경남), 강원권(강원), 제주권(제주), 검역.



전체 기간 사망자의 평균 연령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79.5세(표준편차 10.1세), 2021년 77.6세(표준편차 12.2세), 2022년 80.1세(표준편차 12.2세), 2023년 80.0세(표준편차 11.7세)로 모든 연도에서 70–80대 연령 범위에서 발생하였다. 전체 사망자 중 80세 이상 연령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2020년과 2021년에는 각 55.5%, 50.0%의 비중을 보였다. 2022년 이후로는 60.0% 이상으로 증가하여, 2022년에는 61.7%, 2023년에는 61.4%의 비중을 차지하였다. 19세 이하 연령대의 경우 2021년에 첫 사망자가 발생하여 총 62명의 사망자가 보고되었으며, 전체 사망자 중 0.2%를 차지하였다(표 1).

2. 임상적 특징

예방접종력에 대한 분석 결과, 전체 사망자 중 14,705명(41.3%)이 미접종자로 확인되었으며, 6,785명(19.1%)은 기본 접종을, 14,115명(39.6%)은 3차 이상의 접종을 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방접종을 시작한 2021년 미접종자의 비율은 63.9% (2,955명)로 가장 높았으며, 2022년 36.8% (9,692명), 2023년 31.3% (1,168명)로 나타났다(표 2).

연도별 사망자 임상적 특징(보도일 기준)
구분사망보도일
전 기간
(2020.1.20.-2023.8.31.)
2020
(2020.1.20.~)
202120222023
(~2023.8.31.)
합계35,605 (100.0)890 (100.0)4,621 (100.0)26,363 (100.0)3,731 (100.0)
확진-사망 소요일a)8.5±10.215.8±15.315.0±14.17.4±8.56.9±10.1
예방접종력
미접종14,705 (41.3)890 (100.0)2,955 (63.9)9,692 (36.8)1,168 (31.3)
기본접종6,785 (19.1)0 (0.0)1,545 (33.4)4,887 (18.5)353 (9.5)
3차 접종 이상14,115 (39.6)0 (0.0)121 (2.6)11,784 (44.7)2,210 (59.2)
기저질환
34,084 (95.7)861 (96.7)4,384 (94.9)25,302 (96.0)3,537 (94.8)
1,521 (4.3)29 (3.3)237 (5.1)1,061 (4.0)194 (5.2)
계통별 기저질환
순환기계19,048 (53.5)580 (65.2)2,853 (61.7)13,556 (51.4)2,059 (55.2)
신경계16,030 (45.0)417 (46.9)1,849 (40.0)12,387 (47.0)1,377 (36.9)
내분비계 및 대사성11,882 (33.4)402 (45.2)1,820 (39.4)8,327 (31.6)1,333 (35.7)
악성신생물5,057 (14.2)95 (10.7)621 (13.4)3,778 (14.3)563 (15.1)
비뇨생식기계4,918 (13.8)122 (13.7)669 (14.5)3,604 (13.7)523 (14.0)
호흡기계2,954 (8.3)99 (11.1)338 (7.3)2,187 (8.3)330 (8.8)
정신질환1,761 (4.9)69 (7.8)247 (5.3)1,289 (4.9)156 (4.2)
근골격계1,592 (4.5)43 (4.8)318 (6.9)977 (3.7)254 (6.8)
소화기계983 (2.8)22 (2.5)128 (2.8)698 (2.6)135 (3.6)
혈액 및 조혈계509 (1.4)10 (1.1)53 (1.1)382 (1.4)64 (1.7)
기타746 (2.1)4 (0.4)98 (2.1)543 (2.1)101 (2.7)
사망-사망집계 소요일a)11.9±38.71.6±3.62.3±4.513.5±39.114.5±57.4
≤322,441 (63.0)863 (97.0)4,254 (92.1)15,661 (59.4)1,663 (44.6)
4–78,549 (24.0)23 (2.6)250 (5.4)6,533 (24.8)1,743 (46.7)
8–141,551 (4.4)2 (0.2)66 (1.4)1,363 (5.2)120 (3.2)
≥153,064 (8.6)2 (0.2)51 (1.1)2,806 (10.6)205 (5.5)
사망 장소
급성기 의료기관25,096 (70.5)810 (91.0)3,974 (86.0)17,208 (65.3)3,104 (83.2)
요양병원8,501 (23.9)52 (5.8)442 (9.6)7,571 (28.7)436 (11.7)
요양원631 (1.8)8 (0.9)60 (1.3)529 (2.0)34 (0.9)
응급실90 (0.3)0 (0.0)0 (0.0)0 (0.0)90 (2.4)
자택46 (0.1)0 (0.0)0 (0.0)0 (0.0)46 (1.2)
기타1,241 (3.5)20 (2.2)145 (3.1)1,055 (4.0)21 (0.6)

단위: 명(%). a)평균±표준편차.



사망자 중 약 96.0%가 기저질환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통별로는 고혈압 등 순환기계 질환이 53.5%로 가장 높았으며, 치매 등 신경계 질환이 45.0%, 당뇨병 등 내분비계 및 대사성 질환이 33.4%로 나타났다. 반면, 19세 이하 연령의 경우 51.6%만이 기저질환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신경계 질환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2, 3).

연령별 사망자 임상적 특징
구분전체10대 미만10대20대30대40대50대60대70대80대 이상
합계35,605 (100.0)38 (100.0)24 (100.0)73 (100.0)160 (100.0)473 (100.0)1,422 (100.0)4,008 (100.0)8,062 (100.0)2,1345 (100.0)
확진-사망 소요일8.5±10.22.7±3.65.8±4.79.7±25.08.2±11.68.2±13.59.7±14.210.5±13.99.6±11.57.7±8.1
예방접종력
미접종14,705 (41.3)38 (100.0)16 (66.7)45 (61.6)97 (60.6)234 (49.5)657 (46.2)1,690 (42.2)3,264 (40.5)8,664 (40.6)
기본접종6,785 (19.1)0 (0.0)8 (33.3)14 (19.2)29 (18.1)120 (25.4)299 (21.0)921 (23.0)1,628 (20.2)3,766 (17.6)
3차 접종 이상14,115 (39.6)0 (0.0)0 (0.0)14 (19.2)34 (21.3)119 (25.2)466 (32.8)1,397 (34.9)3,170 (39.3)8,915 (41.8)
기저질환
34,084 (95.7)12 (31.6)20 (83.3)62 (84.9)127 (79.4)419 (88.6)1,306 (91.8)3,793 (94.6)7,771 (96.4)20,574 (96.4)
1,521 (4.3)26 (68.4)4 (16.7)11 (15.1)33 (20.6)54 (11.4)116 (8.2)215 (5.4)291 (3.6)771 (3.6)
계통별 기저질환
순환기계19,048 (53.5)1 (2.6)2 (8.3)9 (12.3)35 (21.9)116 (24.5)470 (33.1)1,676 (41.8)4,267 (52.9)12,472 (58.4)
신경계16,030 (45.0)6 (15.8)9 (37.5)20 (27.4)24 (15.0)85 (18.0)295 (20.7)1,106 (27.6)3,029 (37.6)11,456 (53.7)
내분비계 및 대사성11,882 (33.4)1 (2.6)2 (8.3)11 (15.1)36 (22.5)114 (24.1)439 (30.9)1,491 (37.2)3,284 (40.7)6,504 (30.5)
악성신생물5,057 (14.2)0 (0.0)1 (4.2)10 (13.7)29 (18.1)114 (24.1)357 (25.1)979 (24.4)1,552 (19.3)2,015 (9.4)
비뇨생식기계4,918 (13.8)1 (2.6)1 (4.2)2 (2.7)10 (6.3)54 (11.4)189 (13.3)643 (16.0)1,291 (16.0)2,727 (12.8)
호흡기계2,954 (8.3)0 (0.0)0 (0.0)2 (2.7)6 (3.8)14 (3.0)62 (4.4)266 (6.6)751 (9.3)1,853 (8.7)
정신질환1,761 (4.9)2 (5.3)2 (8.3)8 (11.0)17 (10.6)34 (7.2)113 (7.9)214 (5.3)357 (4.4)1,014 (4.8)
근골격계1,592 (4.5)0 (0.0)2 (8.3)7 (9.6)8 (5.0)15 (3.2)60 (4.2)166 (4.1)387 (4.8)947 (4.4)
소화기계983 (2.8)0 (0.0)2 (8.3)6 (8.2)10 (6.3)58 (12.3)104 (7.3)206 (5.1)232 (2.9)365 (1.7)
혈액 및 조혈계509 (1.4)1 (2.6)1 (4.2)0 (0.0)5 (3.1)5 (1.1)25 (1.8)40 (1.0)89 (1.1)343 (1.6)
기타746 (2.1)4 (10.5)6 (25.0)8 (11.0)9 (5.6)20 (4.2)32 (2.3)108 (2.7)191 (2.4)368 (1.7)

단위: 명(%).



확진부터 사망까지의 소요 기간은 전체적으로 평균 8.5일이었으며(표준편차 10.2일), 연도별로는 2020년 15.8일(표준편차 15.3일), 2021년 15.0일(표준편차 14.1일), 2022년 7.4일(표준편차 8.5일), 그리고 2023년이 6.9일(표준편차 10.1일)로 나타났다(표 2). 특히, 연령별로는 10대 미만이 평균 2.7일로 가장 짧았으며, 60대가 10.5일로 가장 길었다(표 3).

3. 치명률 및 사망률

전체 기간 동안의 치명률은 0.10%로, 이는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38개국 중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이었다(그림 3).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2.16%, 2021년 0.91%, 2022년 0.09%, 2023년에는 0.06%로 유행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80세 이상 연령대에서는 1.75%로 가장 높은 치명률을 나타내었으며, 70대(0.40%), 60대(0.11%), 50대(0.03%) 순으로 확인되었다(표 4). 유행이 계속됨에 따라 전 연령대에서 치명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부산, 대구, 강원, 경북이 0.14%로 가장 높았으며, 세종이 0.02%로 가장 낮았다. 연령표준화를 적용한 경우에는 경북을 제외하고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그림 4).

Figure. 3.OECD 국가별 치명률 현황
치명률: 사망자 수/확진자 수×100. OECD=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Figure. 4.시‧도별 치명률 현황
(A) 조치명률. (B) 연령표준화 치명률. 단위: 명. 치명률: 사망자 수/확진자 수×100 (표준인구: 전체 확진자)

연도별 치명률 및 사망률(확진일 기준)
구분전 기간
(2020.1.20.–2023.8.31.)
2020
(2020.1.20.~)
202120222023
(~2023.8.31.)
치명률(%)a)
연령별 합계0.102.160.910.090.06
0–9세<0.010.000.01<0.01<0.01
10–19세<0.010.000.00<0.01<0.01
20–29세<0.010.000.01<0.01<0.01
30–39세<0.010.050.04<0.01<0.01
40–49세0.010.080.090.010.01
50–59세0.030.380.330.030.02
60–69세0.111.681.070.090.05
70–79세0.407.764.220.360.16
≥80세1.7524.0614.251.720.73
표준화치명률0.101.580.950.100.05
사망률(10만 명당)b)
연령별 합계6929517
0–9세10<0.51<0.5
10–19세100<0.5<0.5
20–29세10<0.51<0.5
30–39세2<0.5<0.52<0.5
40–49세6<0.5141
50–59세17<0.53122
60–69세54311395
70–79세21173315522
≥80세94626115771102
표준화사망률6429507

a)치명률은 해당 기간에 확진된 환자의 경과를 지속 관찰하여 분석한 것으로 모니터링 기간을 고려하여, 2주 전 확진자(2023.8.12. 0시)까지 산출함. 치명률: 사망자 수/확진자 수×100(표준인구: 전체 확진자). b)사망률: 사망자 수/인구(전년도 12월)×100,000 (표준인구: 전체인구 평균).



전체 기간 동안의 사망률은 10만 명당 69명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에는 2명, 2021년 9명, 2022년 51명, 2023년에는 7명으로 2022년까지 급증하다가 2023년 급감한 양상을 보였다(표 4). 지역별로는 강원이 10만 명당 92명으로 가장 높았고, 세종이 16명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령표준화를 적용한 경우에는 대구가 10만 명당 87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세종이 28명으로 가장 낮았다(표 5, 그림 5).

Figure. 5.시‧도별 사망률 현황
(A) 조사망률. (B) 연령표준화 사망률. 단위: 명. 사망률: 사망자 수/인구(2022년 12월)×100,000 (표준인구: 전체인구 평균)

시‧도별 사망자 현황
구분전체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검역a)
합계35,6056,5872,9112,0501,9418681,003543618,5851,4061,0931,6381,2611,0832,1772,06531716
성별
17,5873,5561,3941,038929395501243284,20966154179658856299598914715
18,0183,0311,5171,0121,012473502300334,3767455528426735211,1821,0761701
연령(세)
0–938552130119202122110
10–1924510321003011003400
20–297321933431010323304400
30–3916039121013271043844533411
40–4947310831374112147098177191913202640
50–591,4223319172100343725134357415744375480117
60–694,00891932724221281101625942144108181104105202243237
70–798,0621,750711530438190260124151,850282225297225243413445631
≥8021,3453,4091,7241,1541,130540580322395,2878937051,0748606801,4761,2582140

단위: 명. a)해외 입국 시 검역 단계에서 확진된 자.



4. 기타

사망자의 대부분(94.7%)이 의료기관(급성기 의료기관, 요양병원, 응급실)에서 사망하였으며, 요양원에서의 사망자는 0.3% (90명), 자택에서의 사망자는 0.1% (46명)로 나타났다. 연도별 대부분 유사한 경향을 보이나 요양병원 사망자는 2022년에 28.7%로 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자택 사망 자는 2023년에만 발생하였다(표 2).

본 원고는 국내 코로나19 첫 환자가 보고된 이후 전수감시 종료 시까지의 기간 동안 전체 사망자의 특성을 분석한 첫번째 원고이다. 분석 결과, 대다수의 코로나19 사망자가 60세 이상의 고령층이며 기저질환을 보유하고 있어 해당 군이 코로나19 사망에 있어 고위험군임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계통별로는 순환기계, 신경계, 내분비계 및 대사성 질환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한 공중보건위기상황은 종료되었으나[5],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는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으며[6], 지역사회에서는 코로나19의 유행이 지속되어 여전히 고위험군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분석 결과를 고려할 때 고령층과 기저질환자들은 적시의 백신접종 등을 통해 증증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19세 이하의 경우 기저질환 미보유자의 비율이 높았으며, 확진부터 사망까지 소요일이 6일 미만으로 다른 연령군에 비해 사망이 빠르게 진행되는 경향을 보였다. 19세 이하 소아의 경우 전체 사망자의 0.20%를 차지하여 비율은 낮지만, 다른 연령군과는 다른 특성이 나타나므로 인구 특성을 고려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코로나19 전수감시 기간 동안 전체 사망자의 특성을 분석하여 코로나19 감염과 관련된 사망자의 실제 규모 및 장기적인 추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신고된 사례는 체계적인 사망자 조사와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외인사 등 코로나19 사망과 관련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사례는 제외하여 코로나19와 관련성의 충실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다만 특정 목적의 대규모 스크리닝 검사 외 코로나19 확진 검사는 코로나19 증상을 기반으로 시행하여 무증상자의 경우 코로나19 감염이 확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코로나19 관련 사망이라도 확진 단계에서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 신고 및 조사 자료를 통해 사망 관련 요인으로 알려진 사회경제적 특징을 알 수 없어 이에 대한 분석이 불가하였다. 향후 이에 대한 정보를 보유한 자료와 현재 사망자 자료를 연계하여 사망자 특징에 대한 다각도 분석이 필요하며, 향후 코로나19 사망자의 임상적 특징에 따른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확진자의 예방접종 상태, 보유한 기저질환 등을 고려한 치명률 분석이 추가로 필요하겠다.

코로나19 사망자 분석 결과, 유행이 진행됨에 따라 치명률은 낮아짐에도 불구하고 고령 및 기저질환자에 대해서는 집중적인 보호 및 관리가 여전히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현재 코로나19가 4급 감염병으로 전환되었고, 향후 위기 단계가 하향되더라도 코로나19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령층과 기저질환자들에 대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unding Source: None.

Acknowledgments: We would like to thank regional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local governments, and healthcare facilities for investigation of COVID-19 deaths.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BYR, SYC, SSK. Data curation and resources: SYC, BYR, SYP, MJJ, SJJ, MSA. Formal analysis: SYC, BYR, SJJ. Investigation: SYC, MJJ, SJJ, MSA. Methodology: BYR, SYC, SSK. Project administration: BYR, SSK. Software: SYC, BYR, SJJ. Supervision: SSK. Validation: BYR, SSK. Visualization: SYC, BYR. Writing – original draft: SYC. Writing – review & editing: BYR, SSK.

  1.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COVID-19 Dashboard [Internet]. KDCA; 2023 [cited 2024 Mar 1].
    Available from: https://ncov.kdca.go.kr/pot/cv/trend/dmstc/selectMntrgSttus.do
  2.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OVID-19 Dashboard [Internet]. WHO; 2024 [cited 2024 Mar 1].
    Available from: https://data.who.int/dashboards/covid19/data?n=c
  3. Ha J, Choi M, Yu D, Park N. Status of infectious diseases reporting in 2022. Public Health Wkly Rep 2023;16:1275-85.
  4.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3 case definitions for national notifiable infectious diseases.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3.
    CrossRef
  5. World Health Organization. Statement on the Fifteenth Meeting of the IHR (2005) Emergency Committee on the COVID-19 Pandemic [Internet]. WHO; 2023 [cited 2024 Mar 1].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news/item/05-05-2023-statement-on-the-fifteenth-meeting-of-the-international-health-regulations-(2005)-emergency-committee-regarding-the-coronavirus-disease-(covid-19)-pandemic
  6. World Health Organization. Tracking SARS-CoV-2 Variants [Internet]. WHO; 2024 [cited 2024 Mar 1].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activities/tracking-SARS-CoV-2-variants/

Article

조사/감시보고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19): 802-822

Published online May 16, 2024 https://doi.org/10.56786/PHWR.2024.17.19.2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전수감시 기간 사망자 분석 결과 (2020.1.20.–2023.8.30.)

최소영1,2, 류보영1,2, 정세진2, 장민정2, 안미숙2, 박신영1,2, 김성순1,2*

1질병관리청 위기대응분석관 위기대응연구담당관, 2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 정보분석팀

Received: March 13, 2024; Revised: April 1, 2024; Accepted: April 2, 2024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질병관리청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의 중증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2020년 코로나19 첫 환자 보고일부터 2023년 8월 30일까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사망자 전수신고체계를 운영하였다. 본 원고는 국내 코로나19 전수감시 기간(2020.1.20.–2023.8.30.) 동안 신고된 전체 사망자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사망자 특성은 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성 등을 포함하였고, 중증도는 치명률과 사망률을 분석하였으며, 모든 분석은 연도별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전체 전수감시 기간 동안 총 35,605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고, 사망자의 90.0% 이상이 고령층 및 기저질환자로 확인되었다. 치명률은 0.10%, 사망률은 10만 명당 69명이었으며 80세 이상 연령의 치명률은 1.75%로 전 연령 중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의 코로나19 치명률은 세계적으로 낮은 수준이며, 코로나19는 2023년 8월 31일 4급 감염병으로 전환되었다. 그렇지만 새로운 변이바이러스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코로나19 유행은 계속되고 있으므로 고령층 및 기저질환자와 같은 고위험군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고위험군은 코로나19 중증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적시의 예방접종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Keywords: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망자, 치명률, 사망률, 고위험군

서 론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질병관리청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첫 환자가 보고된 2020년 1월 20일부터 2023년 8월 30일까지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에 대한 전수감시체계를 운영하여 코로나19 중증도를 모니터링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중증도가 감소하여 공중보건위기상황은 종료하였으나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코로나19 전수감시 기간 동안 사망자는 35,605명, 치명률은 0.10%, 사망률은 10만 명당 69명이었다. 사망자의 대부분은 고령층과 기저질환자로 확인되었다. 또한, 코로나19 치명률은 80세 이상 연령이 1.75%로 가장 높았다.

③ 시사점은?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유행 시 중앙정부와 의료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활용하여 코로나19 전 기간 동안 사망자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코로나19 유행기간 발생한 전체 사망자의 특성을 분석하여 사망에 취약한 사람의 특성을 파악함으로 향후 정책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023년 8월 30일 기준, 국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19) 사망자는 35,605명으로 보고되었으며[1],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는 2024년 1월 7일 기준 전 세계적으로 약 625만 명이 코로나19로 사망하였다고 보고하였다[2].

질병관리청은 2020년 1월 20일 코로나19 첫 환자가 보고된 이후 중앙방역대책본부를 가동하여 범정부적으로 대응에 집중하였으며, 2023년 8월 30일 전수감시 종료까지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에 대한 전수조사를 시행해왔다[3].

코로나19는 발생 초기 질병의 중증도를 알 수 없는 신종 감염병으로 전수신고체계를 활용하여 코로나19 사망자를 실시간으로 인지하고 추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매주 사망자 수, 치명률 등의 정보를 생산하였다. 매주 산출된 중증도는 시시각각 변하는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최적의 전략 마련의 근거로 활용되었다.

본 원고에서는 코로나19 전수감시가 종료되어 전수감시 기간(2020.1.20.–2023.8.30.) 동안 발생한 국내 코로나19 사망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중증도를 분석하여 향후 코로나19 대응 정책 수립 대상의 우선순위와 범위를 결정하고, 필요한 보건의료자원을 준비하는 데 근거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 법

1. 대상

본 연구에서는 2020년 1월 20일부터 2023년 8월 30일까지 질병관리청의 코로나19 환자관리정보시스템에 신고된 확진자와 사망자 정보를 활용하였다[4].

코로나19 확진자는 임상 양상에 관계 없이 코로나19 유전자 검출 또는 바이러스 분리를 통해 감염이 확인된 사람, 코로나19 증상을 나타낸 사람으로서 신속항원검사(전문가용, 2022년 3월 14일 시행) 또는 응급용 선별검사를 통해 감염이 확인된 사람으로 정의하였다.

코로나19 사망자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질병관리청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신고되었다. 코로나19 사망자는 감염이 확인되어 격리 기간 중 사망 및 사망 후 코로나19 확인, 코로나19 감염 격리 해제된 이후의 사망자에 대해 의료진의 소견에 따라 신고되었다. 신고된 사망 사례 중 전문가 검토에 따라 타 질환으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외인사인 사례는 제외하였다.

2. 사망자 조사 및 집계

1) 신고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1조에 따라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가 질병관리청장 또는 관할 보건소장에게 구두, 전화 등의 방법으로 알린 후 정보시스템 또는 팩스를 이용하여 즉시 신고하도록 하였다(그림 1).

Figure 1. 사망 조사 및 집계

2) 사망자 조사

질병관리청 및 권역별 질병대응센터에서 신고된 사망자에 대해 역학조사서 등 기조사된 자료를 활용하고, 의료기관과 보건소를 통해 사망자의 사인, 기저질환, 예방접종력 등을 조사하였다(그림 1).

3) 사망자 잠정 집계

신고 및 조사가 완료된 사망자에 대하여 시∙도 담당부서와 확인 후 일별로 사망자 통계를 집계하고 보도자료 등을 통해 연령별, 시∙도별 사망자 수와 시∙군∙구별 사망률에 대한 현황을 발표하였다(그림 1).

4) 통계 확정

전수감시 종료 이후, 시∙도 삭제 요청 건, 집계 오류 건과 사망사례분류위원회의 사례 분류 결과 등을 최종 반영하여 코로나19 전수감시 기간 사망자 발생 통계를 확정하였다(그림 1).

3. 분석 방법

확진자와 사망자의 정보는 확진자 신고 정보와 사망자 신고 정보를 결합하여 구성하였다. 사망자 발생 규모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망 보도일을 기준으로 성별, 연령을 구분한 인구학적 특성 및 예방접종력, 기저질환을 포함한 임상적 특성을 연도별로 나누어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치명률은 해당 기간에 발생한 확진자 중 사망자의 비율(%), 사망률은 전년도 12월 기준 주민등록인구 중 사망자의 비율(인구 10만 명당)로 산출하였다. 연도별 표준화 치명률 산출 시 표준인구는 전체 확진자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연도별 표준화 사망률의 표준인구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의 평균 인구로 산출하였다. 지역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2022년 12월 시‧도별 주민등록인구 수를 분모로, 전 국민 인구 수를 표준인구로 산출하였다. 국가별 치명률은 세계보건기구 코로나19 대시보드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하였다[2]. 모든 분석은 Microsoft사의 Excel 2018과 Tableau (ver. 2021.4)를 사용하였다.

사망률(100,000명당)=사망자 수전년도 12월 인구×100,000

결 과

1. 일반적 특징

코로나19 전수감시 기간 동안 총 34,572,554명의 확진자 중 사망자는 35,605명 발생했으며, 이는 전체 확진자의 0.1%에 해당한다. 특히, 확진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2022년에는 사망자가 26,363명으로 나타나 전체 사망자 중 74.0%를 차지하였다(그림 2). 사망자의 평균 연령은 79.8세이며, 60세 이상 연령대가 전체 사망자의 93.9% (33,415명)를 차지했다. 성별에 따른 사망자 분포는 여성이 18,018명(50.6%), 남성이 17,587명(49.4%)으로 확인되었다(표 1).

Figure 2. 월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자 및 사망자 수(2020.1.20.–2023.8.30.)

연도별 사망자의 기본 특성(보도일 기준)
구분사망보도일
전 기간
(2020.1.20.-2023.8.31.)
2020
(2020.1.20.~)
202120222023
(~2023.8.31.)
합계35,605 (100.0)890 (100.0)4,621 (100.0)26,363 (100.0)3,731 (100.0)
성별
17,587 (49.4)445 (50.0)2,398 (51.9)12,768 (48.4)1,976 (53.0)
18,018 (50.6)445 (50.0)2,223 (48.1)13,595 (51.6)1,755 (47.0)
연령(세)
평균±표준편차79.8±12.179.5±10.177.6±12.280.1±12.280.0±11.7
0–938 (0.1)0 (0.0)3 (0.1)33 (0.1)2 (0.1)
10–1924 (0.1)0 (0.0)0 (0.0)19 (0.1)5 (0.1)
20–2973 (0.2)0 (0.0)10 (0.2)60 (0.2)3 (0.1)
30–39160 (0.4)2 (0.2)30 (0.6)110 (0.4)18 (0.5)
40–49473 (1.3)6 (0.7)67 (1.5)352 (1.3)48 (1.3)
50–591,422 (4.0)30 (3.4)241 (5.2)1,019 (3.9)132 (3.5)
60–694,008 (11.3)102 (11.5)731 (15.8)2,769 (10.5)406 (10.9)
70–798,062 (22.6)256 (28.7)1,231 (26.6)5,751 (21.8)824 (22.1)
≥8021,345 (60.0)494 (55.5)2,308 (50.0)16,250 (61.7)2,293 (61.4)
≥60a)33,415 (93.9)852 (95.7)4,270 (92.4)24,770 (94.0)3,523 (94.4)
신고 지역
수도권17,113 (48.1)459 (51.6)3,373 (73.0)11,802 (44.8)1,479 (39.6)
충청권3,795 (10.6)54 (6.1)368 (8.0)2,939 (11.1)434 (11.6)
호남권3,212 (9.0)22 (2.5)163 (3.5)2,562 (9.7)465 (12.5)
경북권4,227 (11.9)261 (29.3)261 (5.6)3,272 (12.4)433 (11.6)
경남권5,519 (15.5)79 (8.9)340 (7.4)4,451 (16.9)649 (17.4)
강원1,406 (3.9)13 (1.4)89 (1.9)1,111 (4.2)193 (5.2)
제주317 (0.9)0 (0.0)13 (0.3)226 (0.9)78 (2.1)
검역16 (0.0)2 (0.2)14 (0.3)0 (0.0)0 (0.0)

단위: 명(%). a)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충청권(대전, 세종, 충북, 충남), 호남권(광주, 전북, 전남), 경북권(대구, 경북), 경남권(부산, 울산, 경남), 강원권(강원), 제주권(제주), 검역..



전체 기간 사망자의 평균 연령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79.5세(표준편차 10.1세), 2021년 77.6세(표준편차 12.2세), 2022년 80.1세(표준편차 12.2세), 2023년 80.0세(표준편차 11.7세)로 모든 연도에서 70–80대 연령 범위에서 발생하였다. 전체 사망자 중 80세 이상 연령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2020년과 2021년에는 각 55.5%, 50.0%의 비중을 보였다. 2022년 이후로는 60.0% 이상으로 증가하여, 2022년에는 61.7%, 2023년에는 61.4%의 비중을 차지하였다. 19세 이하 연령대의 경우 2021년에 첫 사망자가 발생하여 총 62명의 사망자가 보고되었으며, 전체 사망자 중 0.2%를 차지하였다(표 1).

2. 임상적 특징

예방접종력에 대한 분석 결과, 전체 사망자 중 14,705명(41.3%)이 미접종자로 확인되었으며, 6,785명(19.1%)은 기본 접종을, 14,115명(39.6%)은 3차 이상의 접종을 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방접종을 시작한 2021년 미접종자의 비율은 63.9% (2,955명)로 가장 높았으며, 2022년 36.8% (9,692명), 2023년 31.3% (1,168명)로 나타났다(표 2).

연도별 사망자 임상적 특징(보도일 기준)
구분사망보도일
전 기간
(2020.1.20.-2023.8.31.)
2020
(2020.1.20.~)
202120222023
(~2023.8.31.)
합계35,605 (100.0)890 (100.0)4,621 (100.0)26,363 (100.0)3,731 (100.0)
확진-사망 소요일a)8.5±10.215.8±15.315.0±14.17.4±8.56.9±10.1
예방접종력
미접종14,705 (41.3)890 (100.0)2,955 (63.9)9,692 (36.8)1,168 (31.3)
기본접종6,785 (19.1)0 (0.0)1,545 (33.4)4,887 (18.5)353 (9.5)
3차 접종 이상14,115 (39.6)0 (0.0)121 (2.6)11,784 (44.7)2,210 (59.2)
기저질환
34,084 (95.7)861 (96.7)4,384 (94.9)25,302 (96.0)3,537 (94.8)
1,521 (4.3)29 (3.3)237 (5.1)1,061 (4.0)194 (5.2)
계통별 기저질환
순환기계19,048 (53.5)580 (65.2)2,853 (61.7)13,556 (51.4)2,059 (55.2)
신경계16,030 (45.0)417 (46.9)1,849 (40.0)12,387 (47.0)1,377 (36.9)
내분비계 및 대사성11,882 (33.4)402 (45.2)1,820 (39.4)8,327 (31.6)1,333 (35.7)
악성신생물5,057 (14.2)95 (10.7)621 (13.4)3,778 (14.3)563 (15.1)
비뇨생식기계4,918 (13.8)122 (13.7)669 (14.5)3,604 (13.7)523 (14.0)
호흡기계2,954 (8.3)99 (11.1)338 (7.3)2,187 (8.3)330 (8.8)
정신질환1,761 (4.9)69 (7.8)247 (5.3)1,289 (4.9)156 (4.2)
근골격계1,592 (4.5)43 (4.8)318 (6.9)977 (3.7)254 (6.8)
소화기계983 (2.8)22 (2.5)128 (2.8)698 (2.6)135 (3.6)
혈액 및 조혈계509 (1.4)10 (1.1)53 (1.1)382 (1.4)64 (1.7)
기타746 (2.1)4 (0.4)98 (2.1)543 (2.1)101 (2.7)
사망-사망집계 소요일a)11.9±38.71.6±3.62.3±4.513.5±39.114.5±57.4
≤322,441 (63.0)863 (97.0)4,254 (92.1)15,661 (59.4)1,663 (44.6)
4–78,549 (24.0)23 (2.6)250 (5.4)6,533 (24.8)1,743 (46.7)
8–141,551 (4.4)2 (0.2)66 (1.4)1,363 (5.2)120 (3.2)
≥153,064 (8.6)2 (0.2)51 (1.1)2,806 (10.6)205 (5.5)
사망 장소
급성기 의료기관25,096 (70.5)810 (91.0)3,974 (86.0)17,208 (65.3)3,104 (83.2)
요양병원8,501 (23.9)52 (5.8)442 (9.6)7,571 (28.7)436 (11.7)
요양원631 (1.8)8 (0.9)60 (1.3)529 (2.0)34 (0.9)
응급실90 (0.3)0 (0.0)0 (0.0)0 (0.0)90 (2.4)
자택46 (0.1)0 (0.0)0 (0.0)0 (0.0)46 (1.2)
기타1,241 (3.5)20 (2.2)145 (3.1)1,055 (4.0)21 (0.6)

단위: 명(%). a)평균±표준편차..



사망자 중 약 96.0%가 기저질환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통별로는 고혈압 등 순환기계 질환이 53.5%로 가장 높았으며, 치매 등 신경계 질환이 45.0%, 당뇨병 등 내분비계 및 대사성 질환이 33.4%로 나타났다. 반면, 19세 이하 연령의 경우 51.6%만이 기저질환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신경계 질환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2, 3).

연령별 사망자 임상적 특징
구분전체10대 미만10대20대30대40대50대60대70대80대 이상
합계35,605 (100.0)38 (100.0)24 (100.0)73 (100.0)160 (100.0)473 (100.0)1,422 (100.0)4,008 (100.0)8,062 (100.0)2,1345 (100.0)
확진-사망 소요일8.5±10.22.7±3.65.8±4.79.7±25.08.2±11.68.2±13.59.7±14.210.5±13.99.6±11.57.7±8.1
예방접종력
미접종14,705 (41.3)38 (100.0)16 (66.7)45 (61.6)97 (60.6)234 (49.5)657 (46.2)1,690 (42.2)3,264 (40.5)8,664 (40.6)
기본접종6,785 (19.1)0 (0.0)8 (33.3)14 (19.2)29 (18.1)120 (25.4)299 (21.0)921 (23.0)1,628 (20.2)3,766 (17.6)
3차 접종 이상14,115 (39.6)0 (0.0)0 (0.0)14 (19.2)34 (21.3)119 (25.2)466 (32.8)1,397 (34.9)3,170 (39.3)8,915 (41.8)
기저질환
34,084 (95.7)12 (31.6)20 (83.3)62 (84.9)127 (79.4)419 (88.6)1,306 (91.8)3,793 (94.6)7,771 (96.4)20,574 (96.4)
1,521 (4.3)26 (68.4)4 (16.7)11 (15.1)33 (20.6)54 (11.4)116 (8.2)215 (5.4)291 (3.6)771 (3.6)
계통별 기저질환
순환기계19,048 (53.5)1 (2.6)2 (8.3)9 (12.3)35 (21.9)116 (24.5)470 (33.1)1,676 (41.8)4,267 (52.9)12,472 (58.4)
신경계16,030 (45.0)6 (15.8)9 (37.5)20 (27.4)24 (15.0)85 (18.0)295 (20.7)1,106 (27.6)3,029 (37.6)11,456 (53.7)
내분비계 및 대사성11,882 (33.4)1 (2.6)2 (8.3)11 (15.1)36 (22.5)114 (24.1)439 (30.9)1,491 (37.2)3,284 (40.7)6,504 (30.5)
악성신생물5,057 (14.2)0 (0.0)1 (4.2)10 (13.7)29 (18.1)114 (24.1)357 (25.1)979 (24.4)1,552 (19.3)2,015 (9.4)
비뇨생식기계4,918 (13.8)1 (2.6)1 (4.2)2 (2.7)10 (6.3)54 (11.4)189 (13.3)643 (16.0)1,291 (16.0)2,727 (12.8)
호흡기계2,954 (8.3)0 (0.0)0 (0.0)2 (2.7)6 (3.8)14 (3.0)62 (4.4)266 (6.6)751 (9.3)1,853 (8.7)
정신질환1,761 (4.9)2 (5.3)2 (8.3)8 (11.0)17 (10.6)34 (7.2)113 (7.9)214 (5.3)357 (4.4)1,014 (4.8)
근골격계1,592 (4.5)0 (0.0)2 (8.3)7 (9.6)8 (5.0)15 (3.2)60 (4.2)166 (4.1)387 (4.8)947 (4.4)
소화기계983 (2.8)0 (0.0)2 (8.3)6 (8.2)10 (6.3)58 (12.3)104 (7.3)206 (5.1)232 (2.9)365 (1.7)
혈액 및 조혈계509 (1.4)1 (2.6)1 (4.2)0 (0.0)5 (3.1)5 (1.1)25 (1.8)40 (1.0)89 (1.1)343 (1.6)
기타746 (2.1)4 (10.5)6 (25.0)8 (11.0)9 (5.6)20 (4.2)32 (2.3)108 (2.7)191 (2.4)368 (1.7)

단위: 명(%)..



확진부터 사망까지의 소요 기간은 전체적으로 평균 8.5일이었으며(표준편차 10.2일), 연도별로는 2020년 15.8일(표준편차 15.3일), 2021년 15.0일(표준편차 14.1일), 2022년 7.4일(표준편차 8.5일), 그리고 2023년이 6.9일(표준편차 10.1일)로 나타났다(표 2). 특히, 연령별로는 10대 미만이 평균 2.7일로 가장 짧았으며, 60대가 10.5일로 가장 길었다(표 3).

3. 치명률 및 사망률

전체 기간 동안의 치명률은 0.10%로, 이는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38개국 중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이었다(그림 3).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2.16%, 2021년 0.91%, 2022년 0.09%, 2023년에는 0.06%로 유행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80세 이상 연령대에서는 1.75%로 가장 높은 치명률을 나타내었으며, 70대(0.40%), 60대(0.11%), 50대(0.03%) 순으로 확인되었다(표 4). 유행이 계속됨에 따라 전 연령대에서 치명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부산, 대구, 강원, 경북이 0.14%로 가장 높았으며, 세종이 0.02%로 가장 낮았다. 연령표준화를 적용한 경우에는 경북을 제외하고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그림 4).

Figure 3. OECD 국가별 치명률 현황
치명률: 사망자 수/확진자 수×100. OECD=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Figure 4. 시‧도별 치명률 현황
(A) 조치명률. (B) 연령표준화 치명률. 단위: 명. 치명률: 사망자 수/확진자 수×100 (표준인구: 전체 확진자)

연도별 치명률 및 사망률(확진일 기준)
구분전 기간
(2020.1.20.–2023.8.31.)
2020
(2020.1.20.~)
202120222023
(~2023.8.31.)
치명률(%)a)
연령별 합계0.102.160.910.090.06
0–9세<0.010.000.01<0.01<0.01
10–19세<0.010.000.00<0.01<0.01
20–29세<0.010.000.01<0.01<0.01
30–39세<0.010.050.04<0.01<0.01
40–49세0.010.080.090.010.01
50–59세0.030.380.330.030.02
60–69세0.111.681.070.090.05
70–79세0.407.764.220.360.16
≥80세1.7524.0614.251.720.73
표준화치명률0.101.580.950.100.05
사망률(10만 명당)b)
연령별 합계6929517
0–9세10<0.51<0.5
10–19세100<0.5<0.5
20–29세10<0.51<0.5
30–39세2<0.5<0.52<0.5
40–49세6<0.5141
50–59세17<0.53122
60–69세54311395
70–79세21173315522
≥80세94626115771102
표준화사망률6429507

a)치명률은 해당 기간에 확진된 환자의 경과를 지속 관찰하여 분석한 것으로 모니터링 기간을 고려하여, 2주 전 확진자(2023.8.12. 0시)까지 산출함. 치명률: 사망자 수/확진자 수×100(표준인구: 전체 확진자). b)사망률: 사망자 수/인구(전년도 12월)×100,000 (표준인구: 전체인구 평균)..



전체 기간 동안의 사망률은 10만 명당 69명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에는 2명, 2021년 9명, 2022년 51명, 2023년에는 7명으로 2022년까지 급증하다가 2023년 급감한 양상을 보였다(표 4). 지역별로는 강원이 10만 명당 92명으로 가장 높았고, 세종이 16명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령표준화를 적용한 경우에는 대구가 10만 명당 87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세종이 28명으로 가장 낮았다(표 5, 그림 5).

Figure 5. 시‧도별 사망률 현황
(A) 조사망률. (B) 연령표준화 사망률. 단위: 명. 사망률: 사망자 수/인구(2022년 12월)×100,000 (표준인구: 전체인구 평균)

시‧도별 사망자 현황
구분전체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검역a)
합계35,6056,5872,9112,0501,9418681,003543618,5851,4061,0931,6381,2611,0832,1772,06531716
성별
17,5873,5561,3941,038929395501243284,20966154179658856299598914715
18,0183,0311,5171,0121,012473502300334,3767455528426735211,1821,0761701
연령(세)
0–938552130119202122110
10–1924510321003011003400
20–297321933431010323304400
30–3916039121013271043844533411
40–4947310831374112147098177191913202640
50–591,4223319172100343725134357415744375480117
60–694,00891932724221281101625942144108181104105202243237
70–798,0621,750711530438190260124151,850282225297225243413445631
≥8021,3453,4091,7241,1541,130540580322395,2878937051,0748606801,4761,2582140

단위: 명. a)해외 입국 시 검역 단계에서 확진된 자..



4. 기타

사망자의 대부분(94.7%)이 의료기관(급성기 의료기관, 요양병원, 응급실)에서 사망하였으며, 요양원에서의 사망자는 0.3% (90명), 자택에서의 사망자는 0.1% (46명)로 나타났다. 연도별 대부분 유사한 경향을 보이나 요양병원 사망자는 2022년에 28.7%로 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자택 사망 자는 2023년에만 발생하였다(표 2).

논 의

본 원고는 국내 코로나19 첫 환자가 보고된 이후 전수감시 종료 시까지의 기간 동안 전체 사망자의 특성을 분석한 첫번째 원고이다. 분석 결과, 대다수의 코로나19 사망자가 60세 이상의 고령층이며 기저질환을 보유하고 있어 해당 군이 코로나19 사망에 있어 고위험군임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계통별로는 순환기계, 신경계, 내분비계 및 대사성 질환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한 공중보건위기상황은 종료되었으나[5],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는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으며[6], 지역사회에서는 코로나19의 유행이 지속되어 여전히 고위험군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분석 결과를 고려할 때 고령층과 기저질환자들은 적시의 백신접종 등을 통해 증증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19세 이하의 경우 기저질환 미보유자의 비율이 높았으며, 확진부터 사망까지 소요일이 6일 미만으로 다른 연령군에 비해 사망이 빠르게 진행되는 경향을 보였다. 19세 이하 소아의 경우 전체 사망자의 0.20%를 차지하여 비율은 낮지만, 다른 연령군과는 다른 특성이 나타나므로 인구 특성을 고려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코로나19 전수감시 기간 동안 전체 사망자의 특성을 분석하여 코로나19 감염과 관련된 사망자의 실제 규모 및 장기적인 추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신고된 사례는 체계적인 사망자 조사와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외인사 등 코로나19 사망과 관련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사례는 제외하여 코로나19와 관련성의 충실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다만 특정 목적의 대규모 스크리닝 검사 외 코로나19 확진 검사는 코로나19 증상을 기반으로 시행하여 무증상자의 경우 코로나19 감염이 확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코로나19 관련 사망이라도 확진 단계에서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 신고 및 조사 자료를 통해 사망 관련 요인으로 알려진 사회경제적 특징을 알 수 없어 이에 대한 분석이 불가하였다. 향후 이에 대한 정보를 보유한 자료와 현재 사망자 자료를 연계하여 사망자 특징에 대한 다각도 분석이 필요하며, 향후 코로나19 사망자의 임상적 특징에 따른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확진자의 예방접종 상태, 보유한 기저질환 등을 고려한 치명률 분석이 추가로 필요하겠다.

코로나19 사망자 분석 결과, 유행이 진행됨에 따라 치명률은 낮아짐에도 불구하고 고령 및 기저질환자에 대해서는 집중적인 보호 및 관리가 여전히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현재 코로나19가 4급 감염병으로 전환되었고, 향후 위기 단계가 하향되더라도 코로나19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령층과 기저질환자들에 대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Declarations

Funding Source: None.

Acknowledgments: We would like to thank regional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local governments, and healthcare facilities for investigation of COVID-19 deaths.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BYR, SYC, SSK. Data curation and resources: SYC, BYR, SYP, MJJ, SJJ, MSA. Formal analysis: SYC, BYR, SJJ. Investigation: SYC, MJJ, SJJ, MSA. Methodology: BYR, SYC, SSK. Project administration: BYR, SSK. Software: SYC, BYR, SJJ. Supervision: SSK. Validation: BYR, SSK. Visualization: SYC, BYR. Writing – original draft: SYC. Writing – review & editing: BYR, SSK.

Fig 1.

Figure 1.사망 조사 및 집계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 802-822https://doi.org/10.56786/PHWR.2024.17.19.2

Fig 2.

Figure 2.월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자 및 사망자 수(2020.1.20.–2023.8.30.)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 802-822https://doi.org/10.56786/PHWR.2024.17.19.2

Fig 3.

Figure 3.OECD 국가별 치명률 현황
치명률: 사망자 수/확진자 수×100. OECD=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 802-822https://doi.org/10.56786/PHWR.2024.17.19.2

Fig 4.

Figure 4.시‧도별 치명률 현황
(A) 조치명률. (B) 연령표준화 치명률. 단위: 명. 치명률: 사망자 수/확진자 수×100 (표준인구: 전체 확진자)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 802-822https://doi.org/10.56786/PHWR.2024.17.19.2

Fig 5.

Figure 5.시‧도별 사망률 현황
(A) 조사망률. (B) 연령표준화 사망률. 단위: 명. 사망률: 사망자 수/인구(2022년 12월)×100,000 (표준인구: 전체인구 평균)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 802-822https://doi.org/10.56786/PHWR.2024.17.19.2
연도별 사망자의 기본 특성(보도일 기준)
구분사망보도일
전 기간
(2020.1.20.-2023.8.31.)
2020
(2020.1.20.~)
202120222023
(~2023.8.31.)
합계35,605 (100.0)890 (100.0)4,621 (100.0)26,363 (100.0)3,731 (100.0)
성별
17,587 (49.4)445 (50.0)2,398 (51.9)12,768 (48.4)1,976 (53.0)
18,018 (50.6)445 (50.0)2,223 (48.1)13,595 (51.6)1,755 (47.0)
연령(세)
평균±표준편차79.8±12.179.5±10.177.6±12.280.1±12.280.0±11.7
0–938 (0.1)0 (0.0)3 (0.1)33 (0.1)2 (0.1)
10–1924 (0.1)0 (0.0)0 (0.0)19 (0.1)5 (0.1)
20–2973 (0.2)0 (0.0)10 (0.2)60 (0.2)3 (0.1)
30–39160 (0.4)2 (0.2)30 (0.6)110 (0.4)18 (0.5)
40–49473 (1.3)6 (0.7)67 (1.5)352 (1.3)48 (1.3)
50–591,422 (4.0)30 (3.4)241 (5.2)1,019 (3.9)132 (3.5)
60–694,008 (11.3)102 (11.5)731 (15.8)2,769 (10.5)406 (10.9)
70–798,062 (22.6)256 (28.7)1,231 (26.6)5,751 (21.8)824 (22.1)
≥8021,345 (60.0)494 (55.5)2,308 (50.0)16,250 (61.7)2,293 (61.4)
≥60a)33,415 (93.9)852 (95.7)4,270 (92.4)24,770 (94.0)3,523 (94.4)
신고 지역
수도권17,113 (48.1)459 (51.6)3,373 (73.0)11,802 (44.8)1,479 (39.6)
충청권3,795 (10.6)54 (6.1)368 (8.0)2,939 (11.1)434 (11.6)
호남권3,212 (9.0)22 (2.5)163 (3.5)2,562 (9.7)465 (12.5)
경북권4,227 (11.9)261 (29.3)261 (5.6)3,272 (12.4)433 (11.6)
경남권5,519 (15.5)79 (8.9)340 (7.4)4,451 (16.9)649 (17.4)
강원1,406 (3.9)13 (1.4)89 (1.9)1,111 (4.2)193 (5.2)
제주317 (0.9)0 (0.0)13 (0.3)226 (0.9)78 (2.1)
검역16 (0.0)2 (0.2)14 (0.3)0 (0.0)0 (0.0)

단위: 명(%). a)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충청권(대전, 세종, 충북, 충남), 호남권(광주, 전북, 전남), 경북권(대구, 경북), 경남권(부산, 울산, 경남), 강원권(강원), 제주권(제주), 검역..


연도별 사망자 임상적 특징(보도일 기준)
구분사망보도일
전 기간
(2020.1.20.-2023.8.31.)
2020
(2020.1.20.~)
202120222023
(~2023.8.31.)
합계35,605 (100.0)890 (100.0)4,621 (100.0)26,363 (100.0)3,731 (100.0)
확진-사망 소요일a)8.5±10.215.8±15.315.0±14.17.4±8.56.9±10.1
예방접종력
미접종14,705 (41.3)890 (100.0)2,955 (63.9)9,692 (36.8)1,168 (31.3)
기본접종6,785 (19.1)0 (0.0)1,545 (33.4)4,887 (18.5)353 (9.5)
3차 접종 이상14,115 (39.6)0 (0.0)121 (2.6)11,784 (44.7)2,210 (59.2)
기저질환
34,084 (95.7)861 (96.7)4,384 (94.9)25,302 (96.0)3,537 (94.8)
1,521 (4.3)29 (3.3)237 (5.1)1,061 (4.0)194 (5.2)
계통별 기저질환
순환기계19,048 (53.5)580 (65.2)2,853 (61.7)13,556 (51.4)2,059 (55.2)
신경계16,030 (45.0)417 (46.9)1,849 (40.0)12,387 (47.0)1,377 (36.9)
내분비계 및 대사성11,882 (33.4)402 (45.2)1,820 (39.4)8,327 (31.6)1,333 (35.7)
악성신생물5,057 (14.2)95 (10.7)621 (13.4)3,778 (14.3)563 (15.1)
비뇨생식기계4,918 (13.8)122 (13.7)669 (14.5)3,604 (13.7)523 (14.0)
호흡기계2,954 (8.3)99 (11.1)338 (7.3)2,187 (8.3)330 (8.8)
정신질환1,761 (4.9)69 (7.8)247 (5.3)1,289 (4.9)156 (4.2)
근골격계1,592 (4.5)43 (4.8)318 (6.9)977 (3.7)254 (6.8)
소화기계983 (2.8)22 (2.5)128 (2.8)698 (2.6)135 (3.6)
혈액 및 조혈계509 (1.4)10 (1.1)53 (1.1)382 (1.4)64 (1.7)
기타746 (2.1)4 (0.4)98 (2.1)543 (2.1)101 (2.7)
사망-사망집계 소요일a)11.9±38.71.6±3.62.3±4.513.5±39.114.5±57.4
≤322,441 (63.0)863 (97.0)4,254 (92.1)15,661 (59.4)1,663 (44.6)
4–78,549 (24.0)23 (2.6)250 (5.4)6,533 (24.8)1,743 (46.7)
8–141,551 (4.4)2 (0.2)66 (1.4)1,363 (5.2)120 (3.2)
≥153,064 (8.6)2 (0.2)51 (1.1)2,806 (10.6)205 (5.5)
사망 장소
급성기 의료기관25,096 (70.5)810 (91.0)3,974 (86.0)17,208 (65.3)3,104 (83.2)
요양병원8,501 (23.9)52 (5.8)442 (9.6)7,571 (28.7)436 (11.7)
요양원631 (1.8)8 (0.9)60 (1.3)529 (2.0)34 (0.9)
응급실90 (0.3)0 (0.0)0 (0.0)0 (0.0)90 (2.4)
자택46 (0.1)0 (0.0)0 (0.0)0 (0.0)46 (1.2)
기타1,241 (3.5)20 (2.2)145 (3.1)1,055 (4.0)21 (0.6)

단위: 명(%). a)평균±표준편차..


연령별 사망자 임상적 특징
구분전체10대 미만10대20대30대40대50대60대70대80대 이상
합계35,605 (100.0)38 (100.0)24 (100.0)73 (100.0)160 (100.0)473 (100.0)1,422 (100.0)4,008 (100.0)8,062 (100.0)2,1345 (100.0)
확진-사망 소요일8.5±10.22.7±3.65.8±4.79.7±25.08.2±11.68.2±13.59.7±14.210.5±13.99.6±11.57.7±8.1
예방접종력
미접종14,705 (41.3)38 (100.0)16 (66.7)45 (61.6)97 (60.6)234 (49.5)657 (46.2)1,690 (42.2)3,264 (40.5)8,664 (40.6)
기본접종6,785 (19.1)0 (0.0)8 (33.3)14 (19.2)29 (18.1)120 (25.4)299 (21.0)921 (23.0)1,628 (20.2)3,766 (17.6)
3차 접종 이상14,115 (39.6)0 (0.0)0 (0.0)14 (19.2)34 (21.3)119 (25.2)466 (32.8)1,397 (34.9)3,170 (39.3)8,915 (41.8)
기저질환
34,084 (95.7)12 (31.6)20 (83.3)62 (84.9)127 (79.4)419 (88.6)1,306 (91.8)3,793 (94.6)7,771 (96.4)20,574 (96.4)
1,521 (4.3)26 (68.4)4 (16.7)11 (15.1)33 (20.6)54 (11.4)116 (8.2)215 (5.4)291 (3.6)771 (3.6)
계통별 기저질환
순환기계19,048 (53.5)1 (2.6)2 (8.3)9 (12.3)35 (21.9)116 (24.5)470 (33.1)1,676 (41.8)4,267 (52.9)12,472 (58.4)
신경계16,030 (45.0)6 (15.8)9 (37.5)20 (27.4)24 (15.0)85 (18.0)295 (20.7)1,106 (27.6)3,029 (37.6)11,456 (53.7)
내분비계 및 대사성11,882 (33.4)1 (2.6)2 (8.3)11 (15.1)36 (22.5)114 (24.1)439 (30.9)1,491 (37.2)3,284 (40.7)6,504 (30.5)
악성신생물5,057 (14.2)0 (0.0)1 (4.2)10 (13.7)29 (18.1)114 (24.1)357 (25.1)979 (24.4)1,552 (19.3)2,015 (9.4)
비뇨생식기계4,918 (13.8)1 (2.6)1 (4.2)2 (2.7)10 (6.3)54 (11.4)189 (13.3)643 (16.0)1,291 (16.0)2,727 (12.8)
호흡기계2,954 (8.3)0 (0.0)0 (0.0)2 (2.7)6 (3.8)14 (3.0)62 (4.4)266 (6.6)751 (9.3)1,853 (8.7)
정신질환1,761 (4.9)2 (5.3)2 (8.3)8 (11.0)17 (10.6)34 (7.2)113 (7.9)214 (5.3)357 (4.4)1,014 (4.8)
근골격계1,592 (4.5)0 (0.0)2 (8.3)7 (9.6)8 (5.0)15 (3.2)60 (4.2)166 (4.1)387 (4.8)947 (4.4)
소화기계983 (2.8)0 (0.0)2 (8.3)6 (8.2)10 (6.3)58 (12.3)104 (7.3)206 (5.1)232 (2.9)365 (1.7)
혈액 및 조혈계509 (1.4)1 (2.6)1 (4.2)0 (0.0)5 (3.1)5 (1.1)25 (1.8)40 (1.0)89 (1.1)343 (1.6)
기타746 (2.1)4 (10.5)6 (25.0)8 (11.0)9 (5.6)20 (4.2)32 (2.3)108 (2.7)191 (2.4)368 (1.7)

단위: 명(%)..


연도별 치명률 및 사망률(확진일 기준)
구분전 기간
(2020.1.20.–2023.8.31.)
2020
(2020.1.20.~)
202120222023
(~2023.8.31.)
치명률(%)a)
연령별 합계0.102.160.910.090.06
0–9세<0.010.000.01<0.01<0.01
10–19세<0.010.000.00<0.01<0.01
20–29세<0.010.000.01<0.01<0.01
30–39세<0.010.050.04<0.01<0.01
40–49세0.010.080.090.010.01
50–59세0.030.380.330.030.02
60–69세0.111.681.070.090.05
70–79세0.407.764.220.360.16
≥80세1.7524.0614.251.720.73
표준화치명률0.101.580.950.100.05
사망률(10만 명당)b)
연령별 합계6929517
0–9세10<0.51<0.5
10–19세100<0.5<0.5
20–29세10<0.51<0.5
30–39세2<0.5<0.52<0.5
40–49세6<0.5141
50–59세17<0.53122
60–69세54311395
70–79세21173315522
≥80세94626115771102
표준화사망률6429507

a)치명률은 해당 기간에 확진된 환자의 경과를 지속 관찰하여 분석한 것으로 모니터링 기간을 고려하여, 2주 전 확진자(2023.8.12. 0시)까지 산출함. 치명률: 사망자 수/확진자 수×100(표준인구: 전체 확진자). b)사망률: 사망자 수/인구(전년도 12월)×100,000 (표준인구: 전체인구 평균)..


시‧도별 사망자 현황
구분전체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검역a)
합계35,6056,5872,9112,0501,9418681,003543618,5851,4061,0931,6381,2611,0832,1772,06531716
성별
17,5873,5561,3941,038929395501243284,20966154179658856299598914715
18,0183,0311,5171,0121,012473502300334,3767455528426735211,1821,0761701
연령(세)
0–938552130119202122110
10–1924510321003011003400
20–297321933431010323304400
30–3916039121013271043844533411
40–4947310831374112147098177191913202640
50–591,4223319172100343725134357415744375480117
60–694,00891932724221281101625942144108181104105202243237
70–798,0621,750711530438190260124151,850282225297225243413445631
≥8021,3453,4091,7241,1541,130540580322395,2878937051,0748606801,4761,2582140

단위: 명. a)해외 입국 시 검역 단계에서 확진된 자..


References

  1.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COVID-19 Dashboard [Internet]. KDCA; 2023 [cited 2024 Mar 1]. Available from: https://ncov.kdca.go.kr/pot/cv/trend/dmstc/selectMntrgSttus.do
  2.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OVID-19 Dashboard [Internet]. WHO; 2024 [cited 2024 Mar 1]. Available from: https://data.who.int/dashboards/covid19/data?n=c
  3. Ha J, Choi M, Yu D, Park N. Status of infectious diseases reporting in 2022. Public Health Wkly Rep 2023;16:1275-85.
  4.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3 case definitions for national notifiable infectious diseases.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3.
    CrossRef
  5. World Health Organization. Statement on the Fifteenth Meeting of the IHR (2005) Emergency Committee on the COVID-19 Pandemic [Internet]. WHO; 2023 [cited 2024 Mar 1].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news/item/05-05-2023-statement-on-the-fifteenth-meeting-of-the-international-health-regulations-(2005)-emergency-committee-regarding-the-coronavirus-disease-(covid-19)-pandemic
  6. World Health Organization. Tracking SARS-CoV-2 Variants [Internet]. WHO; 2024 [cited 2024 Mar 1].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activities/tracking-SARS-CoV-2-variants/
PHWR
Oct 31, 2024 Vol.17 No.42
pp. 1767~1813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