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보고

Split Viewer
ENG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4): 96-108

Published online February 2,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4.2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코로나19 감염취약시설 대응 매뉴얼에 따른 전담대응기구 활동 현황

정지안1, 이상은1, 송영준1, 유미1, 김혜진1, 이연경2, 구현숙2, 이승재2, 조수현2, 최새롬2, 박영준1*

1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 2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감염관리팀

*Corresponding author: 박영준, Tel: +82-43-719-7950, E-mail: pahmun@korea.kr

Received: December 7, 2022; Revised: December 29, 2022; Accepted: January 3, 2022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022년 감염취약시설에서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집단발생 사례가 지속되어 코로나19 재유행 대비를 위하여 코로나19 대응 관련 「감염취약시설 예방‧감시‧조사 표준 매뉴얼」 초판(2022.5.19.) 제정 및 제2판(2022.7.18.)을 개정하였다. 코로나19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을 위하여 지자체 주도의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자 지자체-질병관리청 간 회의를 시행하였다. 2022년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제1차 지자체 감염취약시설 대응현황 점검회의’가 총 6회 시행되었고, 2022년 7월 28일부터 9월 29일까지 ‘제2차 지자체 감염취약시설 대응현황 점검회의’를 총 10회 실시하면서 환자 발생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조치 사항을 공유하였다. 감염취약시설 감염병 전담대응기구는 2022년 6월에 구성되었고, 시‧군‧구 보건소 합동전담대응팀은 총 608팀(2,712명), 시‧도 전담대응지원팀은 총 57팀(266명), 시‧도 감염예방관리지원기구는 총 27팀(78명)으로 운영되고 있으며(2022년 9월 기준), 사전 점검, 예방교육, 집단발생 현장 대응, 기동전담반 운영 사례 검토 등을 실시하였다. 이 회의를 통해 보건소 및 시설 간 연락체계 구축하였고, 질병관리청과 시‧도 및 시‧군‧구 간 현황 정보 공유 체계 마련, 확진자 조사서 및 집단발생 모니터링 관련 감염취약시설 분류의 세분화(8종) 등의 개선을 추진하였다. 시‧도 및 시‧군‧구의 감염병 전담대응기구의 조치는 코로나19 대응뿐만이 아닌 다른 감염병 대응에 확대 적용이 가능하다.

Keywords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 전담대응기구

2022년 1월 오미크론형 변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국내 확산 이후 7월 초 코로나19 집단발생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1,2]. 이에 코로나19 재유행 대비를 위한 지침의 제‧개정 및 지자체의 주도적인 감염병 전담대응기구 운영이 필요하였다[3,4]. 이후 8월 중 코로나19 집단발생은 점차 감소하였다. 집단발생은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으로 신고된 확진자 중 지자체에서 신고한 집단 사례 현황으로 작성되었으며,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변동 가능한 수치이다. 해당 자료원의 수집을 위한 감시 방법은 동일한 감염취약시설 내에서 코로나19로 역학적 연관성(시간적, 공간적, 인적 특성 외 공동 노출력 등)을 갖는 환자가 동일 시점에 2인 이상 발생 또는 역학적 연관성을 알기 어려우나, 동일 시점에 동일한 임상증상과 일관된 경과를 가진 환자가 다수(2인 이상) 발생한 경우, 시‧도에서 초기 자료를 작성하여 권역별 질병대응센터로 보고한다. 권역별 질병대응센터에서는 시‧도가 보고한 자료를 검토 후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으로 보고하며, 이후 역학조사팀에서 최종 검토를 거쳐서 자료가 구성된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재유행을 고려하여 감염취약시설 전담대응기구를 구성하도록 지자체에 요청하였고, 이후 지자체 감염취약시설 대응현황 점검회의를 운영하여 감염취약시설의 코로나19 발생 현황 및 후속 조치사항을 파악하였다.

1. 제1차 지자체 감염취약시설 대응현황 점검회의

2022년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매주 1회씩 총 6회 운영하였고, zoom (Zoom Video Communication, Inc)을 활용한 비대면 방식으로 운영하였다. 회의 참여 부서는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 17개 시‧도 및 5개 권역별 질병대응센터였다. 국내 시‧도별 감염취약시설 현황, 감염병 전담대응기구 구축 완료 사항, 감염취약시설의 최근 4주간 코로나19 발생 현황, 감염취약시설별 집단발생 관련 주요 조치사항에 대하여 지자체별로 발표 및 공유하였다.

2. 제2차 지자체 감염취약시설 대응현황 점검회의

코로나19 제6차 유행에 따라서 점검회의를 재개하였고, 2022년 7월 28일부터 9월 29일까지 매주 1회씩 총 10회 운영하였다. 회의 참여 부서는 중앙사고수습본부 감염취약시설반, 중앙방역대책본부 3개 팀(역학조사팀, 감염관리팀, 환자관리팀), 17개 시‧도 및 5개 권역별 질병대응센터, 17개 시‧도 감염병관리지원단이었고, 지자체별로 감염취약시설 발생 현황 및 주요 조치사항을 발표 및 공유하였다(그림 1).

Figure. 1.지자체 감염취약시설 대응현황 점검회의 체계도

1. 감염취약시설 예방‧감시‧조사 표준 매뉴얼 마련

코로나19 관련 감염취약시설에서의 집단감염 사례가 지속 발생 중이었고, 가을철 유행을 대비하기 위하여 2022년 5월 19일 「감염취약시설 예방‧감시‧조사 표준 매뉴얼」을 제정 및 안내하였다[3]. 이후 2022년 7월 중 코로나19 집단발생 모니터링을 통하여 집단발생의 증가 양상을 파악하였기에 2022년 7월 18일 감염취약시설 관리대상 상세화 및 동일집단관리(코호트) 확진자 전원 관련 사항 등 해당 지침을 개정 및 안내하였다[4].

2. 감염취약시설 감염병 전담대응기구 구축 및 운영

감염취약시설 감염병 전담대응기구는 2022년 6월에 구성되었고, 시‧군‧구 보건소 합동전담대응팀은 총 608팀(2,712명), 시‧도 전담대응지원팀은 총 57팀(266명), 시‧도 감염예방관리지원기구는 총 27팀(78명)으로 운영되고 있으며(2022년 9월 기준), 사전 점검, 예방교육, 집단발생 현장 대응, 기동전담반 운영 등을 수행하고 있다(표 1).

시‧도별 감염취약시설 전담대응기구 현황
시‧군‧구보건소합동전담대응팀시‧도전담대응지원팀시‧도감염예방관리지원기구
인원인원인원
전체6082,712572662778
지역
서울a)76303515--
부산4617042024
대구2616441924
인천3610541312
광주2063524317
대전5381618
울산255251024
세종4821124
경기4742251514
강원351042812
충북2416111926
충남2612121424
전북229642016
전남6423421235
경북a)106378520--
경남4022831936
제주66532112

a)서울, 경북: 시‧도 전담대응지원팀이 시‧도 감염예방관리지원기구 역할을 병행.



3.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 공유 및 개선사항

국내 코로나19 BA.2.75 변이 바이러스의 역학적 특성 분석 결과를 공유하였고, 새로운 변이 발생 시 개별 사례 조사‧대응을 시행하도록 협조를 요청하였다. 또한, 지자체에서 감염 취약시설의 확진자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 기준 확진자 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등록 현황을 공유하였다.

본 회의를 통하여 구성된 보건소-시설 간 연락체계, 중앙-시‧도-시‧군‧구 간 현황 정보 공유 체계가 마련되어 적시에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으며, 코로나19 확진자 조사서 및 집단발생 모니터링과 관련된 감염취약시설 분류가 담당부서 간 협의를 통하여 총 8종 요양병원, 요양시설(공동생활가정 포함), 주야간보호센터(단기 보호 포함), 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 정신재활시설, 장애인복지시설, 기타로 재분류되었고, 이는 지자체별 확진자 발생 시 감염취약시설의 확인 및 대응이 용이하도록 정립되었다. 코로나19 확진자 조사서 정보에 감염취약시설의 유형 및 구성원 구분이 추가되었으며, 시‧군‧구에서는 시‧도로 보고하고, 시‧도에서 질병관리청으로 보고하여 정보가 수집되고 있다. 집단발생 모니터링의 정보는 시설 유형이 감염취약시설 분류가 8종으로 수정되었으며, 시‧도에서 권역별 질병대응센터, 권역별 질병대응센터에서 질병관리청으로 보고 및 수집되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감염관리팀에서는 전국 요양‧정신병원 총 1,708개소 대상으로 코로나19 주요지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요양병원 감염병 관리시스템을 활용하여 코로나19 확진자수, 먹는 치료제 투약률, 4차 접종률, 치명률, 감염병 전담병원 전원자수를 분석 및 공유하고 있다.

4. BA.5 유행 시기 감염취약시설 집단발생 특성 분석 대응 전략 제시

국내 코로나19 BA.5 유행 시기인 6월 중순 이후 집단발생 감염취약시설인 요양병원 4개소, 정신의료기관 4개소, 장기요양기관 6개소, 장애인복지시설 4개소의 입소자 및 종사자 대상으로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발병률 및 중증도, 예방접종력 및 과거감염력에 따른 발병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 BA.5 유행 시기 요양병원 4차 접종군에서만 감염 예방 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BA.5 유행 시기에는 과거 감염력이 코로나19 발생 예방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으며, 이에 따라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감시 및 대응 기준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밀접한 공동생활을 하는 집단에서 예방접종만으로 추가 전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감염관리 이외에 유입을 통한 감염기회 감소 방안 마련, 조기 발견, 확진자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국내 코로나19 집단발생 모니터링 중 2022년 7월부터 증가 양상을 파악하였고, 재유행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였다(그림 2) [1,2]. 이에 따라 「감염취약시설 예방‧감시‧조사 표준 매뉴얼」을 제‧개정하였다.

Figure. 2.국내 2022년 주별 코로나19 집단발생 현황(2022년 9월 24일 0시 기준)

해외 감염병 대응 사항을 살펴보면, 학교, 직장 등 전반적인 환경에서의 마스크 착용, 환기, 사회적 거리두기의 예방 전략을 우선적으로 안내하고 있다[5]. 감염취약시설에 속하는 장기요양시설에 대하여 감염 예방 및 방지 프로그램(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을 통해서 모든 직원에 대한 손씻기, 위생수칙, 정확한 마스크 착용, 안전한 착탈의 등의 교육을 실시하거나 고위험 집단에 장기요양시설 입소자를 명시하여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다[6-8]. 또한, 정신의료기관에서의 코로나19 전파에 대한 사항을 조사 및 보고한 연구가 있었고, 장애인에 대한 코로나19 대비,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안내하고 있다[9,10]. 이와 같이 국내의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감염병 예방 및 관리는 국외에서 진행하는 전략과 유사한 방향으로 시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감염병 대응을 위하여 지자체별 감염취약시설 전담대응기구가 2022년 6월에 구성되었고, 2022년 9월 기준으로 시‧군‧구 보건소 합동전담대응팀 총 608팀, 2,712명, 시‧도 전담대응지원팀 총 57팀, 266명, 시‧도 감염예방관리지원기구를 총 27팀, 78명으로 운영되고 있다. 각 대응팀은 일일 모니터링, 집단발생 시설 현장 대응 및 감염 예방관리 컨설팅, 기동전담반 운영, 사전 현장 점검 등의 대응을 지속하고 있다. 해외에서도 코로나19 유행의 예방 및 관리에 대한 감염병 감시 및 역학조사를 포함한 공중보건학적 대응을 수행하고 있다[5]. 국내에서도 해외와 유사한 방법으로 감염병 대응을 하고 있으나, 감염취약시설을 요양, 정신, 장애 분야로 구분하여 통합 모니터링 및 대응하는 것이 해외와의 차이였다.

「감염취약시설 예방‧감시‧조사 표준 매뉴얼」 초판 제정 당시, 감염취약시설은 요양병원‧장기요양기관, 정신건강증진시설, 장애인복지시설 3종으로 분류하여 감염병 집단발생 모니터링 및 대응을 실시하고 있었다. 감염취약시설 세분화 필요성 인지 후 담당부서 간 협의를 통하여 2022년 8월 5일부터 요양병원, 요양시설(공동생활가정 포함), 주야간보호센터(단기 보호 포함), 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 정신재활시설, 장애인복지시설, 기타 총 8종으로 재분류하였다[11]. 해외에서도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감염병 대응 및 관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6-10].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기획 역학조사를 통하여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 및 검토가 필요하다.

감염취약시설에서의 코로나19 발생에 대한 중앙부처 및 지자체 대응은 향후 재유행뿐만 아니라 다양한 감염병 대응에 확대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ank the members of the COVID-19 Response Department, Regional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Support Group, Central Disaster Management Headquarters, and Vulnerable Facility Team in each city and province who participated in the meeting while busy responding to COVID-19.

Conceptualization: YJP. Data curation: YJS, MY, HJK, JJ. Formal analysis: YJS, JJ. Investigation: YJS. Methodology: SEL, YJS, JJ. Project administration: SEL. Resources: YKL, HK, SJL, SC, SRC. Supervision: YJP. Validation: SEL, YJS. Visualization: YJS. Writing – original draft: YJS, JJ. Writing – review & editing: YJP.

  1.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 2022 [Press Release (July 12 2022)].
    Available from: https://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0100&cg_code=&act=view&nPage=1.
  2.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 2022 [Press Release (July 19 2022)].
    Available from: https://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0171&cg_code=&act=view&nPage=1.
  3.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Standard manual for prevention, surveillance, and investigation of infection vulnerable facilities related to COVID-19 respons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
  4.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Standard manual for prevention, surveillance, and investigation of infection vulnerable facilities related to COVID-19 response. 2nd ed.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
  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public health science agenda for COVID-19 [Internet].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2 [cited 2022 Oct 5].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coronavirus/2019-ncov/science/science-agenda-covid19.html.
  6. World Health Organization.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guidance for long-term care facilities in the context of COVID-19: interim guidance, 8 January 202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7.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High-risk groups for COVID-19 [Internet].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2022 [cited 2022 Oct 5].
    Available from: https://www.ecdc.europa.eu/en/covid-19/high-risk-groups.
  8.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Surveillance of COVID-19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the EU/EEA [Internet].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2021 [cited 2022 Oct 5].
    Available from: https://www.ecdc.europa.eu/en/publications-data/surveillance-COVID-19-long-term-care-facilities-EU-EEA.
  9. Callaghan AW, Chard AN, Arnold P, et al. Screening for SARS-CoV-2 infection within a psychiatric hospital and considerations for limiting transmission within residential psychiatric facilities - Wyoming, 2020. MMWR Morb Mortal Wkly Rep 2020;69:825-9.
    Pubmed KoreaMed CrossRef
  1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People with disabilities [Internet].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2 [cited 2022 Oct 5].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ncbddd/humandevelopment/covid-19/people-with-disabilities.html.
  11.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 2022 [Press Release (August 9 2022)].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0383&cg_code=&act=view&nPage=1.

Article

정책보고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4): 96-108

Published online February 2,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4.2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코로나19 감염취약시설 대응 매뉴얼에 따른 전담대응기구 활동 현황

정지안1, 이상은1, 송영준1, 유미1, 김혜진1, 이연경2, 구현숙2, 이승재2, 조수현2, 최새롬2, 박영준1*

1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 2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감염관리팀

Received: December 7, 2022; Revised: December 29, 2022; Accepted: January 3, 2022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2022년 감염취약시설에서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집단발생 사례가 지속되어 코로나19 재유행 대비를 위하여 코로나19 대응 관련 「감염취약시설 예방‧감시‧조사 표준 매뉴얼」 초판(2022.5.19.) 제정 및 제2판(2022.7.18.)을 개정하였다. 코로나19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을 위하여 지자체 주도의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자 지자체-질병관리청 간 회의를 시행하였다. 2022년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제1차 지자체 감염취약시설 대응현황 점검회의’가 총 6회 시행되었고, 2022년 7월 28일부터 9월 29일까지 ‘제2차 지자체 감염취약시설 대응현황 점검회의’를 총 10회 실시하면서 환자 발생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조치 사항을 공유하였다. 감염취약시설 감염병 전담대응기구는 2022년 6월에 구성되었고, 시‧군‧구 보건소 합동전담대응팀은 총 608팀(2,712명), 시‧도 전담대응지원팀은 총 57팀(266명), 시‧도 감염예방관리지원기구는 총 27팀(78명)으로 운영되고 있으며(2022년 9월 기준), 사전 점검, 예방교육, 집단발생 현장 대응, 기동전담반 운영 사례 검토 등을 실시하였다. 이 회의를 통해 보건소 및 시설 간 연락체계 구축하였고, 질병관리청과 시‧도 및 시‧군‧구 간 현황 정보 공유 체계 마련, 확진자 조사서 및 집단발생 모니터링 관련 감염취약시설 분류의 세분화(8종) 등의 개선을 추진하였다. 시‧도 및 시‧군‧구의 감염병 전담대응기구의 조치는 코로나19 대응뿐만이 아닌 다른 감염병 대응에 확대 적용이 가능하다.

Keywords: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 전담대응기구

배 경

2022년 1월 오미크론형 변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국내 확산 이후 7월 초 코로나19 집단발생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1,2]. 이에 코로나19 재유행 대비를 위한 지침의 제‧개정 및 지자체의 주도적인 감염병 전담대응기구 운영이 필요하였다[3,4]. 이후 8월 중 코로나19 집단발생은 점차 감소하였다. 집단발생은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으로 신고된 확진자 중 지자체에서 신고한 집단 사례 현황으로 작성되었으며,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변동 가능한 수치이다. 해당 자료원의 수집을 위한 감시 방법은 동일한 감염취약시설 내에서 코로나19로 역학적 연관성(시간적, 공간적, 인적 특성 외 공동 노출력 등)을 갖는 환자가 동일 시점에 2인 이상 발생 또는 역학적 연관성을 알기 어려우나, 동일 시점에 동일한 임상증상과 일관된 경과를 가진 환자가 다수(2인 이상) 발생한 경우, 시‧도에서 초기 자료를 작성하여 권역별 질병대응센터로 보고한다. 권역별 질병대응센터에서는 시‧도가 보고한 자료를 검토 후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으로 보고하며, 이후 역학조사팀에서 최종 검토를 거쳐서 자료가 구성된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재유행을 고려하여 감염취약시설 전담대응기구를 구성하도록 지자체에 요청하였고, 이후 지자체 감염취약시설 대응현황 점검회의를 운영하여 감염취약시설의 코로나19 발생 현황 및 후속 조치사항을 파악하였다.

1. 제1차 지자체 감염취약시설 대응현황 점검회의

2022년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매주 1회씩 총 6회 운영하였고, zoom (Zoom Video Communication, Inc)을 활용한 비대면 방식으로 운영하였다. 회의 참여 부서는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 17개 시‧도 및 5개 권역별 질병대응센터였다. 국내 시‧도별 감염취약시설 현황, 감염병 전담대응기구 구축 완료 사항, 감염취약시설의 최근 4주간 코로나19 발생 현황, 감염취약시설별 집단발생 관련 주요 조치사항에 대하여 지자체별로 발표 및 공유하였다.

2. 제2차 지자체 감염취약시설 대응현황 점검회의

코로나19 제6차 유행에 따라서 점검회의를 재개하였고, 2022년 7월 28일부터 9월 29일까지 매주 1회씩 총 10회 운영하였다. 회의 참여 부서는 중앙사고수습본부 감염취약시설반, 중앙방역대책본부 3개 팀(역학조사팀, 감염관리팀, 환자관리팀), 17개 시‧도 및 5개 권역별 질병대응센터, 17개 시‧도 감염병관리지원단이었고, 지자체별로 감염취약시설 발생 현황 및 주요 조치사항을 발표 및 공유하였다(그림 1).

Figure 1. 지자체 감염취약시설 대응현황 점검회의 체계도

정책/권고

1. 감염취약시설 예방‧감시‧조사 표준 매뉴얼 마련

코로나19 관련 감염취약시설에서의 집단감염 사례가 지속 발생 중이었고, 가을철 유행을 대비하기 위하여 2022년 5월 19일 「감염취약시설 예방‧감시‧조사 표준 매뉴얼」을 제정 및 안내하였다[3]. 이후 2022년 7월 중 코로나19 집단발생 모니터링을 통하여 집단발생의 증가 양상을 파악하였기에 2022년 7월 18일 감염취약시설 관리대상 상세화 및 동일집단관리(코호트) 확진자 전원 관련 사항 등 해당 지침을 개정 및 안내하였다[4].

2. 감염취약시설 감염병 전담대응기구 구축 및 운영

감염취약시설 감염병 전담대응기구는 2022년 6월에 구성되었고, 시‧군‧구 보건소 합동전담대응팀은 총 608팀(2,712명), 시‧도 전담대응지원팀은 총 57팀(266명), 시‧도 감염예방관리지원기구는 총 27팀(78명)으로 운영되고 있으며(2022년 9월 기준), 사전 점검, 예방교육, 집단발생 현장 대응, 기동전담반 운영 등을 수행하고 있다(표 1).

시‧도별 감염취약시설 전담대응기구 현황
시‧군‧구보건소합동전담대응팀시‧도전담대응지원팀시‧도감염예방관리지원기구
인원인원인원
전체6082,712572662778
지역
서울a)76303515--
부산4617042024
대구2616441924
인천3610541312
광주2063524317
대전5381618
울산255251024
세종4821124
경기4742251514
강원351042812
충북2416111926
충남2612121424
전북229642016
전남6423421235
경북a)106378520--
경남4022831936
제주66532112

a)서울, 경북: 시‧도 전담대응지원팀이 시‧도 감염예방관리지원기구 역할을 병행..



3.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 공유 및 개선사항

국내 코로나19 BA.2.75 변이 바이러스의 역학적 특성 분석 결과를 공유하였고, 새로운 변이 발생 시 개별 사례 조사‧대응을 시행하도록 협조를 요청하였다. 또한, 지자체에서 감염 취약시설의 확진자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 기준 확진자 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등록 현황을 공유하였다.

본 회의를 통하여 구성된 보건소-시설 간 연락체계, 중앙-시‧도-시‧군‧구 간 현황 정보 공유 체계가 마련되어 적시에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으며, 코로나19 확진자 조사서 및 집단발생 모니터링과 관련된 감염취약시설 분류가 담당부서 간 협의를 통하여 총 8종 요양병원, 요양시설(공동생활가정 포함), 주야간보호센터(단기 보호 포함), 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 정신재활시설, 장애인복지시설, 기타로 재분류되었고, 이는 지자체별 확진자 발생 시 감염취약시설의 확인 및 대응이 용이하도록 정립되었다. 코로나19 확진자 조사서 정보에 감염취약시설의 유형 및 구성원 구분이 추가되었으며, 시‧군‧구에서는 시‧도로 보고하고, 시‧도에서 질병관리청으로 보고하여 정보가 수집되고 있다. 집단발생 모니터링의 정보는 시설 유형이 감염취약시설 분류가 8종으로 수정되었으며, 시‧도에서 권역별 질병대응센터, 권역별 질병대응센터에서 질병관리청으로 보고 및 수집되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감염관리팀에서는 전국 요양‧정신병원 총 1,708개소 대상으로 코로나19 주요지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요양병원 감염병 관리시스템을 활용하여 코로나19 확진자수, 먹는 치료제 투약률, 4차 접종률, 치명률, 감염병 전담병원 전원자수를 분석 및 공유하고 있다.

4. BA.5 유행 시기 감염취약시설 집단발생 특성 분석 대응 전략 제시

국내 코로나19 BA.5 유행 시기인 6월 중순 이후 집단발생 감염취약시설인 요양병원 4개소, 정신의료기관 4개소, 장기요양기관 6개소, 장애인복지시설 4개소의 입소자 및 종사자 대상으로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발병률 및 중증도, 예방접종력 및 과거감염력에 따른 발병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 BA.5 유행 시기 요양병원 4차 접종군에서만 감염 예방 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BA.5 유행 시기에는 과거 감염력이 코로나19 발생 예방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으며, 이에 따라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감시 및 대응 기준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밀접한 공동생활을 하는 집단에서 예방접종만으로 추가 전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감염관리 이외에 유입을 통한 감염기회 감소 방안 마련, 조기 발견, 확진자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논 의

국내 코로나19 집단발생 모니터링 중 2022년 7월부터 증가 양상을 파악하였고, 재유행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였다(그림 2) [1,2]. 이에 따라 「감염취약시설 예방‧감시‧조사 표준 매뉴얼」을 제‧개정하였다.

Figure 2. 국내 2022년 주별 코로나19 집단발생 현황(2022년 9월 24일 0시 기준)

해외 감염병 대응 사항을 살펴보면, 학교, 직장 등 전반적인 환경에서의 마스크 착용, 환기, 사회적 거리두기의 예방 전략을 우선적으로 안내하고 있다[5]. 감염취약시설에 속하는 장기요양시설에 대하여 감염 예방 및 방지 프로그램(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을 통해서 모든 직원에 대한 손씻기, 위생수칙, 정확한 마스크 착용, 안전한 착탈의 등의 교육을 실시하거나 고위험 집단에 장기요양시설 입소자를 명시하여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다[6-8]. 또한, 정신의료기관에서의 코로나19 전파에 대한 사항을 조사 및 보고한 연구가 있었고, 장애인에 대한 코로나19 대비,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안내하고 있다[9,10]. 이와 같이 국내의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감염병 예방 및 관리는 국외에서 진행하는 전략과 유사한 방향으로 시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감염병 대응을 위하여 지자체별 감염취약시설 전담대응기구가 2022년 6월에 구성되었고, 2022년 9월 기준으로 시‧군‧구 보건소 합동전담대응팀 총 608팀, 2,712명, 시‧도 전담대응지원팀 총 57팀, 266명, 시‧도 감염예방관리지원기구를 총 27팀, 78명으로 운영되고 있다. 각 대응팀은 일일 모니터링, 집단발생 시설 현장 대응 및 감염 예방관리 컨설팅, 기동전담반 운영, 사전 현장 점검 등의 대응을 지속하고 있다. 해외에서도 코로나19 유행의 예방 및 관리에 대한 감염병 감시 및 역학조사를 포함한 공중보건학적 대응을 수행하고 있다[5]. 국내에서도 해외와 유사한 방법으로 감염병 대응을 하고 있으나, 감염취약시설을 요양, 정신, 장애 분야로 구분하여 통합 모니터링 및 대응하는 것이 해외와의 차이였다.

「감염취약시설 예방‧감시‧조사 표준 매뉴얼」 초판 제정 당시, 감염취약시설은 요양병원‧장기요양기관, 정신건강증진시설, 장애인복지시설 3종으로 분류하여 감염병 집단발생 모니터링 및 대응을 실시하고 있었다. 감염취약시설 세분화 필요성 인지 후 담당부서 간 협의를 통하여 2022년 8월 5일부터 요양병원, 요양시설(공동생활가정 포함), 주야간보호센터(단기 보호 포함), 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 정신재활시설, 장애인복지시설, 기타 총 8종으로 재분류하였다[11]. 해외에서도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감염병 대응 및 관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6-10].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기획 역학조사를 통하여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 및 검토가 필요하다.

감염취약시설에서의 코로나19 발생에 대한 중앙부처 및 지자체 대응은 향후 재유행뿐만 아니라 다양한 감염병 대응에 확대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ments

Thank the members of the COVID-19 Response Department, Regional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Support Group, Central Disaster Management Headquarters, and Vulnerable Facility Team in each city and province who participated in the meeting while busy responding to COVID-19.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YJP. Data curation: YJS, MY, HJK, JJ. Formal analysis: YJS, JJ. Investigation: YJS. Methodology: SEL, YJS, JJ. Project administration: SEL. Resources: YKL, HK, SJL, SC, SRC. Supervision: YJP. Validation: SEL, YJS. Visualization: YJS. Writing – original draft: YJS, JJ. Writing – review & editing: YJP.

Fig 1.

Figure 1.지자체 감염취약시설 대응현황 점검회의 체계도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96-108https://doi.org/10.56786/PHWR.2023.16.4.2

Fig 2.

Figure 2.국내 2022년 주별 코로나19 집단발생 현황(2022년 9월 24일 0시 기준)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96-108https://doi.org/10.56786/PHWR.2023.16.4.2
시‧도별 감염취약시설 전담대응기구 현황
시‧군‧구보건소합동전담대응팀시‧도전담대응지원팀시‧도감염예방관리지원기구
인원인원인원
전체6082,712572662778
지역
서울a)76303515--
부산4617042024
대구2616441924
인천3610541312
광주2063524317
대전5381618
울산255251024
세종4821124
경기4742251514
강원351042812
충북2416111926
충남2612121424
전북229642016
전남6423421235
경북a)106378520--
경남4022831936
제주66532112

a)서울, 경북: 시‧도 전담대응지원팀이 시‧도 감염예방관리지원기구 역할을 병행..


References

  1.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 2022 [Press Release (July 12 2022)]. Available from: https://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0100&cg_code=&act=view&nPage=1.
  2.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 2022 [Press Release (July 19 2022)]. Available from: https://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0171&cg_code=&act=view&nPage=1.
  3.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Standard manual for prevention, surveillance, and investigation of infection vulnerable facilities related to COVID-19 respons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
  4.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Standard manual for prevention, surveillance, and investigation of infection vulnerable facilities related to COVID-19 response. 2nd ed.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
  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public health science agenda for COVID-19 [Internet].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2 [cited 2022 Oct 5].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coronavirus/2019-ncov/science/science-agenda-covid19.html.
  6. World Health Organization.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guidance for long-term care facilities in the context of COVID-19: interim guidance, 8 January 202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7.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High-risk groups for COVID-19 [Internet].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2022 [cited 2022 Oct 5]. Available from: https://www.ecdc.europa.eu/en/covid-19/high-risk-groups.
  8.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Surveillance of COVID-19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the EU/EEA [Internet].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2021 [cited 2022 Oct 5]. Available from: https://www.ecdc.europa.eu/en/publications-data/surveillance-COVID-19-long-term-care-facilities-EU-EEA.
  9. Callaghan AW, Chard AN, Arnold P, et al. Screening for SARS-CoV-2 infection within a psychiatric hospital and considerations for limiting transmission within residential psychiatric facilities - Wyoming, 2020. MMWR Morb Mortal Wkly Rep 2020;69:825-9.
    Pubmed KoreaMed CrossRef
  1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People with disabilities [Internet].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2 [cited 2022 Oct 5].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ncbddd/humandevelopment/covid-19/people-with-disabilities.html.
  11.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 2022 [Press Release (August 9 2022)].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0383&cg_code=&act=view&nPage=1.
PHWR
Sep 21, 2023 Vol.16 No.37
pp. 1275~1287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 주간 건강과 질병
PUBLIC HEALTH WEEKLY REPORT
질병관리청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eISSN 2586-0860
pISSN 2005-81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