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24): 1055-1067
Published online May 16, 2024
https://doi.org/10.56786/PHWR.2024.17.24.3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관리국 건강영양조사분석과
*Corresponding author: 오경원, Tel: +82-043-719-7460, E-mail: kwoh27@korea.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악력저하율 및 근감소증 유병률 현황을 파악하였다. 분석대상은 202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악력 및 체성분검사에 참여한 65세 이상이며, 악력 및 임피던스체지방측정기(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를 이용한 근육량 측정 자료를 2019년 아시아 진단기준(Asian Working Group for Sarcopenia)에 따라 분류하여 악력저하율 및 근감소증 유병률을 산출하였다. 2022년 65세 이상 악력저하율은 남자 14.2%, 여자 18.8%이며, 근감소증 유병률은 남자 6.6%, 여자 9.2%였다. 근감소증 유병률은 고령일수록 높았고, 여자가 남자에 비해 높았으며, 소득수준이 낮은 군에서 높았다. 본 연구 결과, 고령과 소득수준이 낮은 경우 근감소증에 취약하므로 해당 대상자의 경우 근감소증의 조기 발견과 예방·관리 중재 프로그램의 중점적 실시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 검색어 근감소증; 악력; 국민건강영양조사
근감소증은 노화에 따라 근육량과 더불어 근력이나 신체수행능력이 감소한 상태로 이로 인해 낙상과 골절 위험 증가, 당뇨병,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의 발생이 증가하게 된다. 국내에서 수행된 기존 연구에서 70세 이상 근감소증 유병률(AWGS 2019 기준, DXA 및 악력 측정)은 약 10%로 보고되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근감소증 조사 결과, 유병률은 남자 6.6%, 여자 9.2%였다. 여자가 남자보다 유병률이 높고, 소득수준 낮은 군에서 더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고령, 낮은 소득수준 등 취약계층 대상의 근감소증의 조기 발견과 예방·관리 중재 프로그램의 실시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근감소증(sarcopenia)은 노화에 따른 근육량 감소와 더불어 근력이나 신체 기능이 감소한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1]. 근육량이 감소하면 낙상과 골절 위험 증가, 당뇨병,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의 발생이 증가하게 된다[1-3]. 노인실태조사에서 평가한 하지근력 수행률은 2014년 79.7%, 2017년 78.6%, 2020년 77.9%로 감소 경향이 보고되었고[4-6], 국내에서 2016–2017년 수행된 지역사회 거주 70세 이상 대상 연구에서는 근감소증 유병률이 남자 14.4%, 여자 6.4%였으나, 지속적인 추이가 보고된 바 없다[7]. 근감소증은 질병으로 인식되어 2016년 세계보건기구의 제10차 국제질병통계분류(ICD-10)에 병명코드(M62.84)가 등재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2021년 제8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8) 진단코드(M62.5)에 포함되었다[1].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2014년부터 악력을 측정하여 10세 이상의 악력 분포를 공표하고 있고, 아시아근감소증진단그룹(Asian Working Group for Sarcopenia, AWGS)의 지침(2019)에 따라 2019년부터 65세 이상의 악력저하율을 공표하고 있다[1]. 또한 2022년부터 임피던스체지방측정기(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를 도입하여 근육량을 측정하여 근감소증 유병률을 신규로 산출하였다. 이 글에서는 202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악력 및 근육량 측정 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근감소증 유병률 현황을 살펴보았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수준, 건강행태, 식품 및 영양섭취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국민건강증진법 제16조에 근거하여 시행하는 전국 규모의 건강 및 영양조사이다[8]. 조사 표본은 2단계 층화집락표본추출방법을 적용하여 조사구 및 가구를 1, 2차로 추출하였다. 조사대상은 연간 약 192개 조사구, 조사구당 25개 표본가구 내 1세 이상의 모든 가구원이었다. 본 연구는 202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65세 이상 악력(1,462명) 및 체성분검사(1,276명) 참여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검진조사는 이동검진차량에서 질병관리청 소속의 조사원에 의해 수행되었다. 악력검사는 디지털 악력계(TKK 5401; Takei)를 이용하여 양손 또는 한 손의 악력을 2회 측정하였으며, 최대값을 악력 측정치로 사용하였다. 악력검사 제외자 선별을 위해 시진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시진 항목인 팔/손/엄지손가락의 결손, 손의 마비, 손/손목의 깁스 또는 붕대를 한 경우와 설문조사 항목인 주관적 조사참여 불가능한 경우, 최근 7일 이내 손의 통증/쑤심/뻣뻣함이 악화된 경우 검사를 실시하지 않았다.
체성분검사는 BIA (InBody970; InBody Co., Ltd.)를 이용하여 제지방량, 근육량(골무기질 제외), 체지방, 체수분, 전신위상각을 측정하였다. 인공심장박동기, 이식형심장충격기 장착 등 일부 대상자는 제외하였다. 근육량(골무기질 제외)은 부위별로 측정하였고, 사지근육량(오른팔, 왼팔, 오른다리, 왼다리)의 합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도록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설계분석방법으로 SAS (version 9.4; SAS Institute Inc.)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악력저하율 및 근감소증 유병률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대상자 중 지표산출에 필요한 항목에 결측이 없는 대상자만을 통계분석에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거주지역은 시 또는 구의 하위 행정 구역인 동(도시지역), 군의 하위 행정 구역인 읍면(농어촌지역)으로 분류하였고, 가구소득수준은 월가구균등화소득(월가구소득/√가구원수)을 성별·연령별(5세 단위) 오분위로 분류하였다.
악력저하율은 AWGS (2019) 기준인 양손 또는 한 손의 악력을 2회 측정한 값 중 최대값이 남자 28 kg 미만, 여자 18 kg 미만인 분율로 산출하였다[1]. 근감소증 유병률 또한 AWGS (2019) 기준에 따라 악력저하에 해당하면서 BIA 결과 ‘사지근육량(골무기질 제외)의 합/신장2’이 남자 7.0 kg/m2 미만, 여자 5.7 kg/m2 미만인 분율로 산출하였다[1].
65세 이상의 악력저하율은 2022년 기준 16.7% (남자 14.2%, 여자 18.8%)이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80세 이상은 40.1%이다(표 1). 75세 미만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75–79세부터 여자가 남자에 비해 높았다. 거주지역에 따라 남자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여자에서는 동지역 거주자(17.0%)에 비해 읍면 거주자(25.4%)가 악력저하율이 높았다. 소득수준별로 남녀 모두 소득수준이 낮은 군의 악력저하율이 더 높은 경향이었으며, 여자에서 더 뚜렷하였다.
구분 | 전체 | 남자 | 여자 | |||||
---|---|---|---|---|---|---|---|---|
대상자 수(명) | 분율(표준오차) | 대상자 수(명) | 분율(표준오차) | 대상자 수(명) | 분율(표준오차) | |||
≥65세 | 1,462 | 16.7 (1.2) | 681 | 14.2 (1.5) | 781 | 18.8 (1.7) | ||
연령(세) | ||||||||
65–69 | 498 | 6.7 (1.4) | 233 | 6.8 (2.2)c) | 265 | 6.5 (1.7)c) | ||
70–74 | 390 | 12.9 (2.0) | 182 | 12.6 (2.9) | 208 | 13.2 (2.6) | ||
75–79 | 341 | 19.9 (2.3) | 161 | 15.5 (3.0) | 180 | 22.9 (3.4) | ||
≥80 | 233 | 40.1 (3.9) | 105 | 35.2 (5.8) | 128 | 43.3 (5.2) | ||
거주지역 | ||||||||
동 | 1,020 | 15.6 (1.4) | 475 | 13.8 (1.8) | 545 | 17.0 (1.9) | ||
읍면 | 442 | 21.1 (2.5) | 206 | 15.6 (2.7) | 236 | 25.4 (3.7) | ||
소득수준b) | ||||||||
하 | 276 | 21.8 (3.0) | 129 | 16.0 (3.3) | 147 | 26.5 (4.7) | ||
중하 | 289 | 20.4 (3.1) | 135 | 17.6 (3.9) | 154 | 22.9 (4.5) | ||
중 | 290 | 12.8 (2.3) | 137 | 11.7 (3.1)c) | 153 | 14.0 (2.9) | ||
중상 | 302 | 15.1 (2.8) | 142 | 11.6 (2.6) | 160 | 18.1 (4.5) | ||
상 | 302 | 14.9 (2.6) | 138 | 14.9 (3.9)c) | 164 | 15.0 (3.3) |
a)2022 국민건강통계 인용[8]. b)소득수준: 월가구균등화소득(월가구소득/√가구원수)을 성별‧연령별(5세 단위) 오분위로 분류. c)변동계수: 25–50%.
65세 이상의 근감소증 유병률은 2022년 기준 7.9%이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70–74세 7.1%, 75–79세 9.9%, 80세 이상 20.0%였다(표 2). 남자(6.6%)에 비해 여자(9.2%)가 높았는데 75–79세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약 2배 높았고, 80세 이상에서는 남녀 비슷한 수준이었다. 남자는 거주지역별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에서 읍면 거주자(14.8%)가 동지역 거주자(7.7%)보다 약 2배 높았다. 남녀 모두 소득수준 하위 40%인 ‘하’ 또는 ‘중하’ 군의 근감소증 유병률이 더 높은 경향이었다.
구 분 | 전체 | 남자 | 여자 | |||||
---|---|---|---|---|---|---|---|---|
대상자 수(명) | 분율(표준오차) | 대상자 수(명) | 분율(표준오차) | 대상자 수(명) | 분율(표준오차) | |||
≥65세 | 1,276 | 7.9 (0.8) | 605 | 6.6 (1.0) | 671 | 9.2 (1.2) | ||
연령(세) | ||||||||
65–69 | 461 | 2.7 (0.8)c) | 220 | 2.2 (1.0)c) | 241 | 3.3 (1.2)c) | ||
70–74 | 343 | 7.1 (1.4) | 163 | 5.9 (1.9)c) | 180 | 8.1 (2.1)c) | ||
75–79 | 287 | 9.9 (1.7) | 133 | 6.6 (2.0)c) | 154 | 12.8 (2.8) | ||
≥80 | 185 | 20.0 (3.3) | 89 | 18.8 (4.5) | 96 | 21.2 (5.0) | ||
거주지역 | ||||||||
동 | 910 | 7.3 (1.0) | 428 | 6.8 (1.1) | 482 | 7.7 (1.4) | ||
읍면 | 366 | 10.4 (1.7) | 177 | 5.9 (2.1)c) | 189 | 14.8 (2.5) | ||
소득수준b) | ||||||||
하 | 235 | 9.8 (2.0) | 110 | 8.2 (2.5)c) | 125 | 11.1 (2.7) | ||
중하 | 254 | 13.8 (2.4) | 123 | 10.0 (3.0)c) | 131 | 17.9 (3.8) | ||
중 | 252 | 4.6 (1.2)c) | 121 | 4.2 (1.8)c) | 131 | 5.1 (1.8)c) | ||
중상 | 271 | 5.6 (1.3) | 129 | 4.9 (1.7)c) | 142 | 6.2 (2.0)c) | ||
상 | 262 | 6.9 (1.9)c) | 122 | 6.5 (2.2)c) | 140 | 7.2 (2.5)c) |
a)2022 국민건강통계 인용[8]. b)소득수준: 월가구균등화소득(월가구소득/√가구원수)을 성별‧연령별(5세 단위) 오분위로 분류. c)변동계수: 25–50%.
우리나라 65세 이상 악력저하율은 16.7% (남자 14.2%, 여자 18.8%)이고, 근감소증 유병률은 7.9% (남자 6.6%, 여자 9.2%)였다. 근감소증 유병률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높았고, 소득수준이 낮은 군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근감소증 유병률은 근육량 측정방법, 근감소증 유병률을 산출하는 기준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유병률 범위: 10–27%) [9]. 동일한 AWGS 기준을 적용 시에도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측정 연구에서는 18%, BIA 측정 연구에서는 14%로 측정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9], 동일한 대상자에서 AWGS 외 여러 근감소증 유병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따라 유병률이 차이가 있었다[7,10].
본 연구의 근감소증 유병률은 7.9%로, 아시아인 대상의 메타분석 결과인 근감소증 유병률(15.0%)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9]. BIA를 이용한 기존 연구 결과에서는 아시아인(남자 10%, 여자 11%)의 유병 수준이 비아시아인(유럽, 미국 등) (남자 19%, 여자 20%)에 비해 낮았고[11], 우리나라의 근감소증 유병률은 이에 비해 더 낮은 수준(남자 6.6%, 여자 9.2%)이었다. 인종에 따른 차이에 대해서는 아시아인의 근감소증 유병률 산출기준 절단값이 서양인에 비해 낮고, 아시아인이 서양인에 비해 더 건강한 식품섭취 및 신체활동을 하여 근감소증이 예방되었을 가능성이 제안되고 있다[11].
근감소증을 성별로 구분하여 비교 시 여자의 근감소증 유병률이 남자보다 높았는데, 우리나라 노쇠코호트 결과로 보고된 70세 이상 근감소증 유병률(AWGS 2019 기준, DXA 및 악력 측정) 결과에서는 남자(14.4%)가 여자(6.4%)보다 높았고[7], AWGS 기준 메타분석 연구에서는 남녀 근감소증 유병률이 각각 14.0%로 차이가 없어 성별에 따른 다른 방향의 연구 결과에 관해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9]. 또한, 연령별로 비교 시 75–79세의 근감소증 유병률이 여자가 남자에 비해 높았지만 80세 이상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러 요인 중 여자는 폐경 이후 에스트로겐과 안드로젠 등 성호르몬 분비가 감소하여 근육량 소실을 유도하여 60–70대에 근감소증 유병률이 증가하지만, 남자는 여자보다 늦은 나이에 성호르몬(테스토스테론) 분비가 감소하여 80세 이후 근감소증 유병률이 급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11].
본 연구의 근감소증 유병률은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중국 65세 이상 대상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근감소증 유병률(AWGS 2019 기준, 근육량[BIA] 및 악력[3회] 또는 보행속도)이 높아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12].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근감소증 유병률이 높은 요인에 대해 중국 농촌 거주 60–89세 대상 연구에서는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건강관리를 위한 영양지식 수준이 낮음으로 인한 영향의 가능성을 제안한 바 있고[13], 중국 중장년층 대상 연구에 따르면 근감소증 환자의 경우 소득수준이 낮은 군에서 의료비 지출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여 근감소증 진단 및 관리가 어려울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14]. 또한 본 결과에서 동지역 거주자에서는 근감소증 유병률의 성별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읍면지역 거주자에서 차이가 뚜렷하였는데(남자 5.9%, 여자 14.8%), 중국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0–89세 대상 조사 결과(AWGS 2019 기준, 근육량[BIA] 및 악력[2회 이상])에서도 여자(21.7%)가 남자(12.9%)보다 더 높아 본 조사 결과와 유사하였다[15].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우리나라 65세 이상 근감소증 유병률은 7.9%로 국외에 비해 낮은 수준이지만[9], 연령이 증가할수록 근감소증이 증가하고, 특히 소득수준이 낮은 경우 근감소증에 취약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는 만성질환 관리 위주로 추진하던 보건소 어르신 방문건강관리서비스를 허약·노쇠 등 보편적 건강관리서비스 체계로 개편하여 인공지능·사물인터넷(AI·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등 지역사회 지원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16].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을 우선적으로 근감소증 조기 발견과 영양관리 프로그램(경로당·복지관 등 노인 회합형 프로그램, 방문·배달 프로그램, 요리교실 등) 및 운동을 포함한 조기 개입이 중요할 것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악력 측정과 함께 2024–2028년 이중에너지 방사선 DXA를 도입하여 더 정확한 근육량 측정을 실시하고 이를 기초로 근감소증 추이 및 관련요인을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None.
Ethics Statement: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and all subjects provided written informed consent (IRB no. 2018-01-03-4C-A).
Acknowledgments: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DYK, KWO. Data curation: DYK. Methodology: DYK, KWO. Writing – original draft: DYK. Writing – review & editing: KWO.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24): 1055-1067
Published online June 20, 2024 https://doi.org/10.56786/PHWR.2024.17.24.3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김도연, 오경원*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관리국 건강영양조사분석과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악력저하율 및 근감소증 유병률 현황을 파악하였다. 분석대상은 202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악력 및 체성분검사에 참여한 65세 이상이며, 악력 및 임피던스체지방측정기(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를 이용한 근육량 측정 자료를 2019년 아시아 진단기준(Asian Working Group for Sarcopenia)에 따라 분류하여 악력저하율 및 근감소증 유병률을 산출하였다. 2022년 65세 이상 악력저하율은 남자 14.2%, 여자 18.8%이며, 근감소증 유병률은 남자 6.6%, 여자 9.2%였다. 근감소증 유병률은 고령일수록 높았고, 여자가 남자에 비해 높았으며, 소득수준이 낮은 군에서 높았다. 본 연구 결과, 고령과 소득수준이 낮은 경우 근감소증에 취약하므로 해당 대상자의 경우 근감소증의 조기 발견과 예방·관리 중재 프로그램의 중점적 실시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근감소증, 악력, 국민건강영양조사
근감소증은 노화에 따라 근육량과 더불어 근력이나 신체수행능력이 감소한 상태로 이로 인해 낙상과 골절 위험 증가, 당뇨병,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의 발생이 증가하게 된다. 국내에서 수행된 기존 연구에서 70세 이상 근감소증 유병률(AWGS 2019 기준, DXA 및 악력 측정)은 약 10%로 보고되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근감소증 조사 결과, 유병률은 남자 6.6%, 여자 9.2%였다. 여자가 남자보다 유병률이 높고, 소득수준 낮은 군에서 더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고령, 낮은 소득수준 등 취약계층 대상의 근감소증의 조기 발견과 예방·관리 중재 프로그램의 실시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근감소증(sarcopenia)은 노화에 따른 근육량 감소와 더불어 근력이나 신체 기능이 감소한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1]. 근육량이 감소하면 낙상과 골절 위험 증가, 당뇨병,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의 발생이 증가하게 된다[1-3]. 노인실태조사에서 평가한 하지근력 수행률은 2014년 79.7%, 2017년 78.6%, 2020년 77.9%로 감소 경향이 보고되었고[4-6], 국내에서 2016–2017년 수행된 지역사회 거주 70세 이상 대상 연구에서는 근감소증 유병률이 남자 14.4%, 여자 6.4%였으나, 지속적인 추이가 보고된 바 없다[7]. 근감소증은 질병으로 인식되어 2016년 세계보건기구의 제10차 국제질병통계분류(ICD-10)에 병명코드(M62.84)가 등재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2021년 제8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8) 진단코드(M62.5)에 포함되었다[1].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2014년부터 악력을 측정하여 10세 이상의 악력 분포를 공표하고 있고, 아시아근감소증진단그룹(Asian Working Group for Sarcopenia, AWGS)의 지침(2019)에 따라 2019년부터 65세 이상의 악력저하율을 공표하고 있다[1]. 또한 2022년부터 임피던스체지방측정기(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를 도입하여 근육량을 측정하여 근감소증 유병률을 신규로 산출하였다. 이 글에서는 202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악력 및 근육량 측정 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근감소증 유병률 현황을 살펴보았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수준, 건강행태, 식품 및 영양섭취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국민건강증진법 제16조에 근거하여 시행하는 전국 규모의 건강 및 영양조사이다[8]. 조사 표본은 2단계 층화집락표본추출방법을 적용하여 조사구 및 가구를 1, 2차로 추출하였다. 조사대상은 연간 약 192개 조사구, 조사구당 25개 표본가구 내 1세 이상의 모든 가구원이었다. 본 연구는 202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65세 이상 악력(1,462명) 및 체성분검사(1,276명) 참여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검진조사는 이동검진차량에서 질병관리청 소속의 조사원에 의해 수행되었다. 악력검사는 디지털 악력계(TKK 5401; Takei)를 이용하여 양손 또는 한 손의 악력을 2회 측정하였으며, 최대값을 악력 측정치로 사용하였다. 악력검사 제외자 선별을 위해 시진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시진 항목인 팔/손/엄지손가락의 결손, 손의 마비, 손/손목의 깁스 또는 붕대를 한 경우와 설문조사 항목인 주관적 조사참여 불가능한 경우, 최근 7일 이내 손의 통증/쑤심/뻣뻣함이 악화된 경우 검사를 실시하지 않았다.
체성분검사는 BIA (InBody970; InBody Co., Ltd.)를 이용하여 제지방량, 근육량(골무기질 제외), 체지방, 체수분, 전신위상각을 측정하였다. 인공심장박동기, 이식형심장충격기 장착 등 일부 대상자는 제외하였다. 근육량(골무기질 제외)은 부위별로 측정하였고, 사지근육량(오른팔, 왼팔, 오른다리, 왼다리)의 합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도록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설계분석방법으로 SAS (version 9.4; SAS Institute Inc.)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악력저하율 및 근감소증 유병률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대상자 중 지표산출에 필요한 항목에 결측이 없는 대상자만을 통계분석에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거주지역은 시 또는 구의 하위 행정 구역인 동(도시지역), 군의 하위 행정 구역인 읍면(농어촌지역)으로 분류하였고, 가구소득수준은 월가구균등화소득(월가구소득/√가구원수)을 성별·연령별(5세 단위) 오분위로 분류하였다.
악력저하율은 AWGS (2019) 기준인 양손 또는 한 손의 악력을 2회 측정한 값 중 최대값이 남자 28 kg 미만, 여자 18 kg 미만인 분율로 산출하였다[1]. 근감소증 유병률 또한 AWGS (2019) 기준에 따라 악력저하에 해당하면서 BIA 결과 ‘사지근육량(골무기질 제외)의 합/신장2’이 남자 7.0 kg/m2 미만, 여자 5.7 kg/m2 미만인 분율로 산출하였다[1].
65세 이상의 악력저하율은 2022년 기준 16.7% (남자 14.2%, 여자 18.8%)이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80세 이상은 40.1%이다(표 1). 75세 미만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75–79세부터 여자가 남자에 비해 높았다. 거주지역에 따라 남자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여자에서는 동지역 거주자(17.0%)에 비해 읍면 거주자(25.4%)가 악력저하율이 높았다. 소득수준별로 남녀 모두 소득수준이 낮은 군의 악력저하율이 더 높은 경향이었으며, 여자에서 더 뚜렷하였다.
구분 | 전체 | 남자 | 여자 | |||||
---|---|---|---|---|---|---|---|---|
대상자 수(명) | 분율(표준오차) | 대상자 수(명) | 분율(표준오차) | 대상자 수(명) | 분율(표준오차) | |||
≥65세 | 1,462 | 16.7 (1.2) | 681 | 14.2 (1.5) | 781 | 18.8 (1.7) | ||
연령(세) | ||||||||
65–69 | 498 | 6.7 (1.4) | 233 | 6.8 (2.2)c) | 265 | 6.5 (1.7)c) | ||
70–74 | 390 | 12.9 (2.0) | 182 | 12.6 (2.9) | 208 | 13.2 (2.6) | ||
75–79 | 341 | 19.9 (2.3) | 161 | 15.5 (3.0) | 180 | 22.9 (3.4) | ||
≥80 | 233 | 40.1 (3.9) | 105 | 35.2 (5.8) | 128 | 43.3 (5.2) | ||
거주지역 | ||||||||
동 | 1,020 | 15.6 (1.4) | 475 | 13.8 (1.8) | 545 | 17.0 (1.9) | ||
읍면 | 442 | 21.1 (2.5) | 206 | 15.6 (2.7) | 236 | 25.4 (3.7) | ||
소득수준b) | ||||||||
하 | 276 | 21.8 (3.0) | 129 | 16.0 (3.3) | 147 | 26.5 (4.7) | ||
중하 | 289 | 20.4 (3.1) | 135 | 17.6 (3.9) | 154 | 22.9 (4.5) | ||
중 | 290 | 12.8 (2.3) | 137 | 11.7 (3.1)c) | 153 | 14.0 (2.9) | ||
중상 | 302 | 15.1 (2.8) | 142 | 11.6 (2.6) | 160 | 18.1 (4.5) | ||
상 | 302 | 14.9 (2.6) | 138 | 14.9 (3.9)c) | 164 | 15.0 (3.3) |
a)2022 국민건강통계 인용[8]. b)소득수준: 월가구균등화소득(월가구소득/√가구원수)을 성별‧연령별(5세 단위) 오분위로 분류. c)변동계수: 25–50%..
65세 이상의 근감소증 유병률은 2022년 기준 7.9%이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70–74세 7.1%, 75–79세 9.9%, 80세 이상 20.0%였다(표 2). 남자(6.6%)에 비해 여자(9.2%)가 높았는데 75–79세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약 2배 높았고, 80세 이상에서는 남녀 비슷한 수준이었다. 남자는 거주지역별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에서 읍면 거주자(14.8%)가 동지역 거주자(7.7%)보다 약 2배 높았다. 남녀 모두 소득수준 하위 40%인 ‘하’ 또는 ‘중하’ 군의 근감소증 유병률이 더 높은 경향이었다.
구 분 | 전체 | 남자 | 여자 | |||||
---|---|---|---|---|---|---|---|---|
대상자 수(명) | 분율(표준오차) | 대상자 수(명) | 분율(표준오차) | 대상자 수(명) | 분율(표준오차) | |||
≥65세 | 1,276 | 7.9 (0.8) | 605 | 6.6 (1.0) | 671 | 9.2 (1.2) | ||
연령(세) | ||||||||
65–69 | 461 | 2.7 (0.8)c) | 220 | 2.2 (1.0)c) | 241 | 3.3 (1.2)c) | ||
70–74 | 343 | 7.1 (1.4) | 163 | 5.9 (1.9)c) | 180 | 8.1 (2.1)c) | ||
75–79 | 287 | 9.9 (1.7) | 133 | 6.6 (2.0)c) | 154 | 12.8 (2.8) | ||
≥80 | 185 | 20.0 (3.3) | 89 | 18.8 (4.5) | 96 | 21.2 (5.0) | ||
거주지역 | ||||||||
동 | 910 | 7.3 (1.0) | 428 | 6.8 (1.1) | 482 | 7.7 (1.4) | ||
읍면 | 366 | 10.4 (1.7) | 177 | 5.9 (2.1)c) | 189 | 14.8 (2.5) | ||
소득수준b) | ||||||||
하 | 235 | 9.8 (2.0) | 110 | 8.2 (2.5)c) | 125 | 11.1 (2.7) | ||
중하 | 254 | 13.8 (2.4) | 123 | 10.0 (3.0)c) | 131 | 17.9 (3.8) | ||
중 | 252 | 4.6 (1.2)c) | 121 | 4.2 (1.8)c) | 131 | 5.1 (1.8)c) | ||
중상 | 271 | 5.6 (1.3) | 129 | 4.9 (1.7)c) | 142 | 6.2 (2.0)c) | ||
상 | 262 | 6.9 (1.9)c) | 122 | 6.5 (2.2)c) | 140 | 7.2 (2.5)c) |
a)2022 국민건강통계 인용[8]. b)소득수준: 월가구균등화소득(월가구소득/√가구원수)을 성별‧연령별(5세 단위) 오분위로 분류. c)변동계수: 25–50%..
우리나라 65세 이상 악력저하율은 16.7% (남자 14.2%, 여자 18.8%)이고, 근감소증 유병률은 7.9% (남자 6.6%, 여자 9.2%)였다. 근감소증 유병률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높았고, 소득수준이 낮은 군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근감소증 유병률은 근육량 측정방법, 근감소증 유병률을 산출하는 기준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유병률 범위: 10–27%) [9]. 동일한 AWGS 기준을 적용 시에도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측정 연구에서는 18%, BIA 측정 연구에서는 14%로 측정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9], 동일한 대상자에서 AWGS 외 여러 근감소증 유병률을 산출하는 기준에 따라 유병률이 차이가 있었다[7,10].
본 연구의 근감소증 유병률은 7.9%로, 아시아인 대상의 메타분석 결과인 근감소증 유병률(15.0%)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9]. BIA를 이용한 기존 연구 결과에서는 아시아인(남자 10%, 여자 11%)의 유병 수준이 비아시아인(유럽, 미국 등) (남자 19%, 여자 20%)에 비해 낮았고[11], 우리나라의 근감소증 유병률은 이에 비해 더 낮은 수준(남자 6.6%, 여자 9.2%)이었다. 인종에 따른 차이에 대해서는 아시아인의 근감소증 유병률 산출기준 절단값이 서양인에 비해 낮고, 아시아인이 서양인에 비해 더 건강한 식품섭취 및 신체활동을 하여 근감소증이 예방되었을 가능성이 제안되고 있다[11].
근감소증을 성별로 구분하여 비교 시 여자의 근감소증 유병률이 남자보다 높았는데, 우리나라 노쇠코호트 결과로 보고된 70세 이상 근감소증 유병률(AWGS 2019 기준, DXA 및 악력 측정) 결과에서는 남자(14.4%)가 여자(6.4%)보다 높았고[7], AWGS 기준 메타분석 연구에서는 남녀 근감소증 유병률이 각각 14.0%로 차이가 없어 성별에 따른 다른 방향의 연구 결과에 관해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9]. 또한, 연령별로 비교 시 75–79세의 근감소증 유병률이 여자가 남자에 비해 높았지만 80세 이상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러 요인 중 여자는 폐경 이후 에스트로겐과 안드로젠 등 성호르몬 분비가 감소하여 근육량 소실을 유도하여 60–70대에 근감소증 유병률이 증가하지만, 남자는 여자보다 늦은 나이에 성호르몬(테스토스테론) 분비가 감소하여 80세 이후 근감소증 유병률이 급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11].
본 연구의 근감소증 유병률은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중국 65세 이상 대상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근감소증 유병률(AWGS 2019 기준, 근육량[BIA] 및 악력[3회] 또는 보행속도)이 높아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12].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근감소증 유병률이 높은 요인에 대해 중국 농촌 거주 60–89세 대상 연구에서는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건강관리를 위한 영양지식 수준이 낮음으로 인한 영향의 가능성을 제안한 바 있고[13], 중국 중장년층 대상 연구에 따르면 근감소증 환자의 경우 소득수준이 낮은 군에서 의료비 지출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여 근감소증 진단 및 관리가 어려울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14]. 또한 본 결과에서 동지역 거주자에서는 근감소증 유병률의 성별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읍면지역 거주자에서 차이가 뚜렷하였는데(남자 5.9%, 여자 14.8%), 중국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0–89세 대상 조사 결과(AWGS 2019 기준, 근육량[BIA] 및 악력[2회 이상])에서도 여자(21.7%)가 남자(12.9%)보다 더 높아 본 조사 결과와 유사하였다[15].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우리나라 65세 이상 근감소증 유병률은 7.9%로 국외에 비해 낮은 수준이지만[9], 연령이 증가할수록 근감소증이 증가하고, 특히 소득수준이 낮은 경우 근감소증에 취약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는 만성질환 관리 위주로 추진하던 보건소 어르신 방문건강관리서비스를 허약·노쇠 등 보편적 건강관리서비스 체계로 개편하여 인공지능·사물인터넷(AI·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등 지역사회 지원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16].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을 우선적으로 근감소증 조기 발견과 영양관리 프로그램(경로당·복지관 등 노인 회합형 프로그램, 방문·배달 프로그램, 요리교실 등) 및 운동을 포함한 조기 개입이 중요할 것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악력 측정과 함께 2024–2028년 이중에너지 방사선 DXA를 도입하여 더 정확한 근육량 측정을 실시하고 이를 기초로 근감소증 추이 및 관련요인을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None.
Ethics Statement: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and all subjects provided written informed consent (IRB no. 2018-01-03-4C-A).
Acknowledgments: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DYK, KWO. Data curation: DYK. Methodology: DYK, KWO. Writing – original draft: DYK. Writing – review & editing: KWO.
구분 | 전체 | 남자 | 여자 | |||||
---|---|---|---|---|---|---|---|---|
대상자 수(명) | 분율(표준오차) | 대상자 수(명) | 분율(표준오차) | 대상자 수(명) | 분율(표준오차) | |||
≥65세 | 1,462 | 16.7 (1.2) | 681 | 14.2 (1.5) | 781 | 18.8 (1.7) | ||
연령(세) | ||||||||
65–69 | 498 | 6.7 (1.4) | 233 | 6.8 (2.2)c) | 265 | 6.5 (1.7)c) | ||
70–74 | 390 | 12.9 (2.0) | 182 | 12.6 (2.9) | 208 | 13.2 (2.6) | ||
75–79 | 341 | 19.9 (2.3) | 161 | 15.5 (3.0) | 180 | 22.9 (3.4) | ||
≥80 | 233 | 40.1 (3.9) | 105 | 35.2 (5.8) | 128 | 43.3 (5.2) | ||
거주지역 | ||||||||
동 | 1,020 | 15.6 (1.4) | 475 | 13.8 (1.8) | 545 | 17.0 (1.9) | ||
읍면 | 442 | 21.1 (2.5) | 206 | 15.6 (2.7) | 236 | 25.4 (3.7) | ||
소득수준b) | ||||||||
하 | 276 | 21.8 (3.0) | 129 | 16.0 (3.3) | 147 | 26.5 (4.7) | ||
중하 | 289 | 20.4 (3.1) | 135 | 17.6 (3.9) | 154 | 22.9 (4.5) | ||
중 | 290 | 12.8 (2.3) | 137 | 11.7 (3.1)c) | 153 | 14.0 (2.9) | ||
중상 | 302 | 15.1 (2.8) | 142 | 11.6 (2.6) | 160 | 18.1 (4.5) | ||
상 | 302 | 14.9 (2.6) | 138 | 14.9 (3.9)c) | 164 | 15.0 (3.3) |
a)2022 국민건강통계 인용[8]. b)소득수준: 월가구균등화소득(월가구소득/√가구원수)을 성별‧연령별(5세 단위) 오분위로 분류. c)변동계수: 25–50%..
구 분 | 전체 | 남자 | 여자 | |||||
---|---|---|---|---|---|---|---|---|
대상자 수(명) | 분율(표준오차) | 대상자 수(명) | 분율(표준오차) | 대상자 수(명) | 분율(표준오차) | |||
≥65세 | 1,276 | 7.9 (0.8) | 605 | 6.6 (1.0) | 671 | 9.2 (1.2) | ||
연령(세) | ||||||||
65–69 | 461 | 2.7 (0.8)c) | 220 | 2.2 (1.0)c) | 241 | 3.3 (1.2)c) | ||
70–74 | 343 | 7.1 (1.4) | 163 | 5.9 (1.9)c) | 180 | 8.1 (2.1)c) | ||
75–79 | 287 | 9.9 (1.7) | 133 | 6.6 (2.0)c) | 154 | 12.8 (2.8) | ||
≥80 | 185 | 20.0 (3.3) | 89 | 18.8 (4.5) | 96 | 21.2 (5.0) | ||
거주지역 | ||||||||
동 | 910 | 7.3 (1.0) | 428 | 6.8 (1.1) | 482 | 7.7 (1.4) | ||
읍면 | 366 | 10.4 (1.7) | 177 | 5.9 (2.1)c) | 189 | 14.8 (2.5) | ||
소득수준b) | ||||||||
하 | 235 | 9.8 (2.0) | 110 | 8.2 (2.5)c) | 125 | 11.1 (2.7) | ||
중하 | 254 | 13.8 (2.4) | 123 | 10.0 (3.0)c) | 131 | 17.9 (3.8) | ||
중 | 252 | 4.6 (1.2)c) | 121 | 4.2 (1.8)c) | 131 | 5.1 (1.8)c) | ||
중상 | 271 | 5.6 (1.3) | 129 | 4.9 (1.7)c) | 142 | 6.2 (2.0)c) | ||
상 | 262 | 6.9 (1.9)c) | 122 | 6.5 (2.2)c) | 140 | 7.2 (2.5)c) |
a)2022 국민건강통계 인용[8]. b)소득수준: 월가구균등화소득(월가구소득/√가구원수)을 성별‧연령별(5세 단위) 오분위로 분류. c)변동계수: 2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