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보고

Split Viewer
ENG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8): 230-237

Published online March 2,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8.2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중국 유래의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감시 및 발생 현황 분석

김정아1, 김일환1, 노진선1, 이혁진1, 이채영1, 이은정2, 홍사현2, 장규식2, 이지은1, 남정구2, 김은진1*

1질병관리청 감염병진단분석국 신종병원체분석과, 2질병관리청 수도권질병대응센터 진단분석과

*Corresponding author: 김은진, Tel: +82-43-719-8140, E-mail: ekim@korea.kr

Received: February 2, 2023; Revised: February 3, 2023; Accepted: February 6,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022년 12월 이후 중국 내 확진자가 증가함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검역강화의 일환으로 중국에서 입국한 확진자를 대상으로 전장유전체분석 기반의 변이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국가 호흡기바이러스 통합감시를 통해 중국 유래의 확진자에서 BA.5와 BF.7을 포함하는 BA.5 세부계통이 90% 이상 확인되었고, Global Initiative on Sharing All Influenza에 중국 및 해외 각국에서 공유한 중국 유래 유전정보 분석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중국에서 BA.5와 BF.7 등 BA.5 세부계통이 확진자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유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직까지 크게 우려할 만한 변이 바이러스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질병관리청은 중국 내 확진자 증가에 따른 신규 변이 바이러스의 발생 및 국내 유입을 파악하기 위해 강화된 감시를 지속하고, 적극적인 정보공유를 통해 국제공조를 더욱 강화하고자 한다.

Keywords SARS-CoV-2, 주요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 중국

2022년 12월 중국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방역 규제 대부분을 철회하면서 중국 내의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가 급증하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1,2]. 중국 내 급격한 코로나 확산에 따른 확진자 유입과 신규 변이 바이러스 발생 및 유입 우려에 대응하기 위하여 일본,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의 국가에서 최근 중국 본토에서 출발하는 비행기 탑승객에게 출발 직전에 SARS-CoV-2 검사 후 음성확인서를 제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3,4]. 또한, 이탈리아 등에서는 중국 유래의 신규 변이 바이러스 감시를 위해 중국에서 입국한 확진자를 대상으로 변이 바이러스 분석을 확대∙강화하여 수행하고 있다[5]. 질병관리청도 검역 강화를 위해 12월 16일부터 인천공항 타겟 검역 대상국에 중국을 추가하였고, 2023년 1월 2일부터는 중국에서 입국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1일차 PCR 검사를 의무화하였으며, 변이 바이러스 감시를 위해 확진자의 분석 가능한 모든 검체에 대한 전장유전체분석을 실시하고 있다[6]. 이에, 중국에서 입국한 확진자의 양성 검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전장유전체분석 결과 및 Global Initiative on Sharing All Influenza (GISAID)에 공유된 중국 내 또는 타 국가에서 확인된 중국 유래 유전자 정보를 분석하여 최근 중국의 변이 바이러스 동향을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7].

질병관리청은 국가 호흡기바이러스 통합감시(Korea Respiratory Virus Integrated Surveillance System, K-RISS)를 운영하며, 지역사회 및 해외 유입 유래의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를 감시하고 있다[8]. K-RISS를 통해 2022년 11월부터 2023년 1월 27일까지 검역 및 지역사회에서 확인된 중국발 확진자 482명의 검체를 분석한 결과, BA.5 계열이 96.3%로 대부분이었고, 세부적으로는 BA.5가 63.7% (BA.5.2 61.5%, BA.5 1.2%), BF.7이 32.8%, BQ.1이 0.4%, BQ.1.1이 0.2%로 확인되었으며, 그 외 BN.1이 1.9%, BA.2가 1.0%, BA.2.75가 0.8%로 확인되었다(표 1). 2023년 1월 2일 이후 강화된 검역에 따라 중국의 단기체류 확진자를 대상으로 하는 변이 바이러스 분석 또한 K-RISS 내에서 수행 중으로, 1월 2일부터 24일까지 단기체류 확진자 698명 중 전장유전체분석이 가능한 95명의 검체를 분석한 결과, BA.5 계열이 93.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 중 BA.5가 51.6% (BA.5.2 51.6%), BF.7이 41.1%, BQ.1.1이 1.1%로 확인되었다. 그 외 BA.2가 3.2%, BA.2.75이 2.1%, BN.1은 1.1%의 검출률을 나타내었다(표 2). 주차별 분석 결과 BF.7이 1주차 37.5%에서 4주차에 60.0%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BA.5 (BA.5.2)는 1주차에 60.7%의 검출되었으나 4주차에는 20.0%로 감소되었다(그림 1).

국가 호흡기바이러스 통합감시(K-RISS) 중 중국발 사례 분석결과(2022.11.1–2023.1.27)
구분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 바이러스 검출률(%)
BA.5 세부계통BA.2BA.2.75BN.1
BA.5a)BF.7BQ.1BQ.1.1소계
11월 이후 중국발 사례(482건)63.732.80.40.296.31.00.81.9

K-RISS=Korea Respiratory Virus Integrated Surveillance System. a)BA.5은 세부적으로 BA.5.2 63.1%, BA.5 1.3%의 검출률을 보임.



중국발 단기체류 확진자 분석 결과(2023.1.2–24)
구분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 바이러스 검출률(%)
BA.5 세부계통BA.2BA.2.75BN.1
BA.5a)BF.7BQ.1.1소계
1월 2–24일 입국 단기체류자(95건)51.641.11.193.73.22.11.1

a)BA.5는 세부적으로 BA.5.2 63.1%의 검출률을 보임.



Figure. 1.중국발 단기체류 확진자 세부계통 점유율(2023.1.2.–24.)
SARS-CoV-2=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이와 함께 GISAID에 등록된 2022년 11월부터 2023년 1월 27일까지 중국과 관련된 7,047건의 유전자 정보를 분석한 결과 중국에서 등록한 6,285건의 서열에서는 BA.5 계열이 98.3%로 대부분이었고, 그 중 BA.5가 63.4% (BA.5.2 61.3%, BA.5 2.1%), BF.7이 32.8%, BQ.1이 0.8%, BQ.1.1이 1.2%을 차지하였다. 그 외 BA.2.75 0.3%, BN.1 0.6% 등이 확인되었고(표 3), 최근 미국 등에서 빠른 증가세를 보이며, 면역회피능 증가를 특징적으로 보이는 재조합 변이 바이러스 XBB.1.5은 12월 3건 등록된 것이 확인되었다[9]. 같은 기간 동안 한국에서 중국 유래 확진자를 분석하여 GISAID에 공유한 유전정보는 279건으로 BA.5 계열이 98.2%로 대부분이었고, 이 중 BA.5가 73.5% (BA.5.2 71.7%, BA.5 1.8%), BF.7이 24.0%, BQ.1이 0.4%, BQ.1.1이 0.4%를 차지하였다. 중국과 한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서는 총 483건의 중국 유래의 유전정보를 등록하였는데, 일본 311건, 싱가포르 89건, 프랑스 30건, 이탈리아 28건, 대만 17건, 이란 5건, 미국 3건으로 확인되었다. BA.5 계열이 97.5%를 차지하였고, 세부적으로는 BA.5가 60.5% (BA.5.2 58.2%, BA.5 2.3%), BF.7이 36.0%, BQ.1이 0.2%, BQ.1.1이 0.8%로 확인되었다. 또한 2023년 1월 25일자 WHO 주간 역학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CDC에서 제공한 9월 이후부터 수집된 18,906개의 전장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오미크론 BA.5(BA.5.2)가 70.8%, BF.7이 23.4%로 중국 내 유행하는 변이 바이러스의 대부분인 것으로 보고되었다[10].

국제인플루엔자정보공유기구(GISAID) 내 중국 관련 사례 분석결과(2022.11.1–2023.1.27)
등록 국가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바이러스 검출률(%)
BA.5 세부계통BA.2BA.2.75BN.1XBB.1.5기타
BA.5a)BF.7BQ.1BQ.1.1소계
계(7,047건)63.632.70.81.198.20.40.30.70.40.0
중국(6,285건)63.432.80.81.298.30.30.30.60.00.4
타국가(483건b))60.536.00.20.897.51.00.80.40.00.2
대한민국(279건)73.524.00.40.498.20.00.01.80.00.0

GISAID=Global Initiative on Sharing All Influenza. a)BA.5는 세부적으로 중국에서 BA.5.2 61.3%, BA.5 2.1%, 타국가에서 BA.5.2 58.2%, BA.5 2.3%. 대한민국에서 BA.5.2 71.7%, BA.5 1.8%의 검출률을 보임. b)일본 311건, 싱가폴 89건, 프랑스 30건, 이탈리아 28건, 대만 17건, 이란 5건, 미국 3건.



중국발 단기체류 확진자 분석을 포함한 K-RISS 감시결과와 GISAID에 공유된 중국 및 타국가 유전자 정보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모두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어 현재 중국 내에서는 BA.5 및 BF.7 등 BA.5 세부계통이 90% 이상을 차지하며 유행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직 국내 중국 입국 확진자에서 XBB.1.5 등 크게 우려할 만한 변이 바이러스는 아직 확인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중국 내 확진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 XBB.1.5의 확산 여부 및 신규 변이 바이러스의 발생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중국에서 온 입국자 중 확진자를 대상으로 강화된 변이 바이러스 감시를 통해 신규 변이 바이러스의 유입, 발생 및 유행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확보된 분석정보는 적극 공유함으로써 국제공조를 더욱 강화하고자 한다.

We thank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 Diagnosis Control of the 5 Regional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or support.

This study was supported by intramural funds (grant NO. 6331-301) from the KDCA.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Conceptualization: JAK. Data curation: IHK, JSN. Formal analysis: CYL, EJL, SHH, KSC. Investigation: HJL. Project administration: JER, JGN. Writing – original draft: JAK. Writing – review & editing: EJK.

  1. Li Z. How Beijing accidentally ended the zero COVID policy [Internet]. The Diplomat; 2023 [cited 2023 Jan 30].
    Available from: https://thediplomat.com/2023/01/how-beijing-accidentally-ended-the-zero-covid-policy/.
  2. China enters new phase of COVID response [Internet]. Xinhua; 2023 [cited 2023 Jan 30].
    Available from: https://english.news.cn/20230109/1521678fe36247b3959ac5bab8e496a9/c.html.
  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announces negative COVID-19 test requirement from air passengers entering the United States from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ternet]. CDC; 2022 [cited 2023 Jan 30].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media/releases/2022/p1228-COVID-china.html.
  4. Davies A, Mao F. Covid in China: US imposes Covid testing for visitors from China [Internet]. BBC; 2022 [cited 2023 Jan 30].
    Available from: https://www.bbc.com/news/world-asia-china-64111492.
  5. Ministerio della Salute (IT). Covid-19, travellers [Internet]. Ministerio della Salute (IT); 2023 [cited 2023 Jan 30].
    Available from: https://www.salute.gov.it/portale/nuovocoronavirus/dettaglioContenutiNuovoCoronavirus.jsp?lingua=english&id=5412&area=nuovoCoronavirus&menu=vuoto.
  6. S. Korea begins COVID-19 testing for arrivals from China [Internet]. Yonhap News Agency; 2023 [cited 2023 Jan 30].
    Available from: https://en.yna.co.kr/view/AEN20230102007352315.
  7. gisaid.org [Internet]. Global Initiative on Sharing Avian Influenza Data;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www.gisaid.org.
  8. Kim IH, Park AK, No JS, et al. Omicron subvariants (BQ.1, BQ.1.1, etc.) outbreak status. Public Health Wkly Rep 2022;15:2917-24.
    CrossRef
  9. World Health Organization. XBB.1.5 updated rapid risk assessment, 25 January 2023 [Interne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3 [cited 2023 Jan 30].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docs/default-source/coronaviruse/25012023xbb.1.pdf?sfvrsn=c3956081_1.
  10. World Health Organization. COVID-19 weekly epidemiological update. 127th ed.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3.

Article

현장 보고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8): 230-237

Published online March 2,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8.2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중국 유래의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감시 및 발생 현황 분석

김정아1, 김일환1, 노진선1, 이혁진1, 이채영1, 이은정2, 홍사현2, 장규식2, 이지은1, 남정구2, 김은진1*

1질병관리청 감염병진단분석국 신종병원체분석과, 2질병관리청 수도권질병대응센터 진단분석과

Received: February 2, 2023; Revised: February 3, 2023; Accepted: February 6,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2022년 12월 이후 중국 내 확진자가 증가함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검역강화의 일환으로 중국에서 입국한 확진자를 대상으로 전장유전체분석 기반의 변이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국가 호흡기바이러스 통합감시를 통해 중국 유래의 확진자에서 BA.5와 BF.7을 포함하는 BA.5 세부계통이 90% 이상 확인되었고, Global Initiative on Sharing All Influenza에 중국 및 해외 각국에서 공유한 중국 유래 유전정보 분석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중국에서 BA.5와 BF.7 등 BA.5 세부계통이 확진자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유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직까지 크게 우려할 만한 변이 바이러스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질병관리청은 중국 내 확진자 증가에 따른 신규 변이 바이러스의 발생 및 국내 유입을 파악하기 위해 강화된 감시를 지속하고, 적극적인 정보공유를 통해 국제공조를 더욱 강화하고자 한다.

Keywords: SARS-CoV-2, 주요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 중국

Body

2022년 12월 중국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방역 규제 대부분을 철회하면서 중국 내의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가 급증하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1,2]. 중국 내 급격한 코로나 확산에 따른 확진자 유입과 신규 변이 바이러스 발생 및 유입 우려에 대응하기 위하여 일본,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의 국가에서 최근 중국 본토에서 출발하는 비행기 탑승객에게 출발 직전에 SARS-CoV-2 검사 후 음성확인서를 제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3,4]. 또한, 이탈리아 등에서는 중국 유래의 신규 변이 바이러스 감시를 위해 중국에서 입국한 확진자를 대상으로 변이 바이러스 분석을 확대∙강화하여 수행하고 있다[5]. 질병관리청도 검역 강화를 위해 12월 16일부터 인천공항 타겟 검역 대상국에 중국을 추가하였고, 2023년 1월 2일부터는 중국에서 입국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1일차 PCR 검사를 의무화하였으며, 변이 바이러스 감시를 위해 확진자의 분석 가능한 모든 검체에 대한 전장유전체분석을 실시하고 있다[6]. 이에, 중국에서 입국한 확진자의 양성 검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전장유전체분석 결과 및 Global Initiative on Sharing All Influenza (GISAID)에 공유된 중국 내 또는 타 국가에서 확인된 중국 유래 유전자 정보를 분석하여 최근 중국의 변이 바이러스 동향을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7].

질병관리청은 국가 호흡기바이러스 통합감시(Korea Respiratory Virus Integrated Surveillance System, K-RISS)를 운영하며, 지역사회 및 해외 유입 유래의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를 감시하고 있다[8]. K-RISS를 통해 2022년 11월부터 2023년 1월 27일까지 검역 및 지역사회에서 확인된 중국발 확진자 482명의 검체를 분석한 결과, BA.5 계열이 96.3%로 대부분이었고, 세부적으로는 BA.5가 63.7% (BA.5.2 61.5%, BA.5 1.2%), BF.7이 32.8%, BQ.1이 0.4%, BQ.1.1이 0.2%로 확인되었으며, 그 외 BN.1이 1.9%, BA.2가 1.0%, BA.2.75가 0.8%로 확인되었다(표 1). 2023년 1월 2일 이후 강화된 검역에 따라 중국의 단기체류 확진자를 대상으로 하는 변이 바이러스 분석 또한 K-RISS 내에서 수행 중으로, 1월 2일부터 24일까지 단기체류 확진자 698명 중 전장유전체분석이 가능한 95명의 검체를 분석한 결과, BA.5 계열이 93.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 중 BA.5가 51.6% (BA.5.2 51.6%), BF.7이 41.1%, BQ.1.1이 1.1%로 확인되었다. 그 외 BA.2가 3.2%, BA.2.75이 2.1%, BN.1은 1.1%의 검출률을 나타내었다(표 2). 주차별 분석 결과 BF.7이 1주차 37.5%에서 4주차에 60.0%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BA.5 (BA.5.2)는 1주차에 60.7%의 검출되었으나 4주차에는 20.0%로 감소되었다(그림 1).

국가 호흡기바이러스 통합감시(K-RISS) 중 중국발 사례 분석결과(2022.11.1–2023.1.27)
구분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 바이러스 검출률(%)
BA.5 세부계통BA.2BA.2.75BN.1
BA.5a)BF.7BQ.1BQ.1.1소계
11월 이후 중국발 사례(482건)63.732.80.40.296.31.00.81.9

K-RISS=Korea Respiratory Virus Integrated Surveillance System. a)BA.5은 세부적으로 BA.5.2 63.1%, BA.5 1.3%의 검출률을 보임..



중국발 단기체류 확진자 분석 결과(2023.1.2–24)
구분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 바이러스 검출률(%)
BA.5 세부계통BA.2BA.2.75BN.1
BA.5a)BF.7BQ.1.1소계
1월 2–24일 입국 단기체류자(95건)51.641.11.193.73.22.11.1

a)BA.5는 세부적으로 BA.5.2 63.1%의 검출률을 보임..



Figure 1. 중국발 단기체류 확진자 세부계통 점유율(2023.1.2.–24.)
SARS-CoV-2=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이와 함께 GISAID에 등록된 2022년 11월부터 2023년 1월 27일까지 중국과 관련된 7,047건의 유전자 정보를 분석한 결과 중국에서 등록한 6,285건의 서열에서는 BA.5 계열이 98.3%로 대부분이었고, 그 중 BA.5가 63.4% (BA.5.2 61.3%, BA.5 2.1%), BF.7이 32.8%, BQ.1이 0.8%, BQ.1.1이 1.2%을 차지하였다. 그 외 BA.2.75 0.3%, BN.1 0.6% 등이 확인되었고(표 3), 최근 미국 등에서 빠른 증가세를 보이며, 면역회피능 증가를 특징적으로 보이는 재조합 변이 바이러스 XBB.1.5은 12월 3건 등록된 것이 확인되었다[9]. 같은 기간 동안 한국에서 중국 유래 확진자를 분석하여 GISAID에 공유한 유전정보는 279건으로 BA.5 계열이 98.2%로 대부분이었고, 이 중 BA.5가 73.5% (BA.5.2 71.7%, BA.5 1.8%), BF.7이 24.0%, BQ.1이 0.4%, BQ.1.1이 0.4%를 차지하였다. 중국과 한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서는 총 483건의 중국 유래의 유전정보를 등록하였는데, 일본 311건, 싱가포르 89건, 프랑스 30건, 이탈리아 28건, 대만 17건, 이란 5건, 미국 3건으로 확인되었다. BA.5 계열이 97.5%를 차지하였고, 세부적으로는 BA.5가 60.5% (BA.5.2 58.2%, BA.5 2.3%), BF.7이 36.0%, BQ.1이 0.2%, BQ.1.1이 0.8%로 확인되었다. 또한 2023년 1월 25일자 WHO 주간 역학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CDC에서 제공한 9월 이후부터 수집된 18,906개의 전장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오미크론 BA.5(BA.5.2)가 70.8%, BF.7이 23.4%로 중국 내 유행하는 변이 바이러스의 대부분인 것으로 보고되었다[10].

국제인플루엔자정보공유기구(GISAID) 내 중국 관련 사례 분석결과(2022.11.1–2023.1.27)
등록 국가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바이러스 검출률(%)
BA.5 세부계통BA.2BA.2.75BN.1XBB.1.5기타
BA.5a)BF.7BQ.1BQ.1.1소계
계(7,047건)63.632.70.81.198.20.40.30.70.40.0
중국(6,285건)63.432.80.81.298.30.30.30.60.00.4
타국가(483건b))60.536.00.20.897.51.00.80.40.00.2
대한민국(279건)73.524.00.40.498.20.00.01.80.00.0

GISAID=Global Initiative on Sharing All Influenza. a)BA.5는 세부적으로 중국에서 BA.5.2 61.3%, BA.5 2.1%, 타국가에서 BA.5.2 58.2%, BA.5 2.3%. 대한민국에서 BA.5.2 71.7%, BA.5 1.8%의 검출률을 보임. b)일본 311건, 싱가폴 89건, 프랑스 30건, 이탈리아 28건, 대만 17건, 이란 5건, 미국 3건..



중국발 단기체류 확진자 분석을 포함한 K-RISS 감시결과와 GISAID에 공유된 중국 및 타국가 유전자 정보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모두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어 현재 중국 내에서는 BA.5 및 BF.7 등 BA.5 세부계통이 90% 이상을 차지하며 유행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직 국내 중국 입국 확진자에서 XBB.1.5 등 크게 우려할 만한 변이 바이러스는 아직 확인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중국 내 확진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 XBB.1.5의 확산 여부 및 신규 변이 바이러스의 발생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중국에서 온 입국자 중 확진자를 대상으로 강화된 변이 바이러스 감시를 통해 신규 변이 바이러스의 유입, 발생 및 유행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확보된 분석정보는 적극 공유함으로써 국제공조를 더욱 강화하고자 한다.

Acknowledgments

We thank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 Diagnosis Control of the 5 Regional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or support.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This study was supported by intramural funds (grant NO. 6331-301) from the KDCA.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JAK. Data curation: IHK, JSN. Formal analysis: CYL, EJL, SHH, KSC. Investigation: HJL. Project administration: JER, JGN. Writing – original draft: JAK. Writing – review & editing: EJK.

Fig 1.

Figure 1.중국발 단기체류 확진자 세부계통 점유율(2023.1.2.–24.)
SARS-CoV-2=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230-237https://doi.org/10.56786/PHWR.2023.16.8.2
국가 호흡기바이러스 통합감시(K-RISS) 중 중국발 사례 분석결과(2022.11.1–2023.1.27)
구분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 바이러스 검출률(%)
BA.5 세부계통BA.2BA.2.75BN.1
BA.5a)BF.7BQ.1BQ.1.1소계
11월 이후 중국발 사례(482건)63.732.80.40.296.31.00.81.9

K-RISS=Korea Respiratory Virus Integrated Surveillance System. a)BA.5은 세부적으로 BA.5.2 63.1%, BA.5 1.3%의 검출률을 보임..


중국발 단기체류 확진자 분석 결과(2023.1.2–24)
구분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 바이러스 검출률(%)
BA.5 세부계통BA.2BA.2.75BN.1
BA.5a)BF.7BQ.1.1소계
1월 2–24일 입국 단기체류자(95건)51.641.11.193.73.22.11.1

a)BA.5는 세부적으로 BA.5.2 63.1%의 검출률을 보임..


국제인플루엔자정보공유기구(GISAID) 내 중국 관련 사례 분석결과(2022.11.1–2023.1.27)
등록 국가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바이러스 검출률(%)
BA.5 세부계통BA.2BA.2.75BN.1XBB.1.5기타
BA.5a)BF.7BQ.1BQ.1.1소계
계(7,047건)63.632.70.81.198.20.40.30.70.40.0
중국(6,285건)63.432.80.81.298.30.30.30.60.00.4
타국가(483건b))60.536.00.20.897.51.00.80.40.00.2
대한민국(279건)73.524.00.40.498.20.00.01.80.00.0

GISAID=Global Initiative on Sharing All Influenza. a)BA.5는 세부적으로 중국에서 BA.5.2 61.3%, BA.5 2.1%, 타국가에서 BA.5.2 58.2%, BA.5 2.3%. 대한민국에서 BA.5.2 71.7%, BA.5 1.8%의 검출률을 보임. b)일본 311건, 싱가폴 89건, 프랑스 30건, 이탈리아 28건, 대만 17건, 이란 5건, 미국 3건..


References

  1. Li Z. How Beijing accidentally ended the zero COVID policy [Internet]. The Diplomat; 2023 [cited 2023 Jan 30]. Available from: https://thediplomat.com/2023/01/how-beijing-accidentally-ended-the-zero-covid-policy/.
  2. China enters new phase of COVID response [Internet]. Xinhua; 2023 [cited 2023 Jan 30]. Available from: https://english.news.cn/20230109/1521678fe36247b3959ac5bab8e496a9/c.html.
  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announces negative COVID-19 test requirement from air passengers entering the United States from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ternet]. CDC; 2022 [cited 2023 Jan 30].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media/releases/2022/p1228-COVID-china.html.
  4. Davies A, Mao F. Covid in China: US imposes Covid testing for visitors from China [Internet]. BBC; 2022 [cited 2023 Jan 30]. Available from: https://www.bbc.com/news/world-asia-china-64111492.
  5. Ministerio della Salute (IT). Covid-19, travellers [Internet]. Ministerio della Salute (IT); 2023 [cited 2023 Jan 30]. Available from: https://www.salute.gov.it/portale/nuovocoronavirus/dettaglioContenutiNuovoCoronavirus.jsp?lingua=english&id=5412&area=nuovoCoronavirus&menu=vuoto.
  6. S. Korea begins COVID-19 testing for arrivals from China [Internet]. Yonhap News Agency; 2023 [cited 2023 Jan 30]. Available from: https://en.yna.co.kr/view/AEN20230102007352315.
  7. gisaid.org [Internet]. Global Initiative on Sharing Avian Influenza Data;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www.gisaid.org.
  8. Kim IH, Park AK, No JS, et al. Omicron subvariants (BQ.1, BQ.1.1, etc.) outbreak status. Public Health Wkly Rep 2022;15:2917-24.
    CrossRef
  9. World Health Organization. XBB.1.5 updated rapid risk assessment, 25 January 2023 [Interne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3 [cited 2023 Jan 30].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docs/default-source/coronaviruse/25012023xbb.1.pdf?sfvrsn=c3956081_1.
  10. World Health Organization. COVID-19 weekly epidemiological update. 127th ed.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3.
PHWR
Sep 21, 2023 Vol.16 No.37
pp. 1275~1287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 주간 건강과 질병
PUBLIC HEALTH WEEKLY REPORT
질병관리청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eISSN 2586-0860
pISSN 2005-81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