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보고

Split Viewer
ENG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36): 1548-1562

Published online August 8, 2024

https://doi.org/10.56786/PHWR.2024.17.36.3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2023년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 소개

허효진1, 오영아2, 김윤정2, 박은미1, 김희숙1, 이상혁1, 김인호1, 여상구1*

1질병관리청 감염병위기관리국 신종감염병대응과, 2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

*Corresponding author: 여상구, Tel: +82-43-719-9100, E-mail: yeosg@korea.kr

Received: July 8, 2024; Revised: August 5, 2024; Accepted: August 6, 2024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질병관리청은 2015년부터 국립중앙의료원에 위탁하여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본 사업은 의료기관 종사자 및 초동대응요원을 대상으로 감염병 대응 기본 교육, 개인보호구 착‧탈의, 모의훈련 등 이론과 실습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교육생들이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발생 시 초기 대처가 가능하고 대응 전략을 주도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중점으로 하는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 사업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Keywords 신종감염병, 생물테러감염병, 전문요원 교육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2015년부터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 사업이 수행되고 있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개인보호구 착∙탈의 실습과 모의훈련 과정을 통해 교육생들의 실전 대응 역량을 향상시키고, 2022년부터 현장탐방 과정이 신설되어 감염병 대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다.

③ 시사점은?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의 높은 만족도와 수요도를 고려하여, 지속적인 교육 운영과 장기적으로 훈련 대상 인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 2015년 메르스,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2022년 엠폭스 등 감염병의 전 세계적인 유행은 심각한 공중보건 위협을 야기하고 있다[1]. 기후변화, 국가 간 교류 활성화, 해외여행 증가 등 여러 요인으로 신종감염병이 발생하여 국내에 유입될 위험은 항상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예상치 못한 시기에 발생하여 빠르게 확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2]. 2015년 메르스 이후 의료기관 내 감염병 관리와 대응 역량 강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광범위한 경제적, 사회적 혼란을 경험하면서 이러한 역량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감염병 재난상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실제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의료진들의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 사업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질병관리청은 2015년부터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 사업을 국립중앙의료원에 위탁하여 매년 추진하고 있으며, 2022년부터 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안정적인 지원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민간경상보조사업으로 변경하였다.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현장대응능력을 갖춘 의료기관 종사자 및 초동대응요원 양성과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목표로 전년도 교육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매년 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질 관리를 실시하며,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에 대비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2022년, 2023년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과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1. 사업 수행체계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 사업은 질병관리청의 위탁을 받아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훈련센터에서 수행하고 있다.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제20조에 의해 설립된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는 공공보건의료 교육∙훈련 전문기관으로서 교육생을 모집하고, 내∙외부 전문가와 협력하여 교육 커리큘럼 개발, 강사진 구성, 교육 실시 및 평가를 시행하고 있으며, 교육 종료 후 만족도 및 현업적용도 평가 결과 등을 분석하여 사업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그림 1).

Figure. 1.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 사업 수행체계

2. 교육 대상자

교육 대상기관인 지방의료원 및 적십자병원,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 운영 의료기관, 감염병 전담병원, 국립대학병원, 국‧공립병원, 민간의료기관, 초동대응기관(보건소, 검역소, 소방, 군 등)에 교육과정을 안내하여, 기관별로 교육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국가지정격리병상, 공공의료기관 의료진을 우선으로 지역과 기관 분포의 다양성을 고려하였고, 주요 교육 대상자는 의료기관 종사자로, 관련 유관기관 연계 및 협력 등을 위해 초동대응요원도 일부 선발하였으며, 각 과정별로 신청인원이 초과할 경우, 교육 참여기회를 평등하게 제공하기 위해 신청 기관별 1–2명 이내로 선발하였다.

2022년에는 교육 신청자의 42.4%인 210명(의사 14명, 간호사 139명, 의료기사 2명, 응급구조사 1명, 기타[소방, 군, 보건소 등] 54명)이 수료하였으며, 2023년에는 신청자의 29.5%인 166명(의사 7명, 간호사 127명, 의료기사 3명, 응급구조사 5명, 기타[소방, 군, 보건소 등] 24명)이 수료하였다(표 1). 교육 훈련생의 성별 분포를 살펴보면, 여성(2022년 69.5%, 2023년 75.9%)이 남성(2022년 30.5%, 2023년 24.1%)보다 많았고, 연령은 30대(2022년 50.0%, 2023년 47.0%)가 비중이 높고, 근무기간은 1년 이상 5년 미만(2022년 35.7%, 2023년 57.2%)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2).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과정 참여 현황
구분2022년2023년
모집신청수료공공
의료기관
민간
의료기관
초동
대응기관
모집신청수료공공
의료기관
민간
의료기관
초동
대응기관
전체210495210123780162549166903046
기본 교육
신종감염병 대응을 위한 역량강화과정11224011368243642466438620
국내 생물테러 대응을 위한 역량강화과정281423818020321734019615
현장에 답이 있다! 현장탐방과정145714905185517746
심화 교육
응급실 맞춤형 신종감염병 심화과정a),b)1413128131618131210
간호사를 위한 신종감염병 심화과정a)1422151104------
의사를 위한 신종감염병 심화과정a)1496510------
강사 양성과정a)141212435------
신종감염병 대응을 위한 모의훈련과정b)------162217890
신종감염병 대응 전문가 과정b)------163515645

단위: 명. a)2022년 교육과정. b)2023년 교육과정.



교육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구 분2022년(n=210)2023년(n=166)
성별
남성64 (30.5)40 (24.1)
여성146 (69.5)126 (75.9)
연령(세)
19–2957 (27.1)35 (21.1)
30–39105 (50.0)78 (47.0)
40–4933 (15.7)40 (24.1)
≥5015 (7.1)13 (7.8)
근무기간(년)
<126 (12.4)34 (20.5)
1–475 (35.7)95 (57.2)
5–953 (25.2)25 (15.1)
10–1418 (8.6)8 (4.8)
≥1538 (18.1)4 (2.4)

단위: 명(%).



3. 교육과정

교육과정은 감염병 현장 대응 실습 위주의 기본 교육과 문제해결형 심화 교육으로 나누어 실시하고 있다. 교육은 국립중앙의료원 의료진, 의과대학 및 간호대학 교수 등으로 구성한 전문 강사진이 진행하며, 2022년은 전체 7개 과정 15회, 2023년은 전체 6개 과정 10회로 구성하였고, 각 과정 회차별로 교육생을 모집하여 진행하였다[3,4].

기본 교육은 2박 3일 일정으로 신종감염병 역량강화과정, 생물테러 역량강화과정, 현장탐방과정 총 3개 공통 과정으로 신종감염병 및 생물테러 역량강화과정은 1일차 이론 교육, 2일차 개인보호구 착‧탈의 실습 교육, 3일차에는 평가를 실시하며, 현장탐방과정은 각 일정별로 관련 기관을 방문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1일차 신종감염병 역량강화과정 이론 교육에서는 신종감염병 총론(감염병의 종류, 특징, 최신 동향 등), 신종감염병 특성, 전파경로, 사람별(환자, 이송요원, 의료진) 감염관리의 기본원칙, 감염병위기 국가대응체계 이해와 감염병 유행 시 관련 지침과 법령을 교육하였고, 생물테러 역량강화과정 이론 교육에서는 생물테러 관련 법령 및 테러 유형, 생물테러 병원체 및 감염병 특성, 진단, 치료방법, 생물테러 대응체계, 생물테러 유형별 대처방안을 교육하였다.

2일차 실습 교육에서는 개인보호구 종류와 기능, 착‧탈의 원칙, 주의사항에 대한 이론을 교육한 후, 교육생의 이해를 위해 1명의 강사의 장갑, 덧신, 마스크, 분리 후드, 고글, 안면보호구, 전신보호복 등 착‧탈의에 대한 설명에 맞추어 다른 1명의 강사가 시연을 보이는 방식으로 교육하였다. 신종감염병 역량강화과정에서는 교육생들이 Level C 보호구의 착∙탈의 실습을 수행하여 착∙탈의 순서를 숙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생물테러 역량강화과정에서는 생물테러 보호 장비 규격에 대한 교육과 완전밀폐형 생물∙화학보호복인 Level A 보호구의 착‧탈의 시연을 보고 실습을 수행하였다. 두 과정 모두 실전 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6–8명씩 조별로 국립중앙의료원 격리병동에서 환자 발생과 사망을 가정하여 대응 방안을 수립하고, 수립한 방안에 따라 개인보호구 착의 후 사체처리, 폐기물처리, 환경소독을 수행하는 실습을 진행하고 강사의 피드백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토론하였다.

3일차 신종감염병 역량강화과정 평가에서는 학습한 내용에 대한 지필평가, 개인보호구 착‧탈의 실기평가, 교육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고, 생물테러 역량강화과정 평가에서는 교육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현장탐방과정은 2022년 신설된 교육과정으로 질병관리청 긴급 상황실, 국립보건연구원,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 인천공항검역소, 보건소 등 정부기관과 권역 및 지역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각 기관의 유기적인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감염병 환자 발생 시 수행하는 역할과 감염병 대응 경험을 공유하여 교육생들의 업무효능감을 높이고, 각자의 소속기관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감염병 대응 방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심화 교육은 2022년은 직군별(응급실, 간호사, 의사) 신종감염병 심화과정, 강사양성과정 총 4개 과정으로 구성되었고, 2023년은 응급실 신종감염병 심화과정, 신종감염병 대응 모의훈련과정, 전문가 양성과정 총 3개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각 과정별로 교육 대상자와 교육 내용의 차이는 있으나, 심화 교육에서는 단순 실습 위주 교육에서 모의훈련과 강평(debriefing) 과정이 추가되었다. 모의훈련과 강평 과정은 의료기관 내 신종감염병 환자 발생 가상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토론을 통한 자원 배분, 환자 관리 방안 수립 등 대응 전략 수립하거나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후 훈련 피드백을 통해 대응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으로 교육생들이 실제 감염병 발생 시 병원 내에서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그림 2).

Figure. 2.교육과정
(A) 이론 교육. (B) Level C 착‧탈의 실습. (C) Level A 착‧탈의 실습. (D) 사체처리 실습. (E) 모의 도상훈련. (F) 실기 평가.

4. 교육평가

교육평가는 전체 교육생 수가 가장 많은 기초과정인 신종감염병 역량강화과정 교육생을 대상으로 Kirkpatrick 4단계 평가모형(반응, 학습, 행동, 결과) 중 1–3단계 모형으로 평가하였다(표 3) [5].

신종감염병 역량강화과정 평가 결과
구분2022년2023년평가 방법
1단계: 반응
교육 주제84.082.8만족도 조사
교육 내용79.275.0
강사진88.781.3
2단계: 이론 학습
지식 향상22.220.0사전, 사후 평가
학업 성취57.448.1
2단계: 실기 학습a)
개인보호구 착‧탈의26.523.4체크리스트
3단계: 행동b)
교육 만족77.1-교육 종료 후, 평가
현업 적용82.8-

단위: %. a)재시험율. b)2023 평가 진행 중.



1단계 반응(reaction)은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생의 반응을 평가하는 단계로 교육과정 종료 후 교육 내용의 적절성, 강사진 역량 등 교육 만족도를 설문조사 방법으로 평가한다. 교육 대상자의 만족도 조사 결과, 교육 내용에 대해 2022년 84.0%, 2023년 82.8%가 교육 주제와 적합하다고 하였고, 2022년 79.2%, 2023년 75.0%가 실제 업무 수행에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고 하였으며, 강사진에 대해 2022년 88.7%, 2023년 81.3%가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 학습(learning)은 교육을 통해 교육생의 지식, 기술, 태도 향상을 평가하는 단계로 이론과 실기를 복합적으로 평가한다. 이론평가는 강사진들이 교육 내용에 맞는 문제를 출제하고, 출제한 문항 중 교육생들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약 20개 미만의 문항을 선별하여 교육 전후로 평가하였다. 신종감염병에 대한 지식 향상도는 2022년 22.2%, 2023년 20.0% 향상되었고, 학업성취도는 2022년 57.4%, 2023년 48.1%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기평가는 개인보호구 착‧탈의 평가로 개인보호구 착‧탈의 기준 66개 중 90% 이상을 순서대로 수행했는지 여부와 자외선 감광물질 도포를 통한 노출 여부를 체크리스트를 통해 평가하며, 기준을 넘지 못하는 경우 재시험의 기회를 최대 3회 부여한다. 실기평가 결과, 전체 교육생 중 1차 평가에 통과하지 못한 교육생이 2022년 26.5%, 2023년 23.4%였으나, 최종적으로 100% 실기평가를 통과하였다.

3단계 행동(behavior)은 교육이 종료된 날로부터 일정 기간이 지난 후 교육생이 교육받은 내용을 실제 업무에서 적용하는지 행동 변화를 평가하는 단계로 교육 만족도, 교육목표에 근거한 핵심역량 적용, 현업적용 여부, 적용 사례 등을 평가한다. 신종감염병 역량강화과정 교육 종료 후 최대 10개월 이내에 현업 적용도 평가를 실시한 결과, 2022년 평가에서는 교육 대상자의 77.1%가 교육에 대해 매우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며, 82.8%가 대부분 또는 대체로 교육 내용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핵심역량 중 하나인 개인보호구 착용 및 탈의 기술은 소속 기관의 교육에 활용되었거나, 주변 동료에게 전파된 사례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교육생의 만족도 평가와 자문위원의 사업 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교육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을 해나가고 있다.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과정의 이론 교육과 실습 교육의 적절한 구성은 교육 대상자인 의료기관 및 초동대응기관 종사자들에게 기본적인 감염병 대응 역량을 증진시키고자 운영되어 왔으며, 모의훈련을 통해 실제 상황에서의 대응 능력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교육생들의 실제 업무현장에서 교육 내용 적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교육과정의 효과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교육 수강 기회가 한정된 것에 비해 교육생의 수요가 많아 교육 신청자의 2022년, 2023년 평균 36.0%에게만 교육이 제공되었으며, 이는 지속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장기적인 예산 확대를 통한 교육 대상자 증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향후에도 질병관리청은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양성 목표를 달성하고, 공공의료기관 등 의료진의 감염병 대응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HJH, YAO, IHK, SGY. Data curation: HJH, YJK. Formal analysis: SHL. Project administration: HJH, YJK, HSK. Resources: HSK, EMP. Supervision: SGY. Validation: YAO, IHK. Visualization: YJK, EMP, SHL. Writing – original draft: HJH. Writing – review & editing: YAO, HSK, IHK, SGY.

  1. Hui DS, I Azhar E, Madani TA, et al. The continuing 2019-nCoV epidemic threat of novel coronaviruses to global health - The latest 2019 novel coronavirus outbreak in Wuhan, China. Int J Infect Dis 2020;91:264-6.
    Pubmed KoreaMed CrossRef
  2. Brooks SK, Greenberg N, Wessely S, Rubin GJ. Factors affecting healthcare workers' compliance with social and behavioural infection control measures during emerging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rapid evidence review. BMJ Open 2021;11:e049857.
    Pubmed KoreaMed CrossRef
  3.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2022 Training program for healthcare workers in emerging and bioterrorism-related infectious diseases: results report. KDCA, Cheongju, 2023 Jan.
  4.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2023 Training program for healthcare workers in emerging and bioterrorism-related infectious diseases: results report. KDCA, Cheongju, 2024 Jan.
  5. Kirkpatrick JD, Kirkpatrick WK. Kirkpatrick's four levels of training evaluation. ATD Press; 2016.
    CrossRef

Article

정책보고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36): 1548-1562

Published online September 12, 2024 https://doi.org/10.56786/PHWR.2024.17.36.3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2023년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 소개

허효진1, 오영아2, 김윤정2, 박은미1, 김희숙1, 이상혁1, 김인호1, 여상구1*

1질병관리청 감염병위기관리국 신종감염병대응과, 2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

Received: July 8, 2024; Revised: August 5, 2024; Accepted: August 6, 2024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질병관리청은 2015년부터 국립중앙의료원에 위탁하여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본 사업은 의료기관 종사자 및 초동대응요원을 대상으로 감염병 대응 기본 교육, 개인보호구 착‧탈의, 모의훈련 등 이론과 실습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교육생들이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발생 시 초기 대처가 가능하고 대응 전략을 주도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중점으로 하는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 사업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Keywords: 신종감염병, 생물테러감염병, 전문요원 교육

서 론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2015년부터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 사업이 수행되고 있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개인보호구 착∙탈의 실습과 모의훈련 과정을 통해 교육생들의 실전 대응 역량을 향상시키고, 2022년부터 현장탐방 과정이 신설되어 감염병 대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다.

③ 시사점은?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의 높은 만족도와 수요도를 고려하여, 지속적인 교육 운영과 장기적으로 훈련 대상 인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 2015년 메르스,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2022년 엠폭스 등 감염병의 전 세계적인 유행은 심각한 공중보건 위협을 야기하고 있다[1]. 기후변화, 국가 간 교류 활성화, 해외여행 증가 등 여러 요인으로 신종감염병이 발생하여 국내에 유입될 위험은 항상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예상치 못한 시기에 발생하여 빠르게 확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2]. 2015년 메르스 이후 의료기관 내 감염병 관리와 대응 역량 강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광범위한 경제적, 사회적 혼란을 경험하면서 이러한 역량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감염병 재난상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실제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의료진들의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 사업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질병관리청은 2015년부터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 사업을 국립중앙의료원에 위탁하여 매년 추진하고 있으며, 2022년부터 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안정적인 지원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민간경상보조사업으로 변경하였다.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현장대응능력을 갖춘 의료기관 종사자 및 초동대응요원 양성과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목표로 전년도 교육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매년 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질 관리를 실시하며,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에 대비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2022년, 2023년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과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본 론

1. 사업 수행체계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 사업은 질병관리청의 위탁을 받아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훈련센터에서 수행하고 있다.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제20조에 의해 설립된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는 공공보건의료 교육∙훈련 전문기관으로서 교육생을 모집하고, 내∙외부 전문가와 협력하여 교육 커리큘럼 개발, 강사진 구성, 교육 실시 및 평가를 시행하고 있으며, 교육 종료 후 만족도 및 현업적용도 평가 결과 등을 분석하여 사업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그림 1).

Figure 1.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 사업 수행체계

2. 교육 대상자

교육 대상기관인 지방의료원 및 적십자병원,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 운영 의료기관, 감염병 전담병원, 국립대학병원, 국‧공립병원, 민간의료기관, 초동대응기관(보건소, 검역소, 소방, 군 등)에 교육과정을 안내하여, 기관별로 교육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국가지정격리병상, 공공의료기관 의료진을 우선으로 지역과 기관 분포의 다양성을 고려하였고, 주요 교육 대상자는 의료기관 종사자로, 관련 유관기관 연계 및 협력 등을 위해 초동대응요원도 일부 선발하였으며, 각 과정별로 신청인원이 초과할 경우, 교육 참여기회를 평등하게 제공하기 위해 신청 기관별 1–2명 이내로 선발하였다.

2022년에는 교육 신청자의 42.4%인 210명(의사 14명, 간호사 139명, 의료기사 2명, 응급구조사 1명, 기타[소방, 군, 보건소 등] 54명)이 수료하였으며, 2023년에는 신청자의 29.5%인 166명(의사 7명, 간호사 127명, 의료기사 3명, 응급구조사 5명, 기타[소방, 군, 보건소 등] 24명)이 수료하였다(표 1). 교육 훈련생의 성별 분포를 살펴보면, 여성(2022년 69.5%, 2023년 75.9%)이 남성(2022년 30.5%, 2023년 24.1%)보다 많았고, 연령은 30대(2022년 50.0%, 2023년 47.0%)가 비중이 높고, 근무기간은 1년 이상 5년 미만(2022년 35.7%, 2023년 57.2%)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2).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과정 참여 현황
구분2022년2023년
모집신청수료공공
의료기관
민간
의료기관
초동
대응기관
모집신청수료공공
의료기관
민간
의료기관
초동
대응기관
전체210495210123780162549166903046
기본 교육
신종감염병 대응을 위한 역량강화과정11224011368243642466438620
국내 생물테러 대응을 위한 역량강화과정281423818020321734019615
현장에 답이 있다! 현장탐방과정145714905185517746
심화 교육
응급실 맞춤형 신종감염병 심화과정a),b)1413128131618131210
간호사를 위한 신종감염병 심화과정a)1422151104------
의사를 위한 신종감염병 심화과정a)1496510------
강사 양성과정a)141212435------
신종감염병 대응을 위한 모의훈련과정b)------162217890
신종감염병 대응 전문가 과정b)------163515645

단위: 명. a)2022년 교육과정. b)2023년 교육과정..



교육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구 분2022년(n=210)2023년(n=166)
성별
남성64 (30.5)40 (24.1)
여성146 (69.5)126 (75.9)
연령(세)
19–2957 (27.1)35 (21.1)
30–39105 (50.0)78 (47.0)
40–4933 (15.7)40 (24.1)
≥5015 (7.1)13 (7.8)
근무기간(년)
<126 (12.4)34 (20.5)
1–475 (35.7)95 (57.2)
5–953 (25.2)25 (15.1)
10–1418 (8.6)8 (4.8)
≥1538 (18.1)4 (2.4)

단위: 명(%)..



3. 교육과정

교육과정은 감염병 현장 대응 실습 위주의 기본 교육과 문제해결형 심화 교육으로 나누어 실시하고 있다. 교육은 국립중앙의료원 의료진, 의과대학 및 간호대학 교수 등으로 구성한 전문 강사진이 진행하며, 2022년은 전체 7개 과정 15회, 2023년은 전체 6개 과정 10회로 구성하였고, 각 과정 회차별로 교육생을 모집하여 진행하였다[3,4].

기본 교육은 2박 3일 일정으로 신종감염병 역량강화과정, 생물테러 역량강화과정, 현장탐방과정 총 3개 공통 과정으로 신종감염병 및 생물테러 역량강화과정은 1일차 이론 교육, 2일차 개인보호구 착‧탈의 실습 교육, 3일차에는 평가를 실시하며, 현장탐방과정은 각 일정별로 관련 기관을 방문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1일차 신종감염병 역량강화과정 이론 교육에서는 신종감염병 총론(감염병의 종류, 특징, 최신 동향 등), 신종감염병 특성, 전파경로, 사람별(환자, 이송요원, 의료진) 감염관리의 기본원칙, 감염병위기 국가대응체계 이해와 감염병 유행 시 관련 지침과 법령을 교육하였고, 생물테러 역량강화과정 이론 교육에서는 생물테러 관련 법령 및 테러 유형, 생물테러 병원체 및 감염병 특성, 진단, 치료방법, 생물테러 대응체계, 생물테러 유형별 대처방안을 교육하였다.

2일차 실습 교육에서는 개인보호구 종류와 기능, 착‧탈의 원칙, 주의사항에 대한 이론을 교육한 후, 교육생의 이해를 위해 1명의 강사의 장갑, 덧신, 마스크, 분리 후드, 고글, 안면보호구, 전신보호복 등 착‧탈의에 대한 설명에 맞추어 다른 1명의 강사가 시연을 보이는 방식으로 교육하였다. 신종감염병 역량강화과정에서는 교육생들이 Level C 보호구의 착∙탈의 실습을 수행하여 착∙탈의 순서를 숙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생물테러 역량강화과정에서는 생물테러 보호 장비 규격에 대한 교육과 완전밀폐형 생물∙화학보호복인 Level A 보호구의 착‧탈의 시연을 보고 실습을 수행하였다. 두 과정 모두 실전 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6–8명씩 조별로 국립중앙의료원 격리병동에서 환자 발생과 사망을 가정하여 대응 방안을 수립하고, 수립한 방안에 따라 개인보호구 착의 후 사체처리, 폐기물처리, 환경소독을 수행하는 실습을 진행하고 강사의 피드백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토론하였다.

3일차 신종감염병 역량강화과정 평가에서는 학습한 내용에 대한 지필평가, 개인보호구 착‧탈의 실기평가, 교육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고, 생물테러 역량강화과정 평가에서는 교육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현장탐방과정은 2022년 신설된 교육과정으로 질병관리청 긴급 상황실, 국립보건연구원,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 인천공항검역소, 보건소 등 정부기관과 권역 및 지역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각 기관의 유기적인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감염병 환자 발생 시 수행하는 역할과 감염병 대응 경험을 공유하여 교육생들의 업무효능감을 높이고, 각자의 소속기관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감염병 대응 방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심화 교육은 2022년은 직군별(응급실, 간호사, 의사) 신종감염병 심화과정, 강사양성과정 총 4개 과정으로 구성되었고, 2023년은 응급실 신종감염병 심화과정, 신종감염병 대응 모의훈련과정, 전문가 양성과정 총 3개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각 과정별로 교육 대상자와 교육 내용의 차이는 있으나, 심화 교육에서는 단순 실습 위주 교육에서 모의훈련과 강평(debriefing) 과정이 추가되었다. 모의훈련과 강평 과정은 의료기관 내 신종감염병 환자 발생 가상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토론을 통한 자원 배분, 환자 관리 방안 수립 등 대응 전략 수립하거나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후 훈련 피드백을 통해 대응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으로 교육생들이 실제 감염병 발생 시 병원 내에서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그림 2).

Figure 2. 교육과정
(A) 이론 교육. (B) Level C 착‧탈의 실습. (C) Level A 착‧탈의 실습. (D) 사체처리 실습. (E) 모의 도상훈련. (F) 실기 평가.

4. 교육평가

교육평가는 전체 교육생 수가 가장 많은 기초과정인 신종감염병 역량강화과정 교육생을 대상으로 Kirkpatrick 4단계 평가모형(반응, 학습, 행동, 결과) 중 1–3단계 모형으로 평가하였다(표 3) [5].

신종감염병 역량강화과정 평가 결과
구분2022년2023년평가 방법
1단계: 반응
교육 주제84.082.8만족도 조사
교육 내용79.275.0
강사진88.781.3
2단계: 이론 학습
지식 향상22.220.0사전, 사후 평가
학업 성취57.448.1
2단계: 실기 학습a)
개인보호구 착‧탈의26.523.4체크리스트
3단계: 행동b)
교육 만족77.1-교육 종료 후, 평가
현업 적용82.8-

단위: %. a)재시험율. b)2023 평가 진행 중..



1단계 반응(reaction)은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생의 반응을 평가하는 단계로 교육과정 종료 후 교육 내용의 적절성, 강사진 역량 등 교육 만족도를 설문조사 방법으로 평가한다. 교육 대상자의 만족도 조사 결과, 교육 내용에 대해 2022년 84.0%, 2023년 82.8%가 교육 주제와 적합하다고 하였고, 2022년 79.2%, 2023년 75.0%가 실제 업무 수행에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고 하였으며, 강사진에 대해 2022년 88.7%, 2023년 81.3%가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 학습(learning)은 교육을 통해 교육생의 지식, 기술, 태도 향상을 평가하는 단계로 이론과 실기를 복합적으로 평가한다. 이론평가는 강사진들이 교육 내용에 맞는 문제를 출제하고, 출제한 문항 중 교육생들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약 20개 미만의 문항을 선별하여 교육 전후로 평가하였다. 신종감염병에 대한 지식 향상도는 2022년 22.2%, 2023년 20.0% 향상되었고, 학업성취도는 2022년 57.4%, 2023년 48.1%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기평가는 개인보호구 착‧탈의 평가로 개인보호구 착‧탈의 기준 66개 중 90% 이상을 순서대로 수행했는지 여부와 자외선 감광물질 도포를 통한 노출 여부를 체크리스트를 통해 평가하며, 기준을 넘지 못하는 경우 재시험의 기회를 최대 3회 부여한다. 실기평가 결과, 전체 교육생 중 1차 평가에 통과하지 못한 교육생이 2022년 26.5%, 2023년 23.4%였으나, 최종적으로 100% 실기평가를 통과하였다.

3단계 행동(behavior)은 교육이 종료된 날로부터 일정 기간이 지난 후 교육생이 교육받은 내용을 실제 업무에서 적용하는지 행동 변화를 평가하는 단계로 교육 만족도, 교육목표에 근거한 핵심역량 적용, 현업적용 여부, 적용 사례 등을 평가한다. 신종감염병 역량강화과정 교육 종료 후 최대 10개월 이내에 현업 적용도 평가를 실시한 결과, 2022년 평가에서는 교육 대상자의 77.1%가 교육에 대해 매우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며, 82.8%가 대부분 또는 대체로 교육 내용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핵심역량 중 하나인 개인보호구 착용 및 탈의 기술은 소속 기관의 교육에 활용되었거나, 주변 동료에게 전파된 사례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교육생의 만족도 평가와 자문위원의 사업 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교육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을 해나가고 있다.

결 론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과정의 이론 교육과 실습 교육의 적절한 구성은 교육 대상자인 의료기관 및 초동대응기관 종사자들에게 기본적인 감염병 대응 역량을 증진시키고자 운영되어 왔으며, 모의훈련을 통해 실제 상황에서의 대응 능력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교육생들의 실제 업무현장에서 교육 내용 적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교육과정의 효과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교육 수강 기회가 한정된 것에 비해 교육생의 수요가 많아 교육 신청자의 2022년, 2023년 평균 36.0%에게만 교육이 제공되었으며, 이는 지속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장기적인 예산 확대를 통한 교육 대상자 증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향후에도 질병관리청은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양성 목표를 달성하고, 공공의료기관 등 의료진의 감염병 대응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Declarations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HJH, YAO, IHK, SGY. Data curation: HJH, YJK. Formal analysis: SHL. Project administration: HJH, YJK, HSK. Resources: HSK, EMP. Supervision: SGY. Validation: YAO, IHK. Visualization: YJK, EMP, SHL. Writing – original draft: HJH. Writing – review & editing: YAO, HSK, IHK, SGY.

Fig 1.

Figure 1.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 사업 수행체계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 1548-1562https://doi.org/10.56786/PHWR.2024.17.36.3

Fig 2.

Figure 2.교육과정
(A) 이론 교육. (B) Level C 착‧탈의 실습. (C) Level A 착‧탈의 실습. (D) 사체처리 실습. (E) 모의 도상훈련. (F) 실기 평가.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 1548-1562https://doi.org/10.56786/PHWR.2024.17.36.3
신종 및 생물테러감염병 대응 전문요원 교육과정 참여 현황
구분2022년2023년
모집신청수료공공
의료기관
민간
의료기관
초동
대응기관
모집신청수료공공
의료기관
민간
의료기관
초동
대응기관
전체210495210123780162549166903046
기본 교육
신종감염병 대응을 위한 역량강화과정11224011368243642466438620
국내 생물테러 대응을 위한 역량강화과정281423818020321734019615
현장에 답이 있다! 현장탐방과정145714905185517746
심화 교육
응급실 맞춤형 신종감염병 심화과정a),b)1413128131618131210
간호사를 위한 신종감염병 심화과정a)1422151104------
의사를 위한 신종감염병 심화과정a)1496510------
강사 양성과정a)141212435------
신종감염병 대응을 위한 모의훈련과정b)------162217890
신종감염병 대응 전문가 과정b)------163515645

단위: 명. a)2022년 교육과정. b)2023년 교육과정..


교육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구 분2022년(n=210)2023년(n=166)
성별
남성64 (30.5)40 (24.1)
여성146 (69.5)126 (75.9)
연령(세)
19–2957 (27.1)35 (21.1)
30–39105 (50.0)78 (47.0)
40–4933 (15.7)40 (24.1)
≥5015 (7.1)13 (7.8)
근무기간(년)
<126 (12.4)34 (20.5)
1–475 (35.7)95 (57.2)
5–953 (25.2)25 (15.1)
10–1418 (8.6)8 (4.8)
≥1538 (18.1)4 (2.4)

단위: 명(%)..


신종감염병 역량강화과정 평가 결과
구분2022년2023년평가 방법
1단계: 반응
교육 주제84.082.8만족도 조사
교육 내용79.275.0
강사진88.781.3
2단계: 이론 학습
지식 향상22.220.0사전, 사후 평가
학업 성취57.448.1
2단계: 실기 학습a)
개인보호구 착‧탈의26.523.4체크리스트
3단계: 행동b)
교육 만족77.1-교육 종료 후, 평가
현업 적용82.8-

단위: %. a)재시험율. b)2023 평가 진행 중..


References

  1. Hui DS, I Azhar E, Madani TA, et al. The continuing 2019-nCoV epidemic threat of novel coronaviruses to global health - The latest 2019 novel coronavirus outbreak in Wuhan, China. Int J Infect Dis 2020;91:264-6.
    Pubmed KoreaMed CrossRef
  2. Brooks SK, Greenberg N, Wessely S, Rubin GJ. Factors affecting healthcare workers' compliance with social and behavioural infection control measures during emerging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rapid evidence review. BMJ Open 2021;11:e049857.
    Pubmed KoreaMed CrossRef
  3.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2022 Training program for healthcare workers in emerging and bioterrorism-related infectious diseases: results report. KDCA, Cheongju, 2023 Jan.
  4.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2023 Training program for healthcare workers in emerging and bioterrorism-related infectious diseases: results report. KDCA, Cheongju, 2024 Jan.
  5. Kirkpatrick JD, Kirkpatrick WK. Kirkpatrick's four levels of training evaluation. ATD Press; 2016.
    CrossRef
PHWR
Oct 02, 2024 Vol.17 No.38
pp. 1611~1634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