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감시보고

Split Viewer
ENG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41): 1720-1736

Published online September 19, 2024

https://doi.org/10.56786/PHWR.2024.17.41.2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장기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를 통한 HIV 감염인 현황과 연구성과 (2006–2023)

류상미, 이정규, 정외욱, 고민진, 김정연*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신종바이러스연구센터 치료임상연구과

*Corresponding author: 김정연, Tel: +82-43-913-4810, E-mail: erijykim@korea.kr

Received: July 26, 2024; Revised: September 5, 2024; Accepted: September 11, 2024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2006년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를 구축하여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감염에서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 발병, 그리고 사망까지의 자연사를 파악하고, 질병 진전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HIV 감염인의 생존 기간 연장 및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다.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는 국내 생존 감염인의 약 10%가 참여하는 대규모 다기관(전국 16개 의료기관) 코호트연구로 총 연구대상자는 2,177명이며 유지율은 약 65.6%로 운영 중이다. 조사 건수 총 22,349건 및 인체자원 총 15,765건(혈청 및 혈장) (’23.10.10.기준)을 확보하였으며 국내 HIV 감염인의 임상·역학적 특성 분석을 위해 코호트 통계를 지속적으로 산출하고 있다. 지난 17년간 ‘한국 HIV/AIDS 코 호트연구’는 코 호트 기반연구를 위한 운영체계를 구축하였고, 연구 방법 및 증례보고서식(case report form) 표준화, 그리고 다기관 코호트에서 수집된 자료의 표준화 및 정제방법 등을 개발하였다. 질병관리청은 제1차 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관리대책에 이어 최근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유엔국제연합(United Nations) 등 국제기구의 미션과 국내 관리대책을 연계한 제2차 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관리대책 (2024–2028)을 수립하여 ‘신규 감염 제로, 사망 제로, 차별 제로’를 비전으로 2030년까지 신규 감염인을 2023년 대비 50% 감소 목표로 예방관리대책을 추진 중이다. 본 코호트 사업은 체계적 데이터관리를 통해 국가 HIV/AIDS 예방 및 질병 관리 정책 수립, 환자관리지침 등의 과학적 근거 제공에 기여하고 있다.

Keywords 에이즈코호트,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후천성면역결핍증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우리나라 신규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감염인은 매년 1,000명 이상 신고 되고 있다. 20–30대 연령층 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본 코호트에서 HIV 감염인의 사망률은 4.0%, 누적 생존율은 90.4%였다.

③ 시사점은?

이 글에서는 장기 추적 코호트인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를 17년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감염인 현황 및 임상학적 특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신규 감염인 중 20–30대 젊은 층 비중이 지속 증가하고 있어 이들을 대상으로 한 예방관리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항레트로바이러스제(anti retroviral therapy, ART) 시작 시점의 CD4+T 세포 수 2001–2003년 161개(cell/mm3)에서 2013–2015년 273개(cell/mm3)로 분석되어 ART를 좀 더 빨리 시작할 수 있는 정부 대책이 필요하며 생존 감염인 증가 및 고령화에 대비한 HIV 감염인 만성 건강관리 대책도 다각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은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에 의해 유발되는 만성 감염질환으로 전염성과 치명율이 높은 질병으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3년 유엔에이즈합동계획(The Joint United Nations Program on HIV/AIDS, UNAIDS)의 보고에 따르면, 2022년 말까지 전 세계적으로 누적 HIV 감염자 수는 8,560만(6,480만–1억 1,300만) 명이며, 그 중 3,900만(3,310만–4,570만) 명이 생존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하였다. UNAIDS는 2030년까지 HIV 감염 인지율 95%, 치료율 95%, 바이러스 억제율 95%를 목표로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를 강조하고 있다. 1985년 6월 국내 첫 HIV 감염인이 보고된 이후 2023년 말까지 누적 내국인 감염인은 19,745명이며 이중 생존 HIV 감염인은 16,467명이다. 2023년 신규 HIV 감염인은 1,005명이 신고되어 2022년 대비 5.7% (611명) 감소하였다. 신규 감염인 중 외국인의 비율은 25.5%로 전년 22.6% 대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감염경로는 99.6% (564명)가 성 접촉에 의한 감염이었으며 이 중 동성 간 성 접촉은 54.3% (306명)이었다. 감염인 연령대는 20–30대가 전체 신규 감염인의 64.1%를 차지하였다. 2023년 기준, 내국인 생존 HIV 감염인은 16,467명으로, 전년(15,876명) 대비 591명(3.7%) 증가하였고, 이 중 60세 이상 3,194명(19.4%)으로 매년 그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1-3].

HIV/AIDS는 전 세계적으로 중대한 공중보건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관한 연구와 대응은 긴밀한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각 나라의 특정 상황을 이해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별 연구가 필요하다[4]. 이에 따라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이 질병에 대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보다 깊은 이해와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다기관 개방형 코호트를 구축하여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06년부터 시행 중인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는 지난 15년여간 전국 16개 중대형 종합병원의 2,177여 명의 대상자로부터 지속해서 수집된 자료와 자원이 포함되어 있으며, 질병관리청의 신고자료 기준 약 10% 정도의 대상자가 포함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HIV/AIDS 감염자의 생존 기간 추정과 시간 경과에 따른 HIV dynamics 평가, 생존에 미치는 약제의 부작용 평가, 치료 시기 및 치료약제에 대한 평가, 치료 내성, HIV 변이, 숙주 유전 요인 평가, HIV 질병이 기회감염의 영향조사, 우리나라 HIV 감염자의 HIV 자연사(에이즈 발병률, 생존율) 등 보다 객관적이고 대표성이 있는 자료를 수집하고 있으며 이는 감염인의 생존 기간을 연장, 삶의 질을 향상 및 국내 HIV 감염 예방·관리 및 에이즈 연구 활성화에 이바지할 것이다. 이 글은 2023년 정책연구용역과제로 진행 중인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 사업’ 연차실적보고서(2022-ER1901-01) 중 ‘HIV/AIDS 코호트연구 연간 통계지표’를 이용하였다.

1. 분석 대상

2006년 12월 6일부터 2023년 10월 10일까지 만 18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적의 HIV 양성 확진자 중 참여 연구병원에서 코호트연구 및 조사 내용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감염인 2,177명(총 누적 유지자)을 대상으로 하였다.

2. 분석 내용

기반조사서와 반복조사서의 기본정보(나이, 성별, 진단 나이, 진단 연도), 건강행태(흡연력/음주력), 감염경로, 사회 심리상태(우울, 불안, 삶의 질), 가족력, 과거력과 예방접종력 그리고 HIV/AIDS 관련 증상 등 자가 설문조사서와 HIV 병력, 정의/관련 질환, 치료력, 약제내성, 기회감염, 신체계측, 임상검사 등의 조사 관리자 설문조사서(누적 건수 총 22,349)를 분석하였다[4]. 생존율은 카플란-마이어 추정 방법(Kaplan–Meier method)으로 추정하였다.

1.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의 감염인 현황 및 인구 및 임상학적 특성

2006년 12월 6일부터 2023년 10월 10일까지 총 누적 유지자 2,177명 중 2,07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표 1). 남자는 1,954명(94.4%)으로 여자 117명(5.6%)보다 많았으며, 나이 별로는 30–39세 599명(28.9%), 40–49세 507명(24.5%), 20–29세 421명(20.3%) 순이었다. 등록 시 감염경로는 성 접촉이 1,828명(88.7%)을 차지했고 동성 간 성 접촉이 795명(38.6%), 이성간 성 접촉이 624명(30.3%)이었고, 남성 감염인의 주요 감염경로는 동성 간 성 접촉이었다(40.9%). 등록 시 감염인의 CD4+ T 세포 수가 200개(cells/mm3) 미만인 면역 저하군은 298명(17.4%), HIV ribonucleic acid (리보핵산) viral load(바이러스 부하) 수치가 5만(copies/mL) 이상은 190명(12.0%)이었다. 현재 항레트로바이러스제(antiretrovial therapy, ART)를 시행한 환자는 1,148명이었고, 복용한 항바이러스제는 역전사효소억제제(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가 82.9%, 단백질분해효소억제제(protease inhibitor, boosted PI)가 44.1%, 비역전사효소억제제(non nucleot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24.9% 및 인테그레이즈억제제(integrase inhibitor) 23.5% 순이었다. 등록 시 감염인의 약제내성 검사는 43.1%에서 시행되었다. 등록 시 감염인의 에이즈 관련질환 및 정의질환 중 매독(27.5%)이 가장 흔하였고 결핵(16.2%), 주폐포자충폐렴(8.7%) 순이었다. 남성에서는 매독(29.1%)이 여성에서는 주폐포자충폐렴(10.3%)이 가장 흔하였다(표 2).

연구대상자의 인구 및 임상학적 특성
범주전체(%)남자(%)여자(%)
연령(세)
<2019 (0.9)19 (1.0)0 (0.0)
20–29421 (20.3)401 (20.5)20 (17.1)
30–39599 (28.9)575 (29.4)24 (20.5)
40–49507 (24.5)488 (25.0)19 (16.2)
50–59333 (16.1)296 (15.1)37 (31.6)
>60192 (9.3)175 (9.0)17 (14.5)
합계2,071 (100.0)1,954 (100.0)117 (100.0)
감염경로
성접촉1,828 (88.7)1,724 (88.6)104 (90.4)
동성795 (38.6)795 (40.9)0 (0.0)
이성624 (30.3)531 (27.3)93 (80.9)
양성405 (19.7)394 (20.2)11 (9.6)
결측4 (0.2)4 (0.2)0 (0.0)
정맥주사약물5 (0.2)5 (0.3)0 (0.0)
수혈7 (0.3)6 (0.3)1 (0.9)
혈액응고제제2 (0.1)2 (0.1)0 (0.0)
수직감염0 (0.0)0 (0.0)0 (0.0)
기타(대답 안함, 모름, 문신, 주사 바늘, 침술 등)219 (10.6)209 (10.7)10 (8.7)
합계2,061 (100.0)1,946 (100.0)115 (100.0)
CD4 counts (cells/mm3)
<5064 (3.7)58 (3.6)6 (6.0)
<200234 (13.7)224 (13.9)10 (10.0)
<350352 (20.6)328 (20.4)24 (24.0)
<500395 (23.1)379 (23.5)16 (16.0)
≥500665 (38.9)621 (38.6)44 (44.0)
합계1,710 (100.0)1,610 (100.0)100 (100.0)
Viral load (copies/ml)
<4001,036 (65.2)973 (65.1)63 (67.0)
<1,00052 (3.3)51 (3.4)1 (1.1)
<50,000311 (19.6)294 (19.7)17 (18.1)
≥50,000190 (12.0)177 (11.8)13 (13.8)
합계1,589 (100.0)1,495 (100.0)94 (100.0)
약제내성유무
a)208 (10.0)204 (10.4)4 (3.4)
아니오b)547 (26.4)520 (26.6)27 (23.1)
그 외c)1,316 (63.6)1,230 (63.0)86 (73.5)
합계2,071 (100.0)1,954 (100.0)117 (100.0)
현재 regimen 종류(중복응답)
Non-boosted PI100 (8.7)90 (8.4)10 (13.9)
Boosted PI506 (44.1)478 (44.4)28 (38.9)
NNRTI286 (24.9)269 (25)17 (23.6)
NRTI952 (82.9)890 (82.7)62 (86.1)
INI270 (23.5)254 (23.6)16 (22.2)
FI0 (0.0)0 (0.0)0 (0.0)
CCR50 (0.0)0 (0.0)0 (0.0)

총 누적 대상자 중 18세 이하 및 결측값 제외. a)약제 내성 검사 시행 여부가 ‘1. 시행함’이고 NRTI, NNRTI, PI 내성 유무 중에 하나라도 ‘1. 예’인 경우 약제 내성 여부는 ‘예’로 간주함. b)약제 내성 검사 시행 여부가 ‘1. 시행함’이고 NRTI, NNRTI, PI 내성 유무 모두 ‘2. 아니오’인 경우 약제 내성 여부는 ‘아니오’로 간주함. c)약제 내성 검사 시행 여부가 ‘2. 시행 안함’이거나 NRTI, NNRTI, PI 내성 유무 모두 ‘3. 시행 안함’일 경우 약제 내성 여부는‘시행 안함’으로 간주함. 약제 내성 검사 시행 여부가 ‘3. 시행 불가’인 경우 ‘시행 불가’로 간주함. 약제 내성 검사 시행 여부가 ‘1. 시행함’이고 NRTI, NNRTI, PI 내성 유무 모두 결측이거나 약제 내성 검사 시행 여부가 결측인 경우 약제 내성 여부를 결측으로 간주함. PI=protease inhibitor; NRTI=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NNRTI=non-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INI=integrase inhibitor, FI=fusion inhibitors; CCR5=CCR5 antagonists.



연구대상자의 AIDS 관련 및 정의질환 상태
범주전체남자여자
대상자진단받은 환자%대상자진단받은 환자%대상자진단받은 환자%
AIDS 정의질환
구인두/외음질의 칸디다증2,0301708.41,9141618.411697.8
헤르페스2,030854.21,914804.211654.3
말초신경병증2,030140.71,914140.711600.0
세균성혈관종증2,03010.01,91410.111600.0
리스테리아증2,03010.01,91410.111600.0
골반염증성 질환2,03040.21,91410.111632.6
중증 자궁경부이형성증2,03020.11,91410.111610.9
혈소판감소성 자반증2,03090.41,91480.411610.9
매독2,02355727.51,90855529.111521.7
칸디다증(기관지/기도/폐/식도)2,039723.51,923683.511643.4
폐외크립토코쿠스증2,03990.41,92390.511600.0
CMV 감염증1,634895.41,546855.58844.5
결핵1,83529816.21,73729116.89877.1
HIV 관련 뇌증2,036110.51,920110.611600.0
파종성 또는 폐외콕시디오이데스 진균증2,03910.01,92310.111600.0
만성장크립토스포로디움증2,03920.11,92320.111600.0
만성장이소스포라증2,03920.11,92320.111600.0
HSV 감염에 의한 만성궤양2,03990.41,92390.511600.0
파종성 또는 폐외히스토 플라스마증2,03920.11,92320.111600.0
반복성 살모넬라패혈증2,03910.01,92310.111600.0
반복성 폐렴2,039110.51,923100.511610.9
주폐포자충폐렴2,0391778.71,9231658.61161210.3
진행성 다발성백질뇌증2,03990.41,92390.511600.0
톡소플라즈마증2,039100.51,92390.511610.9
HIV에 의한 소모증후군2,039110.51,923110.611600.0
침습성 자궁경부암2,01810.01,90510.111300.0
원발성 뇌 림프종2,01800.01,90500.011300.0
버키트 림프종2,01810.01,90510.111300.0
카포지 육종2,01870.31,90570.411300.0
면역아구성 림프종2,01800.01,90500.011300.0

총 누적 대상자 중 결측값(응답 없음 또는 모름 등) 제외. AIDS=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CMV=cytomegalovirus;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SV=herpes simplex virus.



2.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의 감염인 추적 및 종결기간

본 코호트에 등록된 대상자들은 6개월마다 추적조사를 수행하기를 권장하며, 2년 이상 추적조사가 되지 않는 경우 그 사유를 확인하고 종결처리(코호트 참여 중단)를 하고 있다. 10년 이상 추적 조사된 감염인은 26.7% (554명), 5년 이상 추적된 감염인은 55.2% (1,145명)였다. 감염인의 중도 탈락률은 36.2% (750명)이며 중도 탈락률은 50대 이상이 (28.3%) 가장 높았고 30대가 28.0%, 40대가 24.0% 순이었다. 중도 탈락사유는 유지실패(11.6%), 동의철회(8.9%) 순이며(표 3), 감염인의 추적 중단사례의 절반 이상은 등록 후 5년 이내에 발생하였다[5].

연구대상자 중 중도탈락자의 종결사유
범주전체남자여자
대상자중도
탈락자
탈락률 (%)대상자중도
탈락자
탈락률 (%)대상자중도
탈락자
탈락률 (%)
사망≤2944030.742030.72000.0
30–39599111.8575111.92400.0
40–49507193.9488173.51900.0
≥505257013.94716914.65410.0
합계2,0711035.01,9541005.111711.9
탈퇴(동의 철회)≤29440133.0420133.12000.0
30–39599447.3575417.124312.5
40–495075210.3488489.819421.1
≥505257614.54717115.15459.3
합계2,0711858.91,9541738.91171210.3
탈락(유지 실패)≤29440358.0420358.32000.0
30–395997312.25756811.824520.8
40–495075811.44885210.719631.6
≥505257414.14717215.35423.7
합계2,07124011.61,95422711.61171311.1
전원≤29440163.6420163.82000.0
30–39599406.7575386.62428.3
40–49507356.9488347.01900.0
≥50525315.9471265.55459.3
합계2,0711225.91,9541145.811776.8
이주(해외)≤2944000.042000.02000.0
30–3959950.857530.52400.0
40–4950720.448820.41900.0
≥5052550.947151.15400.0
합계2,071120.61,954100.511700.0
병원 철회≤2944061.442061.42000.0
30–39599101.7575101.72400.0
40–49507183.6488183.71900.0
≥50525387.2471337.05459.3
합계2,071723.51,954673.411754.3
기타≤2944020.542020.52000.0
30–3959930.557530.52400.0
40–4950720.448820.41900.0
≥5052591.747191.95400.0
합계2,071160.81,954160.811700.0

총 누적 대상자 중 18세 이하 및 결측값 제외.



3.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의 감염인 생존율

2006년 12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등록된 AIDS 코호트 연구대상자 2,071명을 대상으로 생존분석(Kaplan–Meier method)을 실시한 결과(보충 그림 1; available online), 누적 생존율은 약 90.4% (중앙값 4.9년)로 분석되었다.

4.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 조사서 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현황

2006년 최초 case report form (CRF) ver. 1.0 종이 조사서로 작성하였고, 2008년 말 조사항목을 대폭 증가하고 전산화하였으며(ver. 2.0) 2024년에는 ver. 4.1을 사용하고 있다. 각 조사방법은 CRF ver. 1.0(진료기록), CRF ver. 2.0(자가설문, 조사원면담, 진료기록, 신체계측), CRF ver. 3.0(자가설문, 조사원면담, 진료기록, 신체계측), CRF ver. 4.0(자가설문[망외접속, 조사원면담, 진료기록, 신체계측, 의무기록, 중개설문])이며 꾸준히 수정 보완하고 있다. 2008년 말에 코호트조사서 양식의 대폭적인 변경으로 조사항목이 증가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가 필요하였으며 웹 베이스의 DB를 자체 개발하였다. 이후 코호트 대상자가 증가하고 반복 조사율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대상자 관리와 사업관리를 강화하여 실시간 조사 현황 파악이 가능한 통계기능이 보완된 DB ver. 3.0을 2011년에 개발하였다. 2022년 DB 고도화를 통해 원시자료 정제를 위해 조사서 로직을 수정 및 보완하고 논리적 오류를 차단할 수 있는 DB ver. 4.0을 개발하였고, 현재까지 사용 중이다. 코호트 DB는 각 병원에서 실시간 자료 입력이 용이하고 다양한 통계표와 그림으로 전체 등록현황 및 대상자의 특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대상자의 인체자원에 대한 수집·관리 및 조사서(기반 및 반복) 자료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하다.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각 연구 참여 기관의 DB 입력 시점에 발생 가능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DB 질 관리를 꾸준히 수행 중이다.

5.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 성과

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총 52회의 학술발표와 34편의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하였으며, 세부 연구주제는 고활성 항바이러스요법(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치료 효과와 내과 및 순응도, 사회심리학적 요인(우울, 불안), HIV 관련 질환 및 기회감염, 간염, 대사이상, 치료내성, 기타 임상 등이었다. 코호트 연구성과는 환자진료지침에 활용될 뿐 아니라 감염인의 조기진단, 조기치료 필요성의 근거를 제시하였고 국내 HIV의 주요 감염경로를 파악하여 주요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었다[6]. 현재도 코호트 대상자를 통해 HIV 감염인과 AIDS 환자의 생존율, HIV 감염인의 합병증 및 동반상병 위험도 연구, 초치료를 통한 질병진전 특성을 포함한 연구 등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보충 표 1; available online).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는 국내 생존 감염인의 약 10%가 참여하는 전향적 코호트연구이다. 참여병원 감염인 대상 파일럿 분석 자료와 비교했을 때, 코호트연구 참여병원에서 HIV 확진 이후 1회 이상 진료를 받은 감염인 중 코호트연구에 참여하지 않는 대상은 코호트연구에 참여하는 감염인에 비해 질병 예후가 좋지 못했다.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의 생존율(90.4%)은 질병관리청 2023 HIV/AIDS 신고현황 연보의 생존율(83.4%)과 비교했을 때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2001년부터 2015년 HIV 감염인의 사망률은 4.0%였고 ART 시작 시점의 CD4+ T 세포 수는 161개(cell/mm3, 2001–2003)에서 273개(cell/mm3, 2013–2015)로 나타났지만, 사망률 변화는 없었다. 본 코호트는 초기 구축 시 HIV/AIDS 치료뿐만 아니라 기회감염, 약제내성, 대사질환 요인을 고려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가능하며, 변화하는 신규 감염인의 역학적 특성에 부합하는 참여자 확대를 통해 최근 국내 HIV/AIDS 감염 특성이 반영된다면, HIV 감염에서 AIDS 발병, 사망까지의 자연사 파악 및 질병 진전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신뢰도 높은 정책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AIDS 코호트 사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코호트 사업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하고 있으며 향후로 코호트 모집대상자 선정기준 및 조사체계 개편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생존 감염인 증가 및 고령화에 대비한 만성 건강 관리대책을 모색하여 제2차 AIDS 예방관리대책(2024–2028) 추진을 통해 국제사회의 공동 목표 달성을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research project (#2022- E1901-01).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SMR, MJG, JYK. Supervision: MJG, JYK. Writing – original draft: SMR, JGL, OEJ. Writing – review & editing: SMR, MJG, JYK.

Supplementary data are available online.

  1. UNAIDS. Global HIV & AIDS statistics - Fact sheet [Internet]. UNAIDS; 2023 [cited 2023 Sep 20].
    Available from: https://www.unaids.org/en/resources/fact-sheet
  2. Kim K, Kim S, Kim HS, Min SY. HIV/AIDS notifications in Korea, 2022. Public Health Wkly Rep 2023;16:1576-86.
  3.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2023 Annual report on the notified HIV/AIDS in Korea. KDCA; 2024.
  4. Yoo M, Kee M, Kim K. Korea HIV/AIDS cohort study. Public Health Wkly Rep 2019;12:2160-8.
  5. Seong H, Choi Y, Kim M, et al. Rate of and risk factors for loss to follow up in HIV-infected patients in Korea: the Korea HIV/AIDS cohort study. Infect Chemother 2023;55:69-79.
    CrossRef
  6. Kim JM, Choi JY, Jeong WY, et al. Mode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ransmission in Korea: the Korea HIV/AIDS cohort study. Korean J Med 2018;93:379-86.
    CrossRef

Article

조사/감시보고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41): 1720-1736

Published online October 24, 2024 https://doi.org/10.56786/PHWR.2024.17.41.2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장기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를 통한 HIV 감염인 현황과 연구성과 (2006–2023)

류상미, 이정규, 정외욱, 고민진, 김정연*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신종바이러스연구센터 치료임상연구과

Received: July 26, 2024; Revised: September 5, 2024; Accepted: September 11, 2024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2006년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를 구축하여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감염에서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 발병, 그리고 사망까지의 자연사를 파악하고, 질병 진전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HIV 감염인의 생존 기간 연장 및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다.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는 국내 생존 감염인의 약 10%가 참여하는 대규모 다기관(전국 16개 의료기관) 코호트연구로 총 연구대상자는 2,177명이며 유지율은 약 65.6%로 운영 중이다. 조사 건수 총 22,349건 및 인체자원 총 15,765건(혈청 및 혈장) (’23.10.10.기준)을 확보하였으며 국내 HIV 감염인의 임상·역학적 특성 분석을 위해 코호트 통계를 지속적으로 산출하고 있다. 지난 17년간 ‘한국 HIV/AIDS 코 호트연구’는 코 호트 기반연구를 위한 운영체계를 구축하였고, 연구 방법 및 증례보고서식(case report form) 표준화, 그리고 다기관 코호트에서 수집된 자료의 표준화 및 정제방법 등을 개발하였다. 질병관리청은 제1차 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관리대책에 이어 최근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유엔국제연합(United Nations) 등 국제기구의 미션과 국내 관리대책을 연계한 제2차 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관리대책 (2024–2028)을 수립하여 ‘신규 감염 제로, 사망 제로, 차별 제로’를 비전으로 2030년까지 신규 감염인을 2023년 대비 50% 감소 목표로 예방관리대책을 추진 중이다. 본 코호트 사업은 체계적 데이터관리를 통해 국가 HIV/AIDS 예방 및 질병 관리 정책 수립, 환자관리지침 등의 과학적 근거 제공에 기여하고 있다.

Keywords: 에이즈코호트,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후천성면역결핍증

서 론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우리나라 신규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감염인은 매년 1,000명 이상 신고 되고 있다. 20–30대 연령층 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본 코호트에서 HIV 감염인의 사망률은 4.0%, 누적 생존율은 90.4%였다.

③ 시사점은?

이 글에서는 장기 추적 코호트인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를 17년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감염인 현황 및 임상학적 특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신규 감염인 중 20–30대 젊은 층 비중이 지속 증가하고 있어 이들을 대상으로 한 예방관리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항레트로바이러스제(anti retroviral therapy, ART) 시작 시점의 CD4+T 세포 수 2001–2003년 161개(cell/mm3)에서 2013–2015년 273개(cell/mm3)로 분석되어 ART를 좀 더 빨리 시작할 수 있는 정부 대책이 필요하며 생존 감염인 증가 및 고령화에 대비한 HIV 감염인 만성 건강관리 대책도 다각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은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에 의해 유발되는 만성 감염질환으로 전염성과 치명율이 높은 질병으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3년 유엔에이즈합동계획(The Joint United Nations Program on HIV/AIDS, UNAIDS)의 보고에 따르면, 2022년 말까지 전 세계적으로 누적 HIV 감염자 수는 8,560만(6,480만–1억 1,300만) 명이며, 그 중 3,900만(3,310만–4,570만) 명이 생존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하였다. UNAIDS는 2030년까지 HIV 감염 인지율 95%, 치료율 95%, 바이러스 억제율 95%를 목표로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를 강조하고 있다. 1985년 6월 국내 첫 HIV 감염인이 보고된 이후 2023년 말까지 누적 내국인 감염인은 19,745명이며 이중 생존 HIV 감염인은 16,467명이다. 2023년 신규 HIV 감염인은 1,005명이 신고되어 2022년 대비 5.7% (611명) 감소하였다. 신규 감염인 중 외국인의 비율은 25.5%로 전년 22.6% 대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감염경로는 99.6% (564명)가 성 접촉에 의한 감염이었으며 이 중 동성 간 성 접촉은 54.3% (306명)이었다. 감염인 연령대는 20–30대가 전체 신규 감염인의 64.1%를 차지하였다. 2023년 기준, 내국인 생존 HIV 감염인은 16,467명으로, 전년(15,876명) 대비 591명(3.7%) 증가하였고, 이 중 60세 이상 3,194명(19.4%)으로 매년 그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1-3].

HIV/AIDS는 전 세계적으로 중대한 공중보건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관한 연구와 대응은 긴밀한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각 나라의 특정 상황을 이해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별 연구가 필요하다[4]. 이에 따라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이 질병에 대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보다 깊은 이해와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다기관 개방형 코호트를 구축하여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06년부터 시행 중인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는 지난 15년여간 전국 16개 중대형 종합병원의 2,177여 명의 대상자로부터 지속해서 수집된 자료와 자원이 포함되어 있으며, 질병관리청의 신고자료 기준 약 10% 정도의 대상자가 포함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HIV/AIDS 감염자의 생존 기간 추정과 시간 경과에 따른 HIV dynamics 평가, 생존에 미치는 약제의 부작용 평가, 치료 시기 및 치료약제에 대한 평가, 치료 내성, HIV 변이, 숙주 유전 요인 평가, HIV 질병이 기회감염의 영향조사, 우리나라 HIV 감염자의 HIV 자연사(에이즈 발병률, 생존율) 등 보다 객관적이고 대표성이 있는 자료를 수집하고 있으며 이는 감염인의 생존 기간을 연장, 삶의 질을 향상 및 국내 HIV 감염 예방·관리 및 에이즈 연구 활성화에 이바지할 것이다. 이 글은 2023년 정책연구용역과제로 진행 중인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 사업’ 연차실적보고서(2022-ER1901-01) 중 ‘HIV/AIDS 코호트연구 연간 통계지표’를 이용하였다.

방 법

1. 분석 대상

2006년 12월 6일부터 2023년 10월 10일까지 만 18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적의 HIV 양성 확진자 중 참여 연구병원에서 코호트연구 및 조사 내용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감염인 2,177명(총 누적 유지자)을 대상으로 하였다.

2. 분석 내용

기반조사서와 반복조사서의 기본정보(나이, 성별, 진단 나이, 진단 연도), 건강행태(흡연력/음주력), 감염경로, 사회 심리상태(우울, 불안, 삶의 질), 가족력, 과거력과 예방접종력 그리고 HIV/AIDS 관련 증상 등 자가 설문조사서와 HIV 병력, 정의/관련 질환, 치료력, 약제내성, 기회감염, 신체계측, 임상검사 등의 조사 관리자 설문조사서(누적 건수 총 22,349)를 분석하였다[4]. 생존율은 카플란-마이어 추정 방법(Kaplan–Meier method)으로 추정하였다.

결 과

1.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의 감염인 현황 및 인구 및 임상학적 특성

2006년 12월 6일부터 2023년 10월 10일까지 총 누적 유지자 2,177명 중 2,07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표 1). 남자는 1,954명(94.4%)으로 여자 117명(5.6%)보다 많았으며, 나이 별로는 30–39세 599명(28.9%), 40–49세 507명(24.5%), 20–29세 421명(20.3%) 순이었다. 등록 시 감염경로는 성 접촉이 1,828명(88.7%)을 차지했고 동성 간 성 접촉이 795명(38.6%), 이성간 성 접촉이 624명(30.3%)이었고, 남성 감염인의 주요 감염경로는 동성 간 성 접촉이었다(40.9%). 등록 시 감염인의 CD4+ T 세포 수가 200개(cells/mm3) 미만인 면역 저하군은 298명(17.4%), HIV ribonucleic acid (리보핵산) viral load(바이러스 부하) 수치가 5만(copies/mL) 이상은 190명(12.0%)이었다. 현재 항레트로바이러스제(antiretrovial therapy, ART)를 시행한 환자는 1,148명이었고, 복용한 항바이러스제는 역전사효소억제제(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가 82.9%, 단백질분해효소억제제(protease inhibitor, boosted PI)가 44.1%, 비역전사효소억제제(non nucleot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24.9% 및 인테그레이즈억제제(integrase inhibitor) 23.5% 순이었다. 등록 시 감염인의 약제내성 검사는 43.1%에서 시행되었다. 등록 시 감염인의 에이즈 관련질환 및 정의질환 중 매독(27.5%)이 가장 흔하였고 결핵(16.2%), 주폐포자충폐렴(8.7%) 순이었다. 남성에서는 매독(29.1%)이 여성에서는 주폐포자충폐렴(10.3%)이 가장 흔하였다(표 2).

연구대상자의 인구 및 임상학적 특성
범주전체(%)남자(%)여자(%)
연령(세)
<2019 (0.9)19 (1.0)0 (0.0)
20–29421 (20.3)401 (20.5)20 (17.1)
30–39599 (28.9)575 (29.4)24 (20.5)
40–49507 (24.5)488 (25.0)19 (16.2)
50–59333 (16.1)296 (15.1)37 (31.6)
>60192 (9.3)175 (9.0)17 (14.5)
합계2,071 (100.0)1,954 (100.0)117 (100.0)
감염경로
성접촉1,828 (88.7)1,724 (88.6)104 (90.4)
동성795 (38.6)795 (40.9)0 (0.0)
이성624 (30.3)531 (27.3)93 (80.9)
양성405 (19.7)394 (20.2)11 (9.6)
결측4 (0.2)4 (0.2)0 (0.0)
정맥주사약물5 (0.2)5 (0.3)0 (0.0)
수혈7 (0.3)6 (0.3)1 (0.9)
혈액응고제제2 (0.1)2 (0.1)0 (0.0)
수직감염0 (0.0)0 (0.0)0 (0.0)
기타(대답 안함, 모름, 문신, 주사 바늘, 침술 등)219 (10.6)209 (10.7)10 (8.7)
합계2,061 (100.0)1,946 (100.0)115 (100.0)
CD4 counts (cells/mm3)
<5064 (3.7)58 (3.6)6 (6.0)
<200234 (13.7)224 (13.9)10 (10.0)
<350352 (20.6)328 (20.4)24 (24.0)
<500395 (23.1)379 (23.5)16 (16.0)
≥500665 (38.9)621 (38.6)44 (44.0)
합계1,710 (100.0)1,610 (100.0)100 (100.0)
Viral load (copies/ml)
<4001,036 (65.2)973 (65.1)63 (67.0)
<1,00052 (3.3)51 (3.4)1 (1.1)
<50,000311 (19.6)294 (19.7)17 (18.1)
≥50,000190 (12.0)177 (11.8)13 (13.8)
합계1,589 (100.0)1,495 (100.0)94 (100.0)
약제내성유무
a)208 (10.0)204 (10.4)4 (3.4)
아니오b)547 (26.4)520 (26.6)27 (23.1)
그 외c)1,316 (63.6)1,230 (63.0)86 (73.5)
합계2,071 (100.0)1,954 (100.0)117 (100.0)
현재 regimen 종류(중복응답)
Non-boosted PI100 (8.7)90 (8.4)10 (13.9)
Boosted PI506 (44.1)478 (44.4)28 (38.9)
NNRTI286 (24.9)269 (25)17 (23.6)
NRTI952 (82.9)890 (82.7)62 (86.1)
INI270 (23.5)254 (23.6)16 (22.2)
FI0 (0.0)0 (0.0)0 (0.0)
CCR50 (0.0)0 (0.0)0 (0.0)

총 누적 대상자 중 18세 이하 및 결측값 제외. a)약제 내성 검사 시행 여부가 ‘1. 시행함’이고 NRTI, NNRTI, PI 내성 유무 중에 하나라도 ‘1. 예’인 경우 약제 내성 여부는 ‘예’로 간주함. b)약제 내성 검사 시행 여부가 ‘1. 시행함’이고 NRTI, NNRTI, PI 내성 유무 모두 ‘2. 아니오’인 경우 약제 내성 여부는 ‘아니오’로 간주함. c)약제 내성 검사 시행 여부가 ‘2. 시행 안함’이거나 NRTI, NNRTI, PI 내성 유무 모두 ‘3. 시행 안함’일 경우 약제 내성 여부는‘시행 안함’으로 간주함. 약제 내성 검사 시행 여부가 ‘3. 시행 불가’인 경우 ‘시행 불가’로 간주함. 약제 내성 검사 시행 여부가 ‘1. 시행함’이고 NRTI, NNRTI, PI 내성 유무 모두 결측이거나 약제 내성 검사 시행 여부가 결측인 경우 약제 내성 여부를 결측으로 간주함. PI=protease inhibitor; NRTI=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NNRTI=non-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INI=integrase inhibitor, FI=fusion inhibitors; CCR5=CCR5 antagonists..



연구대상자의 AIDS 관련 및 정의질환 상태
범주전체남자여자
대상자진단받은 환자%대상자진단받은 환자%대상자진단받은 환자%
AIDS 정의질환
구인두/외음질의 칸디다증2,0301708.41,9141618.411697.8
헤르페스2,030854.21,914804.211654.3
말초신경병증2,030140.71,914140.711600.0
세균성혈관종증2,03010.01,91410.111600.0
리스테리아증2,03010.01,91410.111600.0
골반염증성 질환2,03040.21,91410.111632.6
중증 자궁경부이형성증2,03020.11,91410.111610.9
혈소판감소성 자반증2,03090.41,91480.411610.9
매독2,02355727.51,90855529.111521.7
칸디다증(기관지/기도/폐/식도)2,039723.51,923683.511643.4
폐외크립토코쿠스증2,03990.41,92390.511600.0
CMV 감염증1,634895.41,546855.58844.5
결핵1,83529816.21,73729116.89877.1
HIV 관련 뇌증2,036110.51,920110.611600.0
파종성 또는 폐외콕시디오이데스 진균증2,03910.01,92310.111600.0
만성장크립토스포로디움증2,03920.11,92320.111600.0
만성장이소스포라증2,03920.11,92320.111600.0
HSV 감염에 의한 만성궤양2,03990.41,92390.511600.0
파종성 또는 폐외히스토 플라스마증2,03920.11,92320.111600.0
반복성 살모넬라패혈증2,03910.01,92310.111600.0
반복성 폐렴2,039110.51,923100.511610.9
주폐포자충폐렴2,0391778.71,9231658.61161210.3
진행성 다발성백질뇌증2,03990.41,92390.511600.0
톡소플라즈마증2,039100.51,92390.511610.9
HIV에 의한 소모증후군2,039110.51,923110.611600.0
침습성 자궁경부암2,01810.01,90510.111300.0
원발성 뇌 림프종2,01800.01,90500.011300.0
버키트 림프종2,01810.01,90510.111300.0
카포지 육종2,01870.31,90570.411300.0
면역아구성 림프종2,01800.01,90500.011300.0

총 누적 대상자 중 결측값(응답 없음 또는 모름 등) 제외. AIDS=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CMV=cytomegalovirus;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SV=herpes simplex virus..



2.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의 감염인 추적 및 종결기간

본 코호트에 등록된 대상자들은 6개월마다 추적조사를 수행하기를 권장하며, 2년 이상 추적조사가 되지 않는 경우 그 사유를 확인하고 종결처리(코호트 참여 중단)를 하고 있다. 10년 이상 추적 조사된 감염인은 26.7% (554명), 5년 이상 추적된 감염인은 55.2% (1,145명)였다. 감염인의 중도 탈락률은 36.2% (750명)이며 중도 탈락률은 50대 이상이 (28.3%) 가장 높았고 30대가 28.0%, 40대가 24.0% 순이었다. 중도 탈락사유는 유지실패(11.6%), 동의철회(8.9%) 순이며(표 3), 감염인의 추적 중단사례의 절반 이상은 등록 후 5년 이내에 발생하였다[5].

연구대상자 중 중도탈락자의 종결사유
범주전체남자여자
대상자중도
탈락자
탈락률 (%)대상자중도
탈락자
탈락률 (%)대상자중도
탈락자
탈락률 (%)
사망≤2944030.742030.72000.0
30–39599111.8575111.92400.0
40–49507193.9488173.51900.0
≥505257013.94716914.65410.0
합계2,0711035.01,9541005.111711.9
탈퇴(동의 철회)≤29440133.0420133.12000.0
30–39599447.3575417.124312.5
40–495075210.3488489.819421.1
≥505257614.54717115.15459.3
합계2,0711858.91,9541738.91171210.3
탈락(유지 실패)≤29440358.0420358.32000.0
30–395997312.25756811.824520.8
40–495075811.44885210.719631.6
≥505257414.14717215.35423.7
합계2,07124011.61,95422711.61171311.1
전원≤29440163.6420163.82000.0
30–39599406.7575386.62428.3
40–49507356.9488347.01900.0
≥50525315.9471265.55459.3
합계2,0711225.91,9541145.811776.8
이주(해외)≤2944000.042000.02000.0
30–3959950.857530.52400.0
40–4950720.448820.41900.0
≥5052550.947151.15400.0
합계2,071120.61,954100.511700.0
병원 철회≤2944061.442061.42000.0
30–39599101.7575101.72400.0
40–49507183.6488183.71900.0
≥50525387.2471337.05459.3
합계2,071723.51,954673.411754.3
기타≤2944020.542020.52000.0
30–3959930.557530.52400.0
40–4950720.448820.41900.0
≥5052591.747191.95400.0
합계2,071160.81,954160.811700.0

총 누적 대상자 중 18세 이하 및 결측값 제외..



3.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의 감염인 생존율

2006년 12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등록된 AIDS 코호트 연구대상자 2,071명을 대상으로 생존분석(Kaplan–Meier method)을 실시한 결과(보충 그림 1; available online), 누적 생존율은 약 90.4% (중앙값 4.9년)로 분석되었다.

4.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 조사서 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현황

2006년 최초 case report form (CRF) ver. 1.0 종이 조사서로 작성하였고, 2008년 말 조사항목을 대폭 증가하고 전산화하였으며(ver. 2.0) 2024년에는 ver. 4.1을 사용하고 있다. 각 조사방법은 CRF ver. 1.0(진료기록), CRF ver. 2.0(자가설문, 조사원면담, 진료기록, 신체계측), CRF ver. 3.0(자가설문, 조사원면담, 진료기록, 신체계측), CRF ver. 4.0(자가설문[망외접속, 조사원면담, 진료기록, 신체계측, 의무기록, 중개설문])이며 꾸준히 수정 보완하고 있다. 2008년 말에 코호트조사서 양식의 대폭적인 변경으로 조사항목이 증가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가 필요하였으며 웹 베이스의 DB를 자체 개발하였다. 이후 코호트 대상자가 증가하고 반복 조사율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대상자 관리와 사업관리를 강화하여 실시간 조사 현황 파악이 가능한 통계기능이 보완된 DB ver. 3.0을 2011년에 개발하였다. 2022년 DB 고도화를 통해 원시자료 정제를 위해 조사서 로직을 수정 및 보완하고 논리적 오류를 차단할 수 있는 DB ver. 4.0을 개발하였고, 현재까지 사용 중이다. 코호트 DB는 각 병원에서 실시간 자료 입력이 용이하고 다양한 통계표와 그림으로 전체 등록현황 및 대상자의 특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대상자의 인체자원에 대한 수집·관리 및 조사서(기반 및 반복) 자료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하다.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각 연구 참여 기관의 DB 입력 시점에 발생 가능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DB 질 관리를 꾸준히 수행 중이다.

5.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 성과

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총 52회의 학술발표와 34편의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하였으며, 세부 연구주제는 고활성 항바이러스요법(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치료 효과와 내과 및 순응도, 사회심리학적 요인(우울, 불안), HIV 관련 질환 및 기회감염, 간염, 대사이상, 치료내성, 기타 임상 등이었다. 코호트 연구성과는 환자진료지침에 활용될 뿐 아니라 감염인의 조기진단, 조기치료 필요성의 근거를 제시하였고 국내 HIV의 주요 감염경로를 파악하여 주요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었다[6]. 현재도 코호트 대상자를 통해 HIV 감염인과 AIDS 환자의 생존율, HIV 감염인의 합병증 및 동반상병 위험도 연구, 초치료를 통한 질병진전 특성을 포함한 연구 등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보충 표 1; available online).

논 의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는 국내 생존 감염인의 약 10%가 참여하는 전향적 코호트연구이다. 참여병원 감염인 대상 파일럿 분석 자료와 비교했을 때, 코호트연구 참여병원에서 HIV 확진 이후 1회 이상 진료를 받은 감염인 중 코호트연구에 참여하지 않는 대상은 코호트연구에 참여하는 감염인에 비해 질병 예후가 좋지 못했다.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의 생존율(90.4%)은 질병관리청 2023 HIV/AIDS 신고현황 연보의 생존율(83.4%)과 비교했을 때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2001년부터 2015년 HIV 감염인의 사망률은 4.0%였고 ART 시작 시점의 CD4+ T 세포 수는 161개(cell/mm3, 2001–2003)에서 273개(cell/mm3, 2013–2015)로 나타났지만, 사망률 변화는 없었다. 본 코호트는 초기 구축 시 HIV/AIDS 치료뿐만 아니라 기회감염, 약제내성, 대사질환 요인을 고려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가능하며, 변화하는 신규 감염인의 역학적 특성에 부합하는 참여자 확대를 통해 최근 국내 HIV/AIDS 감염 특성이 반영된다면, HIV 감염에서 AIDS 발병, 사망까지의 자연사 파악 및 질병 진전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신뢰도 높은 정책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AIDS 코호트 사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코호트 사업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하고 있으며 향후로 코호트 모집대상자 선정기준 및 조사체계 개편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생존 감염인 증가 및 고령화에 대비한 만성 건강 관리대책을 모색하여 제2차 AIDS 예방관리대책(2024–2028) 추진을 통해 국제사회의 공동 목표 달성을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다.

Declarations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research project (#2022- E1901-01).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SMR, MJG, JYK. Supervision: MJG, JYK. Writing – original draft: SMR, JGL, OEJ. Writing – review & editing: SMR, MJG, JYK.

Supplementary Materials

Supplementary data are available online.

연구대상자의 인구 및 임상학적 특성
범주전체(%)남자(%)여자(%)
연령(세)
<2019 (0.9)19 (1.0)0 (0.0)
20–29421 (20.3)401 (20.5)20 (17.1)
30–39599 (28.9)575 (29.4)24 (20.5)
40–49507 (24.5)488 (25.0)19 (16.2)
50–59333 (16.1)296 (15.1)37 (31.6)
>60192 (9.3)175 (9.0)17 (14.5)
합계2,071 (100.0)1,954 (100.0)117 (100.0)
감염경로
성접촉1,828 (88.7)1,724 (88.6)104 (90.4)
동성795 (38.6)795 (40.9)0 (0.0)
이성624 (30.3)531 (27.3)93 (80.9)
양성405 (19.7)394 (20.2)11 (9.6)
결측4 (0.2)4 (0.2)0 (0.0)
정맥주사약물5 (0.2)5 (0.3)0 (0.0)
수혈7 (0.3)6 (0.3)1 (0.9)
혈액응고제제2 (0.1)2 (0.1)0 (0.0)
수직감염0 (0.0)0 (0.0)0 (0.0)
기타(대답 안함, 모름, 문신, 주사 바늘, 침술 등)219 (10.6)209 (10.7)10 (8.7)
합계2,061 (100.0)1,946 (100.0)115 (100.0)
CD4 counts (cells/mm3)
<5064 (3.7)58 (3.6)6 (6.0)
<200234 (13.7)224 (13.9)10 (10.0)
<350352 (20.6)328 (20.4)24 (24.0)
<500395 (23.1)379 (23.5)16 (16.0)
≥500665 (38.9)621 (38.6)44 (44.0)
합계1,710 (100.0)1,610 (100.0)100 (100.0)
Viral load (copies/ml)
<4001,036 (65.2)973 (65.1)63 (67.0)
<1,00052 (3.3)51 (3.4)1 (1.1)
<50,000311 (19.6)294 (19.7)17 (18.1)
≥50,000190 (12.0)177 (11.8)13 (13.8)
합계1,589 (100.0)1,495 (100.0)94 (100.0)
약제내성유무
a)208 (10.0)204 (10.4)4 (3.4)
아니오b)547 (26.4)520 (26.6)27 (23.1)
그 외c)1,316 (63.6)1,230 (63.0)86 (73.5)
합계2,071 (100.0)1,954 (100.0)117 (100.0)
현재 regimen 종류(중복응답)
Non-boosted PI100 (8.7)90 (8.4)10 (13.9)
Boosted PI506 (44.1)478 (44.4)28 (38.9)
NNRTI286 (24.9)269 (25)17 (23.6)
NRTI952 (82.9)890 (82.7)62 (86.1)
INI270 (23.5)254 (23.6)16 (22.2)
FI0 (0.0)0 (0.0)0 (0.0)
CCR50 (0.0)0 (0.0)0 (0.0)

총 누적 대상자 중 18세 이하 및 결측값 제외. a)약제 내성 검사 시행 여부가 ‘1. 시행함’이고 NRTI, NNRTI, PI 내성 유무 중에 하나라도 ‘1. 예’인 경우 약제 내성 여부는 ‘예’로 간주함. b)약제 내성 검사 시행 여부가 ‘1. 시행함’이고 NRTI, NNRTI, PI 내성 유무 모두 ‘2. 아니오’인 경우 약제 내성 여부는 ‘아니오’로 간주함. c)약제 내성 검사 시행 여부가 ‘2. 시행 안함’이거나 NRTI, NNRTI, PI 내성 유무 모두 ‘3. 시행 안함’일 경우 약제 내성 여부는‘시행 안함’으로 간주함. 약제 내성 검사 시행 여부가 ‘3. 시행 불가’인 경우 ‘시행 불가’로 간주함. 약제 내성 검사 시행 여부가 ‘1. 시행함’이고 NRTI, NNRTI, PI 내성 유무 모두 결측이거나 약제 내성 검사 시행 여부가 결측인 경우 약제 내성 여부를 결측으로 간주함. PI=protease inhibitor; NRTI=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NNRTI=non-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INI=integrase inhibitor, FI=fusion inhibitors; CCR5=CCR5 antagonists..


연구대상자의 AIDS 관련 및 정의질환 상태
범주전체남자여자
대상자진단받은 환자%대상자진단받은 환자%대상자진단받은 환자%
AIDS 정의질환
구인두/외음질의 칸디다증2,0301708.41,9141618.411697.8
헤르페스2,030854.21,914804.211654.3
말초신경병증2,030140.71,914140.711600.0
세균성혈관종증2,03010.01,91410.111600.0
리스테리아증2,03010.01,91410.111600.0
골반염증성 질환2,03040.21,91410.111632.6
중증 자궁경부이형성증2,03020.11,91410.111610.9
혈소판감소성 자반증2,03090.41,91480.411610.9
매독2,02355727.51,90855529.111521.7
칸디다증(기관지/기도/폐/식도)2,039723.51,923683.511643.4
폐외크립토코쿠스증2,03990.41,92390.511600.0
CMV 감염증1,634895.41,546855.58844.5
결핵1,83529816.21,73729116.89877.1
HIV 관련 뇌증2,036110.51,920110.611600.0
파종성 또는 폐외콕시디오이데스 진균증2,03910.01,92310.111600.0
만성장크립토스포로디움증2,03920.11,92320.111600.0
만성장이소스포라증2,03920.11,92320.111600.0
HSV 감염에 의한 만성궤양2,03990.41,92390.511600.0
파종성 또는 폐외히스토 플라스마증2,03920.11,92320.111600.0
반복성 살모넬라패혈증2,03910.01,92310.111600.0
반복성 폐렴2,039110.51,923100.511610.9
주폐포자충폐렴2,0391778.71,9231658.61161210.3
진행성 다발성백질뇌증2,03990.41,92390.511600.0
톡소플라즈마증2,039100.51,92390.511610.9
HIV에 의한 소모증후군2,039110.51,923110.611600.0
침습성 자궁경부암2,01810.01,90510.111300.0
원발성 뇌 림프종2,01800.01,90500.011300.0
버키트 림프종2,01810.01,90510.111300.0
카포지 육종2,01870.31,90570.411300.0
면역아구성 림프종2,01800.01,90500.011300.0

총 누적 대상자 중 결측값(응답 없음 또는 모름 등) 제외. AIDS=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CMV=cytomegalovirus;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SV=herpes simplex virus..


연구대상자 중 중도탈락자의 종결사유
범주전체남자여자
대상자중도
탈락자
탈락률 (%)대상자중도
탈락자
탈락률 (%)대상자중도
탈락자
탈락률 (%)
사망≤2944030.742030.72000.0
30–39599111.8575111.92400.0
40–49507193.9488173.51900.0
≥505257013.94716914.65410.0
합계2,0711035.01,9541005.111711.9
탈퇴(동의 철회)≤29440133.0420133.12000.0
30–39599447.3575417.124312.5
40–495075210.3488489.819421.1
≥505257614.54717115.15459.3
합계2,0711858.91,9541738.91171210.3
탈락(유지 실패)≤29440358.0420358.32000.0
30–395997312.25756811.824520.8
40–495075811.44885210.719631.6
≥505257414.14717215.35423.7
합계2,07124011.61,95422711.61171311.1
전원≤29440163.6420163.82000.0
30–39599406.7575386.62428.3
40–49507356.9488347.01900.0
≥50525315.9471265.55459.3
합계2,0711225.91,9541145.811776.8
이주(해외)≤2944000.042000.02000.0
30–3959950.857530.52400.0
40–4950720.448820.41900.0
≥5052550.947151.15400.0
합계2,071120.61,954100.511700.0
병원 철회≤2944061.442061.42000.0
30–39599101.7575101.72400.0
40–49507183.6488183.71900.0
≥50525387.2471337.05459.3
합계2,071723.51,954673.411754.3
기타≤2944020.542020.52000.0
30–3959930.557530.52400.0
40–4950720.448820.41900.0
≥5052591.747191.95400.0
합계2,071160.81,954160.811700.0

총 누적 대상자 중 18세 이하 및 결측값 제외..


References

  1. UNAIDS. Global HIV & AIDS statistics - Fact sheet [Internet]. UNAIDS; 2023 [cited 2023 Sep 20]. Available from: https://www.unaids.org/en/resources/fact-sheet
  2. Kim K, Kim S, Kim HS, Min SY. HIV/AIDS notifications in Korea, 2022. Public Health Wkly Rep 2023;16:1576-86.
  3.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2023 Annual report on the notified HIV/AIDS in Korea. KDCA; 2024.
  4. Yoo M, Kee M, Kim K. Korea HIV/AIDS cohort study. Public Health Wkly Rep 2019;12:2160-8.
  5. Seong H, Choi Y, Kim M, et al. Rate of and risk factors for loss to follow up in HIV-infected patients in Korea: the Korea HIV/AIDS cohort study. Infect Chemother 2023;55:69-79.
    CrossRef
  6. Kim JM, Choi JY, Jeong WY, et al. Mode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ransmission in Korea: the Korea HIV/AIDS cohort study. Korean J Med 2018;93:379-86.
    CrossRef
PHWR
Oct 31, 2024 Vol.17 No.42
pp. 1767~1813

Supplementary File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