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Split Viewer
ENG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6): 155-170

Published online February 16,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6.1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국내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발생 현황, 2017–2021년

신인숙, 이호성, 권정란, 이지연, 김향선, 황경원*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 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

*Corresponding author: 황경원, Tel: +82-43-913-2310, E-mail: kirk99@korea.kr

Received: November 25, 2022; Revised: January 6, 2023; Accepted: January 16,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CJD)은 병인 물질인 프리온에 의해 전염되며 현재까지 특화된 치료법(제)이 없고 매우 빠르게 사망한다. 감염경로에 따라 산발성(sporadic CJD), 의인성(iatrogenic CJD, 유전형(genetic forms of CJD), 변종성(variant CJD)으로 분류되고 이 중 산발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이 85–90%, 유전형이 10–15%를 차지한다.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법정 표본감시 감염병으로 관리되었다가 2011년부터 전수감시체계로 전환되었다. 국내에서 2017–2021년 동안 발생한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환자(추정)는 총 276명이었다. 주요 발생 연령대는 60–70대이며 여자는 150명(54.3%), 남자 126명(45.7%)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8.6%p 많았다. 50대 전후 연령 구분에서는 50세 이상 발생이 93.8%였는데, 산발성에서 50세 이상 발생이 50세 미만보다 92.6%p 발생이 높았고 유전형은 50세 이상에서의 발생이 54.2% 높아 50대 전후 연령 구분으로 확인한 아형별 발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임상증상은 소뇌 기능장애가 182명(65.9%)으로 가장 많았고 추체외로 관련 증상이 127명(46.0%)이었으며 간대성 근경련 128명(46.4%), 상위 신경세포 장애로 발생하는 근육의 경직, 위약감 등의 추체로 증상이 111명(40.2%), 시각장애 93명(33.7%), 우울감, 불안, 환각, 망상 등의 정신 증상은 93명(33.7%)이었다. 이 중 추체외로 증상은 산발성에서 무증상자가 유증상자보다 3.0%p 많았는데 유전형은 무증상자가 42.8%p 더 많아 아형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최근 5년간 국내 누적 환자의 유형별 발생은, 산발성이 87.0%, 유전형 13.0%로 산발성이 약 7배 높았고 변종성은 국내 발생이 없었다. 국내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발생 수준은 100만 명당 1명 수준이었다.

Keywords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유전자 돌연변이, 산발성, 유전형, 의인성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국내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환자는 표본감시 기간(2001–2010년) 동안 연평균 18.5명(5–30명) 수준이었고 이 중 산발성이 178명(96.2%), 유전형은 3.2%였으며 2016–2019년까지 총 188명 중 산발성이 87.8%, 유전형은 12.2%로 표본감시 기간에 비해 다소 증가하였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최근 5년간(2017–2021년) 감염경로별 발생은 산발형 87.0%, 유전형 13.0%, 인구 100만 명당 1명으로 전세계 발생 수준과 유사하며, 현재까지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 국내 발생은 없다. 의심사례로 신고된 건 중 음성으로 분류된 64.9%의 진단은 뇌염(encephalitis), 뇌병증(encephalopathy), 수막뇌염(meningoencephalitis), 수막염(meningitis) 순이었다.

③ 시사점은?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한 인지기능 저하의 특징적인 임상 양상을 고려하여 유증상자 의료기관 방문시 진단에 필수적인 검사를 적절히 시행하여 신속한 진단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며, 환자(추정)에게 사용된 수술 도구는 특수 소독 방법으로 철저히 소독하여 의료기구를 통한 전파를 예방해야 하겠다.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CJD)은 전 세계적으로 드물게 발생하는 희귀질환으로 1920년대에 독일의 신경병리학자인 Alfons Maria Jakob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으며[1], 병인 물질인 프리온에 의해 전염되는 치명적인 퇴행성 신경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종간 감염이 가능하며 환자를 통하여 직접 전염될 수도 있으나 현재까지 특화된 치료법(제)이 없고 일단 발병하면 매우 빠르게 사망한다. 인구 백만 명당 1–1.5명 정도 발생하며 감염경로에 따라 산발성(sporadic CJD), 의인성(iatrogenic CJD), 유전형(genetic forms of CJD), 변종성(variant CJD)로 분류되고 이 중 산발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이 전체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발병의 85–90%를 차지하며 유전형이 10–15%를 차지한다. 산발성은 자연적인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고 유전형은 유전적 소인에 따라 발병하는데 가족성 치명성 불면증(fatal familial insomnia, FFI), 게르트만-스트로이슬러-샤인케르 증후군(Gerstmann–Sträussler–Scheinker syndrome, GSS) 등이 있다. 의인성은 감염조직의 침습적인 접촉을 통해 전염되며 변종형은 변형 프리온의 경구 섭취를 통해 발생한다[2-4].

우리나라는 영국에서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변형 프리온의 경구 섭취) 유행이 있었던 1996년과 2000년에 전국의 신경과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능동감시를 시행했고,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01년부터 2010년까지 법정 표본감시 감염병으로 관리하다가, 2011년부터는 모든 의료기관에서 신고가 가능한 전수감시체계로 전환하였다. 또한, 2001년부터 시행된 희귀난치성 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실시 기준에 따라 2005년부터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환자에게도 의료비를 지원하고 있다[5].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은 치매나 파킨슨과 같은 비감염성 프리온 질환과 초기 증상이 유사하여, 사례 분류 시 고도의 전문적인 판단이 요구된다. 질병관리청은 체계적 환자 분류체계를 확립하고 정확한 진단 및 신속한 사례 분류를 통한 프리온 질병의 발병 여부를 엄격히 감시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국내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의 최근 5년 발생 현황을 확인하고,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감염병 발생 감소를 위한 관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질병관리청 법정감염감시체계(https//is.kdca.go.kr)를 통해 신고된 최근 5년 인수공통감염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의 신고데이터, 역학조사 데이터 및 한림대 부검센터에서 시행된 부검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국내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의 발생 현황, 실험실 진단검사 결과, 임상 증상 등을 통하여 국내 발생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1. 크로이츠펠트-야콥병 감시체계

전국의 의료기관은 모든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의심사례에 대해 규정된 서식의 사례조사서를 작성하여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에 등록한다. 신고 대상자의 주소지 관할 시도는 신고된 개별사례에 대해 사례조사서, 의무기록, 주치의 면담(필요시)을 통해 신고 대상자의 추가정보를 확인하여 역학조사서를 작성하고 시스템을 통해 질병관리청에 보고한다. 의료기관에서 의뢰된 검체는 질병관리청 세균분석과와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부검센터로 선정된 한림대학교 일송생명과학연구소의 생물안전 3등급(Biosafety Level 3, BL3) 검사실에서 검사를 진행하여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에 검사결과에 대한 성적서를 등록한다. 질병관리청 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는 임상경과가 급속히 진행되는 질병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최근까지 변화된 환자의 임상 경과, 최근에 확인된 진단명,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부합 여부에 대한 주치의 소견과 판단기준, 검사 결과 등을 종합하여 임상의사 등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를 통해 사례를 판정하고있다.

분류된 대상자에 대한 조치로 영구헌혈 금지 및 의인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전파 예방을 위한 의료기관 감염관리 및 철저한 기구 소독 등 예방관리를 하고있다.

2.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의 판정 기준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의 판정 기준은 임상증상 및 경과, 프리온 단백질 관련(14-3-3, total tau protein, prion protein gene [PRNP]) 진단검사, real-time quakinginduced conversion (RT-QuIC) 등의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판정하였다.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은 비교적 특징적인 임상소견을 보이므로 경험 있는 신경과 전문의는 임상적 진단을 내릴 수 있다.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은 주로 60세 전후로 발병하고 급속히 진행하는 치매(rapidly progressive dementia), 간대성근경련(myoclonus)1), 시각적증상(visual signs)2), 소뇌기능장애(cerebellar signs)3), 추체로 증상(pyramidal signs)4) 및 추체외로 증상(extrapyramidal signs)5), 무동성 무언증 등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주요 검사소견으로는 뇌파 검사에서의 특징적인 주기성의 예파(typical periodic complexes on the electroencephalogram [EEG]), 뇌영상(brain MRI)의 확산강조영상(diffusion weighted image) 또는 액체감쇠역전회복영상(fluid-attenuated in version recovery)에서의 대뇌피질과 미상핵, 기저핵의 고신호강도의 소견을 보였다. 실험실 진단 검사는 뇌척수액으로 western blot을 수행하여 기준치 이상의 14-3-3 단백 검출, total tau protein의 4,000 pg/mL 이상 검출, 변형 프리온 단백질(PrPSc)을 보다 직접적으로 검출하는 RT-QuIC 검사를 통해 검출 여부를 확인하였다. 혈액검체로는 DNA extraction kit로 genomic DNA를 추출한 후 중합효소 연쇄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여 프리온 유전자를 증폭 후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시행하여 돌연변이 및 다형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의 확진은 뇌조직 생검으로 사후 부검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부검에 대한 비용, 보호자의 반대, 크로이츠펠트-야콥병 감염병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부검률이 낮다. 해외의 경우도 여러 가지 비용의 증가, 소송에 대한 두려움 및 부검 조직을 다루는 과정에서 감염 가능성 등을 우려하여 부검률이 높지 않은 상황이며[6]. 최근에는 정확도, 신뢰도가 높은 최신 진단기법의 임상 진단을 선호하는 추세이다[7].

1.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연도별 발생현황(인구 10만 명당)

최근 5년간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의심사례 발생 보고건 786명 중 환자(추정)는 276명으로 약 35%였으며, 매년 발생 보고 건의 약 30–40% 내외로 환자(추정)가 분류되었다. 연도별 환자(추정) 사례는 2017년 38명 발생 이후 2018년에 42% (16명) 증가한 54명이 발생하였고 이후 50–60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100만 명당 환자 발생은 2017년 0.7명, 2018–2021년 1.0–1.3명 수준이다. 5년 누적 환자의 감염경로별 발생은 산발성 87.0%, 유전형 13.0%로 산발성이 약 7배 높다. 최근 5년간 변종성, 의인성 발생사례는 없었다(표 1, 그림 1).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발생현황, 2017–2021년

연도발생 보고건CJD (추정)CJD 분류율(%)세부분류100만당 발생률
sCJD (%)gCJD (%)
총 계78627635.124087.03613.0
20211806737.25785.11014.91.3
20201356447.45890.669.41.2
20191675331.74992.547.51.0
20181815429.84787.0713.01.1
20171233830.92976.3923.70.7

단위: 건(%). CJD: Creutzfeldt–Jakob disease, sCJD: sporadic CJD, gCJD: genetic forms of CJD.


Figure. 1.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아형별/인구 100만 명당 발생
sCJD: sporadic Creutzfeldt–Jakob disease, gCJD: genetic forms of Creutzfeldt–Jakob disease.

2.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연령별 발생현황

전체 환자(추정) 276명 중 여자 150명(54.3%), 남자 126명(45.7%)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8.6%p 많았고, 50대 전후로 연령 구분에서는 50세 이상 발생이 93.8%를 차지했다. 주요 발생 연령대는 50–70대 이상으로 전체 발생의 약 93.5%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령군별로는 60대가 가장 높고(38.8%), 70대 이상(35.9%), 50대(18.8%), 40대(4.7%), 30대(1.4%), 20대(0.4%) 순이다. 5년간 평균 증가율은 14.6%이며 연령대별 증가율은 60대가 29.6%로 가장 높고 50대 9.6%, 70대 3.0% 순이다(표 2, 그림 2).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연령별 발생현황

연도누계연령대(세)
20–2930–3940–4950–5960–69≥70
202167113133118
202064012122623
20195301382021
201854013101921
20173800291116
총계(%)276 (100.0)1 (0.4)4 (1.4)13 (4.7)52 (18.8)107 (38.8)99 (35.9)

단위: 명. CJD: Creutzfeldt–Jakob disease.


Figure. 2.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CJD) 연령별 발생현황

3. 임상 및 진단적 특성

임상증상은 보행장애 및 운동실조를 보이는 소뇌 기능장애가 182명(65.9%)으로 가장 많았고 사지‧몸통 근육의 경축, 불수의운동 등 추체외로 관련 증상이 127명(46.0%)이었으며 간대성근경련 128명(46.4%), 상위 신경세포 장애로 발생하는 근육의 경직, 위약감 등의 추체로 증상이 111명(40.2%), 시각장애 93명(33.7%), 우울감, 불안, 환각, 망상 등의 정신 증상은 93명(33.7%)이었다. 진단검사로는 western blot, total tau protein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T-QuIC, PRNP를 실시하였는데 western blot 양성률이 79.3%로 가장 높았고 total tau protein ELISA는 26.8%에서 단백질 검출량이 4,000 pg/mL 이상이었다. RT-QuIC 양성은 66.3%였으며 PRNP 결과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된 사례는 36명이었다.

감염경로별 분류된 아형(산발성, 유전형)에 따라 인구특성, 임상증상 여부, 진단 결과를 χ2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연령, 추체외로 증상여부, RT-QuIC 양성 여부, PRNP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5) (표 3).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의 감염경로별 발생 특성, 2017–2021년

구분종류sCJD (n=240)gCJD (n=36)Total (n=276)p-value
인구학적특성성별(여)130 (54.2)20 (55.6)150 (54.3)0.72
연령(≥50세)231 (96.3)27 (75.0)258 (93.8)<0.001
임상증상(유증상자)a)간대성근경련115 (47.9)13 (36.1)128 (46.4)0.24
시각장애84 (35.0)9 (25.0)93 (33.7)0.28
소뇌기능161 (67.1)21 (58.3)182 (65.9)0.42
추체로100 (41.7)11 (30.6)111 (40.2)0.25
추체외로117 (48.8)10 (27.8)127 (46.0)0.02
정신 증상81 (33.8)12 (33.3)93 (33.7)0.93
진단검사(양성자)14-3-3193 (80.4)26 (72.2)219 (79.3)0.44
Tau protein (>4,000 pg/mL)69 (28.8)5 (13.9)74 (26.8)0.18
RT-QuIC167 (69.6)16 (44.4)183 (66.3)<0.001
PRNP0 (0.0)36 (100.0)36 (13.0)<0.001

단위: 건(%). a)개인별 중복건수 포함. RT-QuIC: real-time quaking-induced conversion, PRNP: prion protein gene.



4. 유전자 돌연변이 검출 현황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된 36명은 유전형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이 20명(55.6%)으로 가장 많았고, 게르스트만-스트로이슬러-샤인케르 증후군 10명(27.8%), 가족성 치명성 불면증 6명(16.7%) 순위였다. 유전형별로는 P102L이 27.8%로 가장 많았고 V1801 19.4%, E200K, M232R, D178N이 16.7%였으며 V203I는 2.8%였다(표 4).

유전자 돌연변이 종류, 2017–2021년

종류(%)유전형n (%)20172018201920202021
gCJD (55.6)E200K6 (16.7)1212
M232R6 (16.7)411
V180I7 (19.4)21112
V203l1 (2.8)1
GSS (27.8)P102L10 (27.8)11233
FFI (16.7)D178N6 (16.7)11112
총계(%)36 (100.0)9 (25.7)7 (19.4)4 (11.1)6 (16.7)10 (27.8)

단위: 건(%). 2021년 질병관리청 감염병 감시연보 기준



5. 부검 실적

2017–2021년 한림대 부검센터를 통해 실시한 부검은 총 8건이며 5건은 산발성, 2건은 음성(negative), 1건은 의심사례였다. 연도별로는 2019년에 4건(50%), 2017, 2018, 2020, 2021년에 각 1건(12.5%)이었다(표 5).

부검 실적, 2017–2021년

연도사례부검 및 생검
부(생)검일결과
2017A2017.05.19sCJD
2018B2018.06.17Negative
2019C2019.06.08sCJD
D2019.06.28Negative
E2019.07.25sCJD
F2019.11.04Suspicious CJD
2020G2020.07.03sCJD
2021H2021.10.01sCJD
총계8건

sCJD: sporadic Creutzfeldt–Jakob disease.


2017–2021년 동안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의심사례 발생 보고건 786명 중, 환자(추정)로 분류된 사례는 276명이며, 크로이츠펠트-야콥병으로 판정되지 않은 510건은 뇌염(encephalitis), 뇌병증(encephalopathy), 수막뇌염(meningoencephalitis), 수막염(meningitis)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발생 연령대는 60–70대이며 사망자의 경우 발병 후 1년 이내 사망하여 국내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환자의 임상경과, 치명률은 문헌에서 확인한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7-9]. 분석대상자 276명의 성별비율은 여자가 남자보다 8.6%p 많았는데 아형별 발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05), 50대 전후 연령 구분으로 확인한 아형별 발생에서는 산발성에서 50세 이상 발생이 50세 미만보다 92.6%p 높았고 유전형은 50세 이상에서의 발생이 54.2%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임상증상은 소뇌 기능장애가 65.9%로 가장 많았고 간대성근경련 46.4%, 추체외로 관련 증상이 46.0%, 추체로 증상 40.2%, 시각장애 33.7%, 정신 증상 33.7% 순이었다. 이 중 추체외로 증상은 산발성에서 무증상자가 유증상자보다 3.0%p 많았는데 유전형은 무증상자가 42.8%p 더 많아 아형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진단검사로는 western blot, total tau protein ELISA, RT-QuIC, PRNP를 실시하였는데 뇌척수액을 이용하여 14-3-3 단백질의 검출여부를 조사하는 western blot의 양성율은 79.3%로 가장 높았고 단백질의 검출량을 측정하는 효소면역 정량법인 ELISA를 통해 total tau protein은 >4,000 pg/mL이 26.8%였다. 뇌척수액에서 변형 프리온 단백질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는 RT-QuIC 검사에서는 66.3%가 양성자였으며 임상 경과 및 기타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판정된 대상자는 모두 RT-QuIC 검사결과가 양성이었다. 아형별로 확인한 RT-QuIC 결과에서, 산발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판정자 중 양성자가 음성자보다 38.6%p 많았으나 유전형 크로이츠펠트-야콥병에서는 음성자가 양성자보다 8.5%p 많았다(p<0.05). PRNP는 혈액을 이용하여 DNA 추출 키트로 genomic DNA를 추출한 후 PCR을 수행하여 프리온 유전자를 증폭하고, 증폭된 프리온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돌연변이 유무를 확인하는데 유전형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된 36명은 유전형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이 20명(55.6%)으로 가장 많았고, 게르스트만-스트로이슬러-샤인케르 증후군 10명(27.8%), 가족성 치명성 불면증 6명(16.7%)으로 유전형 크로이츠펠트-야콥병(gCJD) 발생이 높았다. 돌연변이에서 확인된 프리온 단백질 유전자는 6종류였으며, 신경병리학적 표현형 게스트만-스트로이슬러-샤인케르 증후군과 관련된 돌연변이인 P102L (27.8%)이 가장 많았고 V180I 19.4%, D178N, E200K, M232R이 16.7%, V203l는 2.8%였다[10].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확진 진단은 사망 후 부검을 통해 이루어지는데[11] 2005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현재, 질병관리청)로부터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부검센터로 선정된 한림대 부검센터에서 매년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추정사례에 대한 부검을 실시하고 있다. 보호자의 반대, 크로이츠펠트-야콥병 감염에 대한 인식 부족 등의 이유로 연간 발생 건수에 비해 실제 부검 건수는 낮다[6].

최근 5년 국내 누적 환자의 감염경로별 발생은,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산발성이 87.0%, 유전형 13.0%로 산발성이 약 7배 높았고, 100만 명당 발생은 1–1.3명대로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보고한 전세계 평균 발생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2].

현재까지 국내 발생이 없는 변종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은 1980–1996년대에 영국을 중심으로 한 서유럽, 미국, 캐나다,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등 전세계에서 230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했고 영국에서만 165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었다. 소에게 더 좋은 축산품을 얻기 위해 프리온에 감염된 다른 동물(뇌조직포함)을 사료로 사용하고 감염된 조직으로 생산된 제품 사용, 식육 등을 통해 급속히 전파되었는데 이를 차단하기 위해 유럽연합(European Union)은 영국산 쇠고기 수입을 10년간 금지하기도 했다[12,13]. 현재까지 국내 발생이 없는 상황이나 변종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을 포함한 특이사례,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는 필요하며, 부검을 통하여 정확한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의료기관 대상 수술 도구 등을 통한 전파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예방, 홍보 및 감염관리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하며 의료기관은 정확한 사례분류를 위해 진단에 필요한 검사를 필수로 시행해야 하고 고위험군에 대한 수술 도구 소독[5] 등 감염관리수칙을 철저히 이행하여야 한다.

Conceptualization: ISS. Data curation: ISS. Formal analysis: ISS, HSL. Investigation: JRK, JYL, HSK. Writing – original draft: ISS. Writing – review & editing: KWH.

  1. Katscher F. It's Jakob's disease, not Creutzfeldt's. Nature 1998;393:11.
    Pubmed CrossRef
  2. WHO. WHO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ies: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3. WHO. The revision of the surveillance case definition for Variant Creutzfeldt-Jakob disease (vCJD):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4. Uttley L, Carroll C, Wong R, Hilton DA, Stevenson M. Creutzfeldt-Jakob disease: a systematic review of global incidence, prevalence, infectivity, and incubation. Lancet Infect Dis 2020;20:e2-10.
    Pubmed CrossRef
  5.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1 Creutzfeldt-Jakob disease guidelines. Cheongju: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1.
  6. Louie JK, Gavali SS, Belay ED, et al. Barriers to Creutzfeldt-Jakob disease autopsies, California. Emerg Infect Dis 2004;10:1677-80.
    Pubmed KoreaMed CrossRef
  7. Dong TT, Satoh K. The latest research on RT-QuIC assays- a literature review. Pathogens 2021;10:305.
    Pubmed KoreaMed CrossRef
  8. Australian Government. Creutzfeldt-Jakob disease surveillance in Australia: update to December 2017. Canberra: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2019.
  9. The National CJD Research & Surveillance Unit. 27th Annual report 2018: Creutzfeldt-Jakob disease surveillance in the UK. Edinburgh: The National CJD Research & Surveillance Unit; 2018.
  10.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Legal infectious disease diagnosis and reporting criteria. Cheongju: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
  11. Kim Y. Prion diseases. J Korean Neurol Assoc 2001;19:1-9.
  12. Seitz R, von Auer F, Blümel J, et al. Impact of vCJD on blood supply. Biologicals 2007;35:79-97.
    Pubmed CrossRef
  13. Coulthart MB, Geschwind MD, Qureshi S, et al. A case cluster of variant Creutzfeldt-Jakob disease linked to the Kingdom of Saudi Arabia. Brain 2016;139(Pt 10):2609-16.
    Pubmed KoreaMed CrossRef

Article

연구논문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6): 155-170

Published online February 16,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6.1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국내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발생 현황, 2017–2021년

신인숙, 이호성, 권정란, 이지연, 김향선, 황경원*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 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

Received: November 25, 2022; Revised: January 6, 2023; Accepted: January 16,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CJD)은 병인 물질인 프리온에 의해 전염되며 현재까지 특화된 치료법(제)이 없고 매우 빠르게 사망한다. 감염경로에 따라 산발성(sporadic CJD), 의인성(iatrogenic CJD, 유전형(genetic forms of CJD), 변종성(variant CJD)으로 분류되고 이 중 산발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이 85–90%, 유전형이 10–15%를 차지한다.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법정 표본감시 감염병으로 관리되었다가 2011년부터 전수감시체계로 전환되었다. 국내에서 2017–2021년 동안 발생한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환자(추정)는 총 276명이었다. 주요 발생 연령대는 60–70대이며 여자는 150명(54.3%), 남자 126명(45.7%)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8.6%p 많았다. 50대 전후 연령 구분에서는 50세 이상 발생이 93.8%였는데, 산발성에서 50세 이상 발생이 50세 미만보다 92.6%p 발생이 높았고 유전형은 50세 이상에서의 발생이 54.2% 높아 50대 전후 연령 구분으로 확인한 아형별 발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임상증상은 소뇌 기능장애가 182명(65.9%)으로 가장 많았고 추체외로 관련 증상이 127명(46.0%)이었으며 간대성 근경련 128명(46.4%), 상위 신경세포 장애로 발생하는 근육의 경직, 위약감 등의 추체로 증상이 111명(40.2%), 시각장애 93명(33.7%), 우울감, 불안, 환각, 망상 등의 정신 증상은 93명(33.7%)이었다. 이 중 추체외로 증상은 산발성에서 무증상자가 유증상자보다 3.0%p 많았는데 유전형은 무증상자가 42.8%p 더 많아 아형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최근 5년간 국내 누적 환자의 유형별 발생은, 산발성이 87.0%, 유전형 13.0%로 산발성이 약 7배 높았고 변종성은 국내 발생이 없었다. 국내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발생 수준은 100만 명당 1명 수준이었다.

Keywords: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유전자 돌연변이, 산발성, 유전형, 의인성

서 론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국내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환자는 표본감시 기간(2001–2010년) 동안 연평균 18.5명(5–30명) 수준이었고 이 중 산발성이 178명(96.2%), 유전형은 3.2%였으며 2016–2019년까지 총 188명 중 산발성이 87.8%, 유전형은 12.2%로 표본감시 기간에 비해 다소 증가하였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최근 5년간(2017–2021년) 감염경로별 발생은 산발형 87.0%, 유전형 13.0%, 인구 100만 명당 1명으로 전세계 발생 수준과 유사하며, 현재까지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 국내 발생은 없다. 의심사례로 신고된 건 중 음성으로 분류된 64.9%의 진단은 뇌염(encephalitis), 뇌병증(encephalopathy), 수막뇌염(meningoencephalitis), 수막염(meningitis) 순이었다.

③ 시사점은?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한 인지기능 저하의 특징적인 임상 양상을 고려하여 유증상자 의료기관 방문시 진단에 필수적인 검사를 적절히 시행하여 신속한 진단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며, 환자(추정)에게 사용된 수술 도구는 특수 소독 방법으로 철저히 소독하여 의료기구를 통한 전파를 예방해야 하겠다.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CJD)은 전 세계적으로 드물게 발생하는 희귀질환으로 1920년대에 독일의 신경병리학자인 Alfons Maria Jakob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으며[1], 병인 물질인 프리온에 의해 전염되는 치명적인 퇴행성 신경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종간 감염이 가능하며 환자를 통하여 직접 전염될 수도 있으나 현재까지 특화된 치료법(제)이 없고 일단 발병하면 매우 빠르게 사망한다. 인구 백만 명당 1–1.5명 정도 발생하며 감염경로에 따라 산발성(sporadic CJD), 의인성(iatrogenic CJD), 유전형(genetic forms of CJD), 변종성(variant CJD)로 분류되고 이 중 산발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이 전체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발병의 85–90%를 차지하며 유전형이 10–15%를 차지한다. 산발성은 자연적인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고 유전형은 유전적 소인에 따라 발병하는데 가족성 치명성 불면증(fatal familial insomnia, FFI), 게르트만-스트로이슬러-샤인케르 증후군(Gerstmann–Sträussler–Scheinker syndrome, GSS) 등이 있다. 의인성은 감염조직의 침습적인 접촉을 통해 전염되며 변종형은 변형 프리온의 경구 섭취를 통해 발생한다[2-4].

우리나라는 영국에서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변형 프리온의 경구 섭취) 유행이 있었던 1996년과 2000년에 전국의 신경과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능동감시를 시행했고,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01년부터 2010년까지 법정 표본감시 감염병으로 관리하다가, 2011년부터는 모든 의료기관에서 신고가 가능한 전수감시체계로 전환하였다. 또한, 2001년부터 시행된 희귀난치성 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실시 기준에 따라 2005년부터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환자에게도 의료비를 지원하고 있다[5].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은 치매나 파킨슨과 같은 비감염성 프리온 질환과 초기 증상이 유사하여, 사례 분류 시 고도의 전문적인 판단이 요구된다. 질병관리청은 체계적 환자 분류체계를 확립하고 정확한 진단 및 신속한 사례 분류를 통한 프리온 질병의 발병 여부를 엄격히 감시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국내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의 최근 5년 발생 현황을 확인하고,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감염병 발생 감소를 위한 관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 법

질병관리청 법정감염감시체계(https//is.kdca.go.kr)를 통해 신고된 최근 5년 인수공통감염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의 신고데이터, 역학조사 데이터 및 한림대 부검센터에서 시행된 부검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국내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의 발생 현황, 실험실 진단검사 결과, 임상 증상 등을 통하여 국내 발생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1. 크로이츠펠트-야콥병 감시체계

전국의 의료기관은 모든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의심사례에 대해 규정된 서식의 사례조사서를 작성하여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에 등록한다. 신고 대상자의 주소지 관할 시도는 신고된 개별사례에 대해 사례조사서, 의무기록, 주치의 면담(필요시)을 통해 신고 대상자의 추가정보를 확인하여 역학조사서를 작성하고 시스템을 통해 질병관리청에 보고한다. 의료기관에서 의뢰된 검체는 질병관리청 세균분석과와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부검센터로 선정된 한림대학교 일송생명과학연구소의 생물안전 3등급(Biosafety Level 3, BL3) 검사실에서 검사를 진행하여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에 검사결과에 대한 성적서를 등록한다. 질병관리청 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는 임상경과가 급속히 진행되는 질병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최근까지 변화된 환자의 임상 경과, 최근에 확인된 진단명,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부합 여부에 대한 주치의 소견과 판단기준, 검사 결과 등을 종합하여 임상의사 등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를 통해 사례를 판정하고있다.

분류된 대상자에 대한 조치로 영구헌혈 금지 및 의인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전파 예방을 위한 의료기관 감염관리 및 철저한 기구 소독 등 예방관리를 하고있다.

2.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의 판정 기준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의 판정 기준은 임상증상 및 경과, 프리온 단백질 관련(14-3-3, total tau protein, prion protein gene [PRNP]) 진단검사, real-time quakinginduced conversion (RT-QuIC) 등의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판정하였다.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은 비교적 특징적인 임상소견을 보이므로 경험 있는 신경과 전문의는 임상적 진단을 내릴 수 있다.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은 주로 60세 전후로 발병하고 급속히 진행하는 치매(rapidly progressive dementia), 간대성근경련(myoclonus)1), 시각적증상(visual signs)2), 소뇌기능장애(cerebellar signs)3), 추체로 증상(pyramidal signs)4) 및 추체외로 증상(extrapyramidal signs)5), 무동성 무언증 등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주요 검사소견으로는 뇌파 검사에서의 특징적인 주기성의 예파(typical periodic complexes on the electroencephalogram [EEG]), 뇌영상(brain MRI)의 확산강조영상(diffusion weighted image) 또는 액체감쇠역전회복영상(fluid-attenuated in version recovery)에서의 대뇌피질과 미상핵, 기저핵의 고신호강도의 소견을 보였다. 실험실 진단 검사는 뇌척수액으로 western blot을 수행하여 기준치 이상의 14-3-3 단백 검출, total tau protein의 4,000 pg/mL 이상 검출, 변형 프리온 단백질(PrPSc)을 보다 직접적으로 검출하는 RT-QuIC 검사를 통해 검출 여부를 확인하였다. 혈액검체로는 DNA extraction kit로 genomic DNA를 추출한 후 중합효소 연쇄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여 프리온 유전자를 증폭 후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시행하여 돌연변이 및 다형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의 확진은 뇌조직 생검으로 사후 부검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부검에 대한 비용, 보호자의 반대, 크로이츠펠트-야콥병 감염병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부검률이 낮다. 해외의 경우도 여러 가지 비용의 증가, 소송에 대한 두려움 및 부검 조직을 다루는 과정에서 감염 가능성 등을 우려하여 부검률이 높지 않은 상황이며[6]. 최근에는 정확도, 신뢰도가 높은 최신 진단기법의 임상 진단을 선호하는 추세이다[7].

결 과

1.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연도별 발생현황(인구 10만 명당)

최근 5년간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의심사례 발생 보고건 786명 중 환자(추정)는 276명으로 약 35%였으며, 매년 발생 보고 건의 약 30–40% 내외로 환자(추정)가 분류되었다. 연도별 환자(추정) 사례는 2017년 38명 발생 이후 2018년에 42% (16명) 증가한 54명이 발생하였고 이후 50–60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100만 명당 환자 발생은 2017년 0.7명, 2018–2021년 1.0–1.3명 수준이다. 5년 누적 환자의 감염경로별 발생은 산발성 87.0%, 유전형 13.0%로 산발성이 약 7배 높다. 최근 5년간 변종성, 의인성 발생사례는 없었다(표 1, 그림 1).

표 1.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발생현황, 2017–2021년.

연도발생 보고건CJD (추정)CJD 분류율(%)세부분류100만당 발생률
sCJD (%)gCJD (%)
총 계78627635.124087.03613.0
20211806737.25785.11014.91.3
20201356447.45890.669.41.2
20191675331.74992.547.51.0
20181815429.84787.0713.01.1
20171233830.92976.3923.70.7

단위: 건(%). CJD: Creutzfeldt–Jakob disease, sCJD: sporadic CJD, gCJD: genetic forms of CJD..


Figure 1.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아형별/인구 100만 명당 발생
sCJD: sporadic Creutzfeldt–Jakob disease, gCJD: genetic forms of Creutzfeldt–Jakob disease.

2.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연령별 발생현황

전체 환자(추정) 276명 중 여자 150명(54.3%), 남자 126명(45.7%)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8.6%p 많았고, 50대 전후로 연령 구분에서는 50세 이상 발생이 93.8%를 차지했다. 주요 발생 연령대는 50–70대 이상으로 전체 발생의 약 93.5%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령군별로는 60대가 가장 높고(38.8%), 70대 이상(35.9%), 50대(18.8%), 40대(4.7%), 30대(1.4%), 20대(0.4%) 순이다. 5년간 평균 증가율은 14.6%이며 연령대별 증가율은 60대가 29.6%로 가장 높고 50대 9.6%, 70대 3.0% 순이다(표 2, 그림 2).

표 2.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연령별 발생현황.

연도누계연령대(세)
20–2930–3940–4950–5960–69≥70
202167113133118
202064012122623
20195301382021
201854013101921
20173800291116
총계(%)276 (100.0)1 (0.4)4 (1.4)13 (4.7)52 (18.8)107 (38.8)99 (35.9)

단위: 명. CJD: Creutzfeldt–Jakob disease..


Figure 2.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CJD) 연령별 발생현황

3. 임상 및 진단적 특성

임상증상은 보행장애 및 운동실조를 보이는 소뇌 기능장애가 182명(65.9%)으로 가장 많았고 사지‧몸통 근육의 경축, 불수의운동 등 추체외로 관련 증상이 127명(46.0%)이었으며 간대성근경련 128명(46.4%), 상위 신경세포 장애로 발생하는 근육의 경직, 위약감 등의 추체로 증상이 111명(40.2%), 시각장애 93명(33.7%), 우울감, 불안, 환각, 망상 등의 정신 증상은 93명(33.7%)이었다. 진단검사로는 western blot, total tau protein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T-QuIC, PRNP를 실시하였는데 western blot 양성률이 79.3%로 가장 높았고 total tau protein ELISA는 26.8%에서 단백질 검출량이 4,000 pg/mL 이상이었다. RT-QuIC 양성은 66.3%였으며 PRNP 결과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된 사례는 36명이었다.

감염경로별 분류된 아형(산발성, 유전형)에 따라 인구특성, 임상증상 여부, 진단 결과를 χ2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연령, 추체외로 증상여부, RT-QuIC 양성 여부, PRNP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5) (표 3).

표 3.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의 감염경로별 발생 특성, 2017–2021년.

구분종류sCJD (n=240)gCJD (n=36)Total (n=276)p-value
인구학적특성성별(여)130 (54.2)20 (55.6)150 (54.3)0.72
연령(≥50세)231 (96.3)27 (75.0)258 (93.8)<0.001
임상증상(유증상자)a)간대성근경련115 (47.9)13 (36.1)128 (46.4)0.24
시각장애84 (35.0)9 (25.0)93 (33.7)0.28
소뇌기능161 (67.1)21 (58.3)182 (65.9)0.42
추체로100 (41.7)11 (30.6)111 (40.2)0.25
추체외로117 (48.8)10 (27.8)127 (46.0)0.02
정신 증상81 (33.8)12 (33.3)93 (33.7)0.93
진단검사(양성자)14-3-3193 (80.4)26 (72.2)219 (79.3)0.44
Tau protein (>4,000 pg/mL)69 (28.8)5 (13.9)74 (26.8)0.18
RT-QuIC167 (69.6)16 (44.4)183 (66.3)<0.001
PRNP0 (0.0)36 (100.0)36 (13.0)<0.001

단위: 건(%). a)개인별 중복건수 포함. RT-QuIC: real-time quaking-induced conversion, PRNP: prion protein gene..



4. 유전자 돌연변이 검출 현황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된 36명은 유전형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이 20명(55.6%)으로 가장 많았고, 게르스트만-스트로이슬러-샤인케르 증후군 10명(27.8%), 가족성 치명성 불면증 6명(16.7%) 순위였다. 유전형별로는 P102L이 27.8%로 가장 많았고 V1801 19.4%, E200K, M232R, D178N이 16.7%였으며 V203I는 2.8%였다(표 4).

표 4. 유전자 돌연변이 종류, 2017–2021년.

종류(%)유전형n (%)20172018201920202021
gCJD (55.6)E200K6 (16.7)1212
M232R6 (16.7)411
V180I7 (19.4)21112
V203l1 (2.8)1
GSS (27.8)P102L10 (27.8)11233
FFI (16.7)D178N6 (16.7)11112
총계(%)36 (100.0)9 (25.7)7 (19.4)4 (11.1)6 (16.7)10 (27.8)

단위: 건(%). 2021년 질병관리청 감염병 감시연보 기준.



5. 부검 실적

2017–2021년 한림대 부검센터를 통해 실시한 부검은 총 8건이며 5건은 산발성, 2건은 음성(negative), 1건은 의심사례였다. 연도별로는 2019년에 4건(50%), 2017, 2018, 2020, 2021년에 각 1건(12.5%)이었다(표 5).

표 5. 부검 실적, 2017–2021년.

연도사례부검 및 생검
부(생)검일결과
2017A2017.05.19sCJD
2018B2018.06.17Negative
2019C2019.06.08sCJD
D2019.06.28Negative
E2019.07.25sCJD
F2019.11.04Suspicious CJD
2020G2020.07.03sCJD
2021H2021.10.01sCJD
총계8건

sCJD: sporadic Creutzfeldt–Jakob disease..


결 론

2017–2021년 동안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의심사례 발생 보고건 786명 중, 환자(추정)로 분류된 사례는 276명이며, 크로이츠펠트-야콥병으로 판정되지 않은 510건은 뇌염(encephalitis), 뇌병증(encephalopathy), 수막뇌염(meningoencephalitis), 수막염(meningitis)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발생 연령대는 60–70대이며 사망자의 경우 발병 후 1년 이내 사망하여 국내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환자의 임상경과, 치명률은 문헌에서 확인한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7-9]. 분석대상자 276명의 성별비율은 여자가 남자보다 8.6%p 많았는데 아형별 발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05), 50대 전후 연령 구분으로 확인한 아형별 발생에서는 산발성에서 50세 이상 발생이 50세 미만보다 92.6%p 높았고 유전형은 50세 이상에서의 발생이 54.2%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임상증상은 소뇌 기능장애가 65.9%로 가장 많았고 간대성근경련 46.4%, 추체외로 관련 증상이 46.0%, 추체로 증상 40.2%, 시각장애 33.7%, 정신 증상 33.7% 순이었다. 이 중 추체외로 증상은 산발성에서 무증상자가 유증상자보다 3.0%p 많았는데 유전형은 무증상자가 42.8%p 더 많아 아형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진단검사로는 western blot, total tau protein ELISA, RT-QuIC, PRNP를 실시하였는데 뇌척수액을 이용하여 14-3-3 단백질의 검출여부를 조사하는 western blot의 양성율은 79.3%로 가장 높았고 단백질의 검출량을 측정하는 효소면역 정량법인 ELISA를 통해 total tau protein은 >4,000 pg/mL이 26.8%였다. 뇌척수액에서 변형 프리온 단백질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는 RT-QuIC 검사에서는 66.3%가 양성자였으며 임상 경과 및 기타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판정된 대상자는 모두 RT-QuIC 검사결과가 양성이었다. 아형별로 확인한 RT-QuIC 결과에서, 산발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판정자 중 양성자가 음성자보다 38.6%p 많았으나 유전형 크로이츠펠트-야콥병에서는 음성자가 양성자보다 8.5%p 많았다(p<0.05). PRNP는 혈액을 이용하여 DNA 추출 키트로 genomic DNA를 추출한 후 PCR을 수행하여 프리온 유전자를 증폭하고, 증폭된 프리온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돌연변이 유무를 확인하는데 유전형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된 36명은 유전형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이 20명(55.6%)으로 가장 많았고, 게르스트만-스트로이슬러-샤인케르 증후군 10명(27.8%), 가족성 치명성 불면증 6명(16.7%)으로 유전형 크로이츠펠트-야콥병(gCJD) 발생이 높았다. 돌연변이에서 확인된 프리온 단백질 유전자는 6종류였으며, 신경병리학적 표현형 게스트만-스트로이슬러-샤인케르 증후군과 관련된 돌연변이인 P102L (27.8%)이 가장 많았고 V180I 19.4%, D178N, E200K, M232R이 16.7%, V203l는 2.8%였다[10].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확진 진단은 사망 후 부검을 통해 이루어지는데[11] 2005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현재, 질병관리청)로부터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부검센터로 선정된 한림대 부검센터에서 매년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추정사례에 대한 부검을 실시하고 있다. 보호자의 반대, 크로이츠펠트-야콥병 감염에 대한 인식 부족 등의 이유로 연간 발생 건수에 비해 실제 부검 건수는 낮다[6].

최근 5년 국내 누적 환자의 감염경로별 발생은,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산발성이 87.0%, 유전형 13.0%로 산발성이 약 7배 높았고, 100만 명당 발생은 1–1.3명대로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보고한 전세계 평균 발생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2].

현재까지 국내 발생이 없는 변종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은 1980–1996년대에 영국을 중심으로 한 서유럽, 미국, 캐나다,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등 전세계에서 230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했고 영국에서만 165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었다. 소에게 더 좋은 축산품을 얻기 위해 프리온에 감염된 다른 동물(뇌조직포함)을 사료로 사용하고 감염된 조직으로 생산된 제품 사용, 식육 등을 통해 급속히 전파되었는데 이를 차단하기 위해 유럽연합(European Union)은 영국산 쇠고기 수입을 10년간 금지하기도 했다[12,13]. 현재까지 국내 발생이 없는 상황이나 변종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을 포함한 특이사례,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는 필요하며, 부검을 통하여 정확한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의료기관 대상 수술 도구 등을 통한 전파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예방, 홍보 및 감염관리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하며 의료기관은 정확한 사례분류를 위해 진단에 필요한 검사를 필수로 시행해야 하고 고위험군에 대한 수술 도구 소독[5] 등 감염관리수칙을 철저히 이행하여야 한다.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ISS. Data curation: ISS. Formal analysis: ISS, HSL. Investigation: JRK, JYL, HSK. Writing – original draft: ISS. Writing – review & editing: KWH.

Fig 1.

Figure 1.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아형별/인구 100만 명당 발생
sCJD: sporadic Creutzfeldt–Jakob disease, gCJD: genetic forms of Creutzfeldt–Jakob disease.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155-170https://doi.org/10.56786/PHWR.2023.16.6.1

Fig 2.

Figure 2.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CJD) 연령별 발생현황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155-170https://doi.org/10.56786/PHWR.2023.16.6.1

표 1.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발생현황, 2017–2021년.

연도발생 보고건CJD (추정)CJD 분류율(%)세부분류100만당 발생률
sCJD (%)gCJD (%)
총 계78627635.124087.03613.0
20211806737.25785.11014.91.3
20201356447.45890.669.41.2
20191675331.74992.547.51.0
20181815429.84787.0713.01.1
20171233830.92976.3923.70.7

단위: 건(%). CJD: Creutzfeldt–Jakob disease, sCJD: sporadic CJD, gCJD: genetic forms of CJD..


표 2.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연령별 발생현황.

연도누계연령대(세)
20–2930–3940–4950–5960–69≥70
202167113133118
202064012122623
20195301382021
201854013101921
20173800291116
총계(%)276 (100.0)1 (0.4)4 (1.4)13 (4.7)52 (18.8)107 (38.8)99 (35.9)

단위: 명. CJD: Creutzfeldt–Jakob disease..


표 3.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의 감염경로별 발생 특성, 2017–2021년.

구분종류sCJD (n=240)gCJD (n=36)Total (n=276)p-value
인구학적특성성별(여)130 (54.2)20 (55.6)150 (54.3)0.72
연령(≥50세)231 (96.3)27 (75.0)258 (93.8)<0.001
임상증상(유증상자)a)간대성근경련115 (47.9)13 (36.1)128 (46.4)0.24
시각장애84 (35.0)9 (25.0)93 (33.7)0.28
소뇌기능161 (67.1)21 (58.3)182 (65.9)0.42
추체로100 (41.7)11 (30.6)111 (40.2)0.25
추체외로117 (48.8)10 (27.8)127 (46.0)0.02
정신 증상81 (33.8)12 (33.3)93 (33.7)0.93
진단검사(양성자)14-3-3193 (80.4)26 (72.2)219 (79.3)0.44
Tau protein (>4,000 pg/mL)69 (28.8)5 (13.9)74 (26.8)0.18
RT-QuIC167 (69.6)16 (44.4)183 (66.3)<0.001
PRNP0 (0.0)36 (100.0)36 (13.0)<0.001

단위: 건(%). a)개인별 중복건수 포함. RT-QuIC: real-time quaking-induced conversion, PRNP: prion protein gene..


표 4. 유전자 돌연변이 종류, 2017–2021년.

종류(%)유전형n (%)20172018201920202021
gCJD (55.6)E200K6 (16.7)1212
M232R6 (16.7)411
V180I7 (19.4)21112
V203l1 (2.8)1
GSS (27.8)P102L10 (27.8)11233
FFI (16.7)D178N6 (16.7)11112
총계(%)36 (100.0)9 (25.7)7 (19.4)4 (11.1)6 (16.7)10 (27.8)

단위: 건(%). 2021년 질병관리청 감염병 감시연보 기준.


표 5. 부검 실적, 2017–2021년.

연도사례부검 및 생검
부(생)검일결과
2017A2017.05.19sCJD
2018B2018.06.17Negative
2019C2019.06.08sCJD
D2019.06.28Negative
E2019.07.25sCJD
F2019.11.04Suspicious CJD
2020G2020.07.03sCJD
2021H2021.10.01sCJD
총계8건

sCJD: sporadic Creutzfeldt–Jakob disease..


References

  1. Katscher F. It's Jakob's disease, not Creutzfeldt's. Nature 1998;393:11.
    Pubmed CrossRef
  2. WHO. WHO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ies: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3. WHO. The revision of the surveillance case definition for Variant Creutzfeldt-Jakob disease (vCJD):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4. Uttley L, Carroll C, Wong R, Hilton DA, Stevenson M. Creutzfeldt-Jakob disease: a systematic review of global incidence, prevalence, infectivity, and incubation. Lancet Infect Dis 2020;20:e2-10.
    Pubmed CrossRef
  5.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1 Creutzfeldt-Jakob disease guidelines. Cheongju: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1.
  6. Louie JK, Gavali SS, Belay ED, et al. Barriers to Creutzfeldt-Jakob disease autopsies, California. Emerg Infect Dis 2004;10:1677-80.
    Pubmed KoreaMed CrossRef
  7. Dong TT, Satoh K. The latest research on RT-QuIC assays- a literature review. Pathogens 2021;10:305.
    Pubmed KoreaMed CrossRef
  8. Australian Government. Creutzfeldt-Jakob disease surveillance in Australia: update to December 2017. Canberra: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2019.
  9. The National CJD Research & Surveillance Unit. 27th Annual report 2018: Creutzfeldt-Jakob disease surveillance in the UK. Edinburgh: The National CJD Research & Surveillance Unit; 2018.
  10.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Legal infectious disease diagnosis and reporting criteria. Cheongju: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
  11. Kim Y. Prion diseases. J Korean Neurol Assoc 2001;19:1-9.
  12. Seitz R, von Auer F, Blümel J, et al. Impact of vCJD on blood supply. Biologicals 2007;35:79-97.
    Pubmed CrossRef
  13. Coulthart MB, Geschwind MD, Qureshi S, et al. A case cluster of variant Creutzfeldt-Jakob disease linked to the Kingdom of Saudi Arabia. Brain 2016;139(Pt 10):2609-16.
    Pubmed KoreaMed CrossRef
PHWR
Sep 21, 2023 Vol.16 No.37
pp. 1275~1287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 주간 건강과 질병
PUBLIC HEALTH WEEKLY REPORT
질병관리청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eISSN 2586-0860
pISSN 2005-81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