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감시보고

Split Viewer
ENG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43): 1828-1848

Published online October 11, 2024

https://doi.org/10.56786/PHWR.2024.17.43.2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영양부문 성과지표 현황

윤성하 , 이지혜 , 오경원 *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관리국 건강영양조사분석과

*Corresponding author: 오경원, Tel: +82-43-719-7460, E-mail: kwoh27@korea.kr

Received: August 28, 2024; Revised: September 25, 2024; Accepted: September 25, 2024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이 연구에서는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5th Health Plan 2030, HP2030) 중점과제 중 영양부문의 성과지표를 중심으로 2022년 기준 목표 대비 달성도를 평가하였다. 분석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2018)–제9기 1차년도(2022) 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2022년을 기준으로 HP2030의 목표를 달성한 영양지표는 총 9개 지표 중 대표지표인 식품안정성 확보 분율,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이용률 2개였으며, 나트륨 적정 섭취와 비타민 A 적정 섭취, 2개 지표는 목표치 달성은 못 했지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포화지방산, 과일/채소, 칼슘 적정 섭취, 건강식생활실천율, 영양섭취부족 노인 인구 비율, 5개 지표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부문 형평성 지표 9개 중 목표를 달성한 지표는 대표지표인 식품안정성 확보 분율과 과일/채소 적정 섭취의 소득 간 격차 2개였고, 포화지방산, 나트륨 적정 섭취의 소득 간 격차 지표 2개는 개선, 건강식생활실천율 소득 간 격차는 유지, 그 외 4개 형평성 지표는 악화된 경향을 보였다. HP2030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지표별로 취약한 집단에 대해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효율적이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검색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식생활; 영양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5th Health Plan 2030, HP2030)은 2021년 제정되어 추진 중이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2022년을 기준으로 목표를 달성한 영양지표는 총 9개 지표 중 2개였으며, 2개 지표는 개선, 5개 지표는 악화되었다. 형평성 지표 9개 중 목표를 달성한 지표는 2개였고, 2개는 개선, 1개는 유지, 그 외 4개 형평성 지표는 악화되었다.

③ 시사점은?

HP2030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지표별로 취약한 집단에 대해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좀 더 효율적이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은 국민의 건강증진과 질병 예방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국가 차원의 중장기 종합계획으로 보건복지부에서는 10년 단위로 계획을 수립하고 5년 단위로 지표를 보완하고 있다[1]. 보건복지부에서는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2021년 제정하여 현재 추진 중이며 현재 5년이 되는 시점으로 보완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5th Health Plan 2030, HP2030)은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4th Health Plan 2020, HP2020)과 유사하게 ‘모든 사람이 평생 건강을 누리는 사회’를 비전으로 ‘건강수명 연장, 건강형평성 제고’를 총괄 목표로 두고 있다. 단, 분과 구성을 우선적으로 달성해야 하는 정책 목표를 중심으로 변화를 주었다. HP2020은 건강생활실천 확산, 만성퇴행성질환과 발생위험요인관리, 감염질환관리, 인구집단건강관리, 안전환경보건, 사업체계관리, 총 6개 분과로 구성되었다면, HP2030은 건강생활실천, 정신건강관리, 비감염성 질환 예방관리, 감염 및 기후변화성 질환 예방관리, 인구집단별 건강관리, 건강친화적 환경구축, 총 6개 분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분과는 금연, 절주, 영양 등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총 28개 중점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점과제 중 영양부문은 대표지표인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과 형평성 지표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 소득 간 격차를 포함, 20개 성과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HP2030의 중점과제 영양부문 지표를 중심으로 기준치인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의 추이 및 2022년 기준 HP2030 목표 대비 달성도를 평가하였다.

1. 연구 대상

이 연구에서는 HP2030 영양부문 성과지표의 최근 5년간 추이 및 2022년 기준 목표치 대비 달성도 분석을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2018)–제9기 1차년도(2022) 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세 이상이며 2018년 7,064명(남자 3,144명, 여자 3,920명), 2019년 7,147명(3,202명, 여자 3,945명), 2020년 5,808명(남자 2,612명, 여자 3,196명), 2021년 5,940명(남자 2,639명, 여자 3,301명), 2022년 5,830명(남자 2,605명, 여자 3,225명)이었다.

2. 연구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영양조사는 가공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 이용 여부 등 평소 식습관을 조사하는 식생활조사, 가구 내 식품안정성 확보 여부를 조사하는 식품안정성조사,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하루 동안 섭취한 음식의 종류와 섭취량을 조사하는 식품섭취조사(24시간 회상조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문조사수행팀의 대면면접을 통해 수행되고 있다. 과일, 채소 등의 식품 섭취량과 영양소 섭취량은 식품섭취조사를 기반으로 2018년은 식품성분표 제9.1개정판[2], 2019–2022년은 제10개정판[3]을 적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영양소별 적정섭취분율 등 지표 산출 시 적용한 영양섭취기준은 2018–2021년은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4], 2022년은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5]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HP2030 영양부문 지표 중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 가능한 18개 성과지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HP2030 중점과제 중 영양부문은 「식품안정성을 유지한다」, 「건강식생활실천율을 증가시킨다」, 「영양서비스 접근성을 강화한다」, 총 3개의 범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표지표는 「식품안정성을 유지한다」에 포함된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이며 형평성 지표는 「소득 1–5분위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 격차(소득 간 격차)」이다. 「건강식생활실천율을 증가시킨다」 범주는 포화지방산, 나트륨, 과일/채소, 칼슘, 비타민 A를 적정 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적정 섭취), 가공식품 영양표시 이용률, 건강식생활실천율과 각 지표의 소득 간 격차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양서비스 접근성을 강화한다」에서는 「영양섭취부족 노인 인구 비율」, 「가임기 여성의 빈혈 유병률」과 각 지표의 소득 간 격차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가임기 여성의 빈혈 유병률 및 소득 간 격차, 2개 지표를 제외한 18개 성과지표의 추이 및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2030년 목표 대비 달성 여부는 「HP2030 대표지표 분석보고서」의 기준을 적용하였다[1].

달성도(%)=[(최근치–기준치)/(목표치–기준치)]×100

  • 달성: 2030년 목표치 달성 및 초과, 달성도 100% 이상

  • 개선: 목표치에 접근하는 지표(기준치에서 개선된 지표), 달성도 10% 이상–100% 미만

  • 유지: 목표치에 접근하나 변화 정도가 적은 지표, 달성도 0% 이상–10% 미만이며 변화율이 적은 지표

  • 악화: 기준치에서 악화되는 지표(목표치에서 멀어지는 지표), 달성도 0% 미만이며 변화율이 큰 지표

변화율(%)=[(최근치–기준치)/(기준치)]×100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모든 결과는 우리나라 국민을 대표할 수 있도록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설계분석방법으로 산출하였으며, 추이는 표준화율, 성별‧연령별 결과는 조율로 산출하였다. 모든 자료 분석은 SAS version 9.4 (SAS Institute Inc.)를 이용하였다.

HP2030 영양지표 현황 및 추이는 표 1, 2에 나타내었다. 2022년을 기준으로 목표를 달성한 영양지표는 총 9개 지표 중 대표지표인 ‘식품안정성 확보 분율’을 포함하여 2개였으며, 개선된 지표는 2개, 그 외 5개 지표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형평성 지표인 지표별 소득 간 격차의 경우 9개 지표 중 목표를 달성한 지표는 대표지표인 식품안정성 확보 분율의 소득 간 격차를 포함하여 2개였고, 2개 지표는 개선, 1개 지표는 유지, 그 외 4개 소득 간 격차 지표는 목표치에서 멀어지며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표 1.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영양부문 지표 현황
영양부문 성과지표’18년
(기준치)
’22년’30년
(목표치)
현황a)
식품안정성을 유지한다.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96.998.597.0달성
소득 1–5분위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 격차11.35.77.0달성
건강식생활실천율을 증가시킨다.
포화지방산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52.243.874.0악화
소득 1–5분위 포화지방산 적정수준 섭취 인구 비율 격차5.94.90.0개선
나트륨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33.735.542.0개선
소득 1–5분위 나트륨 적정수준 섭취 인구 비율 격차8.86.60.2개선
과일/채소를 1일 500 g 이상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26.222.741.0악화
소득 1–5분위 과일/채소를 1일 500 g 이상 섭취 인구 비율 격차11.55.76.0달성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이용률28.536.331.7달성
소득 1–5분위 가공식품 영양표시 이용률 격차4.66.24.0악화
건강식생활실천율(포화지방산)44.943.750.6악화
소득 1–5분위 건강식생활실천율 격차0.30.34.4유지
칼슘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16.814.121.0악화
소득 1–5분위 칼슘 적정수준 섭취 인구 비율 격차4.75.72.0악화
비타민 A를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11.814.524.0개선
소득 1–5분위 비타민 A 적정수준 섭취 인구 비율 격차0.44.40.0악화
영양서비스 접근성을 강화한다.
영양섭취부족 노인 인구 비율18.521.512.0악화
소득 1–5분위 영양섭취부족 노인 인구 비율 격차5.420.20.0악화

a)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30 목표치 대비 달성 현황. 달성: 2030년 목표치 달성 및 초과, 달성도 100% 이상. 개선: 목표치에 접근하는 지표(기준치에서 개선된 지표), 달성도 10% 이상–100% 미만. 유지: 목표치에 접근하나 변화 정도가 적은 지표, 달성도 0% 이상–10% 미만이며 변화율이 적은 지표. 악화: 기준치에서 악화되는 지표(목표치에서 멀어지는 지표), 달성도 0% 미만.



지표별로 최근 5년간의 추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영양부문의 대표지표인 「식품안정성 확보 분율」은 2022년 98.5%로 HP2030 목표치(97.0%)를 달성하였고,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이용률」 또한 2018년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2022년(36.3%) 목표치(31.7%)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트륨, 비타민 A 적정 섭취 두 지표는 2022년 35.5%, 14.5%로 목표치(42.2%, 24.0%)를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최근 5년간 증가 추세로 개선되는 경향이었다. 반면 포화지방산 적정 섭취는 최근 5년간 감소 추이로 2022년(43.8%) 목표치(74.0%)와 약 30%p 차이였으며, 과일/채소 적정 섭취(22.7%), 칼슘 적정 섭취(14.1%) 또한 매우 낮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감소 추이를 보이며 목표치(41.0%, 21.0%)와 멀어지는 경향이었다. 건강식생활실천율은 2021년 약간 증가했다가 2022년 다시 감소(43.7%)하여 목표치(50.6%)와 멀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영양섭취부족 노인 인구 비율은 2022년에 2018년(18.5%) 대비 3.0%p 증가하여 21.5%이었으며 목표치(12.0%) 달성을 위해서는 약 10%p 감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지표 현황을 성별로 살펴보면, 포화지방산, 나트륨 적정 섭취, 가공식품 영양표시 이용률, 건강식생활실천율은 남자가 여자보다 낮은 경향이었고, 과일/채소, 칼슘 적정 섭취는 남자보다 여자에서 더 낮은 경향이었다. 비타민 A 적정 섭취는 남녀가 유사하였다. 연령별로는 포화지방산 적정 섭취는 40세 이하 연령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고, 특히 19–29세는 목표치의 절반 이하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과일/채소, 비타민 A 적정 섭취는 12–29세에서 가장 낮았는데 과일/채소 적정 섭취의 경우 목표치가 41.0%임에도 불구하고 10% 이하였고, 비타민 A 적정 섭취 또한 10% 이하로 목표치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치고 있었다. 칼슘 적정 섭취 또한 12–29세에서 가장 낮았고, 목표치의 절반 수준이었다. 나트륨 적정 섭취는 30–49세에서 가장 낮았고, 65세 이상의 경우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는 다른 연령과 달리 목표치에서 멀어지며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이용률은 6–11세와 65세 이상에서 가장 낮았고 특히 75세 이상의 경우 8.1%로 매우 낮았다. 건강식생활실천율은 6–18세에서 낮은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영양부문의 형평성 지표의 경우 대표지표인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의 소득 간 격차는 2022년 기준 5.7%로 목표치(7.0%)를 달성하였으며, 소득수준 하위 집단이 개선되어 격차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일/채소 적정 섭취의 소득 간 격차 또한 목표치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정 섭취 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소득수준 상위 집단에서 최근 5년간 크게 감소하면서 격차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포화지방산, 나트륨 적정 섭취의 소득 간 격차 2개 지표는 목표치를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형평성 지표의 격차 감소의 이유 또한 차이가 있었는데 나트륨 적정 섭취의 경우 적정 섭취 분율이 낮은 소득수준 상위 집단의 분율이 꾸준히 증가하며 격차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포화지방산의 경우 소득수준 상, 하위 집단 모두 감소 추세이며 소득수준 하위 집단의 감소가 상대적으로 커서 격차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가공식품 영양표시 이용률, 칼슘, 비타민 A 적정 섭취, 영양섭취부족 노인 인구의 형평성 지표는 목표치와 멀어지며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4개 형평성 지표 모두 소득수준 하위 집단이 소득수준 상위 집단보다 지표 개선 정도가 작거나 악화 정도가 커서 격차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HP2030 영양부문 18개 지표의 2022년 기준 목표치 달성 현황을 살펴본 결과, 대표지표인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과 가공식품 영양표시 이용률 2개 지표는 HP2030 목표치를 달성하였고, 나트륨, 비타민 A 적정 섭취 2개 지표는 목표치 달성은 못 했지만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포화지방산, 과일/채소, 칼슘 적정 섭취, 건강식생활실천율, 영양부족 노인 인구 5개 지표는 감소 추세로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영양부문의 형평성 지표 또한 2개 지표는 달성, 2개 지표는 개선, 1개 지표는 개선, 4개 지표는 악화 경향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지표의 세부 집단별 지표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이 필요한 집단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포화지방산의 경우 19–29세, 나트륨은 30–49세, 과일/채소, 칼슘, 비타민 A는 12–29세, 가공식품 영양표시 이용률은 6–11세, 65세 이상에서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형평성 지표에서도 취약한 집단의 지표 개선이 격차 감소로 이어진 긍정적인 현황을 보이는 지표도 확인하였지만, 칼슘, 비타민 A 적정 섭취, 영양섭취부족 노인 인구 분율과 같이 적정 섭취 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소득수준 하위 집단에서 지표 개선 정도가 작거나 악화 정도가 커서 격차가 증가한 지표들도 확인할 수 있었다. HP2030에서는 영양부문의 중점과제 「건강한 식생활 실천 및 최적의 영양상태 유지 기반 강화」에 첫 번째 세부 계획으로 「인구집단별 맞춤형 영양관리 서비스 확대 및 접근성 강화」를 포함, 세부집단별 맞춤형 관리에 대한 내용을 강조하고 있다[6]. HP2030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지표별로 취약한 집단에 대해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구체적인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HP2030 제정 후 5년이 지난 시점으로 보완계획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영양부문의 대표지표인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과 소득 간 격차는 2022년 기준으로 HP2030 목표치를 달성하였고, 가공식품 영양표시 이용률 또한 목표치를 달성하였다. 따라서 보완계획 마련 시 대표지표를 포함하여 이미 목표를 달성한 지표의 유지 여부, 목표치 조정 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현재 제10기(2025–2027) 조사에 대해 기획 중에 있으며, 조사 방법에 대한 변화가 있을 수 있다. HP2030의 보완계획 마련 시에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포함하여 자료원의 조사 방법 등의 변화에 대한 고려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Ethics Statement: The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IRB no. 2018-01-03-P-A, 2018-01-03-C-A, 2018-01-03-2C-A, 2018-01-03-5C-A, 2018-01-03-4C-A).

Funding Source: None.

Acknowledgments: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SHY, KWO. Methodology: SHY. Formal analysis: JHL. Writing – original draft: SHY. Writing – review & editing: KWO.

  1.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assignee. Health Plan 2030: the 5th National Health Plan (’21-’30) 2023 Key Indicators Analaysis Report.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23 Dec. Report No.: 04-2023-017-10.
  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assignee. 9.1th revision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Interne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19 [cited 2023 Aug 1].
    Available from: https://koreanfood.rda.go.kr/kfi/fct/fctIntro/list?menuId=PS03562#
  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assignee. 10th revision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Interne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22 [cited 2023 Aug 1].
    Available from: https://koreanfood.rda.go.kr/kfi/fct/fctIntro/list?menuId=PS03562#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assigne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cited 2023 Aug 1].
    Available from: https://www.kns.or.kr/fileroom/FileRoom_view.asp?mode=mod&restring=%252FFileRoom%252FFileRoom%252Easp%253Fxsearch%253D1%253D%253Dcn%255Fsearch%253D2015%253D%253Dxrow%253D10%253D%253DBoardID%253DKdr%253D%253Dpage%253D1&idx=79&page=1&BoardID=Kdr&xsearch=1&cn_search=2015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assigne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20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cited 2023 Aug 1].
    Available from: https://www.kns.or.kr/fileroom/FileRoom_view.asp?mode=mod&restring=%252FFileRoom%252FFileRoom%252Easp%253Fxsearch%253D1%253D%253Dcn%255Fsearch%253D2020%253D%253Dxrow%253D10%253D%253DBoardID%253DKdr%253D%253Dpage%253D1&idx=108&page=1&BoardID=Kdr&xsearch=1&cn_search=2020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assignee. The 5th National Health Plan (Health Plan 2030, 2021~2030).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23 Dec. Report No.: 04-2022-008-01.

Article

조사/감시보고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43): 1828-1848

Published online November 7, 2024 https://doi.org/10.56786/PHWR.2024.17.43.2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영양부문 성과지표 현황

윤성하, 이지혜, 오경원*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관리국 건강영양조사분석과

Received: August 28, 2024; Revised: September 25, 2024; Accepted: September 25, 2024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5th Health Plan 2030, HP2030) 중점과제 중 영양부문의 성과지표를 중심으로 2022년 기준 목표 대비 달성도를 평가하였다. 분석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2018)–제9기 1차년도(2022) 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2022년을 기준으로 HP2030의 목표를 달성한 영양지표는 총 9개 지표 중 대표지표인 식품안정성 확보 분율,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이용률 2개였으며, 나트륨 적정 섭취와 비타민 A 적정 섭취, 2개 지표는 목표치 달성은 못 했지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포화지방산, 과일/채소, 칼슘 적정 섭취, 건강식생활실천율, 영양섭취부족 노인 인구 비율, 5개 지표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부문 형평성 지표 9개 중 목표를 달성한 지표는 대표지표인 식품안정성 확보 분율과 과일/채소 적정 섭취의 소득 간 격차 2개였고, 포화지방산, 나트륨 적정 섭취의 소득 간 격차 지표 2개는 개선, 건강식생활실천율 소득 간 격차는 유지, 그 외 4개 형평성 지표는 악화된 경향을 보였다. HP2030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지표별로 취약한 집단에 대해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효율적이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식생활, 영양

몸 말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5th Health Plan 2030, HP2030)은 2021년 제정되어 추진 중이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2022년을 기준으로 목표를 달성한 영양지표는 총 9개 지표 중 2개였으며, 2개 지표는 개선, 5개 지표는 악화되었다. 형평성 지표 9개 중 목표를 달성한 지표는 2개였고, 2개는 개선, 1개는 유지, 그 외 4개 형평성 지표는 악화되었다.

③ 시사점은?

HP2030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지표별로 취약한 집단에 대해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좀 더 효율적이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서 론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은 국민의 건강증진과 질병 예방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국가 차원의 중장기 종합계획으로 보건복지부에서는 10년 단위로 계획을 수립하고 5년 단위로 지표를 보완하고 있다[1]. 보건복지부에서는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2021년 제정하여 현재 추진 중이며 현재 5년이 되는 시점으로 보완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5th Health Plan 2030, HP2030)은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4th Health Plan 2020, HP2020)과 유사하게 ‘모든 사람이 평생 건강을 누리는 사회’를 비전으로 ‘건강수명 연장, 건강형평성 제고’를 총괄 목표로 두고 있다. 단, 분과 구성을 우선적으로 달성해야 하는 정책 목표를 중심으로 변화를 주었다. HP2020은 건강생활실천 확산, 만성퇴행성질환과 발생위험요인관리, 감염질환관리, 인구집단건강관리, 안전환경보건, 사업체계관리, 총 6개 분과로 구성되었다면, HP2030은 건강생활실천, 정신건강관리, 비감염성 질환 예방관리, 감염 및 기후변화성 질환 예방관리, 인구집단별 건강관리, 건강친화적 환경구축, 총 6개 분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분과는 금연, 절주, 영양 등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총 28개 중점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점과제 중 영양부문은 대표지표인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과 형평성 지표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 소득 간 격차를 포함, 20개 성과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HP2030의 중점과제 영양부문 지표를 중심으로 기준치인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의 추이 및 2022년 기준 HP2030 목표 대비 달성도를 평가하였다.

방 법

1. 연구 대상

이 연구에서는 HP2030 영양부문 성과지표의 최근 5년간 추이 및 2022년 기준 목표치 대비 달성도 분석을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2018)–제9기 1차년도(2022) 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세 이상이며 2018년 7,064명(남자 3,144명, 여자 3,920명), 2019년 7,147명(3,202명, 여자 3,945명), 2020년 5,808명(남자 2,612명, 여자 3,196명), 2021년 5,940명(남자 2,639명, 여자 3,301명), 2022년 5,830명(남자 2,605명, 여자 3,225명)이었다.

2. 연구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영양조사는 가공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 이용 여부 등 평소 식습관을 조사하는 식생활조사, 가구 내 식품안정성 확보 여부를 조사하는 식품안정성조사,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하루 동안 섭취한 음식의 종류와 섭취량을 조사하는 식품섭취조사(24시간 회상조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문조사수행팀의 대면면접을 통해 수행되고 있다. 과일, 채소 등의 식품 섭취량과 영양소 섭취량은 식품섭취조사를 기반으로 2018년은 식품성분표 제9.1개정판[2], 2019–2022년은 제10개정판[3]을 적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영양소별 적정섭취분율 등 지표 산출 시 적용한 영양섭취기준은 2018–2021년은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4], 2022년은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5]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HP2030 영양부문 지표 중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 가능한 18개 성과지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HP2030 중점과제 중 영양부문은 「식품안정성을 유지한다」, 「건강식생활실천율을 증가시킨다」, 「영양서비스 접근성을 강화한다」, 총 3개의 범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표지표는 「식품안정성을 유지한다」에 포함된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이며 형평성 지표는 「소득 1–5분위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 격차(소득 간 격차)」이다. 「건강식생활실천율을 증가시킨다」 범주는 포화지방산, 나트륨, 과일/채소, 칼슘, 비타민 A를 적정 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적정 섭취), 가공식품 영양표시 이용률, 건강식생활실천율과 각 지표의 소득 간 격차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양서비스 접근성을 강화한다」에서는 「영양섭취부족 노인 인구 비율」, 「가임기 여성의 빈혈 유병률」과 각 지표의 소득 간 격차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가임기 여성의 빈혈 유병률 및 소득 간 격차, 2개 지표를 제외한 18개 성과지표의 추이 및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2030년 목표 대비 달성 여부는 「HP2030 대표지표 분석보고서」의 기준을 적용하였다[1].

달성도(%)=[(최근치–기준치)/(목표치–기준치)]×100

  • 달성: 2030년 목표치 달성 및 초과, 달성도 100% 이상

  • 개선: 목표치에 접근하는 지표(기준치에서 개선된 지표), 달성도 10% 이상–100% 미만

  • 유지: 목표치에 접근하나 변화 정도가 적은 지표, 달성도 0% 이상–10% 미만이며 변화율이 적은 지표

  • 악화: 기준치에서 악화되는 지표(목표치에서 멀어지는 지표), 달성도 0% 미만이며 변화율이 큰 지표

변화율(%)=[(최근치–기준치)/(기준치)]×100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모든 결과는 우리나라 국민을 대표할 수 있도록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설계분석방법으로 산출하였으며, 추이는 표준화율, 성별‧연령별 결과는 조율로 산출하였다. 모든 자료 분석은 SAS version 9.4 (SAS Institute Inc.)를 이용하였다.

결 과

HP2030 영양지표 현황 및 추이는 표 1, 2에 나타내었다. 2022년을 기준으로 목표를 달성한 영양지표는 총 9개 지표 중 대표지표인 ‘식품안정성 확보 분율’을 포함하여 2개였으며, 개선된 지표는 2개, 그 외 5개 지표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형평성 지표인 지표별 소득 간 격차의 경우 9개 지표 중 목표를 달성한 지표는 대표지표인 식품안정성 확보 분율의 소득 간 격차를 포함하여 2개였고, 2개 지표는 개선, 1개 지표는 유지, 그 외 4개 소득 간 격차 지표는 목표치에서 멀어지며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영양부문 지표 현황
영양부문 성과지표’18년
(기준치)
’22년’30년
(목표치)
현황a)
식품안정성을 유지한다.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96.998.597.0달성
소득 1–5분위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 격차11.35.77.0달성
건강식생활실천율을 증가시킨다.
포화지방산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52.243.874.0악화
소득 1–5분위 포화지방산 적정수준 섭취 인구 비율 격차5.94.90.0개선
나트륨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33.735.542.0개선
소득 1–5분위 나트륨 적정수준 섭취 인구 비율 격차8.86.60.2개선
과일/채소를 1일 500 g 이상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26.222.741.0악화
소득 1–5분위 과일/채소를 1일 500 g 이상 섭취 인구 비율 격차11.55.76.0달성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이용률28.536.331.7달성
소득 1–5분위 가공식품 영양표시 이용률 격차4.66.24.0악화
건강식생활실천율(포화지방산)44.943.750.6악화
소득 1–5분위 건강식생활실천율 격차0.30.34.4유지
칼슘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16.814.121.0악화
소득 1–5분위 칼슘 적정수준 섭취 인구 비율 격차4.75.72.0악화
비타민 A를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11.814.524.0개선
소득 1–5분위 비타민 A 적정수준 섭취 인구 비율 격차0.44.40.0악화
영양서비스 접근성을 강화한다.
영양섭취부족 노인 인구 비율18.521.512.0악화
소득 1–5분위 영양섭취부족 노인 인구 비율 격차5.420.20.0악화

a)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30 목표치 대비 달성 현황. 달성: 2030년 목표치 달성 및 초과, 달성도 100% 이상. 개선: 목표치에 접근하는 지표(기준치에서 개선된 지표), 달성도 10% 이상–100% 미만. 유지: 목표치에 접근하나 변화 정도가 적은 지표, 달성도 0% 이상–10% 미만이며 변화율이 적은 지표. 악화: 기준치에서 악화되는 지표(목표치에서 멀어지는 지표), 달성도 0% 미만..



지표별로 최근 5년간의 추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영양부문의 대표지표인 「식품안정성 확보 분율」은 2022년 98.5%로 HP2030 목표치(97.0%)를 달성하였고,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이용률」 또한 2018년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2022년(36.3%) 목표치(31.7%)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트륨, 비타민 A 적정 섭취 두 지표는 2022년 35.5%, 14.5%로 목표치(42.2%, 24.0%)를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최근 5년간 증가 추세로 개선되는 경향이었다. 반면 포화지방산 적정 섭취는 최근 5년간 감소 추이로 2022년(43.8%) 목표치(74.0%)와 약 30%p 차이였으며, 과일/채소 적정 섭취(22.7%), 칼슘 적정 섭취(14.1%) 또한 매우 낮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감소 추이를 보이며 목표치(41.0%, 21.0%)와 멀어지는 경향이었다. 건강식생활실천율은 2021년 약간 증가했다가 2022년 다시 감소(43.7%)하여 목표치(50.6%)와 멀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영양섭취부족 노인 인구 비율은 2022년에 2018년(18.5%) 대비 3.0%p 증가하여 21.5%이었으며 목표치(12.0%) 달성을 위해서는 약 10%p 감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지표 현황을 성별로 살펴보면, 포화지방산, 나트륨 적정 섭취, 가공식품 영양표시 이용률, 건강식생활실천율은 남자가 여자보다 낮은 경향이었고, 과일/채소, 칼슘 적정 섭취는 남자보다 여자에서 더 낮은 경향이었다. 비타민 A 적정 섭취는 남녀가 유사하였다. 연령별로는 포화지방산 적정 섭취는 40세 이하 연령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고, 특히 19–29세는 목표치의 절반 이하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과일/채소, 비타민 A 적정 섭취는 12–29세에서 가장 낮았는데 과일/채소 적정 섭취의 경우 목표치가 41.0%임에도 불구하고 10% 이하였고, 비타민 A 적정 섭취 또한 10% 이하로 목표치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치고 있었다. 칼슘 적정 섭취 또한 12–29세에서 가장 낮았고, 목표치의 절반 수준이었다. 나트륨 적정 섭취는 30–49세에서 가장 낮았고, 65세 이상의 경우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는 다른 연령과 달리 목표치에서 멀어지며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이용률은 6–11세와 65세 이상에서 가장 낮았고 특히 75세 이상의 경우 8.1%로 매우 낮았다. 건강식생활실천율은 6–18세에서 낮은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영양부문의 형평성 지표의 경우 대표지표인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의 소득 간 격차는 2022년 기준 5.7%로 목표치(7.0%)를 달성하였으며, 소득수준 하위 집단이 개선되어 격차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일/채소 적정 섭취의 소득 간 격차 또한 목표치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정 섭취 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소득수준 상위 집단에서 최근 5년간 크게 감소하면서 격차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포화지방산, 나트륨 적정 섭취의 소득 간 격차 2개 지표는 목표치를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형평성 지표의 격차 감소의 이유 또한 차이가 있었는데 나트륨 적정 섭취의 경우 적정 섭취 분율이 낮은 소득수준 상위 집단의 분율이 꾸준히 증가하며 격차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포화지방산의 경우 소득수준 상, 하위 집단 모두 감소 추세이며 소득수준 하위 집단의 감소가 상대적으로 커서 격차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가공식품 영양표시 이용률, 칼슘, 비타민 A 적정 섭취, 영양섭취부족 노인 인구의 형평성 지표는 목표치와 멀어지며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4개 형평성 지표 모두 소득수준 하위 집단이 소득수준 상위 집단보다 지표 개선 정도가 작거나 악화 정도가 커서 격차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 의

HP2030 영양부문 18개 지표의 2022년 기준 목표치 달성 현황을 살펴본 결과, 대표지표인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과 가공식품 영양표시 이용률 2개 지표는 HP2030 목표치를 달성하였고, 나트륨, 비타민 A 적정 섭취 2개 지표는 목표치 달성은 못 했지만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포화지방산, 과일/채소, 칼슘 적정 섭취, 건강식생활실천율, 영양부족 노인 인구 5개 지표는 감소 추세로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영양부문의 형평성 지표 또한 2개 지표는 달성, 2개 지표는 개선, 1개 지표는 개선, 4개 지표는 악화 경향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지표의 세부 집단별 지표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이 필요한 집단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포화지방산의 경우 19–29세, 나트륨은 30–49세, 과일/채소, 칼슘, 비타민 A는 12–29세, 가공식품 영양표시 이용률은 6–11세, 65세 이상에서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형평성 지표에서도 취약한 집단의 지표 개선이 격차 감소로 이어진 긍정적인 현황을 보이는 지표도 확인하였지만, 칼슘, 비타민 A 적정 섭취, 영양섭취부족 노인 인구 분율과 같이 적정 섭취 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소득수준 하위 집단에서 지표 개선 정도가 작거나 악화 정도가 커서 격차가 증가한 지표들도 확인할 수 있었다. HP2030에서는 영양부문의 중점과제 「건강한 식생활 실천 및 최적의 영양상태 유지 기반 강화」에 첫 번째 세부 계획으로 「인구집단별 맞춤형 영양관리 서비스 확대 및 접근성 강화」를 포함, 세부집단별 맞춤형 관리에 대한 내용을 강조하고 있다[6]. HP2030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지표별로 취약한 집단에 대해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구체적인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HP2030 제정 후 5년이 지난 시점으로 보완계획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영양부문의 대표지표인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과 소득 간 격차는 2022년 기준으로 HP2030 목표치를 달성하였고, 가공식품 영양표시 이용률 또한 목표치를 달성하였다. 따라서 보완계획 마련 시 대표지표를 포함하여 이미 목표를 달성한 지표의 유지 여부, 목표치 조정 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현재 제10기(2025–2027) 조사에 대해 기획 중에 있으며, 조사 방법에 대한 변화가 있을 수 있다. HP2030의 보완계획 마련 시에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포함하여 자료원의 조사 방법 등의 변화에 대한 고려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Declarations

Ethics Statement: The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IRB no. 2018-01-03-P-A, 2018-01-03-C-A, 2018-01-03-2C-A, 2018-01-03-5C-A, 2018-01-03-4C-A).

Funding Source: None.

Acknowledgments: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SHY, KWO. Methodology: SHY. Formal analysis: JHL. Writing – original draft: SHY. Writing – review & editing: KWO.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영양부문 지표 현황
영양부문 성과지표’18년
(기준치)
’22년’30년
(목표치)
현황a)
식품안정성을 유지한다.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96.998.597.0달성
소득 1–5분위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 격차11.35.77.0달성
건강식생활실천율을 증가시킨다.
포화지방산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52.243.874.0악화
소득 1–5분위 포화지방산 적정수준 섭취 인구 비율 격차5.94.90.0개선
나트륨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33.735.542.0개선
소득 1–5분위 나트륨 적정수준 섭취 인구 비율 격차8.86.60.2개선
과일/채소를 1일 500 g 이상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26.222.741.0악화
소득 1–5분위 과일/채소를 1일 500 g 이상 섭취 인구 비율 격차11.55.76.0달성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이용률28.536.331.7달성
소득 1–5분위 가공식품 영양표시 이용률 격차4.66.24.0악화
건강식생활실천율(포화지방산)44.943.750.6악화
소득 1–5분위 건강식생활실천율 격차0.30.34.4유지
칼슘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16.814.121.0악화
소득 1–5분위 칼슘 적정수준 섭취 인구 비율 격차4.75.72.0악화
비타민 A를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11.814.524.0개선
소득 1–5분위 비타민 A 적정수준 섭취 인구 비율 격차0.44.40.0악화
영양서비스 접근성을 강화한다.
영양섭취부족 노인 인구 비율18.521.512.0악화
소득 1–5분위 영양섭취부족 노인 인구 비율 격차5.420.20.0악화

a)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30 목표치 대비 달성 현황. 달성: 2030년 목표치 달성 및 초과, 달성도 100% 이상. 개선: 목표치에 접근하는 지표(기준치에서 개선된 지표), 달성도 10% 이상–100% 미만. 유지: 목표치에 접근하나 변화 정도가 적은 지표, 달성도 0% 이상–10% 미만이며 변화율이 적은 지표. 악화: 기준치에서 악화되는 지표(목표치에서 멀어지는 지표), 달성도 0% 미만..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영양부문 성과지표 추이
목표치
(’30년)
전체남자여자
’18’19’20’21’22’18’19’20’21’22’18’19’20’21’22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
가구96.9
(0.4)
96.5
(0.4)
96.3
(0.4)
96.7
(0.4)
98.5
(0.2)
----------
소득수준(표준화)a),b)
하위88.5
(1.7)
87.0
(1.7)
86.6
(1.6)
89.6
(1.5)
94.1
(1.1)
----------
상위99.9
(0.1)
100
(0.0)
99.8
(0.1)
99.5
(0.3)
99.9
(0.1)
----------
포화지방산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
3세 이상(표준화)74.052.2
(0.9)
47.8
(0.8)
45.6
(0.8)
48.5
(0.9)
43.8 (0.9)51.2
(1.1)
46.9
(1.2)
45.8
(1.2)
48.9
(1.1)
44.5
(1.3)
53.2
(1.3)
48.6
(1.0)
45.3
(1.0)
48.1
(1.3)
43.1
(1.2)
연령
3–545.3
(3.9)
39.8
(3.6)
31.8
(4.3)
34.6
(4.5)
39.4
(4.5)
40.0
(5.4)
40.0
(4.6)
33.0
(5.2)
38.5
(6.2)
43.6
(7.2)
52.1
(5.5)
39.5
(6.0)
30.5
(6.4)
30.5
(6.2)
35.3
(5.5)
6–1140.8
(3.0)
39.4
(2.9)
41.3
(3.1)
40.3
(3.5)
35.3
(3.1)
42.9
(4.5)
35.3
(3.4)
40.0
(3.7)
39.6
(4.1)
37.0
(3.9)
38.7
(3.4)
43.6
(4.1)
42.7
(4.6)
41.0
(4.5)
33.5
(4.0)
12–1845.4
(2.9)
42.4
(2.5)
45.5
(3.2)
49.1
(2.7)
41.9
(3.1)
48.2
(3.9)
43.5
(3.8)
47.9
(4.2)
48.5
(3.8)
35.4
(4.2)
42.5
(4.2)
41.2
(3.5)
42.5
(4.7)
49.8
(3.7)
49.4
(4.8)
19–2937.0
(2.2)
32.7
(2.1)
29.4
(2.3)
34.7
(2.2)
30.1
(2.1)
34.6
(3.0)
32.9
(3.0)
32.0
(3.5)
35.7
(3.0)
36.9
(3.3)
39.8
(3.2)
32.5
(2.9)
26.7
(2.8)
33.6
(3.1)
22.7
(2.6)
30–4950.6
(1.4)
45.4
(1.6)
42.7
(1.5)
46.6
(1.5)
39.5
(1.4)
48.4
(1.8)
44.2
(2.3)
41.5
(2.1)
46.6
(1.9)
39.8
(2.0)
52.9
(1.9)
46.7
(1.8)
43.9
(1.8)
46.6
(2.1)
39.2
(2.0)
50–6468.7
(1.4)
65.1
(1.4)
60.3
(1.6)
60.9
(1.7)
58.8
(1.5)
68.9
(2.0)
64.0
(1.9)
61.7
(2.1)
61.6
(2.5)
58.1
(2.3)
68.6
(1.8)
66.2
(1.8)
59.0
(2.1)
60.2
(1.9)
59.5
(1.9)
65–7479.9
(1.6)
74.8
(1.8)
72.5
(2.2)
74.7
(1.9)
76.1
(1.7)
79.5
(2.4)
73.1
(2.4)
70.6
(3.3)
74.7
(2.9)
74.0
(2.5)
80.3
(2.0)
76.4
(2.4)
74.1
(2.5)
74.8
(2.3)
78.0
(1.9)
75+86.3
(1.6)
79.1
(2.0)
80.6
(2.2)
82.4
(1.8)
76.8
(2.1)
85.4
(2.5)
79.1
(3.2)
77.8
(2.9)
81.8
(2.3)
74.0
(3.3)
86.8
(2.0)
79.1
(2.3)
82.3
(2.6)
82.7
(2.4)
79.0
(2.5)
소득수준(표준화)
하위57.0
(1.9)
46.2
(1.9)
47.4
(1.8)
52.2
(2.4)
45.1
(2.2)
53.6
(2.5)
46.0
(2.8)
49.0
(2.5)
52.8
(2.9)
46.7
(2.9)
60.3
(2.5)
46.2
(2.1)
45.6
(2.8)
51.4
(3.1)
43.0
(2.6)
상위51.2
(2.0)
49.0
(1.8)
46.4
(2.3)
43.3
(1.9)
40.3
(2.2)
52.7
(2.4)
45.7
(2.5)
45.8
(2.8)
42.3
(2.8)
40.8
(2.7)
49.6
(2.6)
52.6
(2.4)
46.9
(2.7)
44.4
(2.4)
39.6
(2.8)
나트륨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비율
1세 이상(표준화)42.033.7
(0.8)
33.5
(0.7)
34.6
(1.0)
35.8
(0.9)
35.5
(0.8)
23.1
(0.9)
23.0
(0.9)
23.7
(1.1)
24.1
(1.1)
24.3
(1.0)
44.4
(1.1)
44.4
(1.0)
45.9
(1.3)
47.9
(1.3)
47.0
(1.1)
연령
1–561.2
(2.9)
58.2
(3.1)
52.0
(3.8)
47.7
(4.3)
50.9
(4.2)
59.9
(3.8)
54.5
(3.7)
51.9
(4.9)
48.4
(5.5)
43.9
(6.1)
62.6
(4.3)
62.1
(4.6)
52.1
(5.8)
47.0
(6.1)
58.0
(4.5)
6–1147.8
(3.0)
46.4
(2.6)
44.0
(3.6)
46.1
(3.3)
46.0
(2.7)
45.2
(4.1)
36.0
(3.1)
37.3
(4.1)
43.3
(4.0)
37.0
(4.0)
50.4
(3.6)
57.1
(3.3)
50.7
(5.0)
48.8
(4.8)
55.6
(3.6)
12–1835.3
(3.0)
34.3
(2.7)
39.7
(3.3)
40.8
(3.4)
36.3 (2.8)23.8
(3.1)
27.4
(4.0)
26.0
(3.9)
26.5
(4.2)
32.4
(4.0)
47.6
(4.5)
42.1
(3.3)
56.6
(4.5)
56.9
(4.1)
40.8
(4.7)
19–2932.3
(2.0)
33.4
(2.1)
37.4
(2.1)
35.6
(2.6)
38.3
(2.5)
21.8
(2.7)
25.3
(2.8)
25.1
(3.0)
24.1
(3.2)
25.5
(3.0)
44.4
(3.0)
42.5
(3.1)
50.6
(2.9)
48.3
(3.4)
52.2
(3.1)
30–4926.7
(1.2)
27.1
(1.2)
28.4
(1.4)
31.0
(1.4)
30.1
(1.2)
15.0
(1.5)
14.8
(1.4)
17.5
(1.6)
17.6
(1.8)
18.5
(1.6)
39.2
(1.8)
40.1
(1.7)
39.9
(2.2)
45.4
(1.9)
42.4
(1.7)
50–6431.4
(1.4)
31.3
(1.4)
31.0
(1.5)
33.6 (1.4)34.7
(1.5)
17.8
(1.6)
18.9
(1.9)
17.7
(1.9)
19.6
(1.7)
18.8
(1.8)
44.8
(2.0)
43.7
(2.0)
44.2
(2.0)
47.5
(1.9)
49.5
(2.1)
65–7435.0
(2.0)
34.7
(1.8)
35.1
(2.1)
36.6
(2.0)
32.3
(1.6)
22.6
(2.4)
21.3
(2.2)
21.5
(3.0)
21.8
(2.8)
20.5
(2.3)
46.0
(2.6)
46.6
(2.3)
47.4
(2.7)
50.0
(2.5)
43.0
(2.5)
75+34.5
(2.4)
35.3
(2.4)
36.0
(2.6)
34.6
(1.9)
32.8
(2.2)
19.4
(2.8)
22.3
(2.9)
27.5
(4.1)
20.1
(2.5)
21.1
(2.7)
43.4
(3.1)
43.0
(2.9)
41.2
(3.1)
43.3
(2.7)
42.3
(2.7)
소득수준
하위37.8
(1.7)
38.2
(1.9)
41.1
(2.5)
38.0
(2.2)
38.3
(1.8)
26.5
(2.3)
27.5
(2.1)
32.7
(2.9)
25.6
(2.4)
27.6
(2.3)
48.3
(2.5)
49.4
(2.6)
49.4
(3.1)
51.2
(3.1)
49.7
(2.5)
상위29.0
(1.6)
27.5
(1.5)
32.2
(1.9)
34.7
(1.9)
31.7
(1.7)
18.8
(1.9)
16.9
(1.9)
20.5
(2.3)
23.0
(2.6)
19.2
(2.3)
39.5
(2.4)
38.4
(2.0)
44.2
(2.8)
46.6
(2.6)
44.1
(2.6)
과일/채소를 1일 500 g 이상으로 섭취하는 인구비율
6세 이상(표준화)41.026.2
(0.7)
28.1
(0.8)
26.2
(0.9)
25.5
(0.7)
22.7
(0.7)
29.7
(0.9)
31.1
(1.0)
29.1
(1.2)
27.9
(1.1)
24.6
(1.1)
22.7
(0.9)
25.0
(0.9)
23.3
(1.0)
23.0
(1.0)
20.7
(0.8)
연령
6–1111.1
(1.7)
13.6
(1.8)
13.5
(2.0)
13.0
(2.4)
15.8
(2.1)
12.6
(2.6)
14.8
(2.6)
13.0
(2.5)
10.6
(2.8)c)
14.5
(2.5)
9.6
(2.2)
12.4
(2.3)
14.0
(2.7)
15.2
(3.6)
17.1
(3.2)
12–1814.2
(1.8)
14.0
(1.9)
12.4
(2.4)
15.8
(2.4)
9.9
(1.8)
15.5
(2.6)
15.2
(2.8)
14.2
(3.2)
20.9
(3.9)
11.9
(2.5)
12.8
(3.1)
12.6
(2.4)
10.1
(2.8)c)
10.2
(2.6)c)
7.5
(2.7)c)
19–2915.4
(1.5)
16.7
(1.6)
12.3
(1.6)
12.5
(1.7)
9.3
(1.4)
18.5
(2.4)
19.9
(2.4)
16.4
(2.3)
15.0
(2.5)
11.9
(2.4)
11.9
(1.9)
13.0
(2.0)
7.9
(1.7)
9.6
(2.1)
6.5
(1.5)
30–4928.5
(1.2)
32.0
(1.4)
30.4
(1.5)
26.2
(1.3)
22.5
(1.3)
32.7
(1.7)
36.5
(1.7)
32.7
(2.0)
28.9
(2.0)
24.1
(1.7)
24.1
(1.4)
27.2
(1.7)
27.9
(2.0)
23.3
(1.6)
20.7
(1.6)
50–6444.0
(1.6)
45.2
(1.6)
42.2
(1.8)
44.4
(1.8)
38.6
(1.7)
47.6
(2.4)
46.0
(2.3)
45.5
(2.4)
45.3
(2.3)
39.5
(2.5)
40.5
(2.0)
44.5
(1.8)
38.8
(1.9)
43.5
(2.2)
37.8
(2.1)
65–7442.7
(2.4)
41.7
(2.1)
42.6
(2.5)
44.2
(2.2)
48.8
(2.0)
46.7
(3.0)
44.2
(3.0)
46.8
(3.4)
46.9
(3.1)
52.9
(2.8)
39.2
(2.9)
39.4
(2.5)
38.9
(2.9)
41.7
(2.9)
45.0
(2.4)
75+26.7
(2.1)
28.5
(2.3)
30.9
(2.3)
33.5
(2.1)
37.0
(2.2)
34.8
(3.3)
34.5
(3.4)
38.9
(3.3)
42.7
(3.1)
43.8
(3.1)
21.9
(2.5)
25.0
(2.6)
26.1
(2.8)
28.0
(2.6)
31.5
(3.0)
소득수준(표준화)
하위20.1
(1.2)
24.6
(1.4)
24.1
(1.8)
22.9
(1.7)
19.6
(1.5)
22.2
(1.9)
28.9
(2.1)
26.6
(2.8)
24.7
(2.5)
22.1
(2.2)
18.2
(1.5)
20.7
(1.8)
21.6
(2.1)
21.5
(2.3)
16.8
(1.8)
상위31.6
(1.5)
32.9
(1.7)
26.4
(1.7)
29.0
(1.4)
25.2
(1.5)
37.1
(2.3)
34.8
(2.6)
27.5
(2.2)
31.9
(2.4)
25.1
(2.2)
25.9
(1.8)
31.3
(2.0)
25.3
(2.3)
26.1
(1.8)
25.4
(2.1)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이용률
6세 이상(표준화)31.728.5
(0.8)
30.7
(1.0)
30.1
(0.9)
32.3
(0.9)
36.3
(0.9)
21.1
(1.0)
24.9
(1.1)
24.4
(1.0)
25.3
(1.3)
30.9
(1.1)
36.3
(1.1)
36.9
(1.2)
36.1
(1.2)
39.7
(1.1)
41.8
(1.2)
연령
6–1110.0
(1.8)
10.4
(1.5)
10.5
(1.6)
15.2
(3.0)
13.6
(2.1)
9.7
(2.3)
13.3
(2.3)
6.4
(1.9)c)
11.9
(3.7)c)
15.2
(3.0)
10.2
(2.4)
7.3
(1.7)
14.4
(3.0)
18.3
(3.9)
12.0
(2.7)
12–1830.5
(2.7)
26.4
(2.8)
25.8
(2.6)
26.1
(2.5)
30.4
(2.7)
29.0
(3.5)
20.4
(3.2)
23.4
(3.5)
18.7
(3.0)
30.8
(4.2)
32.1
(3.8)
33.2
(4.1)
28.7
(4.0)
34.4
(4.2)
29.9
(4.0)
19–2938.5
(2.4)
40.1
(2.3)
38.7
(2.1)
38.5
(2.3)
52.8
(2.4)
34.4
(3.2)
42.6
(3.3)
37.2
(2.9)
34.8
(3.4)
55.1
(3.4)
43.3
(3.2)
37.3
(3.1)
40.3
(3.0)
42.7
(2.9)
50.3
(3.0)
30–4936.5
(1.2)
39.8
(1.6)
38.8
(1.6)
42.2
(1.5)
43.3
(1.5)
23.5
(1.7)
28.2
(1.9)
29.5
(1.9)
32.4
(2.3)
32.2
(1.9)
50.2
(1.8)
52.2
(1.9)
48.8
(2.2)
52.7
(2.0)
55.1
(2.1)
50–6419.7
(1.1)
24.4
(1.2)
23.6
(1.4)
27.2
(1.3)
31.4
(1.5)
10.5
(1.3)
14.6
(1.5)
15.2
(1.7)
18.1
(1.7)
20.8
(1.9)
28.9
(1.7)
34.1
(1.8)
31.9
(2.3)
36.3
(1.8)
41.1
(2.0)
65–749.7
(1.1)
11.5
(1.3)
16.7
(1.5)
13.2
(1.2)
15.0
(1.4)
5.2
(1.3)c)
10.4
(1.8)
14.3
(2.0)
7.0
(1.4)
10.9
(1.9)
13.8
(1.7)
12.5
(1.8)
18.9
(2.1)
18.8
(1.9)
18.7
(2.2)
75+3.3
(0.6)
7.0
(1.3)
4.1
(1.0)
8.5
(1.4)
8.1
(1.3)
5.0
(1.2)
8.8
(2.3)c)
6.9
(1.8)c)
12.0
(2.4)
7.7
(1.9)
2.3
(0.6)c)
6.0
(1.6)c)
2.5
(0.9)c)
6.4
(1.6)c)
8.4
(1.8)
소득수준
하위27.8
(1.6)
27.4
(1.8)
31.5
(2.1)
32.7
(1.9)
35.8
(2.0)
21.7
(2.2)
24.8
(2.3)
28.5
(2.5)
28.8
(2.8)
33.0
(2.6)
33.7
(2.2)
30.6
(2.2)
34.5
(2.9)
36.9
(2.4)
38.4
(2.5)
상위32.5
(1.8)
35.9
(2.1)
31.3
(1.7)
35.5
(2.1)
42.0
(1.8)
24.8
(2.2)
30.9
(2.5)
24.0
(2.1)
27.0
(2.8)
34.9
(2.6)
40.6
(2.4)
40.8
(2.2)
39.0
(2.1)
44.4
(2.7)
48.7
(2.3)
건강식생활실천율
6세 이상(표준화)50.644.9
(0.9)
43.8
(0.8)
42.9
(1.0)
46.4
(1.0)
43.7
(0.9)
37.7
(1.3)
37.3
(1.1)
37.6
(1.4)
39.3
(1.3)
37.7
(1.3)
52.3
(1.1)
50.4
(1.1)
48.4
(1.2)
53.8
(1.4)
49.9
(1.2)
연령
6–1131.2
(3.1)
29.9
(2.6)
30.9
(3.2)
31.4
(3.8)
29.6
(3.4)
32.6
(4.5)
25.2
(2.8)
25.6
(3.7)
26.0
(3.7)
27.3
(4.2)
29.8
(3.9)
34.6
(4.0)
36.2
(4.8)
36.7
(5.3)
32.1
(4.2)
12–1838.6
(2.6)
31.4
(2.5)
35.0
(3.2)
39.9
(2.8)
35.6
(2.9)
34.8
(3.8)
26.6
(3.5)
29.6
(3.8)
33.2
(3.5)
32.3
(3.9)
42.8
(4.3)
36.8
(3.1)
41.6
(4.1)
47.5
(4.2)
39.4
(4.3)
19–2936.4
(2.4)
36.1
(2.2)
34.5
(2.3)
37.3
(2.4)
40.8
(2.4)
29.5
(3.0)
35.4
(2.9)
31.3
(3.5)
32.5
(3.0)
39.2
(3.4)
44.4
(3.2)
36.9
(3.0)
37.9
(3.4)
42.7
(3.4)
42.5
(2.9)
30–4945.6
(1.3)
46.4
(1.4)
43.8
(1.6)
48.8
(1.6)
41.8
(1.4)
35.1
(2.0)
36.8
(1.8)
37.2
(2.1)
40.0
(2.2)
33.4
(2.0)
56.7
(1.8)
56.5
(1.7)
50.9
(1.9)
58.2
(1.9)
50.8
(2.0)
50–6457.8
(1.7)
56.9
(1.5)
54.7
(1.6)
56.7
(1.6)
55.6
(1.6)
50.8
(2.4)
48.0
(2.1)
49.1
(2.5)
48.2
(2.2)
45.3
(2.4)
64.8
(2.0)
65.8
(1.7)
60.3
(1.8)
65.2
(1.9)
65.2
(1.9)
65–7458.8
(2.1)
57.2
(1.9)
58.9
(2.0)
61.9
(2.1)
62.5
(1.8)
52.1
(3.4)
50.8
(2.6)
53.5
(3.5)
54.0
(3.3)
56.6
(2.5)
64.8
(2.5)
62.9
(2.5)
63.9
(2.2)
69.0
(2.1)
67.8
(2.1)
75+53.7
(2.5)
50.5
(2.5)
54.7
(2.3)
57.2
(2.1)
55.9
(2.7)
48.1
(3.8)
48.9
(3.5)
53.8
(3.4)
55.7
(3.1)
49.7
(4.3)
57.1
(2.9)
51.5
(3.0)
55.2
(3.1)
58.2
(2.6)
60.9
(2.7)
소득수준(표준화)
하위45.3
(1.7)
42.4
(2.0)
46.2
(2.0)
48.6
(2.3)
44.0
(2.2)
36.1
(2.6)
39.7
(2.5)
43.1
(2.9)
41.9
(2.8)
40.2
(2.8)
53.8
(2.4)
45.5
(2.3)
49.1
(2.8)
56.0
(3.1)
47.7
(3.0)
상위45.6
(2.2)
44.8
(1.7)
42.4
(2.3)
45.5
(1.8)
44.3
(1.7)
40.8
(2.8)
39.1
(2.4)
35.1
(3.0)
38.5
(2.8)
36.5
(2.4)
50.6
(2.6)
50.8
(2.3)
49.7
(2.7)
52.4
(2.4)
51.8
(2.7)
칼슘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비율
1세 이상(표준화)21.016.8
(0.6)
14.4
(0.5)
14.2
(0.7)
14.9
(0.7)
14.1
(0.6)
20.1
(0.9)
16.1
(0.7)
16.2
(0.9)
17.1
(1.0)
15.4
(0.9)
13.6
(0.8)
12.9
(0.7)
12.1
(0.8)
12.8
(0.9)
13.0
(0.7)
연령
1–529.5
(2.9)
26.3
(2.6)
23.6
(2.9)
31.3
(3.8)
29.5
(3.9)
33.5
(3.6)
22.2
(3.1)
21.9
(4.1)
34.6
(5.3)
27.9
(4.9)
24.9
(3.4)
30.7
(3.8)
25.6
(4.4)
27.6
(5.6)
31.2
(5.1)
6–1116.1
(2.2)
14.7
(1.9)
15.7
(2.2)
13.6
(2.2)
13.5
(1.7)
19.0
(3.3)
16.6
(2.6)
19.9
(3.4)
13.4
(2.8)
15.5
(2.5)
13.2
(2.5)
12.9
(2.3)
11.5
(2.8)
13.9
(3.3)
11.3
(2.6)
12–1813.3
(2.1)
7.5
(1.2)
8.2
(1.9)
11.0
(2.2)
8.4
(1.9)
11.5
(2.4)
7.9
(1.8)
13.0
(3.0)
12.4
(3.1)
10.0
(2.5)
15.3
(3.7)
7.0
(1.9)c)
2.3
(1.3)d)
9.5
(2.8)c)
6.6
(2.5)c)
19–2916.5
(1.5)
13.6
(1.5)
12.9
(1.4)
13.8
(1.6)
11.7
(1.4)
17.7
(2.2)
14.7
(2.3)
12.4
(2.0)
14.1
(2.2)
13.4
(2.2)
15.0
(2.0)
12.4
(1.9)
13.4
(2.2)
13.5
(2.3)
9.9
(1.7)
30–4916.6
(1.1)
14.3
(0.9)
14.1
(1.1)
12.9
(1.2)
14.6
(1.0)
19.4
(1.7)
14.9
(1.2)
15.0
(1.6)
14.2
(1.8)
13.3
(1.6)
13.6
(1.2)
13.7
(1.2)
13.1
(1.4)
11.6
(1.2)
15.9
(1.4)
50–6417.6
(1.1)
16.8
(1.1)
15.3
(1.4)
17.1
(1.3)
14.4
(1.2)
24.4
(2.0)
21.1
(1.6)
19.2
(1.9)
21.7
(2.0)
19.0
(1.9)
10.9
(1.1)
12.4
(1.3)
11.4
(1.5)
12.5
(1.4)
10.2
(1.4)
65–7416.0
(1.8)
14.3
(1.4)
16.3
(1.7)
19.4
(1.6)
16.9
(1.6)
23.6
(3.0)
20.9
(2.4)
21.9
(2.4)
27.0
(2.4)
22.4
(2.5)
9.1
(1.6)
8.4
(1.4)
11.2
(1.8)
12.6
(1.6)
12.0
(1.8)
75+7.3
(1.1)
8.5
(1.4)
9.0
(1.7)
10.6
(1.3)
13.1
(1.7)
14.7
(2.5)
15.5
(2.7)
14.5
(2.8)
17.6
(2.6)
17.6
(2.2)
3.0
(1.0)c)
4.4
(1.1)c)
5.7
(1.6)c)
6.4
(1.4)
9.5
(2.2)
소득수준(표준화)
하위15.0
(1.2)
13.0
(1.1)
13.7
(1.5)
13.6
(1.6)
12.2
(1.2)
17.8
(2.0)
16.1
(1.7)
15.1
(2.0)
15.3
(2.1)
12.2
(1.6)
12.4
(1.4)
10.0
(1.4)
12.5
(1.7)
12.0
(1.9)
12.4
(1.9)
상위19.6
(1.4)
16.2
(1.3)
15.8
(1.4)
15.4
(1.4)
17.9
(1.5)
22.6
(2.1)
17.0
(1.7)
19.3
(2.1)
18.0
(1.9)
17.0
(2.3)
16.7
(2.1)
15.7
(1.7)
12.7
(1.5)
13.0
(2.0)
18.9
(2.1)
비타민 A를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비율
1세 이상(표준화)24.011.8
(0.5)
12.9
(0.5)
12.2
(0.7)
14.1
(0.7)
14.5
(0.7)
11.8
(0.7)
11.9
(0.7)
10.6
(0.8)
12.4
(0.9)
13.5
(0.8)
11.7
(0.7)
13.9
(0.7)
13.8
(0.9)
15.8
(0.9)
15.5
(0.8)
연령
1–524.5
(2.4)
27.4
(2.8)
26.6
(3.4)
28.7
(3.5)
53.6
(4.0)
26.7
(3.3)
23.3
(3.3)
23.8
(3.9)
31.5
(4.7)
59.0
(6.1)
22.0
(3.1)
31.8
(4.0)
29.6
(5.0)
25.6
(5.3)
48.1
(5.3)
6–1113.8
(1.8)
19.6
(2.0)
15.8
(2.7)
25.1
(3.0)
26.6
(2.3)
10.6
(2.3)
16.1
(2.4)
15.2
(3.0)
20.2
(3.2)
25.8
(3.1)
17.0
(2.9)
23.1
(2.8)
16.5
(3.6)
29.9
(4.6)
27.5
(3.4)
12–189.7
(1.8)
10.4
(1.8)
7.3
(1.7)
12.9
(1.9)
6.1
(1.7)c)
9.8
(2.3)
10.1
(2.2)
7.9
(2.0)c)
12.8
(2.8)
7.6
(2.4)c)
9.6
(2.5)c)
10.8
(2.4)
6.6
(2.6)c)
12.9
(2.6)
4.4
(2.0)c)
19–2910.8
(1.4)
8.8
(1.1)
8.3
(1.3)
11.1
(1.5)
7.4
(1.1)
10.1
(1.8)
8.1
(1.6)
6.8
(1.5)
10.0
(2.1)
5.1
(1.3)c)
11.5
(2.0)
9.6
(1.8)
9.9
(2.0)
12.2
(2.1)
9.9
(1.8)
30–4910.9
(0.9)
11.1
(0.8)
11.9
(1.1)
10.9
(1.0)
12.5
(0.9)
12.4
(1.4)
11.2
(1.2)
11.0
(1.4)
9.8
(1.4)
10.7
(1.3)
9.3
(1.0)
11.0
(1.1)
12.9
(1.4)
12.1
(1.3)
14.5
(1.3)
50–6411.3
(1.1)
14.9
(1.2)
13.1
(1.1)
14.3
(1.1)
12.6
(1.1)
9.5
(1.4)
13.0
(1.5)
9.0
(1.2)
9.3
(1.2)
10.2
(1.5)
13.2
(1.4)
16.8
(1.5)
17.2
(1.7)
19.2
(1.7)
14.7
(1.6)
65–7412.2
(1.4)
12.4
(1.3)
13.5
(1.4)
15.7
(1.4)
15.2
(1.5)
9.8
(2.0)
11.1
(1.8)
9.7
(1.8)
14.1
(2.1)
14.9
(2.1)
14.4
(1.9)
13.6
(1.6)
16.9
(1.9)
17.1
(1.8)
15.4
(1.8)
75+5.3
(1.1)
10.0
(1.6)
10.7
(2.0)
11.8
(1.8)
11.2
(1.6)
6.5
(2.0)c)
10.3
(2.3)
9.2
(2.0)
10.2
(2.3)
13.8
(2.0)
4.6
(1.0)
9.8
(1.8)
11.6
(2.4)
12.8
(2.1)
9.1
(1.8)
소득수준(표준화)
하위11.5
(1.2)
11.8
(1.0)
11.2
(1.2)
11.3
(1.5)
13.1
(1.3)
10.0
(1.6)
12.0
(1.6)
10.0
(1.6)
11.3
(2.1)
10.8
(1.5)
13.0
(1.5)
11.8
(1.3)
12.4
(1.7)
11.5
(1.6)
15.6
(2.1)
상위11.9
(1.1)
15.0
(1.1)
12.6
(1.4)
16.0
(1.3)
17.5
(1.4)
13.7
(1.6)
12.7
(1.5)
10.7
(1.5)
13.3
(1.9)
16.3
(1.9)
9.6
(1.3)
17.5
(1.8)
14.6
(1.9)
18.6
(2.0)
18.5
(1.8)
영양섭취부족 노인 인구 비율
75세 이상12.018.5
(1.8)
29.4
(2.1)
31.4
(2.7)
27.3
(2.1)
21.5
(1.9)
16.1
(2.7)
24.7
(3.1)
31.5
(3.5)
25.7
(2.6)
18.0
(2.5)
19.9
(2.4)
32.1
(2.6)
31.3
(3.5)
28.2
(2.7)
24.4
(2.4)
소득수준(표준화)
하위14.1
(3.0)
30.3
(4.0)
43.9
(6.3)
39.7
(5.4)
33.6
(4.4)
7.9
(4.6)d)
23.6
(5.9)
54.9
(7.8)
31.7
(6.6)
34.4
(6.4)
18.3
(4.4)
33.9
(5.8)
37.2
(7.7)
44.7
(7.0)
33.0
(5.7)
상위19.5
(4.4)
29.5
(4.9)
23.7
(4.5)
19.8
(3.8)
13.4
(3.4)c)
9.9
(4.3)c)
27.8
(7.7)c)
18.0
(6.0)c)
23.7
(7.3)c)
3.0
(1.8)d)
24.2
(6.0)
30.4
(6.2)
26.4
(6.3)
17.9
(4.8)c)
21.6
(5.3)

단위: %. a)소득수준: 월가구균등화소득(월가구소득/√가구원수)을 성별‧연령별(5세 단위) 오분위로 분류. b)2005년 추계인구로 연령표준화. c)변동계수 25–50%. d)50% 이상..


References

  1.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assignee. Health Plan 2030: the 5th National Health Plan (’21-’30) 2023 Key Indicators Analaysis Report.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23 Dec. Report No.: 04-2023-017-10.
  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assignee. 9.1th revision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Interne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19 [cited 2023 Aug 1]. Available from: https://koreanfood.rda.go.kr/kfi/fct/fctIntro/list?menuId=PS03562#
  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assignee. 10th revision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Interne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22 [cited 2023 Aug 1]. Available from: https://koreanfood.rda.go.kr/kfi/fct/fctIntro/list?menuId=PS03562#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assigne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cited 2023 Aug 1]. Available from: https://www.kns.or.kr/fileroom/FileRoom_view.asp?mode=mod&restring=%252FFileRoom%252FFileRoom%252Easp%253Fxsearch%253D1%253D%253Dcn%255Fsearch%253D2015%253D%253Dxrow%253D10%253D%253DBoardID%253DKdr%253D%253Dpage%253D1&idx=79&page=1&BoardID=Kdr&xsearch=1&cn_search=2015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assigne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20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cited 2023 Aug 1]. Available from: https://www.kns.or.kr/fileroom/FileRoom_view.asp?mode=mod&restring=%252FFileRoom%252FFileRoom%252Easp%253Fxsearch%253D1%253D%253Dcn%255Fsearch%253D2020%253D%253Dxrow%253D10%253D%253DBoardID%253DKdr%253D%253Dpage%253D1&idx=108&page=1&BoardID=Kdr&xsearch=1&cn_search=2020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assignee. The 5th National Health Plan (Health Plan 2030, 2021~2030).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23 Dec. Report No.: 04-2022-008-01.
PHWR
Dec 05, 2024 Vol.17 No.47
pp. 2019~2075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