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감시보고

Split Viewer
ENG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10): 290-302

Published online March 16,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10.2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코로나19 확진자조사서 분석 보고(2022년 4분기)

이은솔1, 고미정1, 김영만1, 박소연1, 임도상2, 박영준1, 권동혁1*

1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 역학조사팀, 2질병관리청 만성질환관리국 만성질환예방과

*Corresponding author: 권동혁, Tel: +82-43-719-7950, E-mail: vethyok@korea.kr

Received: February 9, 2023; Revised: February 14, 2023; Accepted: February 14,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질병관리청은 확진자조사서를 활용하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확진자 및 접촉자에 대한 전수조사를 시행해오고 있다. 2022년 1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우세종화에 따라 확진자가 급증하여 새로운 방역 대응전략이 필요하였으며, 2022년 2월 7일 확진자 스스로 기초 역학내용을 입력하도록 하는 자기기입식 확진자조사서를 도입하였다. 2022년 4분기 확진자조사서 등록 현황은 98.9%이다. 자기기입식 확진자조사서를 활용한 등록률은 매월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주요 항목별 현황에서 증상 여부, 기저질환 여부, 확진자 진단소요일,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비율은 월별 차이가 없었다. 동거인 발생 현황에서 지표환자 1인당 동거인 수는 큰 변동이 없었으나, 2차 발병률은 매월 소폭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확진자조사서 자료는 입력값의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아 모니터링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이 있을 수 있어, 추후 객관화된 다른 자료원과 확진자조사서 항목별 일치도를 비교하여 확진자조사서에 등록된 자료의 정확도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향후 필요시 확진자조사서 항목별 추가 분석을 통해 정책 마련의 근거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Keywords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자조사서, 자기기입식 확진자조사서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확진자조사서를 활용하여 확진자에 대한 전수 조사를 시행해오고 있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2022년 4분기 확진자조사서 등록현황은 98.9%이다. 동거인 발생 현황에서 지표환자 1인당 동거인 수는 큰 변동이 없었으나, 2차 발병률은 매월 소폭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③ 시사점은?

동거인 2차 발병률이 낮아지는 경향은 국내에 기확진자가 증가함에 따라 코로나19에 면역을 가진 동거인이 증가한 것이 원인일 것으로 추정된다.

질병관리청은 2020년 1월 20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첫 환자가 보고된 이후 코로나19 확진자조사서를 활용하여 확진자 및 접촉자에 대한 전수조사를 시행해오고 있다. 그러나 2022년 1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빠른 확산 및 우세종화에 따라 확진자가 급증하여 확진자 조사 효율화를 위한 새로운 방역 대응전략이 필요하였으며, 신속한 조사 및 접촉자 분류를 위해 확진자조사서의 조사항목을 간소화하고 확진자 스스로 기초 역학내용을 입력하도록 하는 자기기입식 확진자조사서를 2022년 2월 7일 도입하였다[1].

자기기입식 확진자조사서는 ① 보건소에서 확진자 발생 인지 후 확진자에게 모바일을 통해 자기기입식 확진자조사서 URL을 전송하고 작성에 대한 안내를 하면 ② 확진자는 스스로 조사 내용을 입력하여 제출하며, ③ 보건소는 작성된 조사서 내용을 확인 후 필요시 추가조사 또는 작성된 내용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도를 높였다.

질병관리청에서는 2022년 9월부터 확진자조사서로 수집된 정보 중 주요 항목을 분석하여 주간보고서로 작성 후 권역대응센터를 통해 지자체와 공유하고 있으며, 본 보고서에서는 2022년 4분기 확진자조사서 등록현황, 주요 항목별 현황, 동거인 2차 발병률 현황에 대해서 보고하고자 한다.

확진자 모니터링을 위해 구축된 코로나19정보관리시스템의 자료를 사용하여 확진자조사서 DB와 확진자 신고 DB를 결합한 Cov-CRF-DB (COVID-19 case reporting form database)를 구성하였으며 각 DB는 일련번호를 통해 매칭하였다[2]. 2022년 10월 2일부터 12월 31일까지 등록된 대상을 월별로 나누어 빈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SAS 9.4 프로그램(SAS Institute), Microsoft Office Excel 2013 (Microsoft)을 사용하였다.

1. 등록 현황

코로나19 확진자 4,297,713명 중 확진자조사서 등록을 완료한 자는 4,249,800명(98.9%)이다. 전체 확진자조사서 등록 건 중 확진자가 스스로 역학조사 내용을 입력하여 제출한 자기기입식 확진자조사서를 활용한 등록률은 10월 47.0%, 11월 49.3%, 12월 51.8%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그림 1).

Figure. 1.코로나19 확진자조사서 등록 현황

확진자조사서 등록 현황을 보면, 50대 미만의 경우 자기기입식 역학조사서를 통해 시스템에 등록한 비율이 높았으며, 50대 이상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자기기입식 확진자조사서 URL을 전송하였으나 응답이 없어 보건소에서 면담식 조사 후 내용을 수기로 시스템에 등록한 비율이 높았다(표 1).

등록된 코로나19 확진자조사서의 일반 현황
구분확진자 수등록 건수등록방법
자기기입식보건소 입력
총 합계4,297,7134,249,8002,133,011 (50.2)2,116,789 (49.8)
성별
1,904,6401,884,245984,270 (52.2)899,975 (47.8)
2,393,0732,365,5551,148,741 (48.6)1,216,814 (51.4)
연령(세)
0–17685,602675,088392,409 (58.1)282,679 (41.9)
18–29656,700648,539446,421 (68.8)202,118 (31.2)
30–39627,559621,371447,009 (71.9)174,362 (28.1)
40–49649,952644,119429,135 (66.6)214,984 (33.4)
50–59622,924618,442284,985 (46.1)333,457 (53.9)
60–74722,655715,779106,179 (14.8)609,600 (85.2)
≥75332,321326,46226,873 (8.2)299,589 (91.8)

단위: 건(%).



2. 확진자조사서 응답 현황

확진 당시 증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7.8% (3,308,089명)였으며, 증상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17.0% (721,985명), 무응답자는 5.2% (219,726명)였다(그림 2).

Figure. 2.코로나19 확진 당시의 증상 유무

기저질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6.0% (1,103,116명)였으며, 기저질환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74.0% (3,146,684명)였다(그림 3).

Figure. 3.코로나19 확진자의 기저질환 유무

코로나19 고위험군 관리를 위해 요양병원, 요양시설, 주야간보호센터, 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 정신재활시설, 장애인복지시설을 감염취약시설로 정의하고 종사자나 입소자의 경우 구성원 여부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감염취약시설 구성원은 4.1% (173,589명)였다. 감염취약시설 구성원의 신분별로 구분하였을 때 종사자 37.5% (65,163명), 입소자 62.5% (108,408명)였으며(그림 4), 감염취약시설 유형별 발생 현황은 요양병원 37.5% (65,119명), 요양시설 36.2% (62,775명), 주야간보호센터 14.1% (24,538명)순이었다(표 2).

확진자조사서 중 감염취약시설에서 신분 및 시설 유형에 따른 등록 현황
구분10월(10.2.–10.29.)11월(10.30.–11.26.)12월(11.27.–12.31.)
확진자조사서 등록 건713,608 (99.2)1,386,054 (99.1)2,150,138 (98.7)
감염취약시설 구성원26,198 (3.7)59,845 (4.3)87,546 (4.1)
감염취약시설 신분별
입소자15,568 (59.4)37,266 (62.3)55,574 (63.5)
종사자10,629 (40.6)22,575 (37.7)31,959 (36.5)
감염취약시설 유형별
요양시설(공동생활가정 포함)9,528 (36.4)22,042 (36.8)31,205 (35.6)
요양병원8,738 (33.4)22,209 (37.1)34,172 (39.0)
주야간보호센터(단기 보호 포함)4,551 (17.4)8,581 (14.3)11,406 (13.0)
정신의료기관1,267 (4.8)3,512 (5.9)4,759 (5.4)
장애인복지시설1,583 (6.0)2,793 (4.7)4,827 (5.5)
정신요양시설439 (1.7)488 (0.8)781 (0.9)
정신재활시설89 (0.3)212 (0.4)365 (0.4)

단위: 건(%).


Figure. 4.감염취약시설 구성원의 등록 현황

진단소요일은 증상발생일에서 검체채취일까지 소요된 일로 정의하고, 확진자조사서 중 증상발생일 항목에 응답한 대상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진단소요일이 0일 미만인 입력오류 건과 진단소요일이 14일이 초과된 극단값은 제외하고 계산하였을 때, 2022년 10월 2일부터 12월 31일까지 평균 진단소요일은 1.74일로 확인되었다(표 3).

확진자조사서 주요 문항별 답변 현황
구분10월(10.2.–10.29.)11월(10.30.–11.26.)12월(11.27.–12.31.)
전체 확진자 수719,5091,398,7652,179,439
확진자조사서 등록 건713,608 (99.2)1,386,054 (99.1)2,150,138 (98.7)
확진 시 증상 유무
있음565,100 (79.2)1,088,871 (78.6)1,654,118 (76.9)
없음113,601 (15.9)230,178 (16.6)378,206 (17.6)
기저질환 여부
있음191,879 (26.9)372,146 (26.8)539,091 (25.1)
없음521,729 (73.1)1,013,908 (73.2)1,611,047(74.9)
확진자 진단소요일(일), 평균±표준편차1.74±1.391.72±1.421.76±1.46
동거인 등록현황
동거인이 있는 확진자 수385,882742,7131,152,745
지표환자 수a)143,678276,928441,147
동거인 수374,125718,2661,149,055
지표환자 1인당 동거인 수2.602.592.60
2차 발병률(SAR), %30.029.527.9

단위: 건(%). SAR=secondary attack rate. a)가구 내 동거인 중 확진자가 2명 이상일 경우 지표환자가 중복되지 않도록 산출.



3. 동거인 발생 현황

동거가족 중 가장 첫 번째로 확진된 환자를 지표환자로 정의하고, 지표환자를 제외한 동거가족 중에서 확진자가 발생할 확률을 동거인 2차 발병률로 정의하였다. 2022년 10월 2일부터 12월 31일까지 지표환자 1인당 평균 동거인 수는 2.60명이었고, 평균 동거인 2차 발병률은 28.8%로 확인되었다. 3개월간 확진자와 동거인 수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였고, 동거인 2차 발병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그림 5).

Figure. 5.동거인 등록현황과 동거인 2차 발병률

본 보고서에는 2022년 10월 2일부터 12월 31일까지 등록된 코로나19 확진자조사서 등록 현황과 주요 항목별 현황, 동거인 2차 발병률 현황을 기술하였다. 10월부터 11월까지 전체 확진자 수는 증가 추세였으나, 확진자조사서 등록률은 큰 변동이 없었다. 확진자조사서 등록 건 중 자기기입식 조사서를 활용한 등록률은 10월 47.0%에서 12월 51.8%로 월별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연령별 확진자조사서 등록률을 확인하였을 때 50대 미만의 연령에서 자기기입식 확진자조사서를 더 많이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요 항목별 현황을 확인하였을 때, 증상 여부, 기저질환 여부, 확진자 진단소요일은 월별 차이가 없었으며, 확진자 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전체 확진자 수 대비 비율은 평균 4%대로 월별 차이가 없었다. 동거인 발생 현황에서 지표환자 1인당 동거인 수는 큰 변동이 없었으나, 2차 발병률은 10월 30%에서 12월 27.9%로 소폭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국내에 확진자가 증가함에 따라 코로나19에 면역을 가진 동거인이 증가한 것이 원인일 것으로 추정된다.

확진자조사서 자료는 입력값의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아 모니터링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추후 객관화된 다른 자료원과 확진자조사서 항목별 일치도를 비교하여 확진자조사서에 등록된 자료의 정확도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향후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관련 기관에 지속적으로 환류하고, 필요시 확진자조사서 항목별 추가 분석을 통해 정책 마련의 근거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Conceptualization: ESL. Data curation: ESL, MJK, DSL. Formal analysis: ESL, MJK, YMK, DSL. Methodology: YJP. Supervision: SYP, DK. Visualization: ESL. Writing – original draft: ESL. Writing – review & editing: MJK, YMK, SYP, DK.

  1. Yu M, Song YJ, Kim YM, et al. Analysis of the registration status of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for COVID-19 confirmed cases. Public Health Wkly Rep 2022;15:722-8.
  2. Ko MJ, Lim DS, Kim YM, Lim JH, Park SY, Park YJ. Introduction of the secondary attack rate monitoring system for household contacts using the COVID-19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ublic Health Wkly Rep 2022;15:3035-45.

Article

조사/감시보고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10): 290-302

Published online March 16, 2023 https://doi.org/10.56786/PHWR.2023.16.10.2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코로나19 확진자조사서 분석 보고(2022년 4분기)

이은솔1, 고미정1, 김영만1, 박소연1, 임도상2, 박영준1, 권동혁1*

1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 역학조사팀, 2질병관리청 만성질환관리국 만성질환예방과

Received: February 9, 2023; Revised: February 14, 2023; Accepted: February 14,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질병관리청은 확진자조사서를 활용하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확진자 및 접촉자에 대한 전수조사를 시행해오고 있다. 2022년 1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우세종화에 따라 확진자가 급증하여 새로운 방역 대응전략이 필요하였으며, 2022년 2월 7일 확진자 스스로 기초 역학내용을 입력하도록 하는 자기기입식 확진자조사서를 도입하였다. 2022년 4분기 확진자조사서 등록 현황은 98.9%이다. 자기기입식 확진자조사서를 활용한 등록률은 매월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주요 항목별 현황에서 증상 여부, 기저질환 여부, 확진자 진단소요일,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비율은 월별 차이가 없었다. 동거인 발생 현황에서 지표환자 1인당 동거인 수는 큰 변동이 없었으나, 2차 발병률은 매월 소폭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확진자조사서 자료는 입력값의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아 모니터링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이 있을 수 있어, 추후 객관화된 다른 자료원과 확진자조사서 항목별 일치도를 비교하여 확진자조사서에 등록된 자료의 정확도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향후 필요시 확진자조사서 항목별 추가 분석을 통해 정책 마련의 근거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Keywords: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자조사서, 자기기입식 확진자조사서

서 론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확진자조사서를 활용하여 확진자에 대한 전수 조사를 시행해오고 있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2022년 4분기 확진자조사서 등록현황은 98.9%이다. 동거인 발생 현황에서 지표환자 1인당 동거인 수는 큰 변동이 없었으나, 2차 발병률은 매월 소폭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③ 시사점은?

동거인 2차 발병률이 낮아지는 경향은 국내에 기확진자가 증가함에 따라 코로나19에 면역을 가진 동거인이 증가한 것이 원인일 것으로 추정된다.

질병관리청은 2020년 1월 20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첫 환자가 보고된 이후 코로나19 확진자조사서를 활용하여 확진자 및 접촉자에 대한 전수조사를 시행해오고 있다. 그러나 2022년 1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빠른 확산 및 우세종화에 따라 확진자가 급증하여 확진자 조사 효율화를 위한 새로운 방역 대응전략이 필요하였으며, 신속한 조사 및 접촉자 분류를 위해 확진자조사서의 조사항목을 간소화하고 확진자 스스로 기초 역학내용을 입력하도록 하는 자기기입식 확진자조사서를 2022년 2월 7일 도입하였다[1].

자기기입식 확진자조사서는 ① 보건소에서 확진자 발생 인지 후 확진자에게 모바일을 통해 자기기입식 확진자조사서 URL을 전송하고 작성에 대한 안내를 하면 ② 확진자는 스스로 조사 내용을 입력하여 제출하며, ③ 보건소는 작성된 조사서 내용을 확인 후 필요시 추가조사 또는 작성된 내용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도를 높였다.

질병관리청에서는 2022년 9월부터 확진자조사서로 수집된 정보 중 주요 항목을 분석하여 주간보고서로 작성 후 권역대응센터를 통해 지자체와 공유하고 있으며, 본 보고서에서는 2022년 4분기 확진자조사서 등록현황, 주요 항목별 현황, 동거인 2차 발병률 현황에 대해서 보고하고자 한다.

방 법

확진자 모니터링을 위해 구축된 코로나19정보관리시스템의 자료를 사용하여 확진자조사서 DB와 확진자 신고 DB를 결합한 Cov-CRF-DB (COVID-19 case reporting form database)를 구성하였으며 각 DB는 일련번호를 통해 매칭하였다[2]. 2022년 10월 2일부터 12월 31일까지 등록된 대상을 월별로 나누어 빈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SAS 9.4 프로그램(SAS Institute), Microsoft Office Excel 2013 (Microsoft)을 사용하였다.

결 과

1. 등록 현황

코로나19 확진자 4,297,713명 중 확진자조사서 등록을 완료한 자는 4,249,800명(98.9%)이다. 전체 확진자조사서 등록 건 중 확진자가 스스로 역학조사 내용을 입력하여 제출한 자기기입식 확진자조사서를 활용한 등록률은 10월 47.0%, 11월 49.3%, 12월 51.8%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그림 1).

Figure 1. 코로나19 확진자조사서 등록 현황

확진자조사서 등록 현황을 보면, 50대 미만의 경우 자기기입식 역학조사서를 통해 시스템에 등록한 비율이 높았으며, 50대 이상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자기기입식 확진자조사서 URL을 전송하였으나 응답이 없어 보건소에서 면담식 조사 후 내용을 수기로 시스템에 등록한 비율이 높았다(표 1).

등록된 코로나19 확진자조사서의 일반 현황
구분확진자 수등록 건수등록방법
자기기입식보건소 입력
총 합계4,297,7134,249,8002,133,011 (50.2)2,116,789 (49.8)
성별
1,904,6401,884,245984,270 (52.2)899,975 (47.8)
2,393,0732,365,5551,148,741 (48.6)1,216,814 (51.4)
연령(세)
0–17685,602675,088392,409 (58.1)282,679 (41.9)
18–29656,700648,539446,421 (68.8)202,118 (31.2)
30–39627,559621,371447,009 (71.9)174,362 (28.1)
40–49649,952644,119429,135 (66.6)214,984 (33.4)
50–59622,924618,442284,985 (46.1)333,457 (53.9)
60–74722,655715,779106,179 (14.8)609,600 (85.2)
≥75332,321326,46226,873 (8.2)299,589 (91.8)

단위: 건(%)..



2. 확진자조사서 응답 현황

확진 당시 증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7.8% (3,308,089명)였으며, 증상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17.0% (721,985명), 무응답자는 5.2% (219,726명)였다(그림 2).

Figure 2. 코로나19 확진 당시의 증상 유무

기저질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6.0% (1,103,116명)였으며, 기저질환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74.0% (3,146,684명)였다(그림 3).

Figure 3. 코로나19 확진자의 기저질환 유무

코로나19 고위험군 관리를 위해 요양병원, 요양시설, 주야간보호센터, 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 정신재활시설, 장애인복지시설을 감염취약시설로 정의하고 종사자나 입소자의 경우 구성원 여부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감염취약시설 구성원은 4.1% (173,589명)였다. 감염취약시설 구성원의 신분별로 구분하였을 때 종사자 37.5% (65,163명), 입소자 62.5% (108,408명)였으며(그림 4), 감염취약시설 유형별 발생 현황은 요양병원 37.5% (65,119명), 요양시설 36.2% (62,775명), 주야간보호센터 14.1% (24,538명)순이었다(표 2).

확진자조사서 중 감염취약시설에서 신분 및 시설 유형에 따른 등록 현황
구분10월(10.2.–10.29.)11월(10.30.–11.26.)12월(11.27.–12.31.)
확진자조사서 등록 건713,608 (99.2)1,386,054 (99.1)2,150,138 (98.7)
감염취약시설 구성원26,198 (3.7)59,845 (4.3)87,546 (4.1)
감염취약시설 신분별
입소자15,568 (59.4)37,266 (62.3)55,574 (63.5)
종사자10,629 (40.6)22,575 (37.7)31,959 (36.5)
감염취약시설 유형별
요양시설(공동생활가정 포함)9,528 (36.4)22,042 (36.8)31,205 (35.6)
요양병원8,738 (33.4)22,209 (37.1)34,172 (39.0)
주야간보호센터(단기 보호 포함)4,551 (17.4)8,581 (14.3)11,406 (13.0)
정신의료기관1,267 (4.8)3,512 (5.9)4,759 (5.4)
장애인복지시설1,583 (6.0)2,793 (4.7)4,827 (5.5)
정신요양시설439 (1.7)488 (0.8)781 (0.9)
정신재활시설89 (0.3)212 (0.4)365 (0.4)

단위: 건(%)..


Figure 4. 감염취약시설 구성원의 등록 현황

진단소요일은 증상발생일에서 검체채취일까지 소요된 일로 정의하고, 확진자조사서 중 증상발생일 항목에 응답한 대상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진단소요일이 0일 미만인 입력오류 건과 진단소요일이 14일이 초과된 극단값은 제외하고 계산하였을 때, 2022년 10월 2일부터 12월 31일까지 평균 진단소요일은 1.74일로 확인되었다(표 3).

확진자조사서 주요 문항별 답변 현황
구분10월(10.2.–10.29.)11월(10.30.–11.26.)12월(11.27.–12.31.)
전체 확진자 수719,5091,398,7652,179,439
확진자조사서 등록 건713,608 (99.2)1,386,054 (99.1)2,150,138 (98.7)
확진 시 증상 유무
있음565,100 (79.2)1,088,871 (78.6)1,654,118 (76.9)
없음113,601 (15.9)230,178 (16.6)378,206 (17.6)
기저질환 여부
있음191,879 (26.9)372,146 (26.8)539,091 (25.1)
없음521,729 (73.1)1,013,908 (73.2)1,611,047(74.9)
확진자 진단소요일(일), 평균±표준편차1.74±1.391.72±1.421.76±1.46
동거인 등록현황
동거인이 있는 확진자 수385,882742,7131,152,745
지표환자 수a)143,678276,928441,147
동거인 수374,125718,2661,149,055
지표환자 1인당 동거인 수2.602.592.60
2차 발병률(SAR), %30.029.527.9

단위: 건(%). SAR=secondary attack rate. a)가구 내 동거인 중 확진자가 2명 이상일 경우 지표환자가 중복되지 않도록 산출..



3. 동거인 발생 현황

동거가족 중 가장 첫 번째로 확진된 환자를 지표환자로 정의하고, 지표환자를 제외한 동거가족 중에서 확진자가 발생할 확률을 동거인 2차 발병률로 정의하였다. 2022년 10월 2일부터 12월 31일까지 지표환자 1인당 평균 동거인 수는 2.60명이었고, 평균 동거인 2차 발병률은 28.8%로 확인되었다. 3개월간 확진자와 동거인 수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였고, 동거인 2차 발병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그림 5).

Figure 5. 동거인 등록현황과 동거인 2차 발병률

결 론

본 보고서에는 2022년 10월 2일부터 12월 31일까지 등록된 코로나19 확진자조사서 등록 현황과 주요 항목별 현황, 동거인 2차 발병률 현황을 기술하였다. 10월부터 11월까지 전체 확진자 수는 증가 추세였으나, 확진자조사서 등록률은 큰 변동이 없었다. 확진자조사서 등록 건 중 자기기입식 조사서를 활용한 등록률은 10월 47.0%에서 12월 51.8%로 월별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연령별 확진자조사서 등록률을 확인하였을 때 50대 미만의 연령에서 자기기입식 확진자조사서를 더 많이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요 항목별 현황을 확인하였을 때, 증상 여부, 기저질환 여부, 확진자 진단소요일은 월별 차이가 없었으며, 확진자 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전체 확진자 수 대비 비율은 평균 4%대로 월별 차이가 없었다. 동거인 발생 현황에서 지표환자 1인당 동거인 수는 큰 변동이 없었으나, 2차 발병률은 10월 30%에서 12월 27.9%로 소폭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국내에 확진자가 증가함에 따라 코로나19에 면역을 가진 동거인이 증가한 것이 원인일 것으로 추정된다.

확진자조사서 자료는 입력값의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아 모니터링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추후 객관화된 다른 자료원과 확진자조사서 항목별 일치도를 비교하여 확진자조사서에 등록된 자료의 정확도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향후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관련 기관에 지속적으로 환류하고, 필요시 확진자조사서 항목별 추가 분석을 통해 정책 마련의 근거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Not applicable.

Funding Source

None.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ESL. Data curation: ESL, MJK, DSL. Formal analysis: ESL, MJK, YMK, DSL. Methodology: YJP. Supervision: SYP, DK. Visualization: ESL. Writing – original draft: ESL. Writing – review & editing: MJK, YMK, SYP, DK.

Fig 1.

Figure 1.코로나19 확진자조사서 등록 현황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290-302https://doi.org/10.56786/PHWR.2023.16.10.2

Fig 2.

Figure 2.코로나19 확진 당시의 증상 유무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290-302https://doi.org/10.56786/PHWR.2023.16.10.2

Fig 3.

Figure 3.코로나19 확진자의 기저질환 유무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290-302https://doi.org/10.56786/PHWR.2023.16.10.2

Fig 4.

Figure 4.감염취약시설 구성원의 등록 현황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290-302https://doi.org/10.56786/PHWR.2023.16.10.2

Fig 5.

Figure 5.동거인 등록현황과 동거인 2차 발병률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 16: 290-302https://doi.org/10.56786/PHWR.2023.16.10.2
등록된 코로나19 확진자조사서의 일반 현황
구분확진자 수등록 건수등록방법
자기기입식보건소 입력
총 합계4,297,7134,249,8002,133,011 (50.2)2,116,789 (49.8)
성별
1,904,6401,884,245984,270 (52.2)899,975 (47.8)
2,393,0732,365,5551,148,741 (48.6)1,216,814 (51.4)
연령(세)
0–17685,602675,088392,409 (58.1)282,679 (41.9)
18–29656,700648,539446,421 (68.8)202,118 (31.2)
30–39627,559621,371447,009 (71.9)174,362 (28.1)
40–49649,952644,119429,135 (66.6)214,984 (33.4)
50–59622,924618,442284,985 (46.1)333,457 (53.9)
60–74722,655715,779106,179 (14.8)609,600 (85.2)
≥75332,321326,46226,873 (8.2)299,589 (91.8)

단위: 건(%)..


확진자조사서 중 감염취약시설에서 신분 및 시설 유형에 따른 등록 현황
구분10월(10.2.–10.29.)11월(10.30.–11.26.)12월(11.27.–12.31.)
확진자조사서 등록 건713,608 (99.2)1,386,054 (99.1)2,150,138 (98.7)
감염취약시설 구성원26,198 (3.7)59,845 (4.3)87,546 (4.1)
감염취약시설 신분별
입소자15,568 (59.4)37,266 (62.3)55,574 (63.5)
종사자10,629 (40.6)22,575 (37.7)31,959 (36.5)
감염취약시설 유형별
요양시설(공동생활가정 포함)9,528 (36.4)22,042 (36.8)31,205 (35.6)
요양병원8,738 (33.4)22,209 (37.1)34,172 (39.0)
주야간보호센터(단기 보호 포함)4,551 (17.4)8,581 (14.3)11,406 (13.0)
정신의료기관1,267 (4.8)3,512 (5.9)4,759 (5.4)
장애인복지시설1,583 (6.0)2,793 (4.7)4,827 (5.5)
정신요양시설439 (1.7)488 (0.8)781 (0.9)
정신재활시설89 (0.3)212 (0.4)365 (0.4)

단위: 건(%)..


확진자조사서 주요 문항별 답변 현황
구분10월(10.2.–10.29.)11월(10.30.–11.26.)12월(11.27.–12.31.)
전체 확진자 수719,5091,398,7652,179,439
확진자조사서 등록 건713,608 (99.2)1,386,054 (99.1)2,150,138 (98.7)
확진 시 증상 유무
있음565,100 (79.2)1,088,871 (78.6)1,654,118 (76.9)
없음113,601 (15.9)230,178 (16.6)378,206 (17.6)
기저질환 여부
있음191,879 (26.9)372,146 (26.8)539,091 (25.1)
없음521,729 (73.1)1,013,908 (73.2)1,611,047(74.9)
확진자 진단소요일(일), 평균±표준편차1.74±1.391.72±1.421.76±1.46
동거인 등록현황
동거인이 있는 확진자 수385,882742,7131,152,745
지표환자 수a)143,678276,928441,147
동거인 수374,125718,2661,149,055
지표환자 1인당 동거인 수2.602.592.60
2차 발병률(SAR), %30.029.527.9

단위: 건(%). SAR=secondary attack rate. a)가구 내 동거인 중 확진자가 2명 이상일 경우 지표환자가 중복되지 않도록 산출..


References

  1. Yu M, Song YJ, Kim YM, et al. Analysis of the registration status of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for COVID-19 confirmed cases. Public Health Wkly Rep 2022;15:722-8.
  2. Ko MJ, Lim DS, Kim YM, Lim JH, Park SY, Park YJ. Introduction of the secondary attack rate monitoring system for household contacts using the COVID-19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ublic Health Wkly Rep 2022;15:3035-45.
PHWR
Sep 21, 2023 Vol.16 No.37
pp. 1275~1287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PHWR 주간 건강과 질병
PUBLIC HEALTH WEEKLY REPORT
질병관리청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eISSN 2586-0860
pISSN 2005-81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