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31): 1297-1313
Published online June 27, 2024
https://doi.org/10.56786/PHWR.2024.17.31.1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심민선1, 김유진2, 신지환2, 고재영3, 이철호3, 이철주2*
1인하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3질병관리청 대변인실
*Corresponding author: 이철주, +82-2-880-4105, E-mail: chales96@snu.ac.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본 연구는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정부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대응소통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향후 새로운 감염병 위기 시 인포데믹 관리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응답자들은 연령, 성별, 지역별로 할당 표집되었으며, 조사는 2023년 9월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보건당국이 코로나19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적절히 수행했다고 인식하였으나, 허위조작정보, 불안, 공포, 사회갈등 등 인포데믹으로 인한 주요 사회적 문제에 대한 대응은 부족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향후 새로운 감염병 위기 대비를 위한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관리‧소통 방안에 대한 요구도가 높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감염병 대응을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인포데믹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Keywords 인포데믹,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 감염병 위기, 정부 신뢰도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인포데믹의 영향력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효과적인 인포데믹 관리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국민들은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보건당국이 코로나19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은 적절히 수행했다고 인식하였다. 이에 반해, 인포데믹의 주요 사회적 문제인 허위조작정보, 불안감, 공포심, 사회갈등, 불신 등에 대해서는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였다고 인식하였다. 향후 새로운 감염병 위기 대비를 위한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관리‧소통 방안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높은 요구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코로나19 인포데믹 당시 정부 보건당국의 브리핑 및 정보 제공 노력에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향후 감염병 대응을 위해 지속적으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인포데믹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전염병의 체계적인 관리뿐 아니라 인포데믹(infodemic)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1]. 인포데믹은 인터넷이나 다른 여러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통해 정보의 타당성 여부와 상관없이 수많은 정보가 한꺼번에 사회적으로 확산되는 현상을 의미한다[2].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이후, 부정확하고 불확실한 정보가 급증함과 동시에 위험 인식‧대응 측면에서 정보의 불균형한 생산과 소비가 증가하였다[3]. 이에 따라 인포데믹 현상이 본격적으로 사회경제적 문제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1].
전 세계적인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인포데믹이 초래한 결과의 심각성은 다양한 측면에서 보고되었다. 일례로, 인포데믹이 불안, 공포, 혐오와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유발하여 사회적 불안을 증폭시키고 이로 인해 사회위기 대응 과정에서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마스크 등의 방역 물품 생산과 관련된 허위정보가 확산되어 국민들의 공포심을 증폭시킨 결과, 물품 가격이 급등하고 공급 부족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5]. 또한, 감염병 치료와 예방 방법과 관련된 인포데믹으로 인해 건강을 위협하는 행위(예: ‘코로나19 바이러스 퇴치를 위한 메탄올 섭취’)가 유발되거나, 사회적 음모론이 확산되어 국가의 방역과 백신접종 정책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고 정부에 대한 신뢰를 저하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6].
인포데믹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국민 개개인이 미디어 리터러시를 강화하고 허위나 부정확한 정보에 속지 않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정보 미디어 환경에서는 개인의 역량과 노력만으로 인포데믹을 극복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유튜브 등 플랫폼에서 조회 수와 구독자를 늘려 수익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자극적이고 잘못된 정보를 과도하게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 사람들이 올바른 정보를 식별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2]. 더불어, 정보 수용자들은 자신의 가치관과 일치하는 정보일 경우 그 내용이 가짜라는 경고가 있어도 진실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어서[7], 개인 수준의 노력 외에도 보다 근본적인 가이드라인이나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인포데믹 대비와 대응을 위해서는 정부와 보건당국이 국민들의 신뢰를 얻어야 하며, 특히 불확실성이 많은 사회위기 상황에서 국민들이 정보를 습득하고 활용할 때 믿을 만한 자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본 글에서는 2023년 코로나19 팬데믹이 종식된 후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고한다. 구체적으로, 질병관리청을 포함한 정부 보건당국의 코로나19 인포데믹 소통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향후 새로운 감염병 위기를 대비한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인식이 보건당국에 대한 신뢰도 정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여, 적절한 인포데믹 대응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69세 이하의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문 조사기관 마이크로밀 엠브레인에 의뢰하여 표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 수는 G*power 3.1.9.7 (Universität Düsseldorf)을 이용하여 t-test, 효과크기 0.2, 유의수준 0.05로 설정하여 산출한 결과를 근거로 하였다(검정력 0.95 기준으로 필요 표본 수 1,084명, 검정력 0.80 기준으로 620명임). 표집 시에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 인구비례할당을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2023년 9월 22일부터 26일까지 총 5일간 실시되었다. 설문 내용은 코로나19 및 기타 질병에 대한 허위정보 노출 및 인지 수준, 코로나19와 질병 관련 정보 이용 경향, 코로나19 인포데믹 경험, 그리고 보건당국에 대한 신뢰도 및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대응에 대한 인식 등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응답자들은 자신의 개인 배경에 대해 응답하였다. 본 글에서는 이 중 국민의 보건당국에 대한 신뢰 및 인포데믹 대응 인식과 관련한 문항들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고한다.
설문 응답자 중 남성 비율은 50.9%, 여성 비율은 49.1%이었다. 연령 분포의 경우, 응답자의 6.9%가 만 19–24세, 10.3%가 만 25–29세, 17.5% 30대, 21.7% 40대, 23.4% 50대, 20.2% 60대로 이루어졌다. 최종학력은 중학교 졸업 이하가 0.4%, 고등학교 졸업이 20.4%, 2–3년제 대학교 졸업 16.5%, 4년제 이상 대학교 졸업 50.1%, 대학원 석사 과정 이상이 12.6%로 조사되었다. 월평균 가구소득은 다음과 같았다: 100만원 미만 5.8%,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 6.0%, 200만 이상 300만원 미만 16.1%,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 15.9%, 4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 14.8%, 500만원 이상 600만원 미만 14.0%, 600만원 이상 700만원 미만 8.4%, 700만원 이상 19.0%로 조사되었다. 또한, 응답자의 70.1%가 코로나19 확진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대다수의 응답자(91.7%)가 코로나 백신을 2차 이상 접종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치이념 성향은 진보 28.9%, 중도 45.1%, 보수 26.0%의 분포를 보였다. 본 조사는 삼육대학교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SYU 2023-10-023)을 받았다.
응답자들에게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질병관리청을 비롯한 정보 보건당국의 코로나 관련 정보 제공 및 소통’에 대한 생각을 총 10개의 문항으로 질문하고, 동의하는 정도를 5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5=매우 그렇다)로 표시하게 하였다. 질문 시 팬데믹 기간은 ‘한국에서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한 2020년 1월 20일부터 정부에서 사실상 엔데믹 선언을 한 2023년 5월 31일까지를 의미’한다는 부연 설명을 제시하였다. 문항 개발을 위해 인포데믹의 개념 및 관리 방안에 대한 국내외 문헌[1,4]을 참고하여, ‘보건당국은 허위정보나 조작정보에 대해 안내하였다’, ‘보건당국은 국민의 불안감이나 공포심을 줄이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보건당국은 루머나 음모론을 정정해 주었다’ 등 인포데믹의 다양한 하위측면을 포함하여 측정하였다(표 1).
세부문항 | 전혀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다 | 보통이다 |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모르겠다 | 평균±표준편차 |
---|---|---|---|---|---|---|---|
보건당국은 최신정보를 제공하였다 | 2.6% | 6.4% | 30.7% | 40.6% | 17.7% | 2.0% | 3.66±0.94 |
보건당국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 3.6% | 6.6% | 31.5% | 40.9% | 15.8% | 1.6% | 3.60±0.96 |
보건당국은 팩트체크 정보를 제공하였다 | 3.9% | 8.3% | 32.1% | 38.7% | 14.5% | 2.5% | 3.53±0.98 |
수많은 정보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을 보건당국이 짚어주었다 | 4.1% | 10.5% | 33.3% | 34.7% | 15.3% | 2.1% | 3.48±1.01 |
보건당국은 전문용어나 어려운 의학개념, 통계수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 3.4% | 10.9% | 37.0% | 35.0% | 11.5% | 2.2% | 3.41±0.95 |
보건당국은 국민의 불안감이나 공포심을 줄이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 4.6% | 13.6% | 33.7% | 34.2% | 11.6% | 2.3% | 3.35±1.01 |
보건당국은 루머나 음모론을 정정해 주었다 | 3.5% | 10.7% | 37.1% | 34.0% | 10.8% | 3.9% | 3.39±0.95 |
보건당국은 사회갈등이나 불신을 낮추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 4.8% | 12.7% | 34.6% | 33.6% | 11.2% | 3.1% | 3.35±1.01 |
자주 바뀌어서 헷갈리는 내용을 보건당국이 짚어주었다 | 3.8% | 11.9% | 38.4% | 31.4% | 11.3% | 3.2% | 3.36±0.97 |
보건당국은 허위정보나 조작정보에 대해 안내하였다 | 6.2% | 20.7% | 34.0% | 28.3% | 7.6% | 3.2% | 3.11±1.03 |
응답자들에게 ‘향후 새로운 감염병 위기를 대비한 질병관리청을 비롯한 정부 보건당국의 정보 관리와 소통에 대한’ 의견을 총 10문항으로 묻고 동의 정도를 표시하게 하였다(1=전혀 그렇지 않다, 5=매우 그렇다). 향후 소통 방안에 대한 문항들은 위에서 보고한 코로나19 대응 소통 인식에 대한 문항들을 일부 활용하였으며(예: ‘보건당국은 허위조작 정보나 음모론을 정정해서 안내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인포데믹 대비‧관리를 위한 이슈의 실시간 모니터링의 중요성[8]과 소셜미디어 등 다양한 미디어와 채널 관리의 중요성[5]을 강조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최종 문항들을 구성하였다(예: ‘보건당국은 소셜미디어에서 공유되고 확산되는 정보를 상시 모니터링해야 한다’). 총 문항들은 WHO의 코로나19 인포데믹 관리 정책브리핑에서 주목한 요인들을 포괄하고자 구성하였다(표 2)[1].
세부문항 | 전혀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다 | 보통이다 |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평균±표준편차 |
---|---|---|---|---|---|---|
보건당국은 정확하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해야 한다 | 0.2% | 1.0% | 10.5% | 32.1% | 56.2% | 4.43±0.74 |
보건당국은 허위조작 정보나 음모론을 정정해서 안내해야 한다 | 0.6% | 1.3% | 11.1% | 49.0% | 38.0% | 4.23±0.74 |
보건당국은 국민에게 최신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해야 한다(예: 정례브리핑) | 0.6% | 1.2% | 15.1% | 49.8% | 33.3% | 4.14±0.75 |
보건당국은 허위조작 정보 혹은 가짜뉴스를 법적으로 규제해야 한다 | 1.4% | 3.4% | 16.8% | 41.2% | 37.2% | 4.09±0.89 |
보건당국은 국민과 소통할 수 있는 채널 혹은 경로를 다양화해야 한다 (예: 허위정보 신고웹사이트 및 이에 대한 공식 답변, 유튜브 채널) | 1.0% | 2.8% | 18.6% | 52.6% | 25.0% | 3.98±0.80 |
보건당국은 정보를 다양한 국민맞춤형 콘텐츠로 제공해야 한다(예: 고위험군대상 정보, 세대맞춤형 디지털콘텐츠) | 0.7% | 2.1% | 20.8% | 52.5% | 23.9% | 3.97±0.77 |
보건당국은 국민의 불안감과 공포심을 줄이는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 1.6% | 3.8% | 18.5% | 46.4% | 29.7% | 3.99±0.88 |
보건당국은 소셜미디어에서 공유되고 확산되는 정보를 상시 모니터링해야 한다 | 1.6% | 3.1% | 19.3% | 48.3% | 27.7% | 3.97±0.86 |
보건당국은 언론사의 뉴스와 정보를 상시 모니터링해야 한다 | 1.3% | 3.7% | 19.6% | 48.0% | 27.4% | 3.97±0.86 |
보건당국은 허위조작 정보 혹은 가짜뉴스에 대해 삭제 조치해야 한다 | 1.6% | 4.1% | 19.0% | 43.2% | 32.1% | 4.00±0.91 |
응답자들에게 질병 관련 정보와 관련해서 각 기관을 신뢰하는 정도를 5점 척도로 질문하였다(1=전혀 신뢰하지 않는다, 5=매우 신뢰한다). 신뢰도는 질병관리청(mean [M]=3.55, standard deviation [SD]=0.87)과 정부(중앙정부와 보건복지부 등; M=3.24, SD=0.94)를 구분해서 측정하였다1). 본 연구에서는 응답자들을 신뢰도 높은 집단(4–5점)과 신뢰도 낮은 집단(1–3점)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질병관리청 신뢰도 집단(고 57.9%, 저 42.1%), 정부 신뢰도 집단(고 41.1%, 저 58.9%).
코로나19 기간 정부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소통에 대한 인식과 향후 인포데믹 관리 필요성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조사문항별로 5점 척도 응답 분포 퍼센트 및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하였다2). 정부 보건당국에 대한 신뢰도별 인포데믹 소통에 대한 인식 차이는 신뢰도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 평균 차이를 t-test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t값의 유의도 수준이 p<0.001로 나타나 신뢰도에 따른 인식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계분석은 사회과학 통계 패키지 IBM SPSS Statistics 25.0 (IBM Co.)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1에 보건당국의 코로나19 인포데믹 소통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기술통계 결과를 보고하였다. 응답자들이 긍정적(‘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으로 인식한 보건당국의 코로나19 인포데믹 소통 항목들은 ‘최신정보를 제공하였다’(58.3%),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56.7%), ‘팩트체크 정보를 제공하였다’(53.2%), ‘수많은 정보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을 보건당국이 짚어주었다’(50.0%) 순으로 나타났다. 즉, 보건당국이 제공한 코로나19 정보의 최신성, 신뢰성, 정확성을 국민들은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응답자들이 부정적으로 인식(‘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한 경향이 높은 항목으로는 ‘허위정보나 조작정보에 대해 안내하였다’(26.9%)가 가장 높은 순위를 보였고, 이외에 ‘국민의 불안감이나 공포심을 줄이는 정보를 제공하였다’(18.2%), ‘사회갈등이나 불신을 낮추는 정보를 제공하였다’(17.5%), ‘자주 바뀌어서 헷갈리는 내용을 보건당국이 짚어주었다’(15.7%) 순으로 조사되었다. 요약하면, 코로나19 인포데믹의 폐해를 강화하는 허위‧조작정보, 불안‧공포 촉발 정보, 사회갈등 조장 정보 등에 대한 보건당국의 대응이 다소 미비하였다고 국민들은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국민들은 보건당국이 코로나19 정보에 대해 기존부터 수행하던 일방향 정보 제공 역할은 적절하게 행하였다고 인식하였으나, 코로나19 인포데믹이 야기한 주요 사회적 병폐인 허위조작, 불안감, 공포심, 사회갈등, 불신 등에 대해서는 비교적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였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인식 경향은 표 1의 오른쪽 열에 보고한 문항별 응답평균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국민들의 인식은 질병관리청의 실제 위기소통 대응 방식과 상응하는 경향을 보인다.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팬데믹에 대응하여 2020년부터 2021년까지 2년 동안 총 475회의 브리핑을 진행하고 총 1,674건의 보도자료를 배포하여 정보 확산에 많은 역량을 투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9]. 코로나19 발생 당시 활용된 질병관리청의 공중보건 위험소통 표준운영절차(2판)는 2018년에 발간되었으며 2015년 메르스 대응 경험을 바탕으로 투명한 정보 제공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다[10]. 따라서,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소통에 있어 정보의 최신성, 신뢰성 등 정보 제공과 관련된 국민들의 긍정적인 반응은 질병관리청이 과거 경험을 기반으로 체계화한 소통 대응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상대적으로 덜 긍정적으로 평가된 부분은 질병관리청이 향후 소통 대응 체계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표 2는 향후 새로운 감염병 위기를 대비하기 위해 질병관리청을 비롯한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관리와 소통 방안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기술통계 결과이다. 앞서 표 1에서 보고한 코로나19 팬데믹 시 소통에 대한 평가의 평균수치(Ms=3.11–3.66)와 비교했을 때, 표 2의 응답들의 평균(Ms=3.97–4.43)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코로나19 팬데믹을 경험한 만큼, 향후 새로운 감염병 위기를 대비하기 위한 보건당국의 적극적인 정보 관리와 소통 방안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도가 상당히 높아졌다는 것을 시사한다.
구체적으로, 향후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소통 방안에 대하여 응답자들은 ‘보건당국은 정확하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해야 한다’(‘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를 합산한 응답비율 88.3%), ‘허위조작 정보나 음모론을 정정해서 안내해야 한다’(87%), ‘국민에게 최신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해야 한다(예: 정례브리핑)’(83.1%) 순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방안들의 필요성에 동의한 사람들은 전체 응답자의 83% 이상이었다.
한편, 응답자들은 ‘보건당국은 허위조작 정보 혹은 가짜뉴스에 대해 삭제 조치해야 한다’(75.3%), ‘언론사의 뉴스와 정보를 상시 모니터링해야 한다’(75.4%). ‘소셜미디어에서 공유되고 확산되는 정보를 상시 모니터링해야 한다’(76.0%) 등의 방안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지지를 보였다. 즉, 정부가 정보의 자유로운 공유를 제한하고 특정 정보를 삭제하거나 모니터링 혹은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응답자들이 비교적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방안들에 대해 75% 이상의 응답자가 그 필요성에 동의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보건당국에 대한 신뢰도 고‧저 집단3)별 인식 차이를 분석하기에 앞서, 먼저 코로나19 인포데믹 소통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10문항의 응답 평균값으로 척도를 구성하였다(M=3.43, SD=0.75). 그리고 향후 감염병 위기 대비를 위한 인포데믹 소통 인식 10문항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또 다른 척도를 구성하였다(M=4.08, SD=0.59).
이처럼 구성한 척도를 활용하여 코로나19 인포데믹 소통에 대한 인식이 신뢰도 집단 간에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기 위해 t-test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질병관리청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집단(M=3.74, SD=0.60)이 신뢰도가 낮은 집단(M=2.99, SD=0.72)에 비해 보건당국의 코로나19 인포데믹 정보제공 및 소통에 대해서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t[966]=17.50, p<0.001). 마찬가지로,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집단(M=3.81, SD=0.58)이 낮은 집단(M=3.16, SD=0.74)보다 보건당국의 코로나19 인포데믹 소통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정도가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t[966]=14.43, p<0.001).
신뢰도별 향후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소통에 대한 인식 차이 역시 t-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질병관리청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집단(M=4.23, SD=0.48)은 신뢰도가 낮은 집단(M=3.87, SD=0.65)에 비해서 보건당국의 향후 감염병 위기 대비를 위한 인포데믹 소통 필요성을 더 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998]=9.99, p<0.001). 또한,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집단(M=4.26, SD=0.47)이 낮은 집단(M=3.95, SD=0.62)보다 보건당국의 향후 인포데믹 관리‧소통에 대한 요구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t[966]=8.36, p<0.001).
이와 같이, 국민들의 정부 보건당국에 대한 신뢰도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소통을 평가하는 데 있어 유의미한 기준으로 작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향후 감염병 위기에 대비할 때 보건당국의 역할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국민들의 질병관리청 및 정부에 대한 신뢰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은 인포데믹 해결의 핵심이 신뢰성 증진에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종식된 후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코로나19 및 향후 인포데믹 소통과 관련한 국민들의 정부 보건당국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인식이 보건당국에 대한 신뢰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한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국민들은 보건당국이 코로나19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어 최신성, 정확성, 신뢰성 면에서 만족하였으나, 허위정보, 불안, 공포, 사회갈등, 불신 등의 문제에는 충분히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신뢰도별 분석을 통해서는 질병관리청과 정부에 대한 신뢰가 높은 집단은 보건당국의 코로나19 인포데믹 소통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함과 동시에, 보건당국의 향후 인포데믹 관리와 소통에 대한 요구도 역시 더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질병관리청 및 보건당국, 정부가 지속적인 브리핑과 적극적인 보도자료 활용, 그리고 기존의 공중보건 위험소통 표준운영절차를 통해 투명하고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한 노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인포데믹 관리를 위한 정부의 이러한 노력은 앞으로의 새로운 감염병 위기 시에도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구체적인 인포데믹 대응 지침 및 대응 매뉴얼 개발을 통해 보다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소통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인포데믹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회갈등, 부정적인 정서와 혼란, 사회위기 대응의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해 맞춤형 소통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 나아가 향후에는 연령대, 성별 등을 기준으로 한 하위집단에서의 인포데믹 인식을 분석하여 감염병 위기 대응 소통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1) 참고로, 정부 보건당국에 대한 신뢰도는 전문가 집단에 대한 신뢰도(mean [M]=3.56, standard deviation [SD]=0.78)와 유사하거나 조금 낮고, 언론에 대한 신뢰도(M=2.82, SD=0.84)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평균과 표준편차 계산 시 ‘모르겠다’ 응답을 제외하고 5점 척도 응답만을 포함하여 계산하였다.
3) 앞서 보고한 바와 같이, 질병관리청과 정부 각 기관을 신뢰하는 정도를 5점 척도(1=전혀 신뢰하지 않는다, 5=매우 신뢰한다)로 평가하게 하여 응답점수에 따라 신뢰도가 높은 집단(4–5점)과 낮은 집단(1–3점)으로 구분하였다. 각 신뢰도 집단 내 성별과 연령 구성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질병관리청에 대한 신뢰도 집단별 성별 구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고집단 내 남성 49.2%, 여성 50.8%; 저집단 남성 53.2%, 여성 46.8%; χ2[1]=1.55, p=0.224). 마찬가지로, 정부에 대한 신뢰도 고‧저집단 간에도 유의미한 성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고집단 남성 51.8%, 여성 48.2%; 저집단 남성 50.3%, 여성 49.7%; χ2[1]=1.55, p=0.653). 연령의 경우, 질병관리청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집단(M=45.7, SD=14.1)과 낮은 집단(M=44.5, SD=12.4)의 평균 연령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t[998]=1.27, p=0.141). 그러나 정부에 대한 신뢰도 높은 집단의 평균연령(46.6세, SD=14.5)이 신뢰도 낮은 집단(44.2세, SD=12.6)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p=0.004).
Funding Source: This study was supported by grant from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No. 2023-01-003).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The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Sahmyook University (IRB No. SYU 2023-10-023). The informed consent was waived.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MSS, CJL. Data curation: MSS, YJK, CJL. Formal analysis: MSS. Funding acquisition: CJL. Investigation: MSS, CJL. Methodology: MSS, CJL. Project administration: CJL. Supervision: JYK, CHL, CJL. Validation: MSS. Visualization: MSS, YJK. Writing – original draft: MSS, YJK, JHS. Writing – review & editing: MSS, YJK, JHS, JYK, CHL, CJL.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31): 1297-1313
Published online August 8, 2024 https://doi.org/10.56786/PHWR.2024.17.31.1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심민선1, 김유진2, 신지환2, 고재영3, 이철호3, 이철주2*
1인하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3질병관리청 대변인실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본 연구는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정부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대응소통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향후 새로운 감염병 위기 시 인포데믹 관리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응답자들은 연령, 성별, 지역별로 할당 표집되었으며, 조사는 2023년 9월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보건당국이 코로나19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적절히 수행했다고 인식하였으나, 허위조작정보, 불안, 공포, 사회갈등 등 인포데믹으로 인한 주요 사회적 문제에 대한 대응은 부족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향후 새로운 감염병 위기 대비를 위한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관리‧소통 방안에 대한 요구도가 높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감염병 대응을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인포데믹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Keywords: 인포데믹,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 감염병 위기, 정부 신뢰도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인포데믹의 영향력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효과적인 인포데믹 관리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국민들은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보건당국이 코로나19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은 적절히 수행했다고 인식하였다. 이에 반해, 인포데믹의 주요 사회적 문제인 허위조작정보, 불안감, 공포심, 사회갈등, 불신 등에 대해서는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였다고 인식하였다. 향후 새로운 감염병 위기 대비를 위한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관리‧소통 방안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높은 요구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코로나19 인포데믹 당시 정부 보건당국의 브리핑 및 정보 제공 노력에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향후 감염병 대응을 위해 지속적으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인포데믹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전염병의 체계적인 관리뿐 아니라 인포데믹(infodemic)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1]. 인포데믹은 인터넷이나 다른 여러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통해 정보의 타당성 여부와 상관없이 수많은 정보가 한꺼번에 사회적으로 확산되는 현상을 의미한다[2].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이후, 부정확하고 불확실한 정보가 급증함과 동시에 위험 인식‧대응 측면에서 정보의 불균형한 생산과 소비가 증가하였다[3]. 이에 따라 인포데믹 현상이 본격적으로 사회경제적 문제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1].
전 세계적인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인포데믹이 초래한 결과의 심각성은 다양한 측면에서 보고되었다. 일례로, 인포데믹이 불안, 공포, 혐오와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유발하여 사회적 불안을 증폭시키고 이로 인해 사회위기 대응 과정에서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마스크 등의 방역 물품 생산과 관련된 허위정보가 확산되어 국민들의 공포심을 증폭시킨 결과, 물품 가격이 급등하고 공급 부족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5]. 또한, 감염병 치료와 예방 방법과 관련된 인포데믹으로 인해 건강을 위협하는 행위(예: ‘코로나19 바이러스 퇴치를 위한 메탄올 섭취’)가 유발되거나, 사회적 음모론이 확산되어 국가의 방역과 백신접종 정책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고 정부에 대한 신뢰를 저하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6].
인포데믹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국민 개개인이 미디어 리터러시를 강화하고 허위나 부정확한 정보에 속지 않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정보 미디어 환경에서는 개인의 역량과 노력만으로 인포데믹을 극복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유튜브 등 플랫폼에서 조회 수와 구독자를 늘려 수익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자극적이고 잘못된 정보를 과도하게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 사람들이 올바른 정보를 식별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2]. 더불어, 정보 수용자들은 자신의 가치관과 일치하는 정보일 경우 그 내용이 가짜라는 경고가 있어도 진실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어서[7], 개인 수준의 노력 외에도 보다 근본적인 가이드라인이나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인포데믹 대비와 대응을 위해서는 정부와 보건당국이 국민들의 신뢰를 얻어야 하며, 특히 불확실성이 많은 사회위기 상황에서 국민들이 정보를 습득하고 활용할 때 믿을 만한 자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본 글에서는 2023년 코로나19 팬데믹이 종식된 후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고한다. 구체적으로, 질병관리청을 포함한 정부 보건당국의 코로나19 인포데믹 소통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향후 새로운 감염병 위기를 대비한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인식이 보건당국에 대한 신뢰도 정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여, 적절한 인포데믹 대응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69세 이하의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문 조사기관 마이크로밀 엠브레인에 의뢰하여 표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 수는 G*power 3.1.9.7 (Universität Düsseldorf)을 이용하여 t-test, 효과크기 0.2, 유의수준 0.05로 설정하여 산출한 결과를 근거로 하였다(검정력 0.95 기준으로 필요 표본 수 1,084명, 검정력 0.80 기준으로 620명임). 표집 시에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 인구비례할당을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2023년 9월 22일부터 26일까지 총 5일간 실시되었다. 설문 내용은 코로나19 및 기타 질병에 대한 허위정보 노출 및 인지 수준, 코로나19와 질병 관련 정보 이용 경향, 코로나19 인포데믹 경험, 그리고 보건당국에 대한 신뢰도 및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대응에 대한 인식 등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응답자들은 자신의 개인 배경에 대해 응답하였다. 본 글에서는 이 중 국민의 보건당국에 대한 신뢰 및 인포데믹 대응 인식과 관련한 문항들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고한다.
설문 응답자 중 남성 비율은 50.9%, 여성 비율은 49.1%이었다. 연령 분포의 경우, 응답자의 6.9%가 만 19–24세, 10.3%가 만 25–29세, 17.5% 30대, 21.7% 40대, 23.4% 50대, 20.2% 60대로 이루어졌다. 최종학력은 중학교 졸업 이하가 0.4%, 고등학교 졸업이 20.4%, 2–3년제 대학교 졸업 16.5%, 4년제 이상 대학교 졸업 50.1%, 대학원 석사 과정 이상이 12.6%로 조사되었다. 월평균 가구소득은 다음과 같았다: 100만원 미만 5.8%,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 6.0%, 200만 이상 300만원 미만 16.1%,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 15.9%, 4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 14.8%, 500만원 이상 600만원 미만 14.0%, 600만원 이상 700만원 미만 8.4%, 700만원 이상 19.0%로 조사되었다. 또한, 응답자의 70.1%가 코로나19 확진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대다수의 응답자(91.7%)가 코로나 백신을 2차 이상 접종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치이념 성향은 진보 28.9%, 중도 45.1%, 보수 26.0%의 분포를 보였다. 본 조사는 삼육대학교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SYU 2023-10-023)을 받았다.
응답자들에게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질병관리청을 비롯한 정보 보건당국의 코로나 관련 정보 제공 및 소통’에 대한 생각을 총 10개의 문항으로 질문하고, 동의하는 정도를 5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5=매우 그렇다)로 표시하게 하였다. 질문 시 팬데믹 기간은 ‘한국에서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한 2020년 1월 20일부터 정부에서 사실상 엔데믹 선언을 한 2023년 5월 31일까지를 의미’한다는 부연 설명을 제시하였다. 문항 개발을 위해 인포데믹의 개념 및 관리 방안에 대한 국내외 문헌[1,4]을 참고하여, ‘보건당국은 허위정보나 조작정보에 대해 안내하였다’, ‘보건당국은 국민의 불안감이나 공포심을 줄이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보건당국은 루머나 음모론을 정정해 주었다’ 등 인포데믹의 다양한 하위측면을 포함하여 측정하였다(표 1).
세부문항 | 전혀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다 | 보통이다 |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모르겠다 | 평균±표준편차 |
---|---|---|---|---|---|---|---|
보건당국은 최신정보를 제공하였다 | 2.6% | 6.4% | 30.7% | 40.6% | 17.7% | 2.0% | 3.66±0.94 |
보건당국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 3.6% | 6.6% | 31.5% | 40.9% | 15.8% | 1.6% | 3.60±0.96 |
보건당국은 팩트체크 정보를 제공하였다 | 3.9% | 8.3% | 32.1% | 38.7% | 14.5% | 2.5% | 3.53±0.98 |
수많은 정보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을 보건당국이 짚어주었다 | 4.1% | 10.5% | 33.3% | 34.7% | 15.3% | 2.1% | 3.48±1.01 |
보건당국은 전문용어나 어려운 의학개념, 통계수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 3.4% | 10.9% | 37.0% | 35.0% | 11.5% | 2.2% | 3.41±0.95 |
보건당국은 국민의 불안감이나 공포심을 줄이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 4.6% | 13.6% | 33.7% | 34.2% | 11.6% | 2.3% | 3.35±1.01 |
보건당국은 루머나 음모론을 정정해 주었다 | 3.5% | 10.7% | 37.1% | 34.0% | 10.8% | 3.9% | 3.39±0.95 |
보건당국은 사회갈등이나 불신을 낮추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 4.8% | 12.7% | 34.6% | 33.6% | 11.2% | 3.1% | 3.35±1.01 |
자주 바뀌어서 헷갈리는 내용을 보건당국이 짚어주었다 | 3.8% | 11.9% | 38.4% | 31.4% | 11.3% | 3.2% | 3.36±0.97 |
보건당국은 허위정보나 조작정보에 대해 안내하였다 | 6.2% | 20.7% | 34.0% | 28.3% | 7.6% | 3.2% | 3.11±1.03 |
응답자들에게 ‘향후 새로운 감염병 위기를 대비한 질병관리청을 비롯한 정부 보건당국의 정보 관리와 소통에 대한’ 의견을 총 10문항으로 묻고 동의 정도를 표시하게 하였다(1=전혀 그렇지 않다, 5=매우 그렇다). 향후 소통 방안에 대한 문항들은 위에서 보고한 코로나19 대응 소통 인식에 대한 문항들을 일부 활용하였으며(예: ‘보건당국은 허위조작 정보나 음모론을 정정해서 안내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인포데믹 대비‧관리를 위한 이슈의 실시간 모니터링의 중요성[8]과 소셜미디어 등 다양한 미디어와 채널 관리의 중요성[5]을 강조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최종 문항들을 구성하였다(예: ‘보건당국은 소셜미디어에서 공유되고 확산되는 정보를 상시 모니터링해야 한다’). 총 문항들은 WHO의 코로나19 인포데믹 관리 정책브리핑에서 주목한 요인들을 포괄하고자 구성하였다(표 2)[1].
세부문항 | 전혀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다 | 보통이다 |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평균±표준편차 |
---|---|---|---|---|---|---|
보건당국은 정확하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해야 한다 | 0.2% | 1.0% | 10.5% | 32.1% | 56.2% | 4.43±0.74 |
보건당국은 허위조작 정보나 음모론을 정정해서 안내해야 한다 | 0.6% | 1.3% | 11.1% | 49.0% | 38.0% | 4.23±0.74 |
보건당국은 국민에게 최신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해야 한다(예: 정례브리핑) | 0.6% | 1.2% | 15.1% | 49.8% | 33.3% | 4.14±0.75 |
보건당국은 허위조작 정보 혹은 가짜뉴스를 법적으로 규제해야 한다 | 1.4% | 3.4% | 16.8% | 41.2% | 37.2% | 4.09±0.89 |
보건당국은 국민과 소통할 수 있는 채널 혹은 경로를 다양화해야 한다 (예: 허위정보 신고웹사이트 및 이에 대한 공식 답변, 유튜브 채널) | 1.0% | 2.8% | 18.6% | 52.6% | 25.0% | 3.98±0.80 |
보건당국은 정보를 다양한 국민맞춤형 콘텐츠로 제공해야 한다(예: 고위험군대상 정보, 세대맞춤형 디지털콘텐츠) | 0.7% | 2.1% | 20.8% | 52.5% | 23.9% | 3.97±0.77 |
보건당국은 국민의 불안감과 공포심을 줄이는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 1.6% | 3.8% | 18.5% | 46.4% | 29.7% | 3.99±0.88 |
보건당국은 소셜미디어에서 공유되고 확산되는 정보를 상시 모니터링해야 한다 | 1.6% | 3.1% | 19.3% | 48.3% | 27.7% | 3.97±0.86 |
보건당국은 언론사의 뉴스와 정보를 상시 모니터링해야 한다 | 1.3% | 3.7% | 19.6% | 48.0% | 27.4% | 3.97±0.86 |
보건당국은 허위조작 정보 혹은 가짜뉴스에 대해 삭제 조치해야 한다 | 1.6% | 4.1% | 19.0% | 43.2% | 32.1% | 4.00±0.91 |
응답자들에게 질병 관련 정보와 관련해서 각 기관을 신뢰하는 정도를 5점 척도로 질문하였다(1=전혀 신뢰하지 않는다, 5=매우 신뢰한다). 신뢰도는 질병관리청(mean [M]=3.55, standard deviation [SD]=0.87)과 정부(중앙정부와 보건복지부 등; M=3.24, SD=0.94)를 구분해서 측정하였다1). 본 연구에서는 응답자들을 신뢰도 높은 집단(4–5점)과 신뢰도 낮은 집단(1–3점)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질병관리청 신뢰도 집단(고 57.9%, 저 42.1%), 정부 신뢰도 집단(고 41.1%, 저 58.9%).
코로나19 기간 정부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소통에 대한 인식과 향후 인포데믹 관리 필요성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조사문항별로 5점 척도 응답 분포 퍼센트 및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하였다2). 정부 보건당국에 대한 신뢰도별 인포데믹 소통에 대한 인식 차이는 신뢰도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 평균 차이를 t-test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t값의 유의도 수준이 p<0.001로 나타나 신뢰도에 따른 인식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계분석은 사회과학 통계 패키지 IBM SPSS Statistics 25.0 (IBM Co.)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1에 보건당국의 코로나19 인포데믹 소통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기술통계 결과를 보고하였다. 응답자들이 긍정적(‘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으로 인식한 보건당국의 코로나19 인포데믹 소통 항목들은 ‘최신정보를 제공하였다’(58.3%),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56.7%), ‘팩트체크 정보를 제공하였다’(53.2%), ‘수많은 정보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을 보건당국이 짚어주었다’(50.0%) 순으로 나타났다. 즉, 보건당국이 제공한 코로나19 정보의 최신성, 신뢰성, 정확성을 국민들은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응답자들이 부정적으로 인식(‘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한 경향이 높은 항목으로는 ‘허위정보나 조작정보에 대해 안내하였다’(26.9%)가 가장 높은 순위를 보였고, 이외에 ‘국민의 불안감이나 공포심을 줄이는 정보를 제공하였다’(18.2%), ‘사회갈등이나 불신을 낮추는 정보를 제공하였다’(17.5%), ‘자주 바뀌어서 헷갈리는 내용을 보건당국이 짚어주었다’(15.7%) 순으로 조사되었다. 요약하면, 코로나19 인포데믹의 폐해를 강화하는 허위‧조작정보, 불안‧공포 촉발 정보, 사회갈등 조장 정보 등에 대한 보건당국의 대응이 다소 미비하였다고 국민들은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국민들은 보건당국이 코로나19 정보에 대해 기존부터 수행하던 일방향 정보 제공 역할은 적절하게 행하였다고 인식하였으나, 코로나19 인포데믹이 야기한 주요 사회적 병폐인 허위조작, 불안감, 공포심, 사회갈등, 불신 등에 대해서는 비교적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였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인식 경향은 표 1의 오른쪽 열에 보고한 문항별 응답평균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국민들의 인식은 질병관리청의 실제 위기소통 대응 방식과 상응하는 경향을 보인다.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팬데믹에 대응하여 2020년부터 2021년까지 2년 동안 총 475회의 브리핑을 진행하고 총 1,674건의 보도자료를 배포하여 정보 확산에 많은 역량을 투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9]. 코로나19 발생 당시 활용된 질병관리청의 공중보건 위험소통 표준운영절차(2판)는 2018년에 발간되었으며 2015년 메르스 대응 경험을 바탕으로 투명한 정보 제공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다[10]. 따라서,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소통에 있어 정보의 최신성, 신뢰성 등 정보 제공과 관련된 국민들의 긍정적인 반응은 질병관리청이 과거 경험을 기반으로 체계화한 소통 대응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상대적으로 덜 긍정적으로 평가된 부분은 질병관리청이 향후 소통 대응 체계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표 2는 향후 새로운 감염병 위기를 대비하기 위해 질병관리청을 비롯한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관리와 소통 방안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기술통계 결과이다. 앞서 표 1에서 보고한 코로나19 팬데믹 시 소통에 대한 평가의 평균수치(Ms=3.11–3.66)와 비교했을 때, 표 2의 응답들의 평균(Ms=3.97–4.43)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코로나19 팬데믹을 경험한 만큼, 향후 새로운 감염병 위기를 대비하기 위한 보건당국의 적극적인 정보 관리와 소통 방안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도가 상당히 높아졌다는 것을 시사한다.
구체적으로, 향후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소통 방안에 대하여 응답자들은 ‘보건당국은 정확하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해야 한다’(‘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를 합산한 응답비율 88.3%), ‘허위조작 정보나 음모론을 정정해서 안내해야 한다’(87%), ‘국민에게 최신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해야 한다(예: 정례브리핑)’(83.1%) 순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방안들의 필요성에 동의한 사람들은 전체 응답자의 83% 이상이었다.
한편, 응답자들은 ‘보건당국은 허위조작 정보 혹은 가짜뉴스에 대해 삭제 조치해야 한다’(75.3%), ‘언론사의 뉴스와 정보를 상시 모니터링해야 한다’(75.4%). ‘소셜미디어에서 공유되고 확산되는 정보를 상시 모니터링해야 한다’(76.0%) 등의 방안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지지를 보였다. 즉, 정부가 정보의 자유로운 공유를 제한하고 특정 정보를 삭제하거나 모니터링 혹은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응답자들이 비교적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방안들에 대해 75% 이상의 응답자가 그 필요성에 동의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보건당국에 대한 신뢰도 고‧저 집단3)별 인식 차이를 분석하기에 앞서, 먼저 코로나19 인포데믹 소통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10문항의 응답 평균값으로 척도를 구성하였다(M=3.43, SD=0.75). 그리고 향후 감염병 위기 대비를 위한 인포데믹 소통 인식 10문항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또 다른 척도를 구성하였다(M=4.08, SD=0.59).
이처럼 구성한 척도를 활용하여 코로나19 인포데믹 소통에 대한 인식이 신뢰도 집단 간에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기 위해 t-test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질병관리청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집단(M=3.74, SD=0.60)이 신뢰도가 낮은 집단(M=2.99, SD=0.72)에 비해 보건당국의 코로나19 인포데믹 정보제공 및 소통에 대해서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t[966]=17.50, p<0.001). 마찬가지로,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집단(M=3.81, SD=0.58)이 낮은 집단(M=3.16, SD=0.74)보다 보건당국의 코로나19 인포데믹 소통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정도가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t[966]=14.43, p<0.001).
신뢰도별 향후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소통에 대한 인식 차이 역시 t-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질병관리청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집단(M=4.23, SD=0.48)은 신뢰도가 낮은 집단(M=3.87, SD=0.65)에 비해서 보건당국의 향후 감염병 위기 대비를 위한 인포데믹 소통 필요성을 더 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998]=9.99, p<0.001). 또한,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집단(M=4.26, SD=0.47)이 낮은 집단(M=3.95, SD=0.62)보다 보건당국의 향후 인포데믹 관리‧소통에 대한 요구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t[966]=8.36, p<0.001).
이와 같이, 국민들의 정부 보건당국에 대한 신뢰도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보건당국의 인포데믹 소통을 평가하는 데 있어 유의미한 기준으로 작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향후 감염병 위기에 대비할 때 보건당국의 역할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국민들의 질병관리청 및 정부에 대한 신뢰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은 인포데믹 해결의 핵심이 신뢰성 증진에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종식된 후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코로나19 및 향후 인포데믹 소통과 관련한 국민들의 정부 보건당국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인식이 보건당국에 대한 신뢰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한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국민들은 보건당국이 코로나19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어 최신성, 정확성, 신뢰성 면에서 만족하였으나, 허위정보, 불안, 공포, 사회갈등, 불신 등의 문제에는 충분히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신뢰도별 분석을 통해서는 질병관리청과 정부에 대한 신뢰가 높은 집단은 보건당국의 코로나19 인포데믹 소통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함과 동시에, 보건당국의 향후 인포데믹 관리와 소통에 대한 요구도 역시 더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질병관리청 및 보건당국, 정부가 지속적인 브리핑과 적극적인 보도자료 활용, 그리고 기존의 공중보건 위험소통 표준운영절차를 통해 투명하고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한 노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인포데믹 관리를 위한 정부의 이러한 노력은 앞으로의 새로운 감염병 위기 시에도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구체적인 인포데믹 대응 지침 및 대응 매뉴얼 개발을 통해 보다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소통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인포데믹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회갈등, 부정적인 정서와 혼란, 사회위기 대응의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해 맞춤형 소통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 나아가 향후에는 연령대, 성별 등을 기준으로 한 하위집단에서의 인포데믹 인식을 분석하여 감염병 위기 대응 소통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1) 참고로, 정부 보건당국에 대한 신뢰도는 전문가 집단에 대한 신뢰도(mean [M]=3.56, standard deviation [SD]=0.78)와 유사하거나 조금 낮고, 언론에 대한 신뢰도(M=2.82, SD=0.84)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평균과 표준편차 계산 시 ‘모르겠다’ 응답을 제외하고 5점 척도 응답만을 포함하여 계산하였다.
3) 앞서 보고한 바와 같이, 질병관리청과 정부 각 기관을 신뢰하는 정도를 5점 척도(1=전혀 신뢰하지 않는다, 5=매우 신뢰한다)로 평가하게 하여 응답점수에 따라 신뢰도가 높은 집단(4–5점)과 낮은 집단(1–3점)으로 구분하였다. 각 신뢰도 집단 내 성별과 연령 구성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질병관리청에 대한 신뢰도 집단별 성별 구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고집단 내 남성 49.2%, 여성 50.8%; 저집단 남성 53.2%, 여성 46.8%; χ2[1]=1.55, p=0.224). 마찬가지로, 정부에 대한 신뢰도 고‧저집단 간에도 유의미한 성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고집단 남성 51.8%, 여성 48.2%; 저집단 남성 50.3%, 여성 49.7%; χ2[1]=1.55, p=0.653). 연령의 경우, 질병관리청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집단(M=45.7, SD=14.1)과 낮은 집단(M=44.5, SD=12.4)의 평균 연령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t[998]=1.27, p=0.141). 그러나 정부에 대한 신뢰도 높은 집단의 평균연령(46.6세, SD=14.5)이 신뢰도 낮은 집단(44.2세, SD=12.6)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p=0.004).
Funding Source: This study was supported by grant from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No. 2023-01-003).
Acknowledgments: None.
Ethics Statement: The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Sahmyook University (IRB No. SYU 2023-10-023). The informed consent was waived.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MSS, CJL. Data curation: MSS, YJK, CJL. Formal analysis: MSS. Funding acquisition: CJL. Investigation: MSS, CJL. Methodology: MSS, CJL. Project administration: CJL. Supervision: JYK, CHL, CJL. Validation: MSS. Visualization: MSS, YJK. Writing – original draft: MSS, YJK, JHS. Writing – review & editing: MSS, YJK, JHS, JYK, CHL, CJL.
세부문항 | 전혀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다 | 보통이다 |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모르겠다 | 평균±표준편차 |
---|---|---|---|---|---|---|---|
보건당국은 최신정보를 제공하였다 | 2.6% | 6.4% | 30.7% | 40.6% | 17.7% | 2.0% | 3.66±0.94 |
보건당국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 3.6% | 6.6% | 31.5% | 40.9% | 15.8% | 1.6% | 3.60±0.96 |
보건당국은 팩트체크 정보를 제공하였다 | 3.9% | 8.3% | 32.1% | 38.7% | 14.5% | 2.5% | 3.53±0.98 |
수많은 정보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을 보건당국이 짚어주었다 | 4.1% | 10.5% | 33.3% | 34.7% | 15.3% | 2.1% | 3.48±1.01 |
보건당국은 전문용어나 어려운 의학개념, 통계수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 3.4% | 10.9% | 37.0% | 35.0% | 11.5% | 2.2% | 3.41±0.95 |
보건당국은 국민의 불안감이나 공포심을 줄이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 4.6% | 13.6% | 33.7% | 34.2% | 11.6% | 2.3% | 3.35±1.01 |
보건당국은 루머나 음모론을 정정해 주었다 | 3.5% | 10.7% | 37.1% | 34.0% | 10.8% | 3.9% | 3.39±0.95 |
보건당국은 사회갈등이나 불신을 낮추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 4.8% | 12.7% | 34.6% | 33.6% | 11.2% | 3.1% | 3.35±1.01 |
자주 바뀌어서 헷갈리는 내용을 보건당국이 짚어주었다 | 3.8% | 11.9% | 38.4% | 31.4% | 11.3% | 3.2% | 3.36±0.97 |
보건당국은 허위정보나 조작정보에 대해 안내하였다 | 6.2% | 20.7% | 34.0% | 28.3% | 7.6% | 3.2% | 3.11±1.03 |
세부문항 | 전혀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다 | 보통이다 |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평균±표준편차 |
---|---|---|---|---|---|---|
보건당국은 정확하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해야 한다 | 0.2% | 1.0% | 10.5% | 32.1% | 56.2% | 4.43±0.74 |
보건당국은 허위조작 정보나 음모론을 정정해서 안내해야 한다 | 0.6% | 1.3% | 11.1% | 49.0% | 38.0% | 4.23±0.74 |
보건당국은 국민에게 최신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해야 한다(예: 정례브리핑) | 0.6% | 1.2% | 15.1% | 49.8% | 33.3% | 4.14±0.75 |
보건당국은 허위조작 정보 혹은 가짜뉴스를 법적으로 규제해야 한다 | 1.4% | 3.4% | 16.8% | 41.2% | 37.2% | 4.09±0.89 |
보건당국은 국민과 소통할 수 있는 채널 혹은 경로를 다양화해야 한다 (예: 허위정보 신고웹사이트 및 이에 대한 공식 답변, 유튜브 채널) | 1.0% | 2.8% | 18.6% | 52.6% | 25.0% | 3.98±0.80 |
보건당국은 정보를 다양한 국민맞춤형 콘텐츠로 제공해야 한다(예: 고위험군대상 정보, 세대맞춤형 디지털콘텐츠) | 0.7% | 2.1% | 20.8% | 52.5% | 23.9% | 3.97±0.77 |
보건당국은 국민의 불안감과 공포심을 줄이는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 1.6% | 3.8% | 18.5% | 46.4% | 29.7% | 3.99±0.88 |
보건당국은 소셜미디어에서 공유되고 확산되는 정보를 상시 모니터링해야 한다 | 1.6% | 3.1% | 19.3% | 48.3% | 27.7% | 3.97±0.86 |
보건당국은 언론사의 뉴스와 정보를 상시 모니터링해야 한다 | 1.3% | 3.7% | 19.6% | 48.0% | 27.4% | 3.97±0.86 |
보건당국은 허위조작 정보 혹은 가짜뉴스에 대해 삭제 조치해야 한다 | 1.6% | 4.1% | 19.0% | 43.2% | 32.1% | 4.00±0.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