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48): 2147-2159
Published online November 28, 2024
https://doi.org/10.56786/PHWR.2024.17.48.4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질병관리청 질병데이터과학분석관 역학데이터분석담당관
*Corresponding author: 김성순, Tel: +82-43-719-7950, E-mail: sskim0719@korea.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질병관리청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대응 경험을 통해 신종감염병을 대응하기 위한 방역정책의 과학적 근거 마련의 일환으로 질병관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건보공단) 간 건강정보 빅데이터 구축을 추진하고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2021. 4. 29.). 질병관리청의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 자료와 건보공단의 전국민 건강정보를 결합하여 구축한 빅데이터를 K-COV-N (KDCA Covid-19 NHIS cohort)으로 명명하였다. 구축한 빅데이터는 민간 연구 활성화 등을 위해 건보공단 개방 플랫폼을 통해 민간 연구진에 개방하였다. 이후 코로나19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 성과가 나타났다. 이 원고를 통해 코로나19 빅데이터의 연구 성과 및 활용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2022년 4월 시작하여 2024년 10월 2일까지 코로나19 빅데이터 개방 이후 누적 총 211건이 승인되었으며 총 30건의 논문이 국제학술지에 게재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코로나19 감염위험요인, 예방접종효과, 만성 코로나19증후군 등의 연구 성과가 나타났다. 아울러, 빅데이터 개방 이후 코로나19 빅데이터 활용 실무 네트워크 워크숍 등을 실시하여 코로나19 빅데이터 활용 분석사례 및 분석기법을 공유하고, 민·관 데이터 분석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실무 담당자간 교류를 활성화하였다. 또한, 국립암센터 등 건강정보 보유기관과의 연계를 확대해나가고 있다. 이에 질병관리청이 보유하고 있는 감염병 관련 정보를 지속 개방하여, 근거기반의 방역정책을 마련하고 전문가들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계획이다.
주요 검색어 코로나19 빅데이터; 코로나19 감염위험요인; 예방접종효과; 롱코비드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 17(48): 2147-2159
Published online December 12, 2024 https://doi.org/10.56786/PHWR.2024.17.48.4
Copyright ©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질병관리청 질병데이터과학분석관 역학데이터분석담당관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질병관리청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대응 경험을 통해 신종감염병을 대응하기 위한 방역정책의 과학적 근거 마련의 일환으로 질병관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건보공단) 간 건강정보 빅데이터 구축을 추진하고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2021. 4. 29.). 질병관리청의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 자료와 건보공단의 전국민 건강정보를 결합하여 구축한 빅데이터를 K-COV-N (KDCA Covid-19 NHIS cohort)으로 명명하였다. 구축한 빅데이터는 민간 연구 활성화 등을 위해 건보공단 개방 플랫폼을 통해 민간 연구진에 개방하였다. 이후 코로나19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 성과가 나타났다. 이 원고를 통해 코로나19 빅데이터의 연구 성과 및 활용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2022년 4월 시작하여 2024년 10월 2일까지 코로나19 빅데이터 개방 이후 누적 총 211건이 승인되었으며 총 30건의 논문이 국제학술지에 게재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코로나19 감염위험요인, 예방접종효과, 만성 코로나19증후군 등의 연구 성과가 나타났다. 아울러, 빅데이터 개방 이후 코로나19 빅데이터 활용 실무 네트워크 워크숍 등을 실시하여 코로나19 빅데이터 활용 분석사례 및 분석기법을 공유하고, 민·관 데이터 분석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실무 담당자간 교류를 활성화하였다. 또한, 국립암센터 등 건강정보 보유기관과의 연계를 확대해나가고 있다. 이에 질병관리청이 보유하고 있는 감염병 관련 정보를 지속 개방하여, 근거기반의 방역정책을 마련하고 전문가들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계획이다.
Keywords: 코로나19 빅데이터, 코로나19 감염위험요인, 예방접종효과, 롱코비드
분류 | 편수 (중복)a) | 주요 연구 결과 |
---|---|---|
코로나19 감염위험요인 | 16 | 산모의 코로나19 감염으로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증가 확인. 코로나19 감염 또는 중증화의 고위험군(정신질환자, 혈당조절이상자, 장기이식환자, 자가면역질환자, 비만, 천식, 소아복합만성질환자 등) 확인. 오미크론 유행시기에 어린이들 사이에 더 쉽게 전파되는 양상 확인. |
예방접종효과 | 18 | 접종자는 코로나19 감염 후 심근경색, 뇌경색, 심뇌혈관질환, 안면마비 발생 위험 감소. 접종으로 인한 자가면역질환, 망막동맥/정맥페쇄, 임신 조기유산, 만성질환 청소년의 부작용 발생 위험이 증가하지 않음. 포도막염 과거력이 있는 경우 예방접종 후 안과적 모니터링 필요. SARS-CoV-2 백신 접종(mRNA) 후 대부분의 자가면역-결합 조직 질환(AI-CTDs)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없음. |
롱코비드 | 4 | SARS-CoV-2에 감염된 성인의 경우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알레르기 질환 발생 위험이 더 높음. 코로나19 감염자가 일반 인구 및 급성 호흡기 감염증환자에 비해 장 ·단기 신경정신과적 후유증 발생 위험이 더 높음. |
항생제 사용 | 1 | 인플루엔자감염자보다 중증코로나19 환자군에서 항생제사용률이 높음. |
코로나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SARS-CoV-2=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AI-CTDs=autoimmune connective tissue diseases; 롱코비드=만성 코로나19증후군. a)논문의 주요 연구 결과가 두 가지 이상인 경우 편수를 중복으로 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