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감시보고
본 보고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전수감시기간(2020년 1월 20일–2023년 8월 30일) 동안 수집된 확진 사례 신고자료를 바탕으로 연령, 성별, 지역별 특성을 연도별로 분석한 결과이다. 전수감시기간 동안 확진 사례는 34,572,554명, 사망 사례는 35,605명, 위중증 사례는 38,112명으로 확인되었다. 2020년과 2021년에는 코로나19 확진 사례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2022년 1월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되면서 확진 사례가 급격히 증가하여 2022년에 전체 확진 사례의 82.2%가 보고되었다. 특히 2022년 3월에는 9,959,368명의 확진 사례가 보고되어 전체 월간 확진 사례 중 가장 많은 비중(28.8%)을 차지하였다. 연령별로는, 전체 기간 동안 40대(15.1%)와 30대(14.7%)에서 가장 많은 확진 사례가 발생하였으며 연도별로는 2020년은 50대, 2021년은 20대, 2022년은 40대, 2023년은 30대의 확진 사례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확진 사례가 전체 확진 사례의 52.1%를 차지했으며, 비수도권은 2020년 대구광역시, 경상북도에서 주로 발생했으나 이후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보고서의 코로나19 전수감시기간 보고된 코로나19 확진 사례의 분석 결과는 향후 호흡기 감염병 대유행 시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5; 18(4): 157-179
리뷰와 전망
원헬스 접근의 중요성은 그동안 여러 국제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Organisation for Animal Health,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및 국제 협의체(Group of 7, Group of 20,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주요 선진국 등에서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주요 선진국들은 이미 원헬스를 전담하는 정부조직이나 단체가 적극적으로 정책을 마련하고 추진 중에 있다. 특히, 독일의 경우 유관 부처가 서로 협력하여 원헬스 접근을 통한 항생제 내성, 인수공통감염병 등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다. 또한 부처 간 원헬스 접근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 협약을 체결하고 의학, 수의학, 인문학 등을 아우르는 다학제 간 감염병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원헬스 접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원헬스 활성화를 위해 관련 체계(원헬스 거버넌스 구축, 국가 공동실행계획 등)를 마련 중이다.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원헬스 체계를 수립하고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독일의 원헬스 추진 체계를 분석하여 이를 참고하고자 한다.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5; 18(4): 180-196
리뷰와 전망
담배사용 및 담배에 의한 간접 노출은 인구집단에 건강폐해를 일으키는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기대 수명을 감소시키고 사망 위험을 증가시켜, 많은 금액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발생시킨다고 보고되었다. 담배 시장의 변화로 신종담배는 소비자의 사용률을 증대시키고 있으며, 액상 니코틴과 향·맛을 증대시켜 담배 사용자에게 위해 인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신종담배에서 배출되는 에어로졸은 무해한 수증기가 아닌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러나, 개인별 담배사용 행태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달라질 수 있으며, 지금까지 밝혀진 발암물질 등 유해화학물질 함유량만으로는 인체 위해성을 평가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행태 조사 등을 기반으로 하는 행태·습성 변화를 파악하고, 유해물질의 인체 노출량에 따른 건강 영향 등 실험연구를 바탕으로 한 과학적 근거 확보가 지속되어야 한다. 최근 동물실험을 금지하는 세계적 경향에 따라, 시험관 내 시험법(in vitro)인 동물대체시험법이 제안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대체법에 대한 입법이 진행 중으로 흡연폐해 실험연구에도 적용 필요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장기 및 줄기세포에서 유래된 세포를 3차원으로 조직화한 오가노이드는 세포 간 상호작용, 세포의 발달, 항상성 및 질병 모델 등 조직 내 세포의 생활사를 연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폐-오가노이드를 흡연폐해 연구의 생물학적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폐-오가노이드를 활용한 흡연폐해 연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실험연구 기반 논문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들은 만성폐쇄성폐질환과 관련되어 있었고, ‘흡연이 폐-오가노이드 생성에 미치는 영향’ 및 ‘흡연으로 유도한 폐질환의 세부기전 연구’였다. 또한, 흡연폐해 연구에 적용가능한 폐질환 폐-오가노이드 모델 연구를 위해, 폐암, 만성폐쇄성폐질환, 폐섬유증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에 폐-오가노이드 적용한 연구사례를 고찰하였다. 향후 폐-오가노이드를 활용한 연구를 지속하여 흡연폐해 실험연구의 단점을 보완하고 흡연자의 행태 변화 및 체내 유해물질 노출량을 지속적으로 추적조사한 결과를 실험 모델에 적용시켜 나갈 계획이다.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5; 18(4): 197-221
질병 통계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5; 18(4): 222-223

최근 원고

더보기 +

온라인 우선 출판

더보기 +

많이 읽은 원고

더보기 +

많이 인용된 원고

더보기 +

Submit Your Manuscript!

If you want to submit your manuscript to us,
please submit it through the online system now.

Go to Submit

주간 건강과 질병 소개

표지이미지

주간 건강과 질병(Public Health Weekly Report) (약어명: Public Health Wkly Rep, PHWR)은 질병관리청의 공식 학술지이다.

주간 건강과 질병은 국가 공중보건 관련 조사‧감시‧연구 결과에 대한 근거 기반의 실용적이며 권위있는 정보를 보건의료인, 공중보건 종사자, 역학자, 국민 등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는 목적으로 발행된다.

주간 건강과 질병은 신속한 전문가 심사를 거쳐 감염병과 비감염성 질병, 손상과 중독, 건강증진 등과 관련된 조사/감시 보고, 집단발병 보고, 현장 보고, 연구 논문, 리뷰와 전망, 권고 보고와 정책 보고 등의 원고를 게재한다. ... 더보기

PHWR